KR102328195B1 -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195B1
KR102328195B1 KR1020140095936A KR20140095936A KR102328195B1 KR 102328195 B1 KR102328195 B1 KR 102328195B1 KR 1020140095936 A KR1020140095936 A KR 1020140095936A KR 20140095936 A KR20140095936 A KR 20140095936A KR 102328195 B1 KR102328195 B1 KR 10232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executions
applications
internet advertisemen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4190A (ko
Inventor
한민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십일번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십일번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5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1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14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단말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을 수집하여 어플리케이션 별로 사용 점수를 산출하고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YSTEM FOR SERVICING INTERNET ADVERTISEMENT, METHOD OF SERVICING INTERNET ADVERTISEMENT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인터넷 광고를 추천하여 제공하는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이력에 기반하여 선택된 타겟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광고가 노출되도록 제공하는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광고가 포함되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광고가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무작위의 단말 장치에, 무작위의 어플리케이션에 광고를 노출시킨다면 효율이 낮을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다른 게임의 광고를 노출시키는 등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광고를 선택하여 노출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사용자의 특성은 반영되지 않아 비효율적이다.
즉,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특성과,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등을 고려하여 개인화된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면 광고가 노출되는 정도를 예측할 수 있고,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단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을 분석하여 타게팅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인터넷 광고 서비스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4-0072394A호, 2014년 6월 13일 공개 (명칭: 메인화면의 온오프 횟수를 이용한 모바일단말기의 광고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타게팅된 광고를 제공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을 분석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최근에 실행된 횟수가 많을수록 큰 가중치를 적용하여 최신의 사용 이력을 반영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실행된 시간대, 요일을 고려하여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함으로써 광고 수신대상 모수(population parameter)를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는, 단말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을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사용 점수를 산출하는 계산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사용 점수에 기반하여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에 노출되도록 인터넷 광고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 때, 사용 이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평균 실행 시간 및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집부는 상기 실행 횟수를 복수의 기준 기간들에 대해 각각 수집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실행 횟수에 상응하는 기준 기간이 짧을수록 큰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계산부는 상기 실행 횟수에 적용된 가중치보다 큰 가중치를 상기 평균 실행 시간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계산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평균 실행 시간의 총합에 대한 상기 평균 실행 시간의 비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의 총합에 대한 상기 실행 횟수의 비율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계산하여 상기 사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 이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실행 시간대, 실행 요일 및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시간대, 상기 실행 요일 및 상기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이력을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사용 이력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선택된 타겟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및 인터넷 광고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인터넷 광고가 노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사용 이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평균 실행 시간 및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집부는 상기 실행 횟수를 복수의 기준 기간들에 대해 각각 수집하고,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횟수에 상응하는 기준 기간이 짧을수록 큰 가중치가 적용되어 선택될 수 있다.
이 때, 타겟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횟수에 적용된 가중치보다 큰 가중치가 상기 평균 실행 시간에 적용되어 선택될 수 있다.
이 때, 타겟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계산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평균 실행 시간의 총합에 대한 상기 평균 실행 시간의 비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의 총합에 대한 상기 실행 횟수의 비율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은, 단말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사용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사용 점수에 기반하여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에 노출되도록 인터넷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사용 이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평균 실행 시간 및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 횟수를 복수의 기준 기간들에 대해 각각 수집하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 횟수에 상응하는 기준 기간이 짧을수록 큰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산출하는 단계부는 상기 실행 횟수에 적용된 가중치보다 큰 가중치를 상기 평균 실행 시간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은, 단말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이력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 이력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선택된 타겟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및 인터넷 광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인터넷 광고가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사용 이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평균 실행 시간 및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 횟수를 복수의 기준 기간들에 대해 각각 수집하고,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횟수에 상응하는 기준 기간이 짧을수록 큰 가중치가 적용되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을 수집하여 사용 점수를 산출하고,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에 노출되도록 인터넷 광고를 전송하는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을 수집하여 상기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타겟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인터넷 광고가 노출되도록 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타게팅된 광고를 제공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을 분석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근에 실행된 횟수가 많을수록 큰 가중치를 적용하여 최신의 사용 이력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실행된 시간대, 요일을 고려하여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함으로써 광고 수신대상 모수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점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서버 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단말 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은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110), 단말 장치(120)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110)는 단말 장치(120)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을 수집하고, 상기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사용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사용 점수에 기반하여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상기 단말 장치(120)에서 실행되는,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에 노출되도록 인터넷 광고를 전송한다.
