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032A -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032A
KR20200101032A KR1020190019170A KR20190019170A KR20200101032A KR 20200101032 A KR20200101032 A KR 20200101032A KR 1020190019170 A KR1020190019170 A KR 1020190019170A KR 20190019170 A KR20190019170 A KR 20190019170A KR 20200101032 A KR20200101032 A KR 20200101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exercise
information
member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6344B1 (ko
Inventor
김미혜
이천솔
원경식
김찬영
신동주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9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34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장 내 회원의 관리를 위한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헬스장에 등록된 회원의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서버, 상기 회원관리서버와 연동되며 상기 등록된 회원이 소지하고, 상기 회원관리서버와 연동 가능한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헬스장 내에 고정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 거리신호를 제공하는 통신수단 및 헬스장에 구비된 다수의 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회원의 운동기구 점유 시 기구점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원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점유상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원관리서버는, 상기 기구점유정보를 다수의 회원이 소지한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점유정보제공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거리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정보산출부, 상기 다수의 운동기구 각각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기구좌표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정보산출부에서 산출된 스마트폰의 위치로부터 위치좌료를 생성하여 상기 기구좌표와 비교하는 좌표처리부 및 상기 좌표처리부로부터 기구좌표 및 위치좌표를 제공받고, 상기 위치좌표에서 상기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이 지정한 운동기구에 대응되는 기구좌표까지의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경로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회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운동기구까지의 경로와 운동기구의 점유, 예약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회원의 운동 내역을 저장하여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IoT-BASED FITNESS CENTER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원이 소지한 스마트폰의 위치를 파악하여 운동기구까지의 경로를 안내하고, 별도의 트레이너 없이도 회원에게 운동방법과 운동내역을 제공하여 체계적인 회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과 자기관리를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헬스장을 이용하고 있다. 헬스장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다닌 회원이나 개인 트레이너를 고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회원의 경우 운동기구의 사용방법과 자신의 운동량을 확인하여 체계적으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나, 초보자의 경우 다양한 운동기구의 사용법을 모두 숙지하기 어려우며, 개인 트레이너를 고용함에 따른 비용 부담을 간과하기 어렵다. 또한, 많은 사람이 동시간대에 헬스장을 이용하는 경우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운동기구를 타인이 점유함에 따라 해당 회원은 운동기구의 옆에 서있거나 해당 운동기구의 점유가 해제되었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00963호에서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포지셔닝 유닛을 통해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운동기구의 사용방법과 사용이력을 나타내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산출하여 해당 위치에 대응하여 회원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별도의 포지셔닝유닛과 운동기구에 운동방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요구되어 비용이 증가되며, 운동기구의 점유 상태를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어 원하는 운동기구의 점유가 해제되기까지 운동기구를 계속적으로 확인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00963호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거리에서 운동기구의 점유 여부를 사용자가 즉각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운동방법과 운동이력을 제공하는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초보자에게 운동 부위에 대응하는 운동기구와 운동기구까지의 경로를 제공하여 별도의 트레이너 없이도 체계적인 운동 수행이 가능한 회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은 헬스장에 등록된 회원의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서버, 회원관리서버와 연동되며 등록된 회원이 소지하고, 회원관리서버와 연동 가능한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헬스장 내에 고정되며 스마트폰으로 거리신호를 제공하는 통신수단, 헬스장에 구비된 다수의 운동기구를 포함하고, 운동기구는,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회원의 운동기구 점유 시 기구점유정보를 생성하여 회원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점유상태부를 포함하고, 회원관리서버는, 기구점유정보를 다수의 회원이 소지한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점유정보제공부, 스마트폰으로부터 거리신호를 제공받아 스마트폰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정보산출부, 다수의 운동기구 각각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기구좌표를 저장하고, 위치정보산출부에서 산출된 스마트폰의 