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601A -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601A
KR20200101601A KR1020190019632A KR20190019632A KR20200101601A KR 20200101601 A KR20200101601 A KR 20200101601A KR 1020190019632 A KR1020190019632 A KR 1020190019632A KR 20190019632 A KR20190019632 A KR 20190019632A KR 20200101601 A KR20200101601 A KR 20200101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ressure
vehicle
upward
driving
e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9234B1 (ko
Inventor
최월선
장호선
이영준
구태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9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23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01Infinitely variable gearings
    • B60W10/103Infinitely variable gearings of flui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6Slope angl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of the machine, e.g.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0Inputs being a function of ambient conditions
    • F16H59/66Road conditions, e.g. slope, slipp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15Road slo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0Inputs being a function of ambient conditions
    • F16H59/66Road conditions, e.g. slope, slippery
    • F16H2059/663Road slo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2061/0488Smoothing ratio shift during range shift from neutral (N) to drive (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 D단에서 N단으로 변경시, 차량의 드래그를 줄여 타행 구동거리를 증가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러가, 차량이 일정 차속 이상에서 D단에서 N단으로 변경시, 변속기오일의 라인압을 상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및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및 장치{DRIV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 D단에서 N단으로 변경시, 차량의 드래그를 줄여 타행 구동거리를 증가시키는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주행시 클러치/브레이크의 제어압을 생성하고, 각 요소(베어링, 기어류 등)의 윤활 및 냉각을 위하여 EOP구동속도를 높여 충분한 변속기오일의 라인압을 형성하게 된다.
다만, D단에서 주행 중 내리막길을 만나거나 신호가 변경되면, 운전자가 기어단을 D단에서 N단으로 변경하여 타행으로 주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변속기오일의 라인압을 하향하고, EOP의 구동속도도 낮추어 클러치/브레이크의 제어압을 낮추게 된다.
그런데, 라인압을 하향하는 경우, 밸브바디에서 누설되는 오일유량이 증대됨으로써, 베어링, 기어류 등의 윤활에 사용되는 오일유량이 함께 증대되고, 이에 처닝로스에 의한 드래그가 증대되어 타행 구동거리가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7-0046246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주행 중 D단에서 N단으로 변경시, 차량의 드래그를 줄여 타행 구동거리를 증가시키는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컨트롤러가, 차량이 일정 차속 이상에서 D단에서 N단으로 변경시, 변속기오일의 라인압을 상향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단에 해당하는 라인압에 일정값을 더하여 상향 라인압을 결정하되, 상향된 라인압이 기설정된 최대 라인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N단으로 변경 전 D단에서의 라인압에 일정값을 더한 라인압과, 기설정된 최대 라인압 중에서 작은 값이 상향 라인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라인압의 상향 제어시, D단에 해당하는 EOP구동속도로 EOP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라인압의 상향 제어시, N단으로 변경 전 D단에서의 EOP구동속도를 유지하여 EOP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라인압의 상향 제어 중 브레이크신호 입력시, 상향된 라인압을 하향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라인압 상향 제어 중 브레이크신호 입력시, 상향된 라인압을 상향 이전의 라인압으로 복귀하여 하향 제어할 수 있다.
D단에서 N단으로 변경시, 변속기오일온도와, 주행도로의 경사도와, 차속이 일정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이 일정 차속 이상에서 D단에서 N단으로 변경시, 변속기오일의 라인압을 상향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D단에서 N단으로 변경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라인압을 상향 제어하는 TCU; 상기 TCU로부터 명령이 입력되어, EOP의 구동을 제어하는 O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 D단에서 N단으로 변경하는 경우, 라인압을 상향 제어함으로써, 클러치/브레이크의 제어압을 높여 밸브바디에서 누설되는 오일유량을 감소시키고, 이에 베어링, 기어류 등으로 가는 윤활량을 감소시켜 변속기 구동계의 드래그를 줄이게 되는바, N단에서의 타행 구동거리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라인압의 상향 제어와 함께, EOP구동속도를 D단에서의 구동속도로 제어함으로써, N단에서 다시 D단으로 변경시 빠른 응답성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트레인 구성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D단에서 N단 변경시, 라인압 및 EOP구동속도의 거동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차량의 파워트레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TMED타입의 HEV차량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HEV차량에는 AT 변속기가 탑재될 수 있고, 상기 변속기에 TCU(Transmission Control Unit)가 연결되어, 운전자의 변속조작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물론, 차량의 주행상태를 반영하는 신호들이 수신된다. 그리고, 상기 수신된 신호들을 기반으로 밸브바디 내의 솔레노이드밸브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변속요소들에 작용하는 유압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TCU는 OPU(Oil Pump Unit)에 EOP(1)(Electric Oil Pump)의 구동을 위한 지령을 내리고, OPU는 EOP(1)의 구동속도를 제어한다.