이 때, 사용 이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평균 실행 시간 및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110)는 상기 실행 횟수를 복수의 기준 기간들에 대해 각각 수집하고, 상기 실행 횟수에 상응하는 기준 기간이 짧을수록 큰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110)는 상기 실행 횟수에 적용된 가중치보다 큰 가중치를 상기 평균 실행 시간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1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평균 실행 시간의 총합에 대한 상기 평균 실행 시간의 비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의 총합에 대한 상기 실행 횟수의 비율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계산하여 상기 사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 이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실행 시간대, 실행 요일 및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110)는 상기 실행 시간대, 상기 실행 요일 및 상기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단말 장치(120)는 단말 장치(120)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이력을 수집하고, 상기 사용 이력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선택된 타겟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및 인터넷 광고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인터넷 광고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 때, 단말 장치(120)는 각각 통신망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일 수 있지만, 단말 장치(12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20)는 각각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TV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 때, 사용 이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평균 실행 시간 및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단말 장치(120)는 상기 실행 횟수를 복수의 기준 기간들에 대해 각각 수집할 수 있다.
네트워크(130)는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110) 및 단말 장치(120)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30)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130)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는 수집부(210), 계산부(220), 제어부(230) 및 통신부(240)를 포함한다.
수집부(210)는 단말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을 수집한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 이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평균 실행 시간 및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평균 실행 시간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한번 실행했을 때 사용한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위는 초가 될 수 있다.
이 때, 실수로 어플리케이션을 잘못 실행시켰을 때 바로 종료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평균을 왜곡시켜 낮출 수 있으므로, 일정 시간 이상 실행된 경우만 이용하여 평균 실행 시간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는 최근의 기준 기간 이내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횟수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이 때, 평균 실행 시간과 마찬가지로, 실수로 어플리케이션을 잘못 실행시킨 경우 평균을 왜곡시켜 높일 수 있으므로, 일정 시간 이상 실행된 경우만 실행 횟수로 계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집부(210)는 상기 실행 횟수를 복수의 기준 기간들에 대해 각각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횟수를 1개월, 3개월 및 6개월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수집할 수 있다. 즉, 1개월 내 실행 횟수, 3개월 내 실행 횟수 및 6개월 내 실행 횟수를 각각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 이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실행 시간대, 실행 요일 및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이 가장 많이 실행된 시간대와 요일을 수집할 수 있다. 또는, 2번째로 많이 실행된 시간대와 요일까지 수집할 수도 있다.
계산부(220)는 상기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사용 점수를 산출한다.
실시예에 따라, 계산부(220)는 상기 실행 횟수에 상응하는 기준 기간이 짧을수록 큰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개월 내 실행 횟수, 3개월 내 실행 횟수 및 6개월 내 실행 횟수 순으로 작은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즉, 각각 100, 10, 1의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계산부(220)는 상기 실행 횟수에 적용된 가중치보다 큰 가중치를 상기 평균 실행 시간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실행 횟수에 적용된 가중치 중 가장 큰 가중치, 다시 말해 가장 짧은 기준 기간에 상응하는 가중치보다 큰 가중치를 평균 실행 시간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월 내 실행 횟수, 3개월 내 실행 횟수 및 6개월 내 실행 횟수에 각각 100, 10, 1의 가중치를 적용한 경우, 평균 실행 시간에는 1000의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계산부(22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평균 실행 시간의 총합에 대한 상기 평균 실행 시간의 비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의 총합에 대한 상기 실행 횟수의 비율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계산하여 상기 사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평균 실행 시간의 총합에 대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평균 실행 시간의 비율이 클수록, 또는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횟수의 총합에 대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의 비율이 클수록 사용 점수가 높게 계산될 수 있다. 자세한 계산 방법의 예시에 대하여는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23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사용 점수에 기반하여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이 때, 사용 점수가 높을수록 인터넷 광고가 노출되기 쉬운 어플리케이션이므로, 사용 점수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타겟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 점수에 따라 광고비가 달리 책정될 수 있고, 광고 예산에 따라 적절한 사용 점수를 가진 어플리케이션을 타겟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30)는 상기 실행 시간대, 상기 실행 요일 및 상기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광고를 집행할 요일 또는 시간대에 따라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달리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요일에는, 화요일에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타겟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시간대에 따라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달리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일, 시간대의 고려는, 사용 점수에 가산점을 더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동점 또는 근접한 사용 점수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수일 때 제2의 기준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에 따라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달리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임 광고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타겟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테고리의 고려 역시 요일, 시간대와 마찬가지로, 사용 점수에 가산점을 더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동점 또는 근접한 사용 점수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수일 때 제2의 기준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통신부(240)는 상기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에 노출되도록 인터넷 광고를 전송한다.