위치로부터 위치좌료를 생성하여 기구좌표와 비교하는 좌표처리부 및 좌표처리부로부터 기구좌표 및 위치좌표를 제공받고, 위치좌표에서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이 지정한 운동기구에 대응되는 기구좌표까지의 경로를 생성하여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경로안내부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수단은, 적어도 3이상이고, 서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 스마트폰으로 거리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원관리서버는, 스마트폰으로부터 통신수단에서 제공된 거리신호를 전달받아 출석확인신호를 생성하고, 스마트폰으로 출석확인신호를 전송하는 출석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원관리서버는,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예약한 운동기구의 예약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예약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예약관리부는 다수의 예약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리하여 스마트폰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약관리부는, 회원이 예약한 운동기구의 점유가 해제된 경우 예약정보를 제공한 스마트폰으로 알람신호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경로안내부는, 점유정보제공부로부터 제공된 기구점유정보와 예약관리부로부터 제공된 예약정보를 기반으로,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이 지정한 운동기구가 점유 중인 경우 설정된 계산식에 따라 결정된 다른 운동기구까지의 추천경로를 산출하여 회원의 스마트폰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원관리서버는, 미리 저장된 운동기구의 사용방법에 대한 운동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운동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동정보제공부는, 좌표처리부에서 비교된 기구좌표와 위치좌표를 기반으로 회원이 기구좌표에 해당되는 운동기구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 회원이 운동기구에 도달한 경우 운동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원관리서버는, 점유상태부로부터 제공된 기구점유정보를 회원정보에 따라 각각 저장하고, 저장된 기구점유정보를 기반으로 회원의 기구사용내역을 산출하여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운동이력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운동기구의 점유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운동기구까지의 경로나 예약정보를 제공하여 동시간대 이용자가 많은 경우라도 체계적으로 운동을 수행 가능한 회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출석과 운동이력을 제공하여 별도의 개인 트레이너 없이도 회원 각자가 자신의 운동현황을 점검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과도한 구성을 요하지 않아 초기비용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관리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유정보제공부 및 위치정보산출부를 통한 운동기구와 스마트폰의 표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산출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표처리부와 경로안내부를 통한 추천경로의 표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관리부를 통한 예약정보의 표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정보제공부와 운동이력제공부를 통한 운동이력의 표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정보제공부를 통한 운동정보의 표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은 헬스장에 등록된 회원의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서버(400), 상기 회원관리서버(400)와 연동되며 상기 등록된 회원이 소지하고, 상기 회원관리서버(400)와 연동 가능한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200), 헬스장 내에 고정되며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거리신호를 제공하는 통신수단(300), 헬스장에 구비된 다수의 운동기구(1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관리서버(400), 스마트폰(200), 통신수단(300), 운동기구(100)는 모두 헬스장 등 하나의 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200)은 회원 각자가 소지 가능하며, 상기 스마트폰(200)에는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통신수단(300), 회원관리서버(400) 및/또는 운동기구(100)와 연동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수단(300), 회원관리서버(400) 및/또는 운동기구(100)로부터 특정 신호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 통신망, MMS등의 스마트폰(200) 기능을 구동시키거나 상기 통신수단(300), 회원관리서버(400) 및/또는 운동기구(100)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수단(300)은 헬스장 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스마트폰(200)으로 거리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거리신호의 세기는 스마트폰(200)과 통신수단(300) 사이의 이격된 거리에 따라 달라지며,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세지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약해진다. 상기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거리신호를 회원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통신수단(300)은 복수로 적어도 3이상이고, 서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거리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수단(300)은 3개로, 제1 내지 제3통신수단(330)(300)을 가정하면, 제1통신수단(300)은 헬스장의 출입구 위치에 고정되고, 제2통신수단(320)은 헬스장의 유산소 운동기구(100)가 배치된 유산소존에 고정되고, 제3통신수단(330)(300)은 헬스장의 웨이트 운동기구(100)가 배치된 웨이트존에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통신수단(300)이 서로 이격된 거리의 정도는 동일하거나 근접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내지 제3통신수단(330)(300)은 각각 제1 내지 제3거리신호를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제공한다.
