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884A - 타일, 특히 카펫 타일 및 그런 타일들의 덮개 - Google Patents

타일, 특히 카펫 타일 및 그런 타일들의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884A
KR20200104884A KR1020207021276A KR20207021276A KR20200104884A KR 20200104884 A KR20200104884 A KR 20200104884A KR 1020207021276 A KR1020207021276 A KR 1020207021276A KR 20207021276 A KR20207021276 A KR 20207021276A KR 20200104884 A KR20200104884 A KR 20200104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layer
tiles
elastic layer
til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디 알버릭 부케
Original Assignee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filed Critical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Publication of KR2020010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8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7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 D06N7/0086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characterised by the cushion backing, e.g. foamed polyuretha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43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aminous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foamed layer or of cellular la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7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ixed directly to the wall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fibres or chips, e.g. bonded with synthetic resins, or with an outer layer of fibres or ch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33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fixed directly to an underlayer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e.g. bonded with synthetic re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materials
    • D06N2205/04Fo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02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acoustical properties
    • D06N2209/025Insulating, sound absorb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0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mechanical properties
    • D06N2209/106Roughness, anti-slip, abrasiven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6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other properties
    • D06N2209/1664Releasabil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06Building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06Building materials
    • D06N2211/066Floor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3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5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rotat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around an axis which i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possibly combined with a slid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04F2290/04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with a bottom layer for sound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79Particular backing structure or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 특히 카펫 타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바닥 타일, 벽체 타일 또는 천장 타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사용과도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본 발명에 따른 타일로 이루어진 타일 덮개와도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펫 타일로 이루어진 카펫 덮개와 관련되어 있다.

Description

타일, 특히 카펫 타일 및 그런 타일들의 덮개
본 발명은 타일, 특히 카펫 타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바닥 타일 또는 천장 타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사용과도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본 발명에 따른 타일로 이루어진 타일 덮개와도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펫 타일로 이루어진 카펫 덮개와 관련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카펫 타일은 그 높은 유연성 및 활용성으로 인해 왕래가 많은 구역에서 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카펫에서의 품질과 공통되게 최신 유행 및 실용성을 가지는 것이 고려된다. 카펫 타일은 왕래가 잦은 구역에서 주거 영역 및 상업 영역 모두에 대해 바닥재의 필요성에 적합할 수 있다. 카펫 타일은 다양한 사이즈와 스타일로 제공되며 까다로운 형상으로 된 바닥 공간을 덮는 데에 유용하다. 이것은 몇가지 장점들을 제공하지만, 고유의 단점들도 가지고 있다. 카펫 타일은 다양한 질감과 다양한 기초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 낮은 품질의 타일은 보통 고무 기반 지지체(backing)를 가지고 있다. 고무 기반의 물건을 구입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예컨대 타일 에지가 말려 올라가는 것과 같이 타일의 모양이 손상되는 것을 알아차리게 된다. 이것은 물이나 기타 세제로 타일을 청소할 때 일어날 수 있고, 카펫 타일을 망칠 기회가 많다. 게다가, 알려져 있는 타일은 흔히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부동식(floated) 바닥 덮개로서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그 지지면에 대해 타일의 원하지 않는 이동으로 이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된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극복하기 위한 향상된 타일, 특히 카펫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타일, 특히 카펫 타일로서: 그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파일 얀(pile yarn)들을 구비한 베이스, 바람직하게는 1차 카펫 베이스, 상기 베이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카펫 베이스에 부착된 지지 구조체로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타일의 하측 표면을 형성하는 탄성 레이어를 포함하고, 복수의 (표면) 석션 홀들이 적어도 상기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에 형성되어 타일이 지지면에 신속하게 부착되고 그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는 타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레이어는 이방성 소재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표면 석션 홀들은 적어도 상기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에 형성되는데, 이 표면 석션 홀들은 베이스로부터 멀어지게 바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베이스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폐쇄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표면 석션 홀들은 함께 공백 영역(공백 표면 영역)을 형성하는데, 여기서 상기 표면 석션 홀들 사이의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에서 소재가 소재 영역(중실 표면 영역)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공백 영역과 소재 영역 사이의 표면 영역 비율은 적어도 4,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이며, 이로써 타일이 지지면에 신속하고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지지면으로부터의 타일의 손쉬운 제거가 계속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특히 카펫 파일의 장점은, 신속히 해제되는 접착제 지지 구조체로 인해, 타일이 안정적이고 내구성 있는 방식으로 지지면에 신속히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타일이 아무런 잔여물도 남기지 않고 신속하고 손쉬운 방식으로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 특성들은 타일, 특히 카펫 타일에 우수한 크기 안정성, 우수한 평탄 특성, 및 손쉽게 타일을 바닥, 벽체 또는 천장과 같은 바람직하게는 비다공질이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지지면에 부착하고 지지면으로부터 분리하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에는 접착제가 제공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또는 기타 화학 접착제로부터 자유롭다.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의 접착 특성은 작은 석션 홀들(마이크로-홀, 조개 형상 공동 및/또는 석션 효과를 가지는 반구형 마이크로-공간)의 존재에 의해 초래된다. 설치 과정에서, 설치될 타일은 지지면에 대해 압박되는데, 이것은 석션 홀들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게 강제할 것이며, 석션 홀들의 둘레 에지들 및/또는 석션 홀들 사이에 놓인 하측 표면의 탄성 소재가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과 지지면 사이에 실질적으로 공기 밀봉 실(seal)을 생성한다. 설치된 타일에 가해지는 하방 힘을 제거하면, 진공(부압)이 석션 홀들 안에 생성될 것이며, 타일이 지지면을 향해 당겨지고 지지면에 대해 지지되도록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타일들이 말림에 대해 훨씬 덜 민감해질 것이고, 예컨대 설치 제거 과정에서 타일에 반대되는 당기는 힘을 가하는 것이 석션 힘을 초과할 때까지 지지면에 대해 안정되게 될 것이다. 화학 접착제(풀)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은 인라인(in-line) 제조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은 바람직하게는 카펫 타일인데, 여기서 파일 얀들이 많은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로 만들어질 수 있다. 많은 종류의 얀들이 다양하게 만들어지지만, 전형적으로 두 가지 주요한 타입의 얀들이 있다: 방적사와 필라멘트. 얀들은 나일론으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또는 이들의 혼합과 같은 다른 적절한 합성 얀들도 채택될 수 있다. 카펫 타일은 강성이거나 유연성일 수 있다. 베이스에 얀이나 섬유가 없다는 것도 이해될 수 있다.
