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617A -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 프로그램 및 구취 케어 방법 - Google Patents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 프로그램 및 구취 케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617A
KR20200103617A KR1020207000429A KR20207000429A KR20200103617A KR 20200103617 A KR20200103617 A KR 20200103617A KR 1020207000429 A KR1020207000429 A KR 1020207000429A KR 20207000429 A KR20207000429 A KR 20207000429A KR 20200103617 A KR20200103617 A KR 20200103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lation
tongue
unpleasant odor
level
estim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히로 이시다
요이치 오리하라
타츠지 코다마
치아키 미치바야시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2Determining colour for diagnost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7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photo-electric detection ; circuits for computing concent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은 피험자의 설체의 판정 부위를 포함하는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 공정과, 상기 취득 공정에 있어서 취득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의 색미와, 설체의 판정 부위의 색미와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의 관계에 의거해서,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추정하는 추정 공정을 갖고, 상기 판정 부위는 설정중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 프로그램 및 구취 케어 방법
본 발명은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 프로그램 및 구취 케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12월 27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7-251952호에 의거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구강 관련의 문제 중에서 구취에 대한 고민은 많다. 구취에 대하여 다양한 케어 제품이 발매되고 있지만, 그 효과를 자각하는 것은 어려워 효과 불안을 해소하는 구취의 가시화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
이제까지 구취의 체크 제품으로서 많은 것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향료 등의 구취의 불쾌 성분 이외의 성분도 검출해버리는 등의 과제가 있으며, 정밀도도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한편, 구취의 불쾌 성분을 특이적으로 정밀도좋게 검출하는 방법으로서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가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검출기의 검출 출력의 베이스라인을 안정화시켜 신뢰성이 높은 측정을 행할 수 있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3-254956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은 매우 고가의 분석 기기를 필요로 하고, 분석 조건을 설정할 때에도 고도의 전문 지식을 요하는 등, 일반의 생활자에 대한 범용성면에서 큰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간이한 방법에 의해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추정할 수 있는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 프로그램 및 구취 케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예의 검토의 결과, 어느 특정한 조건에서 설체의 판정 부위를 촬영함으로써 고가의 분석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편하고 또한 정밀도좋게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을 판별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은 피험자의 설체의 판정 부위를 포함하는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 공정과, 상기 취득 공정에 있어서 취득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의 색미와, 설체의 판정 부위의 색미와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의 관계에 의거해서,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추정하는 추정 공정을 갖고, 상기 판정 부위는 설정중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판정 부위의 면적과,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설중 부위의 면적의 비가 0.3 이상 1.8 이하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에 있어서, 설체 위치맞춤용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피험자의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가 표시되는 모니터를 구비하는 촬영 장치에 의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를 포함하는 상기 화상이 촬영되고, 상기 설체 위치맞춤용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판정 부위의 면적과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설중 부위의 면적의 비가 0.3 이상 1.8 이하로 되도록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와, 상기 피험자의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를 촬영하는 상기 촬영 장치의 거리가 5㎝∼20㎝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에 있어서, 120만화소∼1320만화소의 화소수를 갖는 상기 촬영 장치에 의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를 포함하는 상기 화상이 촬영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의 붉은 정도가 약할수록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이 높은 것으로 추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sRGB값이 색미, 붉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대신에 색미, 붉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HSV, L*a*b* 등의 다른 파라미터를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정 부위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5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에 의거해서,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추정해도 좋다.
본 발명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정 부위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5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60% 이상인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450ppb 이상인 것으로 추정하고, 상기 판정 부위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5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45% 이상 60% 미만인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300ppb 이상 450ppb 미만인 것으로 추정하고, 상기 판정 부위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5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30% 이상 45% 미만인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150ppb 이상 300ppb 미만인 것으로 추정하고, 상기 판정 부위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5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30% 미만인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150ppb 미만인 것으로 추정해도 좋다.
본 발명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정 부위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3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에 의거해서,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추정해도 좋다.
본 발명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정 부위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3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30% 이상인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450ppb 이상인 것으로 추정하고, 상기 판정 부위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3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20% 이상 30% 미만인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300ppb 이상 450ppb 미만인 것으로 추정하고, 상기 판정 부위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3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10% 이상 20% 미만인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150ppb 이상 300ppb 미만인 것으로 추정하고, 상기 판정 부위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3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10% 미만인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150ppb 미만인 것으로 추정해도 좋다.
