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963A -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963A
KR20170000963A KR1020150090236A KR20150090236A KR20170000963A KR 20170000963 A KR20170000963 A KR 20170000963A KR 1020150090236 A KR1020150090236 A KR 1020150090236A KR 20150090236 A KR20150090236 A KR 20150090236A KR 20170000963 A KR20170000963 A KR 20170000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anagement server
integrated management
exercise
positio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텔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텔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텔신라
Priority to KR1020150090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963A/ko
Priority to PCT/KR2016/006180 priority patent/WO2016208893A1/ko
Publication of KR20170000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Navig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헬스장의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실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포지셔닝 유닛;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생성하며, 사용자의 위치 영역 배치되어 사용자에 해당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마운터블 단말기; 및 마운터블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위치 영역에 할당된 운동 프로그램을 마운터블 단말기로 제공하고, 사용자에 대한 운동 이력을 데이터화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헬스장 실내 회원의 위치 확인을 통해, 운동 이력을 기록 관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헬스장 사용자의 맞춤형 헬스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SYSTEM FOR SUPPLYING AND MANAGING SPORTS PROGRAM BASED ON LOCATION AWARENESS OF USER}
본 발명은 사용자 위치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를 관리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실내 피트니스 센터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위치에 해당하는 지역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해당 위치에 잔류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진행된 운동 프로그램을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관리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바쁜 일상에서 지친 현대인들은 과중한 업무에도 불구하고 시간을 내어 자신의 체력을 단련하고는 있다.
이에 스포츠 센터나 헬스 클럽 등의 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에서는 헬스장 이용권 외에 PT(personal training)나 크로스핏(cross fit) 등을 제공하며, 개인 별로 맞춤형 운동 처방과 식이 요법을 권장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 즉 헬스장 이용 회원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간섭을 받는다는 느낌이 있을 수 있으며, 헬스장 운영자의 입장에서는 헬스장 이용 회원의 증가에 따라 트레이너 등의 인력을 확충해야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헬스장 운영자의 입장 뿐만 아니라 헬스장 이용 회원의 입장에서도, 헬스장 이용 회원에게 맞춤형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제공하되, 이들 회원에게는 인적 접촉이 가급적 자제될 수 있도록 하는, 다소 상충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술적인 접근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트레이닝의 관리를 위하여, 사용자의 운동 위치 추적을 하고 이를 통해, 운동의 효과 즉, 칼로리 소비를 측정하는 기술이 도입되었는데 이러한, 일 례로써, "위치측정시스템을 이용한 휴대용 칼로리 소비량 측정장치(등록 번호 제20-0265175호)"가 존재하며, "GPS수신을 이용한 운동량 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인 운동관리 서비스방법(공개 번호 제10-2003-0068788호)" 역시 비슷한 공개 특허 문헌에 해당한다.
이들 기술은 사용자가 노천(露天)의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GPS 수신기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 변동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운동의 정도와 그 소비 칼로리까지 계산할 수 있는 기술이지만, 이들 기술은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실내의 환경에서는 도입하기는 곤란하였다. 설령, 이들 GPS 신호를 실내에서 수신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GPS 신호는 최소 수 m에서 수십 m의 오차가 존재하는바, 상대적으로 좁은 실내에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오차 한계의 범위 내로 인식하는데는 미흡한 기술에 해당하였다.
유사 기술로써, 자동차의 네비게이션에 장착되는 GPS 수신기 뿐만 아니라, 운동하는 사람의 레이스 측정을 위한 기술 역시 존재하는데, 일 례로써 "지피에스를 이용한 가상 운동 레이싱 시스템(공개 번호 제10-2012-0012187호)"이 존재한다.
그 밖에 스포츠의 훈련과 프로그램 제공을 위하여 스마트폰을 활용한 증강 현실도 도입되었는데, "증강현실을 이용한 모바일 스포츠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공개 번호 제10-2012-0075565호)"이 그러하다.
