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461A -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461A
KR20200103461A KR1020190021998A KR20190021998A KR20200103461A KR 20200103461 A KR20200103461 A KR 20200103461A KR 1020190021998 A KR1020190021998 A KR 1020190021998A KR 20190021998 A KR20190021998 A KR 20190021998A KR 20200103461 A KR20200103461 A KR 20200103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ealing
state
uni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호
Original Assignee
조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호 filed Critical 조경호
Priority to KR1020190021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3461A/ko
Publication of KR20200103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16L55/1157Cap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는, 관체의 단부 둘레부 전체를 감싸는 상태로 서로 접힘 조작이 가능하게 연결핀으로 연결 형성되는 제1 캡부와 제2 캡부를 구비하고 관체의 단부 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캡 본체부와, 상기 캡 본체부의 둘레부 측을 분리 가능하게 감싸는 상태로 상기 제1 캡부와 제2 캡부 측을 접힘 상태로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 록킹부와, 상기 캡 본체부의 제1 캡부와 제2 캡부의 둘레부 내측에 배치되며 탄력적인 확장 동작에 의해 관체의 관로 측을 밀폐 상태로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밀폐부, 및 상기 밀폐부 측을 밀폐 차단 동작과 부합하는 상태로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작레버를 구비한 조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cap device to test pressure of piping lines}
본 발명은 각종 배관 라인 시공시 관로의 내부 압력을 시험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 시공 작업은 여러 개의 관체들을 서로 연결 이음 처리하여 관로 라인을 형성하는 상태로 작업이 진행되므로, 시공 작업과 연계하여 관로 라인의 시일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배관 관로 라인의 시일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에는 압력시험용 캡장치가 사용되며, 이 압력시험용 캡장치는 관로 라인의 관체 단부 측을 밀폐 상태로 차단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압력시험용 캡장치는 관체 단부 측을 밀폐 상태로 차단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관체의 파손이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안정적인 연결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압력시험용 캡장치가 관체 측에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연결 자세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되거나 불규칙하게 유동하게 되면, 밀폐 차단력이 저하되어 만족할 만한 시험 정밀도 및 신뢰도를 기대하기 어렵고, 특히 관체 측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특허등록 제10-145534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 라인의 내부 압력 시험시 관로의 밀폐 차단력을 한층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체의 파손이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관체의 단부 둘레부 전체를 감싸는 상태로 서로 접힘 조작이 가능하게 연결핀으로 연결 형성되는 제1 캡부와 제2 캡부를 구비하고, 관체의 단부 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캡 본체부;
상기 캡 본체부의 둘레부 측을 분리 가능하게 감싸는 상태로 상기 제1 캡부와 제2 캡부 측을 접힘 상태로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 록킹부;
상기 캡 본체부의 제1 캡부와 제2 캡부의 둘레부 내측에 배치되며, 탄력적인 확장 동작에 의해 관체의 관로 측을 밀폐 상태로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밀폐부; 및
상기 밀폐부 측을 밀폐 차단 동작과 부합하는 상태로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작레버를 구비한 조작부;
를 포함하는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캡 본체부가 제1 캡부와 제2 캡부로 구성되어 이 캡부들에 의해 관체의 단부 둘레부 전체를 감싸는 안정적인 연결 상태로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 록킹부에 의해 캡 본체부 측을 안정적인 연결 설치 상태로 잡아줄 수 있는 록킹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배관의 내부 압력시험시 만족할 만한 연결 설치 안정성 및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캡 본체부의 연결 설치 자세가 비정상적으로 틀어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관체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7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는, 캡 본체부(10), 캡 록킹부(20), 밀폐부(30) 및 조작부(40)를 포함한다.
캡 본체부(10)는 배관 라인(P)의 관로(P2)를 차단하는 상태로 관체(P1) 측에 연결 설치될 수 있는 캡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캡 본체부(10)는 관체(P1)의 단부 둘레부 전체를 감싸는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 설치될 수 있는 캡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캡 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반원 모양의 둘레부를 각각 가지며 핀 결합으로 연결된 제1 캡부(12)와 제2 캡부(14)를 구비하고, 이 두 개의 캡부(12, 14)는 핀 결합 부분에 의해 움직임이 가이드되는 상태로 접힘 또는 펼침 조작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캡부(12)와 제2 캡부(14)는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하부 측은 개방되고, 상부 측은 슬릿 타입의 가이드홀(H)이 각각 뚫려진 연결부(12a, 14a)가 형성된다.
