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564B1 -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 - Google Patents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564B1
KR101656564B1 KR1020140087577A KR20140087577A KR101656564B1 KR 101656564 B1 KR101656564 B1 KR 101656564B1 KR 1020140087577 A KR1020140087577 A KR 1020140087577A KR 20140087577 A KR20140087577 A KR 20140087577A KR 101656564 B1 KR101656564 B1 KR 101656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flow path
coupler
fluid
path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220A (ko
Inventor
임종태
Original Assignee
임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태 filed Critical 임종태
Priority to KR102014008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5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20Safety or protectiv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공급을 위한 배관에 연결되는 수커플러(1) 상에 체결되는 암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수커플러(1)를 수용하면서 안착 가능하게 개재되는 단턱(12)과 내부에 유체의 흐름 방향을 설정 가능하게 일자형(A), L자형(B), T자형(C), 경사형(D)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형성되는 유로홈(11)을 구비하고, 유로홈(11) 내부에 수커플러(1)의 삽설 저항을 줄여 장착이 용이하면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로드씰(13)을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유로홈(11)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23)이 개재된 체크밸브(22)를 수용하는 수용공(21)을 구비하되, 체크밸브(22)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2중으로 방지하게 보조체크밸브(25)를 구비하는 고정부(20); 및 상기 유로홈(11)의 단턱(12) 상에 장착되어 체크밸브(22)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유로홈(11) 내부 가공이 용이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고, 일단에 체크밸브(22)와 맞닿는 접촉면(31)을 구비하고, 유로홈(11)의 단턱(12) 상에 억지 고정되면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게 고정링(32)을 구비하는 고정와셔(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고정와셔를 통해 암커플러의 내부 가공이 용이하면서 구조의 단순화에 따라 조립의 용이성과 제조비용의 저하를 갖으면서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Female coupler for easy machining and assembly}
본 발명은 유체의 공급을 위한 배관에 연결되는 수커플러 상에 체결되는 암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리 가능한 고정와셔를 통해 암커플러의 내부 가공이 용이하면서 구조의 단순화에 따라 조립의 용이성과 제조비용의 저하를 갖는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퀵 커플러(QUICK COULPLER)란 연결구를 말하는 것으로 호스 또는 파이프 수단을 이용하여 물, 기름, 가스, 에어 등의 유체가 이동이 가능하게 호스와 호스, 파이프와 파이프 또는 호스와 파이프 간의 연결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퀵 커플러는 별도의 조립 구성없이 호스와 호스, 파이프와 파이프 등을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어서 유압설비에 사용되는 배관의 연결과 에어 설비에 연결되는 에어관의 연결 및 가스 설비에 사용되는 가스관의 연결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최근에는 그 신속한 결합성 때문에 등반용 장비의 일종인 버너 등에도 활용되고 있으며, 소방용에 이르기까지 그 사용 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84215호에 따르면, ‘결합되어 유체의 통로를 연결하고 분리되어 유체의 통로를 차단하는 암커플러 및 수커플러와, 상기 암커플러와 수커플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퀵커플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커플러는, 상기 수커플러의 일단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일정한 내경을 갖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환형홈과 상기 수용부의 후방에 수용부를 향하여 내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밸브시트부와 상기 밸브시트부의 후방에 형성된 제1환형홈을 갖는 암밸브실린더와, 외주면에 상기 밸브시트부의 테이퍼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축테이퍼부와 상기 축테이퍼부의 전방으로 직경이 감소하도록 연장된 작동부와 상기 축테이퍼부의 후방으로 상기 축테이퍼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연장된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작동부가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수용부로 돌출하도록 삽입 설치된 밸브축과, 상기 밸브축의 상기 축테이퍼부의 후방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축테이퍼의 후방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환형의 제1실링부재와,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제1환형홈에 끼워진 환형의 제1멈춤링과,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외주의 일부가 제거되고 일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멈춤링에 걸리기 위한 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축의 가이드부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된 밸브축지지부재와, 상기 밸브축지지부재와 상기 제1실링부재 사이에 설치된 밸브스프링과, 상기 제2환형홈에 끼워진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수커플러는,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수용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피수용부를 갖고 내경의 단면의 형상이 상기 암밸브실린더의 수용부를 제외한 단면의 형상과 동일한 수밸브실린더와, 상기 수밸브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밸브축과, 제1실링부재와, 제1멈춤링과, 밸브축지지부재와, 밸브스프링은 상기 암커플러의 밸브축과, 제1실링부재와, 제1멈춤링과, 밸브축지지부재와, 밸브스프링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암컬플러와 수커플러의 결합면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커플러 장치.’를 제시한다.
