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180A -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180A
KR20200105180A KR1020190023982A KR20190023982A KR20200105180A KR 20200105180 A KR20200105180 A KR 20200105180A KR 1020190023982 A KR1020190023982 A KR 1020190023982A KR 20190023982 A KR20190023982 A KR 20190023982A KR 20200105180 A KR20200105180 A KR 20200105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ts
drying
belt conveyor
drying chamb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0125B1 (ko
Inventor
임준명
Original Assignee
임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준명 filed Critical 임준명
Priority to KR1020190023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12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5Drying-steam gen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14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using gases or vapours other than air or steam, e.g. inert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각을 가지는 다수개의 벨트 컨베이어를 연속적으로 배치해 농산물이 이송과 동시에 설정의 구간 안에서 다수번 낙하하면서 자연적인 뒤섞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장방형 튜브 구조의 건조실과, 상향 경사각을 가지는 다수개의 벨트 컨베이어를 가지는 이송장치부와, 스팀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Inclined type continuous agricultural product drying device}
본 발명은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각을 가지는 다수개의 벨트 컨베이어를 연속적으로 배치해 농산물이 이송과 동시에 설정의 구간 안에서 다수번 낙하하면서 자연적인 뒤섞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 한약재, 버섯, 나물 등과 같은 농산물의 품질을 유지시키고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농산물을 건조하는 공정을 거친다.
이러한 농산물의 건조를 위해서 기존에는 단순히 햇빛과 바람을 이용하여 자연 건조를 이용하였으나, 자연 건조는 매우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낮고,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건조 과정에서 먼지나 각종 이물질이 부착되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고, 비가 오거나 습기가 많은 날에는 실시할 수 없으며, 생산자가 수시로 건조하는 농산물을 뒤집어 주면서 건조시켜야 함에 따라 번거로움과 불편성을 야기하는 단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농산물을 인공적으로 열풍 등을 발생시켜 강제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건조 장치를 주로 이용한다.
이러한, 농산물 건조장치는 수확된 농산물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건조하기 위해 발열기에서 발생된 열풍을 농산물에 가하는 구조를 가지며, 농가에서 생산된 농수산물을 날씨조건에 영향 받지 않고 언제든지 편안하게 말릴 수 있다.
일례로, 특용 농작물중 고추를 건조하기 위해서는 장시간 외부에 노출시키는 자연건조방식이 바람직하나, 자연건조방식은 건조과정에서 고추가 짓무르거나 변색됨으로 인해 제대로 된 건고추를 얻기가 힘들며 대량 생산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다수의 경우에 일반적인 고추 건조방식은 건조기를 이용한 열풍 건조방식을 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0001) 국내공개특허 제10-2004-0032845호 "고추건조장치"에서는 고추건조장치의 전둘레와 상부를 투명판재로 설치하고 내부의 채반선반을 다단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하여 투명판재를 투과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고추 등의 채소작물을 건조할 수 있게 하거나 보조 설치된 열풍을 함께 사용하여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이나 일반 열풍 건조하는 건조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예를 들면, 하부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 열풍을 차례대로 고추채반을 거쳐가므로 하측과 상측의 열온도가 다르고 심부와 외곽부의 열온도가 달라 고추가 골고루 건조되지를 못하였다.
그러한 까닭에 건조되어 나온 고추의 일부는 너무 굽혀서 검은 색을 띄고 다른 일부는 덜 마른 상태로 나오는 등의 고추 품질이 좋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고추품질 저하를 최소하기 위해 고추건조장치의 가동을 가끔씩 중단시키고 건조실에 실장된 채반에 담긴 고추의 위치를 옮겨주거나 교반시켜주는 등의 노력을 수시로 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건고추의 생산수율을 떨어뜨릴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수고를 가중시킨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고추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열풍을 이용해 건조하는 건조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건조장치는 벨트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고추 등의 농산물은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이송됨으로 안과 밖을 균일하게 건조시키려면 이송작업을 멈추고 농산물을 섞어주는 추가적인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2845호(2004. 04. 17.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이송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각을 가지는 다수개의 벨트 컨베이어를 연속적으로 배치해 이송하는 농산물이 설정의 구간 안에서 다수번 낙하하면서 자연적인 뒤섞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는, 열풍을 이용하여 농산물을 건조하기 위해, 건조실과 이송장치부와 열풍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건조실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일단의 입구부와 타단의 출구부를 가지는 장방형 튜브 구조를 가진다.
