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065B1 -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065B1
KR102509065B1 KR1020210160105A KR20210160105A KR102509065B1 KR 102509065 B1 KR102509065 B1 KR 102509065B1 KR 1020210160105 A KR1020210160105 A KR 1020210160105A KR 20210160105 A KR20210160105 A KR 20210160105A KR 102509065 B1 KR102509065 B1 KR 102509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time
information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훈
Original Assignee
정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훈 filed Critical 정진훈
Priority to KR1020210160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065B1/ko
Priority to KR1020230030127A priority patent/KR20230074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센터 단말로부터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제1 운동기구 및 제2 운동기구를 포함하는 운동기구들의 사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는 트레이너 단말로부터, 제1 회원이 수행할 운동 부위 및 상기 제1 회원이 운동을 수행할 전체 운동시간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되, 상기 전체 운동시간은 제1 운동시간 및 제2 운동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상기 제1 운동시간에 상기 제1 회원이 사용할 제1 운동기구를 선택하되, 상기 제1 운동기구는, 상기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기구이고, 그리고 상기 제1 운동시간에 예약되지 않은 운동기구일 수 있다. 서버는 상기 제2 운동시간에 상기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 기구가 모두 예약되었음을 기초로, 상기 제2 운동시간에 제2 회원이 사용할 운동기구를 상기 제1 회원이 사용할 제2 운동기구로 선택할 수 있다. 서버는 상기 트레이너 단말에게, 상기 제1 운동기구, 상기 제2 운동기구, 상기 제2 회원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 TRAINING MEMBER MANAGEMENT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운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헬스장에서 스스로 운동을 하기도 하지만 전문 트레이너에게 레슨을 받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다만 아직도 트레이너들은 수기로 PT 수업 내용을 작성하고 있고, PT 회원의 관리도 수기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회원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어렵다. 따라서 회원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수행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헬스장에서 PT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 트레이너가 특정 운동기구를 사용하고자 마음을 먹었더라도, 실제 해당 운동시간에 다른 사람이 해당 운동기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다른 운동기구를 사용해야만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트레이너도 준비한 수업을 제대로 진행하지 못하게 되고, 회원입장에서도 완벽한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삭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1032호(2020.08.27.)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9430호(2019.03.2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센터 단말로부터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제1 운동기구 및 제2 운동기구를 포함하는 운동기구들의 사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트레이너 단말로부터, 제1 회원이 수행할 운동 부위 및 상기 제1 회원이 운동을 수행할 전체 운동시간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되, 상기 전체 운동시간은 제1 운동시간 및 제2 운동시간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운동시간에 상기 제1 회원이 사용할 제1 운동기구를 선택하되, 상기 제1 운동기구는, 상기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기구이고, 그리고 상기 제1 운동시간에 예약되지 않은 운동기구인, 단계; 상기 제2 운동시간에 상기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 기구가 모두 예약되었음을 기초로, 상기 제2 운동시간에 제2 회원이 사용할 운동기구를 상기 제1 회원이 사용할 제2 운동기구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레이너 단말에게, 상기 제1 운동기구, 상기 제2 운동기구, 상기 제2 회원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각 운동기구들이 예약된 시간에 관련된 시간 정보, 상기 예약된 시간에 상기 각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 종류, 무게, 및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운동기구는 상기 제1 회원과 상기 제2 회원이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 운동기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원과 상기 제2 회원이 상기 제2 운동기구로 수행하는 운동은 동일한 운동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프로세서(processor); 송수신기(transceiver); 및 메모리(memory);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센터 단말로부터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제1 운동기구 및 제2 운동기구를 포함하는 운동기구들의 사용 정보를 획득하고; 트레이너 단말로부터, 제1 회원이 수행할 운동 부위 및 상기 제1 회원이 운동을 수행할 전체 운동시간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되, 상기 전체 운동시간은 제1 운동시간 및 제2 운동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운동시간에 상기 제1 회원이 사용할 제1 운동기구를 선택하되, 상기 제1 운동기구는, 상기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기구이고, 그리고 상기 제1 운동시간에 예약되지 않은 운동기구고; 상기 제2 운동시간에 상기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 기구가 모두 예약되었음을 기초로, 상기 제2 운동시간에 제2 회원이 사용할 운동기구를 상기 제1 회원이 사용할 제2 운동기구로 선택하고; 그리고 상기 트레이너 단말에게, 상기 제1 운동기구, 상기 제2 운동기구, 상기 제2 회원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각 운동기구들이 예약된 시간에 관련된 시간 정보, 상기 예약된 시간에 상기 각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 종류, 무게, 및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운동기구는 상기 제1 회원과 상기 제2 회원이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 운동기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원과 상기 제2 회원이 상기 제2 운동기구로 수행하는 운동은 동일한 운동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분산된 업무채널을 통합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회원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통한 체계적 관리로 트레이너서의 전문적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 회원 경험을 고려한 관리 솔루션을 통해 PT 재등록률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PT 시간 운동기구 예약을 통해 사용하고자 하는 기구를 다른 사람이 사용하고 있어 사용하지 