본 발명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정 부위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 G, B)=(255∼180, 255∼180, 255∼18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에 의거해서,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추정해도 좋다.
본 발명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정 부위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 G, B)=(255∼180, 255∼180, 255∼18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60% 이상인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450ppb 이상인 것으로 추정하고, 상기 판정 부위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 G, B)=(255∼180, 255∼180, 255∼18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45% 이상 60% 미만인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300ppb 이상 450ppb 미만인 것으로 추정하고, 상기 판정 부위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 G, B)=(255∼180, 255∼180, 255∼18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30% 이상 45% 미만인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150ppb 이상 300ppb 미만인 것으로 추정하고, 상기 판정 부위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 G, B)=(255∼180, 255∼180, 255∼18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30% 미만인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150ppb 미만인 것으로 추정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는 피험자의 설체의 판정 부위를 포함하는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의 색미와, 설체의 판정 부위의 색미와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의 관계에 의거해서,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추정하는 추정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피험자의 설체의 판정 부위를 포함하는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에 있어서 취득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의 색미와, 설체의 판정 부위의 색미와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의 관계에 의거해서,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추정하는 추정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취 케어 방법은 상기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을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이한 방법에 의해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추정할 수 있는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 프로그램 및 구취 케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설체의 판정 부위의 색미와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촬영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촬영 장치의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피험자의 설체를 포함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가 장착된 촬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 프로그램 및 구취 케어 방법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요소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 구성요소에 따라 치수의 축척을 다르게 해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1)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1)가, 예를 들면 취득부(11)와 추정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취득부(11)는 피험자의 설체의 판정 부위를 포함하는 화상을 취득한다. 추정부(12)는 취득부(11)에 의해 취득된 화상에 포함되는 설체의 판정 부위의 색미와, 설체의 판정 부위의 색미와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의 관계에 의거해서, 피험자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추정한다.
도 2는 설체의 판정 부위의 색미와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가로축은 설체의 판정 부위의 색미를 나타내고 있다. 상세하게는, 가로축은 설체의 판정 부위의 붉은 정도의 강약을 나타내고 있다. 세로축은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설체의 판정 부위의 붉은 정도가 약할수록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이 높아지고, 설체의 판정 부위의 붉은 정도가 강할수록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이 낮아진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추정부(12)는 취득부(11)에 의해 취득된 화상에 포함되는 피험자의 설체의 판정 부위의 붉은 정도가 약할수록 피험자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이 높은 것으로 추정한다. 또한, 추정부(12)는 취득부(11)에 의해 취득된 화상에 포함되는 피험자의 설체의 판정 부위의 붉은 정도가 강할수록 피험자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이 낮은 것으로 추정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1)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1)가, 예를 들면 피험자가 소유하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촬영 장치(A)에 장착되어 있다. 촬영 장치(A)는, 예를 들면 렌즈 등과 같은 촬영부(A1)와, 예를 들면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부(A2)와, 제어부(A3)를 구비하고 있다. 촬영부(A1)는 피험자의 설체의 화상 등을 촬영한다. 표시부(A2)는 촬영부(A1)에 의해 촬영된 피험자의 설체의 화상 등을 표시한다. 제어부(A3)는 촬영부(A1) 및 표시부(A2)의 제어 등을 행한다.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1)는 제어부(A3)에 장착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는 실시형태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1)가 스마트폰 이외의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촬영 장치(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4(A)는 촬영 장치(A)에 장착된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애플리케이션의 비기동시에 있어서의 촬영 장치(A)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중에 있어서의 촬영 장치(A)의 사시도이다. 도 4(C)는 피험자(B)의 설체(B1)의 촬영시에 있어서의 촬영 장치(A)와 피험자(B)의 설체(B1)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D)는 피험자(B)의 설체(B1)의 촬영시에 있어서의 촬영 장치(A)의 표시부(A2)(모니터)의 화면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촬영 장치(A)가, 예를 들면 120만화소∼1320만화소의 화소수를 갖는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애플리케이션의 비기동시에는 설체 위치맞춤용 가이드 프레임(A21)이 촬영 장치(A)의 표시부(A2)에 표시되지 않는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피험자(B)에 의해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면 설체 위치맞춤용 가이드 프레임(A21)이 촬영 장치(A)의 표시부(A2)에 표시된다. 도 4(C) 및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험자(B)의 설체(B1)의 촬영시에 피험자(B)는 표시부(A2)의 화면 상에 있어서의 피험자(B)의 설체(B1)의 윤곽과 설체 위치맞춤용 가이드 프레임(A21)을 일치시킨다. 촬영부(A1)는 표시부(A2)의 화면 상에 있어서의 피험자(B)의 설체(B1)의 윤곽과 설체 위치맞춤용 가이드 프레임(A21)이 일치한 상태에서 피험자(B)의 설체(B1)의 화상을 촬영한다.
