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408A - 전지 팩 제조 장치 및 전지 팩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지 팩 제조 장치 및 전지 팩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408A
KR20200107408A KR1020190026500A KR20190026500A KR20200107408A KR 20200107408 A KR20200107408 A KR 20200107408A KR 1020190026500 A KR1020190026500 A KR 1020190026500A KR 20190026500 A KR20190026500 A KR 20190026500A KR 20200107408 A KR20200107408 A KR 20200107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ttery pack
unit cells
frame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9191B1 (ko
Inventor
오정호
백주환
박건태
박형민
정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26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191B1/ko
Priority to PCT/KR2020/001005 priority patent/WO2020180009A1/ko
Priority to US17/273,899 priority patent/US20210242486A1/en
Priority to CN202080004437.6A priority patent/CN112567565A/zh
Priority to EP20765760.2A priority patent/EP3817091A4/en
Publication of KR2020010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셀들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단위셀들이 수납되는 팩 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 및 상기 팩 프레임에 수납된 상기 단위셀들을 수직으로 가압하는 수직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단위셀들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의 개폐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단위셀이 상기 프레임의 수납부에 수직 낙하하여 장착되는 전지 팩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지 팩 제조 장치 및 전지 팩 제조 방법{BATTERY PACK MANUFACTURING DEVID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PACK}
본 발명은 전지 팩 제조 장치 및 전지 팩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연료의 고갈에 의한 에너지원의 가격 상승, 환경 오염의 관심이 증폭되며,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요구가 미래 생활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원자력, 태양광, 풍력, 조력 등 다양한 전력 생산 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렇게 생산된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력 저장 장치 또한 지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더욱이, 모바일 기기와 전지 자동차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특히,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이 적층된 구조의 전극 조립체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분류된다. 대표적으로는,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젤리-롤형(권취형) 전극 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전극조립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최근에는, 상기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 및 스택형 전극 조립체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젤리-롤형과 스택형의 혼합 형태인 진일보한 구조의 전극 조립체로서, 소정 단위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단위셀들을 분리필름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들을 사용 목적에 따라, 파우치 케이스, 원통형 캔, 및 각형 케이스 등에 수납하여 전지를 제조한다.
이 중에서, 원통형 전지는 제조가 용이하고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휴대용 컴퓨터에서 전지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기들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통형 전지 팩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팩 프레임에 원통형 단위셀을 수납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원통형 전지 팩 제조 장치(10)는 이동 집게(11)을 사용하여 원통형 단위셀(30)을 팩 프레임(61)의 수납부(62)에 장착하여 원통형 전지 팩(60)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전지 팩(60)은 다수의 원통형 단위셀(30)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동 집게(11)를 사용하여 단위셀(30)을 이동하여 수납부(62)에 장착할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동 집게(11)와 원통형 단위셀(30) 사이의 접촉 부위에 마찰이 발생하여 원통형 단위셀(30)의 외관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복수의 단위셀들이 수직으로 낙하하여 팩 프레임의 수납부들에 수납됨으로써 단위셀들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팩 제조 장치는 복수의 단위셀들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단위셀들이 수납되는 팩 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 및 상기 팩 프레임에 수납된 상기 단위셀들을 수직으로 가압하는 수직 가압부; 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단위셀들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의 개폐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단위셀이 상기 프레임의 수납부에 수직 낙하하여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단위셀들은 동시에 상기 팩 프레임의 상기 수납부들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단위셀의 외형에 대응하는 만입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안착부의 바닥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들은 폭 대비하여 길이가 긴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수납부들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수직 낙하 지점에서 정지할 수 있다.