이 때, 단말 장치에 타겟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는 제어부(310), 통신부(320), 입력부(330), 표시부(340), 저장부(350) 및 수집부(360)를 포함한다.
입력부(33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 장치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33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330)는 표시부(34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33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330)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실행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표시부(340)는 단말 장치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340)는 단말 장치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34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34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표시부(340)는 입력부(33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340)는 인터넷 광고를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표시한다.
저장부(35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 장치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3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31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350)는 표시부(340)에서 표시할 인터넷 광고,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한다.
통신부(320)는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32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320)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버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여, 서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는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에 접속하며,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320)는 서버와 통신하여 수집한 사용 이력을 전송하고, 타겟 어플리케이션 및 인터넷 광고를 수신한다.
제어부(310)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10)는 타겟 어플리케이션에 인터넷 광고가 노출되도록 제어한다.
수집부(360)는 단말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이력을 수집한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 이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평균 실행 시간 및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집부(360)는 상기 실행 횟수를 복수의 기준 기간들에 대해 각각 수집하고,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횟수에 상응하는 기준 기간이 짧을수록 큰 가중치가 적용되어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타겟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횟수에 적용된 가중치보다 큰 가중치가 상기 평균 실행 시간에 적용되어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타겟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계산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평균 실행 시간의 총합에 대한 상기 평균 실행 시간의 비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의 총합에 대한 상기 실행 횟수의 비율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410) 별로, 평균 실행 시간(420), 1개월 내 실행 횟수(430), 3개월 내 실행 횟수(440) 및 6개월 내 실행 횟수(450)를 수집한다.
이 때, 기준 기간을 1개월, 3개월 및 6개월의 3가지로 하여 실행 횟수를 수집하였으나, 기준 기간의 기간 및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평균 실행 시간(420), 1개월 내 실행 횟수(430), 3개월 내 실행 횟수(440) 및 6개월 내 실행 횟수(450)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 별로 사용 점수를 산출한다.
이 때, 실행 횟수에 상응하는 기준 기간이 짧을수록 큰 가중치를 적용하여 사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실행 횟수에 적용된 가중치보다 큰 가중치를 평균 실행 시간(420)에 적용하여 사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평균 실행 시간(420)의 총합에 대한 평균 실행 시간(420)의 비율 및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의 총합에 대한 실행 횟수의 비율을 어플리케이션 별로 계산하여 사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사용 점수는 수학식 1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4071283684-pat00001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하면, 도 5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점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510) 별로 사용 점수(520)가 산출된다.
사용 점수(520)에 기반하여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이 때, 사용 점수(520)가 높을수록 인터넷 광고가 노출되기 쉬운 어플리케이션(510)이므로, 사용 점수(520)가 높은 어플리케이션(510)을 타겟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D를 타겟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 점수(520)에 따라 광고비가 달리 책정될 수 있고, 광고 예산에 따라 적절한 사용 점수(520)를 가진 어플리케이션을 타겟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서버 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은 단말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을 수집한다(S610).
