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340B1 -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 Google Patents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340B1
KR101455340B1 KR1020130119292A KR20130119292A KR101455340B1 KR 101455340 B1 KR101455340 B1 KR 101455340B1 KR 1020130119292 A KR1020130119292 A KR 1020130119292A KR 20130119292 A KR20130119292 A KR 20130119292A KR 101455340 B1 KR101455340 B1 KR 101455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tate
connection
blocking plate
connec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기술
Priority to KR1020130119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01N3/12Pressure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3Pressure

Abstract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을 개시한다.
이러한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은, 관체의 단부가 끼워지는 연결공간을 구비하고, 이 연결공간의 둘레부 일측에 관체의 착탈통로가 형성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연결공간 측에 일단이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캡 본체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타단과 나사 결합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캡 본체 외측에 배치되며, 정,역 회전 조작시 나사 결합력으로 상기 연결축을 길이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상태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 조작레버와, 상기 캡 본체 측에서 상기 연결축이 상기 착탈통로를 향하여 측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태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캡 본체 측에 슬롯타입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한 착탈안내부 그리고, 상기 캡 본체 내측에서 상기 연결축의 단부와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축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 관체의 관로를 시일 상태로 차단하거나 차단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AN ENDCAP FOR PRESSURE TEST OF PIPES}
본 발명은,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에 관한 것이다.
건축구조물의 배관 라인은 대부분 바닥이나 벽체 내부에 설치되므로, 보온 공사 등 후속 작업 전에 배관 라인의 시일 상태를 미리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배관의 시공 정밀도 및 시공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배관 라인의 시일 상태를 확인 작업은, 주로 압력게이지를 사용하여 배관의 관체 내부 압력 편차 등을 확인 및 측정하는 작업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배관의 관체 일단에 압력게이지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장치로는 "압력시험용 마감캡"이라 불리우는 어댑터 타입의 연결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마감캡으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 제10-1067782호의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한 압력시험용 마감캡은, 몸체부 측에 관체를 연결하거나, 연결 상태를 분리하기 위한 조작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관체의 단부를 몸체부의 절개부 측에 강제로 밀어 넣으려면 가압부재 측에 작용하는 탄성력보다 큰 힘이 필요하므로 연결 작업이 불편하고 과다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가압부재가 탄력적으로 가압 동작된 상태에서 관체를 강제로 밀어 넣거나 빼내는 방식은, 관체는 물론이거니와 가압부재가 접촉력에 의해 비(非) 정상으로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마감캡의 연결 조작이 불편한 구조는 예를 들어, 압력 시험시 관체 단부들을 단순하게 밀폐 상태로 차단하기 위한 캡(cap) 용도로만 사용할 때 신속하고 편리한 조작이 어려우므로 사용 편의성이 더욱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배관의 시일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시 한층 향상된 조작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관체의 단부가 끼워지는 연결공간을 구비하고, 이 연결공간의 둘레부 일측에 관체의 착탈통로가 형성된 캡 본체;
상기 캡 본체의 연결공간 측에 일단이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캡 본체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의 타단과 나사 결합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캡 본체 외측에 배치되며, 정,역 회전 조작시 나사 결합력으로 상기 연결축을 길이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상태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 조작레버;
상기 캡 본체 측에서 상기 연결축이 상기 착탈통로를 향하여 측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태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캡 본체 측에 슬롯타입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한 착탈안내부;
상기 캡 본체 내측에서 상기 연결축의 단부와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축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 관체의 관로를 시일 상태로 차단하거나 차단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일부;
를 포함하는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조작레버로 연결축을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시일부를 작동시켜서 관체의 단부 관로를 간편하게 시일상태로 차단하거나 차단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연결축이 관체의 착,탈 동작과 부합하는 상태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캡 본체 측에 착탈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축을 움직이는 방식으로 관체의 착,탈을 더욱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배관의 시일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한층 향상된 조작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8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면 부호 2는 마감캡의 캡 본체를 지칭한다.