못하거나 기다리거나 다른 기구를 대신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실시예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지 않는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앱스토어(App store)등에서 다운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후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CD(Compact Disc)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태에서 PC 등과 같은 컴퓨팅 장치에 삽입되어 상기 컴퓨팅 장치의 액세스 동작을 통해서 수행되거나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컴퓨팅 장치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후 컴퓨팅 장치의 액세스 동작을 통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팅 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에 접속가능한 경우, 상기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컴퓨팅 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서버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팅 장치, 휴대용 단말기 또는 서버 등을 통칭하여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라고 칭할 수 있다.
상기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도 2에 예시된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센터 단말(100), 트레이너 단말(110, 120), 회원 단말(130), 및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200)(이하,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 서버, SNS 서버, 블로그를 운영하는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 단말(100), 트레이너 단말(110, 120), 회원 단말(13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카메라가 탑재된 디바이스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센터 단말(100), 트레이너 단말(110, 120), 회원 단말(130)은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200)는 센터 단말(100), 트레이너 단말(110, 120), 회원 단말(130)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센터 단말(100), 트레이너 단말(110, 120), 회원 단말(13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센터 단말(100), 트레이너 단말(110, 120), 회원 단말(130)은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센터 단말(100), 트레이너 단말(110, 120), 회원 단말(130)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버(20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200)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세션을 통해 센터 단말(100), 트레이너 단말(110, 120), 회원 단말(13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라우팅할 수도 있다.
센터 단말(100), 트레이너 단말(110, 120), 회원 단말(130) 및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200)(이하, 서버(200))는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DB(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서버(200)에는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단말들 간 유선/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부(미도시), 이동 통신부(미도시) 및 방송 수신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DB(23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부(21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단말의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네트워크를 거쳐 통신부(210)을 통해 서버(20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서버(200)의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및 파일 등은 프로세서(220)로 전달되거나 DB(230)로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
DB(230)는 서버(2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프로세서(2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DB(23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D-ROM, 블루레이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DB(230)는 메모리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는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DB(2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입력부(미도시), 디스플레이(미도시), 통신부(210), DB(23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DB(2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외부 서버(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서버(200)가 다른 장치(미도시) 및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장치(미도시)는 서버(200)와 같은 컴퓨팅 장치이거나, 센싱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DB(230)는, 프로세서(2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B(230)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230)는 프로세서(22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B(230)는 프로세서(220)가 제공하는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DB(230)는 서버(200)로 입력되거나 서버(20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DB(230)는 프로세서(22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센터 단말로부터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제1 운동기구 및 제2 운동기구를 포함하는 운동기구들의 사용 정보를 획득하고; 트레이너 단말로부터, 제1 회원이 수행할 운동 부위 및 상기 제1 회원이 운동을 수행할 전체 운동시간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되, 상기 전체 운동시간은 제1 운동시간 및 제2 운동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운동시간에 상기 제1 회원이 사용할 제1 운동기구를 선택하되, 상기 제1 운동기구는, 상기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기구이고, 그리고 상기 제1 운동시간에 예약되지 않은 운동기구고; 상기 제2 운동시간에 상기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 기구가 모두 예약되었음을 기초로, 상기 제2 운동시간에 제2 회원이 사용할 운동기구를 상기 제1 회원이 사용할 제2 운동기구로 선택하고; 그리고 상기 트레이너 단말에게, 상기 제1 운동기구, 상기 제2 운동기구, 상기 제2 회원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각 운동기구들이 예약된 시간에 관련된 시간 정보, 상기 예약된 시간에 상기 각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 종류, 무게, 및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운동기구는 상기 제1 회원과 상기 제2 회원이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 운동기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원과 상기 제2 회원이 상기 제2 운동기구로 수행하는 운동은 동일한 운동일 수 있다.