통신수단(300)은 상기 스마트폰(200)과의 거리에 따른 스마트폰(2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이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수단(300)은 비콘(iBeacon)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거리신호는 상기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콘은 블루투스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의미하며, 헬스장이 지하에 위치는 경우나 gps의 정확도 오차를 개선하고, 상대적으로 저전력으로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제1 내지 제3거리신호는 상기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관리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전송은 상기 스마트폰(200)에 구비된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제1통신수단(300)에서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전송되는 제1거리신호의 세기, 제2통신수단(320)에서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전송되는 제2거리신호의 세기 및 제3통신수단(330)(300)에서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전송되는 제3거리신호의 세기는 각각 다를 수 있으며, 상기 회원관리서버(400)는 전송된 제1 내지 제3거리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폰(200)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회원관리서버(40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운동기구(100)는 다수로 구성되며, 종류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런닝머신, 자전거, 벤치프레스, 스쿼트머신, 철봉 등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100)를 다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100)는, 상기 스마트폰(200)과 연동되며 회원의 점유상태로부터 기구점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원관리서버(400)로 제공하는 점유상태부(110)를 포함한다. 점유상태부(110)는 상기 다수의 운동기구(100) 각각에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폰(200)과의 접근 거리에 따라 기구점유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점유상태부(110)에서 생성된 기구점유정보는 상기 스마트폰(200)을 통하거나 직접 회원관리서버(400)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점유상태부(110)에 대한 예를 들면, 상기 점유상태부(110)는 상기 스마트폰(200)을 거치할 수 있는 구조로, 운동기구(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회원은 점유상태부(110)에 소지한 스마트폰(200)을 놓아두어 스마트폰(200)과 점유상태부(110)를 서로 접촉시킨다. 상기 점유상태부(110)는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와 NFC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은 상기 스마트폰(200)에 구비된 NFC기능을 실행시킨 상태로 점유상태부(110)에 포함된 NFC리더기에 접촉시켜 해당 운동기구(100)를 점유하고, 상기 점유상태부(110)는 상기 라즈베리파이를 통하여 기구점유정보를 생성하여 회원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라즈베리파이는 컴퓨터의 일종으로 상기 회원관리서버(400)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NFC리더기와 연동되어 NFC리더기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NFC리더기가 스마트폰(200)의 접촉에 따라 작동되는 경우 기구점유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회원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상기 NFC리더기는 회원 각자가 소지한 스마트폰(200)의 NFC기능으로부터 회원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회원정보는 회원의 이름, 전화번호, 주소, 주민등록번호, 회원별로 부여된 코드 등 회원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은 회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200)의 NFC기능을 실행시키고, NFC리더기에 접촉되는 경우 미리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허용된 회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원정보는 라즈베리파이를 통하여 회원관리서버(400)로 전송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관리서버(4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원관리서버(400)는, 상기 기구점유정보를 다수의 회원이 소지한 스마트폰(200)으로 제공하는 점유정보제공부(410), 상기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상기 거리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스마트폰(200)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정보산출부(420), 상기 다수의 운동기구(100) 각각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기구좌표(431)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정보산출부(420)에서 산출된 스마트폰(200)의 위치로부터 위치좌료를 생성하여 상기 기구좌표(431)와 비교하는 좌표처리부(430) 및 상기 좌표처리부(430)로부터 기구좌표(431) 및 위치좌표(432)를 제공받고, 상기 위치좌표(432)에서 상기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이 지정한 운동기구(100)에 대응되는 기구좌표(431)까지의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제공하는 경로안내부(440)를 포함한다.
