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912A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912A
KR20200102912A KR1020190171524A KR20190171524A KR20200102912A KR 20200102912 A KR20200102912 A KR 20200102912A KR 1020190171524 A KR1020190171524 A KR 1020190171524A KR 20190171524 A KR20190171524 A KR 20190171524A KR 20200102912 A KR20200102912 A KR 20200102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pair
plate member
work vehicl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우스케 마츠다이라
미츠하루 타츠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치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치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치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10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과제] 선회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일 없이 유압 밸브류, 제어 장치류를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의 선회대를 가진 작업차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고소 작업차(1)가 주행 차량의 차체(3)에 수평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 선회대(50)와, 이 선회대(50)에 적어도 기복 가능하게 부착된 붐(19)과, 붐(19)의 선단에 부착된 작업대(27)를 가져서 구성된다. 이 선회대(50)가 차체에 수평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선회 테이블(51)과, 선회 테이블(51) 위에 소정 간격을두고 좌우에 나란히 세워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52, 53)과, 좌우 한 쌍의 측판의 후방부를 연결하여 설치된 후판(55)을 가져서 구성되고, 좌우 한 쌍의 측판을 연결하여 설치되는 붐 지지축(19a)에 의해 붐(19)의 기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 가능하다. 그리고, 후판(55)의 상부(56)가 좌우 한 쌍의 측판(52, 53)의 후단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후판(55)의 중간부(57)가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측판(52, 53)의 후단보다 전방에 우묵하게 들어가 형성되어 있고, 후판(55) 및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52, 53)에 둘러싸여 후방으로 개구된 수납 공간(50a)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작업차{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고소 작업차, 크레인차 등과 같이 차체 위에 선회대를 구비하고, 선회대에 기복 등이 가능한 붐이 부착되고, 붐에 작업 장치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고소 작업차, 크레인차 등의 작업차로서, 주행 가능한 차량에 수평 선회 가능하게 선회대를 설치하고, 이 선회대에 기복 등이 가능한 붐을 설치하고, 이 붐에 작업 장치가 설치되는 구성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작업 장치는 고소 작업차에 있어서는 붐의 선단에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가 설치되어 구성되고, 크레인차에 있어서는 붐의 선단으로부터 선단에 호이스팅 후크를 갖는 호이스팅 와이어를 조출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와이어의 권취·조출 기구를 붐의 기단부측 또는 선회대에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작업차에 있어서는 작업 장치에 의한 고소 작업이나 크레인 작업을 선회대의 선회에 의해 차량의 주위의 넓은 범위에 있어서 실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고소 작업차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3에 나타내어지는 것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1-24040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1-6397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0-302390호 공보
이러한 작업차에 있어서, 선회대에 설치되는 붐 및 작업 장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유압 밸브류 및 제어 장치류는, 이들 붐 및 작업 장치와 유압 배관, 제어 신호 전송용 케이블 등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선회대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선회대의 측판에 상기 유압 밸브류, 제어 장치류가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측면에 부착하면, 이들 유압 밸브류, 제어 장치류가 선회대의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회전대의 주변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하기에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선회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일 없이 유압 밸브류, 제어 장치류를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의 선회대를 가진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원 발명에 의한 작업차는 주행 차량의 차체에 수평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 선회대와, 상기 선회대에 적어도 기복 가능하게 부착된 붐과, 상기 붐에 부착된 작업 장치를 가져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회대가 상기 차체에 수평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선회 테이블과, 상기 선회 테이블 위에 소정 간격을 두고서 좌우에 나란히 세워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의 후방부를 연결하여 설치된 후판 부재를 가져서 구성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를 연결하여 부착되는 붐 지지축에 의해 상기 붐의 기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후판 부재의 상부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의 후단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후판 부재의 중간부가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의 후단보다 전방에 우묵하게 들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판 부재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에 둘러싸여 후방으로 개구된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작업차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붐 지지축이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후판 부재의 상부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구성의 작업차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판 부재의 상부 및 하부가 단면 직사각형 형상이며 좌우로 연장되는 박스 형상이다.