즉, 차량의 주행상태에 적합하게 OPU가 EOP(1)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주행 중 D단에서 N단으로 변경시, TCU 및 OPU에 의해 라인압 및 EOP(1) 구동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타행 구동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TCU 및 OPU의 기능이 통합된 컨트롤러(CLR)를 구비하여, 상기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CLR)가, 차량이 일정 차속 이상에서 D단에서 N단으로 변경시, 변속기오일의 라인압을 상향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D단에서 주행 중 내리막길을 만나거나 신호가 변경되는 등과 같은 운전상황에서 운전자가 기어단을 D단에서 N단으로 변경하여 타행 주행하는 경우, 변속기오일의 라인압을 상향 제어한다.
따라서, 클러치/브레이크의 제어압을 높여 밸브바디에서 누설되는 오일유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베어링, 기어류 등으로 가는 윤활량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변속기 구동계의 드래그를 줄이게 되는바, N단에서의 타행 구동거리가 길어지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라인압을 상향 제어하는 바람직한 예시로서, D단에 해당하는 라인압에 일정값을 더하여 상향 라인압을 결정하되, 상향된 라인압이 기설정된 최대 라인압(LPMAX)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라인압맵(LP MAP1)에 의해 D단에 대한 라인압이 결정되면, 결정된 라인압에 일정값을 더하여 상향 라인압을 구하고, 구해진 상향 라인압으로 라인압을 상향 제어한다. 다만, 상기 라인압이 과도하게 상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라인압이 최대 라인압(LPMAX)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라인압을 상향 제어하는 다른 예시로서, 아래와 같이 N단으로 변경 전 라인압맵(LP MAP1)에 의한 D단에서의 라인압에 일정값(ΔLP)을 더한 라인압(LP)과, 기설정된 최대 라인압(LPMAX) 중에서 작은 값이 상향 라인압으로 결정될 수 있다.
Min[(LP = LP MAP1 + ΔLP), (LPMAX)]
즉, N단으로 변경되기 전의 D단에서의 라인압에 일정값(ΔLP)을 더한 값과, 최대 라인압(LPMAX) 중에서 작은 값을 상향 라인압으로 선택하여 라인압을 상향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라인압의 상향 제어시, D단에 해당하는 EOP구동속도로 EOP(1)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EOP구동속도맵(EOP MAPD)에 의해 D단에 대한 EOP구동속도가 결정되면, 결정된 EOP구동속도로 EOP(1)를 구동함으로써, N단에서 다시 D단으로 변경시 빠른 응답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EOP구동속도를 제어하는 다른 예시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라인압의 상향 제어시, N단으로 변경 전 D단에서의 EOP구동속도를 그대로 유지하여 EOP(1)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라인압의 상향 제어 중 브레이크페달센서(BPS)를 통해 브레이크신호 입력시, 상향된 라인압을 하향 제어할 수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라인압의 상향 제어 중 브레이크신호 입력시, 상향된 라인압을 상향 이전의 라인압으로 복귀하여 하향 제어할 수 있다.
즉, N단에서 타행 구동 중에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는 경우, 다른 기어단으로 변경이 가능하므로, 라인압을 상향 이전의 라인압으로 복귀시켜 기어단 변경에 신속하게 응답하게 되는바, 빠른 응답성을 확보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D단에서 N단으로 변경시, 변속기오일온도와, 주행도로의 경사도와, 차속이 일정범위 내에 있는지 더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 이들 조건들을 만족하는 경우, 라인압을 상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함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주행 제어과정을 살펴보면,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해 현재 기어단이 D단에서 N단으로 변경되는지 모니터링한다(S10).
모니터링 결과, 기어단이 D단에서 N단으로 변경되는 경우, N단으로 변경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했는지 판단하고, 변속기오일온도가 TF1과 TF2 사이의 범위에 있는지 판단하며, 현재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주행도로의 경사도가 α와 β사이의 범위에 있는지 판단하고, 차속이 V1과 V2 사이의 범위에 있는 판단하고, 브레이크신호가 입력되고 있지 않은지 판단한다(S20).
S20의 판단 결과, 이들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기어단이 N단에 있는지 다시 판단하고(S30), 기어단이 N단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 라인압을 상향 제어한다. 예컨대, 라인압맵(LP MAP1)에 의해 설정된 라인압(LP)에 일정값(ΔLP)이 더해진 값과, 최대 라인압(LPMAX) 중에서 더 작은 값으로 라인압을 상향 제어한다(S40).
