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0393A -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및 그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및 그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0393A
KR20120130393A KR1020110048280A KR20110048280A KR20120130393A KR 20120130393 A KR20120130393 A KR 20120130393A KR 1020110048280 A KR1020110048280 A KR 1020110048280A KR 20110048280 A KR20110048280 A KR 20110048280A KR 20120130393 A KR20120130393 A KR 20120130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ole grains
drying
air
hopper
fiber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0829B1 (ko
Inventor
서정덕
구자형
이은명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48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82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0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05Processes or apparatus using pressure variation or mechanical force, e.g. shock, acceleration, shear stress, contor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2Preserving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및 그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이 영글기전 호숙기에 수확하여 섬유 메쉬 콘베어에 소정의 두께로 펼쳐 순환시키면서 저온 열풍기에 제습 가능하도록 건조시켜 변패방지와 곡물의 특성에 따라 기능성을 갖는 색소의 변색이 없이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및 그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급된 곡물을 공급하는 건조라인을 다단계로 설치하여 연속 공급하고, 상기 건조라인의 일측으로 버켓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곡물을 순환 공급하는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통곡물을 소정의 높이로 공급하는 섬유 메쉬 콘베어(25)를 양쪽의 회전 로울러(22, 23)에 연결하며, 상기 회전 로울러(22)에 회전기어(21)를 연결하고, 상기 섬유 메쉬 콘베어(25)를 지그재그형태로 여러 단계 설치하는 건조라인(20)과;
상기 건조라인(20)의 섬유 메쉬 콘베어(25) 가장 하측에서 공급되는 통곡물을 공급받는 스크류 컨베이어(37)의 하측에 설치한 안내호퍼(38)에서 통곡물을 공급하며, 상기 안내호퍼(38)의 하측과 상기 건조라인(21)의 상측에 설치한 버켓 구동 스프라켓(31)에 연결한 버켓 연결밸트(33)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버켓(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켓 구동 스프라켓(31)의 상측 전방에 공급호퍼(34)와 투입호퍼(35)를 설치한 버켓 엘리베이터(30)와;
상기 건조라인(20)에 공기를 공급하며 터보팬(41)에 연결된 히터(42)와 공급덕트(43)를 설치하고, 상기 건조라인(20)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덕트(44)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입덕트(44)와 연결되어 터보팬(41)에 흡입공기를 공급하는 흡입 순환 덕트(45)로 이루어진 공조장치(4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및 그 건조방법{Continuous circulating air drying system}
본 발명은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및 그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이 영글기전 호숙기에 수확하여 섬유 메쉬 콘베어에 소정의 두께로 펼쳐 순환시키면서 저온 열풍기에 제습 가능하도록 건조시켜 변패방지와 곡물의 특성에 따라 기능성을 갖는 색소의 변색이 없이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및 그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쌀, 보리 등의 곡물류는 황숙기에 탈곡하여 관행적으로 사용하는 호퍼싸일로에 공급하여 열풍을 가하는 방식의 건조를 행하는 싸일로 건조기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곡물 건조기로는 특허공개번호 제2000-0040206호(2000. 07. 05. 