즉, 제1 캡부(12)와 제2 캡부(14)는 연결부(12a, 14a)들이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연결부(12a, 14a)들의 가이드홀(H)들 측에 연결핀(16)이 끼워져서 이 연결핀(16)과 가이드홀(H)에 의해 접힘 또는 펼침 조작이 가이드될 수 있는 연결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2 캡부(14)의 연결부(14a)는 도 2에서와 같이 제1 캡부(12)의 연결부(12a) 아래쪽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제1 캡부(12) 내측으로 수용되거나 외측으로 벗어나는 방향으로 접힘 또는 펼침 동작이 가능한 크기 및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 구조는 후술하는 캡 록킹부(20)에 의해 캡 본체부(10)의 둘레부 측이 원활하게 감싸여지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1 캡부(10)와 제2 캡부(20) 측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하부 둘레부 내측에 걸림홈(12b, 14b)이 형성되며, 이 걸림홈(12b, 14b)들은 관체(P1) 단부의 둘레부 측에 돌출 형성되는 컬링부(P3) 측에 걸려 질 수 있는 홈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1 캡부(12)와 제2 캡부(14)의 재질은 금속 재질이 사용되며, 금속 중에서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예: 알루미늄)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캡 본체부(10)는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연결핀(16)과 가이드홀(H)의 연결 구조에 의해 제1 캡부(12)와 제2 캡부(14)의 둘레부 측이 서로 원형을 이루도록 접힘 조작되거나, 펼침 조작되면서 관체(P1)의 단부 둘레부 전체를 감싸는 상태로 연결 설치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탈부착 타입의 캡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캡 본체부(10)의 제1 캡부(12)와 제2 캡부(14) 측이 서로 접혀져서 하부 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캡 형태를 이루는 상태로 접힘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되면, 제1 캡부(12)와 제2 캡부(14)에 의해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관체(P1)의 단부 둘레부 전체를 안정적으로 감싸는 걸림 상태로 연결 설치될 수 있으므로, 관체(P1) 단부 측에 연결 설치된 후 연결 자세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되거나 유동되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캡 록킹부(20)는 캡 본체부(10)의 제1 캡부(12)와 제2 캡부(14) 측을 접힘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록킹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캡 록킹부(20)는 캡 본체부(10)의 둘레부 측을 분리 가능하게 감싸서 제1 캡부(12)와 제2 캡부(14)의 움직임을 접촉력으로 제한할 수 있는 록킹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캡 록킹부(2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캡 본체부(10)의 둘레부 측과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캡 본체부(10)의 둘레부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하부 측이 개방된 고정홈(22)이 형성된다.
캡 록킹부(20)는 정,역 회전에 의해 고정 또는 고정 해제 상태로 조작되도록 형성되며, 이를 위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캡 록킹부(20)의 고정홈(22) 내주면과, 캡 본체부(10)의 둘레부 측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나사부(S)가 형성되어 이 나사부(S)에 의해 캡 록킹부(20) 측이 캡 본체부(10)의 둘레부 측을 분리 가능하게 감싸는 상태로 조작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나사부(S)는 캡 록킹부(20)의 정,역 회전 조작시 이 캡 록킹부(20) 측이 캡 본체부(10)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고정 또는 고정 해제 동작이 가능하게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통상의 암,수 나사 형태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캡 록킹부(20)는 예를 들어, 캡 본체부(10)의 제1 캡부(12)와 제2 캡부(14)가 서로 원형을 이루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5에서와 같이 나사부(S)에 의해 캡 본체부(10)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아래쪽으로 이동되면서 제1 캡부(12)와 제2 캡부(14)의 펼침 동작을 제한하여 접힘 상태 유지가 가능하게 잡아주는 고정 상태를 이루도록 조작될 수 있다.
그리고, 캡 본체부(10) 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캡 록킹부(20) 측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부(S)에 의해 캡 본체부(10)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위쪽으로 이동되면서 도 2에서와 같이 제1 캡부(12)와 제2 캡부(14)의 펼침 동작이 가능한 고정 해제 상태를 이루도록 조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캡 록킹부(20)는 캡 본체부(10) 측이 관체(P1)의 단부 측에 연결 설치되거나 분리되는 상태로 탈부착될 때, 이와 부합하도록 캡 본체부(10) 측을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는 록킹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밀폐부(30) 및 조작부(40)는 캡 본체부(10) 측과 연계하여 배관 라인(P)의 관체(P1) 단부 측을 내부 압력시험과 부합하는 밀폐 상태로 차단 및 조작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밀폐부(30)는 도 2에서와 같이, 캡 본체부(10) 내측에 배치되는 밀폐 가이드구(32)와, 이 밀폐 가이드구(32) 측과 연계하여 관체(P1)의 관로(P2)를 차단하기 위한 밀폐 차단구(3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밀폐 가이드구(32)는 도 2에서와 같이 원통의 플랜지 형태를 가지며, 둘레 중앙부에는 핀홀(32a)이 형성되고, 하부 둘레부 측에는 경사면 형태의 접지부(32b)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핀홀(32a)은 캡 본체부(10)의 연결핀(16)이 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홀부를 이루도록 관통 형성된다.