상기 팩 프레임은 상기 조정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팩 프레임은 상기 수직 낙하 지점의 상기 이송부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조정부는 상기 수직 낙하 지점에 위치한 상기 단위셀들이 상기 팩 프레임의 상기 수납부들에 수직 낙하하여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팩 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팩 제조 방법은 이송부에 형성된 안착부에 다수의 단위셀들을 위치시키는 단계; 조정부에 팩 프레임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이송부에 안착된 상기 단위셀들을 수직 낙하 지점으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안착부의 개폐부를 개방하여 상기 단위셀이 수직 낙하하여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지 팩 제조 방법은 상기 조정부을 통해서 상기 수직 낙하 지점의 상기 단위셀들이 수직 낙하하여 상기 팩 프레임의 수납부들에 수납되도록 상기 팩 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지 팩 제조 방법은 상기 수직 가압부를 사용하여 상기 팩 프레임에 수납된 상기 단위셀들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 제조 장치는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다수의 단위셀들이 수직으로 낙하하여 팩 프레임의 수납부에 삽입함으로써 단위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조 시간을 줄이고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통형 전지 팩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팩 프레임에 원통형 단위셀을 장착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 제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위셀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일점 쇄선 A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실시예에서 단위셀이 낙하하여 팩 프레임에 수납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는 도 2의 팩 프레임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2의 실시예에서 수직 가압부가 작용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단면도"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도"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 제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위셀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일점 쇄선 A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지 팩 제조 장치(100)는 이송부(101), 조정부(102), 및 수직 가압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부(102)는 이송부(101)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조정부(102)는 이송부(101)의 수직 낙하 지점(112)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가압부(103)는 조정부(102)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송부(101)는 단위셀(50)을 연속적으로 이송할 수 있고, 일 예로, 컨베이어 일 수 있다. 이송부(101)는 단위셀(50)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111)를 포함할 수 있고, 단위셀(50)은 안착부(111)에 위치한 상태로 제1 이동 방향(B)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단위셀(50)은 원통 형상으로 상부면(52)과 하부면(53) 사이에 옆면(51)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단위셀(50)은 단위셀(50)의 하부면(53)이 안착부(111)에 접촉하여 세워진 상태로 안착부(111)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셀(50)의 하부면(53)이 팩 프레임(21)의 수납부(22)의 바닥면에 접촉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실시예에서 단위셀이 낙하하여 팩 프레임에 수납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안착부(111)는 단위셀(50)의 일부가 수납될 수 있도록 단위셀(50)의 일부 외형에 대응하는 만입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안착부(111)는 단위셀(50)의 하부면(51)에 대응하는 원통 형상의 만입부일 수 있다. 안착부(111)는 폭 대비하여 길이가 긴 이송부(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11)에 위치한 단위셀(50)은 이송부(101)가 움직일 때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에, 작업자는 이송부(101)의 이동 속도를 높여서 작업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안착부(111)들 사이의 간격 및 안착부(111)의 개수는 팩 프레임(21)의 수납부(22)의 개수 및 이들 사이의 간격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6는 도 2의 팩 프레임의 모식도이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안착부(111)들은, 팩 프레임(21)의 일 행(D)에서 수납부(22)들 사이의 간격(F)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송부(101)의 길이 방향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팩 프레임(21)의 일 행(D)에 수납될 단위셀(50)들이 이송부(101)에 의해 수직 낙하 지점(112)에 도달하면 