이들 운동 가이드 시스템 역시 실내의 환경에서는 부적합한 기술로 평가되며, 증강 현실은 해당 사용자의 특정 운동의 실시 여부의 인식이 불가하며, 이를 토대로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의 제공과 관리 역시 힘든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KR 10-2003-0068788 A KR 10-2012-0075565 A KR 10-2012-0012187 A KR 20-0265175 Y1 KR 10-0955640 B1 KR 10-2011-0032927 A KR 10-2011-0112523 A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회원 즉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운동의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사용자의 위치 인식은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가급적 최대 수십 cm까지의 오차만 허용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통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위치 인식된 시간의 측정을 통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 이력을 데이터화하여, 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에게 새로운 운동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은 실내의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실내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에 제공되어,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포지셔닝 유닛; 상기 사용자의 위치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포지셔닝 유닛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의 위치 영역에 해당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마운터블 단말기; 및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영역에 할당된 상기 운동 프로그램을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운동 이력을 데이터화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내의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실내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에 제공되어,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포지셔닝 유닛; 상기 실내에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포지셔닝 유닛과 신호를 교신하는 시그널 유닛; 교신한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교신한 상기 신호의 시차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운동 이력을 데이터화하는 통합 관리 서버;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 영역에 해당하는 운동 프로그램과 상기 운동 이력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마운터블 단말기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의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의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비콘 방식을 통해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에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의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는, 상기 실내의 각 영역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의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는, 상기 실내의 각 영역에 배치된 기기에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의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는, 할당된 상기 위치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위치 영역에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의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는, 배치된 상기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기기에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의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의 추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패턴을 그래픽화하여,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의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상기 심박수의 정보를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로 전송하는 심박수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의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는, 상기 심박수의 정보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심박수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이력을 통합 관리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력 변화 추이를 그래픽화하고, 상기 체력 변화 추이를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은,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운동 프로그램과 데이터화된 상기 운동 이력을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헬스장 실내 사용자 즉, 회원의 위치 확인을 통해, 운동 이력을 기록 관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헬스장 사용자의 맞춤형 헬스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헬스장 사용자의 위치 잔류 시간 및 심박수 등을 측정하여, 해당 위치에 대한 운동의 강도나 지속 시간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맞춤형 헬스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상술한 바와 같은, 맞춤형 헬스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에 비치된 테블릿 PC 등으로 실시간 안내할 수 있는바, 사용자의 운동 프로그램을 곧 바로 안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넷째, 사용자의 운동 프로그램과 운동의 이력을 상술한 바와 같이, 헬스장 내에 비치된 테블릿 PC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개인 스마트폰으로도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의 이력과 향후 제공될 운동 프로그램을 안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구성들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요소인 포지셔닝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으로 헬스장 실내를 도시하고, 이러한 실내의 각 영역을 구획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헬스장 실내의 특정 영역 내에 비치된 머신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도시한 구상도이다.
도 6은 헬스장 실내의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프리웨이트 운동을 실시하는 사용자를 도시한 구상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운터블 단말기와 포지셔닝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삼각 측량법에 의해 시그널 유닛과 포지셔닝 유닛 그리고 통합 관리 서버의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사용자의 운동 이력이 제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 외 또 다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구성들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요소인 포지셔닝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으로 헬스장 실내를 도시하고, 이러한 실내의 각 영역을 구획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헬스장 실내의 특정 영역 내에 비치된 머신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도시한 구상도이다. 도 6은 헬스장 실내의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프리웨이트 운동을 실시하는 사용자를 도시한 구상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운터블 단말기와 포지셔닝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삼각 측량법에 의해 시그널 유닛과 포지셔닝 유닛 그리고 통합 관리 서버의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사용자의 운동 이력이 제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 외 또 다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포지셔닝 유닛(110); 마운터블 단말기(130); 그리고 통합 관리 서버(12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포지셔닝 유닛(11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헬스장을 이용하는 자(이하, '사용자'라 명명한다.)가 소지하거나 몸에 부착할 수 있으며, 트레이닝 웨어(training wear)에 부착 또는 거치할 수 있는 장치이다.