도 3은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너는 트레이너 단말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이하, 서버)는 회원들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트레이너 단말에게, 해당 트레이너에 관련된 회원들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회원들의 체중, 체지방량, 골격근량, 운동 목적, 이름, 나이, 사진, 최근 수업 정보, 수강권 정보를 트레이너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이너는, 트레이너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회원들의 수업 내역을 입력할 수 있다. 수업 내역은, 회원이 수행한 운동 부위(예를 들어, 등, 하체, 전완근 등), 수행한 운동의 종류(예를 들어,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핵스쿼트(바벨), 리스트 컬(덤벨) 등), 수업 강도 등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너는 트레이너 단말을 통해 다음 PT(personal training) 수업 회원의 프로필 및 이전 수업 내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너는 트레이너 단말을 통해 회원이 수행하는 운동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기록할 수 있다. 트레이너가 트레이너 단말을 통해 기록한 정보는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트레이너가 PT 수업 종료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면, 서버는 회원이 수행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기록을 회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회원은 회원 단말을 통해 자신이 PT 수업에서 자신이 수행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기존 수기로 작성하던 PT 수업 내용을 디지털화하여 보관할 수 있고, 언제 어디서나 회원 차트를 단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를 통해 아날로그식 기록 업무와 데이터 보관 및 전송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는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레이너는 회원과의 공유캘린더를 통해 간편하게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개인 수업 횟수는 자동으로 계산될 수 있다.
트레이너는 트레이너 단말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캘린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캘린더 서비스를 통해 트레이너는 회원들의 수업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레이너는 회원으로부터 메신저를 통해 일정 변경 문의를 받을 경우, 개인 캘린더 확인 후 답장이 지연되는 등의 일정 조율 과정을 개선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월별 수업 횟수 및 회원 잔여 세션도 자동으로 산출될 수 있다. 트레이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의 총 PT 횟수가 얼마인지, 이번 수업이 몇 번째 수업이었는지도 확인할 수 있고, 수업이 끝나면 자동으로 1회의 수업 잔여 횟수가 차감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트레이너 단말 및 회원 단말에게 PT 수업 전에 수업시간 리마인더(reminder)에 대한 푸시(push)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트레이너 및 회원은 푸시 알림을 통해 수업시간을 잊지 않을 수 있고, 노쇼(no-show)가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레이너 및 회원은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업 이해도가 증가되는 시각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 회원은 시각자료를 개인 운동에 이용할 수도 있다.
