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975B1 -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채용 및 위탁 관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채용 및 위탁 관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975B1
KR102628975B1 KR1020230101505A KR20230101505A KR102628975B1 KR 102628975 B1 KR102628975 B1 KR 102628975B1 KR 1020230101505 A KR1020230101505 A KR 1020230101505A KR 20230101505 A KR20230101505 A KR 20230101505A KR 102628975 B1 KR102628975 B1 KR 102628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bled
work
employment
worker
recrui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준호
Original Assignee
(주)잡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잡드림 filed Critical (주)잡드림
Priority to KR1020230101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장애인을 채용하려는 기업에게 장애인 근로자를 추천하고,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근태 및 근무 현황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은 기업에 장애인 근로자를 추천하고, 상기 장애인 근로자의 대한 근무 현황을 관리하는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 상기 장애인 근로자의 근태와 근무 내용에 대한 근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근무 정보를 상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로 송신하는 근로자 단말, 및 상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로부터 상기 근무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기업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채용 및 위탁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CRUITMENT AND ENTRUSTED MANAGEMENT OF DISABLED WORKERS}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장애인을 채용하려는 기업에게 장애인 근로자를 추천하고,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근태 및 근무 현황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의 인권을 보장하고 장애인이 그 능력에 맞는 직업생활을 통하여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장애인에 대한 고용 의무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그에 따라, 기업은 의무적으로 장애인을 고용하여 장애인 고용률을 유지하여야 하며, 월별 의무 고용률에 미달하는 기업의 경우 미달하는 인원에 대응되는 부담 기초액을 납부하여야 한다. 오늘날, 기업에게, 장애인 고용 확산의 실질적인 행동을 통해 사회가 요구하는 선순환 구조를 선도해야 함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애인 고용률은 시간이 지날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장애인을 채용하고자 하는 기업은 광고 및 채용 박람회 등을 통해 장애인을 모집하고 있다. 그러나, 광고 및 채용 박람회는 정해진 장소와 정해진 시기에 단발성으로 수행됨에 따라, 광고 및 채용 박람회를 통한 장애인 채용은 많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구직을 희망하는 장애인은 신체적 또는 정신적 장애로 인하여 시간, 지역, 이동 등에 제약으로 인하여 광고 및 채용 박람회를 확인하지 못하거나 장애로 인하여 확인하기 어려웠으며, 기업 또한 근무 가능한 채용 분야에 적절한 장애인 구직자를 찾기 어려웠다.
또한, 주로 재택근무 형태로 운영되는 장애인 근무의 특성 상, 기업은 장애인을 채용한 이후에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장애인 근로자의 근무 현황을 별도로 일일이 관리하기 어려웠으며, 장애인 채용은 근무를 수행하기 위한 자격이 부족함에도 채용된 경우가 많아 퇴직률이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응하여, 장애인을 채용하려는 기업의 상황을 고려하여 장애인 근로자를 추천하고, 장애인 근로자의 근무를 지원하는 통합적인 시스템에 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을 지시하지 않는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71181호(2021.06.29)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장애인을 채용하려는 기업에게 장애인 근로자를 추천하고,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근태 및 근무 현황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에서 기업의 채용 의뢰와 장애인들의 장애 성향과 장애 내용에 관한 장애인 정보를 고려하여, 기업에게 추천할 장애인 근로자를 추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에서 채용 적합도를 이용하여 기업과 장애인 근로자 사이의 고용 계약 내용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에서 기업에게 추천할 중증 장애인 근로자를 결정하고, 중증 장애인 근로자의 채용에 따른 비용 정보를 기업에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에서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근태 및 근무 내용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은 기업에 장애인 근로자를 추천하고, 상기 장애인 근로자의 대한 근무 현황을 관리하는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 상기 장애인 근로자의 근태와 근무 내용에 대한 근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근무 정보를 상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로 송신하는 근로자 단말, 및 상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로부터 상기 근무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기업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는 상기 기업의 장애인에 대한 채용 의뢰, 및 복수의 장애인들의 성향과 장애 내용에 관련된 장애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채용 의뢰와 상기 장애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장애인들 중에서 상기 기업에 추천할 상기 장애인 근로자를 결정하고, 상기 장애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장애인 근로자의 희망 근무 조건과 상기 채용 의뢰에 포함된 채용 조건을 비교하여, 근무 조건에 대한 고용 계약 내용을 결정하고, 상기 기업 단말과 상기 근로자 단말 각각에 대하여, 상기 고용 계약 내용을 송신하고 상기 고용 계약 내용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채용 의뢰에 대응되는 