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156A - 전극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극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53156A KR20230153156A KR1020220053019A KR20220053019A KR20230153156A KR 20230153156 A KR20230153156 A KR 20230153156A KR 1020220053019 A KR1020220053019 A KR 1020220053019A KR 20220053019 A KR20220053019 A KR 20220053019A KR 20230153156 A KR20230153156 A KR 202301531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electrode assembly
- manufacturing
- unit cells
- cel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18 electrochemist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41 lithium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52 nickel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65G59/04—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0—Antista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유닛셀을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유닛셀이 적층되어 있는 적재부로부터 상기 유닛셀을 취출하여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유닛셀을 흡착하는 흡착부, 및 상기 유닛셀에 자성을 발생시키는 대전체를 포함하는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구체적으로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를 위한 유닛셀의 취출시 오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 사용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대체 에너지, 청정 에너지의 사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가 전기화학을 이용한 발전, 축전 분야이다.
현재 이러한 전기 화학적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화학 소자의 대표적인 예로 이차전지를 들 수 있으며, 점점 더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카메라 등의 휴대용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 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져 왔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의 하나인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을 대체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동력원으로는 주로 니켈 수소금속 이차전지가 사용되고 있지만,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의 리튬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상용화 단계에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또는 음극 활물질과, 바인더, 도전재를 슬러리의 형태로 집전체에 코팅 및 건조하여 전극 합제층을 형성시켜 양극과 음극을 제조하고,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시키고, 이를 라미네이션한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에 내장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전극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젤리-롤형과 스택형의 혼합 형태인 진일보한 구조의 전극조립체로서, 일정한 단위 크기의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풀셀(full cell) 또는 양극(음극)/분리막/음극(양극)/분리막/양극(음극) 구조의 바이셀(bicell)을 긴 길이의 연속적인 분리막 필름을 이용하여 폴딩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가 개발되었다.
또한, 기존 스택형 전극조립체의 공정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형태의 전지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어 접합(lamination)되어 있는 단위셀들을 적층한 구조의 라미네이션/스택형 전극 조립체도 개발되었다.
상술한 전극 조립체들을 조립하게 위해, 미리 제조된 유닛셀들이 적층된 적재함에서 개별로 취출되어 전극 조립체의 제조를 위한 작업대 등으로 옮겨지게 되고, 이를 위해 취출 및 이송장치를 통해 유닛셀들 순차적으로 적재함에서 취출되는데 이 때, 유닛셀 취출 과정에서 정전기 등에 의해 2매 이상의 유닛셀이 취출되면서 취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일률적으로 유닛셀 취출 후 진동을 가하거나 제전기를 통해 바람을 불어넣는 등의 공정을 추가로 거쳤으나, 이 경우 유닛셀의 제거가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거나, 진동 및 바람에 의하여 전극 탈리 및 전극 형상 변형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층된 유닛셀로부터 1매의 유닛셀을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정전기 등에 의해 2매 이상의 유닛셀이 취출되더라도 유닛셀의 손상 없이 잉여의 유닛셀을 확실하게 제거하여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및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유닛셀을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유닛셀이 적층되어 있는 적재부로부터 상기 유닛셀을 취출하여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유닛셀을 흡착하는 흡착부, 및 상기 유닛셀에 자성을 발생시키는 대전체를 포함하는 포함한다.
상기 대전체는, 상기 유닛셀을 사이에 두고 상부에 배치되는 제1대전체 및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대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대전체 및 상기 제2 대전체는 동일한 전하를 띌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흡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셀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닛셀의 흡착 매수를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셀은, 분리막,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순차로 적층된 모노셀일 수 있다.