이송부(101)는 정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셀(50)들은 팩 프레임(21)의 일 행(D)의 수납부(22)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팩 프레임(21)은 이송부(101)의 수직 낙하 지점(112)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팩 프레임(21)은 조정부(102)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납부(22)들이 형성된 면이 수직 낙하 지점(112)에 위치한 단위셀(50)들을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조정부(102)는 단위셀(50)들이 수직으로 낙하하여 수납부(22)들에 수납될 수 있도록 팩 프레임(21)의 위치를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으로 낙하"하는 방향은 상기 X 방향 및 Y 방향에 수직이고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송부(101)에 의해서 단위셀(50)들이 수직 낙하 지점(112)에 위치하고, 조정부(102)에 의해서 단위셀(50)들과 일 행(D)의 수납부(22)들의 위치가 정렬되면, 안착부(111)의 개폐부(114)가 개방되어 단위셀(50)들이 수직으로 낙하하여 수납부(22)들에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101)가 다시 단위셀(50)들을 이송하여 단위셀(50)들이 수직 낙하 지점(112)에 위치하면, 조정부(102)는 팩 프레임(21)의 위치를 조정하여 다른 행(E)의 수납부(22)들과 단위셀(50)들의 위치를 정렬하고, 안착부(111)의 개폐부(114)가 개방되어 단위셀(50)들이 수직으로 낙하하여 수납부(22)들에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팩 프레임(21)의 수납부(22)들에 단위셀(50)들을 수납할 수 있다. 개폐부(114)가 개방되며 한 번에 수납되는 단위셀(50)들의 개수는 팩 프레임(21)의 수납부(22)들의 배열 및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실시예에서 수직 가압부가 작용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위셀(50)들이 모두 팩 프레임(21)에 수납되면, 조정부(102)는 팩 프레임(21)을 이송부(101) 아래에서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직 가압부(103)가 단위셀(50)들의 상부면(52) 위에서 수직 낙하 방향으로 단위셀(50)들을 가압하여 단위셀(50)들의 하부면(53)이 수납부(22)의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단위셀(50)의 외관이 손상되지 않고 신속하게 단위셀(50)을 수납부(22)에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을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3)

  1. 복수의 단위셀들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단위셀들이 수납되는 팩 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 및
    상기 팩 프레임에 수납된 상기 단위셀들을 수직으로 가압하는 수직 가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단위셀들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의 개폐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단위셀이 상기 프레임의 수납부에 수직 낙하하여 장착되는 전지 팩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들은 동시에 상기 팩 프레임의 상기 수납부들에 장착되는 전지 팩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단위셀의 외형에 대응하는 만입부 형상인 전지 팩 제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안착부의 바닥 면에 형성된 전지 팩 제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들은 폭 대비하여 길이가 긴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전지 팩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수납부들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전지 팩 제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수직 낙하 지점에서 정지하는 전지 팩 제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팩 프레임은 상기 조정부에 위치하는 전지 팩 제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팩 프레임은 상기 수직 낙하 지점의 상기 이송부 아래에 위치하는 전지 팩 제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수직 낙하 지점에 위치한 상기 단위셀들이 상기 팩 프레임의 상기 수납부들에 수직 낙하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팩 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하는 전지 팩 제조 장치.
  11. 이송부에 형성된 안착부에 다수의 단위셀들을 위치시키는 단계;
    조정부에 팩 프레임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이송부에 안착된 상기 단위셀들을 수직 낙하 지점으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안착부의 개폐부를 개방하여 상기 단위셀이 수직 낙하하여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지 팩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을 통해서 상기 수직 낙하 지점의 상기 단위셀들이 수직 낙하하여 상기 팩 프레임의 수납부들에 수납되도록 상기 팩 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지 팩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압부를 사용하여 상기 팩 프레임에 수납된 상기 단위셀들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지 팩 제조 방법.