도 5는 촬영 장치(A)의 촬영부(A1)에 의해 촬영된 피험자(B)의 설체(B1)의 화상(C)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촬영 장치(A)의 촬영부(A1)에 의해 촬영된 화상(C)에 피험자(B)의 설체(B1)의 판정 부위(B10)가 포함된다. 판정 부위(B10)란 설정중구(B11)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부위이다. 설정중구(B11)란 설체(B1)의 상면에 위치하고, 또한 분계구(설근(도시하지 않음)과 설체(B1)의 경계)로부터 설첨(B13)까지 도 5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설체(B1)를 도 5의 좌우 방향으로 개략 2분할하는 선(또는 가상선)이다.
즉,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표시부(A2)의 화면 상에 있어서의 피험자(B)의 설체(B1)의 윤곽과 설체 위치맞춤용 가이드 프레임(A21)이 일치한 상태에서 촬영부(A1)가 피험자(B)의 설체(B1)의 화상(C)을 촬영하면 설정중구(B11)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판정 부위(B10)가 그 화상(C)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촬영부(A1)에 의해 촬영되는 피험자(B)의 설체(B1)의 화상(C)에는 설중 부위(B12)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중 부위」란 분계구로부터 설첨(B13)에 걸쳐서 세로 방향으로 4분할했을 때에 설첨(B13)으로부터 1/4∼2/4의 부위이고, 그 중간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설체(B1)를 4분할했을 때의 중심측의 2개의 영역(즉, 도 5 중의 파선에 의해 둘러싸여 부호 B12로 나타내어지는 영역)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화상(C)에 포함되는 피험자(B)의 설체(B1)의 판정 부위(B10)의 면적과, 화상(C)에 포함되는 피험자(B)의 설체(B1)의 설중 부위(B12)의 면적의 비는 0.3 이상 1.8 이하이다.
촬영부(A1)에 의해 피험자(B)의 설체(B1)의 화상(C)이 촬영되는 경우, 촬영부(A1)는 상술한 도 5 중의 파선에 의해 둘러싸여 부호 B12로 나타내어지는 영역을 특정할 수 있도록 피험자(B)의 설체(B1)의 화상(C)을 촬영해도 좋다. 촬영부(A1)는 그 영역이 피험자(B)의 설체(B1)의 화상(C)에 포함되도록 촬영을 행하면 좋다.
상세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피험자(B)의 설체(B1)의 촬영시에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체 위치맞춤용 가이드 프레임(A21)과 피험자(B)의 설체(B1)의 판정 부위(B10)가 촬영 장치(A)의 표시부(A2)에 표시된다. 또한, 그 상태에서 촬영부(A1)에 의해 피험자(B)의 설체(B1)의 판정 부위(B10)를 포함하는 화상(C)(도 5 참조)이 촬영된다. 그 결과, 그 화상(C)에 포함되는 판정 부위(B10)의 면적과 설중 부위(B12)의 면적의 비가 0.3 이상 1.8 이하로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피험자(B)의 설체(B1)의 촬영시에 있어서의 피험자(B)의 설체(B1)의 판정 부위(B10)와 촬영 장치(A)의 거리가 5㎝∼20㎝이다.
도 6은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1)가 장착된 촬영 장치(A)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스텝 S10에 있어서, 촬영 장치(A)에 장착된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어 촬영 장치(A)의 표시부(A2)가 설체 위치맞춤용 가이드 프레임(A21)을 표시한다.