탄성 레이어는 "뻣뻣함-접착(stiff-adhere), 부드러움-분리(soft-release)"의 원리를 보여주도록 디자인되는데, 이것은 다음과 같이 간단한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뻣뻣한 방향으로 당겨지면, 보다 적은 탄성 에너지가 소재 내에 저장될 수 있어서(뻣뻣한 스프링이 부드러운 스프링에 비해 더 적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지지면의 거칠기에 의해 초래된 임의적인 크랙형(crack-like) 흠들을 만들어 내기 위한 에너지 방출률이 낮은 것으로 귀결된다. 다른 한편, 부드러운 방향으로 당겨질 때, 특히 소재가 강한 이방성(anisotropic)일 때, 훨씬 큰 탄성 에너지가 소재 내에 저장될 수 있어서, 지지면 거칠기가 크랙형 흠들을 만들어 내기 위한 에너지 방출률이 훨씬 높은 것으로 귀결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의 실질적으로 전체에 석션 홀들이 제공된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지지면 상에 타일을 설지하는 과정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전반적인 석션 효과를 향상시키고 증대시킬 것이다. 석션 홀들의 크기가 균일할 수 있으며, 석션 홀들이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에 예컨대 스탬핑, 펀칭되고 및/또는 기계적으로 적용되지만, 석션 홀들의 크기는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 전체에 걸쳐 달라지는데, 이것은 예컨대 탄성 레이어가 탄성 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탄성 폼은 폐쇄된 셀들(공동들) 및/또는 개방된 셀들(공동들)을 가질 수 있다. 폼에는, 전형적으로 다양한 크기를 가진 셀들이 존재한다. 한 실시예에서 탄성 레이어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코폴리머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고무,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가소화된)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폼 소재로 만들어진다. 탄성 레이어는 옵션으로서 백악, 활석, 모래, 섬유, 목재, 미네랄, 및/또는 카본과 같은 충전제;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와 같은 발포제, 다이큐밀 과산화물과 같은 가교제, 산화 아연과 같은 발포제; 및/또는 착색제와 같은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탄성 레이어는 부드러움 및 유연성과 관련하여 고무 발포형 소재를 제공한다. 이 소재는 저온 인성, 내충격성, 방수 특성, 공기 밀봉 실링 특성, 및 압축 후 폼 회복성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많은 수의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석션 홀들이 5μm에서 약 1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0μm와 500μm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10μm와 300μm 사이에 놓인 직경을 가진다. 탄성 레이어의 밀도는 탄성 레이어의 두께를 따라 달라진다. 예컨대, 탄성 레이어의 밀도는 약 30 kg/m3에서 약 280 kg/m3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석션 홀들의 직경은 1μm와 450μm 사이, 특히2μm와 400μm 사이, 보다 특정적으로 4μm와 350μm 사이이다. 이런 분포는 표면 아래에서의 석션 또는 부착을 위해 적절한 형상으로 된 홀들을 가지고 타일들의 바닥 표면에 걸쳐 석션 홀들의 균등한 분포를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레이어는 0.1mm와 10mm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0.1mm와 5mm 사이에 놓인 두께를 가진다. 통상적으로, 이 레이어 두께는 타일 설치 과정에서 원하는 석션 효과를 실현하기에 충분한다. 탄성 레이어가 통상적으로 그 정도가 레이어 두께에 따라 달라지는 소음 흡수 효과도 보이기 때문에, 보다 얇은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진 탄성 레이어를 적용하는 것이 선호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레이어의 두께는 홀들의 가장 큰 직경 또는 반경보다 더 커서, 홀들의 내부 표면들이 탄성 레이어의 소재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보장한다.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에는 타일의 석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런트 또는 불침투성 코팅으로도 불리는 실링 코팅, 바람직하게는 공기 밀봉 실링 코팅이 제공된다. 실링 소재는 석션 홀들과 지지면 사이에 실질적으로 공기 밀봉 실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실링 소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링 소재는 폴리우레탄('PU')을 포함한다.
사용 전에, 특히 운반 및 보관 도중에 석션 홀들을 보호하기 위해, 제거 가능한 보호 필름이 처음에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보호 필름은 흔히 종이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벗겨내기 라이너(peel-off liner)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지지 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1차 카펫 베이스 상에 배치된 프리코트 레이어 및 프리코트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무용제식인 핫 멜트 접착 레이어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구조체는 술 장식된 얀(tufted yarn), 1차 지지체(얀 캐리어 레이어로서 작용하는), 및 적어도 3개의 폴리머 함유 레이어들, 즉 프리코트 레이어와 적어도 2개의 무용제식 레이어들을 포함한다. 프리코트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0중량%(wt%)의 점착성 레진을 포함하는 핫 멜트 접착제(HMA)로 만들어진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프리코트 레이어는 약 2wt%에서 약 80wt%의 폴리에틸렌 및 약 20wt%에서 약 98wt%의 점착성 레진을 함유할 수 있다. 점착성 레진 그 자체는 예컨대 약 15wt%까지의 오일, 왁스 및 산화 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코트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약 121°C 와 약 221°C 사이의 온도에서 약 50센티포아즈(cps) 와 약 50,000 cps 사이의 점성을 가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리코트 레이어는 약 166°C와 약 218°C 사이의 온도에서 약 100 cps와 약 35,000 cps 사이의 점성,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77°C 에서 500 cps의 점성을 가진다. 프리코트 레이어는 롤 코팅되거나, 압출되거나, 또는 통상적인 슬롯 코터를 이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제1 압출 폴리머 레이어와 제2 압출 폴리머 레이어는 무용제식 HMA 혼성물로 만들어진다. HMA 혼성물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EVA),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코폴리머(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코폴리머(SBS),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EEA), 초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역청, 및 이들 중 임의의 것의 혼합물(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EPDM의 혼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EVA가 선호된다. 압출된 폴리머 레이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드는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EVA는 단독으로 사용하기에는 상대적으로 비싸며, 따라서 충전제와 같이 상대적으로 값싼 증량제와 높은 수준으로 혼합함으로써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약 60wt% 만큼의 충전제가 경제적으로 실행 가능한 구성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충전제가 점성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적절한 폴리머 레이어로서 기능하도록 유동성과 기계적인 특성들이 적절히 조화된 충전된 HMA 혼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은, '핫 멜트 접착제' 또는 'HMA' 혼성물이라는 일반적인 용어로 여기서 참조되는 것이 때로는 (다양한 범위에서의) 충전된 HMA 및 미충전 HMA를 포함할 것이며, 예컨대 점성, 온도 등과 같은 그런 혼성물의 상세에 대해 개시된 범위가 상이한 충전/미충전 HMA 혼성물에 대해 달라질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미충전되어 있다면, EVA 혼성물로 된 제1 압출 폴리머 레이어와 제2 압출 폴리머 레이어는 약 60wt%에서 약 98wt%의 폴리에틸렌과 약 2wt%에서 약 40wt%의 폴리(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할 것이다. 이 코폴리머는 코폴리머의 각 성분의 상대적인 양에 따라 약 60°C에서 약 232°C의 녹는점을 가질 것이다. 미충전 EVA 핫 멜트 접착제는 또한 약 199°C와 약 221°C 사이의 온도에서 약 250,000 cps와 약 1,500,000 cps 사이의 점성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10°C에서 약 402,000 cps 의 점성을 가진다.
제1 압출 폴리머 레이어와 제2 압출 폴리머 레이어도 충전될 수 있다. 충전제로의 폴리머(예컨대 EVA)의 혼합은 명목상 약 60wt%의 충전제에 대해 약 40wt%의 폴리머이다. 그러나, 이 범위는 충전제가 혼합물의 나머지 부분을 차지하면서 약 10wt%의 폴리머에서 약 95wt%의 폴리머로 바뀔 수 있다.
카펫 타일은 또한, 크기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제1 압출 폴리머 레이어와 제2 압출 폴리머 레이어 사이에 놓인 스크림(scrim)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림은 직물 레이어 또는 부직포 레이어일 수 있다. 스크림은 전형적으로 파이버 글래스, 나일론,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다. 카펫 타일은 또한, 카펫 타일에 적절한 쿠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제2 압출 폴리머 레이어의 저면에 부착된 쿠션 지지체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베이스의 쿠션 지지체를 대신하여, 지지 구조체의 탄성 레이어가 (카펫) 타일에 원하는 쿠션 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끝으로, 카펫 타일은 얼룩 차단제, 방오 가공제, 정전기 방지제, 항균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이 술 장식된 면의 얀에 적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국부적 화학제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카펫 베이스는 전형적으로 1차 지지 시트에 고정된 섬유질 표면 마모면을 포함하는데, 1차 지지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섬유질 지지면을 구비한다. 위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지지 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1차 지지 시트의 하측 표면 상에서 1차 지지 시트에 섬유질 지지면을 고정하는 것을 돕는 핫 멜트 접착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코트 레이어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핫 멜트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역청, 석유 수지 혼성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한다. 1차 카펫 베이스는 카펫 타일에 크기 안정성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리코트 레이어에 고정된 2차 지지 시트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지지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시트, 직물 시트, 부직포 폴리에스터 시트, 폴리프로필렌 시트, 글래스 파이버 스크림 또는 티슈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코트 레이어는 약 1 중량%에서 15 중량%의 에틸렌 비닐 에스터 또는 에틸렌 에스터 아크릴레이트 폴리머를 함유하는 역청 핫 멜트 혼성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코트 레이어는 약 1 중량%에서 10 중량%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머를 함유하는 핫 멜트 역청 혼성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코트 레이어는 약 1 중량%에서 20 중량%의 고무질 열가소성 폴리머 소재, 바람직하게는 고무질 열가소성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핫 멜트 역청 혼성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체는 베이스와 탄성 레이어 사이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 바람직하게는 기판 레이어를 포함한다. 중간 레이어는 강성이거나 유연성일 수 있다. 중간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목재, 특히 MDF 또는 HDF; 폴리머, 특히 PVC, PE, PP 또는 PU; 미네랄, 글래스, 특히 파이버 글래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소재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한다. 중간 레이어에는 또한 패널을 강화하기 위해 글래스 파이버 레이어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강 레이어들이 제공될 수 있다. 타일은 예컨대 길쭉할 수 있으며, 10 cm와 100 cm 사이의 폭과 50 cm에서 250 cm의 길이를 가진다. 중간 레이어의 적어도 일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우레탄(PU), 폴리젖산(PLA),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PBS), 폴리에스터, 바람직하게는 퇴비화 가능 폴리에스터,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는 - 상대적으로 환경 친화적인 - 소재로 만들어진다. 중간 레이어는 파티클, 먼지 및/또는 섬유와 같은 미네랄 충전제와 같은 충전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일, 특히 중간 레이어는 패널이 더 유연해지도록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널의 중간 레이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목재 섬유 코어, 예컨대 재생 목재 섬유 코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중간 레이어는 재생 플라스틱과 재생 충전제, 특히 재생 목재 섬유 또는 기타 재생 섬유의 파티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레이어의 두게는 적어도 3밀리미터이다. 중간 레이어의 최대 두께는 정해진 바 없으나, 이 중간 레이어의 레이어 두께는 전형적으로 3에서 10 밀리미터 사이, 보다 특정적으로는 3에서 8밀리미터까지 바뀐다. 중간 레이어는 기판 레이어로서 또는 타일의 코어 레이어로서 고려될 수도 있다.