포지셔닝 유닛(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데, 비콘 유닛(111), 측위 유닛(112) 또는 NFC 유닛(113)일 수 있다.
먼저 비콘 유닛(111)인 경우, 마운터블 단말기(130)에서 비콘 유닛(111)의 위치를 인식하게 되며, 측위 유닛(112)인 경우, 후술하게 되는 시그널 유닛(150)과의 조합에 의해 삼각 측량법에 의한 위치 인식이 이루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NFC 유닛(113)인 경우, NFC 안테나가 내장된 스티커의 형태로 이루어져, 해당 NFC 유닛(113)을 마운터블 단말기(130)에 태그하면 자동적으로 해당 위치가 인식될 수 있게 된다.
포지셔닝 유닛(110)이 비콘 유닛(111)이거나 NFC 유닛(113)인 경우, 마운터블 단말기(130)가 실내(10)의 어느 영역 혹은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는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설정된 영역 정보는 통합 관리 서버(120)에 미리 지정 및 저장되어 있게 된다. 이로써, 마운터블 단말기(130)가 포지셔닝 유닛(110)을 인식하게 되면, 마운터빌 단말기(130)의 미리 지정되고 저장된 위치를 통해, 포지셔닝 유닛(110)의 위치 즉, 사용자가 헬스장 실내(10)의 어느 영역에 현재 존재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삼각 측량법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즉 포지셔닝 유닛(110)이 측위 유닛(112)인 경우에는 그 위치 인식의 원리를 후술하도록 한다.
포지셔닝 유닛(110)이 비콘 유닛(111)인 경우, 블루투스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최대 70m 이내의 장치 즉, 마운터블 단말기(130)와 교신할 수 있으며, 5~10㎝ 단위의 구별이 가능할 정도로 정확성이 높게 된다.
포지셔닝 유닛(110)이 비콘 유닛(111)인 경우, NFC와는 달리, 사용자가 실내(10)의 해당 영역에 위치하기만 하면, 해당 영역의 마운터블 단말기(130)에 인식되어, 사용자의 위치가 자동 인식된다. 즉, NFC 유닛(113) 처럼 사용자가 번거롭게 마운터블 단말기(130)에 일일이 태그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비콘 관련한 기술은 이미 실현 가능한 특허 기술도 많이 공개되어 있다. 예컨대, "비콘 시스템 및 비콘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등록 번호 제10-1040263호)", "비콘 내장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비콘 신호 방사 방법 및 시스템(등록 번호 제10-0723675호)" 등이 있는바, 실내(10)에서 사용자가 포지셔닝 유닛(110)을 지닌 상태로 해당 마운터블 단말기(130) 설치된 영역이나 기기에 위치하면, 사용자는 해당 영역의 운동이나 기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게 된다.
마운터블(mountable) 단말기(130)는 도 1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10)의 불특정 영역에 복수 개로 배치되고, 불특정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디바이스이다.
마운터블 단말기(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블릿 P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포지셔닝 유닛(110)의 종류(도 3 참조)에 따라, 비콘을 인식할 수 있거나, NFC 안테나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운터블 단말기(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는 운동 기구에 거치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10)의 영역들 즉, 프리웨이트 존, 유산소 및 사이클 존, 유산소 및 러닝 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운동을 진행하게 될 실내(1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실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영역으로 나뉘어지게 되며, 해당 영역에는 해당 영역의 위치를 가리키게 되는 마운터블 단말기(130)가 설치된다.