이와 함께, EOP(1)는 EOP구동속도맵(EOP MAPD)에 의해 결정된 D단에서의 EOP구동속도로 EOP(1)가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상기 S20의 판단 결과, 위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라인압맵(LP MAP1)에 의해 라인압을 제어하고, EOP(1)는 EOP구동속도맵(EOP MAPD)에 의해 D단에서의 EOP구동속도로 구동하도록 제어하게 된다(S5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 D단에서 N단으로 변경하는 경우, 라인압을 상향 제어한다. 따라서, 클러치/브레이크의 제어압을 높여 밸브바디에서 누설되는 오일유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베어링, 기어류 등으로 가는 윤활량을 감소시키고, 이에 변속기 구동계의 드래그를 줄여 N단에서의 타행 구동거리를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라인압의 상향 제어와 함께, EOP구동속도를 D단에서의 구동속도로 제어함으로써, N단에서 다시 D단으로 변경시 빠른 응답성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EOP
CLR : 컨트롤러

Claims (10)

  1. 컨트롤러가, 차량이 일정 차속 이상에서 D단에서 N단으로 변경시, 변속기오일의 라인압을 상향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D단에 해당하는 라인압에 일정값을 더하여 상향 라인압을 결정하되, 상향된 라인압이 기설정된 최대 라인압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N단으로 변경 전 D단에서의 라인압에 일정값을 더한 라인압과, 기설정된 최대 라인압 중에서 작은 값이 상향 라인압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인압의 상향 제어시, D단에 해당하는 EOP구동속도로 EOP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인압의 상향 제어시, N단으로 변경 전 D단에서의 EOP구동속도를 유지하여 EOP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인압의 상향 제어 중 브레이크신호 입력시, 상향된 라인압을 하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인압 상향 제어 중 브레이크신호 입력시, 상향된 라인압을 상향 이전의 라인압으로 복귀하여 하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D단에서 N단으로 변경시, 변속기오일온도와, 주행도로의 경사도와, 차속이 일정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9. 차량이 일정 차속 이상에서 D단에서 N단으로 변경시, 변속기오일의 라인압을 상향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주행 제어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D단에서 N단으로 변경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라인압을 상향 제어하는 TCU;
    상기 TCU로부터 명령이 입력되어, EOP의 구동을 제어하는 O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행 제어장치.
KR1020190019632A 2019-02-20 2019-02-20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및 장치 KR102659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632A KR102659234B1 (ko) 2019-02-20 2019-02-20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632A KR102659234B1 (ko) 2019-02-20 2019-02-20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601A true KR20200101601A (ko) 2020-08-28
KR102659234B1 KR102659234B1 (ko) 2024-04-18

Family

ID=7229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632A KR102659234B1 (ko) 2019-02-20 2019-02-20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23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686A (ja) * 1993-08-19 1995-02-28 Nippondenso Co Ltd 自動変速機の潤滑装置
JPH08270779A (ja) * 1995-03-31 1996-10-15 Mitsubishi Motors Corp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KR20130060421A (ko) * 2011-11-30 2013-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오일펌프 제어방법
JP2016145583A (ja) * 2015-02-06 2016-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駆動装置
KR20170046246A (ko) 2015-10-20 2017-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의 eop 제어방법
JP2017198252A (ja) * 2016-04-26 2017-11-02 株式会社Subaru 油圧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686A (ja) * 1993-08-19 1995-02-28 Nippondenso Co Ltd 自動変速機の潤滑装置
JPH08270779A (ja) * 1995-03-31 1996-10-15 Mitsubishi Motors Corp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KR20130060421A (ko) * 2011-11-30 2013-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오일펌프 제어방법
JP2016145583A (ja) * 2015-02-06 2016-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駆動装置
KR20170046246A (ko) 2015-10-20 2017-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의 eop 제어방법
JP2017198252A (ja) * 2016-04-26 2017-11-02 株式会社Subaru 油圧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234B1 (ko)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1967B2 (ja)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制御装置
JP3605172B2 (ja) 無段トランスミッション用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8744706B2 (en) Line pressure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1755478B1 (ko) 전동식 오일 펌프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장치 및 방법
EP2418401A1 (en) Vehicle, vehicle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US20060230920A1 (en) Hydrostatic transmission
JP2008309271A (ja) 変速機装置および無段変速機の制御方法
JP6922173B2 (ja) 無段変速機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US10030765B2 (en) Pre-remedial fault control in a transmission
US10309530B2 (en) Automatic transmission
JP2008261435A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で実現されるプログラム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80070737A1 (en) Transmission
JP6787686B2 (ja) 油圧制御装置
KR20200101601A (ko)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916550B1 (ko)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0384007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1304389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CN102748462B (zh) 用于离合器控制的方法
JP6809372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1106228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729461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6571127B2 (ja) 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及び油圧制御方法
CN106979306A (zh) 具有蓄压器的车辆变速器
KR20180071455A (ko) 무단변속기 변속속도 제어방법
KR100401887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시스템 보호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