스텝 S11에서는 피험자(B)에 의해 표시부(A2)의 화면 상에 있어서의 피험자(B)의 설체(B1)의 윤곽과 설체 위치맞춤용 가이드 프레임(A21)이 일치되게 되어 촬영 장치(A)의 촬영부(A1)가 피험자(B)의 설체(B1)의 판정 부위(B10)를 포함하는 화상(C)을 촬영한다. 촬영부(A1)에 의해 촬영된 화상(C)은, 예를 들면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된다.
스텝 S12에서는 촬영 장치(A)의 제어부(A3)의 취득부(11)가 촬영부(A1)에 의해 촬영된 피험자(B)의 설체(B1)의 판정 부위(B10)를 포함하는 화상(C)을 취득한다. 상세하게는 취득부(11)는, 예를 들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C)을 판독함으로써 화상(C)을 취득한다.
스텝 S13에서는 촬영 장치(A)의 제어부(A3)의 추정부(12)가 취득부(11)에 의해 취득된 화상(C)에 포함되는 설체(B1)의 판정 부위(B10)의 색미와, 도 2에 나타내는 관계에 의거해서, 피험자(B)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추정한다.
스텝 S14에서는, 예를 들면 촬영 장치(A)의 표시부(A2)가 추정부(12)에 의한 피험자(B)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의 추정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1)가 촬영 장치(A)에 장착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는,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1)가, 예를 들면 클라우드 등의 촬영 장치(A)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1)에 의하면, 예를 들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등과 같은 매우 고가의 분석 기기를 사용할 필요없이 간이한 방법에 의해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1)가 적용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피험자(B)는, 예를 들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등과 같은 매우 고가의 분석 기기를 사용할 필요없이 자분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다.
하기 예에서는 색미, 붉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sRGB값이 이용되지만, 다른 예에서는 색미, 붉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HSV, L*a*b* 등의 다른 파라미터를 사용해도 좋다.
[실시예 1∼실시예 9, 비교예 1∼비교예 4]
패널리스트 1명을 고정하고, 시간대를 변경하여 설정중구(B11)를 포함하는 판정 부위(B10)를 촬영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설체(B1)의 랭크 매김을 행했다. 또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제품명: OralChroma, FIS, Inc.제)에 의해 패널리스트의 호기를 분석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구취의 랭크 매김을 행했다. 또한, OralChroma의 분석은 장치 부속의 순서서를 따라 행했다.
혀의 랭크와 구취의 랭크에 대해서 A-a, B-b, C-c, D-d의 결과의 매칭성에 대해서 확인한 결과, 판정 부위(B10) 중에 설정중구(B11)를 포함하고, 판정 부위(B10)와 설중 부위(B12)의 면적비가 실시예 1∼실시예 9의 범위 내에 있을 때, 혀와 구취의 랭크가 일치했다. 한편으로, 판정 부위(B10)가 설정중구(B11)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느 구취 랭크의 상태에서나 혀의 랭크와 일치하지 않았다.
이것으로부터, 구취의 판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판정 부위(B10) 중에 설정중구(B11)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본 검토에 있어서 촬영기는 iphone7(Apple사제)을 사용하고, 인 카메라를 사용한 자동 캡쳐 모드에서 설체(B1)를 촬영했다. 조도 500∼1200lux의 실내 환경 하에서 촬영했다.
표 1은 실시예 1∼실시예 9의 혀 랭크, 구취 랭크 등을 나타낸다. 표 2는 비교예 1∼비교예 4의 혀 랭크, 구취 랭크 등을 나타낸다.
<혀 랭크 기준>
A: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5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60% 이상(설체(B1)의 붉은 정도가 적음)
B: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5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45% 이상∼60% 미만(설체(B1)의 붉은 정도가 약간 적음)
C: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5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30% 이상∼45% 미만(설체(B1)의 붉은 정도가 약간 많음)
D: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5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30% 미만(설체(B1)의 붉은 정도가 많음)
<구취 랭크 기준>
a: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450ppb 이상
b: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300ppb 이상∼450ppb 미만
c: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150ppb 이상∼300ppb 미만
d: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150ppb 미만
즉, 실시예 1∼실시예 9에서는 추정부(12)가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5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에 의거해서, 피험자(B)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추정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상술한 지표 「R-G」 대신에 지표 「R-B」를 사용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10∼실시예 17]
패널리스트수를 5명으로 하고, 시간대를 변경하여 각 사람 10회씩 설체(B1)의 촬영과 구취(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의 측정을 행했다.