타일은 적어도 한 쌍의 반대되는 타일 에지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쌍의 반대되는 타일 에지들에는 한 쌍의 상호 보완적인 결합 부분들이 제공되어서 복수의 이런 타일들이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호 보완적인 결합 부분들은 적어도 2개의 타일들을 결합하도록 구성되어서, 타일의 평면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의 타일들의 잠금과, 패널의 평면에 평행한 제2 방향으로의 타일들의 잠금이 실현된다. 적어도 한 쌍의 상호 보완적인 결합 부분들이 기울임 움직임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및/또는 적어도 한 쌍(동일하거나 다른 한 쌍)의 상호 보완적인 결합 부분들이 접는 식(fold-down) 움직임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타일 에지에는, 바람직하게는 반대되는 타일 에지들에 상호 보완적인 결합 부분들이 제공되도록, 결합 부분들이 제공된다.
결합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중간 레이어와 일체인 부분을 만들거나 및/또는 중간 레이어에 부착되는데, 특히 이것은 중간 레이어가 결합 부분들의 윤곽을 만들고 및/또는 부착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레이어이기 때문이다.
제1 결합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방 텅, 상방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놓인 상방 플랭크, 및 상방 텅과 상방 플랭크 사이의 상방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결합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하방 텅, 하방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놓인 하방 플랭크, 및 하방 텅과 하방 플랭크 사이의 하방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는데, 하방 텅은 연결을 위해 상방 그루브로 압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방 텅과 하방 그루브를 가진 결합 부분들의 이런 배치는 후크형 결합 시스템으로도 불린다. 이런 시스템은 특히 밀어넣기(push-in) 잠금 동작에서 유용하다. 제1 결합 부분의 상방 그루브는 전반적으로, 인접한 패널의 제2 결합 부분의 하방 텅의 적어도 일부를 잠금 방식으로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되도록 하는 형태가 주어질 것이다. 따라서 한 패널의 하방 텅을 인접한 패널의 상방 그루브로 구속하는 것에 의해, 그리고 인접한 패널의 상방 텅을 해당 패널의 상방 그루브로 구속하는 것에 의해 제1 잠금이 형성될 것이다.
코어를 향해 바라보는 상방 텅의 한 측면은 코어 또는 상방 그루브를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코어를 향해 바라보는 하방 텅의 한 측면은 코어 또는 하방 그루브를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잠금 부분들이 상기 기울어진 부분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텅들의 상기 측면들과 패널의 평면은 90도와 10도 사이의 각도를 이룬다. 각각의 그루브들을 향한 텅들의 측면들의 이 기울어짐은 소위 폐쇄된 그루브들의 형성으로 귀결된다. 폐쇄된 그루브는 그루브의 최소 폭이 텅의 최대 폭보다 더 작다는 것을 의미하며, 텅을 그루브로 밀어넣기 위해 결합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변형이 발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뜻한다.
결합 부분들에는 특정한 형태가 주어지기 때문에, 인접한 패널들의 실질적으로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된 결합 부분들은 상대적으로 간단하지만 내구성 있고 효율적으로 서로에 대해 결합될 수 있다. 인접한 패널들의 결합 과정에서, 힘이 하나 또는 두 결합 파트들에 가해질 것인데, 이에 의해 하나 또는 두 결합 부분들이 탄성적으로 변형될(탄력 있게 움직일) 것이며, 그 결과 하방 그루브 및/또는 상방 그루브에 의해 취해지는 체적이 증대되어서 상방 텅과 하방 텅이 하방 그루브와 상방 그루브에 각각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강제된 결합 부분들이 원래의 위치로 탄성적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신뢰성 있고 잠긴 결합이 두 결합 부분들 사이에서, 따라서 두 결합 패널들 사이에서 실현될 것이다. 두 결합 부분들이 각각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상호 맞물리는 이 잠긴 결합은 이 결합 부분들의 서로에 대한 마찰에 대응할 것이며, 이로써 전반적으로 이 결합은 상대적으로 거의 소음을 만들지 않을 것이다.
기울어진 측면들과 패널의 평면 사이의 90도와 10도 사이의 각도는 결합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의 폐쇄된 그루브를 형성한다. 정확히 90도인 각도는 개방된 그루브 시스템으로 귀결될 것이므로 적어도 이 실시예에서는 의도된 범위의 일부가 아니다.
상방 플랭크로부터 멀어지게 바라보는 상방 텅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예컨대 바깥을 향한 돌출부 또는 리세스의 형태로 된 제1 잠금 요소로서, 예컨대 인접한 패널의 리세스 또는 바깥을 향한 돌출부의 형태로 된 제2 잠금 요소와 협력하기에 적합하게 된 제1 잠금 요소가 제공될 수 있고; 하방 플랭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예컨대 리세스 또는 바깥을 향한 돌출부의 형태로 된 제2 잠금 요소로서, 예컨대 인접한 패널의 바깥을 향한 돌출부 또는 리세스의 형태로 된 제1 잠금 요소와 협력하기에 적합하게 된 제2 잠금 요소가 제공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상방 플랭크로부터 멀어지게 바라보는 상방 텅의 측면은 상방 텅의 외부로서 고려될 수도 있으며, 그 기울어진 측면과 반대되는 상방 텅의 측면일 수 있다. 잠금 요소들은 두 패널들을 결합되고 잠긴 상태로 잠그기 위해 협력하며, 따라서 강하고 내구성 있는 잠금에 기여한다. 패널의 잠금 부분들은 따라서 이 제1 및 제2 잠금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분들의 잠금 부분들, 이 예에서 제1 및 제2 잠금 요소들은 모든 결합 부분들에 제공될 수 있지만, 결합 부분들 중 선택된 것들에만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부분들 중 하나와 제2 결합 부분들 중 하나에는 이 잠금 부분들이 제공될 수 있지만, 나머지 결합 부분들은 잠금에 기여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결합 부분들 중 2개와 제2 결합 부분들 중 2개에 이 잠금 부분들이 제공될 수 있거나, 모든 결합 부분들에 이 잠금 부분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방 텅의 상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패널의 평면에 비해 기울어져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방 텅의 상측면 전체가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하방 그루브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 역시 패널의 평면에 비해 기울어져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방 그루브의 바닥면 전체가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상방 텅의 두께가 상방 플랭크로부터 멀어지게 바라보는 텅의 측면의 방향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가진다. 하방 그루브의 상측면이 코어의 하측면의 법선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 발명에 따른 두 패널들이 결합된 위치에서, 하방 그루브를 상방 텅의 상측면에 실질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제2 결합 부분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것은 한편으로는 상대적으로 강하고 중실이며, 다른 한편으로 결합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탄성이 인접한 바닥 패널의 제1 결합 부분에 실현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 기울어짐은 달라지는 두께를 가진 결합 부분을 형성하며, 여기서 결합 부분들의 일부는 최소 두께, 즉 가장 얇은 영역을 가질 것이다. 이 영역은 탄성 변형되기 가장 쉬워서, 결합하는 동안 변형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결합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의 잠금을 제공하도록 잠금 부분과 협력하기에 적합하게 된 별도의 잠금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별도의 잠금 요소는 예컨대 EP1415056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별도의 잠금 요소들, 또는 EP1415056에 언급된 바와 같은 스냅 탭(snap tab)에 관한 그 개시 사항과 관련하여 참조로서 통합되어 있다. 별도의 잠금 요소는 제1 및 제2 결합 부분들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두 패널들의 결합 과정에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변형되도록 배치된다.
