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354A -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354A
KR20200103354A KR1020190021716A KR20190021716A KR20200103354A KR 20200103354 A KR20200103354 A KR 20200103354A KR 1020190021716 A KR1020190021716 A KR 1020190021716A KR 20190021716 A KR20190021716 A KR 20190021716A KR 20200103354 A KR20200103354 A KR 20200103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horizontal frame
crane
bridg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142B1 (ko
Inventor
백소영
김남열
Original Assignee
백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소영 filed Critical 백소영
Priority to KR102019002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14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3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시공시 거더(510)에 슬래브(520)를 거치하기 위한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로서, 거치 작업의 대상이 되는 슬래브(520)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린 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슬래브(520)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90° 회전시킨 후 다시 목적하는 거치 위치에 상기 슬래브(520)를 거치시키는 크레인부(200); 상기 크레인부(200)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크레인부(20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수평 프레임(140); 거치 작업이 마무리된 슬래브들(520)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 프레임(140)이 슬래브 거치 작업을 해야할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170); 상단이 상기 수평 프레임(140)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구동수단(17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170)의 구동력을 상기 수평 프레임(140)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 프레임(140)이 소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 부재; 및 상기 수평 프레임(140)과 연결되되 상기 수평 프레임(140) 및 상기 크레인부(200)의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아웃트리거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수단(170)에 의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140)이 이동할 때에는 상기 아웃트리거는 접혀지고, 상기 수평 프레임(14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크레인부(200)가 상기 슬래브를 거치시키는 작업을 할 때에는 상기 아웃트리거는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Apparatus for Positioning Slab of Bridge}
본 발명은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교량 시공 과정에서,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 슬래브를 교량의 거더 상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교량 시공 과정에서 교량 하부 구조(교대,교각) 상에 배치된 거더 위에 거푸집을 가설하고,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렇지만, 근래에는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 슬래브를 시공 현장으로 운반한 다음, 콘크리트 슬래브를 대형 크레인을 이용하여 교량의 거더 상에 거치하는 방식으로 교량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형 크레인이 콘크리트 슬래브를 하나씩 들어올린 다음 이를 특정 위치에 놓게 되는데, 대형 크레인 자체는 콘크리트 슬래브 거치에 특화된 것이 아닌 일반 크레인을 사용하게 되므로, 슬래브를 필요한 위치에 놓기 위해서는 크레인 운전자에게 고도의 집중력과 기술을 요구하게 된다.
더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크레인은 이미 거치가 마무리된 슬래브 위에 놓여진 상태에서 시공 대상인 슬래브를 들어올려야 하는데, 크레인 자체가 큰 하중을 가지고 있으므로, 크레인을 지지하고 있는 슬래브에 무게가 집중되어 이미 거치 작업이 마무리된 슬래브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509505호 (공고일: 2015.04.08.) [2] 등록특허공보 제10-1263370호 (공고일: 2013.05.21.) [3] 등록특허공보 제10-1156157호 (공고일: 2012.06.1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교량 시공 과정에서 콘크리트 슬래브를 쉽고 정확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종래의 크레인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의 거치 작업을 진행할 경우 크레인의 하중에 의하여 이미 거치가 마무리된 콘크리트 슬래브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러한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교량 시공시 거더(510)에 슬래브(520)를 거치하기 위한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로서, 거치 작업의 대상이 되는 슬래브(520)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린 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슬래브(520)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90° 회전시킨 후 다시 목적하는 거치 위치에 상기 슬래브(520)를 거치시키는 크레인부(200); 상기 크레인부(200)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크레인부(20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수평 프레임(140); 거치 작업이 마무리된 슬래브들(520)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 프레임(140)이 슬래브 거치 작업을 해야할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170); 상단이 상기 수평 프레임(140)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구동수단(17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170)의 구동력을 상기 수평 프레임(140)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 프레임(140)이 소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 부재; 및 상기 수평 프레임(140)과 연결되되 상기 수평 프레임(140) 및 상기 