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456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456A
KR20200103456A KR1020190021984A KR20190021984A KR20200103456A KR 20200103456 A KR20200103456 A KR 20200103456A KR 1020190021984 A KR1020190021984 A KR 1020190021984A KR 20190021984 A KR20190021984 A KR 20190021984A KR 20200103456 A KR20200103456 A KR 20200103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ate
sorting device
support
sup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신원
정맹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1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3456A/ko
Publication of KR20200103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6Combines with hea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0Field threshers with windrow pick-up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콤바인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선별하고자 하는 곡립 등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풍량을 선별하고자 하는 곡립측으로 송풍할 수 있으므로, 곡립의 선별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송풍부재에서 발생된 풍향을 조절하여, 요동선별장치의 특정 부위에 집중할 수 있으므로, 곡립의 선별 능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콤바인 {Combine}
본 발명은 송풍선별장치에서 발생되는 풍량 및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Combine)은 농작물을 수확하는 농업기계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농작물을 예취하는 예취(刈取)장치, 예취된 농작물을 차대(車臺)의 내부로 이송하는 이송장치, 이송된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장치, 탈곡된 농작물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및 선별된 농작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등을 포함한다.
상기 탈곡장치에서 탈곡된 농작물은 상기 선별장치로 낙하되고, 농작물의 탈곡시 분리된 짚 등은 상기 탈곡장치의 후방측으로 이송되어 상기 차대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선별장치는 탈곡된 농작물을 곡립(穀粒)과 지푸라기 등으로 선별하고, 선별된 곡립을 정상적인 곡립과 비정상적인 곡립으로 선별한다. 정상적인 곡립은 상기 저장탱크로 이송되고, 비정상적인 곡립은 상기 차대의 전방측으로 환원된 후, 재탈곡을 위하여 상기 탈곡장치로 재이송되며, 지푸라기 등은 상기 차대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선별장치는 곡립을 요동(搖動)시켜 선별하는 요동선별장치, 상기 요동선별장치의 하측에 설치되며 바람을 발생하여 상기 요동선별장치측으로 송풍하는 송풍선별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콤바인의 송풍선별장치의 요부 측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송풍선별장치는 바람을 발생시켜 보내는 송풍부재(11)를 포함하며, 송풍부재(11)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1a)과 회전축(11a)에 설치되며 회전축(11)과 함께 회전하는 블레이드(11b)를 가진다.
회전축(11a)은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한쌍의 측판(21) 사이에 위치되며, 한쌍의 측판(21)의 전단부측에는 회전축(11a)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13)이 설치된다.
지지프레임(13)의 외측에 위치된 회전축(11a)의 단부에는 회전축(11a)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풀리(15)가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3)이 설치된 한쌍의 측판(21) 부위에는, 송풍부재(11)의 회전시, 한쌍의 측판(21) 외측의 공기가 한쌍의 측판(21)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유입공(21a)이 형성된다.
한쌍의 측판(21) 사이에는 곡립판(23)이 설치된다. 곡립판(23)은 한쌍의 측판(21) 상측에 설치된 요동선별장치에서 낙하한 곡립을 지지한다. 그리고, 송풍부재(11)의 상측 부위의 한쌍의 측판(21)의 사이에는 송풍부재(11)측으로 곡립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블레이드(11b)에서 발생된 바람이 한쌍의 측판(21)의 후단부측으로 송풍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판(25)이 설치된다.
한쌍의 측판(21)과 곡립판(23)과 안내판(25)은 송풍부재(11)에서 발생된 바람이 한쌍의 측판(21)의 후단부측으로 송풍되도록 안내하는 덕트의 기능을 한다. 그리고, 송풍부재(11)와 인접한 곡립판(23)의 부위는 회전축(11a)의 하측에 위치되고 경사면(23a)으로 형성되며, 경사면(23a)은 송풍부재(11)에서 발생된 바람이 상기 요동선별장치측으로 송풍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경사면(23a) 상측의 한쌍의 측판(21) 부위에는 정류판(整流板)(27)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정류판(27)은 송풍부재(11)에서 송풍되는 바람의 흐름이, 튀겨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하게 상기 요동선별장치측으로 흐르도록 안내한다.