결합된 상태에서, 상방 텅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측면과 하방 그루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하측 부분 사이에 간극이 존재할 수 있다. 상방 텅의 상측면과 하방 그루브의 하측 부분 사이의 간극의 존재는 상방 텅과 하방 그루브가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결과를 만든다. 대신, 텅들의 내부 및 외부가 접촉한다. 이 간극은 패널들의 결합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외부 소재가 모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간극은 또한 패널 소재가 예컨대 결합 과정에서 결합 부분들이 깎여 나갈 때, 패널 소재가 모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것은 예컨대 제조 공차로 인해 결합 부분들 중 하나가 활용 가능한 공간에 비해 약간 큰 크기로 될 때 일어날 수 있다.
제1 결합 부분과 제2 결합 부분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변형되고 및/또는 압축될 수 있는데, 이것은 이 결합 부분들에 의해 실현되는 잠금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호 결합된 결합 부분들은 통상적인 상태에서 (실질적인) 힘이 서로에 대해 가해지는 것 없이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 부분과 제2 결합 부분들은 결합된 상태에서 유격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0.2mm까지의 유격이 패널들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코어의 정상에서, 패널들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및/또는 종이로 만들어진 장식 레이어, 예컨대 장식 인쇄 레이어, 또는 코어 상에 직접 인쇄된 장식 프린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장식 레이어의 정상에는, 장식 레이어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 레이어가 존재할 수 있다. 코어의 바닥에는 균형 레이어 또는 (음향) 감쇄 레이어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식 레이어는 인쇄된 레이어, 바람직하게는 인쇄된 폴리머 시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쇄된 PVC 레이어이다. 장식 레이어의 정상에는 장식 레이어를 보호하고 보존하기 위해 투명 마모 레이어, 보호 레이어, 및/또는 래커 레이어(lacquer layer)가 존재할 수 있다.
장식 레이어는 예컨대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 종이는 인쇄된 멜라민 함침 종이, 예컨대 멜라민 수지 함침 셀롤로스 섬유로 구성된 장식 시트일 수 있다. 종이는 캐리어, 예컨대 HDF 보드 상에 직접 놓일 수 있다. 종이는 장식 파우더 믹스를 흩뿌린 것 위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식 파우더는 목질 섬유와 바인더 및 옵션으로 피그먼트 및/또는 내마모 파티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장식 파우더의 목질 섬유는 재생 목질 섬유와 같이 가공된 목질 섬유 또는 비가공된 목질 섬유일 수 있다.
장식 레이어는 예컨대 장식 파우더 믹스를 흩뿌린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식 파우더는 1목질 섬유와 바인더, 및 옵션으로 피그먼트 및/또는 내마모 파티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장식 파우더의 목질 섬유는 재생 목질 섬유들과 같이 가공된 목질 섬유 또는 비가공된 목질 섬유들일 수 있다. 장식 레이어는 예컨대 흩뿌려진 장식 파우더 믹스의 다중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식 레이어는 예컨대 목재 베니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목재 베니어는 장식 파우더 믹스를 흩뿌린 것 위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식 파우더는 목질 섬유와 바인더, 및 옵션으로 피그먼트 및/또는 내마모 파티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장식 파우더의 목질 섬유들은 재생 목질 섬유들과 같이 가공된 목질 섬유들 또는 비가공된 목질 섬유들일 수 있다.
장식 레이어는 예컨대 코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코르크는 캐리어, 예컨대 HDF 보드 상에 직접 놓일 수 있다. 코르크는 장식 파우더 믹스를 흩뿌린 것 위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식 파우더는 목질 섬유들과 바인더, 및 옵션으로 피그먼트 및/또는 내마모 파티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장식 파우더의 목질 섬유들은 재생 목질 섬유들과 같이 가공된 목질 섬유들 또는 비가공된 목질 섬유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은 전형적으로 다음의 형상들 중 하나를 가진다: 정사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타일은 또한 패널 또는 보드로서 고려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은 전형적으로 바닥 타일, 특히 바닥 패널, 벽체 타일, 특히 벽체 패널, 천장 타일, 특히 천장 패널, 기둥 타일, 및/또는 보 타일로서 사용된다. 타일은 또한 가구와 같은 물체를 오버레이로 덮는 데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은 평탄하고 및/또는 평탄하지 않은, 특히 기울어진 및/또는 곡면으로 된 기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일은 유연하거나 강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크기는 크게 달라질 수 있는데, 타일의 전형적인 폭과 길이는 40cm와 140cm 사이에 놓인다. 그러나, 매우 큰 타일들이 카펫 덮개로서 사용되며, 카펫 덮개는 단일한 타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바닥 타일, 특히 바닥 패널, 벽체 타일, 특히 벽체 패널 및/또는 천장 타일, 특히 천장 패널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사용과도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나아가서 복수의 본 발명에 따른 타일들로 이루어진 타일 덮개와도 관련되어 있는데, 이 타일들은 상호 결합되거나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펫 파일로 이루어진 카펫 덮개와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타일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이어지는 비한정적인 조항들에 설명되어 있다.
조항
1. 타일, 특히 카펫 타일로서,
- 그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파일 얀들을 구비한 베이스, 바람직하게는 1차 카펫 베이스,
- 상기 베이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카펫 베이스의 하측면에 부착된 지지 구조체로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타일의 하측면을 형성하는 탄성 레이어를 포함하고, 복수의 석션 홀들이 적어도 상기 탄성 레이어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타일이 지지면에 신속하게 부착되고 그로부터 제거되도록 해주는 지지 구조제
를 포함하는 타일.
2. 제1조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의 실질적으로 전체에 석션 홀들이 제공되는 타일.
3. 제1조 또는 제2조에 있어서, 석션 홀들의 크기는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 전체에 걸쳐 달라지는 타일.
4. 제1조 내지 제3조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는 폼 소재로 만들어진 타일.
5.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는 발포제를 포함하는 타일.
6.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되는 타일.
7.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타일.
8.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는 충전제, 특히 활석, 백악, 목재 및/또는 칼슘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타일.
9.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많은 수의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석션 홀들이 5μm에서 약 1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0μm와 500μm 사이에 놓인 직경을 가지는 타일.
10.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의 밀도는 탄성 레이어의 두께를 따라 달라지는 타일.
11.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는 0.1mm와 6mm 사이에 놓인 두께를 가지는 타일.
12.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석션 홀들 각각 및 바람직하게는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 전체에는 접착제가 없는 타일.
13.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은 실링 효과, 바람직하게는 공기 밀봉 실링 효과를 가지는 타일.
14.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에는 실링 코팅, 바람직하게는 공기 밀봉 실링 코팅이 제공되는 타일.
15.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사용 전의 초기에 제거 가능한 보호 필름이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타일.
16.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지지 구조체는 1차 카펫 베이스 상에 배치된 프리코트 레이어와, 프리코트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무용제식의 핫 멜트 접착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
17. 제16조에 있어서, 프리코트 레이어는 점착성 레진을 포함하는 타일.
18.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타일은 상기 1차 카펫 베이스를 상기 지지 구조체에 고정하는 열가소성 소재를 포함하되, 상기 열가소성 소재에는 바람직하게는 그 안에 내포된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재료가 제공되는 타일.
19.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1차 카펫 베이스는 1차 지지 시트에 고정된 섬유질 표면 마모면을 포함하되, 1차 지지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섬유질 뒷면을 구비하는 타일.
20. 제19조에 있어서, 지지 구조체는 1차 지지 시트의 하측 표면 상에서 1차 지지 시트에 섬유질 뒷면을 고정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 위해 핫 멜트 접착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코트 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핫 멜트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역청, 석유 수지 혼성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는 타일.
21. 제19조 또는 제20조에 있어서, 1차 카펫 베이스는 카펫 타일에 수치 안정성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리코트 레이어에 고정되는 2차 지지 시트를 포함하는 타일.
22. 제19조 내지 제21조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1차 지지 시트는 부직포 시트, 직물 시트, 부직포 폴리에스터 시트, 폴리프로필렌 시트, 글래스 파이버 스크림 또는 티슈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타일.
23. 제19조 내지 제22조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리코트 레이어는, 에틸렌 비닐 에스터 또는 에틸렌 에스터 아크릴레이트 폴리머의 1 중량%에서 15 중량%를 함유하는 역청 핫 멜트 합성물을 포함하는 타일.