공개)는 구조물의 내부에 칸막이 벽이 설치되어 내부공간이 건조실과 저장실로 구획되고, 건소실은 내부공간의 좌우측과 중앙에 각각 포스트가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지지봉이 배설되고, 상면에 다수개의 통기공이 뚫린 송급관과 통상의 난방라인이 바닥면 폭에 연결되며, 제일 아래쪽에는 경사판이 설치되어 그의 싱크부분에 파이프가 연설되고, 상기 저장실은 내부에 조절판이 설치되고, 상기 조절판의 하측에 호퍼가 설치되어 그 끝단에 파이프가 하향 경사진 상태로 구조물의 후방쪽을 향해 연설되며, 상기 구조물의 배면 쪽 외측에는 모터에 의해 동시 구동되는 곡물 이송기구가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건조기는 난방라인과 열풍 송급관의 복사 및 대류작용에 의해 곡물을 최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열풍에 의해 곡물이 너무 빠른 속도로 건조되면서 손상되어 수확한 상태를 보존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영글기 전 호숙기에 수확한 곡물을 건조하는 경우 건조에 의한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더욱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종래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06627호(2000. 10. 02. 등록)의 연속식 곡물 건조기는 벼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그 저장실로부터 유하되는 물벼가 건조되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건조실로부터 열풍에 노출된 벼를 냉각시키는 냉각실과, 상기 건조실 및 냉각실 내부에 다수개 장착되어 벼의 유하를 안내함과 아울러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에어덕트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구비되어 상기 건조실의 측부에 형성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상기 건조실로 안내하는 흡입유로와, 상기 건조실을 거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유로와, 상기 배출유로측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수단과, 상기 냉각실측에 설치되어 냉각실의 곡온과 배풍 온도에 따라 냉각실에 위치한 벼의 배출량을 조절하면서 벼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곡물 건조기는 다량의 물벼 건조가 가능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건조에 의해 산패되는 알곡이 많이 발생하며, 영글기 전 호숙기에 수확한 곡물을 건조하는 경우 건조에 의한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더욱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종래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32804호(2001. 05. 21. 등록)는 곡물을 이송시키는 곡물이송벨트와, 곡물에 열풍을 공급하는 히터와, 곡물 주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팬을 갖는 곡물건조장치로서, 곡물은 곡물이송벨트를 타고 이송되는 도중 이로부터 발생된 열풍에 의해 신속하게 건조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곡물 건조장치는 곡물을 최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열풍에 의해 곡물이 너무 빠른 속도로 건조되면서 손상되어 수확한 상태를 보존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영글기 전 호숙기에 수확한 곡물을 건조하는 경우 건조에 의한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더욱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종래 특허등록번호 제0705710호(2007. 04. 03. 등록)는 곡물이 투입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잘실내의 곡물을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건조시키는 건조수단과, 1차 건조된 상기 곡물을 다시 상기 저장실로 끌어올려 재건조시키는 순환식 곡물 건조기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순환식 곡물 건조기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초대형이어서 설치비와 유지비의 소모가 많고, 곡물들의 상하층간 함수율 편차를 줄이기 위해 셔터드럼의 구동을 개별작동시키게 되었지만, 함수율 편차를 줄이는 것에 한계가 있으며, 특히, 영글기 전 호숙기에 수확한 곡물을 건조하는 경우 건조에 의한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더욱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아울러, 곡물의 기능성을 활용하기 위하여 곡물의 기능성을 활용하기 위하여 곡물의 영과가 완전히 영글지 않은 상태의 호숙기에 수확한 곡물은 많은 수분함량과 호흡작용으로 인하여 통상의 호퍼 싸일로 건조기에 적용하여 건조할 경우에는 호퍼싸일로에 정체되는 시간과 스크류 이송에 의한 기계부속에 잔여물로 끼인 수분함량이 많은 곡물의 변패가 확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장시간의 건조를 하면서 구조적인 사일로방식의 건조로는 곡물의 기능성 영양소와 고유의 기능성 색소를 유지할 수 있는 한계를 극복할 수 없는 결점이 발생한다.
특히, 건조되기 전 호숙기에 수확한 곡물은 단시간에 호흡작용을 하면서 산패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므로, 이때에 곡물의 과도한 수분 함량과 곡물의 내영 과피에 함유된 휘틴산의 표면 방출로 인하여 끈적한 성분이 싸일로 건조기 내부의 부품 또는 구석구석에 산패된 곡물이 적체하고 있어 시간이 경과 하면서 전체 곡물에 변패의 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이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곡물량을 단시간에 신선도와 기능성를 보존하면서 건조하는 여러 층 컨베어벨트를 이용한 순환 연속식 건조기를 발명하게 되었다.
