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181B1 -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181B1
KR102271181B1 KR1020210025092A KR20210025092A KR102271181B1 KR 102271181 B1 KR102271181 B1 KR 102271181B1 KR 1020210025092 A KR1020210025092 A KR 1020210025092A KR 20210025092 A KR20210025092 A KR 20210025092A KR 102271181 B1 KR102271181 B1 KR 102271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disabled
employment
contract
work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현
Original Assignee
김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현 filed Critical 김주현
Priority to KR1020210025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은, 근로자 및 사용자를 매칭하여 장애인 고용을 계약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장애인 고용의 계약을 위한 온라인상의 계약서인 장애인고용계약서로부터 상기 근로자의 근무 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근무 시간과 상기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EMPLOYMENT OF DISABLED THROUGH ONLINE}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애인의 채용에서부터 장애인의 근태 관리까지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온라인을 통해 다양한 구인구직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구인자와 구직업체 간에 필요한 인력정보 및 구직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온라인 구인 구직 서비스에는 장애인 고용에 대한 서비스는 부재하였다.
관련하여, 장애인 77.2%는 만성질환(1인당 1.8개)을 앓고 있으며, 이는 비장애인의 2배 이상 많은 수치이며 장애인의 운동 효과가 경제적으로 1조 7,000억원 이상으로 보고되는 바, 다양한 체육 활동을 통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은 장애인 인권을 보장하고, 장애인 고용의 실천을 위해 1991년부터 장애인 고용의무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고용율은 앞으로도 증가할 예정이다. 또한, 법률적으로, 기업은 장애인 고용의무가 있고, 만약 월별 의무고용률에 미달하는 경우, 미달하는 인원에 대해서는 기업에 해당 부담기초액을 부과하고 있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오늘날,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윤리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기업에게, 장애인 고용 확산의 실질적인 행동으로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선순환 구조를 선도해야함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회적 존경을 받는 기업의 이미지를 제고하고 그 영속성을 담보하는 가장 합리적이고 모두가 이득을 취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이에 맞춰 새로운 장애인 고용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장애인 생활스포츠 비실행자를 생활 스포츠인으로 끌어내어 장애 생활 스포츠 실행자를 두텁게 확장하며, 안정적인 환경에서 운동할 수 있는 엘리트 선수의 발굴 가능성을 높이고, 프로 선수들을 지원하는 견고한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더불어, 기회조차 얻기 힘든 우리 사회 장애 문화 예술인들에게 마음껏 재능을 펼칠 수 있는 예술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보호자의 도움 없이는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운 발달장애인들에게 스포츠 및 문화예술 활동 참여의 기회를 줌으로써 사회와의 의사소통 계기를 마련하여 사회적 참여를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술된 니즈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장애인의 채용에서부터 장애인의 근태 관리까지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장치에 있어서,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근로자 및 사용자를 매칭하여 장애인 고용 계약을 수행하도록하고, 상기 장애인 고용의 계약을 위한 온라인상의 계약서인 장애인고용계약서로부터 상기 근로자의 근무 시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근무 시간과 상기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은, 근로자 및 사용자를 매칭하여 장애인 고용 계약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장애인 고용의 계약을 위한 온라인상의 계약서인 장애인고용계약서로부터 상기 근로자의 근무 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근무 시간과 상기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근로자 및 사용자를 매칭하여 장애인 고용 계약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장애인 고용의 계약을 위한 온라인상의 계약서인 장애인고용계약서로부터 상기 근로자의 근무 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근무 시간과 상기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에에 다르면,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근로자 및 사용자를 매칭하여 장애인 고용 계약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장애인 고용의 계약을 위한 온라인상의 계약서인 장애인고용계약서로부터 상기 근로자의 근무 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근무 시간과 상기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장애인의 채용에서부터 장애인의 근태 관리까지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시된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기업인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하는 장애인 선수 및 예술가를 채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고용된 장애인의 근태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근로자와 사용자라 함은, 본 발명에서 근로기준법에 정의된 사용자와 근로자를 의미한다. 자세하게는, 근로자란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을 말한다. 또한, 사용자란 사업주 또는 사업 경영 담당자, 그 밖에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를 말한다.