24. 제19조 내지 제23조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리코트 레이어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머의 약 1 중량%에서 10 중량%를 포함하는 핫 멜트 역청 합성물을 포함하는 타일.
25. 제19조 내지 제24조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리코트 레이어는 고무질 열가소성 폴리머 소재, 바람직하게는 고무질 열가소성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의 약 1 중량%에서 20 중량%를 포함하는 핫 멜트 역청 합성물을 포함하는 타일.
26.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지지 구조체는, 베이스와 탄성 레이어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 바람직하게는 기판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
27. 제26조에 있어서, 중간 레이어는 강성이거나 유연성이고, 상기 중간 레이어는 목재, 특히 MDF 또는 HDF; 폴리머, 특히 PVC, PE, PP 또는 PU; 미네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소재들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는 타일.
28. 제26조 또는 제27조에 있어서, 중간 레이어의 두께는 적어도 3 밀리미터인 타일.
29.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타일은 적어도 한 쌍의 반대되는 타일 에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반대되는 에지들의 상기 쌍에는 한 쌍의 상호 보완적인 결합 부분들이 제공되어 복수의 그런 타일들이 연결되도록 해주는 타일.
30. 제29조에 있어서, 상호 보완적인 결합 부분들은 적어도 2개의 타일들을 결합하도록 구성되어서, 타일의 평면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의 타일들의 잠금 및 패널의 평면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의 타일들의 잠금이 구현되는 타일.
31. 제29조 또는 제30조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상호 보완적인 결합 부분들은 기울이는 움직임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 타일.
32. 제29조 내지 제31조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상호 보완적인 결합 부분들은 접는 식의 움직임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 타일.
33. 제29조 내지 제32조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각 타일 에지에는 결합 부분이 제공되어서, 바람직하게는 반대되는 타일 에지들에 상호 보완적인 결합 부분들이 제공되는 타일.
34. 제26조 내지 제28조 중 어느 한 조 및 제29조 내지 제33조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결합 부분들은 중간 레이어와 일체로 된 부분을 형성하고, 및/또는 중간 레이어에 부착되는 타일.
35.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베이스는 장식 레이어와 상기 장식 레이어를 덮는 투명한 마모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
36. 제35조에 있어서, 장식 레이어는 인쇄된 레이어, 바람직하게는 인쇄된 폴리머 시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쇄된 PVC 레이어인 타일.
37.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타일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타일.
38.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표면 석션 홀들은 실질적으로 반구형 형상인 타일.
39.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상기 표면 석션 홀들을 형성하는 탄성 레이어 소재에는 불침투성 코팅이 제공되는 타일.
40. 앞선 조들 중 어느 한 조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 소재는 복수의 상호 연결된 개방 셀들을 포함하는 타일.
41. 바닥 타일, 특히 바닥 패널; 벽체 타일, 특히 벽체 패널; 및/또는 천장 타일, 특히 천장 패널로서의 제1조 내지 제40조 중 어느 한 조에 따른 타일의 사용.
42. 복수의 제1조 내지 제40조 중 어느 한 조에 타일들로 이루어진 타일 덮개.
43. 제42조에 있어서, 타일들은 상호 결합되어 있는 타일 덮개.
44. 적어도 하나의 제1조 내지 제40조 중 어느 한 조에 카펫 타일로 이루어진 카펫 덮개.
본 발명의 다음의 도면들에 나타낸 비한정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가능성 있는 제1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가능성 있는 제2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가능성 있는 제3 실시예를 나내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3에서 단면 A-A로 표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단면 B-B로 표시된 단면도이다.
도 1은 베이스(102), 상기 베이스(102)의 하측면에 부착된 지지 구조체(103)를 포함하는 타일(10), 특히 카펫 타일(101)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베이스(102)는 그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파일 얀(pile yarn)(103)들을 구비한 1차 카펫 베이스(102)이다. 도시된 파일 얀(104)들은 루프 파일들(104)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파일 얀들(104)이 절단 파일들(cut piles), 꼬인 파일들(twisted piles) 또는 예컨대 평면 구성 또는 다층 구성으로 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파일 얀들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루프 파일들(104)은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또는 이들의 혼합과 같은 합성사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루프 파일들(104)은 1차 카펫 베이스(102)에서 술 장식(tuft)되어 있다. 1차 카펫 베이스(102)는 1차 지지 시트(backing sheet)(105)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예컨대 부직포 시트, 직조 시트, 부직포 폴리에스터 시트, 폴리프로필렌 시트, 글래스 파이버 스크림(glass fiber scrim) 또는 티슈 시트(tissue sheet)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베이스(102) 상의, 특히 1차 지지 시트(105) 상의 위치에서 술 장식을 접착하기 위해, 프리코트(pre-coat) 레이어(106)가 적용된다. 이 프리코트 레이어(106)는 예컨대 라텍스 레이어(106)일 수 있다. 이 프리코트 레이어(106)는 지지 구조체(103)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03)는 탄성 레이어(107)를 포함한다. 탄성 레이어(107)는 타일(101)의 하측 표면을 형성한다. 탄성 레이어(107)는 복수의 석션 홀(108)들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도면에서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석션 홀(108)들은 내부에 갇힌 공기 또는 가스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레이어(107)의 하측 표면에 제공된 석션 홀(108)은 표면 석션 홀들(108)로 지칭되며, 탄성 레이어(107)가 지지면(미도시)에 신속히 부착되고 그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 레이어(107) 전체에는 무작위 배열로 된 석션 홀들(108)이 제공되어 있다. 탄성 레이어(107)가 균일한 패턴을 형성하는 석션 홀들(108)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탄성 레이어(107)의 하측 표면에만 석션 홀들(108)이 제공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석션 홀들(108)의 크기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 레이어(107) 전체에 걸쳐 달라진다. 수많은 석션 홀들(108)의 직경은 예컨대 5 μm 에서 약 1mm 사이에 있다. 수많은 석션 홀들(108)의 직경은 예컨대 10 μm 와 500 μm 사이이다. 탄성 레이어(107)는 예컨대 0.1mm 와 6mm 사이에 잇는 두께를 가진다. 탄성 레이어(107)는 균일한 밀도를 가질 수 있지만, 탄성 레이어의 밀도는 탄성 레이어(107)의 두께를 따라 달라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 레이어(107)는 폼(foam) 소재로 만들어지거나 발포제를 포함한다. 탄성 레이어(107)의 하측 표면은 공기 밀봉 실링 효과를 가진다. 타일(101)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거 가능한 보호 필름(109)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탄성 레이어(107)의 하측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보호 필름(109)은 예컨대 벗겨내기(peel-off) 레이어(109)이며, 타일의 사용 전에 또는 사용 중에 제거되어서 석션 홀들(108)이 드러난다. 지지 구조체(103)는 접착 레이어(110)을 더 포함한다. 접착 레이어(110)는 프리코트 레이어(106) 상에 배치된, 예컨대 무용제식(solventless)의 핫 멜트 접착 레이어(110)이다. 이런 핫 멜트 접착제(110)는 바람직하게는 역청(bitumen), 석유 수지 혼성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석션 홀들(의 빈 표면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공백 영역과 탄성 레이어(107)의 하측 표면에서 (비어있지 않은) 소재 부분 사이의 표면적 비율은 적어도 4,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이며 이로써 타일이 지지면에 신속하고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타일의 손쉬운 제거도 계속하여 유지된다.