A-a가 매칭하는 확률(즉,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5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60% 이상인 경우에 피험자(B)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450ppb 이상으로 되는 확률)과, B-b가 매칭하는 확률(즉,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5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45% 이상 60% 미만인 경우에 피험자(B)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300ppb 이상 450ppb 미만으로 되는 확률)과, C-c가 매칭하는 확률(즉,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5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30% 이상 45% 미만인 경우에 피험자(B)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150ppb 이상 300ppb 미만으로 되는 확률)과, D-d가 매칭하는 확률(즉,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5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30% 미만인 경우에 피험자(B)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150ppb 미만으로 되는 확률)로부터, 하기 기준대로 매칭성의 랭크 매김을 행했다.
그 결과, 화상(C)에 포함되는 판정 부위(B10)의 면적과, 화상(C)에 포함되는 설중 부위(B12)의 면적의 비가 0.3 이상 1.8 이하일 때에 높은 매칭성을 나타냈다. 특히, 화상(C)에 포함되는 판정 부위(B10)의 면적과, 화상(C)에 포함되는 설중 부위(B12)의 면적의 비가 0.4 이상 1.5 이하일 때에 보다 높은 매칭성을 나타냈다. 화상(C)에 포함되는 판정 부위(B10)의 면적과, 화상(C)에 포함되는 설중 부위(B12)의 면적의 비가 0.6 이상 1.2 이하일 때에 더욱 높은 매칭성을 나타냈다.
또한, 본 검토에 있어서는 iphone7(Apple사제)을 사용하고, 인 카메라를 사용한 자동 캡쳐 모드에서 설체(B1)를 촬영했다. 조도 500∼1200lux의 실내 환경 하에서 촬영했다. 표 3은 실시예 10∼실시예 17의 매칭성, 매칭률 등을 나타낸다.
<매칭성>
◎: 혀 랭크-구취 랭크의 매칭률이 75% 이상
○: 혀 랭크-구취 랭크의 매칭률이 60 이상∼75% 미만
△: 혀 랭크-구취 랭크의 매칭률이 45 이상∼60% 미만
▲: 혀 랭크-구취 랭크의 매칭률이 30 이상∼45% 미만
×: 혀 랭크-구취 랭크의 매칭률이 30% 미만
본 검토에 있어서는 △ 이상을 합격으로 했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18∼실시예 22]
판정 부위(B10)와 설중 부위(B12)의 면적비를 1로 하고(즉, 설중 부위(B12)와 판정 부위(B10)의 면적비를 1로 하고), 카메라를 변경하여 마찬가지의 실험을 행했다. 그 결과, 120만∼1320만화소의 범위에서 높은 매칭성을 나타냈다. 특히 200만∼1200만화소에서 매칭성이 높고, 500만∼1000만화소일 때에는 더욱 매칭성이 높았다. 표 4는 실시예 18∼실시예 22의 매칭성, 매칭률 등을 나타낸다.
<사용 카메라>
500만화소: iphone6s(Apple사제)
800만화소: ZTE BLADE V7 Lite(ZTE Japan. K.K.제) 1320만화소: XperiaXZ(Sony Corporation제)
220만화소: XperiaA4(Sony Corporation제)
120만화소: iphone6(Apple사제)
Figure pct00004
[실시예 23∼실시예 26]
촬영 거리를 변경하여 마찬가지의 실험을 행했다. 촬영기는 iphone7을 사용했다. 5∼20㎝일 때에 매칭성이 높고, 15㎝일 때에 더욱 매칭성이 높았다. 표 5는 실시예 23∼실시예 26의 매칭성, 매칭률 등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비교예 5∼비교예 8]
판정 부위(B10) 중에 설정중구(B11)를 포함하지 않았던 경우에는 어느 경우라도 충분한 정밀도가 얻어지지 않았다. 표 6은 비교예 5∼비교예 8의 매칭성, 매칭률 등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판정 부위(B10)>
상술한 판정 부위(B10)는 판정 부위(추정에 사용되는 부위)이고, 임의로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판정 부위(B10)의 범위는 설정중구(B11)를 포함하는 것 이외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화상(C)에 포함되는 판정 부위(B10)의 면적과, 화상(C)에 포함되는 설중 부위(B12)의 면적의 비가 0.3 이상 1.8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상(C)에 포함되는 판정 부위(B10)의 면적과, 화상(C)에 포함되는 설중 부위(B12)의 면적의 비가 0.4 이상 1.5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상(C)에 포함되는 판정 부위(B10)의 면적과, 화상(C)에 포함되는 설중 부위(B12)의 면적의 비가 0.6 이상 1.2 이하이다. 이들 범위로 함으로써 높은 판정 정밀도(추정 정밀도)가 유지된다.