하지만, 퀵커플러 장치는 내측에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면서 역류를 방지를 위하여 체크밸브가 삽설되는 바, 이러한 체크밸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다. 그러나, 경사진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가공 공구를 통해 정밀 가공이 필요하나 공구에 의한 떨림이나 충격 등에 의하여 돌출부의 파손이나 공구의 파손이 빈번하게 이루어져 불량률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그에 따른 비용 과다 발생으로 고가의 제품 가격 상승화로 인한 소비자의 부담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84215호 “퀵커플러 장치”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리 가능한 고정와셔를 통해 암커플러의 내부 가공이 용이하면서 구조의 단순화에 따라 조립의 용이성과 제조비용의 저하를 갖는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체의 공급을 위한 배관에 연결되는 수커플러 상에 체결되는 암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수커플러를 수용하면서 안착 가능하게 개재되는 단턱과 내부에 유체의 흐름 방향을 설정 가능하게 일자형, L자형, T자형, 경사형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형성되는 유로홈을 구비하고, 유로홈 내부에 수커플러의 삽설 저항을 줄여 장착이 용이하면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로드씰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유로홈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이 개재된 체크밸브를 수용하는 수용공을 구비하되, 체크밸브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2중으로 방지하게 보조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고정부; 및 상기 유로홈의 단턱 상에 장착되어 체크밸브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유로홈 내부 가공이 용이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고, 일단에 체크밸브와 맞닿는 접촉면을 구비하고, 유로홈의 단턱 상에 억지 고정되면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게 고정링을 구비하는 고정와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는 유로홈 내부에 유체의 흐름 방향을 설정 가능하게 일자형, L자형, T자형, 경사형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고정와셔를 통해 암커플러의 내부 가공이 용이하면서 구조의 단순화에 따라 조립의 용이성과 제조비용의 저하를 갖으면서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의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의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유체의 공급을 위한 배관에 연결되는 수커플러(1) 상에 체결되는 암커플러에 관련되며, 본체(10), 고정부(20), 고정와셔(3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상기 수커플러(1)를 수용하면서 안착 가능하게 단턱(12)이 개재되는 유로홈(11)을 구비한다. 본체(10)는 내부에 유체의 이동이 가능한 유로홈(11)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유로홈(11)에는 단턱(12)이 형성되는 바, 상기 본체(10)의 내부 유로홈(11)으로 수커플러(1)가 삽설된 상태로 단턱(12)에 안착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20)는 상기 본체(10)의 유로홈(11)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23)이 개재된 체크밸브(22)를 수용하는 수용공(21)을 구비한다. 고정부(20)는 스프링(23)이 개재되어 탄성력에 의해 동작이 가능한 체크밸브(22)가 내부에 수용되는 바, 상기 체크밸브(22)는 본체(10)의 내부에 삽설되는 수커플러(1) 내부에 체크밸브(22')의 끝단부가 서로 맞닿아 유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유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은 후술하는 고정와셔(30)와 함께 설명토록 하고, 체크밸브(22)(22')는 각각의 스프링(23)(23')에 의해 체크밸브(22)(22')를 밀어주고 있게 되며, 본체(10) 상에 수커플러(1)가 삽설될 경우 상술한 체크밸브(22)(22')의 끝단부가 서로 맞닿아 체크밸브(22)(22')는 서로 대향되게 이동하여 유체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체크밸브(22)(22')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또한, 고정부(20)는 중앙에 수용공(21)이 형성된 상태로 수용공(21)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다수개의 유체공(24)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수용공(21)만을 형성하여 체크밸브(22)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정와셔(30)는 상기 유로홈(11)의 단턱(12) 상에 장착되어 체크밸브(22)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유로홈(11) 내부 가공이 용이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비한다. 