곡립 및 지푸라기에 수분이 많이 함유된 경우, 곡립 및 지푸라기는 상대적으로 무겁다. 그러면, 정상적인 상태에 비하여, 송풍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콤바인의 송풍선별장치는 유입공(21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다. 그러면, 한쌍의 측판(2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상기 요동선별장치측으로 송풍되는 송풍량을 조절할 수 없다. 이로 인해, 곡립의 선별 능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농작물의 유형에 따라, 송풍선별장치의 상측에 위치된 요동선별장치의 특정 부위에 곡립 및 지푸라기가 집중될 수 있다. 그러면, 곡립 및 지푸라기가 집중된 부위로 바람을 집중시켜주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콤바인의 송풍선별장치는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아무런 수단이 없으므로, 곡립의 선별 능력이 더욱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풍량 및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곡립의 선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차대(車臺); 상기 차대에 설치되며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장치; 상기 차대에 설치되며, 상기 탈곡장치의 하측에 위치되어 탈곡된 농작물을 요동(搖動)시키는 요동선별장치; 상기 요동선별장치의 하측에 위치되고 바람을 발생하여 상기 요동선별장치측으로 송풍하며, 상기 요동선별장치측으로 송풍량을 조절하여 송풍하는 송풍선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차대(車臺); 상기 차대에 설치되며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장치; 상기 차대에 설치되며, 상기 탈곡장치의 하측에 위치되어 탈곡된 농작물을 요동(搖動)시키는 요동선별장치; 상기 요동선별장치의 하측에 위치되고 바람을 발생하여 상기 요동선별장치측으로 송풍하며, 상기 요동선별장치측으로 풍향을 조절하여 송풍하는 송풍선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은, 선별하고자 하는 곡립 등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풍량을 선별하고자 하는 곡립측으로 송풍할 수 있으므로, 곡립의 선별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송풍부재에서 발생된 풍향을 조절하여, 요동선별장치의 특정 부위에 집중할 수 있으므로, 곡립의 선별 능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콤바인의 송풍선별장치의 요부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송풍선별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측판 및 제2측판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판의 다양한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3의 단면 사시도.
도 9는 도 8을 다른 방향에서 본 확대 일부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판이 지지되는 제1지지공 및 제2지지공의 다른 형상을 보인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된다, 결합된다,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별도로 마련되어 형성되거나, 결합되거나, 설치된 것 뿐만 아니라,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하나의 몸체인 일체로 된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송풍선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은 차대(車臺)(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차대(110)를 포함한 구성 요소들의 방향 및 면을 지칭함에 있어서, 콤바인이 전진하는 방향을 "전방" 이라 하고, 후진하는 방향을 "후방" 이라 한다.
차대(110)의 전면 일측 부위에는 작업자가 콤바인을 운전하기 위한 운전실(120)이 설치될 수 있고, 운전실(120)의 대략 후방 하측 부위에는 동력을 생성하는 엔진이 설치된 엔진실이 형성될 수 있다.
차대(110)의 전방측에는 농작물의 줄기 등을 예취하기 위한 예취(刈取)장치(130)가 설치될 수 있고, 예취장치(130)는 농작물을 세워서 농작물을 수집하기 위한 릴부와 농작물을 예취하기 위한 예취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취장치(130)의 후방측 차대(110)의 부위, 즉 차대(110)의 전면 타측 부위에는 예취장치(130)에서 예취된 농작물을 차대(110) 내부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14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장치(140)의 후방측에는 이송장치(140)를 통하여 운반된 농작물을 탈곡하기 위한 탈곡장치(15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이송장치(140)는 예취장치(130)와 탈곡장치(150) 사이에 설치되어 예취장치(130)에서 예취된 농작물을 탈곡장치(150)로 이송한다.