크레인부(200)의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아웃트리거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수단(170)에 의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140)이 이동할 때에는 상기 아웃트리거는 접혀지고, 상기 수평 프레임(14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크레인부(200)가 상기 슬래브를 거치시키는 작업을 할 때에는 상기 아웃트리거는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단이 상기 수평 프레임(140)에 고정되는 고정식 지지부재(150) 및 상단이 상기 수평 프레임(14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상기 수평 프레임(140)에 결합되는 회동식 지지부재(151)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 프레임(140)이 이동할 때에는 상기 회동식 지지부재(151)의 하단이 상기 구동수단(170)에 맞닿아 상기 회동식 지지부재(151)가 수평 프레임(140)의 하중의 일부를 지지하며, 상기 수평 프레임(14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슬래브를 거치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회동식 지지부재(151)가 접혀져서 상기 크레인부(200)가 상기 슬래브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트리거는 상기 수평 프레임(14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 프레임(140)의 전방에 연결된 제1 아웃트리거(131) 및 상기 수평 프레임(140)의 후방에 연결된 제2 아웃트리거(132)를 포함하되,상기 회동식 지지부재(151)는 상기 제1 아웃트리거(131)와 상기 제2 아웃트리거(132) 사이의 소정 영역에서 상기 수평 프레임(140)에 장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아웃트리거(131) 및 상기 제2 아웃트리거(132)는 상기 수평 프레임(140)의 폭방향으로 확장 가능하되, 시공하는 교량의 거더(510) 상에 전개될 수 있도록 수평 프레임(140)의 폭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크레인부(200)는, 상기 수평 프레임(14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 프레임(140)을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한 크레인 베이스(210); 상기 크레인 베이스(210)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하단에 거치 작업 대상인 슬래브를 고정시킬 수 있는 크레인 샤프트(230); 상기 크레인 샤프트(230)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슬래브 엘레에이팅 수단(270); 및 상기 크레인 샤프트(2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슬래브 회전 수단(28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 베이스(210)는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가이드 롤러(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140)은 수평 프레임(140)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141)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롤러(220)가 상기 가이드 레일(141) 상에서 지지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크레인 베이스(210)가 상기 수평 프레임(140)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를 통하여, 교량 시공시 콘크리트 슬래브를 거치할 위치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 종래의 크레인을 사용한 슬래브 거치 작업 과정에서는 크레인의 하중이 소정의 슬래브들(이미 거치 작업이 마무리된 슬래브들)에 집중되어 슬래브의 파손 우려가 있었는데,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를 이용할 경우 하중이 넓은 영역에 걸쳐서 고르게 분포됨과 아울러, 하중의 많은 부분은 슬래브가 아닌 거더로 직접 전달되므로 시공 과정에서 슬래브가 파손될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낮추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크레인을 사용하여 거더 상에 슬래브를 거치하는 종래의 교량 시공 방식을 보여주고 있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크레인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의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거더 사이의 간격이 상이한 두 시공 사례에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가열 조리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는 장치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부(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 상에서 움직이면서 슬래브(520)를 들어올렸다가, 슬래브(520)를 특정 위치에 거치시키는 크레인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부(100)는 상기 크레인부(200)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 및 경로를 제공하는 수평 프레임(140)과 상기 수평 프레임(140)이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 부재(150,15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부재는 고정식 지지 부재(150)와, 회동하여 접힐 수 있도록 만들어진 회동식 지지 부재(151)를 포함한다. 회동식 지지 부재(151)의 기능은 추후 작동 과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자세하게 언급될 것이다. 그리고 위 지지 부재(150,151)의 하부에는 구동수단(17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구동수단(170)은 베이스 프레임부(100)가 수평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요소이다.
베이스 프레임부(100)는 제1 아웃트리거(131) 및 제2 아웃트리거(13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아웃트리거가 전개됨에 의하여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의 하중이 분산되어 교량 구조물로 전해지게 된다. 제1 아웃트리거(131) 및 제2 아웃트리거(132)는 수직 방향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은 물론, 수평 방향(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의 폭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하, 아웃트리거의 최하단부가 바닥에 닿을 정도로 늘어나서 실제로 아웃트리거를 통하여 하중이 지지되는 상태를 아웃트리거가 전개되었다고 표현하고, 아웃트리거의 최하단부가 바닥에서 떨어져서 아웃트리거가 하중 지지 역할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아웃트리거가 접혀졌다고 표현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크레인부(200)의 구성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레인 베이스(210)에는 가이드 롤러(220)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가이드 롤러(220)는 가이드 레일(141)에 의해 안내되므로, 가이드 롤러(220)의 회전에 의하여 크레인 베이스(210)는 가이드 레일(141)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 롤러(220) 및 가이드 레일(141)은 래크와 피니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크레인 샤프트(230)가 크레인 베이스(2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크레인 샤프트(230)의 하단부에는 슬래브(520)와 연결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다. 