시각 자료는 운동 동작을 확인할 수 있는 3D 애니메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시각자료는 부위별, 도구별로 분류될 수 있고, 각 운동을 할 때 주로 작용하는 근육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이하, 서버)는 운동기구 사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00). 예를 들어, 서버는 센터 단말로부터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제1 운동기구 및 제2 운동기구를 포함하는 운동기구들의 사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각 운동기구들이 예약된 시간에 관련된 시간 정보, 상기 예약된 시간에 상기 각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 종류, 무게, 및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여러 트레이너 단말들로부터 각 운동기구들이 예약된 시간에 관련된 시간 정보, 상기 예약된 시간에 상기 각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하 운동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각 트레이너들은 각 트레이너 단말을 통해 운동기구들을 예약할 수 있고, 각 운동기구를 통해 어떤 운동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각 운동기구들이 어떤 회원에 의해 어떤 운동에 사용될 것인지, 어떤 무게로 운동이 수행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는 제1 회원의 운동 부위 및 운동시간에 대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S610). 예를 들어, 서버는 트레이너 단말로부터, 제1 회원이 수행할 운동 부위 및 상기 제1 회원이 운동을 수행할 전체 운동시간에 대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체 운동시간은 제1 운동시간 및 제2 운동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너는 트레이너 단말을 통해 트레이너의 회원인 제1 회원이 어떤 운동 부위(예를 들어, 가슴, 어깨, 이두, 하체 등)를 운동할 것인지에 대해 어플리케이션 등에 입력할 수 있고, 서버는 상기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너는 트레이너 단말을 통해 트레이너의 회원인 제1 회원이 어떤 시간에 운동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등에 입력할 수 있고, 서버는 상기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즉, 트레이너는 제1 회원의 운동시간(예를 들어, 2021년11월2일 14시부터 15시까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서버는 상기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운동시간은 제1 운동시간(예를 들어, 2021년11월2일 14시부터 14시30분까지) 및 제2 운동시간(예를 들어, 2021년11월2일 14시30분부터 15시까지)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제1 운동기구를 선택할 수 있다(S620). 예를 들어, 서버는 상기 제1 운동시간에 상기 제1 회원이 사용할 제1 운동기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운동기구는, 상기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기구이고, 그리고 상기 제1 운동시간에 예약되지 않은 운동기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제1 회원의 운동시간 중에서 제1 운동시간(예를 들어, 14시부터 14시30분까지)동안 제1 회원이 운동할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기구 중 다른 회원에게 예약되지 않은 운동기구를 제1 운동기구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원이 운동할 부위가 어깨라면 숄더프레스 머신이 제1 운동기구로 선택될 수 있다.
서버는 제2 운동기구를 선택할 수 있다(S630). 예를 들어, 서버는 상기 제2 운동시간에 상기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 기구가 모두 예약되었음을 기초로, 상기 제2 운동시간에 제2 회원이 사용할 운동기구를 상기 제1 회원이 사용할 제2 운동기구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운동기구는 상기 제1 회원과 상기 제2 회원이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 운동기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회원과 상기 제2 회원이 상기 제2 운동기구로 수행하는 운동은 동일한 운동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운동기구는 상기 제2 운동시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제3 운동시간에 예약된 운동기구이고, 상기 제2 운동기구는 벤치 프레스(bench press), 스쿼트(squat), 데드리프트(dead-lift)를 위한 운동기구가 아니고, 상기 제2 회원은 상기 복수의 회원들 중에서, 상기 제1 회원의 수행 무게와 가장 가까운 수행 무게를 가지는 회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운동시간동안, 상기 제2 운동기구는 상기 제2 회원의 상기 제3 운동시간에만 예약된 운동기구일 수 있다.
즉, 제2 운동시간(예를 들어, 14시30분부터 15시까지)에 제1 회원이 운동하고자 하는 운동 부위에 관련된 모든 운동기구가 예약되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회원은 다른 회원과 운동기구를 공유할 수 있다. 즉, 다른 회원이 미리 예약한 운동기구가 제1 회원이 운동할 제2 운동기구로 선택될 수 있다.
근력운동은 일정 횟수를 반복하는 1세트 운동 후에 필연적으로 휴식시간을 갖게 된다. 따라서, 2명의 회원이 한 번에 동일 운동기구를 사용하더라도, 상대방의 휴식시간에 다른 상대방이 운동기구를 사용하면 되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동일 운동기구를 최대 2명까지 사용하는 것은 큰 무리가 없다.