판정 부위(B10)는 설정중구(B11)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면 좋다.
판정 부위(B10)의 절출 방법, 형상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설체(B1)의 외경 형상(윤곽)으로부터 돌출되기 어려운 형상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이 좋다.
<화소수>
본건에서 사용하는 촬영기(촬영 장치(A))의 화소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20만∼1320만화소가 바람직하고, 220만∼800만화소가 보다 바람직하고, 500만∼800만화소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범위로 함으로써 높은 판정 정밀도가 유지된다.
또한, 본건에서 사용하는 촬영기의 화상 센서는 f2.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취 불쾌 성분의 설명>
본건의 구취 불쾌 성분은 휘발성 유황 화합물이다. 이들 성분으로서는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디메틸술폭시드가 예시된다. 이들 중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은 매칭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 황화수소가 가장 바람직하다.
<측정 환경>
촬영 환경은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조도 150lux 이상의 옥내 환경 하에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0lux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100000lux 이상의 환경 하에서는 설체(B1) 상의 타액에 의한 반사가 발생하기 쉬워져서 측정의 정밀도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있다.
촬영시에는 설체(B1) 상에 그림자가 찍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래시를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플래시를 이용해도 특별히 판정 정밀도(추정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촬영 거리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설체(B1)의 판정 부위(B10)로부터 5∼30㎝의 거리에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20㎝의 거리가 보다 바람직하고, 10∼15㎝가 더욱 바람직하다. 지나치게 가까우면 그림자가 생기기 쉬워져서 판정 정밀도(추정 정밀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촬영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촬영 장치(A)의 표시부(A2)에 설체(B1)의 위치를 지정하는 설체 위치맞춤용 가이드 프레임(A2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림자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촬영 거리를 멀리한 경우, 줌 기능을 사용하는 것도 해석 정밀도(추정 정밀도)를 안정시키기 위해 유효하다.
<구취 레벨의 분류>
구취의 레벨을 판정(추정)할 때에는 3∼4레벨의 분류가 정밀도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혀의 랭크 매김의 방법>
혀 랭크의 매김 방법은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 중에 있어서의 sRGB값이 R-G<50으로 나타내어지는 픽셀의 비율로부터 구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그것 이외에도, R-B<50으로 나타내어지는 픽셀의 비율로부터 구하는 방법에서도 우수한 구취 레벨의 판별 정밀도(매칭성)가 얻어진다.
다른 예에서는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3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에 의거해서, 피험자(B)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이 추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3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30% 이상인 경우에 피험자(B)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450ppb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3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20% 이상 30% 미만인 경우에 피험자(B)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300ppb 이상 450ppb 미만인 것으로 추정된다.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3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10% 이상 20% 미만인 경우에 피험자(B)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150ppb 이상 300ppb 미만인 것으로 추정된다.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3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10% 미만인 경우에 피험자(B)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150ppb 미만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 예에 있어서도, 피험자(B)는, 예를 들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등과 같은 매우 고가의 분석 기기를 사용할 필요없이 자분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지표 「R-G」 대신에 지표 「R-B」를 사용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결과가 얻어진다.
또 다른 예에서는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 G, B)=(255∼180, 255∼180, 255∼18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에 의거해서, 피험자(B)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이 추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 G, B)=(255∼180, 255∼180, 255∼18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60% 이상인 경우에 피험자(B)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450ppb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 G, B)=(255∼180, 255∼180, 255∼18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45% 이상 60% 미만인 경우에 피험자(B)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300ppb 이상 450ppb 미만인 것으로 추정된다.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 G, B)=(255∼180, 255∼180, 255∼18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30% 이상 45% 미만인 경우에 피험자(B)의 호기 중 황화수소 농도가 150ppb 이상 300ppb 미만인 것으로 추정된다.