도 4의 실시에에서는 크레인 샤프트(230)의 하단에 판상의 슬래브 거치대(240)가 형성되고, 다시 상기 슬래브 거치대(240)와 슬래브(520)의 사이가 다수 개의 와이어와 같은 슬래브 연결수단(260) 등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나, 슬래브(520)를 크레인 샤프트(230)의 하단에 연결하는 방식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크레인 샤프트(230)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을 수 있게 된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유압 실린더 등에 의하여 크레인 샤프트(230)를을 상하 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슬래브 엘레베이팅 수단(270)에 의해서 슬래브(520)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더 나아가, 크레인 샤프트(230)의 종단과 구동모터가 베벨기어에 의해 결합되어 크레인 샤프트(230)를 회전시키는 슬래브 회전 수단(280)이 도 4의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샤프트 형태의 구조물을 회전시키거나 승하강 시키는 구체적인 구성 자체는 통상의 기술자가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선택 가능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슬래브 엘레베이팅 수단(270)과 슬래브 회전 수단(280)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교량의 거더(510)의 일정 부분에 슬래브(520)가 거치되어 있고, 아직 슬래브(520)가 거치되지 않은 부분은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를 통하여 슬래브(520) 거지 작업이 진행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는 구동수단(170)에 의하여 거치 작업이 마무리된 슬래브(520) 위를 이동할 수 있다. 제1 아웃트리거(131)와 제2 아웃트리거(132)는 전개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의 하중은 고정식 지지 부재(150) 및 회동식 지지 부재(151), 그리고 이들의 하단에 배치된 구동수단(170)에 의하여 거치 작업이 마무리된 슬래브(520) 위로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수단(170)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 거리 떨어진 두 파트로 나뉘어 형성되고, 둘 중 하나는 고정식 지지 부재(150)와,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회동식 지지 부재(151)와 연결될 수 있다.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가 이동시에는 그 하중이 전적으로 구동수단(170)을 통하여 거치가 마무리된 슬래브(520) 상으로 전달되므로, 하나의 슬래브(520)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구동수단(170) 자체를 여러 파트로 분할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는 구동수단(170)이 두 파트로 분할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그 이상의 개수로 분할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분할되는 개수가 많아질 수도록 구조는 복잡해지지만, 대신 하중이 집중되는 정도는 더 경감될 것이다). 더 나아가 도 5와 같이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가 이동하는 상태에서는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가 이동하는 방향 쪽에 형성된 제1 아웃트리거(131)가 전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의 무게 중심은 가급적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의 이동시,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의 하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크레인부(200)는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의 후방, 즉 구동수단(170) 부근으로 이동한 상태에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슬래브 운반 대차(300)는 다수 개의 슬래브(520)를 적재한 상태에서,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6은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가 슬래브 거치 작업을 진행할 곳에 도착하여 슬래브 거치 작업을 시작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 아웃트리거(131)는 전개하여 하중이 거더(51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제2 아웃트리거(132) 역시 전개하여 하중이 거치 작업이 마무리된 슬래브(520)를 통하여 거더(5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 2 아웃트리거(132) 역시 폭방향 길이를 조절하여 제2 아웃트리거의 하단이 거더(510)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슬래브(520)의 파손 방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거더(510) 사이의 간격은 교량마다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1 아웃트리거(131)와 제2 아웃트리거(132)는 수평 프레임(140)의 폭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아웃트리거의 폭을 조절하는 구성 자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구현 방식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크레인부(200)는 슬래브 운반 대차(300)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래브 운반 대차(300)가 운반해 온 슬래브(520)를 크레인 샤프트(230)의 하단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회동식 지지 부재(151)는 수평 프레임(140)에 연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회동식 지지 부재(151)의 하단은 구동수단(170)과 분리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의 하중의 대부분은 직접 거더(510) 상으로 전달되고, 거더(510)가 맞닿지 않는 슬래브(520)의 영역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하중은 최소화되므로, 거치 작업이 마무리된 슬래브(520)의 파손 가능성이 최소화 된다.