근태기록이라 함은, 근로자의 출근과 결근 사실을, 출근을 요하는 날짜별로 기록으로 남긴 것을 말한다.
또한, 장애인 고용이란,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주는 그 근로자 총수의 100분의 5 범위 안에서 대통령으로 정하는 비율 이상에 해당하는 장애인 근로자를 의무적으로 고용하여야 하는데, 이때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주가 의무적으로 장애인을 고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시스템(10)은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장치(100), 근로자 단말(200), 사용자 단말(300)로 구성될 수 있다.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장치(100)는 근로자 단말(200), 사용자 단말(300)과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장치(100), 근로자 단말(200), 사용자 단말(300)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장치(100)는 단말로부터 받은 입력데이터에 기초하여 타 단말에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자 단말(200)을 통해 근로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타 단말의 사용자나 근로자와 매칭하여 장애인 고용을 계약하도록 하거나,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다.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장치(100)는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며, 해당 정보를 사용자나 근로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된 바에 따른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장치(100)는 전자단말기로 구현되거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장치(100)가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된다면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장치(100)는 근로자나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단말기는, 근로자나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제 3 의 서버(미도시)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장치(100)는 입출력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10)는 근로자나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작업의 수행 결과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근로자나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근로자나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저장부(130)에는 파일,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에는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근로자 및 사용자를 매칭하여 장애인 고용을 계약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거나,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될 수 있다. 후술될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부(13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저장부에 저장된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부(140)는 근로자 및 사용자를 매칭하여 장애인 고용을 계약하도록 하거나,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140)가 근로자 및 사용자를 매칭하여 장애인 고용을 계약하도록 하거나,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310단계에서, 제어부(140)는 근로자 및 사용자를 매칭하여 장애인 고용을 계약하도록 한다.
관련하여, 우선, 제어부(140)는 근로자단말(200) 및 사용자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장애인 고용의 계약조건과 채용조건을 수신하고, 수신된 계약조건 및 채용조건을 기초로 근로자 및 사용자를 매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근로자단말(200) 및 사용자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에게 계약조건 및 채용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장애인 고용을 위한 계약조건에는, 계약기간, 근무장소, 업무내용, 임금, 근로시간, 휴식시간, 휴일, 휴가 등에 관련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채용조건은 근로자나 사용자가 구인이나 구직을 하기 위한 조건으로, 근로자의 입장에서는 구직조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구인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채용조건에는 근로자의 선호직종, 거리, 학력, 운전가능여부, 나이 및 경력 등에 관련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저장부에 저장된 구직조건과 구인조건의 편차를 참조하여 구직조건과 구인조건 사이에 매칭도를 수치화한다.
제어부(140)는 근로자의 선호직종, 거리, 임금 형태, 임금, 학력, 운전가능여부, 나이 및 경력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선호직종과 유사한 직종코드를 추출한다. 이때, 추출되는 직종코드는 선호직종과의 유사도 정도에 따라서 점수가 차등으로 부여되어 직종 매칭시 적용된다. 직종의 유사도 정도는 직종코드에 부여된 번호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선호직종과 번호 차이가 많이 발생할수록 점수차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근로자가 선호직종과 유사한 직종을 찾기 위해서 추가적인 검색을 수행할 필요가 없이 원하는 직종을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40)는 추출된 구직자의 선호직종과 유사한 직종을 바탕으로 저장부(130)에 저장된 사용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를 직종, 거리, 임금 형태, 임금, 학력, 운전가능여부, 나이 및 경력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수치화하여 근로자와 사용자를 매칭시킨다.