판정 부위(B10)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 G, B)=(255∼180, 255∼180, 255∼18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이 30% 미만인 경우에 피험자(B)의 호기중 황화수소 농도가 150ppb 미만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 예에 있어서도, 피험자(B)는, 예를 들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등과 같은 매우 고가의 분석 기기를 사용할 필요없이 자분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외부 환경의 밝기는 500lu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촬영기는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호기 중 불쾌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적절하게 구취를 억제할 수 있다. 구취 중에서도 생리적 구취의 억제시에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구취 억제 효과를 확인할 때 적합한 구취 케어 제제로서는 향료 등의 취기 마스킹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제제가 바람직하다. 이들 제제로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마스킹 성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하게 생리적 구취의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향료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면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시트제, 정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관련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며,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요해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1)가 구비하는 각 부의 기능 전체 또는 그 일부는 이들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판독시켜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좋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OS나 주변 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가반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부의 것을 말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전화회선 등의 통신회선을 통해서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경우의 통신선과 같이 단시간 동안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것, 그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가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포함해도 좋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좋고, 또한 전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에 의해 실현할 수 있는 것이어도 좋다.
1…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 11…취득부
12…추정부 A…촬영 장치
A1…촬영부 A2…표시부
A21…설체 위치맞춤용 가이드 프레임 A3…제어부
B…피험자 B1…설체
B10…판정 부위 B11…설정중구
B12…설중 부위 B13…설첨
C…화상

Claims (10)

  1. 피험자의 설체의 판정 부위를 포함하는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 공정과,
    상기 취득 공정에 있어서 취득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의 색미와, 설체의 판정 부위의 색미와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의 관계에 의거해서,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추정하는 추정 공정을 갖고,
    상기 판정 부위는 설정중구를 포함하는,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판정 부위의 면적과,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설중 부위의 면적의 비가 0.3 이상 1.8 이하인,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설체 위치맞춤용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피험자의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가 표시되는 모니터를 구비하는 촬영 장치에 의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를 포함하는 상기 화상이 촬영되고,
    상기 설체 위치맞춤용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판정 부위의 면적과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설중 부위의 면적의 비가 0.3 이상 1.8 이하로 되도록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는,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와, 상기 피험자의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를 촬영하는 상기 촬영 장치의 거리가 5㎝∼20㎝인,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120만화소∼1320만화소의 화소수를 갖는 상기 촬영 장치에 의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를 포함하는 상기 화상이 촬영되는,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의 붉은 정도가 약할수록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는,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부위 중의 전체 픽셀에 차지하는 sRGB값이 R-G<50으로 되는 픽셀의 비율에 의거해서,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추정하는,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
  8. 피험자의 설체의 판정 부위를 포함하는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의 색미와, 설체의 판정 부위의 색미와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의 관계에 의거해서,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추정하는 추정부를 갖는,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
  9. 컴퓨터에,
    피험자의 설체의 판정 부위를 포함하는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에 있어서 취득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설체의 상기 판정 부위의 색미와, 설체의 판정 부위의 색미와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의 관계에 의거해서,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의 불쾌취기 성분의 함유 레벨을 추정하는 추정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을 이용한 구취 케어 방법.