실시예에 따라, 사용 이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평균 실행 시간 및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평균 실행 시간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한번 실행했을 때 사용한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위는 초가 될 수 있다.
이 때, 실수로 어플리케이션을 잘못 실행시켰을 때 바로 종료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평균을 왜곡시켜 낮출 수 있으므로, 일정 시간 이상 실행된 경우만 이용하여 평균 실행 시간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는 최근의 기준 기간 이내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횟수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이 때, 평균 실행 시간과 마찬가지로, 실수로 어플리케이션을 잘못 실행시킨 경우 평균을 왜곡시켜 높일 수 있으므로, 일정 시간 이상 실행된 경우만 실행 횟수로 계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실행 횟수를 복수의 기준 기간들에 대해 각각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횟수를 1개월, 3개월 및 6개월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수집할 수 있다. 즉, 1개월 내 실행 횟수, 3개월 내 실행 횟수 및 6개월 내 실행 횟수를 각각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 이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실행 시간대, 실행 요일 및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이 가장 많이 실행된 시간대와 요일을 수집할 수 있다. 또는, 2번째로 많이 실행된 시간대와 요일까지 수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은 상기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사용 점수를 산출한다(S620).
실시예에 따라, 실행 횟수에 상응하는 기준 기간이 짧을수록 큰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개월 내 실행 횟수, 3개월 내 실행 횟수 및 6개월 내 실행 횟수 순으로 작은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즉, 각각 100, 10, 1의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실행 횟수에 적용된 가중치보다 큰 가중치를 상기 평균 실행 시간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실행 횟수에 적용된 가중치 중 가장 큰 가중치, 다시 말해 가장 짧은 기준 기간에 상응하는 가중치보다 큰 가중치를 평균 실행 시간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월 내 실행 횟수, 3개월 내 실행 횟수 및 6개월 내 실행 횟수에 각각 100, 10, 1의 가중치를 적용한 경우, 평균 실행 시간에는 1000의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평균 실행 시간의 총합에 대한 상기 평균 실행 시간의 비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의 총합에 대한 상기 실행 횟수의 비율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계산하여 상기 사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평균 실행 시간의 총합에 대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평균 실행 시간의 비율이 클수록, 또는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횟수의 총합에 대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의 비율이 클수록 사용 점수가 높게 계산될 수 있다. 자세한 계산 방법의 예시에 대하여는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사용 점수에 기반하여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S630).
이 때, 사용 점수가 높을수록 인터넷 광고가 노출되기 쉬운 어플리케이션이므로, 사용 점수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타겟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 점수에 따라 광고비가 달리 책정될 수 있고, 광고 예산에 따라 적절한 사용 점수를 가진 어플리케이션을 타겟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실행 시간대, 상기 실행 요일 및 상기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광고를 집행할 요일 또는 시간대에 따라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달리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요일에는, 화요일에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타겟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시간대에 따라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달리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일, 시간대의 고려는, 사용 점수에 가산점을 더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동점 또는 근접한 사용 점수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수일 때 제2의 기준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에 따라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달리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임 광고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타겟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테고리의 고려 역시 요일, 시간대와 마찬가지로, 사용 점수에 가산점을 더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동점 또는 근접한 사용 점수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수일 때 제2의 기준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에 노출되도록 인터넷 광고를 전송한다(S640).
이 때, 단말 장치에 타겟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단말 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은 단말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이력을 수집한다(S710).
실시예에 따라, 사용 이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평균 실행 시간 및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집부(360)는 상기 실행 횟수를 복수의 기준 기간들에 대해 각각 수집하고,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횟수에 상응하는 기준 기간이 짧을수록 큰 가중치가 적용되어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타겟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횟수에 적용된 가중치보다 큰 가중치가 상기 평균 실행 시간에 적용되어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타겟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계산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평균 실행 시간의 총합에 대한 상기 평균 실행 시간의 비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의 총합에 대한 상기 실행 횟수의 비율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은 사용 이력을 전송한다(S72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은 상기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선택된 타겟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및 인터넷 광고를 수신한다(S730).
