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442A - 차량용 에어필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442A
KR20200104442A KR1020190022189A KR20190022189A KR20200104442A KR 20200104442 A KR20200104442 A KR 20200104442A KR 1020190022189 A KR1020190022189 A KR 1020190022189A KR 20190022189 A KR20190022189 A KR 20190022189A KR 20200104442 A KR20200104442 A KR 20200104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rame
unit
pai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임모
정길성
성기수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22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4442A/ko
Publication of KR20200104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16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with provisions for replacing the filt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16Folded frame o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에어필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에어필터는: 차량의 덕트에 탈부착되는 제1필터부와, 제1필터부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필터부가 덕트에 탈부착됨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는 제2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필터{AIR FILT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손실이 줄어들어 통기량이 일정수준 이상 확보됨은 물론, 공기에 포함된 초미세한 이물질까지 여과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외 또는 실내 공기를 송풍기를 사용하여 유입, 재순환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공기 중에는 먼지, 분진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승차자의 불쾌감, 호흡기 질환, 실내 오염 등을 유발하므로, 차량 실내의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장치가 구비된다. 그러나, 초미세한 이물질을 여과하는 헤파급 필터 등은 기공이 작은 필터로 압력손실이 커짐은 물론, 유동저항이 커지므로, 통기량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77373호(2018.07.05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용 에어필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압력손실이 줄어들어 통기량이 일정수준 이상 확보됨은 물론, 공기에 포함된 초미세한 이물질까지 여과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필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필터는: 차량의 덕트에 탈부착되는 제1필터부; 및 상기 제1필터부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필터부가 상기 덕트에 탈부착됨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는 제2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필터부는, 접힘가능한 제2여과부; 및 상기 제1필터부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고, 접철되면서 상기 제2여과부를 접철시키는 제2접철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필터부는, 상기 제2접철프레임부가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프레임부; 및 상기 제1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제1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여과부에는 산과 골이 반복형성되고, 상기 제1여과부에는 산과 골이 반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부는, 상기 덕트의 공기배출부 측에 위치되는 제1후방프레임; 상기 제1후방프레임과 이격되고, 상기 덕트의 공기유입부 측에 위치되는 제1전방프레임; 및 상기 제1후방프레임과 상기 제1전방프레임을 연결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측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접철프레임부는 상기 제1전방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제1측부프레임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제1측부프레임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이에 상기 제2여과부가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 및 상기 제1전방프레임부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측부접철프레임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한 쌍의 상기 제2측부접철프레임부를 접철시키는 제2전방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제2측부접철프레임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제2측부접철프레임부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2전방프레임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제2측부접철프레임부 간의 이격거리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제2측부접철프레임부는 상기 제2전방프레임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는 제1필터부가 덕트에 부착되면 제2필터부가 펼쳐지므로,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압력손실이 줄어들어 통기량이 일정수준 이상 확보됨은 물론, 공기에 포함된 초미세한 이물질까지 여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필터부가 탈착시 제2필터부가 덕트에 접촉되어 접히므로, 제2여과부가 연동되어 접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의 이격거리가 제2전방프레임부의 폭보다 좁으므로, 제2전방프레임부가 접히면 제2전방프레임부에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가 접촉되어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가 용이하게 접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 간의 이격거리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좁아짐은 물론,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가 제2전방프레임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제2전방프레임부가 접히면,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가 원활하게 접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의 초기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의 제2필터부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의 제2필터부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가 덕트로부터 분리되면서 제2필터부가 접어지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의 초기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의 제2필터부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의 제2필터부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가 덕트로부터 분리되면서 제2필터부가 접어지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1)가 설치되는 차량의 덕트(2)는 공기유입부(2a), 필터설치부(2b), 공기배출부(2d), 상부공간부(2e), 하부공간부(2f)를 포함한다.
공기유입부(2a)를 통해 덕트(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설치부(2b)를 거쳐 공기배출부(2d)측으로 유동된다. 즉 덕트(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설치부(2b)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되는 유동 형태를 가진다. 상부공간부(2e)는 공기유입부(2a)와 필터설치부(2b)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하부공간부(2f)는 필터설치부(2b)와 공기배출부(2d)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1)는 필터설치부(2b)에 부착된 후, 일부가 하부공간부(2e)측으로 펼쳐져 이중필터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면적이 넓어져 압력손실이 줄어들어 통기량이 일정수준 이상 확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1)는 제1필터부(100)와 제2필터부(200)를 포함한다. 제1필터부(100)는 차량의 덕트(2)에 탈부착된다. 제1필터부(100)는 공기를 여과하는 장치부로, 덕트(2)의 필터설치부(2b)에 탈부착된다.