고정와셔(30)는 본체(10)의 유로홈(11)에 삽설되어 상술한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력이 발휘되는 체크밸브(22)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체크밸브(22)(22')가 서로 맞닿아 밀려날 때, 유체의 이동 공간이 확보된다. 고정와셔(30)는 탈착 가능하게 구비함에 따라 본체(10)의 내부 가공 시 정밀 가공이 필요한데 본체(10)의 유로홈(11) 내부의 내경이 작고 깊게 형성됨에 따라 가공 공구는 길고 가늘게 형성하여 사용하여야 함으로 고정와셔(30)와 체크밸브(22)가 맞닿는 부위는 공구의 떨림 및 충격에 의해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가공 시 본체(10)와 고정와셔(30)가 따로 형성됨에 따라 본체(10)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유로홈(11) 내부에 유체의 흐름 방향을 설정 가능하게 일자형(A), L자형(B), T자형(C), 경사형(D)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0)는 일자형(A), L자형(B), T자형(C), 경사형(D)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는 바, 상술하여 설명하였던 구성은 일자형(A)을 설명한 것이고 다른 변형예로 L자형(B), T자형(C), 경사형(D)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L자형(B), T자형(C), 경사형(D)의 구성은 상술한 탈착 가능한 고정와셔(30)를 통하여 본체(10) 내부의 유로홈(11)의 형성하는 것의 편의성이 향상함에 따라 L자형(B), 경사형(D),T자형(D) 등의 구성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유로홈(11) 내부에 수커플러(1)의 삽설 저항을 줄여 장착이 용이하면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로드씰(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체(10)의 유로홈(11)에는 수커플러(1)가 삽설되었을 때,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링을 장착하는 바, 다수개의 오링을 사용할 경우 수커플러(1)를 삽입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어 삽설 저항을 줄이면서 기밀의 유지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와셔(30)는 일단에 체크밸브(22)와 맞닿는 접촉면(31)을 구비하고, 유로홈(11)의 단턱(12) 상에 억지 고정되면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게 고정링(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0)내부 유로홈(11)의 단턱(12)에는 상술한 수커플러(1)와 본체(10)인 암커플러는 스프링(23)에 의해 가압력을 전달받는 체크밸브(22)(22')를 통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는 바, 본체(10)의 경우 삽설된 고정와셔(30)에 체크밸브(22)가 맞닿아 항상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와셔(30)에는 상술한 것처럼 체크밸브(22)가 일단에 접촉면(31)과 맞닿아 항상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고, 고정와셔(30)는 고정링(32)에 의해 억지끼움되어 본체(10)의 단턱(12) 상에 안착하여 고정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20)는 체크밸브(22)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2중으로 방지하게 보조체크밸브(2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20)는 유체의 누설을 2중으로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예방을 할 수 있도록 보조체크밸브(25)를 구비하는 바, 상기 체크밸브(22)의 외주에 일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이격되게 안착된다. 상기 스프링(23)은 체크밸브(22)와 보조체크밸브(25)를 함께 지지한 상태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스프링(23)에 의해서 고정와셔(30)를 가압하는 체크밸브(22)와 보조체크밸브(25)에 의해 2중으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고정와셔를 통해 암커플러의 내부 가공이 용이하면서 구조의 단순화에 따라 조립의 용이성과 제조비용의 저하를 갖으면서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수커플러 10: 본체
11: 유로홈 12: 단턱
13: 로드씰 20: 고정부
21: 수용공 22: 체크밸브
23: 스프링 24: 유체공
30: 고정와셔 31: 접촉면
32: 고정링 A: 일자형
B: L자형 C: 경사형
D: T자형

Claims (5)

  1. 유체의 공급을 위한 배관에 연결되는 수커플러(1) 상에 체결되는 암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수커플러(1)를 수용하면서 안착 가능하게 개재되는 단턱(12)과 내부에 유체의 흐름 방향을 설정 가능하게 일자형(A), L자형(B), T자형(C), 경사형(D)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형성되는 유로홈(11)을 구비하고, 유로홈(11) 내부에 수커플러(1)의 삽설 저항을 줄여 장착이 용이하면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로드씰(13)을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유로홈(11)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23)이 개재된 체크밸브(22)를 수용하는 수용공(21)을 구비하되, 체크밸브(22)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2중으로 방지하게 보조체크밸브(25)를 구비하는 고정부(20); 및