상기 구성의 작업차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붐을 기복동시키는 기복 실린더가 상기 붐의 하방측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상기 기복 실린더의 선단부가 상기 붐의 하면에 피봇 연결되고, 상기 기복 실린더의 기단부가 상기 후판 부재의 하부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구성의 작업차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 장치가 상기 붐의 선단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와 상기 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붐의 기복에 따라 상기 작업대를 상하 요동시키는 상부 레벨링 실린더와, 상기 선회대와 상기 붐 사이에 설치된 하부 레벨링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붐의 기복 작동에 따라 신축되는 상기 하부 레벨링 실린더로부터의 작동유의 공급을 받아 상기 상부 레벨링 실린더가 신축 작동하여 상기 작업대를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레벨링 실린더의 기단부가 상기 후판 부재의 상부에 의해 지지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선회대를 구성하는 후판 부재의 중간부가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의 후단보다 전방에 우묵하게 들어가 형성되어 있고, 후판 부재 및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에 끼워져서 후방으로 개구된 수납 공간이 형성되므로, 이 수납 공간 내에 유압 밸브류, 제어 장치류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선회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일 없이 유압 밸브류, 제어 장치류를 설치할 수 있고, 선회대의 점유 스페이스를 작게 하여 선회대의 주변 스페이스을 유효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붐 지지축이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후판 부재의 상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하면 선회대에 의한 붐 지지 구조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후판 부재의 상부 및 하부가 단면 직사각형 형상이며 좌우로 연장되는 박스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후판 부재의 상부 및 하부를 강화할 수 있고, 상기 후판 부재의 중간부를 전방에 우묵하게 들어가 형성하는 것에 의한 선회대의 강도 저하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붐을 기복동시키는 기복 실린더를 상기 붐의 하방측에 위치하여 설치하고, 상기 기복 실린더의 선단부를 상기 붐의 하면에 피봇 결합하고, 상기 기복 실린더의 기단부를 상기 후판 부재의 하부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선회대에 의한 기복 실린더 지지 구조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판 부재의 하부를 단면 직사각형 형상이며 좌우로 연장하는 박스 형상으로 하면 기복 실린더 지지 구조를 강화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작업 장치가 상기 붐의 선단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작업대와, 상부 레벨링 실린더와, 하부 레벨링 실린더를 구비하고, 이들 상부 및 하부 레벨링 실린더에 의해 상기 붐의 기복 작동에 대응하여 작업대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하부 레벨링 실린더의 기단부가 상기 후판 부재의 상부에 보다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하부 레벨링 실린더 지지 구조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판 부재의 상부를 단면 직사각형 형상이며 좌우로 연장하는 박스 형상으로 하면, 하부 레벨링 실린더 지지 구조를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고소 작업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고소 작업차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고소 작업차에 사용되는 선회대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선회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선회대를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선회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선회대에 제어 장치류를 탑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의 일례로서 고소 작업차(1)를 나타낸다. 또한, 도 2에는 이 고소 작업차(1)를 작업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나타내고 있다. 이 고소 작업차(1)는 차체(3)의 전방부에 운전 캐빈(5)을 갖고, 좌우의 전륜(13, 13) 및 좌우의 후륜(15, 15)을 가진 차량을 베이스로 해서 구성되어 있다. 차체(3)의 앞뒤로 작업시 등에 고소 작업차(1)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아웃리거 잭(9, 9)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아웃리거 잭(9)의 구성을 후방부측의 아웃리거 잭(9)을 예로 해서 설명한다. 아웃리거 잭(9)은 차체(3)에 부착된 아웃리거 박스(9a)와, 아웃리거 박스(9a)에 의해 측방에 신축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의 아웃리거 빔(9b, 9b)과, 좌우의 아웃리거 빔(9b, 9b)의 선단에 부착된 좌우의 잭(11, 1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방부측의 아웃리거 잭(9)도 동일한 구성이다. 아웃리거 빔(9b)은 내장의 장출 유압 실린더에 의해 좌우로 장출, 격납 가능하고, 잭(11)은 내장의 잭 실린더에 의해 지지부(11a)를 하방으로 장출, 격납 가능하다. 이 때문에, 작업시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웃리거 빔(9b, 9b)을 좌우로 장출함과 아울러 잭(11)의 지지부(11a)를 하방으로 장출하여 고소 작업차(1)를 들어올려 지지할 수 있다.