고용 계약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는 상기 채용 의뢰에 포함된 근무 유형에 대응되는 가중치 벡터를 결정하고, 상기 가중치 벡터와 상기 장애인 정보를 적합도 산출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장애인들 각각에 대한 채용 적합도들을 산출하고, 상기 채용 적합도들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기업에 추천할 상기 장애인 근로자를 결정하고, 상기 적합도 산출 모델은 장애인에 대한 소통, 체력, 및 근태에 관련된 수치를 결정하는 모델을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는 상기 채용 적합도의 크기에 대응되는 매칭 비율을 추출하고, 상기 채용 조건과 상기 희망 근무 조건의 차이에 상기 매칭 비율을 적용하여 근무 조건에 대한 고용 계약 내용을 결정하고, 상기 고용 계약 내용은 근무 시간, 급여, 계약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는 상기 채용 적합도들의 크기 순서와 장애 내용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장애인들 중에서 중증 장애인 근로자를 결정하고, 상기 중증 장애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경우에 장애인 고용 부담금의 비용 변화를 지시하는 비용 정보, 및 상기 중증 장애인 근로자가 희망하는 근무 조건을 상기 기업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근로자 단말은 UI 화면을 통해 근태 현황, 근무 내용을 입력 받아 상기 근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는 상기 근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업무 보고와 근태 현황에 관한 근무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근무 현황 정보를 상기 기업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각각의 측면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된다.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의 조합들(combinations)은, 단지 청구항들에서 명시적으로 제시되는 것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독립항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하나의 실시 예(any one embodiment)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실시 예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들의 대안적인 조합이 본 개시에 논의된 하나 이상의 기술적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감시키거나, 본 개시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discernable) 기술적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감시키고, 나아가 실시 예의 특징들(embodiment features)의 이렇게 형성된 특정한 조합(combination) 또는 순열(permutation)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양립 불가능한(incompatible) 것으로 이해되지만 않는다면, 그 조합은 가능하다.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예시 구현(any described example implementation)에 있어서 둘 이상의 물리적으로 별개의 구성 요소들은 대안적으로, 그 통합이 가능하다면 단일 구성 요소로 통합될 수도 있으며, 그렇게 형성된 단일한 구성 요소에 의해 동일한 기능이 수행된다면, 그 통합은 가능하다. 반대로,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 예(any embodiment)의 단일한 구성 요소는 대안적으로, 적절한 경우,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둘 이상의 별개의 구성 요소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들(certain embodiments)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관련된 문제점 및/또는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 완화 또는 제거하는 것에 있다. 특정 실시 예들(certain embodiments)은 후술하는 장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장애인을 채용하려는 기업에게 장애인 근로자를 추천하고,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근태 및 근무 현황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에서 기업의 채용 의뢰와 장애인들의 장애 성향과 장애 내용에 관한 장애인 정보를 고려하여, 기업에게 추천할 장애인 근로자를 맞춤형으로 추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에서 채용 적합도를 이용하여 기업과 장애인 근로자 모두를 만족하는 고용 계약 내용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에서 기업에게 추천할 중증 장애인 근로자를 결정하고, 중증 장애인 근로자의 채용에 따른 비용 정보를 산출하여 기업에게 비용 절감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에서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근태 및 근무 내용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에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에서, 추천되는 장애인 근로자와 고용 계약 내용을 결정하는 과정에 관한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에서, 장애인 근로자의 근무 및 근태 관리를 위하여 근로자 단말에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에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장애인을 채용하려는 기업에게 장애인 근로자를 추천하고,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근태 및 근무 현황을 관리하기 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고 기술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요소 외에 또 다른 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능 블록이 수행하는 기능은 복수의 기능 블록에 의해 수행되거나, 본 개시에서 복수의 기능 블록이 수행하는 기능들은 하나의 기능 블록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특정 조건의 만족(satisfied), 충족(fulfilled)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초과 또는 미만의 표현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 예를 표현하기 위한 기재일 뿐 이상 또는 이하의 기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이하'로 기재된 조건은 '미만', '이상 및 미만'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및 이하'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100)은 장애인 근로자를 채용하려는 기업에게 장애인 근로자를 추천하고, 장애인의 근태 및 근무 현황에 관련된 근무 관리 서비스를 기업 및 장애인 근로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자는 기업과 장애인 근로자를 연결하여 장애인 채용을 추천하고, 장애인 근로자의 근태 및 근무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업은 채용 의뢰에 대응되는 장애인 근로자를 추천받을 수 있으며, 채용된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근태 및 근무 현황을 보고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100)은 기업 단말(110), 근로자 단말(130),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업 단말(110)은 장애인을 채용하고자 하는 기업이 운용하는 전자 장치를 지시한다. 