상기 캡 본체(2)는, 배관의 관체(P)와 대응하여 일종의 연결용 어댑터와 같은 역할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캡 본체(2)는, 내부에 연결공간(A)을 구비하고, 이 연결공간(A)과 대응하도록 착탈통로(A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공간(A)은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관체(P)의 단부(P1)가 끼워진 상태에서 관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걸려질 수 있는 크기 및 모양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탈통로(A1)는 관체(P)의 단부(P1)가 상기 연결공간(A)과 대응하여 착,탈 가능하게 통과하기 위한 통로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캡 본체(2)의 둘레부 일측이 상기 연결공간(A)과 연통된 상태를 이루도록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본체(2)의 재질은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금속이나 합성수지 중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은, 상기 캡 본체(2)와 대응하는 연결축(4)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축(4)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캡 본체(2) 상부를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연결공간(A) 내측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캡 본체(2)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은, 상기 연결축(4)과 대응하는 조작레버(6) 및 시일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조작레버(6) 및 시일부(8)는 상기 캡 본체(2) 측에서 상기 연결축(4)을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관체(P)의 단부(P1) 측 관로(P2)를 시일 상태로 차단하거나, 차단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작레버(6)는 정,역 회전 조작 방식으로 상기 캡 본체(2) 측에서 상기 연결축(4)을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레버(6)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원형의 레버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암,수 나사부(C)에 의해 상기 연결축(4)의 단부와 나사 결합된 상태로 상기 캡 본체(2)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C)는 상기 조작레버(6)의 정,역 회전 조작시 상기 연결축(4)이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암,수 나사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작레버(6)는 정,역 방향의 회전 조작시 상기 나사부(C)에 의해 상기 연결축(4)을 상기 캡 본체(2)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시일부(8)는 상기 조작레버(6)의 정,역 회전 조작시 상기 연결축(4)의 이동 동작과 연계하여 관체(P) 단부(P1)의 관로(P2)를 시일 상태로 차단하거나, 차단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시일부(8)는 도 2에서와 같이 제1 차단판(D1), 제2 차단판(D2) 및 시일링(D3)을 구비하고, 상기 캡 본체(2) 내측에서 상기 연결축(4)의 단부 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차단판(D1) 및 제2 차단판(D2)은, 관체(P)의 관로(P2)를 차단하는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차단판(D1)은 상기 연결축(4)의 단부 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차단판(D2)은 상기 제1 차단판(D1)과 마주하는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연결축(4)에 끼워진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차단판(D1) 및 제2 차단판(D2)은, 상기 연결축(4)에서 서로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질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시일링(D3)은 통상의 고무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관체(P)의 관로(P2) 둘레와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시일링(D3)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차단판(D1)과 제2 차단판(D2)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그러면,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차단판(D1, D2) 간격이 벌어진 상태에서 좁혀지는 상태로 작동될 때 상기 시일링(D3)의 양측면이 눌려지면서 링 둘레부가 외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확장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두 개의 차단판(D1, D2) 간격이 좁혀지는 동작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6)의 일방향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축(4)이 위로 이동될 때, 상기 제2 차단판(D2)은 상기 연결공간(A)의 내부면 측에 걸려지고, 상기 제1 차단판(D1)은 상기 연결축(4)을 따라 위로 이동되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일부(8)는, 상기 시일링(D3)의 둘레부 확장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누름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차단판(D2) 측에 경사면(K)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사면(K)은 상기 제2 차단판(D2)의 일면 둘레부 측에 경사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차단판(D1) 및 제2 차단판(D2)의 간격이 서로 좁혀질 때 상기 경사면(K)으로 상기 시일링(D3)의 둘레부를 외측으로 밀어서 상기 시일링(D3)의 둘레부가 더욱 원활하게 확장될 수 있는 상태로 누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시일부(8)의 작동에 의해 관체(P)의 관로(P2)를 외부와 차단된 시일로 간편하게 차단하거나 차단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시일부(8)는 도 2에서와 같이 탄성부재(D4)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D4)는 상기 제1 차단판(D1)과 제2 차단판(D2) 사이에 배치되어 이 두 개의 차단판(D1, D2) 간격을 벌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셋팅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두 개의 차단판(D1, D2) 간격이 서로 좁혀진 상태에서 시일을 해제할 때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은, 착탈안내부(1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착탈안내부(10)는, 상기 캡 본체(2) 측에서 착탈통로(A1)를 향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연결축(4)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착탈안내부(10)는, 가이드홈(E)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홈(E)은 상기 캡 본체(2)의 상부에 형성되어 홈부 측에 상기 연결축(4)이 끼워진 상태로 셋팅된다.