도 2는 그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파일 얀들(204)을 구비한 베이스(202), 즉 1차 카펫 베이스(202)를 포함하는 타일(201), 특히 카펫 타일(201)을 도시하고 있다. 카펫 타일(201)은 상기 1차 카펫 베이스(202)의 하측면에 부착된 지지 구조체(203)를 더 포함한다. 지지 구조체(203)는 타일(201)의 하측 표면을 형성하는 탄성 레이어(207)를 포함하는데, 복수의 석션 홀들(208)이 형성되어 타일이 지지면(미도시)에 신속하게 부착되고 그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석션 홀들(208)은 무작위로 배치되어 있으며, 석션 홀들(208)의 크기는 탄성 레이어(207)의 하측 표면 전체에 걸쳐 달라진다. 탄성 레이어(207)는 폼 소재로 만들어지고, 발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레이어(207)가 구성될 수 있는 소재의 비한정적인 예들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탄성 레이어(207)는 활석, 백악, 목재 및/또는 칼슘 카보네이트와 같은 충전제 및/또는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석션 홀들(208)은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도시된 파일 얀들(204)은 절단 파일 얀들(204)로 이루어진다. 절단 파일 얀들(204)은 예컨대 1차 지지 시트(205)에 라미네이팅된 PVC 또는 핫 멜트 접착제(206)로 구현된 나일론 또는 기타 적절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1차 지지 시트는 보강 레이어(205)로도 지칭될 수 있다. 1차 지지 시트(205)는 예컨대 직조 소재 또는 부직포 소재를 포함한다. 핫 멜트 접착제(206)는 예컨대 역청 및/또는 석유 수지 혼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카펫 베이스(202)는 1차 지지 시트(205)에 고정된 섬유질 표면 마모면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1차 지지 시트(205)는 바람직하게는 섬유질 뒷면을 가진다. 지지 구조체(203)는 베이스(202)와 탄성 레이어(203) 사이에 놓인 중간 레이어(211)를 더 포함한다. 중간 레이어(211)는 강성이거나 유연성이며, 목재, 특히 MDF나 HDF, 폴리머, 특히 PVC, PE, PP 또는 PU, 미네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소재들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한다. 타일(201)은 또한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보호 레이어(미도시)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301), 특히 패널(301), 보다 특정적으로는 바닥 패널(301) 또는 벽체 패널(301)을 도시하고 있다. 타일(301)은 바닥 덮개를 형성하기 위해 유사한 타일들(301)과 상호 연결 가능하다. 타일(301)은 베이스(302)와, 상기 베이스(302)의 하측면에 부착된 지지 구조체(303)를 포함한다. 지지 구조체(303)는 타일(301)의 하측 표면을 형성하는 탄성 레이어(307)를 포함하는데, 복수의 석션 홀들(308)이 상기 탄성 레이어(307)에 형성되어서 타일(301)이 지지면(미도시)에 신속하게 부착되고 그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타일(301) 및 특히 지지 구조체(303)는 베이스(302)와 탄성 레이어(303) 사이에 놓인 중간 레이어(311), 바람직하게는 기판 레이어(311)를 포함한다. 중간 레이어(311)는 강성이거나 유연성이며, 목재, 특히 MDF나 HDF, 폴리머, 특히 PVC, PE, PP 또는 PU, 미네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소재들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중간 레이어(311)의 두께는 예컨대 적어도 3밀리미터이다. 베이스(302)는 베이스 레이어 상에 인쇄될 수 있는 장식 레이어를 포함하는 정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정상에는 보호 레이어가 적용될 수 있다. 베이스(302)는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그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파일 얀들을 구비한 1차 카펫 베이스일 수 있다. 중간 레이어(311)는 상측면(313)과 하측면(314)이 제공된 중앙에 위치된 코어(312)를 포함한다. 코어(312)는 타일(301)의 긴 측면들에 위치된 제1 쌍의 반대되는 에지들, 특히 제1 에지(315) 및 상보적인 제2 에지(316)와 일체로 연결된다. 코어(312)는 또한 타일(301)의 짧은 측면들에 위치된 제2 쌍의 반대되는 에지들, 특히 제3 에지(317) 및 상보적인 제4 에지(318)와 일체로 연결된다. 도 3에 나타낸 중간 레이어(311)의 존재의 장점은 인접한 타일들(301)의 상호 잠금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타일(301)의 평면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의 인접한 타일들(301)의 잠금 및 타일(301)의 평면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의 타일들(301)의 잠금이 이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타일들(301)의 말림이나 모양이 손상되는 변화가 감소된다. 도시된 타일(301)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타일(301)이 정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형상을 포함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타일(301)은 벗겨내기 레이어(미도시)와 같은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타일(301)의 사용 전에 또는 사용 중에 제거되어 석션 홀들(308)이 드러나도록 할 수 있다. 이런 보호 필름의 한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단면 A-A에 의해 표시된 단면도이다. 이 단면에서, 상호보완적인 제1 에지(315)와 제2 에지(316)의 형태가 상세히 나타내어져 있다. 제1 에지(315)는 코어(312)에 일체로 연결된 측방향 텅(tongue)(329)를 포함한다. 수직 점선에 의해 측방향 텅(329)와 코어(312) 사이의 경계가 시각화되어 있다. 측방향 텅(329)의 전방 영역(329A)에는 둥근 바닥면(320)이 제공된다. 둥근 바닥면(320)의 외측 단부는 경사 잠금면(321)과 접한다. 둥근 바닥면(320)의 반대편 단부는 측방향 텅(329)의 후방 영역(329B)의 일부를 만드는 지지면(322)과 접한다. 중간 레이어(311)의 제2 에지(316)는 리세스(325)를 형성하는 상측 립(323)과 하측 립(324)를 포함한다. 두 립들(323, 324)은 코어(312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수직 점선에 의해 립들(323, 324)과 코어(312) 사이의 경계가 시각화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립(323)의 폭은 실질적으로 하측 립(324)의 폭보다 더 작다. 리세스(325)는 측방향 텅(329)의 형상과 상호보완적인 형상을 가진다. 보다 특정적으로, 하측 립(324)의 후방 영역(324a)의 정상면(326)은 측방향 텅(329)의 둥근 전방 영역(329a)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상호 보완적인) 둥근 형상을 가지는 한편, 하측 립(324)의 전방 영역(324b)에는 측방향 텅(329)의 지지면(322)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상측으로 돌출된 숄더(327)이 제공된다. 상측 립(323)의 하측 표면(328)은 경사져 있으며, 측방향 텅(329)의 잠금면(321)에 대응한다. 결합될 타일(301)로서 초기에 경사진 위치에서 지지되는 타일의 측방향 텅(329)을 인접한 타일들(301)의 제1 에지(315) 및 제2 에지(316)에서 리세스(325)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잠그는 것. 리세스로 측방향 텅(329)을 삽입한 이후에, 결합될 타일(301)은 제1 에지(315)에 평행한 축 둘레로 하측 방향으로, 두 타일들(301) 모두가 동일한 - 통상적으로 수평한 - 평면 내에 위치될 때까지 피벗될(기울여질) 것인데, 여기서 측방향 텅(329)의 잠금면(321)은 상측 립(328)의 잠금면과 맞물릴 것이고, 적어도 바닥 전방 부분은 리세스(325)에 실질적으로 형상-끼워맞춤식으로 수용되며, 지지면(322)은 숄더(327)에 의해 지지된다. 제1 에지(315)와 제2 에지(316)에서 잠그는 것은, 연결된 타일들(301)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모두로 잠그는 것으로 귀결된다. 제1 및 제2 에지들(315, 316)을 하방으로 기울이는 잠금 원리는 이 에지들(315, 316)에서 타일들의 상호 결합을 크게 용이하게 해주는 상대적으로 손쉬운 잠금 원리이다.