다만, 운동기구 중에서 프리웨이트 운동을 위해 사용되는 기구들(예를 들어, 랙(rack), 스미스머신(smith machine), 벤치에서 수행되는 바벨, 덤벨 운동 등)은 운동 수행능력이 다른 사람들이 같이 사용하면, 바벨에 원판을 갈아끼워야 한다. 바벨에 원판을 많이 갈아끼워야 하는 경우, 갈아끼우기도 힘들뿐더러, 갈아끼우는데 시간이 많이 소모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한 사람의 휴식시간에 무게를 갈아끼우고 다른 한 사람이 운동을 수행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제1 회원과 제2 회원이 같이 사용하는 제2 운동기구는 스쿼트, 벤치 프레스, 데드리프트를 위한 운동기구는 제외된다.
또한, 회원들이 같은 운동기구를 사용하게 되면 상대방의 움직임을 보고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는데, 이 때 운동 수행능력이 너무 차이나는 상대방의 움직임에서는 크게 얻을 것이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수행능력이 비슷한 회원들끼리 같은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이유들을 기초로, 제1 회원과 같은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제2 회원은 상기 제1 회원의 수행 무게와 가장 가까운 수행 무게를 가지는 회원일 수 있다. 즉, 서버는 제2 운동시간에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회원들의 정보를 모두 조회하여, 상기 제1 회원이 수행하는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회원들 중에서 상기 제1 회원의 수행 무게와 가장 가까운 수행 무게를 가진 제2 회원이 사용하는 운동기구를 제2 운동기구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회원의 제2 운동시간과 제2 회원의 제3 운동시간이 완벽히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원의 제2 운동시간과 가장 적은 시간 겹치는 운동시간을 가진 회원을 제1 회원과 동일한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회원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원의 제2 운동시간(예를 들어, 14시30분부터 15시까지)은 여러명의 회원들의 운동시간과 겹칠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원의 운동시간이 14시 15분부터 14시 45분까지이고, 제3 회원의 운동시간이 14시 45분부터 15시 15분까지인 경우, 제2 운동시간은 제2 회원의 운동시간 및 제3 회원의 운동시간과 모두 겹치게 된다. 이런 경우, 같이 운동하기가 상대적으로 더 불편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운동시간에 비어있는 운동기구가 없다면, 서버는 우선적으로 제2 운동시간에 1명의 회원만 사용하는 운동기구를 우선적으로 제2 운동기구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운동시간동안, 상기 제2 운동기구는 상기 제2 회원의 상기 제3 운동시간에만 예약된 운동기구일 수 있다.
다만, 제2 운동시간동안 한명의 회원에게만 예약된 운동기구가 없는 경우, 차선책으로 여러명의 회원에게 예약된 운동기구가 제2 운동기구로 선택될 수도 있다.