회원관리서버(400)는 회원의 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 상기 회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회원정보에는 회원의 등록기간, 등록만료일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유정보제공부(410) 및 위치정보산출부(420)를 통한 운동기구(100)와 스마트폰(200)의 표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산출부(42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점유정보제공부(410)는 상기 기구점유정보로부터 해당 운동기구(100)의 점유 여부를 판단하여 다수의 스마트폰(200)으로 제공한다. 회원이 특정 운동기구(100)의 점유상태부(110)에 소지한 스마트폰(200)을 거치하여 점유 중임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점유상태부(110)는 기구점유정보를 생성하여 회원관리서버(400)로 전송하며, 회원관리서버(400)의 점유정보제공부(410)는 상기 특정 운동기구(100)의 점유 여부를 다수의 스마트폰(200)에 각각 전송한다. 상기 다수의 스마트폰(200)에 각각 설치된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운동기구(100)의 점유 여부를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은 다수의 운동기구(100)의 위치와 종류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다수의 운동기구(100) 중 점유 중인 운동기구(100)를 별도로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하여 회원은 스마트폰(200)을 통해 즉각적으로 운동기구(100)의 점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점유 상태를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특정 운동기구(100)를 이용하고자 하는 회원은 특정 운동기구(100)의 주변에서 눈으로 직접 사용자가 있는지 확인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다른 운동을 하는 중에도 자신이 원하는 운동기구(100)의 점유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체계적이고 편리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산출부(420)는 상기 통신수단(300)으로부터 생성된 거리신호를 상기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제공받아 스마트폰(200)의 위치를 산출하는데, 다수의 통신수단(300) 각각의 거리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폰(2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정보산출부(420)의 위치 산출을 설명하면 헬스장 내의 구역에 따라 1부터 12까지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제1통신수단(300), 제2통신수단(320) 및 제3통신수단(330)(300)을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하여 스마트폰(200)으로 각각 제1 내지 제3거리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폰(200)의 위치가 9에 위치하는 경우 제1거리신호는 90의 신호세기가 감지되고 제2거리신호는 70의 신호세기가 감지되고 제3거리신호는 60의 신호세기가 감지된다. 상기 스마트폰(2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거리신호도 각각 다른 신호세기가 감지된다. 상기 위치정보산출부(420)는 제1 내지 제3거리신호의 신호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폰(200)의 위치를 산출한다.
좌표처리부(430)는 다수의 운동기구(100) 각각의 위치를 좌표화하여 설정된 기구좌표(431)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산출부에서 산출된 스마트폰(200)의 위치를 좌표화하여 설정된 위치좌표(432)와 기구좌표(431)를 비교하여 스마트폰(200)의 위치로부터 운동기구(100)까지의 경로를 생성하여 스마트폰(200)으로 제공한다.
기구좌표(431)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값으로, 다수의 통신수단(300)에서 제공된 거리신호의 세기 변화량에 대응되는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술한 도 4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즉, 헬스장 내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한 후 다수의 운동기구(100) 각각을 구획된 공간 별로 배치하여 운동기구(100) 별로 서로 다른 기구좌표(431)를 설정 및 저장할 수 있다. 위치좌표(432)는 상기 위치정보산출부(420)에서 산출된 스마트폰(2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설정되며, 예를 들어, 헬스장 내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한 후 스마트폰(200)의 현재 위치가 특정 공간에 위치되는 경우의 좌표를 위치좌표(432)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좌표처리부(430)에서는 기구좌표(431)와 위치좌표(432)를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폰(200)이 특정 운동기구(100)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
상기 기구좌표(431)는 설정된 공간 범위를 의미하고, 상기 좌표처리부(430)는 상기 위치좌표가 상기 공간 범위 내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스마트폰(200)이 특정 운동기구(100)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경로안내부(440)는 상기 좌표처리부(430)로부터 비교된 기구좌표(431)와 위치좌표(432)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운동기구(100)까지의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경로는 특정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알고리즘은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표처리부(430)와 경로안내부(440)를 통한 추천경로의 표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원은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운동하고자 하는 부위나 운동기구(100) 항목을 선택한다.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은 등, 가슴, 어깨 등 신체부위별로 운동부위를 표시하고, 회원이 특정 운동부위를 선택하는 경우 그 하위목록으로 상기 특정 운동부위에 속하는 운동기구(100)를 표시한다. 