차체(3)의 후단부에는 아웃리거 잭(9)의 작동을 수행시키기 위한 잭 작동 제어 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잭 작동 제어 장치(5)에는 각종 스위치류나 조작 레버류가 설치되어 있고, 작업자가 이들 스위치류, 조작 레버류를 조작하여 아웃리거 빔(9b)을 좌우로 장출, 격납 작동시키거나, 잭(11)의 지지부(11a)를 상하로 장출, 격납시키거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차체(3)의 후방부 중앙에는 상방으로 돌출하여 수평 선회 가능하게 구성된 선회대(50)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대(50)는 선회 모터(미도시)에 의해 차체(3) 위에서 수평 선회되는 구성이지만, 그 상세 구조는 후술한다. 선회대(50)의 상부에는 붐 지지축(19a)에 의해 피봇 결합 지지되어 기복 가능하게 되어 붐(19)이 부착되어 있다. 붐(19)은 네스팅 구조의 복수의 붐 부재로부터 신축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내장의 신축 실린더(21)에 의해 신축 작동되는 구성이다. 붐(19)을 기복 작동시키기 위해서 선회대(50)와 붐(19)의 하면에 걸쳐서 기복 실린더(23)가 설치되어 있다. 기복 실린더(23)의 선단부는 붐(19)의 하면에 설치된 브래킷(19b)에 피봇 결합되고, 기단부는 선회대(50)에 피봇 결합되어 있다(기단부의 피봇 결합 구조는 후술한다).
붐(19)의 선단부에는 수직면 내에 있어서 요동 가능하게 수직 포스트(29)가 부착되어 있다. 수직 포스트(29)는 붐(19)의 선단에 부착된 상부 레벨링 실린더(25)에 의해 붐(19)의 기복에 관계없이 수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수직 포스트(29)에 스윙 가능하게(수직 포스트(29)를 중심으로 해서 수평 선회 가능하게) 작업대(27)가 부착되어 있다. 작업대(27)에는 조작 장치(28)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대(27)에 탑승한 작업자가 조작 장치(28)의 스위치, 조작 레버(L) 등을 조작하여 붐(19)의 기복 작동, 신축 운작동이나, 선회대(50)의 선회 동작을 수행시켜 작업대(27)를 소망의 작업 위치로 이동시켜 고소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 1에는 붐(19) 및 작업대(27)를 차체(3) 위의 격납 위치에 격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붐(19)은 축소됨과 아울러 선회대(50)로부터 전방을 향해 붐 받침(3a) 위에 적재되어 있다.