즉, 밀폐 가이드구(32)는 캡 본체부(10) 내측에서 핀홀(32a) 측에 연결핀(16)이 끼워진 상태로 셋팅되며, 캡 본체부(10) 측과 서로 동심을 이룰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
접지부(32b)는 밀폐 가이드구(32)의 하부 둘레부 측에서 위쪽을 향하여 점차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둘레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밀폐 차단구(34)는 도 2에서와 같이 둘레부 측에 단차(34a)가 형성된 원판 형태를 가지며, 연결핀(16)의 하측 단부 측과 연결 고정된 상태로 밀폐 가이드구(32)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단차(34a) 측에는 밀폐부재(36)가 설치된다.
밀폐 차단구(34)와 밀폐 가이드구(32) 사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탄성부재(38, 예: 압축코일스프링)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38)는 연결핀(16) 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밀폐 차단구(34)와 밀폐 가이드구(32) 사이의 간격을 탄력적으로 벌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할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된다.
밀폐 차단구(34)는 관체(P1)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둘레부 크기를 가지며, 밀폐 가이드구(32)의 아래쪽에서 상,하 방향 이동시 밀폐부재(36) 측이 밀폐 가이드구(32)의 접지부(32b) 측에 접촉될 수 있는 상태로 작동되도록 셋팅된다.
밀폐부재(36)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링(예: O-Ring)이 사용되며, 밀폐 차단구(34)의 둘레부 측과 대응하는 링 모양을 이루는 상태로 단차(34a) 측에 셋팅된다.
특히, 밀폐부재(36)는 밀폐 차단구(34)가 후술하는 조작부(40)의 조작에 의해 밀폐 가이드구(32) 측을 향하여 이동될 때, 도 6에서와 같이 밀폐 가이드구(34)의 접지부(34b) 측에 눌려지면서 링 둘레가 밀폐 차단구(34)의 둘레부 외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확장될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된다.
즉, 밀폐부재(36)는 밀폐 가이드구(32)의 접지부(34b) 측에 눌려질 때 링 둘레부가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관체(P1)의 내주면 측에 시일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상태로 관로(P2)의 밀폐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밀폐부(30)는 특히 밀폐 차단구(34)가 관체(P1)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관체(P1) 내주면 측에 밀폐부재(36)가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상태로 관로(P2)의 밀폐 차단이 가능하므로, 밀폐 차단시 관체(P1)의 파손이나 변형을 줄이면서 한층 향상된 밀폐 차단력을 확보할 수 있다.
조작부(40)는 정,역 회전 조작으로 밀폐부(30) 측을 밀폐 차단 상태 또는 차단 해제 상태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조작부(40)는 도 2에서와 같이 조작레버(42)를 구비하고, 이 조작레버(42)는 캡 본체부(10) 위쪽에서 연결핀(16) 측에 연결 설치된 상태로 배치된다.
조작레버(42)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로 정,역 회전 조작할 수 있는 레버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 측에는 지지부(44)가 돌출 형성된다.
조작레버(42)는 암,수 나사부(T) 결합으로 연결핀(16) 측과 서로 연결되며, 이 연결핀(16) 측이 레버 둘레부 중앙 지점을 나사 결합으로 관통하는 방향으로 연결 셋팅될 수 있다.
즉, 조작레버(42)는 정,역 회전 조작시 도 2에서와 같이 지지부(44) 측이 캡 본체부(10)의 상부 측에 지지되면서 연결핀(16)을 상,하 방향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려놓는 상태로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40)의 구조에 의하면, 별도의 도구 없이 작업자의 손을 이용한 수조작 방식으로 조작레버(42) 측을 회전 조작하는 방식으로 관체(P1) 단부의 밀폐 차단 또는 차단 해제와 부합하는 상태로 밀폐부(30) 측을 간편하게 전환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관 라인(P)의 시공시 관체(P1)의 관로(P2) 내부 압력을 시험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탈부착 방식으로 관체(P1)의 단부 측에 연결 설치하여 내부 압력시험과 부합하는 상태로 관로(P2)를 용이하게 밀폐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캡 본체부(10) 측은 요구되는 시험 작업 여건에 따라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연결핀(16)이 중공(16a)을 갖도록 형성되고, 핀 단부 측에는 중공(16a)과 대응하는 압력게이지(G)가 설치된 상태로 압력 확인이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캡 본체부(10)가 제1 캡부(12)와 제2 캡부(14)로 구성되어 이 캡부(12, 14)들에 의해 관체(P1) 단부 둘레부 전체를 감싸는 상태로 연결 설치가 가능하고, 캡 록킹부(20)에 의해 캡 본체부(10) 측을 안정적인 연결 설치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록킹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관체(P1)의 내부 압력을 시험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캡 본체부(10) 측의 연결 상태(자세)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되면서 관체(P1)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한층 향상된 밀폐 차단력 확보할 수 있다.