상기 유닛셀은, 분리막, 양극 또는 음극, 분리막이 순차로 적층된 하프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유닛셀을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진공에 의해 상기 유닛셀을 흡착하는 흡착부에 의해 복수의 상기 유닛셀이 적층되어 있는 적재부로부터 상기 유닛셀을 취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닛셀이 2매 취출된 경우, 2매의 상기 유닛셀이 제1 대전체 및 제2 대전체 사이에 배치시켜서 상기 2매의 유닛셀 사이에 척력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1매의 유닛셀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2매의 유닛셀이 상기 제1 대전체 및 상기 제2 대전체 사이에 배치되어, 유도 전하가 발생하는 것에 의해 상기 2매의 유닛셀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는 동일한 전하가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유닛셀을 취출하는 단계 이후에, 취출된 상기 유닛셀의 매수를 센서부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층된 유닛셀로부터 1매의 유닛셀을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정전기 등에 의해 2매 이상의 유닛셀이 취출되더라도 유닛셀의 손상 없이 잉여의 유닛셀을 확실하게 제거하여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서 흡착되는 대상이 되는 유닛셀의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는 도 1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서 흡착되는 대상이 되는 유닛셀의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는 도 1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는, 복수의 유닛셀(10)로부터 1매의 유닛셀(10)을 취출하여 이송하는 이송부(100)를 포함한다.
이송부(100)는 유닛셀(10)을 진공에 의해 흡착하는 흡착부(110), 흡착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 유닛셀(10)에 유도 전하를 발생시키는 대전체(130) 및 지지부(120)에 연결되어, 흡착부(110)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하 이동부(140)를 포함한다.
이송부(100)에 의해 취출되는 유닛셀(10)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13)과, 적어도 하나의 내부 분리막(14)을 포함한다. 이 때 유닛셀(10)은 모노셀 또는 하프셀일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셀(10)이 모노셀인 경우, 유닛셀(10)은 내부 분리막(14), 음극(12), 내부 분리막(14), 및 양극(11)이 순차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셀(10’)이 하프셀인 경우, 유닛셀(10’)은 내부 분리막(14), 음극 또는 양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13), 및 내부 분리막(14)이 순차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유닛셀(10)은 모노셀 및 하프셀 어느 경우라도 가능할 수 있고, 공정상 필요한 구성이 무엇인지에 따라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각 전극(13)은 집전체와 같은 금속 박막 상에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를 슬러리의 형태로 혼합하여 코팅 및 건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전극 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닛셀(10)은 별도의 공정을 통해 대량으로 제작되어, 적재된 상태로 후속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적재된 상태의 유닛셀(10)로부터 1매의 유닛셀(10)을 취출하기 위하여, 이송부(100)는 흡착부(110)를 구비한다. 흡착부(110)는 유닛셀(10)에 접한 상태로 진공을 인가하여 유닛셀(10)을 흡착한다. 이러한 흡착부(110)는 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부(120)의 반대측에는 상하 이동부(140)가 연결되어, 상하 이동부(140)에 의해 흡착부(11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흡착부(110)가 하강하여 유닛셀(10)을 흡착한 후, 수직 상승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동한 후 수직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지지부(120)가 유닛셀(10)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취출된 유닛셀(10)이 2매 이상일 경우 이들 중 추가의 유닛셀(10)을 제거하도록 대전체(130)가 구비된다. 이 때, 대전체(130)는, 유닛셀(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제1 및 제2 대전체(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닛셀(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대전체(131) 및 유닛셀(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대전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대전체(131)는 지지부(120)의 일면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대전체(132)는 이송부(100)가 도달할 수 있는 작업 영역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닛셀(10)을 사이에 두고 가변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라도 가능하고, 이송부(100)와 분리되어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대전체(130)는 대전용 전압이 인가되는 판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및 제2 대전체(131, 132) 사이에 배치되는 유닛셀(10)에 유도 전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2매의 유닛셀(10)이 취출되어 있을 경우, 상부의 유닛셀(10)에는 제1 대전체(131)에 의해 유도 전하가 발생하고, 하부의 유닛셀(10)에는 제2 대전체(132)에 의해 유도 전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제1 및 제2 대전체(131, 132)가 동일한 