기업의 임직원은 기업 단말(110)을 이용하여 장애인을 고용을 위한 채용 의뢰를 생성할 수 있으며, 기업 단말(110)은 채용 의뢰를 네트워크(170)를 통해 외부 장치로 송신함으로써 장애인 채용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업 단말(110)은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근로자 단말(130)은 장애인 근로자가 운용하는 전자 장치를 지시한다. 장애인 근로자는 근로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구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근로자 단말(13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로자 단말(13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를 지시할 수 있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운용하는 전자 장치를 지시한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기업의 채용 의뢰와 복수의 장애인들에 대한 장애인 정보를 이용하여 기업에 대한 맞춤형 장애인 근로자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장애인이 채용된 이후, 장애인 근로자의 근태 및 근무 현황을 직접 관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17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고하면,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100)은 기업에 장애인 근로자를 추천하고, 장애인 근로자의 대한 근무 현황을 관리하는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 장애인 근로자의 근태와 근무 내용에 대한 근무 정보를 생성하고, 근무 정보를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로 송신하는 근로자 단말, 및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로부터 근무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기업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100)에 따르면, 기업이 서비스 제공자에게 채용 의뢰를 전달하면, 서비스 제공자는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를 이용하여 채용 의뢰와 장애인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인 근로자와 계약 내용을 추천할 수 있으며, 고용 계약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비스 제공자는 장애인 근태 및 근무 내용을 직접 관리하여 기업과 장애인 근로자의 업무를 보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장애인 근로자를 위한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장애인 근로자의 근태 및 근무 내용을 보고받을 수 있으며, 장애인 근로자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근무 및 근태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특히, 고용 기간이 짧아 이직이 잦은 장애인 근로자는 기업마다 상이한 근무 관리 시스템에 적응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근무 및 근태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100)에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의 구성(200)을 도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부(230), 입출력 인터페이스(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메모리(21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210)와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부(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는 프로세서(22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10)는 복수의 장애인들의 장애 유형, 장애 내용, 근무 능력, 및 희망 근로 조건에 관련된 장애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30)를 통해 신호가 송신 및 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부(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가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기업의 장애인에 대한 채용 의뢰, 및 복수의 장애인들의 성향과 장애 내용에 관련된 장애인 정보를 획득하고, 채용 의뢰와 장애인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장애인들 중에서 기업에 추천할 장애인 근로자를 결정하고, 장애인 정보에 포함된 장애인 근로자의 희망 근무 조건과 채용 의뢰에 포함된 채용 조건을 비교하여, 근무 조건에 대한 고용 계약 내용을 결정하고, 기업 단말과 근로자 단말 각각에 대하여, 고용 계약 내용을 송신하고 고용 계약 내용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채용 의뢰에 대응되는 고용 계약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통신부(23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부(230)는 통신망을 통해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요청 신호를 생성한 경우, 요청 신호는 통신부(230)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의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콘텐츠, 파일 등이 통신부(230)를 통해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로 수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230)는 기업 단말(110), 및 근로자 단말(130)과 통신하여 장애인 채용 및 근무 관리를 위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때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등과 같은 장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의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디스플레이부(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된 웹 브라우징 윈도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전술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출력할 출력 데이터를 프로세서(22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시한다. 