KR1020207000429A 2017-12-27 2018-12-18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 프로그램 및 구취 케어 방법 KR202001036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51952A JP7186500B2 (ja) 2017-12-27 2017-12-27 呼気中揮発性硫黄化合物含有レベル推定方法、呼気中揮発性硫黄化合物含有レベル推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7-251952 2017-12-27
PCT/JP2018/046552 WO2019131324A1 (ja) 2017-12-27 2018-12-18 呼気中不快臭気成分含有レベル推定方法、呼気中不快臭気成分含有レベル推定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口臭ケア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617A true KR20200103617A (ko) 2020-09-02

Family

ID=6706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429A KR20200103617A (ko) 2017-12-27 2018-12-18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 프로그램 및 구취 케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7186500B2 (ko)
KR (1) KR20200103617A (ko)
CN (1) CN111527405B (ko)
SG (1) SG11202005324PA (ko)
TW (1) TWI790336B (ko)
WO (1) WO201913132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956A (ja) 2002-03-04 2003-09-10 Fis Inc ガスクロマトグラフ装置及び呼気成分分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28B2 (ja) * 1988-10-06 1994-01-12 新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口臭測定装置
WO2000068674A1 (fr) * 1999-05-07 2000-11-16 Tanita Corporation Dispositif de detection de mauvaise haleine et procede de regulation associe
JP4046222B2 (ja) * 2002-09-17 2008-02-13 利川 宝 口臭の測定方法及び装置
JP4195269B2 (ja) * 2002-09-27 2008-12-10 株式会社朝陽 健康管理装置
JP4030941B2 (ja) * 2002-12-09 2008-01-09 花王株式会社 口臭判定指標物質、口臭判定法及び口腔衛生状態判定法
JP2009153678A (ja) * 2007-12-26 2009-07-16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動態画像処理システム
US9028878B2 (en) * 2009-02-03 2015-05-12 Microbion Corporation Bismuth-thiols as antiseptics for biomedical uses, including treatment of bacterial biofilms and other uses
US8858580B2 (en) * 2010-05-06 2014-10-14 Braun Gmbh Tongue cleaning device
JP5265060B1 (ja) * 2012-12-17 2013-08-14 大樹 平林 閉塞型睡眠時無呼吸症候群リスク判定装置の作動方法、舌骨沈下判定装置の作動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x線診断システム
JP3185391U (ja) * 2013-06-03 2013-08-15 ティーアンドケー株式会社 唾液検査用具
WO2015097580A1 (en) * 2013-12-24 2015-07-02 Braun Gmbh Position detection of an oral care implement
JPWO2016076059A1 (ja) * 2014-11-12 2017-08-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器官画像撮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209313A (ja) * 2015-05-08 2016-12-15 花王株式会社 舌画像取得方法及び舌画像取得装置
BR112017027565A2 (pt) * 2015-06-26 2018-09-11 Koninklijke Philips N.V. sistema e método para detectar halitose, e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956A (ja) 2002-03-04 2003-09-10 Fis Inc ガスクロマトグラフ装置及び呼気成分分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17148A (ja) 2019-07-18
SG11202005324PA (en) 2020-07-29
WO2019131324A1 (ja) 2019-07-04
CN111527405A (zh) 2020-08-11
TWI790336B (zh) 2023-01-21
JP7186500B2 (ja) 2022-12-09
TW201928345A (zh) 2019-07-16
CN111527405B (zh)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2558B2 (en) Skin feature imaging system
US20220166920A1 (en) Real time assessment of picture quality
KR102237583B1 (ko) 빌리루빈 레벨의 추정
US11534063B2 (en) Interpupillary distance measuring method, wearable ophthalmic device and storage medium
JP7062926B2 (ja) 呈色反応検出システム、呈色反応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3441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peckle imag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üppe et al. Evaluation of facial anthropometry using three-dimensional photogrammetry and direct measuring techniques
US1048542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tructured light scatteroscopy
KR20170027468A (ko) 영상을 이용한 산소포화도 측정 방법 및 영상을 이용한 산소포화도 측정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Fankhauser et al. Comparison of smartphone‐camera and conventional flatbed scanner images for analytical evaluation of chewing function
KR20170085494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JP6266948B2 (ja) 黄疸測定システム
JP5544065B2 (ja) 肌状態の評価方法
KR20200103617A (ko)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방법, 호기 중 불쾌취기 성분 함유 레벨 추정 장치, 프로그램 및 구취 케어 방법
KR100865275B1 (ko) 설진 영상의 촬영 방법 및 그 장치
JP2020058710A (ja) 舌体画像処理方法、呼気中不快臭気成分含有レベル推定方法、舌体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782483B2 (ja) 視機能検査システム
JP201417814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Rosa et al. New portable system for dental plaque measurement using a digital single-lens reflex camera and image analysis: Study of reliability and validation
KR101863648B1 (ko) 척추 측만 정도 측정 장치 및 방법
JP6981561B1 (ja) カラーチャート
JP6186663B2 (ja) 指先血管観測方法、観測装置、観測サーバ、観測システム及び観測プログラム
JP2019055161A (ja) 瞳孔径変化の呼吸及び脈拍の影響を排除する手法と刺激による瞳孔径変化に基づく視認者情感判定装置、視認者情感判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Oliver Considerations for gross autopsy photography
JP2017205426A (ja) 心理状態評価用プログラム及び心理状態評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