회원은 표시된 운동기구(1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회원이 다수의 운동기구(1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회원관리서버(400)의 좌표처리부(430)는 상기 회원이 선택한 운동기구(100)에 대응되는 기구좌표(431)와 현재 스마트폰(2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좌표(432)를 비교하고, 상기 경로안내부(440)는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위치좌표(432)(스마트폰(200)의 위치)로부터 기구좌표(431)(선택한 운동기구(100)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은 제공된 경로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한다. 이를 통해 회원은 운동기구(100)까지의 경로를 안내받음으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운동기구(100)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운동기구(100)의 사용에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어 의욕과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관리부(450)를 통한 예약정보의 표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이 예약한 운동기구(100)의 예약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예약관리부(4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약관리부(450)는 다수의 예약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리하여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예약정보는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점유정보제공부(410)로부터 제공된 운동기구(100)의 점유 여부와 함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예약정보는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거되거나, 회원의 운동기구(100) 점유를 통한 기구점유정보가 생성됨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예약관리부(450)는 운동기구(100) 별로 예약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회원이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운동기구(100)를 선택하여 예약하고,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은 회원의 예약에 따라 예약정보를 생성하여 회원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예약관리부(450)는, 예컨대 벤치프레스를 회원이 선택하여 예약한 경우, 벤치프레스를 예약한 다수의 회원의 예약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리하여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제공한다.
회원은 특정 운동기구(100)가 점유 중인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운동기구(100)를 예약하여 점유가 해제된 경우 즉시 상기 운동기구(100)를 이용하여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운동기구(100)를 다수의 회원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예약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용 가능하여 기다리는 시간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회원은 예약자의 수를 확인하여 다른 운동기구(100)로 대체하는 등의 대안책을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예약관리부(450)는, 상기 회원이 예약한 운동기구(100)의 점유가 해제된 경우 상기 예약정보를 제공한 스마트폰(200)으로 알람신호를 발송할 수 있으며, 상기 알람신호는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된 음향신호나 진동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거나, MMS 등 메시지를 발송하는 신호일 수 있다. 회원은 다른 운동기구(100)를 이용하는 중이더라도 상기 알람신호로부터 자신이 선택한 운동기구(100)의 점유가 해제되었는지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로안내부(440)는, 상기 점유정보제공부(410)로부터 제공된 기구점유정보와 상기 예약관리부(450)로부터 제공된 예약정보를 기반으로,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이 지정한 운동기구(100)가 점유 중인 경우 설정된 계산식에 따라 결정된 다른 운동기구(100)까지의 추천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회원의 스마트폰(2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이 선택한 운동기구(100)의 예약정보가 설정된 수 이상 적체된 경우 상기 경로안내부(440)는 회원이 선택한 운동기구(100)와 유사한 운동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대체 운동기구(100)까지의 추천경로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대체 운동기구(100)의 선정은 미리 운동기구(100)를 운동부위별로 분류하고, 하나의 운동부위로 분류된 다수의 운동기구(100)의 순서를 지정하여 1번 운동기구(100)의 예약정보가 적체된 경우 2번 운동기구(100)까지의 경로로 안내하고, 1번 운동기구(100)와 2번 운동기구(100)의 예약정보가 각각 적체된 경우 3번 운동기구(100)까지의 경로로 안내하는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회원이 가슴운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벤치프레스를 선택하였을 때, 상기 경로안내부(440)는 벤치프레스의 예약정보가 없는 경우 스마트폰(200)의 위치로부터 벤치프레스까지의 경로를 산출하여 제공하고, 벤치프레스의 예약정보가 설정된 수 이상 적체된 경우 버터플라이까지의 경로를 산출하여 제공하고, 벤치프레스와 버터플라이 모두 예약정보가 설정된 수 이상 적체된 경우 가슴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운동기구(100)까지의 경로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등의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예약자 수에 따라 대체경로를 제공하여 안내함으로써 특정 운동기구(100)에 회원이 몰리는 현상을 다소 