탈곡장치(150)에서 탈곡된 농작물 중, 곡립(穀粒)은 탈곡장치(150)의 하측에 설치된 선별장치로 낙하될 수 있고, 곡립에서 분리된 짚 등은 탈곡장치(150)의 후방측으로 이송되어 차대(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선별장치는 탈곡된 농작물을 곡립과 지푸라기 등으로 선별할 수 있고, 선별된 곡립을 정상적인 곡립과 짚 등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비정상적인 곡립으로 선별할 수 있다. 선별된 정상적인 곡립은 운전실(120)의 후방측에 설치된 저장탱크(160)로 이송되어 저장될 수 있고, 비정상적인 곡립은 차대(110)의 전방측으로 환원된 후, 재탈곡을 위하여 탈곡장치(150)로 재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거된 지푸라기 등은 차대(11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의 미설명부호 170은 상기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하는 주행부이다. 주행부(170)는 지면과 접촉하여 차대(11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으며, 캐터필러(Caterpillar)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선별장치는 곡립을 요동(搖動)시켜 곡립과 지푸라기 등으로 선별하는 요동선별장치(300), 요동선별장치(300)의 하측에 설치되고 바람을 발생하며 요동선별장치(300)측으로 송풍하여 곡립과 지푸라기를 추가로 선별하는 송풍선별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선별장치(20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측판 및 제2측판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선별장치(200)는 바람이 요동선별장치(300)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덕트의 기능을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과 곡립판(221)과 안내판(225), 그리고 바람을 발생하는 송풍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은 상호 간격을 가지면서 대향할 수 있으며, 대략 차대(110)의 전후 방향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 사이 상측에 탈곡장치(150)가 위치될 수 있다.
제1측판(211)의 전단부측 및 제2측판(215)의 전단부측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유입공(211a, 215a)이 상호 대향되게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송풍부재(250)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은 각각 유입공(211a)(도 6 참조)(215a)(도 3 참조)을 관통하는 형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송풍부재(250)는 유입공(211a, 215a)을 관통하는 형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251)과 회전축(251)에 설치되며 회전축(251)과 함께 회전하는 블레이드(25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251)이 회전하면, 블레이드(255)도 회전하므로,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 사이의 압력과 제1측판(211) 및 제2측판(215) 외측의 압력 차에 의하여 공기가 유입공(211a, 215a)을 통하여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 사이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 사이로 유입된 공기는 요동선별장치(300)측으로 송풍된다. 이는, 후술한다.
유입공(211a, 215a)측 제1측판(211)의 외면과 제2측판(215)의 외면에는 지지프레임(260)이 설치될 수 있고, 유입공(211a)(215a)을 관통하는 형태로 회전축(251)이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260)의 일측 부위는 유입공(211a, 215a)과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260)의 일측 부위는 유입공(211a, 215a)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회전축(251)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은 지지프레임(260)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프레임(260)의 외측에 위치된 회전축(251)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풀리(270)가 설치될 수 있다. 풀리(270)는 상기 엔진에서 생성된 동력을 회전축(251)으로 전달할 수 있다.
곡립 및 지푸라기에 수분이 많이 함유된 경우, 곡립 및 지푸라기는 상대적으로 무거우므로, 요동선별장치(300)로 많은 양이 송풍되어야 한다. 그리고, 송풍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 사이로 많은 양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어야 하고,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유입공(211a, 215a)의 크기를 크게 하여야 한다. 그런데, 유입공(211a, 215a)의 크기를 크게하면,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의 강성이 저하되므로, 유입공(211a, 215a)의 크기를 증대시키는데는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은 유입공(211a, 215a)과 중첩하는 지지프레임(260)의 일측 부위에 보조유입공(261)을 형성하여,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면, 유입공(211a, 215a)을 막고 있는 지지프레임(220) 부위의 면적이 감소되므로, 많은 양의 공기가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보조유입공(261)은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은, 선별하고자 하는 곡립 등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양을 송풍할 수 있도록, 요동선별장치(300)로 송풍되는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요동선별장치(300)측으로 송풍되는 송풍량은 보조유입공(261)의 개폐 정도(程度)를 조절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프레임(260)에는 조절판(28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조절판(280)은 보조유입공(261)을 개폐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보조유입공(261)이 개방되면,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 사이로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되므로 요동선별장치(300)로 많은 양이 송풍되고, 보조유입공(261)이 폐쇄되면,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 사이로 적은 양의 공기가 유입되므로 요동선별장치(300)로 적은 양이 송풍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은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요동선별장치(300)측으로 송풍되는 송풍량을 조절한다.