차체(3) 위의 좌측에는 앞뒤로 연장하여 1 공구 상자(31) 및 제 2 공구 상자(33)가 설치되어 있고, 제 1 공구 상자(31) 위에는 제 3 공구 상자(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체(3) 위의 우측에는 제 4 공구 상자(37)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공구 상자(33)의 상면(33a) 및 제 3 공구 상자(35)의 상면(35a)은 격납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대(27)에 탑승하기 위한 스텝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및 제 3 공구 상자(31, 35)의 전방측에 지지 부재(44)에 의해 지지되어 운전 캐빈(5) 위에 위치하는 탑승 스텝판(45)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차체(3)의 후방부에 있어서, 도 2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부측 아웃리거 박스(9a)의 하면에 부착되어 풋 레스트 바(41)가 설치되고, 풋 레스트 바(41)의 상측에 위치하는 아웃리거 박스(9a)의 상면에 제 1 스텝면(9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스텝면(9c)의 전방측에는 제 1 및 제 2 스텝대(42, 43)가 설치되어 있고, 그것들의 상면이 제 2 스텝면(42a) 및 제 3 스텝면(43a)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 스텝대(42, 43)의 앞에 상술한 제 1∼제 3 공구 상자(31, 33, 35)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공구 상자(33)의 상면(33a) 및 제 3 공구 상자(35)의 상면(35a)이 제 2 스텝면(42a) 및 제 3 스텝면(43a)에 연결되는 스텝면으로 된다. 이 때문에, 제 2 공구 상자(33)의 상면(33a)을 제 4 스텝면(33a)이라고 칭하고, 제 3 공구 상자(35)의 상면(35a)을 제 5 스텝면(35a)이라고 칭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풋 레스트 바(41)로부터 제 1 스텝면(9c)으로 올라가고, 또한 제 2 스텝면(42a), 제 3 스텝면(43a), 제 4 스텝면(33a) 및 제 5 스텝면(35a) 위를 걸어서 탑승 스텝판(45) 위까지 이동하고, 탑승 스텝판(45)으로부터 작업대(27)에 탑승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고소 작업차(1)에 있어서, 선회대(50)는 좌측의 제 2 공구 상자(33), 좌측의 제 4 공구 상자(37) 및 후측의 잭 작동 제어 장치(5)에 둘러싸여 있어, 그 배치에 제약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선회대(50)는 고소 작업시에 수평 선회하는 것이기 때문에, 선회시에 선회대(50)와 이들 주위의 부재의 간섭을 회피할 필요가 있다. 제 2 공구 상자(33) 및 제 4 공구 상자(37)의 좌우 폭 치수를 작게 하면 이 문제를 줄일 수 있지만, 이들 공구 상자의 수납 용량이 작아진다고 하는 문제나 공구 상자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스텝면의 폭이 좁아져서 작업자가 작업대에 탑승할 때에 걷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선회대(50)의 폭을 작게 한다고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선회대(50)는 붐(19) 및 그 선단에 부착된 작업대(27) 등을 지지하는 것이며, 소정의 강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이것을 작게 하는 것은 어렵다고 하는 사정이 있다. 또한, 붐(19)의 기복, 신축 작용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류나 제어 장치류는 선회대(50)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도합이 좋아, 이들을 선회대(50)의 좌우의 측판의 바깥면에 부착한다고 하는 것이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 제어 밸브류, 제어 장치류를 선회대(50)의 측판의 외부에 부착하면, 이들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제 2 공구 상자(33), 제 4 공구 상자(37) 및 잭 작동 제어 장치(5) 등의 설치 스페이스가 제약되어 좁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이 고소 작업차(1)에 있어서는 선회대(50)의 구성에 연구를 거듭하고 있고, 이것에 대해 선회대(50)를 인출하여 나타내는 도 3∼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도 4는 선회대(50)의 좌우 방향 중앙을 통해서 앞뒤로 연장되는 수직면을 따라 선회대(50)를 단면으로 하여 그 우측을 본 단면도이다. 선회대(50)는 선회 베어링 및 선회 구동 장치 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차체(3) 위에 수평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선회 테이블(51)을 구비하고, 이 선회 테이블(51) 위에 좌우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의 측판(52, 53)이 접합되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측판(52, 53)은 좌우 대칭 형상이고, 전단(52a, 53a)이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경사져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후단(52b, 53b)이 약간 후방으로 경사지면서 거의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을 하고 있다. 좌우의 측판(52, 53)의 후방부측에 이들 좌우의 측판(52, 53)을 연결하여 상하로 연장되는 후판(55)이 접합되어 설치되어 있다. 후판(55)은 그 상부(56)에 있어서 좌우의 측판(52, 53)의 후단(52b, 53b)에 근접함과 아울러, 중간부(57)가 후단(52b, 53b)보다 전방에 우묵하게 들어가 있다. 또한, 하부(58)는 중간부(57)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좌우 측판(52, 53)과 후판(55)에 둘러싸여 후방으로 개구하는 수납 공간(50a)이 형성된다.