즉, 제어부(140)는 근로자가 입력한 계약조건이나 채용조건의 입력값을 기준으로 추출된 사용자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전체 추출된 사용자를 순위화(ranking) 시킨다.
따라서 근로자는 자신이 입력한 구직정보를 기준으로 순위화된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와의 매칭을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매칭도가 동일한 근로자가 복수이면 각 근로자별로 우선순위 값을 산출하여 추천할 수 있다. 이때, 근로자가 근태기록이 있는 경우, 제어부(140)는 성실히 근무했던 근로자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근로자를 추천할 수 있다. 제어부(140)가 성실히 근무했던 근로자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은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추출된 직종코드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추출하고, 사용자를 순위화 시킴으로써 근로자에 가장 매칭도가 높은 사용자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추출된 직종코드에 기초하여 근로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근로자를 순위화 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장 매칭도가 높은 근로자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매칭 정보는 통신부(120)를 통하여 근로자 단말(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함으로써, 근로자는 자신에 가장 적합한 사용자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근로자를 찾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40)는 근로자와 사용자 간의 계약을 위해, 기 저장된 계약서형식을 사용자나 근로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입력된 계약조건에 기초하여 근로자 단말(200) 및 사용자 단말(300)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장애인 고용에 대한 근로계약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장애인 고용에 대한 근로계약요청을 상기 계약조건을 입력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장애인고용계약서를 송신할 수 있으며, 장애인고용계약서를 송신한 단말로부터 계약조건이 작성된 장애인고용계약서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수정된 계약조건이 포함된 장애인고용계약서를 계약조건을 입력한 단말로 송신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장애인고용계약서에 포함된 계약조건이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장애인고용계약서의 전달을 중개함으로써 양 당사자간에 계약조건의 흥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수정된 계약조건에 대하여 계약하는 양 당사자가 모두 수락한 경우, 제어부(140)는 양 당사자가 모두 수락한 계약조건이 포함된 장애인고용계약서가 작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근로자단말(200) 및 사용자단말(300)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서 장애인 고용에 대한 근로계약을 요청한 단말로 장애인 고용의 계약을 위한 온라인상의 계약서인 장애인고용계약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장애인고용계약서를 통해 장애인 고용에 대한 근로계약을 계약하는 양 당사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양 당사자가 장애인고용계약서에 전자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전자서명의 방법으로 예를 들어, 일정 시간 내에 휴대전화로 전송한 인증번호를 입력하도록 하거나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전자서명 등을 함으로써 장애인고용계약서를 수락한 당사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근로자 단말(200)로부터 근로자의 전자서명을 대체하는 음성 녹음 파일을 수신하여 장애인고용계약서를 수락한 근로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시각장애인이나 중증 장애인은 손으로 서명이 어렵기 때문에 음성 녹음 파일을 업로드하여 전자서명을 대체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는, 제어부(140)는 음성 녹음 파일이 진정한 것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임의의 시기에 근로자 단말(200)에 근로자의 목소리에 대해 녹음 요청을 할 수 있으며, 이후 제어부(140)는 녹음 요청에 의해 녹음된 근로자의 음성 녹음 파일과 계약 시 전자서명을 대체하는 음성 녹음 파일을 대조할 수 있다. 대조 결과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근로 계약 시 근로자 본인이 서명한 것인지를 확인하고 근로자 본인의 서명이 아니라면 다시 계약을 위한 단계 S310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계약조건을 입력한 단말로 장애인고용계약서를 전송할 수 있고, 전송된 장애인고용계약서에 대해 전자서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자서명이 수행된 장애인고용계약서를 장애인 고용에 대한 근로계약의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고, 전자서명이 수행된 장애인고용계약서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장애인 고용에 대한 근로계약의 양 당사자인 근로자 및 사용자가 모두 수락한 계약조건을 전달받을 수 있고, 전달된 계약조건이 포함된 장애인고용계약서를 근로자 단말(200) 및 사용자 단말(300)로 각각 송신하여, 근로자 단말(200) 및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각각 전자서명이 수행된 장애인고용계약서를 수신할 수 있다.