KR1020190026500A 2019-03-07 2019-03-07 전지 팩 제조 장치 및 전지 팩 제조 방법 KR102389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500A KR102389191B1 (ko) 2019-03-07 2019-03-07 전지 팩 제조 장치 및 전지 팩 제조 방법
PCT/KR2020/001005 WO2020180009A1 (ko) 2019-03-07 2020-01-21 전지 팩 제조 장치 및 전지 팩 제조 방법
US17/273,899 US20210242486A1 (en) 2019-03-07 2020-01-21 Battery pack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pack
CN202080004437.6A CN112567565A (zh) 2019-03-07 2020-01-21 电池组制造装置和电池组的制造方法
EP20765760.2A EP3817091A4 (en) 2019-03-07 2020-01-21 DEVICE FOR MANUFACTURING A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500A KR102389191B1 (ko) 2019-03-07 2019-03-07 전지 팩 제조 장치 및 전지 팩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408A true KR20200107408A (ko) 2020-09-16
KR102389191B1 KR102389191B1 (ko) 2022-04-20

Family

ID=7233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500A KR102389191B1 (ko) 2019-03-07 2019-03-07 전지 팩 제조 장치 및 전지 팩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242486A1 (ko)
EP (1) EP3817091A4 (ko)
KR (1) KR102389191B1 (ko)
CN (1) CN112567565A (ko)
WO (1) WO20201800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27278A1 (de) * 2021-10-21 2023-04-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nergiespeichers, Energiespeicher sowie 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7212B1 (ko) * 1995-12-29 1999-05-15 배순훈 리튬전지의 낙하이재장치
KR101309132B1 (ko) * 2013-06-10 2013-09-16 (주)무진서비스 배터리박스 내에 셀을 로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372B1 (ko) * 1995-12-27 1999-06-15 전주범 팰릿에의 적재를 위한 리튬이온전지의 자동적재장치
GB9610441D0 (en) * 1996-05-17 1996-07-24 Tbs Eng Ltd Loading apparatus
JP2001176453A (ja) * 1999-12-16 2001-06-29 Toshiba Battery Co Ltd 筒型電池の整列的な挿入装置
US8519715B2 (en) * 2010-11-29 2013-08-27 Volkswagen Ag Method and system for assembling a battery module
CN203707268U (zh) * 2014-01-23 2014-07-09 宁波超霸能源有限公司 一种用于电池组装的落料机构
CN103794807B (zh) * 2014-01-23 2015-11-11 宁波超霸能源有限公司 一种9v锂电池的组装设备
KR102092108B1 (ko) * 2015-11-30 2020-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팩의 조립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팰릿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조립 장치
CN107195950B (zh) * 2017-05-25 2019-06-11 欣旺达电子股份有限公司 电芯插框装置及其系统
KR102307294B1 (ko) * 2017-07-21 2021-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통형 셀 조립체의 프레스 및 비전 검사 통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7212B1 (ko) * 1995-12-29 1999-05-15 배순훈 리튬전지의 낙하이재장치
KR101309132B1 (ko) * 2013-06-10 2013-09-16 (주)무진서비스 배터리박스 내에 셀을 로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67565A (zh) 2021-03-26
EP3817091A4 (en) 2021-11-03
WO2020180009A1 (ko) 2020-09-10
US20210242486A1 (en) 2021-08-05
KR102389191B1 (ko) 2022-04-20
EP3817091A1 (en) 202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08059B (zh) 一种基于交叉堆叠的叠片式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KR102354184B1 (ko) 단위셀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조립체 제조 방법
KR102182307B1 (ko) 패턴 지그 및 스크랩 배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극 제조 장치
KR102026126B1 (ko) 노칭 롤러를 포함하고 있는 전극 제조 장치
JP2012091372A (ja) 積層体の作製装置および作製方法
US11296325B2 (en)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electrode protecting layer
KR102389191B1 (ko) 전지 팩 제조 장치 및 전지 팩 제조 방법
KR102448324B1 (ko) 전지셀 테이핑 장치
US20230238566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KR20200107409A (ko) 전지 팩 제조 장치 및 전지 팩 제조 방법
KR102398572B1 (ko) 압전 소자 및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KR20140032971A (ko) 시트- 또는 판 형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12305A (ko) 전지 제조 장치 및 전지 제조 방법
KR102087095B1 (ko) 절연 마스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충방전 장치
KR20210068861A (ko) 원통형 전지 분해 장치
KR102186499B1 (ko) 외주변 부위가 접착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101684359B1 (ko) 수직 적층 구조의 전지셀
KR102203400B1 (ko) 전지 셀 부착용 지그
KR101792602B1 (ko) 전극 집전체의 중첩이 최소화된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2157696B1 (ko) 전지셀 지지 블록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트레이
KR102159530B1 (ko) 고정 홀이 형성된 단위셀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조립체 스택
EP3582293B1 (en) Batte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lead
KR20240009169A (ko) 스택셀용 얼라인 장치
KR20230153156A (ko) 전극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1810656B1 (ko) 전지셀 포장용 폴리머 레진 백의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