제2필터부(200)는 공기를 여과하는 장치부로, 제1필터부(100)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필터부(100)가 덕트(2)에 탈부착됨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진다. 이때, 제2필터부(200)는 헤파급필터로 초미세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필터부(100)가 덕트(2)에 부착되면, 접혔던 제2필터부(200)가 하부공간부(2f) 측으로 펼쳐진다. 반대로, 제1필터부(100)가 덕트(2)에 탈착되면, 펼쳐져 있던 제2필터부(200)가 접힌다.
제2필터부(200)는 제2여과부(210)와 제2접철프레임부(220)를 포함한다. 제2여과부(210)는 접힘가능하다. 제2여과부(210)에는 산(211)과 골(212)이 반복형성된다. 제2접철프레임부(220)는 제1필터부(100)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고, 접철되면서 제2여과부(210)를 접철시킨다. 이때, 제2접철프레임부(220)에 제2여과부(21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접철은 접히고 펼쳐지는 것을 의미한다. 접힘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접힌 제2접철프레임부(220) 및 제2여과부(210)와 같이 접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펼쳐진 제2접철프레임부(220) 및 제2여과부(210)와 같이 펼쳐지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와 같이, 제1필터부(100)가 덕트(2)의 필터설치부(2b)에 부착되면, 제2접철프레임부(220)가 하부공간부(2f) 측으로 펼쳐짐에 따라, 제2접철프레임부(220)에 의해 접힌 제2여과부(210)가 펼쳐지게 된다. 도 6과 같이, 제1필터부(100)가 덕트(2)의 필터설치부(2b)로부터 분리되면, 필터설치부(2b)의 필터설치부입구(2c)에 제2접철프레임부(220)가 접촉되고, 제2접철프레임부(220)가 접힌다. 제2접철프레임부(220)가 접힘에 따라 제2여과부(210)가 접힌다.
제1필터부(100)는 제1프레임부(110)와 제1여과부(120)를 포함한다. 제1프레임부(110)는 제2접철프레임부(220)가 접철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프레임부(110)는 상하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내부에 제1여과부(120)가 부착된다. 제1여과부(120)는 제1프레임부(110)에 설치된다. 제1여과부(120)에는 산(121)과 골(122)이 반복형성된다(도 3 참조). 이때, 제1여과부(120)는 제2여과부(2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프레임부(110)는 제1후방프레임(111), 제1전방프레임(112) 및 한 쌍의 제1측부프레임(113)을 포함한다. 제1후방프레임(111)은 덕트(2)의 공기배출부(2d) 측에 위치된다. 제1전방프레임(112)은 제1후방프레임(111)과 이격되고, 덕트(2)의 공기유입부(2a) 측에 위치된다(도 1, 도 2 참조). 제1후방프레임(111)과 제1전방프레임(112)은 서로 이격되며, 필터설치부(2b)의 필터설치부입구(2c)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후방프레임(111)은 제1전방프레임(112)보다 먼저 필터설치부입구(2c)에 삽입되며, 덕트(2)의 내부에 위치된다. 한 쌍의 제1측부프레임(113)은 제1후방프레임(111)과 제1전방프레임(112)을 연결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제1측부프레임(113,114)은 제1후방프레임(111) 및 제1전방프레임(112)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한다.
제2접철프레임부(220)는 제1전방프레임(112)과, 한 쌍의 제1측부프레임(113,114)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접철프레임부(220)는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와, 제2전방프레임부(22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는 한 쌍의 제1측부프레임(113,114)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이에 제2여과부(210)가 배치된다.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는 제2여과부(210)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되고, 제2전방프레임부(222)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여과부(210)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제2전방프레임부(222)는 제1전방프레임부(112)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를 접철시킨다. 제2전방프레임부(222)는 접히면, 제2전방프레임부(222)가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와 접촉되면서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를 가압하고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가 접힌다(도 1 내지 도 3, 도 7 참조). 반대로, 제2전방프레임부(222)는 펼쳐지면, 제2전방프레임부(222)가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와 접촉되지 않게 되고,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의 가압이 해제되어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가 펼쳐진다(도 4 내지 도 6 참조).