서버는 제1 운동기구, 제2 운동기구, 및 제2 회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640). 예를 들어, 서버는 상기 트레이너 단말에게, 상기 제1 운동기구, 상기 제2 운동기구, 상기 제2 회원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는 트레이너 단말에게 제1 회원이 사용할 제1 운동기구, 제2 운동기구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제2 운동기구를 제1 회원과 함께 사용할 제2 회원에 관련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원에 관련된 정보는, 제2 회원이 제2 운동기구를 통해 수행할 운동에 관련된 정보, 제2 회원이 제2 운동기구를 통해 수행할 운동의 무게, 제2 회원을 담당하는 트레이너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일례에 표시된 세부 단계 중 일부는 필수 단계가 아닐 수 있고, 생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단계 외에 다른 단계가 추가될 수 있고, 상기 단계들의 순서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단계들 중 일부 단계가 독자적 기술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터 단말로부터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제1 운동기구 및 제2 운동기구를 포함하는 운동기구들의 사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트레이너 단말로부터, 제1 회원이 수행할 운동 부위 및 상기 제1 회원이 운동을 수행할 전체 운동시간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되, 상기 전체 운동시간은 제1 운동시간 및 제2 운동시간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운동시간에 상기 제1 회원이 사용할 제1 운동기구를 선택하되, 상기 제1 운동기구는, 상기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기구이고, 그리고 상기 제1 운동시간에 예약되지 않은 운동기구인, 단계; 상기 제2 운동시간에 상기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 기구가 모두 예약되었음을 기초로, 상기 제2 운동시간에 제2 회원이 사용할 운동기구를 상기 제1 회원이 사용할 제2 운동기구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레이너 단말에게, 상기 제1 운동기구, 상기 제2 운동기구, 상기 제2 회원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각 운동기구들이 예약된 시간에 관련된 시간 정보, 상기 예약된 시간에 상기 각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 종류, 무게, 및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운동기구는 상기 제1 회원과 상기 제2 회원이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 운동기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원과 상기 제2 회원이 상기 제2 운동기구로 수행하는 운동은 동일한 운동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운동기구는 상기 제2 운동시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제3 운동시간에 예약된 운동기구이고, 상기 제2 운동기구는 벤치 프레스(bench press), 스쿼트(squat), 데드리프트(dead-lift)를 위한 운동기구가 아니고, 상기 제2 회원은 상기 복수의 회원들 중에서, 상기 제1 회원의 수행 무게와 가장 가까운 수행 무게를 가지는 회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운동시간동안, 상기 제2 운동기구는 상기 제2 회원의 상기 제3 운동시간에만 예약된 운동기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 기술적 아이디어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다양한 실시예들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터 단말로부터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제1 운동기구 및 제2 운동기구를 포함하는 운동기구의 사용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각 운동기구가 예약된 시간에 관련된 시간 정보 및 상기 예약된 시간에 상기 각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복수의 회원들이 수행할 운동 종류, 무게, 및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트레이너 단말로부터, 제1 회원이 수행할 운동 부위 및 상기 제1 회원이 운동을 수행할 전체 운동시간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되, 상기 전체 운동시간은 제1 운동시간 및 제2 운동시간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운동시간에 상기 제1 회원이 사용할 상기 제1 운동기구를 선택하되, 상기 제1 운동기구는 상기 제1 회원이 수행할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기구이고, 상기 제1 운동시간에 사용이 예약되지 않은 운동기구인, 단계;
    상기 제2 운동시간에 상기 제1 회원이 수행할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기구가 모두 예약되었음을 기초로, 상기 제2 운동시간에 제2 회원이 사용할 운동기구를 상기 제1 회원이 사용할 제2 운동기구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레이너 단말에게, 상기 제1 운동기구, 상기 제2 운동기구, 상기 제2 회원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원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2 회원이 상기 제2 운동기구를 통해 수행할 운동의 종류 및 무게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2 회원을 담당하는 다른 트레이너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원이 사용할 제2 운동기구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회원들 중 상기 제1 회원이 수행할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기구에 대하여 상기 제1 회원의 수행 무게와 가장 가까운 수행 무게를 가지는 회원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회원이 수행할 운동 부위에 관련된 운동기구 중 상기 제2 운동시간에 상기 가장 가까운 수행 무게를 가지는 회원 중 한 명의 운동시간만이 겹치는 운동기구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한 명의 운동시간만이 겹치는 운동기구 중 상기 제2 운동시간과 가장 적은 시간이 겹치는 운동시간에 대응되는 운동기구를 예약한 회원을 상기 제2 회원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2 회원이 상기 가장 적은 시간이 겹치는 운동시간에 예약한 운동기구를 상기 제2 운동기구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운동기구는 벤치 프레스(bench press), 스쿼트(squat), 데드리프트(dead-lift)를 위한 운동기구가 아니고, 상기 제2 운동기구는 상기 제1 회원과 상기 제2 회원이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 운동기구이고, 상기 제1 회원과 상기 제2 회원이 상기 제2 운동기구로 수행하는 운동은 동일한 운동이고,
    상기 트레이너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회원이 수행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레이너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회원의 수업 종료에 관한 정보가 송신되면, 상기 제1 회원에 대응되는 회원 단말에게 상기 제1 회원이 수행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원의 수업 종료에 관한 정보가 송신되면, 상기 제1 회원의 수업 잔여 횟수가 1회 차감되는 단계;