완화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운동기구(1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회원의 균형적인 운동 수행 보조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정보제공부(460)와 운동이력제공부(480)를 통한 운동이력의 표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원관리서버(400)는, 상기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상기 통신수단(300)에서 제공된 거리신호를 전달받아 출석확인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상기 출석확인신호를 전송하는 출석정보제공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석정보제공부(460)는 거리신호, 예컨대 제1통신수단(300)에서 제공된 제1거리신호의 신호세기가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출석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스마트폰(200)으로 제공한다. 이 경우 제1통신수단(300)은 헬스장 출입구에 근접하여 위치되며, 회원이 출입구를 통과하는 경우 스마트폰(200)과 제1통신수단(300)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제1거리신호는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신호세기를 갖는다. 상기 출석확인신호를 제공받은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은 출석확인신호를 제공받은 날짜와 출석 여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진 않았으나 상기 출석정보제공부(460)는 상기 회원의 헬스장 등록 기간과 기간만료일을 저장하고, 기간만료일이 임박함에 따라 설정된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기간만료일의 2주일 전, 1주일 전, 3일 전 등 기간만료일을 기준으로 미리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기간 연장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회원관리서버(400)는 상기 점유상태부(110)로부터 제공된 기구점유정보를 상기 회원정보에 따라 각각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기구점유정보를 기반으로 회원의 기구사용내역을 산출하여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제공하는 운동이력제공부(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이력제공부(480)는 회원의 일별, 주별, 월별 등 사용한 운동기구(100)의 사용내역을 회원별로 제공하는데, 점유상태부(110)는 NFC 등의 기능으로부터 상기 회원의 회원정보를 제공받아 회원관리서버(400)로 전송하며, 상기 회원관리서버(400)는 회원 별로 점유한 운동기구(100)의 종류와 운동시간 등을 정리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회원은 일주일간 벤치프레스 총 2회로, 월요일 1회차 10분, 수요일 2회차 12분 등으로 정리하여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제공하며, 다른 운동기구(100)의 경우에도 점유 빈도와 점유 시간을 저장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회원은 개인이 별도로 운동내역을 기록하거나 개인트레이너 등 개별적으로 고용한 고용인이 기록하지 않더라도 운동기구(100)의 사용만으로 운동내역을 파악할 수 있어 체계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헬스장 측에서 회원의 관리가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정보제공부(470)를 통한 운동정보의 표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원관리서버(400)는, 미리 저장된 운동기구(100)의 사용방법에 대한 운동정보를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제공하는 운동정보제공부(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정보는 운동기구(100)의 종류, 운동부위 등에 대한 정보와 운동자세나 사용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미지, 텍스트, 영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원은 상기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하고자 하는 운동기구(100)를 선택하고, 회원관리서버(400)는 상기 운동기구(100)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운동기구(100)에 대응하는 운동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운동정보제공부(470)는, 상기 좌표처리부(430)에서 비교된 기구좌표(431)와 위치좌표(432)를 기반으로 회원이 상기 기구좌표(431)에 해당되는 운동기구(100)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회원이 상기 운동기구(100)에 도달한 경우 상기 운동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구좌표(431)는 공간 범위로 구성되고, 상기 위치좌표(432)가 기구좌표(431)의 공간 범위 내에 도달하였을 경우 상기 운동정보제공부(470)는 상기 기구좌표(431)에 해당하는 운동기구(100)에 대응되는 운동정보를 스마트폰(200)으로 제공한다. 상기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은 회원이 특정 운동기구(100)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운동기구(100)에 대응하는 운동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한다. 회원은 운동기구(100)를 별도로 선택하지 않더라도 사용하고자 하는 운동기구(100)에 도달하는 것만으로 해당 운동기구(100)의 사용방법이나 운동자세, 종류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운동 의욕을 고취시키는 동시에 운동 수행 전 운동자세 등의 정보를 다시 확인할 수 있어 효과적인 운동 수행과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심자나 별도의 트레이너 등을 고용하지 않더라도 회원이 체계적으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운동기구(100)의 점유 상태나 예약 상태를 파악하고 경로를 안내받음으로써 다수의 회원이 특정 운동기구(100)를 공유하는 경우 기다리는 시간을 감소시키며 운동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다. 또한, 출석확인이나 기간만료 등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고 운동방법이나 자세 등의 운동정보를 제공하여 회원의 운동이력 등을 관리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100 : 운동기구 110 : 점유상태부