S310단계 이후 S320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장애인고용계약서로부터 근로자의 근무 시간을 추출한다. 이후, S330단계에서, 추출된 근무 시간과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S310단계에서 양 당사자가 장애인 고용에 대한 근로계약을 한 후, 근로자가 근무를 시작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관련하여, 제어부(140)가 장애인고용계약서로부터 근무자의 근무 시간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광학문자판독(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관련하여, 제어부(140)는 장애인고용계약서의 이미지 데이터를 광학문자판독을 이용하여 문자열로 변환 후에 근무자의 근무 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광학문자 판독기술은 그 활용 범위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수기로 작성한 필기체에 대한 인식 기술까지 발전하고 있다. 문자판독 기술은 예를 들어 2차원 이미지데이터에서 벡터방식을 활용한 SURF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이미지로부터의 문자판독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가 추출된 근무 시간과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로자인 장애인의 근로 형태는 예술 또는 운동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 근로자는 기업 소속 선수나 예술단원으로 고용될 수 있다.
우선, 제어부(140)는 근로자 단말(200)로부터 출근 및 퇴근, 훈련이나 활동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출근 및 퇴근, 훈련이나 활동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장애인고용계약서로부터 추출된 근무시간과 생성된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근로자가 계약조건에 포함된 근무시간과 근태기록이 부합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근로자 단말(200)로 QR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제공하여, 제어부(140)는 근로자 단말(200)이 QR코드 스캔을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출근 및 퇴근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근로자 단말(200)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기초로 근태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 근로자가 사이클 선수인 경우, 제어부(140)는 근로자 단말(200)에 대한 이동시작 시의 GPS 정보와 이동종료 시의 GPS정보를 기초로 하여 근로자의 사이클 훈련에 대한 근태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4는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이다. 자세하게는, 도 4는 근로자 A의 훈련에 대한 근태기록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근로자 단말(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출근 및 퇴근, 훈련이나 활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근태기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근태기록을 열람할 수 있다. 근로자는 근로자 단말(200)에 제공되는 화면 내 연차사용 버튼(410)을 눌러 연차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근로자는 근로자 단말(200)에 제공되는 화면 내 퇴근하기 버튼(420)을 눌러 퇴근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생성된 연차기록이나 퇴근기록을 종합하여 근로자 단말(200)이나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제어부(140)는 훈련일자, 훈련내용을 포함한 근태기록을 근로자 단말(200)이나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성실히 근무했던 근로자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근로자를 추천할 수 있다.
관련하여, 제어부(140)는 추출된 근무 시간과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성실 근로자 도출을 위한 우선순위 값을 도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우선순위 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사용자 단말(300)에 근로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령, 근로자가 지각없이 정시 출근 및 정시 퇴근을 지킬 경우, 제어부(140)는 해당 날마다 우선순위 값 1점을 부여할 수 있고, 1년간 정산하여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사용자 단말(300)에 해당 근로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40)는 성실 근로자에 해당하는 근로자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추출된 근무시간과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복수의 근로자에 대해 성실 근로자 도출을 위한 우선순위 값을 도출할 수 있다. 복수의 근로자에 대해 도출된 우선순위 값을 오름차순으로 나열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특정 순위 이상의 근로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우선순위 값에 따라 근로자를 추천함에 따라 사용자가 추천된 근로자 중 일부를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와 근로자 간의 계약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근로자의 정보는 근로자의 개인정보 및 경력에 관한 근로자 단말(200)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장치(100)는 대리출석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관련하여, 제어부(140)가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되, 제어부(140)는 추출된 근무 시간과 제3자 단말로부터 근로자를 촬영한 이미지를 수신하여 기록된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제3자 단말은 근로자가 출근하는 사업장의 관리자가 관리하는 단말임이 바람직하다. 