영역에 설치된 마운터블 단말기(130)는 해당 영역에 들어온 사용자,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용한 포지셔닝 유닛(110)을 인식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해당 본 시스템은 해당 영역에 사용자가 진입하고 잔존하는 시간을 산출하여, 사용자의 해당 영역의 운동을 진행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싸이클을 이용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에 설치된 마운터블 단말기(130)는 사용자의 포지셔닝 유닛(110)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현재 싸이클을 이용중임을 인식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싸이클 이용시간(싸이클에 잔류하는 시간)을 안내하며, 마운터블 단말기(130)를 통해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싸이클 이용 시간은 사용자의 운동 이력으로 기록되며, 이러한 정보는 마운터블 단말기(130)가 통합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운동 이력 데이터로 남아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됨은 물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다음 운동 프로그램을 짜기 위한 정보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실내(10)에서 유산소 존(zone) 그 중에서도 스쿼트를 이용하는 경우, 스쿼트 독(dock)에 설치된 마운터블 단말기(130)는 사용자의 포지셔닝 유닛(110)을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스쿼트 운동 자세, 방법, 세트 및 횟수를 안내함과 동시에 스쿼트의 다양한 자세를 디스플레이게 된다. 아울러, 마운터블 단말기(130)는 사용자의 스쿼트 운동 시간을 측정하며, 이러한 운동 이력을 통합 관리 서버(120)로 전송한다.
마운터블 단말기(130)는 포지셔닝 유닛(110)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해당 사용자에게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제시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프리웨이트 존에 속하게 되면, 해당 사용자에게 미리 짜여진 프리웨이트 운동에 대해서 안내하도록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면, 해당 사용자는 자기의 운동 주 수 및 날짜에 따라 해당 프리웨이트 운동을 마운터블 단말기(130)의 화면을 보면서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통합 관리 서버(120)는 포지셔닝 유닛(110)이 비콘 유닛(111)인 경우, 마운터블 단말기(13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와 사용자의 위치 영역에 할당된 운동 프로그램을 마운터블 단말기(130)로 전송하며, 사용자의 운동 이력을 데이터화하는 구성이다.
만약, 포지셔닝 유닛(110)이 측위 유닛(112)인 경우, 도 1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그널 유닛(150)과의 신호 교신을 통하여 포지셔닝 유닛(110)의 위치를 삼각 측량법에 의하여 그 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삼각 측량법에 의한 위치의 인식은 GPS 위성과 단말기 등에서 널리 인식되고 보급된 기술적 사상인데, 특허 문헌으로는 "위치 식별 장치 및 방법(출원 번호 제10-2010-0054904호)" 등을 참고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측위 유닛(112)이 신호를 전송하고, 이러한 신호에는 해당 측위 유닛(112)의 시리얼 넘버와 각 주기 별로 상이한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를 세 위치에서 전송받은 시그널 유닛(150)은 시리얼 넘버를 인식하여, 해당 측위 유닛(112)을 착용한 사용자를 식별하게 되며, 상이한 코드가 수신된 시차를 계산하여, 해당 측위 유닛(112)이 실내(10)의 어느 영역에 존재하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이렇게 인식된 영역 정보는 마운터블 단말기(130) 및/또는 통합 관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과는 반대로, 시그널 유닛(150)이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신호에는 주기별로 상이한 코드가 포함되며,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는 측위 유닛은 세 지점으로부터 받은 신호와 이러한 신호들의 코드가 도착한 시차를 계산하여, 자신이 위치한 영역을 계산하고, 계산된 영역 정보를 마운터블 단말기(130) 및/또는 통합 관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서버(12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의 변경을 통해, 사용자가 실내(10)에서 어떠한 운동을 한 후, 어떠한 운동을 하고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합 관리 서버(12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의 변경의 추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운동 패턴을 알 수 있으며 이를 그래픽화하여, 마운터블 단말기(130)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상술한 포지셔닝 유닛(110)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가능한데, 이렇게 부착된 포지셔닝 유닛(110)은 심박수측정기(미도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는 마운터블 단말기(130)와 통합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운동 이력과 매칭시키며, 향후 운동 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심박수의 정보는 운동 강도 및 사용자의 체력 변화의 추이를 분석하는데 참고 자료가 되며, 그래픽화되어 마운터블 단말기(130)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40)는 사용자의 개인 스마트폰과 같은 것으로서, 통합 관리 서버(120)로부터 사용자 자신의 운동 프로그램과 데이터화된 운동 이력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헬스장 내부
110: 포지셔닝 유닛
111: 비콘 유닛
112: 측위 유닛
113: NFC 유닛
120: 통합 관리 서버
130: 마운터블 단말기
140: 이동 단말기
141: 이동 단말기의 화면
150: 시그널 유닛

Claims (12)