이 때, 타겟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은 타겟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인터넷 광고가 노출되도록 한다(S740).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순서, 그 역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되, 단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을 분석하여 광고 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최근에 실행된 횟수가 많을수록 큰 가중치를 적용하여 최신의 사용 이력을 반영할 수 있다. 나아가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실행된 시간대, 요일을 고려하여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함으로써 광고 수신대상 모수를 추출할 수 있고, 광고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110: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 120: 단말 장치
130: 네트워크 210: 수집부
220: 계산부 230: 제어부
240: 통신부 310: 제어부
320: 통신부 330: 입력부
340: 표시부 350: 저장부

Claims (20)

  1. 단말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을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사용 점수를 산출하는 계산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사용 점수가 가장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인터넷 광고가 노출될 타겟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인터넷 광고가 노출되도록 상기 인터넷 광고 및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 이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평균 실행 시간 및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상기 사용 이력 수집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별로 어플리케이션이 일정 시간 이상 실행된 경우만 이용하여 상기 평균 실행 시간을 생성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이 일정 시간 이상 실행된 경우만 상기 실행 횟수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단말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이력을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사용 이력을 인터넷 광고를 제공하는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상기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에 의해 산출된 상기 어플리케이션별 사용 점수에 따른 상기 사용 점수가 가장 높으면서 상기 인터넷 광고가 노출될 타겟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인터넷 광고를 상기 인터넷 광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인터넷 광고를 기초로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인터넷 광고가 노출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 이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평균 실행 시간 및 기준 기간 이내의 실행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상기 사용 이력 수집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별로 어플리케이션이 일정 시간 이상 실행된 경우만 이용하여 상기 평균 실행 시간을 생성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이 일정 시간 이상 실행된 경우만 상기 실행 횟수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095936A 2014-07-28 2014-07-28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28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936A KR102328195B1 (ko) 2014-07-28 2014-07-28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936A KR102328195B1 (ko) 2014-07-28 2014-07-28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190A KR20160014190A (ko) 2016-02-11
KR102328195B1 true KR102328195B1 (ko) 2021-11-17

Family

ID=5535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936A KR102328195B1 (ko) 2014-07-28 2014-07-28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954B1 (ko) * 2019-10-07 2021-12-21 농협은행(주)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057B1 (ko) * 2011-09-01 2017-12-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히스토리 기반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히스토리 기반 광고 서비스를 위한 광고 서비스 장치
KR101888123B1 (ko) * 2011-12-30 2018-08-13 네이버 주식회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6876B1 (ko) * 2012-04-04 2019-06-27 주식회사 케이티 애플리케이션 추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의 평가 점수 산출 방법
KR20140072394A (ko) 2012-12-04 2014-06-13 임완택 메인화면의 온오프 횟수를 이용한 모바일단말기의 광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190A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slam et al. Mobile application and its global impact
US8010134B2 (en) Architecture for mobile advertising with location
US9489686B2 (en)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 information obtained from a user terminal
EP3387595B1 (en) Predicting churn for (mobile) app usage
US201600711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10089652B2 (en) Generating advertisements for search results that reference software applications
US9641989B1 (en) Displaying messages according to priority
US20120278185A1 (en) Method to adapt ads rendered in a mobile device based on existence of other mobile applications
US9483253B1 (en) Methods for customization of default applications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10113232A (ko) 앱스토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233879B1 (en) Mobile device personalization based on previous mobile device usage
KR20130122424A (ko) 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TWI522944B (zh) 贊助之應用程式
US9930161B1 (en) System and method of caching targeted internet protocol (IP) notifications to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WO2016099447A1 (en) Personalized application recommendations
KR20120028088A (ko)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5795885B2 (ja) 検索ライブラリを用いた検索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5944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additional icon content into a display screen
KR102328195B1 (ko)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01210B1 (ko) 전화번호와 연관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20140059996A (ko) 사용자별 광고 노출 시스템 및 사용자별 광고 노출 방법
KR101803395B1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2902698A (zh) 移动运算装置的内容提供方法
KR20150035100A (ko) 스크롤 반응형 광고배너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201400127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user experience with an application across multip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