    상기 유로홈(11)의 단턱(12) 상에 장착되어 체크밸브(22)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유로홈(11) 내부 가공이 용이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고, 일단에 체크밸브(22)와 맞닿는 접촉면(31)을 구비하고, 유로홈(11)의 단턱(12) 상에 억지 고정되면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게 고정링(32)을 구비하는 고정와셔(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87577A 2014-07-11 2014-07-11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 KR101656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577A KR101656564B1 (ko) 2014-07-11 2014-07-11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577A KR101656564B1 (ko) 2014-07-11 2014-07-11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220A KR20160007220A (ko) 2016-01-20
KR101656564B1 true KR101656564B1 (ko) 2016-09-09

Family

ID=5530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577A KR101656564B1 (ko) 2014-07-11 2014-07-11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5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5277A (ja) * 2016-08-12 2018-02-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弁体、弁体の製造方法、及び管継手
CN110966474A (zh) * 2019-12-31 2020-04-07 俞航丰 一种具有快接水嘴的电磁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4209B2 (en) 2004-08-06 2008-01-01 Cooper Standard Automotive, Inc. Stub out fluid quick connector with shut off valve interface
JP2008075715A (ja) * 2006-09-20 2008-04-03 Smc Corp 管継手
JP2013068286A (ja) * 2011-09-22 2013-04-18 Nagahori Industry Co Ltd 流体継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095B1 (ko) 2003-03-27 2006-07-28 조용민 퀵 커플러 장치
KR101082539B1 (ko) * 2009-05-18 2011-11-10 주식회사 미래보 퀵 커플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4209B2 (en) 2004-08-06 2008-01-01 Cooper Standard Automotive, Inc. Stub out fluid quick connector with shut off valve interface
JP2008075715A (ja) * 2006-09-20 2008-04-03 Smc Corp 管継手
JP2013068286A (ja) * 2011-09-22 2013-04-18 Nagahori Industry Co Ltd 流体継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5277A (ja) * 2016-08-12 2018-02-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弁体、弁体の製造方法、及び管継手
CN110966474A (zh) * 2019-12-31 2020-04-07 俞航丰 一种具有快接水嘴的电磁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220A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0155B2 (en) Latching poppet valve
CN107477295B (zh) 具有排放构件的快速连接元件和包括这种元件的连接构件
JP5060302B2 (ja) 流体圧力制御デバイスのためのシール組立体
KR102342755B1 (ko) 밸브 장치
US20190368642A1 (en) Pipe joint
CN103225697A (zh) 用于流体阀的防旋转组件
KR20130056883A (ko) 유체 커플링
US10221953B2 (en) Non chattering pressure relief valve
US9739386B2 (en) Check valve element and check valve using the same
EP2906860B1 (en) Check valve
US10267428B2 (en) Modular check valve
US10677085B2 (en) Stop valve and steam turbine
CN104358884B (zh) 用于流体阀的密封组件
KR101656564B1 (ko)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암커플러
JP2017101820A (ja) クイックカプラ用ガスケットおよび前記ガスケットを備えるクイックカプラ
CN102705618A (zh) 一种在高压状态下利用接头间压力差操作的快速接头
US20150219232A1 (en) Membrane style excess flow valve
JP2016205432A (ja) シール装置
JP2015180827A (ja) 過流出防止機構付きガス栓
JP6162728B2 (ja) 弁組立体内の傾斜嵌合面
US20150309515A1 (en) Dual pressure shuttle valve
JP5735024B2 (ja) 管継手
US10801656B2 (en) Pressure reducing valve
JP2009281396A (ja) プラグとソケットとの封止構造
JP2017129256A (ja) Y型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