디스플레이부(25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각각은 개별적으로 독립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고, 전술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가 결합하여 단일 컨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25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중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으로 결합된 다중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으며, 하나의 화면을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250)는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서비스의 현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기업으로부터 채용 의뢰를 확인하고, 복수의 장애인 구직자들에 대한 장애인 정보와 채용 의뢰를 비교하여 장애인 근로자와 고용 계약 내용을 추천할 수 있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추천되는 고용 계약 내용에 따라 장애인 근로자와 기업을 연결함으로써 채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장애인 근로자가 채용된 이후, 장애인 근로자로부터 근태 현황 및 근무 내용에 대한 근무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장애인 근로자가 근태 및 근무 내용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근무 현황 보고서를 작성하여 기업에게 전달함으로써 기업이 근무 내용을 보고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100)에서, 장애인 근로자와 고용 계약 내용을 추천하는 과정에 관한 모식도(300)를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기업의 장애인에 대한 채용 의뢰(301), 복수의 장애인들의 성향과 장애 내용에 관한 장애인 정보(303)를 이용하여 채용 적합도(307)를 산출하고, 채용 적합도(307)를 이용하여 추천하는 장애인 근로자(309) 및 고용 계약 내용(313)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고용 계약 내용(313)을 기업 단말(110)과 근로자 단말(130)로 전달하여 계약 승인 여부를 확인하고 응답에 기반하여 장애인 채용 계약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의뢰(301)를 수신한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기업 단말(110)로부터 장애인 채용 요청을 지시하는 채용 의뢰(301)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채용 의뢰(301)는 기업이 채용하는 직무의 근무 유형, 근무 자격 요건, 및 채용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무 유형은 근무의 구체적은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자료 조사, 사무 보조, 모니터링, 마케팅 업무보조, IT 업무 보조, 교육 지원, 사무실 미화, 사내 카페 운영, 무인기 안내, 단순 포장과 같은 반복 제조업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채용 조건은 기업이 채용하는 직무의 근무 시간, 급여, 계약 기간, 및 재택근무 가능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의뢰(301)의 수신에 대응하여, 복수의 장애인들의 성향과 장애 내용에 관련된 장애인 정보(303)를 획득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의뢰(301)의 수신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복수의 장애인들 각각으로부터 성향 및 장애 내용에 관한 이력서를 수집하여 장애인 정보(303)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복수의 장애인들 각각으로부터 성향 및 장애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장애인 정보(303)는 복수의 장애인들 각각에 대한 정보로서, 장애 유형, 장애 정도, 소통 점수, 질문에 대한 평균 응답 시간, 체력 측정을 위한 과목의 수, 과목 별 체력 점수, 이전 근무 이력에 따른 근무 일수, 지각 일수, 결근 일수, 자격 정보, 및 희망 근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소통 점수와 질문에 대한 평균 응답 시간은 장애인과 서비스 제공자 사이의 대화로부터 도출되는 수치로서, 소통 점수는 서비스 제공자가 평가한 점수를 지시하고, 질문에 대한 평균 응답 시간은 서비스 제공자가 질문한 시각으로부터 장애인이 응답한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체력 측정을 위한 과목의 수와 과목 별 체력 점수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평형성, 민첩성, 순발력 등에 대한 체력 평가 항목들과 각각에 대한 점수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근무 일수, 지각 일수, 및 결근 일수는 이전 근무 이력에서 근태로부터 도출되는 값을 지시하며, 이전 근무 이력이 없는 장애인의 근무 일수, 지각 일수, 및 결근 일수는 장애인 근로자의 평균 근무 이력에 따른 초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의뢰(301)와 장애인 정보(303)를 획득한 이후에, 채용 의뢰(301)로부터 가중치 벡터(305)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의뢰(301)에 포함된 근무 유형에 따른 가중치 벡터(305)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 벡터(305)는 소통 중요도 α, 체력 중요도 β, 근태 중요도 γ를 요소로 하는 벡터를 지시할 수 있으며, 중요도들 각각은 0 초과 1 이하의 상수를 지시할 수 있다.
근무 유형에 따라 근로자에게 요구되는 능력과 조건은 상이하다. 예를 들어, 근무의 유형 중 '사무실 미화'는 다른 요소 대비 체력이 중요하며 '사내 카페 운영'은 타인과의 소통이 중요하며, '사무 보조'는 근태가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근무 유형 각각에 대응되는 소통 중요도, 체력 중요도, 및 근태 중요도를 지시하는 가중치 테이블을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가중치 테이블에서 해당 근무 유형에 대응되는 중요도 값들을 추출함으로써, 가중치 벡터(305)를 추출할 수 있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가중치 벡터(305)와 장애인 정보(303)를 이용하여 채용 적합도(307)를 산출한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가중치 벡터(305)와 복수의 장애인들에 대한 장애인 정보(303)를 적합도 산출 모델에 적용하여, 복수의 장애인들 각각에 대한 채용 적합도들을 산출할 수 있다. 채용 적합도는 <수학식 1>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을 참고하면, RFx는 x번 장애인의 채용 적합도, α는 소통 중요도, β는 체력 중요도, 및 γ는 근태 중요도, A는 소통 점수, tr은 질문에 대한 평균 응답 시간, Bi는 i 번째 체력 과목의 체력 점수, N은 체력 과목의 수, p0는 근무 이력에 따른 근무 일수, p1은 근무 이력에서 지각 일수, p2는 근무 이력에서 결근 일수를 지시할 수 있다.