200 : 스마트폰
300 : 통신수단 310 : 제1통신수단
320 : 제2통신수단 330 : 제3통신수단
400 : 회원관리서버
410 :점유정보제공부 420 : 위치정보산출부
430 : 좌표처리부 431 : 기구좌표
432 : 위치좌표 440 : 경로안내부
450 : 예약관리부 460 : 출석정보제공부
470 : 운동정보제공부 480 : 운동이력제공부

Claims (9)

  1. 헬스장에 등록된 회원의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서버;
    상기 회원관리서버와 연동되며 상기 등록된 회원이 소지하고, 상기 회원관리서버와 연동 가능한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헬스장 내에 고정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 거리신호를 제공하는 통신수단;
    헬스장에 구비된 다수의 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회원의 운동기구 점유 시 기구점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원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점유상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원관리서버는,
    상기 기구점유정보를 다수의 회원이 소지한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점유정보제공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거리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정보산출부;
    상기 다수의 운동기구 각각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기구좌표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정보산출부에서 산출된 스마트폰의 위치로부터 위치좌료를 생성하여 상기 기구좌표와 비교하는 좌표처리부; 및
    상기 좌표처리부로부터 기구좌표 및 위치좌표를 제공받고, 상기 위치좌표에서 상기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이 지정한 운동기구에 대응되는 기구좌표까지의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경로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적어도 3이상이고,
    서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 상기 스마트폰으로 거리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관리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통신수단에서 제공된 거리신호를 전달받아 출석확인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출석확인신호를 전송하는 출석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관리서버는,
    상기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예약한 운동기구의 예약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예약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약관리부는 다수의 예약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리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관리부는,
    상기 회원이 예약한 운동기구의 점유가 해제된 경우 상기 예약정보를 제공한 스마트폰으로 알람신호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부는,
    상기 점유정보제공부로부터 제공된 기구점유정보와 상기 예약관리부로부터 제공된 예약정보를 기반으로, 회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이 지정한 운동기구가 점유 중인 경우 설정된 계산식에 따라 결정된 다른 운동기구까지의 추천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회원의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관리서버는,
    미리 저장된 운동기구의 사용방법에 대한 운동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운동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정보제공부는,
    상기 좌표처리부에서 비교된 기구좌표와 위치좌표를 기반으로 회원이 상기 기구좌표에 해당되는 운동기구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회원이 상기 운동기구에 도달한 경우 상기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관리서버는,
    상기 점유상태부로부터 제공된 기구점유정보를 상기 회원정보에 따라 각각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기구점유정보를 기반으로 회원의 기구사용내역을 산출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운동이력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KR1020190019170A 2019-02-19 2019-02-19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KR102196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170A KR102196344B1 (ko) 2019-02-19 2019-02-19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170A KR102196344B1 (ko) 2019-02-19 2019-02-19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032A true KR20200101032A (ko) 2020-08-27
KR102196344B1 KR102196344B1 (ko) 2020-12-29

Family

ID=72237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170A KR102196344B1 (ko) 2019-02-19 2019-02-19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34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8933A (zh) * 2021-01-15 2021-04-16 山东体育学院 一种科学健身场所智能设备管理系统及方法
KR102249368B1 (ko) 2020-09-24 2021-05-06 문정국 사적이용이 가능한 피트니스 시설
KR20220122847A (ko) * 2021-02-26 2022-09-0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트레이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인공지능 트레이닝 방법