자세하게는, 제어부(140)는 제3자 단말로부터 근로자를 촬영한 이미지를 수신하여 근태기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근태기록을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3자 단말로부터 출력된 일회용 비밀번호(One Time Password, OTP)와, 근로자 단말(200)에 입력된 일회용 비밀번호 및 근로자 단말(200)의 GPS 정보에 기초하여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어부(140)는 제3자 단말로부터 출력된 일회용 비밀번호와 근로자 단말(200)에 입력된 일회용 비밀번호가 동일한지 판단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생성하지 않으며, 동일한 경우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생성하되 근로자 단말(200)의 GPS 정보가 근로자가 근무하는 사업장과 일치 하지 않으면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300)부터 사용자의 장애인 고용현황을 입력 받아 장애인 고용 시 사용자에게 끼치는 영향력을 정량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 고용 시 사용자에게 끼치는 영향력은 2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사회공헌적 신뢰도 상승이라는 기업 비재무적 성과에 기여하는 것과 비용 절감과 관련한 기업 재무적 성과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사회공헌적 신뢰도 상승과 관련하여, 사회적 기업의 활동에 대한 우호적인 기업의 이미지 형성은 사회적 기업의 성장과 지속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기업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가 소비자의 제품 구매 의도에 있어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더욱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의해 형성된 기업이미지는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소비자들은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에서 판매하는 제품의 가격이 다소 높더라도 구매할 의사가 있으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상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친다.
관련하여,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장애인 고용 현황을 입력 받아 사용자에게 끼치는 사회공헌적 신뢰도 상승이라는 기업 비재무적 성과에 기여하는 것을 정량화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회공헌적 신뢰도 상승이라는, 비재무적 성과에 기여하는 영향력의 정량화에 고려되는 요소는 사회적 약자 배려 기업이라는 긍정적인 평판(reputation),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우호적 이미지(CSR), 다양성/포용성 높은 조직문화 구축(culture), 장애근로자의 사회적 네트워크 확장(social network)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비재무적 성과에 기여하는 영향력을 정량화하기 위해서 제어부가 입력 받는 사용자의 장애인 고용 현황에는 장애인근로자에게 주어지는 교육훈련, 성과급, 임금수준, 직무 및 근로시간 조정 유연성, 복리후생 제도, 자기계발 지원, 고충처리에 관련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공헌적 신뢰도 상승의 정량화는 다음의 수학식 1을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21022627590-pat00001
수학식 1에서, v는 정량화된 사회공헌적 신뢰도 상승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Figure 112021022627590-pat00002
는 한 해 동안 교육훈련을 받은 장애인 근로자의 수,
Figure 112021022627590-pat00003
은 한해 동안 교육훈련을 받은 비장애인 근로자의 수,
Figure 112021022627590-pat00004
은 교육훈련에 관한 제1가중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Figure 112021022627590-pat00005
는 장애인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평균 성과급,
Figure 112021022627590-pat00006
는 비장애인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평균 성과급,
Figure 112021022627590-pat00007
는 성과급에 관한 제2가중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Figure 112021022627590-pat00008
는 장애인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월평균임금,
Figure 112021022627590-pat00009
은 비장애인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월평균임금,
Figure 112021022627590-pat00010