제2전방프레임부(222)는 덕트(2)로부터 제1필터부(100)가 탈착시 덕트(2)에 접촉되어 접히면서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를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필터설치부(2b)의 필터설치부입구(2c)를 통해 제1필터부(100)가 삽입되면서 제1필터부(100)의 제1프레임부(110)에 접철가능하게 결합된 제2전방프레임부(222)가 펼쳐지고,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를 가압한 제2전방프레임부(222)의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 및 제2여과부(210)가 연이어 펼쳐진다. 그 결과, 덕트(2)의 내부에 이중필터구조가 형성된다. 제2전방프레임부(222)와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는 덕트(2)의 내부에 위치되면, 펼쳐져 덕트(2)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후, 필터설치부(2b)로부터 제1필터부(100)가 탈착될 때 필터설치부(2b)의 필터설치부입구(2c)에 제2전방프레임부(222)가 접촉되면서 접힌다. 이에 따라, 제2전방프레임부(222)는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를 가압하게 되고,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가 접히면서 제2여과부(210)가 접힌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는 펼쳐진 상태에서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의 이격거리는 제2전방프레임부(222)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 간의 이격거리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는 제2전방프레임부(222)와 접촉되는 부분(221d)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전방프레임부(222)가 접히면,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가 원활하게 접힐 수 있다.
제2전방프레임부(222)는 제2전방프레임고정부(222a), 제2전방프레임힌지부(222b) 및 제2전방프레임회동부(222c)를 포함한다. 제2전방프레임고정부(222a)는 제1전방프레임부(112)에 결합된다. 제2전방프레임힌지부(222b)는 제2전방프레임고정부(222a)와 연결된다. 접철프레임회동부(222c)는 제2전방프레임힌지부(222b)와 연결되며, 제2전방프레임힌지부(222b)를 중심으로 접철가능하게 회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어있지 않지만,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는 제2측부접철프레임고정부(미도시), 제2측부접철프레임힌지부(미도시) 및 제2측부접철프레임회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측부접철프레임고정부는 제1측부프레임(113,114)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측부접철프레임힌지부는 제2전방프레임고정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접철프레임회동부는 제2전방프레임힌지부와 연결되며, 제2전방프레임힌지부를 중심으로 접철가능하게 회동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1)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덕트(2)에 제1필터부(100)가 부착되면, 접혔던 제2필터부(200)가 하부공간부(2f) 측으로 펼쳐진다. 구체적으로, 덕트(2)에서 필터설치부(2b)의 필터설치부입구(2c)를 통해 제1필터부(100)가 삽입되면서, 제1필터부(100)의 제1프레임부(110)에 접철가능하게 결합된 제2전방프레임부(222)가 펼쳐지고,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를 가압한 제2전방프레임부(222)의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 및 제2여과부(210)가 연이어 펼쳐진다(도 2 내지 도 6 참조). 이로 인해, 제1필터부(100)와 제2필터부(200)가 적층된 형태로 덕트(2)의 내부에 부착된다. 즉, 덕트(2)의 내부에 이중필터의 구조가 형성되어, 덕트(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여과된다.
따라서,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면적이 넓어져 압력손실이 줄어들어 통기량이 일정수준 이상 확보됨은 물론,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여과될 수 있다. 이때, 제1필터부(100)는 산(121)과 골(122)이 반복형성된 제1여과부(120)를 구비하고, 제2필터부(200) 역시 산(211)과 골(212)이 반복형성된 제2여과부(210)를 구비하므로,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면적이 더욱더 넓어질 수 있다.