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2000-0040206호(2000. 07. 05. 공개) 문헌 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06627호(2000. 10. 02. 등록) 문헌 3.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32804호(2001. 05. 21.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0705710호(2007. 04. 03.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천연녹색을 가진 통곡물은 물론 기능성을 가진 유색미의 색소를 고스란히 함유된 통곡물(통맥류)로 만들어 내는 것과 대량생산 할 경우 경제성 및 제조과정의 친환경적 생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호숙기의 통곡물(whole grain)을 건조했을 때 녹색의 천연 식물 엽록소와 기능성의 유색미 엽록소가 알곡의 겨층에 고스란히 함유된 채로 변색이나 파손되지 않은 곡물을 단시간에 대량 건조하는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곡물의 경우 수확한 후 이송 건조과정에도 호흡 등 생명현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생명현상이 있을 때에는 수많은 효소(enzyme)가 작용하여 자가소화(autolysis), 변패(deterioration), 변색작용(discoloration) 등을 일으키는데, 단시간의 건조, 특히 녹색곡물의 엽록소 가수분해 효소의 활성을 정지시켜 변패 및 변색 작용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어 녹색 통곡물(전곡류)의 색상이나 품질을 결정 짓는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통곡물의 건조중 곡물의 크랙(파쇄 및 금가기) 방지를 위해 가볍고 통풍이 잘되는 폴리에틸렌(PE)을 소재로 한 여과포 섬유메쉬 콘베어벨트를 이용 대량 다단 층 연속 순환 건조방식을 채택하여 건조하는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블랜칭 후 과습 한 녹색곡물의 전용 연속식 여과포 섬유메쉬 콘베어벨트 채택으로 라인별 벨트에 곡물이 공급된 상부층에는 노즐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동일의 라인별 벨트 하단부에도 에어흡인 노즐을 다수 설치하여 강력한 풍력 이동으로 단시간에 건조하여 천연 식물엽록소 유지와 영양소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최적의 저온열풍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저온 건조 열풍과 더불어 초기의 과다 수분의 방출을 신속히 방출하는 제습기 기능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곡물별 기능성 영양유지와 변패 및 식물엽록소의 변질을 예방하기 위한 최종건조 적정수분 함유량 설정과 한계를 정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녹색을 가진 통곡물은 물론 기능성을 가진 유색미의 색소를 고스란히 함유된 통곡물로 만들어 내는 것과 대량생산 할 경우 경제성 및 제조과정의 친환경적 생산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호숙기의 통곡물을 건조했을 때 녹색의 천연 식물 엽록소와 기능성의 유색미 엽록소가 알곡의 겨층에 고스란히 함유된 채로 변색이나 파손되지 않은 곡물을 단시간에 대량 건조하여 건강에 매우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웰빙을 요구하는 소비자 니즈에 부합하는 고기능 미곡(녹색 전곡류)을 가공하는 과정의 핵심인 곡물건조기로서 식품 경쟁력 확보 및 이를 통한 농산물 수요 진작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녹색 통곡물 대량생산 기계화 시스템 구축으로 우리 농산물의 국제 경쟁력을 제공하고, 각종 녹색 통곡류의 생산 가공을 위해 특화된 곡물 건조 관련 기계의 생산 개발에 따른 산업군 확대 및 고용 창출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섬유 메쉬 콘베어와 노즐에 대한 요부 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의 버켓 엘리베이터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건조 시스템을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수확한 천연녹색을 가진 통곡물 또는 기능성을 가진 유색미의 색소를 고스란히 함유된 통곡물(통맥류)을 공급하여 다단으로 설치된 섬유 메쉬 콘베어(25)를 통과하면서 건조되도록 하는 건조라인(20)과;
상기 건조라인(20)의 가장 하측에서 모아 공급하여 가장 상측으로 이송한 후 소정의 두께로 공급되도록 하는 버켓 엘리베이터(30)와;
상기 건조라인(20)의 외부에 설치되어 소정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한 공기를 공급하여 건조하며, 내부에서 공기를 외부로 배출(흡입)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조장치(40)로 이루어진 건조기(10)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건조라인(20)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여러 단(층)으로 양쪽에 회전 로울러(22, 23)를 양쪽에 설치하여 섬유 메쉬 콘베어(25)가 연결되도록 하며, 회전 로울러(22)에는 회전기어(21)를 각각 설치하여 여러 단의 섬유 메쉬 콘베어(25) 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섬유 메쉬 콘베어(25)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설치하며, 한쪽 끝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상측에서 이송한 통곡물이 하측으로 자연낙하되어 반대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설치하여 연속해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한다.