즉,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복수의 장애인들 각각 마다, 채용 의뢰(301)에 따른 근무 자격 요건과 장애인 정보(303)에 따른 자격 정보를 비교하여, 근무 자격 요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근무 자격 요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수학식 1>과 같은 적합성 산출 모델에 가중치 벡터(305)와 장애인 정보(303)를 적용함으로써 채용 적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의 장애인들 각각에 대응되는 채용 적합도들이 크기를 달리하여 산출될 수 있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적합도(307)를 이용하여 복수의 장애인들 중에서 기업에게 추천할 장애인 근로자(309)를 결정할 수 있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적합도들 중에서 크기가 가장 큰 채용 적합도에 대응되는 장애인을 선택함으로써, 장애인 근로자(309)로 결정할 수 있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적합도(307)의 크기에 대응되는 매칭 비율(311)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적합도의 크기에 대응되는 매칭 비율을 비율 테이블을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비율 테이블에서 채용 적합도들 중에서 크기가 가장 큰 채용 적합도에 대응되는 비율을 추출함으로써 매칭 비율(311)을 결정할 수 있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의뢰(301), 장애인 정보(303), 선택된 장애인 근로자(309), 및 매칭 비율(311)을 고려하여 고용 계약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고용 계약 내용은 근무 시간, 급여, 계약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의뢰(301)에 포함된 채용 조건과 장애인 정보(303)에서 장애인 근로자(309)에 대응되는 희망 근무 조건을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조건과 희망 근무 조건의 차이에 매칭 비율을 적용함으로써 고용 계약 내용(313)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용 조건의 근무 시간, 급여, 및 계약 기간이 4시간, 100만원, 120일이고, 희망 근무 조건의 근무 시간, 급여, 및 계약 기간이 6시간, 180만원, 200일이고, 채용 적합도(307)에 따른 매칭 비율이 0.1인 경우, 고용 계약 내용의 근무 시간, 급여, 및 계약 기간은 4.2시간, 108만원, 128일로 결정될 수 있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장애인 근로자(309)와 고용 계약 내용(313)이 결정되면, 기업 단말(110)과 장애인 근로자(309)가 운용하는 근로자 단말(130)로 고용 계약 내용에 대한 계약서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기업 단말(110)과 근로자 단말(13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여 고용 계약의 성사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고용 계약이 성사된 경우 고용 계약을 생성함으로써 기업에 대한 장애인 채용을 지원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기업이 중증 장애인에 대한 채용을 안내할 수 있다. 장애인 고용 의무 제도에 따르면, 경증 장애인을 채용하는 경우 보다 중증 장애인을 채용하는 경우에서 고용 부담감 절감 효과가 크다. 예를 들어, 현행 고용 의무 제도에서 경증 장애인 2인을 채용하는 경우 고용 부담액은 4,905,815원에 해당되지만, 중증 장애인 1인을 채용하는 경우 고용 부담액은 1,705,105원에 해당된다. 따라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경증 장애인 이외에 중증 장애인을 추천하고 중증 장애인 고용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를 기업에게 알릴 수 있다. 즉,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복수의 장애인들 중에서 중증 장애인 근로자를 선택하고 중증 장애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경우 기업이 얻게 될 경제적 변화를 알림으로써, 중증 장애인에 대한 채용을 안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복수의 장애인들에 대한 채용 적합도들을 산출한 이후, 채용 적합도들 중에서 중증 장애인에 관련된 서브 채용 적합도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서브 채용 적합도들에서 값이 가장 높은 채용 적합도를 추출함으로써, 중증 장애인 근로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중증 장애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경우에 장애인 고용 부담금의 비용 변화를 지시하는 비용 정보와 중증 장애인 근로자가 희망하는 근무 조건을 기업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100)에서, 장애인 근로자의 근무 및 근태 관리를 위하여 근로자 단말(130)에 표시되는 UI 화면의 일 예(400)를 도시한다.