    상기 제1 회원의 총 수업 횟수 및 상기 제1 회원의 수업 잔여 횟수를 상기 회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회원 단말에게 상기 제1 회원의 다음 수업시간에 대한 푸시 알림의 출력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회원의 수업 일정을 나타낸 캘린더 정보를 관한 상기 트레이너 단말 및 상기 회원 단말에게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운동 부위별 및 운동 도구별로 분류된 운동 동작을 나타내는 3D 애니메이션을 상기 회원 단말에게 제공하되, 상기 3D 애니메이션은 상기 운동 동작에 따라 작용하는 근육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60105A 2021-11-19 2021-11-19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09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105A KR102509065B1 (ko) 2021-11-19 2021-11-19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30030127A KR20230074069A (ko) 2021-11-19 2023-03-07 피트니스 센터에서의 사용자 운동 보조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105A KR102509065B1 (ko) 2021-11-19 2021-11-19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0127A Division KR20230074069A (ko) 2021-11-19 2023-03-07 피트니스 센터에서의 사용자 운동 보조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065B1 true KR102509065B1 (ko) 2023-03-09

Family

ID=855116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105A KR102509065B1 (ko) 2021-11-19 2021-11-19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30030127A KR20230074069A (ko) 2021-11-19 2023-03-07 피트니스 센터에서의 사용자 운동 보조 및 관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0127A KR20230074069A (ko) 2021-11-19 2023-03-07 피트니스 센터에서의 사용자 운동 보조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90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988A (ko) * 2013-12-26 2015-07-06 주식회사 휴니티 운동 스케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29430A (ko) 2018-08-16 2019-03-20 아이피랩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피트니스 시스템 및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KR20200101032A (ko) 2019-02-19 2020-08-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988A (ko) * 2013-12-26 2015-07-06 주식회사 휴니티 운동 스케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29430A (ko) 2018-08-16 2019-03-20 아이피랩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피트니스 시스템 및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KR20200101032A (ko) 2019-02-19 2020-08-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069A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sete et al. Mobile devices in and out of the classroom
US108789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tracking
EP2418597A1 (en) Dynamically adaptive scheduling system
US20080086318A1 (en) Lifestyle companion system
KR102020289B1 (ko) 개인 맞춤형 헬스 코칭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Salama et al. Distance learning system, learning programming languages by using mobile applications
US10671707B2 (en) Online coaching method enabling online communication between trainer and trainee
KR20210073969A (ko) 실시간 골프 레슨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ause et al. Meeting the National Standards: There's an app for That!
KR20190029102A (ko) 운동 강사 매칭 시스템
KR102509065B1 (ko)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adwan et al. A tale of two perspectives: A conceptual framework of user expectations and experiences of instructional fitness apps
Capdarest-Arest Implementing a tablet circulation program on a shoestring
Khaddage et al. Opportunities for mobile applications to empower informal learning in university environments
KR102264845B1 (ko) 개인별 체형 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운동 트레이닝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ulia et al. A Development of Android-based mobile application for getting ideal weight
EP4195172A1 (en) Exercise equipment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thereof
Luimula et al. A field comparison of techniques for location selection on a mobile device
KR102419619B1 (ko) 모바일 기반 아동 적성 유형 및 진로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35726B1 (ko) 공강 시간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44358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버
KR102595170B1 (ko) 강의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그룹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
KR102628975B1 (ko)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채용 및 위탁 관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Xiao et al. Design of a Do-It-Yourself Geiger-Muller Counter With Smartphone Mapping Application
Boeltzig Service Provider Promising Practice: Braiding Community Employment and Life Engagement Services-TransCen’s WorkLink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