상기 섬유 메쉬 콘베어(25)의 하측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콘베어 가이드(26)가 설치되어 통곡물의 중량에 하측으로 처짐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30)는 건조라인(20)의 한쪽 측면 중앙에 직립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건조라인(20)의 하측과 상측에 각각 로울러 또는 버켓 구동 스프라켓(31)을 설치하고, 상기 버켓 구동 스프라켓(31)의 어느 한쪽에 설치한 회전축(31b)에는 모터(31a)를 연결하여 동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버켓 구동 스프라켓(31)에는 버켓 연결밸트(32)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버켓 연결밸트(32)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버켓(33)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측에서 통곡물을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버켓 구동 스프라켓(31)의 상측에서 건조라인(20) 방향으로 공급호퍼(34)를 연결하여 통곡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공급호퍼(34)의 하측에는 투입호퍼(35)를 설치하며, 상기 투입호퍼(35)에는 배출조절 가이드(36)를 설치하여 통곡물을 최 상측의 섬유 메쉬 콘베어(25)에 소정의 두께로 공급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섬유 메쉬 콘베어(25)에 배출조절 가이드(36)를 통하여 공급하는 통곡물은 2.2∼2.7cm의 두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곡물의 두께를 2.2∼2.7cm의 두께가 되도록 하는 이유는 2.2cm 이하인 경우에는 에어 토출 노즐(47)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잘 통과되어 건조가 너무 급속하게 이루어져 불량발생의 확율을 높이는 원인이 되며, 2.7cm 이상의 두께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에어 토출 노즐(47)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섬유 메쉬 콘베어(25)를 통과하는데 장애가 되므로 정상적인 건조가 어렵게 된다.
상기 건조라인(20) 중 가장 하측에 설치한 섬유 메쉬 콘베어(25)의 우측면 하측에는 스크류 컨베이어(37)를 설치하여 섬유 메쉬 콘베어(25)에서 공급되는 통곡물을 중앙으로 모아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7)의 하측에는 안내호퍼(38)를 설치하여 배출하는 통곡물을 하측으로 공급하여 버켓(33)으로 상측에 공급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공조장치(40)는 건조라인(20)의 외측에 설치하는 건조기 본체(11)의 측면 일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43)를 설치하여 히터(42)에 연결하고, 상기 히터(42)는 터보팬(41)에 연결되어 공기를 강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급덕트(43)의 반대편 외측 건조기 본체(11)에는 흡입덕트(44)를 설치하고, 상기 흡입덕트(44)에는 흡입순환 덕트(45)를 연결하여 흡입된 공기를 터보팬(41)에 공급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급덕트(43)에는 섬유 메쉬 콘베어(25)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에어 토출 노즐(47)을 설치하여 공급하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섬유 메쉬 콘베어(25)의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에어 흡입 노즐(48)을 설치하여 공급된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덕트(44)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섬유 메쉬 콘베어와 노즐에 대한 요부 확대도를 나타낸 것으로, 건조라인(20)의 섬유 메쉬 콘베어(25)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이루어지며, 25∼35 메쉬의 크기로 이루어져 통곡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섬유 메쉬 콘베어(25)의 메쉬는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건조하는 곡물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 메쉬 콘베어(25)는 본 발명에서 8단으로 설치하였으며, 에어 토출 노즐(47)은 히터(42)에서 공급된 공기를 섬유 메쉬 콘베어(25)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배출하는 것이고, 에어 흡입 노즐(48)은 통곡물을 건조하고 온도가 낮아진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버켓 엘리베이터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버켓(33)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측에서 통곡물을 상측으로 공급하여 공급호퍼(34)에 배출하는 것이고, 버켓 엘리베이터(30)의 회전 속도와 버켓(33)의 크기에 따라서 공급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증숙된 대량의 호숙기에 수확한 녹색곡물인 통곡물을 일체형으로 연결하여 버켓 엘리베이터(30)의 하측 또는 투입호퍼(35)에 통곡물을 공급하여 건조하는 것이며,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부터 공급하는 동력으로 회전기어(21)가 연속해서 연결되어 8단으로 설치한 후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기어(21)에 연결한 회전 로울러(22)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한 회전 로울러(23)에 연결한 섬유 메쉬 콘베어(25)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통곡물은 블랜칭 라인에서 블랜칭 및 냉각과 냉풍터널을 통과하면서 수분함유량이 47∼53% 정도의 곡물로 투입호퍼(35)에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투입호퍼(35)에 공급된 통곡물은 배출 조절 가이드(36)를 통하여 건조라인(20)의 가장 상측에 설치한 섬유 메쉬 콘베어(25)에 2.5cm의 두께로 공급되며, 섬유 메쉬 콘베어(25)가 공급된 통곡물을 이송하게 된다.