이송장치부는, 이송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각을 가지는 다수개의 벨트 컨베이어를 건조실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하고, 벨트 컨베이어의 메쉬벨트 끝단에서 이웃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메쉬벨트 상부로 농산물이 낙하하면서 자연 섞임을 발생한다.
열풍공급부는, 건조실과 공급관으로 연통되어 각각의 벨트 컨베이어에 스팀열풍을 공급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이송장치부를 구성하는 벨트 컨베이어는, 메쉬벨트의 끝단에 위치한 풀리와 연결되어 메쉬벨트와 접촉하면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형 브러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롤러형 브러쉬는 메쉬벨트와 동일 폭을 가진다.
한편, 필요에 따라 건조실은 다수개가 적층되어 다층의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부층 건조실의 출구부와 하부층 건조실의 입구부가 연속되거나 연통되고, 상부층 건조실의 종단 벨트 컨베이어에서 낙하한 농산물은 하부층 건조실의 최초 벨트 컨베이어로 연속 이송되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는, 이송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각을 가지는 다수개의 벨트 컨베이어를 연속적으로 배치해 이송하는 농산물이 설정의 건조실 구간 안에서 다수번 낙하함에 따라 자연적인 뒤섞임이 발생해 농산물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의 메쉬벨트와 접촉하면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형 브러쉬에 의해 이송하는 농산물의 끼임을 방지하여 건조효율을 높이고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에 적용한 벨트 컨베이어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에서 농산물의 섞임이 발생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a)(b)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에 롤러형 브러쉬를 적용한 상태 및 롤러형 브러쉬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에 적용한 벨트 컨베이어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에서 농산물의 섞임이 발생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4(a)(b)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에 롤러형 브러쉬를 적용한 상태 및 롤러형 브러쉬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100)는, 농산물(10)을 설정의 구간에서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열풍을 이용해 건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농산물(10)이 이송되면서 다수번 낙하함에 따라 자연적으로 뒤섞임이 발생해 열풍에 의해 농산물(10)이 균일하게 건조되어 건조효율을 높이고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100)는, 크게 건조실(110)과 이송장치부(120) 그리고 열풍공급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건조실(110)은 내부공간(S)을 가지며 일단의 입구부(111)와 타단의 출구부(112)를 가지는 장방형의 튜브 구조를 가진다.
이때, 입구부(111)와 출구부(112)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개폐되는 도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의 별도 운송수단을 통해 입구부(111)로 농산물(10)이 열풍 건조를 위해 투입된다.
이러한 건조실(110)은 바람직하게 설정의 구간에 대한 길이와 폭을 가지며 내부공간(S)에 후술의 이송장치부(120)를 포함한다.
도시에서 건조실(110)은 단일층으로 도시하였으나 후술에서 참조하여 설명할 도 6에서와 같이 필요에 따라 다층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건조실(110)에서 농산물(10)은 입구부(111)에서 출구부(112)로 이동하는 이송방향을 가진다.
별도의 운송수단을 통해 입구부(111)로 투입된 농산물(10)은 후술될 이송장치(120)와 열풍공급부(130)에 의해 균일하게 건조되어 출구부(112)를 통해 배출되어 이어지는 상품화 과정을 거쳐 출하된다.
한편, 재차 도 1을 참조하면, 이송장치부(120)는 건조실(1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벨트 컨베이어(120a)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구성한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벨트 컨베이어(120a)는 공지의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구비된 롤러가 메쉬벨트(121)를 회전시킴으로써 메쉬벨트(121)의 상부에 이송되어 안착된 농산물(10)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벨트 컨베이어(120a)의 구조는 공지의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이송장치부(120)를 구성하는 각각의 벨트 컨베이어(120a)는 농산물(10)이 이송되는 이송방향, 즉 건조실(110)의 입구부(111)에서 출구부(112)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각(α)을 가지며, 이웃하는 벨트 컨베이어(120a)의 메쉬벨트(121)에 농산물(10)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양측 벨트 컨베이어의 대응하는 메쉬벨트(121) 단부측이 단차의 높이를 가지며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연속 배치된다.