10: 캡 본체부 20: 캡 록킹부
30: 밀폐부 40: 조작부
P: 배관 라인 P1: 관체

Claims (7)

  1. 관체의 단부 둘레부 전체를 감싸는 상태로 서로 접힘 조작이 가능하게 연결핀으로 연결 형성되는 제1 캡부와 제2 캡부를 구비하고, 관체의 단부 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캡 본체부;
    상기 캡 본체부의 둘레부 측을 분리 가능하게 감싸는 상태로 상기 제1 캡부와 제2 캡부 측을 접힘 상태로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 록킹부;
    상기 캡 본체부의 제1 캡부와 제2 캡부의 둘레부 내측에 배치되며, 탄력적인 확장 동작에 의해 관체의 관로 측을 밀폐 상태로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밀폐부; 및
    상기 밀폐부 측을 밀폐 차단 동작과 부합하는 상태로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작레버를 구비한 조작부;
    를 포함하는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부는,
    상기 제1 캡부와 제2 캡부 측이 상기 연결핀 측을 중심으로 서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방향으로 조작되면서 관체의 단부 둘레부 전체를 감싸는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 록킹부는,
    상기 캡 본체부의 둘레부 측과 암,수 나사부 결합으로 연결되어 정,역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캡 본체부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고정 또는 고정 해제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캡 본체부 내측에 배치되며 접지부를 구비한 밀폐 가이드구와, 상기 밀폐 가이드구 측과 연계하여 관체의 관로 밀폐 차단이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확장되기 위한 밀폐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캡 본체부의 연결핀 단부 측에 연결 고정되는 밀폐 차단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고무링을 사용하고, 상기 밀폐 가이드부의 접지부 측이 눌려지면서 링 둘레부 측이 외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확장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밀폐 차단부 측에 셋팅되는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캡 본체부의 연결핀 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밀폐 차단구와 상기 밀폐 가이드구 간의 간격을 탄력적으로 벌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셋팅되는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조작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캡 본체부의 위쪽에서 상기 연결핀 측과 암,수 나사부 결합으로 연결되어 정,역 회전 조작시 나사부에 의해 상기 연결핀 측을 들어 올리거나 내려놓는 상태로 상기 밀폐부 측을 밀폐 차단 동작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
KR1020190021998A 2019-02-25 2019-02-25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 KR20200103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98A KR20200103461A (ko) 2019-02-25 2019-02-25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98A KR20200103461A (ko) 2019-02-25 2019-02-25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461A true KR20200103461A (ko) 2020-09-02

Family

ID=7244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998A KR20200103461A (ko) 2019-02-25 2019-02-25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346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340B1 (ko) 2013-10-07 2014-10-27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340B1 (ko) 2013-10-07 2014-10-27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7843B2 (en) Gate valve assembly for installation in pressurized pipes
KR102151471B1 (ko) 충전장치
JP7411273B2 (ja) 弁ケース分割部の固定治具の取付方法
CA2927341C (en) Pneumatic pressure relief test plug
JP5341882B2 (ja) 流体の流れを制御するために自動的に作動する小型の安全装置
US3774646A (en) Line stopping assembly using an inflatable element
KR20200103461A (ko)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
TWI237680B (en) Sluicing valve device
KR101454202B1 (ko) 배관용 유체 차단장치
JP6539565B2 (ja) 止水装置
JP6283154B2 (ja) 拡張分割ブッシュパイプ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4498887B2 (ja) メータユニットの配管耐圧検査方法
JP4676462B2 (ja) 水道用メータユニット
KR102029998B1 (ko)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JP5444542B2 (ja) 給油装置の緊急遮断装置
KR101656564B1 (ko)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
JP2005214951A (ja) 水道メータユニット
JP6900003B2 (ja) シール栓装置及び管路封止方法
CN110325779B (zh) 密封插塞装置和密封插塞方法
JP4660186B2 (ja) 継手保持部材及び継手保持部材と継手部材とからなる器具
CN213088803U (zh) 一种高密封性球阀
EP1198683B1 (en) A method of closing a pipe
KR101545700B1 (ko) 파이프 압력 체크기
CN213236488U (zh) 测量联接器
KR200158795Y1 (ko) 중압 천공기용 t형 분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