는 월평균임금에 대한 제3가중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장애인 고용 현황을 입력 받아 사용자에게 끼치는 재무적 성과에 기여하는 영향력을 정량화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무적 성과에 기여하는 영향력의 정량화에 고려되는 요소는 매출액 증가(sales), 다양해진 고객층(diverse customers) & 고객충성도(loyalty), 순이익 증가(profits), 인건비 절감(Labor costs), 세금 감면/보조금 혜택(tax benefits)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장애인 고용 현황을 입력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세금 감면액을 계산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장애인 고용 현황을 입력 받아 사용자에게 끼치는 재무적 성과에 기여하는 영향력과 비재무적 성과에 기여하는 영향을 정량화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장애인을 근로자로 고용 시 사용자에게 끼치는 영향력을 정량화하였을 때, 제어부(140)는 추가로 해당 근로자의 근태 관리 결과를 고려하여 정량화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무시간과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소정의 비율 이상 성실히 근로자가 근무시간을 채웠다고 판단하면 상기 정량화된 값에 1보다 큰 값을 배가시킬 수 있고, 소정의 비율 미만으로 근로자가 근무시간을 채우지 않았다면 상기 정량화된 값에 1보다 작은 값(0보다 크되 1보다 작은 값)을 배가시켜 근로자의 근태기록이 정량화된 값을 보정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근로자의 성실한 근무를 독려하도록 하고 근무에 대한 근로자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3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내지 도4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장치
110: 입출력부 120: 통신부
130: 저장부 140: 제어부
200: 근로자 단말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8)

  1.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로자 및 사용자를 매칭하여 장애인 고용 계약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장애인 고용의 계약을 위한 온라인상의 계약서인 장애인고용계약서로부터 상기 근로자의 근무 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근무 시간과 상기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애인 고용 계약을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 및 근로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장애인고용계약서를 제공하며,
    상기 근로자 단말로부터 상기 근로자의 전자서명을 대체하는 음성 녹음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장애인고용계약서를 수락한 근로자의 신원을 확인하되, 임의의 시기에 근로자의 목소리 녹음 요청에 따라 녹음된 근로자의 음성 녹음 파일과 계약 시 전자서명을 대체하는 음성 녹음 파일을 대조함으로써 상기 전자서명을 대체하는 음성 녹음 파일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은,
    상기 추출된 근무 시간과 상기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성실 근로자 도출을 위한 우선순위 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 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사용자에게 상기 근로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은,
    상기 추출된 근무 시간과 상기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복수의 근로자에 대해 성실 근로자 도출을 위한 우선순위 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복수의 근로자에 대해 도출된 상기 우선순위 값을 오름차순으로 나열하여 사용자 단말에 특정 순위 이상의 근로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는 단계는,
    근로자 단말의 GPS 정보를 기초로 근태기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근무 시간과 제3자 단말로 근로자를 촬영한 이미지를 수신하여 기록된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장애인 고용 현황을 입력 받아 장애인 고용 시 사용자에게 끼치는 영향력을 정량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장치에 있어서,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근로자 및 사용자를 매칭하여 장애인 고용 계약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장애인 고용의 계약을 위한 온라인상의 계약서인 장애인고용계약서로부터 상기 근로자의 근무 시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근무 시간과 상기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 및 근로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장애인고용계약서를 제공하며,
    상기 근로자 단말로부터 상기 근로자의 전자서명을 대체하는 음성 녹음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장애인고용계약서를 수락한 근로자의 신원을 확인하되, 임의의 시기에 근로자의 목소리 녹음 요청에 따라 녹음된 근로자의 음성 녹음 파일과 계약 시 전자서명을 대체하는 음성 녹음 파일을 대조함으로써 상기 전자서명을 대체하는 음성 녹음 파일을 검증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근무 시간과 상기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성실 근로자 도출을 위한 우선순위 값을 도출하고,
    우선순위 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사용자에게 상기 근로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근무 시간과 상기 근로자의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복수의 근로자에 대해 성실 근로자 도출을 위한 우선순위 값을 도출하고,
    복수의 근로자에 대해 도출된 상기 우선순위 값을 오름차순으로 나열하여 사용자 단말에 특정 순위 이상의 근로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근로자 단말의 GPS 정보를 기초로 근태기록을 생성하는,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근무 시간과 제3자 단말로 근로자를 촬영한 이미지를 수신하여 기록된 근태기록을 비교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는,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장애인 고용 현황을 입력 받아 장애인 고용 시 사용자에게 끼치는 영향력을 정량화하여 제공하는, 장치.