기업에 채용된 장애인 근로자(309)는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로부터 근태 현황 및 근무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근로자 단말(130)을 통해 근태 및 근무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근로자 단말(130)은 장애인 근로자(309)의 입력에 기반하여 근태 및 근무 내용에 관한 근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업은 장애인 근로자(309)를 위한 별도의 근무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아도,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를 통해 장애인 근로자(309)의 근태 및 근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를 통해 근무 지시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UI 화면은 장애인 근로자(309)의 근무 내용에 관한 통계, 기본 설정, 운영 관리를 표시하는 제1 영역(401), 근무 정보의 세부 내용을 표시하는 제2 영역(46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애인 근로자(309)는 제1 영역(410)을 통해 근태 관리, 업무 관리, 휴가 관리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2 영역(460)을 통해 세부적인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근로자 단말(130)은 UI 화면을 통한 장애인 근로자(309)의 입력에 기반하여 근무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UI 화면을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근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획득한 근무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인 근로자(309)의 업무 보고와 근태 현황에 관한 근무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근무 현황 정보를 기업 단말(11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무 현황 정보는 장애인 근로자(309)가 수행한 근무 내역과, 근태 현황을 표시하는 보고서를 지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 방법에 관한 흐름도(500)를 도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단계(501)에서, 기업 단말(110)은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로 채용 의뢰(301)를 송신한다. 기업 단말(110)은 장애인을 채용하기 위한 채용 의뢰(301)를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503)에서, 근로자 단말(130)은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로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장애인 정보(303)를 송신한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의뢰(301)의 수신에 대응하여, 복수의 장애인들 각각에 이력서 제출을 요청할 수 있으며, 복수의 장애인들 각각은 이력서를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장애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503)가 채용 의뢰를 획득하는 단계(501) 이후에 진행되는 경우를 예시하나, 단계(503)는 단계(501)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505)에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기업에 추천할 장애인 근로자를 결정한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의뢰(301)와 복수의 장애인들에 대하여 수집된 장애인 정보(303)로부터, 기업에 추천할 장애인 근로자(309)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507)에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근무 조건에 대한 고용 계약 내용(313)을 결정한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기업의 채용 조건과 장애인 근로자(309)의 희망 근무 조건을 고려하여 근무 조건을 확정함으로써, 고용 계약 내용(313)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509)에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고용 계약 내용(313)을 기업 단말(110)과 근로자 단말(130)로 송신한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결정된 장애인 근로자(309)가 운용하는 근로자 단말(130)과 기업 단말(110)로 고용 계약 내용(313)이 포함된 계약서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511)에서 기업 단말(110)은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로 고용 계약 내용(313)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고, 단계(513)에서 근로자 단말(130)은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로 고용 계약 내용(313)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고용 계약 내용(313)에 대한 응답은 고용 계약 내용에 동의 또는 비동의를 지시하는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기업 단말(110)이 근로자 단말(130) 보다 응답을 먼저 송신하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단계(511)와 단계(513)의 진행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단계(515)에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고용 계약을 생성하고, 장애인 근로자(309)의 근무 현황을 관리한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응답을 확인하여 계약이 성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계약이 성사된 경우 고용 계약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기업과 장애인 근로자에게 근태 및 근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 근무 환경을 보조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100)에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의 동작 방법에 관한 흐름도(600)를 도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단계(601)에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기업의 장애인에 대한 채용 의뢰(301), 및 복수의 장애인들의 성향과 장애 내용에 관련된 장애인 정보(303)를 획득한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기업 단말(110)로부터 채용 의뢰(301)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복수의 장애인들로부터 이력서를 수집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장애인들에 대한 이력서를 수집하여 장애인 정보(303)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603)에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의뢰(301)와 장애인 정보(303)를 이용하여, 복수의 장애인들 중에서 기업에 추천할 장애인 근로자(309)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의뢰에 포함된 근무 유형에 대응되는 가중치 벡터(305)를 결정하고, 가중치 벡터(305)와 장애인 정보(303)를 적합도 산출 모델에 적용하여, 복수의 장애인들 각각에 대한 채용 적합도들을 산출하고, 채용 적합도들의 크기에 따라 기업에 추천할 장애인 근로자(309)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적합도 산출 모델은 장애인에 대한 소통, 체력, 및 근태에 관련된 수치를 결정하는 모델을 지시할 수 있으며, 채용 적합도(307)는 <수학식 1>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수치를 지시할 수 있다.