통곡물이 섬유 메쉬 콘베어(25)를 통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공조장치(40)의 터보팬(41)은 외부의 공기를 공급받아 히터(42)에서 35∼50℃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한 건공기를 저온 열풍으로 공급덕트(43)에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공급덕트(43)에 공급된 저온 열풍은 에어 토출 노즐(47)을 통하여 섬유 메쉬 콘베어(25)의 상측에서 이동하는 통곡물의 상측에 공급하게 되며, 에어 토출 노즐(47)에서 배출된 저온 열풍은 통곡물과 섬유 메쉬 콘베어(25)를 통과하여 하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섬유 메쉬 콘베어(25)의 하측에 설치한 에어 흡입 노즐(48)은 통곡물을 건조하면서 온도가 저하된 저온 열풍을 흡입하여 흡입덕트(44)로 공급하는 것이며, 흡입덕트(44)는 흡입된 공기를 흡입 순환 덕트(45)에 의해 터보팬(41)으로 재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에어 토출 노즐(47)과 에어 흡입 노즐(48)은 설치하지 않고, 공급덕트(43)에서 건조라인(20)에 직접 공급하며, 흡입덕트(44)에서 흡입하여 흡입 순환 덕트(45)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섬유 메쉬 콘베어(25)는 통곡물을 소정의 두께로 공급받아 이송하는 과정에서 콘베어 체인(24)을 통하여 양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하측에 콘베어 가이드(26)가 설치되어 있어서 처짐이 방지되는 것이다.
섬유 메쉬 콘베어(25)에 공급된 통곡물은 한쪽 끝 부분에 공급되면 하측의 섬유 메쉬 콘베어(25)에 낙하되어 공급되는 과정을 통하여 8단의 섬유 메쉬 콘베어(25)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건조되는 것이다.
가장 하측의 섬유 메쉬 콘베어(25)에 공급되어 낙하된 통곡물은 스크류 컨베이어(37)에 공급되어 중앙으로 모여진 후 안내호퍼(38)로 공급되며, 안내호퍼(38)의 하측에 통곡물이 이동되면 회전하는 버켓(33)이 통곡물을 담아 버켓 엘리베이터(30)의 구조에 따라서 모터(31a)와 회전축(31b)의 구동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된 후 공급호퍼(34)에 배출하게 되면서 투입호퍼(35)로 공급되는 과정과 같이 연속 순환하면서 건조되는 것이다.
통곡물을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3∼15%가 되면 섬유 메쉬 콘베어(25)의 하측 한곳에 통곡물의 배출 가능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배출장치를 설치하여 외부로 배출하여 톤백에 담아 저온창고에 보관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수확단계
통곡물(녹색곡물 : 새찰보리)의 성장과정에서 영글기 전 호숙기에 수확하여 보관한다.
(2) 블랜칭 단계
수확한 통곡물을 블랜칭 및 냉각과 냉풍터널을 통과시켜 수분 50%를 함유하도록 공급한다.
(3) 통곡물 공급단계
블랜칭된 통곡물을 투입호퍼(35)에 자동으로 투입하고, 상기 투입호퍼(35)의 하측에 설치한 배출조절 가이드(36)를 통하여 건조라인(20)의 30메쉬 크기를 갖는 섬유 메쉬 콘베어(25)에 2.5cm의 두께로 골고루 펼쳐서 공급한다.
상기 통곡물을 투입호퍼(35)를 통하여 건조라인(20)에 1톤을 공급하는데 40분이 소요되었다.
이때 상기 투입시간 40분을 포함하여 90분을 상온풍으로 1차 제습 및 건조를 하기 위하여 이송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4) 건조단계
터보팬(41)을 구동시켜 히터(42)에서 제습을 통한 건공기의 온도를 45℃ 설정하여 건조라인(20)에 공급한다.
(5) 통곡물 순환단계
건조라인(20)에서 건조된 통곡물을 버켓 엘리베이터(30)에 의해 하측에서 상측의 투입호퍼(35)로 공급하여 연속해서 통곡물이 순환 공급되도록 한다.