이와 같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벨트 컨베이어(120a)의 구조에 따라, 도 3을 참조하면, 벨트 컨베이어(120a)의 메쉬벨트(121) 끝단에서 이웃하는 벨트 컨베이어(120a)의 메쉬벨트(121) 상부로 높이 단차에 따라 농산물(10)이 낙하하면서 자연적으로 뒤섞임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이송되는 농산물(10)은 열풍에 의해 균일하게 건조되어 상품성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재차 도 1을 참조하면, 이송장치부(10)를 포함한 건조실(110)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130)는, 건조실(110)의 일측과 공급관(131)으로 연통되어 스팀열풍을 공급한다.
바람직하게, 공급관(131)은 각각의 벨트 컨베이어(120a)의 하부 측까지 개별적으로 연장되어 벨트 컨베이어(120a) 각각에 스팀열풍을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도 4(a)(b)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100)는, 벨트 컨베이어(120a)를 따라 이송하는 농산물(10)을 보다 안정적이며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도록 롤러형 브러쉬(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벨트 컨베이어(120a)는 메쉬벨트(121)의 끝단에 위치한 풀리(122)와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일측이 메쉬벨트(121)와 접촉하면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형 브러쉬(14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롤러형 브러쉬(140)는 바람직하게 풀리(122)와 축의 지름을 달리 하여 보다 빠르게 회전하면서 벨트 컨베이어(120a)의 끝단에서 낙하하는 농산물(10)을 이웃하는 벨트 컨베이어(120a)의 메쉬벨트(121)로 던져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한다.
이에 따라 농산물(10)은 보다 많이 뒤섞임이 이루어지면서 연속적으로 벨트 컨베이어(120a)를 따라 출구부(112) 방향으로 이송된다.
한편, 바람직하게 롤러형 브러쉬(140)는 메쉬벨트(121)의 폭과 동일 폭을 가져 이송되는 농산물(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안정적으로 뒤섞일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이러한 롤러형 브러쉬(140)는 메쉬벨트(121)의 일측과 접촉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그 구조적 특징에 따라 메쉬벨트(121)를 쓸면서 회전한다.
이에 따라, 도 4(b)를 참조하면, 이송되면서 메쉬벨트(121)의 망 간격 사이에 끼여진 농산물(10a)을 롤러형 브러쉬(140)가 털어주면서 이탈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메쉬벨트(121)에 끼어진 상태로 스팀열풍에 의해 과건조되어 탄화되는 농산물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과건조 탄화되는 농산물 발생을 방지함으로 건조되는 농산물(10)의 품질은 보다 더 높아지고 불량율은 현저히 줄어든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100)는, 장방형 튜브 구조의 건조실(110)에 이송장치부(120)를 구성해 농산물(10)을 자연 낙하를 이용해 섞어주면서 이동시킴과 동시에 열풍공급부(130)를 통해 공급된 스팀열풍을 이용해 균일하게 건조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건조실(110)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적층되어 다층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100)는 3층의 구조를 가지며 지그재그 방식으로 농산물(10)이 이송되도록 이송장치부(120)의 벨트 컨베이어(120a)를 배치하였다.