조절판(280)은 밀폐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조유입공(261) 전체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은 선별하고자 하는 곡립 등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풍량을 선별하고자 하는 곡립측으로 송풍할 수 있으므로, 곡립의 선별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판의 다양한 형상을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판(280a)은 밀폐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260)의 보조유입공(261)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보조유입공(261)의 일부만을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판(280b)은 보조유입공(261) 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보조유입공(261)을 덮는 형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통공(281)이 형성될 수 있다.
송풍선별장치(200)의 곡립판(221)은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요동선별장치(300)에서 낙하한 곡립을 지지할 수 있다. 곡립판(221)은 벤딩되어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단부(221a)측은 송풍부재(25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곡립판(221)의 전단부(221a)측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송풍부재(250)에서 발생된 바람이 요동선별장치측(300)으로 송풍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선별장치(200)의 안내판(225)은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송풍부재(250)의 상측 부위를 덮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안내판(225)은 송풍부재(250)측으로 곡립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송풍부재(250)에서 발생된 바람이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의 후단부측으로 송풍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안내판(225)은 송풍부재(250)에서 발생된 바람이 송풍부재(250) 상측으로 송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곡립판(221)과 안내판(225)은 연결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과 곡립판(221)과 안내판(225)은 송풍부재(250)에서 발생된 바람이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의 후단부측으로 송풍되도록 안내하는 덕트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송풍부재(250)의 후방 및 곡립판(221)의 전단부측(221a) 상측 부위에는 정류판(整流板)(230)이 설치될 수 있다. 정류판(230)은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5) 사이에 설치되어 송풍부재(250)에서 송풍되는 바람이 일정하게 요동선별장치(300)측으로 흐르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정류판(230)은 전단부에서 후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농작물의 유형에 따라, 요동선별장치(300)의 특정 부위에 곡립 및 지푸라기가 집중될 수 있으므로, 곡립 및 지푸라기가 집중된 부위로 바람을 집중시켜주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은 송풍부재(250)에서 발생된 바람이 요동선별장치(300)의 특정 부위에 집중될 수 있도록,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송풍부재(250)에서 발생된 풍향은 정류판(23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여 조절할 수 있다.
정류판(23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대하여, 도 3, 도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3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을 다른 방향에서 본 일부 분리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판(211) 및 제2측판(215)에는 상호 대향되게 제1지지공(241a)(도 6 및 도 9 참조)(242a)(도 3 참조)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호 대향되게 제2지지공(241b)(도 6 및 도 9 참조)(242b)(도 3 참조)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측판(211)의 제1지지공(241a)과 제2지지공(241b)은 상호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가질 수 있고, 제2측판(215)의 제1지지공(242a)과 제2지지공(242b)은 상호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정류판(230)의 일측면 일측 및 타측면 일측은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제1측판(211)의 제1지지공(241a) 및 제2측판(215)의 제1지지공(242a)에 각각 지지될 수 있고, 일측면 타측 및 타측면 타측은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제1측판(211)의 제2지지공(241b) 및 제2측판(215)의 제2지지공(242b)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공(241a, 242a)과 제2지지공(241b, 242b)은 각각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정류판(230)은 제1지지공(241a, 242a)과 제2지지공(241b, 242b)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력을 조절하여 정류판(230)을 제1지지공(241a, 242a) 및 제2지지공(241b, 242b)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류판(230)은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러므로, 