  1. 실내의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에 제공되어,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포지셔닝 유닛;
    상기 사용자의 위치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포지셔닝 유닛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의 위치 영역에 해당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마운터블 단말기; 및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영역에 할당된 상기 운동 프로그램을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운동 이력을 데이터화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실내의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에 제공되어,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포지셔닝 유닛;
    상기 실내에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포지셔닝 유닛과 신호를 교신하는 시그널 유닛;
    교신한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교신한 상기 신호의 시차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운동 이력을 데이터화하는 통합 관리 서버;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 영역에 해당하는 운동 프로그램과 상기 운동 이력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마운터블 단말기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비콘 방식을 통해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에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는,
    상기 실내의 각 영역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는,
    상기 실내의 각 영역에 배치된 기기에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는,
    할당된 상기 위치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위치 영역에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는,
    배치된 상기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기기에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의 추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패턴을 그래픽화하여,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상기 심박수의 정보를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로 전송하는 심박수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는,
    상기 심박수의 정보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심박수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이력을 통합 관리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력 변화 추이를 그래픽화하고, 상기 체력 변화 추이를 상기 마운터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운동 프로그램과 데이터화된 상기 운동 이력을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50090236A 2015-06-25 2015-06-25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 KR20170000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236A KR20170000963A (ko) 2015-06-25 2015-06-25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
PCT/KR2016/006180 WO2016208893A1 (ko) 2015-06-25 2016-06-10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236A KR20170000963A (ko) 2015-06-25 2015-06-25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963A true KR20170000963A (ko) 2017-01-04

Family

ID=5758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236A KR20170000963A (ko) 2015-06-25 2015-06-25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00963A (ko)
WO (1) WO201620889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145A (ko) 2017-02-28 2018-09-05 다우엔텍 주식회사 운동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WO2019050130A1 (ko) * 2017-09-08 2019-03-14 위피크 주식회사 스포테인먼트 테마파크 운영을 위한 스마트 밴드 시스템
KR20200101032A (ko) 2019-02-19 2020-08-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WO2021145475A1 (ko) * 2020-01-14 2021-07-22 위피크 주식회사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테마파크 운영 관리 시스템
WO2023033440A1 (ko) * 2021-08-31 2023-03-09 주식회사 디랙스 스포츠 센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175Y1 (ko) 2001-10-15 2002-02-25 박주원 위치측정시스템을 이용한 휴대용 칼로리 소비량 측정장치
KR20030068788A (ko) 2002-02-18 2003-08-25 김종관 Gps수신을 이용한 운동량 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개인 운동관리 서비스방법
KR100955640B1 (ko) 2009-07-20 2010-05-06 프림포주식회사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KR20110032927A (ko) 2009-09-24 2011-03-30 의료법인 우리들의료재단 피트니스 장치, 피트니스 시스템 및 피트니스 방법
KR20110112523A (ko) 2010-04-07 2011-10-13 최준 개인맞춤 운동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모니터링 운동처방 시스템