바람직하게 상부층 건조실(110)의 출구부(112)와 하부층 건조실(110)의 입구부(111)가 연속되거나 별도의 부재를 이용해 연통되게 구성하며, 상부층 건조실(110)의 종단 벨트 컨베이어(120a)에서 낙하한 농산물(10)은 하부층 건조실(110)의 최초 벨트 컨베이어(120a)로 연속 이송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는 자연 낙하를 통해 농산물(10)이 이송되도록 구성하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연결관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농산물 10a : 끼인 농산물
100 :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
110 : 건조실 111 : 입구부
112 : 출구부 120 : 이송장치부
120a : 벨트 컨베이어 121 : 메쉬벨트
122 : 풀리 130 : 열풍공급부
131 : 공급관 140 : 롤러형 브러쉬
S : 내부공간

Claims (4)

  1. 열풍을 이용한 농산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S)을 가지며, 일단의 입구부(111)와 타단의 출구부(112)를 가지는 장방형 튜브 구조의 건조실(110)과;
    이송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각(α)을 가지는 다수개의 벨트 컨베이어(120a)를 상기 건조실(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하고, 벨트 컨베이어(120a)의 메쉬벨트(121) 끝단에서 이웃하는 벨트 컨베이어(120a)의 메쉬벨트(121) 상부로 농산물(10)이 낙하하면서 자연 섞임을 발생하는 이송장치부(120)와;
    상기 건조실(110)과 공급관(131)으로 연통되어 각각의 벨트 컨베이어(120a)에 스팀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120a)는,
    상기 메쉬벨트(121)의 끝단에 위치한 풀리(122)와 연결되어 상기 메쉬벨트(121)와 접촉하면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형 브러쉬(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형 브러쉬(140)는 상기 메쉬벨트(121)와 동일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110)은 다수개가 적층되어 다층의 구조를 가지며,
    상부층 건조실(110)의 출구부(112)와 하부층 건조실(110)의 입구부(111)가 연속되거나 연통되고,
    상부층 건조실(110)의 종단 벨트 컨베이어(120a)에서 낙하한 농산물(10)은 하부층 건조실(110)의 최초 벨트 컨베이어(120a)로 연속 이송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
KR1020190023982A 2019-02-28 2019-02-28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 KR102250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82A KR102250125B1 (ko) 2019-02-28 2019-02-28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82A KR102250125B1 (ko) 2019-02-28 2019-02-28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180A true KR20200105180A (ko) 2020-09-07
KR102250125B1 KR102250125B1 (ko) 2021-05-07

Family

ID=7247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982A KR102250125B1 (ko) 2019-02-28 2019-02-28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1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7848A (zh) * 2021-03-26 2021-07-20 大方县瑞林劳务有限公司 一种立式的烘干流水线
CN115493387A (zh) * 2022-08-12 2022-12-20 麦卡尼食品设备(中山)有限公司 一种可加热可制冷的干燥机
CN116067155A (zh) * 2023-01-09 2023-05-05 安徽捷创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盖帽烘干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845A (ko) 2004-03-29 2004-04-17 (주) 엔티이코리아 고추건조장치
KR100772209B1 (ko) * 2006-08-10 2007-11-01 백성기 2단 고추 건조장치
KR20160066959A (ko) * 2014-12-03 2016-06-13 황기호 냉동고추 건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845A (ko) 2004-03-29 2004-04-17 (주) 엔티이코리아 고추건조장치
KR100772209B1 (ko) * 2006-08-10 2007-11-01 백성기 2단 고추 건조장치
KR20160066959A (ko) * 2014-12-03 2016-06-13 황기호 냉동고추 건조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7848A (zh) * 2021-03-26 2021-07-20 大方县瑞林劳务有限公司 一种立式的烘干流水线
CN115493387A (zh) * 2022-08-12 2022-12-20 麦卡尼食品设备(中山)有限公司 一种可加热可制冷的干燥机
CN115493387B (zh) * 2022-08-12 2023-09-22 麦卡尼食品设备(中山)有限公司 一种可加热可制冷的干燥机
CN116067155A (zh) * 2023-01-09 2023-05-05 安徽捷创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盖帽烘干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0125B1 (ko)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0125B1 (ko) 경사형 연속식 농산물 건조장치
CN102028294B (zh) 连续式卤制烘干机
US413995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seed corn by burning cobs
CN213543136U (zh) 一种自动提升网带翻转烘干流水线
CN201995547U (zh) 连续式卤制烘干机
US6267497B1 (en) Device for producing feed stuff or organic fertilizer from edible waste material through low temperature, natural fermentation and drying process
JP4848549B2 (ja) 食品ゴミの乾燥方法及び装置
KR100368931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CN210580774U (zh) 一种双模式电热粮食烘干机
US5653042A (en) Apparatus for drying crop materials
RU2238492C1 (ru) Суш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CN204388529U (zh) 烘干机
EP0068733A2 (en) Air heating apparatus
US3673699A (en) Grain drying apparatus
RU169889U1 (ru) Суш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KR20120130393A (ko)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및 그 건조방법
EP0206069A2 (en) Multi-stage particulate material dryer having channelized discharge
CN204811766U (zh) 卧式玉米果穗烘干机
KR20150089180A (ko)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RU199290U1 (ru) Суш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KR101488872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연속식 농수산물 건조시스템
RU214723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СВЧ-ИК сушки зерновых
JP2002243363A (ja) 食品素材の乾燥機
CN217604606U (zh) 一种农副产品烘干设备
CN217715813U (zh) 药材生产用通过式烘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