정류판(230)이 지지되는 제1지지공(241a, 242a) 및 제2지지공(241b, 242b)도 경사진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그러면, 제1지지공(241a, 242a) 및 제2지지공(241b, 242b)을 따라 정류판(23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송풍부재(250)에서 발생되어 요동선별장치(300)측으로 향하는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은 송풍부재(250)에서 발생된 풍향을 조절하여, 요동선별장치(300)의 특정 부위에 집중할 수 있으므로, 곡립의 선별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판이 지지되는 제1지지공 및 제2지지공의 다른 형상을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판(211) 및 제2측판(215)에는 상호 대향되게 제1지지공(245a, 246a)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호 대향되게 제2지지공(245b, 246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측판(211)의 제1지지공(245a)과 제2지지공(245b)은 상호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가질 수 있고, 제2측판(215)의 제1지지공(246a)과 제2지지공(246b)은 상호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정류판(230)의 일측면 일측 및 타측면 일측은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제1측판(211)의 제1지지공(245a) 및 제2측판(215)의 제1지지공(246a)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1측판(211)의 제1지지공(245a) 및 제2측판(215)의 제1지지공(246a)은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볼트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정류판(230)의 일측면 타측 및 타측면 타측은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제1측판(211)의 제2지지공(245b) 및 제2측판(215)의 제2지지공(2462b)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공(245b, 246b)은 각각 소정 길이를 가지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지지공(241a, 242a)을 중심으로, 정류판(23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제2지지공(245b, 246b)은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잇다.
그러면, 제1지지공(245a, 246a)을 중심으로, 정류판(23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송풍부재(250)에서 발생되어 요동선별장치(300)측으로 향하는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송풍선별장치
211, 215: 제1측판, 제2측판
211a, 215a: 유입공
230: 정류판
241a, 242a: 제1지지공
241b, 242b: 제2지지공
260: 지지프레임
261: 보조유입공
300: 요동선별장치

Claims (10)

  1. 차대(車臺)(110);
    상기 차대(110)에 설치되며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장치(150);
    상기 차대(110)에 설치되며, 상기 탈곡장치(150)의 하측에 위치되어 탈곡된 농작물을 요동(搖動)시키는 요동선별장치(300);
    상기 요동선별장치(300)의 하측에 위치되고, 바람을 발생하여 상기 요동선별장치(300)측으로 송풍하며, 상기 요동선별장치(300)측으로 송풍량을 조절하여 송풍하는 송풍선별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선별장치(200)는,
    상기 탈곡장치(150)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호 대향하며, 전단부측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211a, 215a)이 각각 형성된 제1측판(211) 및 제2측판(215);
    상기 유입공(211a, 215a)측 상기 제1측판(211) 및 상기 제2측판(215)에 각각 설치되고, 일측 부위는 상기 유입공(211a, 215a)과 중첩되어 보조유입공(261)이 형성된 지지프레임(260);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상기 제1측판(211)에 설치된 상기 지지프레임(260) 및 상기 제2측판(215)에 설치된 상기 지지프레임(26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부재(250);
    상기 지지프레임(26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보조유입공(261)의 개폐 정도(程度)를 조절하는 조절판(2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280)은 밀폐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유입공(261)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280b)에는 복수의 통공(28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차대(車臺)(110);
    상기 차대(110)에 설치되며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장치(150);
    상기 차대(110)에 설치되며, 상기 탈곡장치(150)의 하측에 위치되어 탈곡된 농작물을 요동(搖動)시키는 요동선별장치(300);
    상기 요동선별장치(300)의 하측에 위치되고, 바람을 발생하여 상기 요동선별장치(300)측으로 송풍하며, 상기 요동선별장치(300)측으로 풍향을 조절하여 송풍하는 송풍선별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선별장치(200)는,
    상기 제1측판(211)과 상기 제2측판(215)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요동선별장치(300)에서 낙하한 곡립을 지지하는 곡립판(221);