전하를 띄고 있고, 이에 의하여 2매의 유닛셀(10) 사이에서 각각에 동일한 유도 전하가 발생하여 2매의 유닛셀(10) 사이에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추가의 외력 없이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2매의 유닛셀(10)이 취출된 경우에, 진동이나 바람에 의해 추가의 유닛셀(10)을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유닛셀(10)에 유도 전하를 발생시켜서 유닛셀(10) 사이에 형성된 척력에 의해 분리가 가능한 바, 유닛셀(10)의 분리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아울러 분리 과정에서 유닛셀(10)에 포함된 전극 합제의 탈리 내지 전극의 형상 변형 등의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6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는 도 1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적재부(200)로부터, 이송부(100)의 흡착부(110)를 하강시켜서 유닛셀(10)을 흡착한다. 이 때, 흡착부(110)는, 상하 이동부(140)에 의해 수직 하강할 수 있으며, 진공을 가하여 유닛셀(10)을 흡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매의 유닛셀(10)이 흡착된 경우, 2매의 유닛셀(10)이 제1 및 제2 대전체(131, 132) 사이에 배치되도록 위치시켜서 2매의 유닛셀(10) 각각에 유도 전하를 발생시킨다. 이 때, 2매의 유닛셀(10)이 흡착되었는지 여부는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별도의 센서 등을 통하여 검출할 수 있다.
2매의 유닛셀(10) 각각에는, 제1 및 제2 대전체(131, 132)에 의하여 유도 전하가 발생하게 된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대전체(131, 132)는 각각 동일하게 음의 전하(-)로 대전된 상태이다. 따라서, 이들을 각각 상, 하부의 유닛셀(10)에 인접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1 및 제2 대전체(131, 132) 각각에 인접한 면에는 양의 전하(+)가 유도되고, 반대로 2매의 유닛셀(10)이 서로 마주하는 면의 각각에는 음의 전하(-)가 유도된다. 따라서, 서로 마주하는 2매의 유닛셀(10)의 각 면은 서로 동일한 전하로 대전된 상태이기 때문에, 도 5의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이들 간에 척력이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대전체(131, 132)가 음의 전하(-)로 대전된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2매의 유닛셀(10)이 마주하는 면에서 동일한 전하가 유도될 수 있도록, 제2 및 제2 대전체(131, 132)가 동일한 전하를 띄고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발생한 척력을 이용하여, 추가 흡착된 유닛셀(10)을 제거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매의 유닛셀(10)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 서로 밀어내게 되어 흡착부(110)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의 유닛셀(10) 만이 이송부(100)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하부의 유닛셀(10)은 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1매의 유닛셀(10)을 취출하는 것이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유닛셀(10)의 손상 없이, 확실하게 추가 흡착된 유닛셀(10)을 제거할 수 있는바, 유닛셀(10) 추가 공급에 의한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는, 센서부(121)를 더욱 포함하는 것 외에는 앞서 설명한 제조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유닛셀(10)과 지지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유닛셀(10)의 흡착 매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121)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21)는, 레이저를 조사하거나 자기장을 발생시켜서, 흡착된 유닛셀(10)의 매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매 이상의 유닛셀이 취출될 경우 그 무게가 달라지거나, 또는 전다 유도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금속 성분의 양이 달라지는바, 이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파라미터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취출된 유닛셀(10)의 매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21)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유닛셀(10)의 매수에 따라 달라지는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적절히 사용 가능하다. 또한, 센서부(121)의 위치를 유닛셀(10)과 지지부(120) 사이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역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닛셀(10)의 매수를 센싱할 수 있는 위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대전체를 이용하여 유닛셀에 유도 전하를 발생시키기 이전에, 유닛셀(10) 취출시 취출 매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도 전하 발생을 통한 분리 공정을 적용할 것인지 또는 생략할 것인지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정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유닛셀
100: 이송부
110: 흡착부
120: 지지부
130: 대전체
100: 이송부
110: 흡착부
120: 지지부
130: 대전체
Claims (10)
-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유닛셀을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유닛셀이 적층되어 있는 적재부로부터 상기 유닛셀을 취출하여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유닛셀을 흡착하는 흡착부, 및