단계(605)에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장애인 정보(303)에 포함된 장애인 근로자의 희망 근무 조건과 채용 의뢰(301)에 포함된 채용 조건을 비교하여, 근무 조건에 대한 고용 계약 내용(313)을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적합도(307)의 크기에 대응되는 매칭 비율(311)을 추출하고, 채용 조건과 희망 근무 조건의 차이에 매칭 비율(311)을 적용하여 근무 조건에 대한 고용 계약 내용(313)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고용 계약 내용은 근무 시간, 급여, 계약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607)에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기업 단말(110)과 근로자 단말(130) 각각에 대하여, 고용 계약 내용을 송신하고 고용 계약 내용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고용 계약 내용(313)에 따른 계약서를 기업과 장애인 근로자(309)에게 전달함으로써 고용 계약의 진행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기업 단말(110)과 근로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응답에 기반하여, 고용 계약의 성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609)에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의뢰(301)에 대응되는 고용 계약을 생성한다.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고용 계약이 성사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고용 계약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추가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기업에 중증 장애인의 채용을 안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채용 적합도들의 크기 순서와 장애 내용에 기반하여, 복수의 장애인들 중에서 중증 장애인 근로자를 결정하고, 중증 장애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경우에 장애인 고용 부담금의 비용 변화를 지시하는 비용 정보, 및 중증 장애인 근로자가 희망하는 근무 조건을 기업 단말(110)로 송신할 수 있다.
추가로,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장애인 근로자(309)에 대한 근태 및 근무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근로자 단말(130)은 UI 화면을 통해 근태 현황, 근무 내용을 입력 받아 근무 정보를 생성하고,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150)는 근무 정보에 기반하여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업무 보고와 근태 현황에 관한 근무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근무 현황 정보를 기업 단말(11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기업 단말 130 근로자 단말
150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 170 네트워크
210 메모리 220 프로세서
230 통신부 240 입출력 인터페이스
250 디스플레이부 301 채용 의뢰
303 장애인 정보 305 가중치 벡터
307 채용 적합도 309 장애인 근로자
311 매칭 비율 313 고용 계약 내용
410 제1 영역 460 제2 영역

Claims (5)

  1. 기업에 장애인 근로자를 추천하고, 상기 장애인 근로자의 대한 근무 현황을 관리하는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
    상기 장애인 근로자의 근태와 근무 내용에 대한 근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근무 정보를 상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로 송신하는 근로자 단말; 및
    상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로부터 상기 근무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기업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는,
    상기 기업의 장애인에 대한 채용 의뢰, 및 복수의 장애인들의 성향과 장애 내용에 관련된 장애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채용 의뢰와 상기 장애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장애인들 중에서 상기 기업에 추천할 상기 장애인 근로자를 결정하고,
    상기 장애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장애인 근로자의 희망 근무 조건과 상기 채용 의뢰에 포함된 채용 조건을 비교하여, 근무 조건에 대한 고용 계약 내용을 결정하고,
    상기 기업 단말과 상기 근로자 단말 각각에 대하여, 상기 고용 계약 내용을 송신하고 상기 고용 계약 내용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채용 의뢰에 대응되는 고용 계약을 생성하고,
    상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는,
    상기 채용 의뢰에 포함된 근무 유형에 대응되는 가중치 벡터를 결정하고,
    상기 가중치 벡터와 상기 장애인 정보를 적합도 산출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장애인들 각각에 대한 채용 적합도들을 산출하고,
    상기 채용 적합도들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기업에 추천할 상기 장애인 근로자를 결정하고,
    상기 적합도 산출 모델은 장애인에 대한 소통, 체력, 및 근태에 관련된 수치를 결정하는 모델을 지시하고,
    상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는,
    채용 적합도 크기와 매칭 정도에 대한 비율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채용 적합도의 크기에 대응되는 매칭 비율을 추출하고,
    상기 채용 조건과 상기 희망 근무 조건의 차이에 상기 매칭 비율을 적용하여 근무 조건에 대한 고용 계약 내용을 결정하고,
    상기 고용 계약 내용은 근무 시간, 급여, 계약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채용 적합도들은 (수학식 1)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수학식 1)

    상기 RFx는 x번 장애인의 채용 적합도, 상기 α는 소통 중요도, 상기 β는 체력 중요도, 상기 γ는 근태 중요도, 상기 A는 소통 점수, 상기 tr은 질문에 대한 평균 응답 시간, 상기 Bi는 i 번째 체력 과목의 체력 점수, 상기 N은 체력 과목의 수, 상기 p0는 근무 이력에 따른 근무 일수, 상기 c는 상수, 상기 p1은 근무 이력에서 지각 일수, 상기 p2는 근무 이력에서 결근 일수를 지시하는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는,
    상기 채용 적합도들의 크기 순서와 장애 내용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장애인들 중에서 중증 장애인 근로자를 결정하고,
    상기 중증 장애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경우에 장애인 고용 부담금의 비용 변화를 지시하는 비용 정보, 및 상기 중증 장애인 근로자가 희망하는 근무 조건을 상기 기업 단말로 송신하는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 단말은 UI(user interface) 화면을 통해 근태 현황, 근무 내용을 입력 받아 상기 근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장애인 근무 지원 장치는,
    상기 근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업무 보고와 근태 현황에 관한 근무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근무 현황 정보를 상기 기업 단말로 송신하는 장애인 채용 및 위탁 관리 시스템.