KR102509065B1 (ko) 2021-11-19 2023-03-09 정진훈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49119B1 (ko) * 2022-11-30 2023-06-29 주식회사 서플라이스 IoT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헬스장 내 기구 점유 상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5819B1 (ko) * 2022-11-09 2023-10-06 (주)휴먼아이티솔루션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모드 전환 기반의 트레이닝 시설 및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340B1 (ko) * 2015-02-23 2016-07-20 김인환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
KR20170000963A (ko) 2015-06-25 2017-01-04 주식회사 호텔신라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
KR20170123427A (ko) * 2016-04-29 2017-11-08 박성수 헬스센터 스마트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180113263A (ko) * 2017-04-06 2018-10-16 이종학 헬스기구 사용상태 알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340B1 (ko) * 2015-02-23 2016-07-20 김인환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
KR20170000963A (ko) 2015-06-25 2017-01-04 주식회사 호텔신라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
KR20170123427A (ko) * 2016-04-29 2017-11-08 박성수 헬스센터 스마트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180113263A (ko) * 2017-04-06 2018-10-16 이종학 헬스기구 사용상태 알림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368B1 (ko) 2020-09-24 2021-05-06 문정국 사적이용이 가능한 피트니스 시설
CN112668933A (zh) * 2021-01-15 2021-04-16 山东体育学院 一种科学健身场所智能设备管理系统及方法
KR20220122847A (ko) * 2021-02-26 2022-09-0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트레이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인공지능 트레이닝 방법
KR102509065B1 (ko) 2021-11-19 2023-03-09 정진훈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74069A (ko) 2021-11-19 2023-05-26 정진훈 피트니스 센터에서의 사용자 운동 보조 및 관리 방법
KR102585819B1 (ko) * 2022-11-09 2023-10-06 (주)휴먼아이티솔루션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모드 전환 기반의 트레이닝 시설 및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549119B1 (ko) * 2022-11-30 2023-06-29 주식회사 서플라이스 IoT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헬스장 내 기구 점유 상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344B1 (ko)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344B1 (ko)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US10736527B2 (en) Workou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EP2347804B1 (en) User status notification system
KR101447145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US20150133748A1 (en) Interactive system for monitoring and assisting the physical activity of a user within a gym environment
KR101796664B1 (ko) 헬스 트레이닝 시스템
KR2013011740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형 운동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0812A (ko)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275175B1 (ko) IoT 기술을 활용하여 모든 피트니스 기구에 연동되는 장착형 스마트 짐 통합 솔루션 장치와 그 운영 방법
KR20150008534A (ko) 운동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CA28230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age, monitoring and management within a health facility
KR20130128533A (ko) 개인별 운동 이력을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헬스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08250A (ko)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65593A (ko)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KR20160121756A (ko) 운동기구 사용자의 운동정보 취득관리용 단말기
KR101223140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스케쥴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링 방법
KR20170123427A (ko) 헬스센터 스마트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112266B1 (ko) 스마트폰과 연동된 트레드밀 운동보조 시스템
KR101663091B1 (ko) 운동센터 등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2061A (ko) 맞춤형 트레이닝이 가능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101643809B1 (ko) 운동센터 관리 시스템의 운동센터 등재 관리 방법
US20230237544A1 (en) Price calculation device
KR2015002501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운동 정보를 수집 및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5011B1 (ko) 운동 관리 시스템
US20200324167A1 (en) Method for quantifying a sporting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