도 7은 크레인부(200)에 의하여 슬래브(520)가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추후 슬래브(520)가 회전하더라도 슬래브(520)가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에 부딪히지 않는 영역까지 크레인부(200)가 움직인다. 만일 크레인부(200)가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의 전방 부근 또는 후방 부근에 있을 때 슬래브(520)를 회전시킬 경우 슬래브(520)가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의 구조물과 부딪힐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슬래브(520)를 90°회전시키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크레인부(200)는 크레인 샤프트(23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슬래브 회전 수단(280)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슬래브 회전 수단(280)에 의하여 슬래브(520)를 90°회전시킬 수 있게된다. 이 때 회동식 지지 부재(151)은 접혀 있는 상태이므로, 슬래브(5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슬래브(520)가 회전한 상태에서 이미 거치 작업이 마무리된 슬래브(520) 옆에 새로운 슬래브(520)를 위치시키위 위하여 크레인부(200)가 가이드 레일(141)을 따라서 추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의 작업은 슬래브 운반 대차(300)가 이송해온 슬래브들(520)의 거치가 마무리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즉, 도 9의 실시예와 같은 경우 구동수단(170)과 제1 아웃트리거(131) 사이의 공간을 채울 때까지 일정 개수의 슬래브(520) 거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슬래브 거치 작업이 마무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개되었던 제1 아웃트리거(131) 및 제2 아웃트리거(132)는 확장된 부분을 접어서 거더(510) 또는 슬래브(520)와 맞닿는 면을 없앤다. 그리고 회동식 지지 부재(151)를 다시 펼쳐서 회동식 지지 부재(151)의 하단이 구동수단(170)에 맞닿도록 하여 수평 프레임(140) 및 크레인부(200)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슬래브 운반 대차(300)는 새로운 슬래브(520)를 옮겨오기 위해 이동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작업이 마무리되면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는 전방으로 전진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과정이 다시 반복되면서 거더(510) 상에 슬래브(520)를 연속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거더(510) 사이의 거리가 차이가 있는 두 시공 사례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가 적용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시공사례(a)와 시공사례(b)에서 거더의 간격이 각각 w1과 w2로 차이가 있지만, 제1 아웃트리거(131)와 제2 아웃트리거(132)의 폭방향 거리가 조절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스래브 거치 장치는 다양한 사이즈의 교량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베이스 프레임부 110: 가이드 레일
131: 제1 아웃트리거 132: 제2 아웃트리거
140: 수평 프레임 141: 가이드 레일
150: 고정식 지지 부재 151: 회동식 지지 부재
170: 구동수단 200: 크레인부
210: 크레인 베이스 220: 가이드 롤러
230: 크레인 샤프트 240: 슬래브 거치대
260: 슬래브 연결수단 270: 슬래브 엘레베이팅 수단
280: 슬래브 회전 수단 300: 슬래브 운반 대차
510: 교량 거더 520: 슬래브

Claims (6)

  1. 교량 시공시 거더(510)에 슬래브(520)를 거치하기 위한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로서,
    거치 작업의 대상이 되는 슬래브(520)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린 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슬래브(520)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90° 회전시킨 후 다시 목적하는 거치 위치에 상기 슬래브(520)를 거치시키는 크레인부(200);
    상기 크레인부(200)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크레인부(20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수평 프레임(140);
    거치 작업이 마무리된 슬래브들(520)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 프레임(140)이 슬래브 거치 작업을 해야할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170);
    상단이 상기 수평 프레임(140)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구동수단(17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170)의 구동력을 상기 수평 프레임(140)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 프레임(140)이 소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 부재; 및
    상기 수평 프레임(140)과 연결되되 상기 수평 프레임(140) 및 상기 크레인부(200)의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아웃트리거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수단(170)에 의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140)이 이동할 때에는 상기 아웃트리거는 접혀지고, 상기 수평 프레임(14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크레인부(200)가 상기 슬래브를 거치시키는 작업을 할 때에는 상기 아웃트리거는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단이 상기 수평 프레임(140)에 고정되는 고정식 지지부재(150) 및 상단이 상기 수평 프레임(14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상기 수평 프레임(140)에 결합되는 회동식 지지부재(151)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 프레임(140)이 이동할 때에는 상기 회동식 지지부재(151)의 하단이 상기 구동수단(170)에 맞닿아 상기 회동식 지지부재(151)가 수평 프레임(140)의 하중의 일부를 지지하되,
    상기 수평 프레임(14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슬래브를 거치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회동식 지지부재(151)가 접혀져서 상기 크레인부(200)가 상기 슬래브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웃 트리거는 상기 수평 프레임(14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 프레임(140)의 전방에 연결된 제1 아웃트리거(131) 및 상기 수평 프레임(140)의 후방에 연결된 제2 아웃트리거(132)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식 지지부재(151)는 상기 제1 아웃트리거(131)와 상기 제2 아웃트리거(132) 사이의 소정 영역에서 상기 수평 프레임(140)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웃트리거(131) 및 상기 제2 아웃트리거(132)는 상기 수평 프레임(140)의 폭방향으로 확장 가능하되,