    상기 제1측판(211)과 상기 제2측판(215)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부재(250)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송풍부재(250)측으로 곡립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송풍부재(250)에서 발생된 바람이 상기 제1측판(211)과 상기 제2측판(215)의 후단부측으로 송풍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판(225);
    상기 제1측판(211)과 상기 제2측판(215)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곡립판(221)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송풍부재(250)에서 송풍되는 바람이 일정하게 상기 요동선별장치(300)측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정류판(整流板)(2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류판(230)의 설치 각도는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211) 및 상기 제2측판(215)에는 상호 대향되게 제1지지공(241a, 242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측판(211) 및 상기 제2측판(215)에는 상호 대향되게 제2지지공(241b, 241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측판(211)의 상기 제1지지공(241a)과 상기 제2지지공(241b)은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2측판(215)의 상기 제1지지공(242a)과 상기 제2지지공(242b)은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1측판(211)의 상기 제1지지공(241a) 및 상기 제2측판(215)의 상기 제1지지공(242a)에 상기 정류판(230)의 일측면 일측 및 타측면 일측이 각각 지지되고, 상기 제1측판(211)의 상기 제2지지공(241b) 및 상기 제2측판(215)의 상기 제2지지공(242b)에 상기 정류판(230)의 일측면 타측 및 타측면 타측이 각각 지지되며,
    상기 정류판(230)은 상기 제1지지공(241a, 242a)과 상기 제2지지공(241b, 242b)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공(241a, 242a)과 상기 제2지지공(241b, 242b)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211) 및 상기 제2측판(215)에는 상호 대향되게 제1지지공(245a, 246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측판(211) 및 상기 제2측판(215)에는 상호 대향되게 제2지지공(245b, 246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측판(211)의 상기 제1지지공(245a)과 상기 제2지지공(245b)은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2측판(215)의 상기 제1지지공(246a)과 상기 제2지지공(246b)은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1측판(211)의 상기 제1지지공(245a) 및 상기 제2측판(215)의 상기 제1지지공(246a)에 상기 정류판(230)의 일측면 일측 및 타측면 일측이 각각 지지되고, 상기 제1측판(211)의 상기 제2지지공(245b) 및 상기 제2측판(215)의 상기 제2지지공(246b)에 상기 정류판(230)의 일측면 타측 및 타측면 타측이 각각 지지되며,
    상기 정류판(230)은 상기 제1지지공(245a, 246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공(245b, 246b)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곡선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90021984A 2019-02-25 2019-02-25 콤바인 KR20200103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84A KR20200103456A (ko) 2019-02-25 2019-02-25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84A KR20200103456A (ko) 2019-02-25 2019-02-25 콤바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456A true KR20200103456A (ko) 2020-09-02

Family

ID=72449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984A KR20200103456A (ko) 2019-02-25 2019-02-25 콤바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34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276B1 (ko) 2023-01-25 2023-08-28 김상길 콤바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276B1 (ko) 2023-01-25 2023-08-28 김상길 콤바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6909B2 (ja) 作業機
CN105766238A (zh) 联合收割机
KR20200103456A (ko) 콤바인
JP5804937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の脱穀部
JP2019103462A (ja) コンバイン
CN105451541B (zh) 联合收割机和收割机
JP2020043778A (ja) 脱穀装置
JP2006001461A (ja) コンバインのクローラ走行装置
JP2020018198A (ja) 脱穀装置
JP4664935B2 (ja) 脱穀装置
KR102669372B1 (ko) 콤바인용 급치가변형 탈곡통
JP2013183655A (ja) コンバイン
WO2005036948A1 (ja) コンバイン
JP2001078545A (ja) 脱穀機の伝動装置
JP3102019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脱穀選別制御装置
JP2017046608A (ja) コンバイン
JP5763457B2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6917946B2 (ja) 脱穀装置
JP2009060842A (ja) 脱穀装置
JP5486446B2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H05268822A (ja) 脱穀装置
JP6861111B2 (ja) 収穫機
JP4749692B2 (ja) 汎用コンバイン
JP6824021B2 (ja) 脱穀機の排ワラ処理装置
CN109906750A (zh) 联合收割机及脱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