좌우의 측판(52, 53)의 상부에 붐 지지축(19a)을 지지하기 위한 붐 지지 구멍(52c, 53c)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붐 지지 구멍(52c, 53c)에 붐 지지축(19a)을 삽입시켜 지지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측판(52, 53) 사이에 있어서, 붐(19)의 기단부를 붐 지지축(19a)을 통해서 피봇 결합 지지한다. 이 결과, 붐(19)은 선회대(50)에 의해 기복 가능하게 지지된다.
후판(55)의 상부(56)는 도 4의 단면 형상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우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부분이 강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강화된 상부(56)에 좌우 한 쌍의 하부 레벨링 실린더 지지 부재(61, 61)가 소정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하부 레벨링 지지 부재(61, 61)에는 하부 레벨링 실린더 지지 구멍(61a, 61a)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하부 레벨링 실린더 지지축이 삽입되고, 이 하부 레벨링 실린더 지지축을 통해서 하부 레벨링 실린더(26)가 피봇 결합 지지된다. 하부 레벨링 실린더(26)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가 붐(19)의 하면에 피봇 결합되어 있고, 붐(19)의 기복에 따라 신축된다. 이와 같이, 신축된 하부 레벨링 실린더(26)로부터 공급, 배출되는 작동유가 상부 레벨링 실린더(25)에 보내져서 이것을 신축 작동하고, 수직 포스트(29)를 붐(19)의 기복에 관계없이 수직으로 유지하고, 작업대(27)를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후판(55)의 하부(58)도, 도 4의 단면 형상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우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부분이 강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강화된 하부(58)에 좌우 한 쌍의 기복 실린더 지지 부재(63, 63)가 소정 간격을 두고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기복 실린더 지지 부재(63, 63)에는 기복 실린더 지지 구멍(63a, 63a)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기복 실린더 지지축이 삽입되고, 이 기복 실린더 지지축을 통해서 기복 실린더(23)가 피봇 결합 지지된다. 이와 같이, 하부 레벨링 실린더(26) 및 기복 실린더(23)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강화된 후판(55)의 상부(56) 및 하부(58)에 의해 단단히 안정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상부(56) 및 하부(58)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후판(55)의 중간부(57)를 전방으로 패이게 해서 수납 공간(50a)을 형성한 경우에도 선회대(50)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구성의 선회대(50)의 수납 공간(50a) 내에, 붐(19)의 기복, 신축 작동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 및 콘트롤러 등의 제어 장치류(60)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제어 장치류(60)는 선회대(50)를 회동시켰을 때에, 좌우의 측판(52, 53)의 후단(52b, 53b)이 그리는 원통 형상의 궤적면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선회시에 제어 장치류(60)가 주변 부재와 완충하는 것을 좌우의 측판(52, 53)에 의해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7에 있어서는 설명의 용이화를 위해 선회대(50)의 수납 공간(50a)을 노출시켜 나타내고 있지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류(60)를 수납 공간(50a)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을 덮는 커버를 선회대(50)의 후면에 부착해도 좋다.
이상, 고소 작업차(1)를 예로 해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크레인차와 같이 선회대에 기복 가능하게 크레인용 붐을 부착하는 구성의 것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 된다.