    시공하는 교량의 거더(510) 상에 전개될 수 있도록 수평 프레임(140)의 폭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200)는
    상기 수평 프레임(14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 프레임(140)을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한 크레인 베이스(210);
    상기 크레인 베이스(210)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하단에 거치 작업 대상인 슬래브를 고정시킬 수 있는 크레인 샤프트(230);
    상기 크레인 샤프트(230)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슬래브 엘레에이팅 수단(270); 및
    상기 크레인 샤프트(2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슬래브 회전 수단(2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베이스(210)는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가이드 롤러(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140)은 수평 프레임(140)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141)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롤러(220)가 상기 가이드 레일(141) 상에서 지지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크레인 베이스(210)가 상기 수평 프레임(140)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













KR1020190021716A 2019-02-25 2019-02-25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 KR102197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716A KR102197142B1 (ko) 2019-02-25 2019-02-25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716A KR102197142B1 (ko) 2019-02-25 2019-02-25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354A true KR20200103354A (ko) 2020-09-02
KR102197142B1 KR102197142B1 (ko) 2020-12-30

Family

ID=7246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716A KR102197142B1 (ko) 2019-02-25 2019-02-25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1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4760A (zh) * 2021-08-03 2021-11-23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中承式提篮拱桥无索区梁段吊装方法
KR102380015B1 (ko) * 2020-11-20 2022-03-29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시공장비에 의한 팹의 액세스 플로어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2989A (ja) * 2002-04-26 2003-11-06 Furukawa Co Ltd 手動式アウトリガ装置
KR101156157B1 (ko) 2009-06-19 2012-06-18 주식회사 에이치케이파워텍 교량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KR101263370B1 (ko) 2010-11-18 2013-05-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거더연결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509505B1 (ko) 2014-11-21 2015-04-08 브릿지테크놀러지(주) 슬래브거더교 시공방법 및 그 교량
JP2017218865A (ja) * 2016-06-10 2017-12-14 株式会社富士ピー・エス プレキャスト床版架設機、およびプレキャスト床版取替位置におけるプレキャスト床版架設機の移動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2989A (ja) * 2002-04-26 2003-11-06 Furukawa Co Ltd 手動式アウトリガ装置
KR101156157B1 (ko) 2009-06-19 2012-06-18 주식회사 에이치케이파워텍 교량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KR101263370B1 (ko) 2010-11-18 2013-05-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거더연결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509505B1 (ko) 2014-11-21 2015-04-08 브릿지테크놀러지(주) 슬래브거더교 시공방법 및 그 교량
JP2017218865A (ja) * 2016-06-10 2017-12-14 株式会社富士ピー・エス プレキャスト床版架設機、およびプレキャスト床版取替位置におけるプレキャスト床版架設機の移動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015B1 (ko) * 2020-11-20 2022-03-29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시공장비에 의한 팹의 액세스 플로어 시공방법
CN113684760A (zh) * 2021-08-03 2021-11-23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中承式提篮拱桥无索区梁段吊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142B1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142B1 (ko) 교량 슬래브 거치 장치
US3357517A (en) Mobile scaffold
CN108473285A (zh) 平衡悬臂式馈送设备
JP2010024776A (ja) 建材の建て起こし装置、建材の建て起こし方法
NL1035335C2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optrekken van rijenwoningen.
WO20171152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holes for mounting of equipment elements on tunnel walls
JP6580261B2 (ja) 電機設備盤の起立設備および電機設備盤の起立方法
US20150368079A1 (en) Load supporting and orienting apparatus for a lift device
US6170608B1 (en) Scaffold conveyor system
JP6669524B2 (ja) インバートコンクリート施工装置
JP4885259B2 (ja) プレキャスト製バルコニーのスライド工法及びプレキャスト製バルコニースライド用ローラーおよびレール
CN109083013B (zh) 一种桥梁吊装方法
JP2913216B2 (ja) ビルの建設方法
KR100935603B1 (ko) 프리캐스트부재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부재설치방법
JPH10279281A (ja) 伸縮タワークレーンのための支柱引上げ装置
JPH09169495A (ja) 揚重装置
JPH11165980A (ja) 天井クレーン横行移動装置
US20190277043A1 (en) Work platform comprising a crane device
JP3326730B2 (ja) 資材等の搬送方法
US1770555A (en) Reversible hoisting device
US2610747A (en) Automobile lift
JPH0758013B2 (ja) 煙突解体装置
RU2057234C1 (ru) Навесные подмости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стенового ограждения
JP4368659B2 (ja) プレキャスト製バルコニーのスライド工法
JP2549491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構築方法および建物ユニットの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