이후에, 제1필터부(100)가 탈착되면, 펼쳐져 있던 제2필터부(200)가 접힌 상태로 인출될 수 있다(도 7 참조). 구체적으로, 필터설치부(2b)로부터 제1필터부(100)가 탈착될 때 필터설치부(2b)의 필터설치부입구(2c)에 제2전방프레임부(222)가 접촉되면서 접힌다. 제2전방프레임부(222)가 접히면서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를 가압하게 되고,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221) 및 제2여과부(210)가 연이어 접힌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1)는 덕트(2)에 부착시 이중필터구조가 형성되므로,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압력손실이 줄어들어 통기량이 일정수준 이상 확보됨은 물론, 공기에 포함된 초미세한 이물질까지 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에어필터 2 : 덕트
2a : 공기유입부 2b : 필터설치부
2c : 필터설치부입구 2d : 공기배출부
2e : 상부공간부 2f : 하부공간부
100 : 제1필터부 110 : 제1프레임부
111 : 제1후방프레임 112 : 제1전방프레임
113 : 제1측부프레임 120 : 제1여과부
121 : 산 122 : 골
200 : 제2필터부 210 : 제2여과부
211 : 산 212 : 골
220 : 제2접철프레임부 221 : 제2측부접철프레임부
222 : 제2전방프레임부 222a : 제2전방프레임고정부
222b: 제2전방프레임회동부 222c : 제2전방프레임힌지부

Claims (9)

  1. 차량의 덕트에 탈부착되는 제1필터부; 및
    상기 제1필터부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필터부가 상기 덕트에 탈부착됨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는 제2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는,
    접힘가능한 제2여과부; 및
    상기 제1필터부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고, 접철되면서 상기 제2여과부를 접철시키는 제2접철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는,
    상기 제2접철프레임부가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프레임부; 및
    상기 제1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제1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여과부에는 산과 골이 반복형성되고,
    상기 제1여과부에는 산과 골이 반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부는,
    상기 덕트의 공기배출부 측에 위치되는 제1후방프레임;
    상기 제1후방프레임과 이격되고, 상기 덕트의 공기유입부 측에 위치되는 제1전방프레임; 및
    상기 제1후방프레임과 상기 제1전방프레임을 연결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측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접철프레임부는 상기 제1전방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제1측부프레임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철프레임부는,
    한 쌍의 제1측부프레임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이에 상기 제2여과부가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측부접철프레임부; 및
    상기 제1전방프레임부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측부접철프레임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한 쌍의 상기 제2측부접철프레임부를 접철시키는 제2전방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7. 제 6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2측부접철프레임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제2측부접철프레임부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2전방프레임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8. 제 6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2측부접철프레임부 간의 이격거리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9. 제 6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2측부접철프레임부는 상기 제2전방프레임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KR1020190022189A 2019-02-26 2019-02-26 차량용 에어필터 KR20200104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189A KR20200104442A (ko) 2019-02-26 2019-02-26 차량용 에어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189A KR20200104442A (ko) 2019-02-26 2019-02-26 차량용 에어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442A true KR20200104442A (ko) 2020-09-04

Family

ID=7247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189A KR20200104442A (ko) 2019-02-26 2019-02-26 차량용 에어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44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0082B2 (en) Filter element for an extractor hood and extractor hood
CN104047776B (zh) 空气滤清器
DE112018003802B4 (de) Klimaanlageneinheit für ein Fahrzeug
WO198100196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ir fed into a protection booth or vehicle cabin
US20130160648A1 (en) Water separator having a filter assembly
JP2002537103A (ja) ハンドルを有する濾過エレメント
WO2016113001A1 (de) Gehäusegrundkörper eines filtergehäuses, filtersystem und vorabscheidermodul eines filtersystems
KR20200104442A (ko) 차량용 에어필터
US5514197A (en) Air filter device for an air-conditioning apparatus
EP2428743A1 (de) Anschlusskasten für ein Kanalsystem einer raumlufttechnischen oder klimatechnischen Anlage
CN108469113A (zh) 滤网安装结构及包括其的空气处理设备
KR101634720B1 (ko) 차량용 송풍장치
JP200829671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40045522A (ko)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구조
KR102512348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101932175B1 (ko)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DE19546550A1 (de) Belüf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JP2010131568A (ja) 空調用フィルタ
JP4466468B2 (ja) 空調装置
KR200326127Y1 (ko) 에어필터
JP2010148996A (ja) フィルタ構造
CN214581610U (zh) 一种机房通风换气装置
JP2000006636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フィルタ
KR20110023312A (ko) 차량 공조장치용 에어필터
JPH11227440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