(6) 보관단계
건조라인(20)과 버켓 엘리베이터(30) 및 공조장치(40)를 통하여 50%의 수분함유량을 6시간 동안 가동하여 14%의 수분함량을 함유하도록 건조하여 톤백에 담아 6℃의 저온창고에 보관하였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건조된 통곡물이 건조전 보리, 밀인 경우 1,000kg이 400kg으로 감량되어 40%의 수율을 확인하였으며, 녹색벼는 건조전 청태벼 1,000kg이 620kg으로 감량되어 62%의 수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공기는 제습기를 설치하여 건공기가 공급되도록 설치하여 싸일로의 건조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20시간을 건조해야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 6시간에 건조되어 획기적인 신선도유지 건조를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수분함량이 많은 호숙기에 수확한 곡물을 단시간에 다량 건조하기 위하여 여러 층의 연속 순환식 건조라인을 설치함으로써 곡물의 뒤집기와 공기의 순환을 통한 수분 증발을 촉진하고 외부의 건조공기를 공급하여 곡물의 특성에 따른 기능성분을 갖는 색소의 변색이 없이 신선함을 유지하는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건조기 11 : 건조기 본체
20 : 건조라인 21 : 회전기어
22, 23 : 회전 로울러 25 : 섬유 메쉬 콘베어
26 : 콘베어 가이드 30 : 버켓 엘리베이터
31 : 버켓 구동 스프라켓 32 : 버켓 연결밸트
33 : 버켓 34 : 공급호퍼
35 : 투입호퍼 36 : 배출 조절 가이드
37 : 스크류 컨베어 38 : 안내호퍼
40 : 공조장치 41 : 터보팬
42 : 히터 43 : 공급덕트
44 : 흡입덕트 45 : 흡입순환 덕트
47 : 에어 토출 노즐 48 : 에어 흡입 노즐

Claims (8)

  1. 공급된 곡물을 공급하는 건조라인을 다단계로 설치하여 연속 공급하고, 상기 건조라인의 일측으로 버켓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곡물을 순환 공급하는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통곡물을 소정의 높이로 공급하는 섬유 메쉬 콘베어(25)를 양쪽의 회전 로울러(22, 23)에 연결하며, 상기 회전 로울러(22)에 회전기어(21)를 연결하고, 상기 섬유 메쉬 콘베어(25)를 지그재그형태로 여러 단계 설치하는 건조라인(20)과;
    상기 건조라인(20)의 섬유 메쉬 콘베어(25) 가장 하측에서 공급되는 통곡물을 공급받는 스크류 컨베이어(37)의 하측에 설치한 안내호퍼(38)에서 통곡물을 공급하며, 상기 안내호퍼(38)의 하측과 상기 건조라인(20)의 상측에 설치한 버켓 구동 스프라켓(31)에 연결한 버켓 연결밸트(33)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버켓(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켓 구동 스프라켓(31)의 상측 전방에 공급호퍼(34)와 투입호퍼(35)를 설치한 버켓 엘리베이터(30)와;
    상기 건조라인(20)에 공기를 공급하며 터보팬(41)에 연결된 히터(42)와 공급덕트(43)를 설치하고, 상기 건조라인(20)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덕트(44)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입덕트(44)와 연결되어 터보팬(41)에 흡입공기를 공급하는 흡입 순환 덕트(45)로 이루어진 공조장치(4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건조라인(20)은 섬유 메쉬 콘베어(25)가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져 25∼35 메쉬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버켓 엘리베이터(30)는 스크류 컨베이어(37)가 통곡물을 중앙으로 모아 하측의 안내호퍼(38)를 통하여 버켓(33)에 공급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투입호퍼(35)는 상측으로 공급호퍼(34)와 연결되어 통곡물을 연속 순환시키고, 하측에 배출 조절 가이드(36)를 설치하여 섬유 메쉬 콘베어(25)에 2.3∼2.7cm의 두께로 통곡물을 공급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공조장치(40)는 공급덕트(43)와 연결되며 섬유 메쉬 콘베어(25)의 상측에 소정 간격으로 에어 토출 노즐(47)을 설치하고, 상기 섬유 메쉬 콘베어(25)의 하측에 소정 간격으로 에어 흡입 노즐(48)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6. 통곡물의 성장과정에서 영글기 전 호숙기에 수확하여 보관하는 수확단계;
    상기 수확한 통곡물을 블랜칭 및 냉각과 냉풍터널을 통과시켜 투입호퍼에 공급하는 블랜칭 단계;
    상기 블랜칭된 통곡물을 투입호퍼에 자동으로 투입하고, 상기 투입호퍼의 하측에 설치한 배출조절 가이드를 통하여 건조라인의 섬유 메쉬 콘베어에 공급하는 통곡물 공급단계;
    터보팬을 구동시켜 히터에서 제습을 통한 건공기를 건조라인에 공급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라인에서 건조된 통곡물을 버켓 엘리베이터에 의해 하측에서 상측의 투입호퍼로 공급하여 연속해서 통곡물이 순환 공급되도록 하는 통곡물 순환단계; 및
    상기 건조라인과 버켓 엘리베이터 및 공조장치로 건조하여 톤백에 담아 저온창고에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단계를 통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통곡물 공급단계는 폴리에틸렌으로 30메쉬 크기를 갖는 섬유 메쉬 콘베어에 2.5cm의 두께로 골고루 펼쳐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통곡물 순환단계 및 보관단계는 50%의 수분함유량을 갖는 통곡물을 6시간 동안 가동하여 14%의 수분함량을 함유하도록 건조하여 톤백에 담아 6℃의 저온창고에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방법.