상기 가이드홈(E)은 상기 캡 본체(2)의 상부 중앙부 지점에서 둘레부를 향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슬롯(slot)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홈(E)은 상기 연결축(4)의 축선이 상기 캡 본체(2)의 중앙부에서 둘레부 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벗어난 상태로 위치 가능하게 안내될 수 있는 홈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캡 본체(2) 측에 가이드홈(E)이 형성되면, 상기 연결축(4) 및 조작레버(6)를 움직여서 상기 캡 본체(2)의 착탈통로(A1)를 통해 관체(P)를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축(4)을 상기 캡 본체(2)의 상부 중앙부 측에서 상기 가이드홈(E)을 따라 둘레부 외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연결축(4)의 단부 측에 설치된 시일부(8)가 관체(P)의 단부(P1) 관로(P2) 측에 끼워지도록 셋팅한다.
그런 다음,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축(4)을 상기 가이드홈(E) 타측을 향하여 이동시키면, 상기 관체(P)의 단부(P1)가 착탈통로(A1)를 통해서 상기 캡 본체(2)의 연결공간(A)과 대응하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시일부(8)가 시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레버(6)를 회전 조작하면, 상기 시일부(8)의 시일링(D3)이 누름 동작에 의해 둘레부가 확장되면서 도 5에서와 같이 관체(P)의 관로(P2) 내부면과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시일부(8)에 의해 관체(P)의 관로(P2)가 시일 상태로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체(P)를 캡 본체(2) 측에서 분리하려면, 상기 조작레버(6)를 조작하여 상기 시일부(8)의 시일 상태를 해제한 다음, 상기 가이드홈(E)을 따라 상기 연결축(4)을 다시 외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상기 시일부(8) 측에서 상기 관체(P)를 분리하면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착탈안내부(10)에 의해 상기 연결축(4)을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움직이는 방식으로 관체(P)의 단부(P1) 측에 캡 본체(2)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착탈 방식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관체를 강제로 밀어 넣거나 빼내는 착,탈 방식과 비교할 때 착,탈 작업을 더욱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은, 도 2에서와 같이 관체(P)의 단부(P1)와 대응하도록 캡 본체(2)를 설치하여 상기 관체(P)의 관로(P2) 내부 압력을 측정 및 확인하기 위한 작업과 부합하는 상태로 상기 관로(P2)를 간편하게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작레버(6)의 정,역 회전 조작으로 시일부(8)를 조작하여 관체(P)의 관로(P2)를 안정적인 시일 상태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관로(P2)의 내부 압력을 측정 및 확인하는 작업시 한층 향상된 시일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착탈안내부(10)를 구비하여 관체(P)의 단부(P1) 측에 캡 본체(2)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관체(P)의 관로(P2) 내부 압력을 측정 및 확인하는 작업시 한층 향상된 조작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은, 도 8에서와 같이 압력게이지(M)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력게이지(M)는 캡 본체(2) 상부에서 연결축(4)의 돌출 단부와 연결된 상태로 셋팅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축(4)에는 일단 및 타단을 관통하는 상태로 홀부(B)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력게이지(M)는, 각종 관체(P)들의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 본체(2) 위쪽에서 상기 연결축(4)의 단부와 통상의 방법(예: 나사 결합)으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압력게이지(M)를 셋팅하면, 상기 홀부(B)를 통해서 관체(P)의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마감캡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캡 본체(2)를 관체(P)의 단부(P1) 측에 끼워서 관로(P2)의 내부 압력을 직접 측정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2: 캡 본체 4: 연결축 6: 조작레버
8: 시일부 10: 착탈안내부 P: 관체
M: 압력게이지

Claims (11)

  1. 관체의 단부가 끼워지는 연결공간을 구비하고, 이 연결공간의 둘레부 일측에 관체의 착탈통로가 형성된 캡 본체;
    상기 캡 본체의 연결공간 측에 일단이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캡 본체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의 타단과 나사 결합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캡 본체 외측에 배치되며, 정,역 회전 조작시 나사 결합력으로 상기 연결축을 길이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상태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 조작레버;
    상기 캡 본체 측에서 상기 연결축이 상기 착탈통로를 향하여 측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태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캡 본체 측에 슬롯타입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한 착탈안내부;
    상기 캡 본체 내측에서 상기 연결축의 단부와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축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 관체의 관로를 시일 상태로 차단하거나 차단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일부;
    를 포함하며,
    상기 시일부는,