1 : 고소 작업차            3 : 차체
9 : 아웃리거 잭        19 : 붐
23 : 기복 실린더           27 : 작업대
31, 33, 35, 37 : 제 1∼제 4 공구 상자   41 : 풋 레스트 바
50 : 선회대 50a : 수납 공간
51 : 선회 테이블         52, 53 : 좌우의 측판
55 : 후판         

Claims (5)

  1. 주행 차량의 차체에 수평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 선회대와,
    상기 선회대에 적어도 기복 가능하게 부착된 붐과,
    상기 붐에 부착된 작업 장치를 가져서 구성되는 작업차이고,
    상기 선회대가,
    상기 차체에 수평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선회 테이블과,
    상기 선회 테이블 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에 나란히 세워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의 후방부를 연결하여 설치된 후판 부재를 가져서 구성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를 연결하여 부착되는 붐 지지축에 의해 상기 붐의 기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 가능하고,
    상기 후판 부재의 상부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의 후단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후판 부재의 중간부가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의 후단보다 전방에 우묵하게 들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판 부재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에 둘러싸여 후방으로 개구된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붐 지지축이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후판 부재의 상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판 부재의 상부 및 하부가 단면 직사각형 형상이며 좌우로 연장되는 박스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붐을 기복동시키는 기복 실린더가 상기 붐의 하방측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상기 기복 실린더의 선단부가 상기 붐의 하면에 피봇 결합되고,
    상기 기복 실린더의 기단부가 상기 후판 부재의 하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장치가 상기 붐의 선단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와 상기 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붐의 기복에 따라 상기 작업대를 상하 요동시키는 상부 레벨링 실린더와, 상기 선회대와 상기 붐 사이에 설치된 하부 레벨링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붐의 기복 작동에 따라 신축되는 상기 하부 레벨링 실린더로부터의 작동유의 공급을 받아 상기 상부 레벨링 실린더가 신축 작동하여 상기 작업대를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레벨링 실린더의 기단부가 상기 후판 부재의 상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KR1020190171524A 2019-02-22 2019-12-20 작업차 KR202001029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30530A JP7208821B2 (ja) 2019-02-22 2019-02-22 作業車
JPJP-P-2019-030530 2019-0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912A true KR20200102912A (ko) 2020-09-01

Family

ID=7227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524A KR20200102912A (ko) 2019-02-22 2019-12-20 작업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08821B2 (ko)
KR (1) KR20200102912A (ko)
AU (1) AU202020058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390A (ja) 1999-04-16 2000-10-31 Aichi Corp 作業車
JP2001063973A (ja) 1999-08-30 2001-03-13 Aichi Corp ブーム式高所作業車
JP2001240400A (ja) 2000-02-29 2001-09-04 Aichi Corp 作業用車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390Y2 (ja) * 1990-03-28 1995-06-05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ブーム作業車の負荷検出装置
FI20165305A (fi) 2016-04-08 2017-10-09 Bronto Skylift Oy Ab Puomijärjestely, henkilönostin ja menetelmä henkilönostimen käyttämiseksi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390A (ja) 1999-04-16 2000-10-31 Aichi Corp 作業車
JP2001063973A (ja) 1999-08-30 2001-03-13 Aichi Corp ブーム式高所作業車
JP2001240400A (ja) 2000-02-29 2001-09-04 Aichi Corp 作業用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32394A (ja) 2020-08-31
JP7208821B2 (ja) 2023-01-19
AU2020200580A1 (en)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1913B2 (en) Multipurpose machine
EP3406805A1 (en) Working machine
JP2006219241A (ja) 建設機械
US4692085A (en) Material handling system
EP3556717B1 (en) Construction machine
KR20200102912A (ko) 작업차
JP5145064B2 (ja) ブーム構造
JPH09267996A (ja) 高所作業車の作動規制装置
RU169192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автономная грузоподъемная поворотная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стрела
JP7213666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6814471B2 (ja) 組立式クレーン
KR20200049517A (ko) 고소 작업차
JP2019196239A (ja) カウンタウェイト位置変更装置及びクレーン
JP7379887B2 (ja) 作業車
US11999599B2 (en) Backstop position changing device for crane
WO2022124097A1 (ja) クレーン
US20220289530A1 (en) Backstop position changing device for crane
JP7330837B2 (ja) ショベル
JP7282610B2 (ja) 杭打機
KR200354660Y1 (ko)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가변장치
JP7098938B2 (ja) 積載型トラッククレーン
JP2002255015A (ja) 作業用車両
JP4298047B2 (ja) 高所作業車のプラットホーム部構造
JPH0620795Y2 (ja) 高所作業車
JP2023150116A (ja) ブームスプレー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