도 5는 도 3의 단면 B-B로 표시된 단면도이다. 이 단면에서, 상호 보완적인 제3 에지(317)와 제2 에지(318)의 형상이 상세히 나타내어져 있다. 제3 에지(317)는 상방 텅(339), 상방 플랭크(upward flank)(330) 및 상방 텅(339)과 상방 플랭크(330) 사이에 형성된 상방 그루브(331)를 포함한다. 상방 텅(339)은 브리지(332)에 의해 코어(312)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 브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 탄성적이다. 상방 플랭크(330)를 향해 바라보는 상방 텅(339)의 한 측면(339a)은 코어(312)의 상측면(313)의 법선(N1)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접선(R1)과 코어(312)의 상측면(313)의 법선(N1)은 따라서 서로를 향해 지향되는데(수렴하는 배향), 여기서 R1과 N1에 의해 둘러싸이는 각도는 이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0도와 10도 사이이다. 상방 플랭크(330)와 상방 플랭크(330)를 향해 바라보는 상방 텅(339)의 측면(339a)의 수렴하는 배향으로 인해, 상방 그루브는 폐쇄된 그루브인데, 이것은 상방 텅(339) 및/또는 브리지(332)의 변형에 의해 상호 보완적인 카운터파트로만 접근할 수 있다. 상방 플랭크(330)를 향해 바라보는 상방 텅(339)의 다른 측면(339b)은 인접한 타일(301)로의 결합의 용이한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정렬 에지를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에지로서 기능하는 이 측면(339b)은 코어(312)의 상측면(313)의 법선(N1)으로부터 멀어지게 지향된다. 그러나 상방 텅(339)의 상측면(339d)은 코어(312)의 상측면(313)의 법선(N1)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방 플랭크(330)로부터 멀어지게 바라보는 상방 텅(339)의 측면(339e)의 방향으로 하방으로 기울어져 이어진다. 이 챔퍼링(chamfering)은 상호 보완적인 제4 에지(318)에게 보다 견고하고 따라서 더 강한 형태를 부여하는 옵션을 제공한다. 상방 플랭크(330)로부터 멀어지게 바라보는 상방 텅(339)의 측면(339e)의 일부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되며 이에 더하여 외측 돌출부(333)가 제공되어 있다. 상방 플랭크(330)의 하측 부분(330a)은 비스듬하게 배향되는 한편, 상방 플랭크(330)의 상측 부분(330b)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나타내어지고 제4 에지(318)에 대한 정지면을 형성한다. 상방 플랭크의 비스듬한 부분(330a)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부분(330b) 사이에서, 추가적인 결합 요소, 특히 추가적인 돌출부(334)가 제공된다. 상방 그루브(331)의 하측 벽체 부분(331a)은 이 예시적인 예에서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향된다. 제4 에지(318)는 제3 에지(317)에 실질적으로 상호 보완적이다. 제4 에지(318)는 하방 텅(345), 하방 플랭크(346) 및 하방 텅(345)과 하방 플랭크(346) 사이에 형성된 하방 그루브(347)를 포함한다. 하방 텅(345)는 브리지(348)에 의해 코어(312)에 연결되는데, 이 브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 탄성적이다. 하방 플랭크(346)를 향해 바라보는 하방 텅(345)의 측면(345a)은 코어(312)의 하측면(413)의 법선(N2)의 방향으로 놓여 있다. 이것은 하방 텅(345)의 측면(345a)의 접선(R2)과 코어(312)의 하측면(314)의 법선이 상호 수렴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R2와 N2에 의해 둘러싸이는 각도는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0도와 10도 사이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1의 기울기는 R2의 기울기와 동일하다. 따라서 R1과 R2는 바람직하게는 평행하다. 하방 플랭크(346) 및 하방 플랭크(346)을 향해 바라보는 하방 텅(345)의 측면(345a)의 수렴하는 배향으로 인해, 하방 그루브(347)는 폐쇄된 그루브인데, 이것은 그 결과로서 하방 그루브의 입구가 (일시적으로) 확장될 수 있는 하방 텅(345) 및/또는 브리지(348)의 변형에 의해 인접하는 타일(301)의 상방 텅(339)에 대해서만 접근 가능하다. 하방 플랭크(346)로부터 멀어지게 바라보는 하방 텅(345)의 측면(345b)는 비스듬하게 배향되지만, 상방 플랭크(330)의 상호 보완적인 측면(330a)보다는 더 평평한 배향을 가지는데, 이에 의해 간극(공기 공간)이 결합된 위치에서 형성될 것이며, 이것이 두 타일들(301) 사이의 결합을 전반적으로 용이하게 할 것이다. 하방 텅(345)의 비스듬한 측면(345b) 역시 두 타일들(301) 사이의 보다 용이한 결합이라는 목적을 위한 정렬 에지로서 기능한다. 하방 플랭크(346)로부터 멀어지게 바라보는 다른 측면(345c)은 실질적으로 수직한 형태를 취하지만, 다른 타일(301)의 추가적인 돌출부(3340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작은 공동(349)이 제공되어 있다. 하방 플랭크(346)로부터 멀어지게 바라보는 측면(345c)의 정상 부분은 (인접한 타일의) 상방 플랭크(330)의 정지면(330b)을 위한 상호 보완적인 정지면을 형성한다. 하방 플랭크(346)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되고, (인접한 타일의) 상방 텅(339)의 외측 돌출부(333)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된 리세스(340)가 제공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발명 컨셉들은 몇몇 설명을 위한 실시예들로 설명되고 있다. 개별적인 발명 컨셉들이 적용될 때 설명된 예의 다른 상세들은 적용할 필요 없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사람은 특정한 적용예에 도달하기 위해 수많은 발명 컨셉들이 (재)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므로, 위에서 설명된 발명 컨셉들의 모든 인지 가능한 조합들의 예들을 상세히 열거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이 여기서 나타내어지고 설명된 작업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에게는 자명할 것인 다양한 변형들이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본 특허 공보에서 사용되는 동사 '포함하다' 및 그 활용형들은 '포함하다'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뿐만 아니라, '수용하다',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다', '형성되다' 및 그 활용형들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이해된다.

Claims (44)

  1. 타일, 특히 카펫 타일로서:
    - 그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파일 얀들을 구비한 베이스, 바람직하게는 1차 카펫 베이스,
    - 상기 베이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카펫 베이스의 하측면에 부착된 지지 구조체로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타일의 하측 표면을 형성하는 이방성 소재로 만들어진 탄성 레이어를 포함하되, 복수의 표면 석션 홀들이 상기 탄성 레이어의 적어도 하측 표면에 형성되고, 표면 석션 홀들은 베이스로부터 멀어지게 바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며 실질적으로 베이스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폐쇄되고, 표면 석션 홀들은 공백 영역을 형성하며,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에 있는 소재는 상기 표면 석션 홀들 사이에서 소재 영역을 형성하고, 공백 영역과 소재 영역 사이의 비율은 적어도 4,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이며 이에 의해 타일이 지지면에 신속하게 부착되고 그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 구조체
    를 포함하는 타일.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의 실질적으로 전체에 석션 홀들이 제공되는 타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석션 홀들의 크기는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 전체에 걸쳐 달라지는 타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는 폼 소재로 만들어진 타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는 발포제를 포함하는 타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되는 타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타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는 충전제, 특히 활석, 백악, 목재 및/또는 칼슘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타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많은 수의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석션 홀들이 5μm에서 약 1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0μm와 500μm 사이에 놓인 직경을 가지는 타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의 밀도는 탄성 레이어의 두께를 따라 달라지는 타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는 0.1mm와 6mm 사이에 놓인 두께를 가지는 타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석션 홀들 각각 및 바람직하게는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 전체에는 접착제가 없는 타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은 실링 효과, 바람직하게는 공기 밀봉 실링 효과를 가지는 타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에는 실링 코팅, 바람직하게는 공기 밀봉 실링 코팅이 제공되는 타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 전의 초기에 제거 가능한 보호 필름이 탄성 레이어의 하측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타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체는 1차 카펫 베이스 상에 배치된 프리코트 레이어와, 프리코트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무용제식의 핫 멜트 접착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
  17. 제16항에 있어서, 프리코트 레이어는 점착성 레진을 포함하는 타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일은 상기 1차 카펫 베이스를 상기 지지 구조체에 고정하는 열가소성 소재를 포함하되, 상기 열가소성 소재에는 바람직하게는 그 안에 내포된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재료가 제공되는 타일.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차 카펫 베이스는 1차 지지 시트에 고정된 섬유질 표면 마모면을 포함하되, 1차 지지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섬유질 뒷면을 구비하는 타일.
  20. 제19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체는 1차 지지 시트의 하측 표면 상에서 1차 지지 시트에 섬유질 뒷면을 고정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 위해 핫 멜트 접착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코트 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핫 멜트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역청, 석유 수지 혼성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는 타일.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1차 카펫 베이스는 카펫 타일에 수치 안정성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리코트 레이어에 고정되는 2차 지지 시트를 포함하는 타일.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차 지지 시트는 부직포 시트, 직물 시트, 부직포 폴리에스터 시트, 폴리프로필렌 시트, 글래스 파이버 스크림 또는 티슈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타일.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리코트 레이어는, 에틸렌 비닐 에스터 또는 에틸렌 에스터 아크릴레이트 폴리머의 1 중량%에서 15 중량%를 함유하는 역청 핫 멜트 합성물을 포함하는 타일.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리코트 레이어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머의 약 1 중량%에서 10 중량%를 포함하는 핫 멜트 역청 합성물을 포함하는 타일.