  17. 컴퓨터에 제1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8. 장애인고용지원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1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25092A 2021-02-24 2021-02-24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71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092A KR102271181B1 (ko) 2021-02-24 2021-02-24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092A KR102271181B1 (ko) 2021-02-24 2021-02-24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181B1 true KR102271181B1 (ko) 2021-06-29

Family

ID=7662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092A KR102271181B1 (ko) 2021-02-24 2021-02-24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1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975B1 (ko) 2023-08-03 2024-01-24 (주)잡드림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채용 및 위탁 관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937A (ko) * 2015-08-21 2015-09-18 허윤 대출 계약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JP2018173673A (ja) * 2017-03-31 2018-11-08 Hr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マッチング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マッチング方法
KR101954952B1 (ko) * 2017-11-01 2019-05-30 이정훈 일자리 매칭 서버 및 방법
KR102035832B1 (ko) * 2019-02-11 2019-10-23 주식회사 워커스빌 전자 근로 계약 및 노무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028817A (ko) * 2019-04-02 2020-03-17 시비디코리아(주) Gps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플랫폼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937A (ko) * 2015-08-21 2015-09-18 허윤 대출 계약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JP2018173673A (ja) * 2017-03-31 2018-11-08 Hr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マッチング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マッチング方法
KR101954952B1 (ko) * 2017-11-01 2019-05-30 이정훈 일자리 매칭 서버 및 방법
KR102035832B1 (ko) * 2019-02-11 2019-10-23 주식회사 워커스빌 전자 근로 계약 및 노무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028817A (ko) * 2019-04-02 2020-03-17 시비디코리아(주) Gps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플랫폼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975B1 (ko) 2023-08-03 2024-01-24 (주)잡드림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채용 및 위탁 관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od et al. Networked but commodified: The (dis) embeddedness of digital labour in the gig economy
Atasoy The effects of broadband internet expansion on labor market outcomes
US101468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classifying, organizing and populating information on electronic forms
Kristal et al. Workplace compensation practices and the rise in benefit inequality
Hochstein et al. Proactive value co-creation via structural ambidexterity: Customer success management and the modularization of frontline roles
Paarlberg et al. Activating community resilience: The emergence of COVID-19 funds across the United States
CN110622188A (zh) 在基于互联网的社交网络服务中计算成员简档的排名和评级的系统和方法以及用于此的记录介质
Stearns Long-term correlates of high school racial composition: Perpetuation theory reexamined
Ilsøe et al. Multiple jobholding in the digital platform economy: signs of segmentation
US202200049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ruiting resources using personality based matching platform
US202301009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cruiting
Gornig et al. Deindustrialisation and the polarisation of household incomes: The example of urban agglomerations in Germany
US20160232376A1 (en) Privacy fractal mirroring of transaction data
KR102271181B1 (ko) 온라인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Reynolds et al. Gig work and the pandemic: Looking for good pay from bad jobs during the COVID-19 crisis
US20190279255A1 (en)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a match between profiles
Dickerson et al. Worksite segregation and performance-related attitudes
GB2556406A (en) System and method of aggregating and analyzing diverse candidate data at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providing the data through a networked agent
Furey Relative to Whom? Comment on “Relative Education and the Advantage of a College Degree”
Patulny et al. Come together? The unusual combination of precariat materialist and educated post-materialist support for an Australian Universal Basic Income
Unes et al. Relevant factors for customer loyalty in the banking sector
US20160117678A1 (en) Payment system
Li et al. The Profitability Puzzle of Digital Labor Platforms
WO2020113122A1 (en) Holistic online work marketplace
KR102586414B1 (ko) 아티스트 그룹 단위의 nft 제작 방법 및 nft보유자의 거래 성향 파악에 대응하는 정성적/정량적 데이터 분석 및 생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