상기 유닛셀에 유도 전하를 발생시키는 대전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대전체는, 상기 유닛셀을 사이에 두고 상부에 배치되는 제1대전체 및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대전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 제2항에서,
상기 제1 대전체 및 상기 제2 대전체는 동일한 전하를 띄고 있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흡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 제4항에서,
상기 유닛셀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닛셀의 흡착 매수를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유닛셀은, 분리막,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순차로 적층된 모노셀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유닛셀은, 분리막, 양극 또는 음극, 분리막이 순차로 적층된 하프셀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유닛셀을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진공에 의해 상기 유닛셀을 흡착하는 흡착부에 의해 복수의 상기 유닛셀이 적층되어 있는 적재부로부터 상기 유닛셀을 취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닛셀이 2매 취출된 경우, 2매의 상기 유닛셀이 제1 대전체 및 제2 대전체 사이에 배치시켜서 상기 2매의 유닛셀 사이에 척력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1매의 유닛셀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 제8항에서,
상기 2매의 유닛셀이 상기 제1 대전체 및 상기 제2 대전체 사이에 배치되어, 유도 전하가 발생하는 것에 의해 상기 2매의 유닛셀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는 동일한 전하가 유도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 제9항에서,
상기 유닛셀을 취출하는 단계 이후에, 취출된 상기 유닛셀의 매수를 센서부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3019A KR20230153156A (ko) | 2022-04-28 | 2022-04-28 | 전극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3019A KR20230153156A (ko) | 2022-04-28 | 2022-04-28 | 전극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3156A true KR20230153156A (ko) | 2023-11-06 |
Family
ID=8874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3019A KR20230153156A (ko) | 2022-04-28 | 2022-04-28 | 전극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53156A (ko) |
-
2022
- 2022-04-28 KR KR1020220053019A patent/KR20230153156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1234B1 (ko) | 이차 전지용 고속 스태킹 장치 및 방법 | |
EP2648263B1 (en) | Device for manufacturing battery cell | |
KR102182307B1 (ko) | 패턴 지그 및 스크랩 배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극 제조 장치 | |
EP2874225A1 (en) | Method for securing electrode assembly using tape | |
KR101480740B1 (ko) | 신규한 구조의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 |
KR101826894B1 (ko) |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 |
KR101799570B1 (ko) | 양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200118991A (ko) | 이차전지셀의 디가스시스템 | |
KR20200118992A (ko) | 이차전지셀의 디가스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가스시스템 | |
US20190020036A1 (en) |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electrode protecting layer | |
KR101840859B1 (ko) | 전극조립체 고정용 접착부재의 부가 장치 | |
KR101750239B1 (ko) | Srs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 |
KR20230153156A (ko) | 전극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 |
US12046706B2 (en) | Battery pack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pack | |
KR102232118B1 (ko) | 접속부재 고정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용접 지그 | |
KR20200102848A (ko) | 단위셀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75269B1 (ko) | 3 전극 셀 제작 키트 | |
KR101760393B1 (ko) | 코팅부와 비코팅부를 가진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지셀 | |
KR20230107063A (ko) | 전극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 |
KR101746628B1 (ko) | 전극의 노출이 억제된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 | |
US10615621B2 (en) | Apparatu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y cell comprising insulation mask | |
KR20180068506A (ko) | 절곡된 한 개의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단위셀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조립체 | |
KR20210017086A (ko) |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84359B1 (ko) | 수직 적층 구조의 전지셀 | |
EP4372855A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assembl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