  25.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리코트 레이어는 고무질 열가소성 폴리머 소재, 바람직하게는 고무질 열가소성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의 약 1 중량%에서 20 중량%를 포함하는 핫 멜트 역청 합성물을 포함하는 타일.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체는, 베이스와 탄성 레이어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 바람직하게는 기판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
  27. 제26항에 있어서, 중간 레이어는 강성이거나 유연성이고, 상기 중간 레이어는 목재, 특히 MDF 또는 HDF; 폴리머, 특히 PVC, PE, PP 또는 PU; 미네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소재들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는 타일.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중간 레이어의 두께는 적어도 3 밀리미터인 타일.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일은 적어도 한 쌍의 반대되는 타일 에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반대되는 에지들의 상기 쌍에는 한 쌍의 상호 보완적인 결합 부분들이 제공되어 복수의 그런 타일들이 연결되도록 해주는 타일.
  30. 제29항에 있어서, 상호 보완적인 결합 부분들은 적어도 2개의 타일들을 결합하도록 구성되어서, 타일의 평면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의 타일들의 잠금 및 패널의 평면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의 타일들의 잠금이 구현되는 타일.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상호 보완적인 결합 부분들은 기울이는 움직임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 타일.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상호 보완적인 결합 부분들은 접는 식의 움직임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 타일.
  33. 제2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타일 에지에는 결합 부분이 제공되어서, 바람직하게는 반대되는 타일 에지들에 상호 보완적인 결합 부분들이 제공되는 타일.
  34.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 및 제2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부분들은 중간 레이어와 일체로 된 부분을 형성하고, 및/또는 중간 레이어에 부착되는 타일.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장식 레이어와 상기 장식 레이어를 덮는 투명한 마모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
  36. 제35항에 있어서, 장식 레이어는 인쇄된 레이어, 바람직하게는 인쇄된 폴리머 시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쇄된 PVC 레이어인 타일.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일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타일.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 석션 홀들은 실질적으로 반구형 형상인 타일.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석션 홀들을 형성하는 탄성 레이어 소재에는 불침투성 코팅이 제공되는 타일.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레이어 소재는 복수의 상호 연결된 개방 셀들을 포함하는 타일.
  41. 바닥 타일, 특히 바닥 패널; 벽체 타일, 특히 벽체 패널; 및/또는 천장 타일, 특히 천장 패널로서의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타일의 사용.
  42. 복수의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타일들로 이루어진 타일 덮개.
  43. 제42항에 있어서, 타일들은 상호 결합되어 있는 타일 덮개.
  44. 적어도 하나의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카펫 타일로 이루어진 카펫 덮개.
KR1020207021276A 2018-01-09 2019-01-09 타일, 특히 카펫 타일 및 그런 타일들의 덮개 KR202001048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0254 2018-01-09
NL2020254A NL2020254B1 (en) 2018-01-09 2018-01-09 Tile, in particular carpet tile, and covering of such tiles
PCT/EP2019/050461 WO2019137966A1 (en) 2018-01-09 2019-01-09 Tile, in particular carpet tile, and covering of such ti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884A true KR20200104884A (ko) 2020-09-04

Family

ID=6162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276A KR20200104884A (ko) 2018-01-09 2019-01-09 타일, 특히 카펫 타일 및 그런 타일들의 덮개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200332460A1 (ko)
EP (2) EP3737791B1 (ko)
JP (1) JP2021509630A (ko)
KR (1) KR20200104884A (ko)
CN (1) CN111566280A (ko)
AU (1) AU2019207397B2 (ko)
BR (1) BR112020013930A2 (ko)
CA (1) CA3086800A1 (ko)
CL (1) CL2020001793A1 (ko)
EA (1) EA038821B1 (ko)
ES (1) ES2910970T3 (ko)
HR (1) HRP20220425T1 (ko)
MA (1) MA51557A (ko)
NL (1) NL2020254B1 (ko)
PL (1) PL3737791T3 (ko)
UA (1) UA126699C2 (ko)
WO (1) WO2019137966A1 (ko)
ZA (1) ZA20200372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440A1 (ko) 2020-08-20 2022-02-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다중 슬롯 다이 코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3605A1 (en) 2019-12-18 2022-11-30 Low & Bonar B.V. Material comprising connecting means
CN114945720A (zh) * 2020-01-07 2022-08-26 I4F许可有限责任公司 地毯砖片和由这种地毯砖片制成的地毯覆盖物
NL2024618B1 (en) * 2020-01-07 2021-09-07 I4F Licensing Nv Carpet tile, and carpet covering made of such carpet tiles
WO2021240306A1 (en) 2020-05-29 2021-12-02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Decorative panel comprising a textile decorative lay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2325A (ja) * 1975-03-05 1976-09-09 Toray Industries Seidenseikaapetsuto
US4286003A (en) * 1978-10-18 1981-08-25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Thin polyurethane foam backed rug
JPS58167157U (ja) * 1982-04-30 1983-11-08 松下電工株式会社 カ−ペツトパネル
JPH0442111Y2 (ko) * 1986-12-11 1992-10-05
JPH04174163A (ja) * 1989-10-18 1992-06-22 Toray Ind Inc 置敷きタイル状繊維床材
JP3018810U (ja) * 1994-12-12 1995-11-28 伸興化成株式会社 簡易着脱プラスチックタイル
US20030170420A1 (en) * 2001-07-20 2003-09-11 Higgins Kenneth B. Residential carpet product and method
US7182989B2 (en) * 2002-07-31 2007-02-27 Milliken & Company Flooring system and method
DE20122778U1 (de) * 2001-08-10 2007-10-25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Paneel sowie Befestigungssystem für Paneele
US20030203152A1 (en) * 2002-04-08 2003-10-30 Higgins Kenneth B. Flooring systems and methods
US20040022994A1 (en) * 2002-08-05 2004-02-05 Higgins Kenneth B. Cushion back products and methods
JP2004257066A (ja) * 2003-02-25 2004-09-16 Tajima Inc 空調用通気性カーペットタイ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カーペットタイル用穿孔部材
CA2609889C (en) * 2005-05-25 2015-10-06 Shaw Industries Group, Inc. Carpet structure with improved plastomeric foam backing
CA3209449A1 (en) * 2010-01-11 2011-07-14 Valinge Innovation Ab Floor covering with interlocking design
DE102011002188A1 (de) * 2010-04-20 2011-10-2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elagelement
US9339136B2 (en) * 2012-12-10 2016-05-17 Higgins Research & Development, LLC Floor coverings with universal backing and methods of making, installing, and recycling
KR102411780B1 (ko) * 2014-02-26 2022-06-22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커버링을 형성하기 위하여 유사한 패널과 상호 연결 가능한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440A1 (ko) 2020-08-20 2022-02-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다중 슬롯 다이 코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7791A1 (en) 2020-11-18
BR112020013930A2 (pt) 2020-12-01
EA202091674A1 (ru) 2020-10-02
MA51557A (fr) 2021-04-14
ES2910970T3 (es) 2022-05-17
EP4071297A1 (en) 2022-10-12
CL2020001793A1 (es) 2020-09-04
AU2019207397A1 (en) 2020-07-23
JP2021509630A (ja) 2021-04-01
UA126699C2 (uk) 2023-01-11
US20200332460A1 (en) 2020-10-22
NL2020254B1 (en) 2019-07-15
CN111566280A (zh) 2020-08-21
AU2019207397B2 (en) 2022-05-12
EP3737791B1 (en) 2022-03-09
ZA202003723B (en) 2021-06-30
HRP20220425T1 (hr) 2022-05-27
WO2019137966A1 (en) 2019-07-18
CA3086800A1 (en) 2019-07-18
EA038821B1 (ru) 2021-10-25
PL3737791T3 (pl)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4884A (ko) 타일, 특히 카펫 타일 및 그런 타일들의 덮개
US11668104B2 (en)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US10745922B2 (en)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RU2598614C2 (ru) Блок из половых блоков
AU2002225759B2 (en) Textile product and method
US20030072911A1 (en) Residential carpet product and method
US20020119281A1 (en) Textile product and method
KR100206690B1 (ko) 저연신성 치수적 안정 바닥 피복재
US20030161990A1 (en) Residential carpet product and method
NL2024618B1 (en) Carpet tile, and carpet covering made of such carpet tiles
US20030165657A1 (en) Abrasive flooring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230234329A1 (en) Decorative panel comprising a textile decorative layer
EA044831B1 (ru) Ковровая плитка и ковровое покрытие, состоящее из таких ковровых плиток
US20230027994A1 (en) Carpet Tile, and Carpet Covering Made of Such Carpet Tiles
KR102277572B1 (ko) 플로킹 카펫 타일 및 그 제조 방법
WO1999055954A2 (en) Floor covering with inverted tufted or sewn face
AU2002322521A1 (en) Residential carpet product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