KR1020110048280A 2011-05-23 2011-05-23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및 그 건조방법 KR101260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280A KR101260829B1 (ko) 2011-05-23 2011-05-23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및 그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280A KR101260829B1 (ko) 2011-05-23 2011-05-23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및 그 건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393A true KR20120130393A (ko) 2012-12-03
KR101260829B1 KR101260829B1 (ko) 2013-05-09

Family

ID=4751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280A KR101260829B1 (ko) 2011-05-23 2011-05-23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및 그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8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8901A (zh) * 2017-06-29 2017-10-20 王亚龙 谷物粮食颗粒多功能晾晒装置
KR102077997B1 (ko) * 2019-07-30 2020-02-17 대구농산 주식회사 곡물의 산패방지공정
CN115615160A (zh) * 2021-07-16 2023-01-17 河北皓凯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气吸有氧全覆盖干燥系统
CN116040914A (zh) * 2023-03-03 2023-05-02 福建龙净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污泥干燥机、污泥干燥系统和污泥干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965B1 (ko) * 2002-10-15 2005-11-22 주식회사 두콩양행 건조야채의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에 의한 건조야채 및 이를 혼합한 건조야채 혼합제품
KR100573405B1 (ko) * 2003-10-20 2006-04-25 임경수 이동순환식 고추건조장치
KR100624208B1 (ko) 2004-04-09 2006-09-20 김충엽 고추 건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8901A (zh) * 2017-06-29 2017-10-20 王亚龙 谷物粮食颗粒多功能晾晒装置
KR102077997B1 (ko) * 2019-07-30 2020-02-17 대구농산 주식회사 곡물의 산패방지공정
CN115615160A (zh) * 2021-07-16 2023-01-17 河北皓凯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气吸有氧全覆盖干燥系统
CN116040914A (zh) * 2023-03-03 2023-05-02 福建龙净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污泥干燥机、污泥干燥系统和污泥干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829B1 (ko)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43817B (zh) 一种茶叶萎凋处理设备
WO2019153609A1 (zh) 一种蜂花粉连续干燥装置及其干燥方法
KR101260829B1 (ko) 녹색 통곡물 가공을 위한 연속 순환식 건조시스템 및 그 건조방법
CN107192245A (zh) 自动连续式烘干机
CN106577999B (zh) 一种蔬菜干燥加工流水线
CN113632833B (zh) 一种基于石墨烯远红外加热的粮食循环干燥机及其干燥方法
CN107677106A (zh) 一种用于樱花树种子的烘干装置
CN214339835U (zh) 一种茶叶加工用萎凋设备
CN201029404Y (zh) 一种茶叶萎凋处理设备
CN207531872U (zh) 木耳清洗烘干装置
CN209995318U (zh) 一种果蔬烘干机
CN210580774U (zh) 一种双模式电热粮食烘干机
CN110608598A (zh) 一种玉米穗粒联动干燥生产线
CN214426312U (zh) 一种粮食烘干机
CN109222158B (zh) 一种核桃仁烘干设备
CN204811766U (zh) 卧式玉米果穗烘干机
CN207940230U (zh) 一种淡水鱼饲料投放装置
CN207763399U (zh) 一种可除杂的谷物干燥设备
CN114674130B (zh) 一种温度可控的高效粮食烘干机
CN220630929U (zh) 一种茶叶萎凋和贡菊烘干的两用设备
CN208520165U (zh) 一种混流循环立式烘干机
CN219390394U (zh) 一种食品包装用箬叶生产设备
CN220135978U (zh) 一种稻谷烘干机
CN213514770U (zh) 一种用于颗粒状谷物原料的干燥装置
CN115265159B (zh) 一种比重抛流连续式牧草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