KR20120012187A (ko) 2010-07-30 2012-02-09 (주)비전아레나 지피에스를 이용한 가상 운동 레이싱 시스템
KR20120075565A (ko) 2010-12-15 2012-07-09 고스트리트(주) 증강현실을 이용한 모바일 스포츠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258A (ko) * 2006-03-17 2007-09-20 장응순 대중욕실의 개인별 최적 이용요령을 제공하는 안내장치
KR20070102140A (ko) * 2006-04-14 2007-10-18 주식회사 에스씨티 Rfid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KR20090072178A (ko) * 2007-12-28 2009-07-0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력센서를 이용한 위치인식 및 운동량 측정 시스템
KR101355506B1 (ko) * 2010-09-30 2014-02-06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맞춤형 운동기구 제어 시스템
KR20120096211A (ko) * 2011-02-22 2012-08-30 김지은 알에프아이디(rfid)를 이용한 운동량 관리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175Y1 (ko) 2001-10-15 2002-02-25 박주원 위치측정시스템을 이용한 휴대용 칼로리 소비량 측정장치
KR20030068788A (ko) 2002-02-18 2003-08-25 김종관 Gps수신을 이용한 운동량 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개인 운동관리 서비스방법
KR100955640B1 (ko) 2009-07-20 2010-05-06 프림포주식회사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KR20110032927A (ko) 2009-09-24 2011-03-30 의료법인 우리들의료재단 피트니스 장치, 피트니스 시스템 및 피트니스 방법
KR20110112523A (ko) 2010-04-07 2011-10-13 최준 개인맞춤 운동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모니터링 운동처방 시스템
KR20120012187A (ko) 2010-07-30 2012-02-09 (주)비전아레나 지피에스를 이용한 가상 운동 레이싱 시스템
KR20120075565A (ko) 2010-12-15 2012-07-09 고스트리트(주) 증강현실을 이용한 모바일 스포츠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145A (ko) 2017-02-28 2018-09-05 다우엔텍 주식회사 운동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WO2019050130A1 (ko) * 2017-09-08 2019-03-14 위피크 주식회사 스포테인먼트 테마파크 운영을 위한 스마트 밴드 시스템
KR20190028052A (ko) * 2017-09-08 2019-03-18 위피크 주식회사 스포테인먼트 테마파크 운영을 위한 스마트 밴드 시스템
KR20200101032A (ko) 2019-02-19 2020-08-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WO2021145475A1 (ko) * 2020-01-14 2021-07-22 위피크 주식회사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테마파크 운영 관리 시스템
WO2023033440A1 (ko) * 2021-08-31 2023-03-09 주식회사 디랙스 스포츠 센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8893A1 (ko)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6939B2 (en) Fitness activity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KR20170000963A (ko)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
KR102009087B1 (ko) 복수의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운동 자세 교정 방법 및 시스템
CN105944366B (zh) 组表现监测系统和方法
US20160346617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acking workout related information
WO2016037012A1 (en) Measuring health and fitness data using proximity sensors and mobile technologies
KR101770040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피트니스 트레이닝 방법, 피트니스 트레이닝 시스템 및 피트니스 트레이닝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US20190147711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wearable location devices
CN108671525A (zh) 组表现监测系统和方法
KR20140135228A (ko) 실시간 이벤트 피드백
CA2564089A1 (en) Exercise monitor
CA3067142A1 (en) Transmitting device for use in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s
KR20160116355A (ko) 스마트 글래스를 이용한 운동기구 사용자 식별과 운동정보 표시 시스템
KR20170045499A (ko) Wifi 비콘을 활용한 긴급 재난 알림 서비스 시스템
CN103604441A (zh) 一种计量步伐数的系统、方法及移动终端
CN108465223A (zh) 一种基于可穿戴设备的科学跑步训练方法及系统
US11426629B2 (en) Method for quantifying a sporting activity
EP42400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devices in a gym environment
WO20170032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individual users present at a location, such as in the spaces of a building
KR102296197B1 (ko) 이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측정장치
KR20180099145A (ko) 운동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EP1840809A1 (en) Method and central processing unit for providing a ranking service for athletes
US20210170231A1 (en) Distributed race timing system with real time feedback for participants
KR20120031760A (ko) 이동 가능한 실시간 위치 확인/추적 시스템
CN215376141U (zh) 多人运动同步训练系统及智能中控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