KR1020230101505A 2023-08-03 2023-08-03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채용 및 위탁 관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28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505A KR102628975B1 (ko) 2023-08-03 2023-08-03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채용 및 위탁 관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505A KR102628975B1 (ko) 2023-08-03 2023-08-03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채용 및 위탁 관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975B1 true KR102628975B1 (ko) 2024-01-24

Family

ID=8971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1505A KR102628975B1 (ko) 2023-08-03 2023-08-03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채용 및 위탁 관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97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478A (ko) * 2016-10-14 2018-04-24 김영후 기계학습을 활용한 월렛 시스템 기반 인재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25433A (ko) * 2019-08-27 2021-03-09 주식회사 한국직업개발원 장애인 직무 교육을 이용한 지능형 멀티미디어 잡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3082B1 (ko) * 2019-12-24 2021-06-10 주식회사 브이드림 재택근무 장애인의 채용 및 근무관리 지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271181B1 (ko) 2021-02-24 2021-06-29 김주현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54532A (ko)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한국직업개발원 장애인과 장애인 표준 사업장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이커머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22155A (ko) * 2020-08-18 2022-02-25 (주)향기내는사람들 장애인 고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478A (ko) * 2016-10-14 2018-04-24 김영후 기계학습을 활용한 월렛 시스템 기반 인재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25433A (ko) * 2019-08-27 2021-03-09 주식회사 한국직업개발원 장애인 직무 교육을 이용한 지능형 멀티미디어 잡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3082B1 (ko) * 2019-12-24 2021-06-10 주식회사 브이드림 재택근무 장애인의 채용 및 근무관리 지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4532A (ko)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한국직업개발원 장애인과 장애인 표준 사업장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이커머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22155A (ko) * 2020-08-18 2022-02-25 (주)향기내는사람들 장애인 고용관리 시스템
KR102271181B1 (ko) 2021-02-24 2021-06-29 김주현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udson et al. Implementation of a digital chatbot to screen health system employe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urran et al. Role stressors, engagement and work behaviours: A study of higher education professional staff
US20170293891A1 (en) Graphical output of characteristics of person
Garcia-Milian et al. Librarians as part of cross-disciplinary, multi-institutional team projects: Experiences from the VIVO collaboration
JP2024059855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1189744A (ja) 人材紹介支援装置、人材紹介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Bennett et al. Bringing rounds back to the patient: a one-year evaluation of the chiefs’ service model for inpatient teaching
Marsh et al. A developing educational psychology service work-allocation model
Platell et al. Principles of optimal mental health care for adolescents and the impact of system-wide barriers
Joseph-Williams et al. Twenty-one years of the International Shared Decision Making Conference: lessons learnt and future priorities
Schoster et al. Methodological tips for overcoming formative evaluation challenges: the case of the Arthritis Foundation Walk With Ease program
KR102628975B1 (ko)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채용 및 위탁 관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Murphy et al. Revolution at the library service desk
Basic Community mobilization and readiness: planning flaws which challeng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ommunities that Care’(CTC) prevention system
Mattie et al. A framework for predicting impactability of digital care management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Bowman et al. The creation and implementation of an employment participation pathway model for youth with disabilities
JP202003071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90132823A (ko)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JP6901782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1297175A (ja) 人材仲介システム、人材仲介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ehn et al. Implementation and impacts of the Substantial Gainful Activity Project demonstration in Minnesota
Phoenix et al. The “5Rs of reorganization”: A case report on service delivery reorganization within a pediatric rehabilitation organization
Anderson et al. How to Sustain Healthcare Process Improvement in Heterogenous Teams? Evidence from a Systems Dynamic Model
Burns et al. Mining for patterns of behaviour in children with autism through smartphone technology
Wright et al. Missing links: challenges in engaging the underserved with heal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