    상기 캡 본체의 연결공간 측에서 상기 연결축의 단부 측에 고정되는 제1 차단판과, 이 제1 차단판과 마주하는 상태로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상태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연결축 상에 설치되는 제2 차단판과, 상기 제1 차단판 및 제2 차단판 사이에 배치되는 시일링을 구비하고, 상기 관체의 단부 관로를 차단하는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연결공간 측에 배치된 관체 단부가 관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 상태로 걸려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는,
    정,역 회전 조작시 상기 연결축을 길이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이 연결축과 연결된 시일부가 상기 캡 본체의 연결공간에서 시일 상태 또는 시일 해제 상태로 작동될 수 있도록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는,
    상기 연결축이 길이방향 어느 한쪽으로 움직일 때 상기 캡 본체 측에서 상기 제1 차단판 및 제2 차단판 간격이 서로 좁혀지는 상태로 상기 시일링의 양측면을 눌러서 링의 둘레부가 외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확장되는 동작으로 상기 관체의 관로와 대응하는 시일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셋팅되는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은,
    고무링을 사용하는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는,
    경사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 차단판 또는 상기 제2 차단판의 둘레부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차단판 및 제2 차단판 간격이 서로 좁혀질 때 상기 시일링의 확장 동작과 부합하도록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차단판 및 제2 차단판 사이에 배치되어 이 두 개의 차단판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안내부는,
    상기 연결축의 축선이 상기 캡 본체의 연결공간 중앙부에서 둘레부를 향하여 외측으로 벗어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캡 본체 측에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은, 압력게이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게이지는,
    상기 연결축의 양측 단부 중에서 상기 캡 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단부 측에 배치되는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일단 및 타단을 관통하는 상태로 내측에 홀부가 형성되는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KR1020130119292A 2013-10-07 2013-10-07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KR101455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292A KR101455340B1 (ko) 2013-10-07 2013-10-07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292A KR101455340B1 (ko) 2013-10-07 2013-10-07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340B1 true KR101455340B1 (ko) 2014-10-27

Family

ID=5199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292A KR101455340B1 (ko) 2013-10-07 2013-10-07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3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461A (ko) 2019-02-25 2020-09-02 조경호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369B1 (ko) * 2006-06-16 2006-12-19 주식회사 다성테크 누수시험용 파이프 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369B1 (ko) * 2006-06-16 2006-12-19 주식회사 다성테크 누수시험용 파이프 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461A (ko) 2019-02-25 2020-09-02 조경호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8820B2 (en) Servicing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3443597B (zh) 用于将物体引入管的装置
EP3553362B1 (en) One-touch pipe connecting apparatus
US20090032757A1 (en) Valve Having Diameter-Reducible Joint Part, Joint for Diameter Reduction, and Plumbing System Using These
CN210716465U (zh) 一种蝶阀安装结构
US20130263674A1 (en) Tube or pipe clamp with a force measurement device
WO2019079933A1 (zh) 单向阀和具备单向阀的补胎胶水瓶
KR101455340B1 (ko)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WO2021068433A1 (zh) 一种塑料管道快接接头
US20080224079A1 (en) Valve having diameter-reducible joint part, joint for diameter reduction, and plumbing system using these
US20060011880A1 (en) Water supply shut off valve with quick connect having flow regulation
US828181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auging and controlling fluids and gases from pipes and orifices
CA2926458C (en) Tap with integral ball valve
CN110274100B (zh) 一种发动机管路快速连接器
US20130098473A1 (en) Tool for Removing and Installing Plugs and Method of Operation
US10683958B1 (en) Adjustable drain pipe test plug for arbitrary pipe wall thickness
WO2021068862A1 (zh) 分水器用流量计
KR102029998B1 (ko)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JP2007297910A (ja) 水道用メータユニット
AU2015301069B2 (en) Landfill gas wellhead cap assembly
US11421805B2 (en) Telescoping meter flange
CN214502876U (zh) 一种阀门适配连接装置
JP7002216B2 (ja) 配管機材用町野式口金
CN106644286B (zh) 一种低温截止阀密封固定装置
AU2016259295A1 (en) A coup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