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340B1 -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340B1
KR101637340B1 KR1020150025193A KR20150025193A KR101637340B1 KR 101637340 B1 KR101637340 B1 KR 101637340B1 KR 1020150025193 A KR1020150025193 A KR 1020150025193A KR 20150025193 A KR20150025193 A KR 20150025193A KR 101637340 B1 KR101637340 B1 KR 101637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mobile terminal
path
mov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환
Original Assignee
김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환 filed Critical 김인환
Priority to KR1020150025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의 무선 통신 기능과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피트니스 센터 내 설치된 운동 기구의 사용 여부 및 운동 원칙을 고려하여 최적의 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운동 기구를 갖는 피트니스 센터에서 고객에게 최적 운동 경로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고객이 소지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 상기 복수의 운동 기구에 설치되며,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식별되는 태그;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식별된 태그의 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을 소지한 고객에 대해 사전 설정된 운동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이 상기 운동 기구를 이용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운동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PTIMAL PATH IN FITNESS CENTER}
본 발명은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의 무선 통신 기능과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피트니스 센터 내 설치된 운동 기구의 사용 여부 및 운동 원칙을 고려하여 최적의 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년간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을 갖는 개인용 스마트 단말이 대중화되면서 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온라인 마켓을 통해 출시되고 있다. 이에, 스마트 단말 활용하여 개인들이 각자의 라이프 사이클을 계획하고 체크하는 것은 일상화되었다.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들 가운데 최근 헬스 케어 분야에 관련된 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활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세계적 IT 기업들은 헬스 케어 분야에 관련된 시장을 차세대 캐시 카우가 될 것이라 예측하며 이에 대한 투자와 개발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개인의 소득 수준 향상과 고령화 사회 진입의 영향으로 자신의 건강을 위해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의 경우, 피트니스 센터의 수가 증가하면서 시장 선점을 위한 시설의 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형 피트니스 센터에서 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일반인들의 경우, 넓은 피트니스 센터에서 어떤 운동을, 어느 기구를 통해서, 어느 정도로 얼마나 해야하는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없이 없어 별도의 개인 트레이닝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경우 적절한 관리와 전문 지식 없이 운동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의지가 약한 일반인들의 경우 대부분 체력적으로도 큰 부담이 없는 트레드 밀(러닝머신)만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단순히 피트니스 센터의 고객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트레드 밀 1대가 같은 시간당 컴퓨터 17대에 맞먹는 전력을 소모하므로, 피트니스 센터주의 입장에서도 운영상의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실제 센터 운영비 가운데 전기 사용료의 70 내지 75% 정도가 트레드 밀을 통해서 발생한다.
따라서, 피트니스 센터의 일반 고객들에게 개인이 소지한 스마트 단말을 사용하여 적절한 퍼스널 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하면 고객과 피트니스 센터주 모두에게 많은 이익이 돌아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고객의 사용자 단말이 갖는 무선통신 기능과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피트니스 센터 내 설치된 운동 기구의 사용 여부 및 운동 원칙을 고려하여 최적의 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운동 기구를 갖는 피트니스 센터에서 고객에게 최적 운동 경로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객이 소지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
상기 복수의 운동 기구에 설치되며,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식별되는 태그;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식별된 태그의 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을 소지한 고객에 대해 사전 설정된 운동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이 상기 운동 기구를 이용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운동 관리 서버;
상기 운동 관리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고객의 입력 정보와 기 저장된 회원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을 소지한 고객이 상기 피트니스 센터의 회원인지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회원 인증 정보 및 상기 피트니스 센터의 각 회원에 대해 사전 설정된 운동 정보를 저장하는 고객 데이터 저장부;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태그의 정보 및 상기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실시간 정보 입력부; 및 상기 고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운동 정보 및 상기 실시간 정보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고객에 대한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이동 경로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경로 생성부는, 상기 실시간 정보 입력부에서 입력된 인식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다른 회원에 의해 사용 중인 운동기구를 파악하고, 현재 사용 가능한 운동 기구들을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적용을 위한 정점(vertex)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 경로 생성부는, 상기 고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회원의 운동 정보 및 상기 피트니스 센터 내의 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정점 사이의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경로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며,
상기 고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회원의 운동 정보는 상기 회원의 운동 일정에 따른 운동 부위, 운동 순서 및 운동 원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경로 생성부는, 상기 정점을 운동 부위 및 운동 순서가 유사한 그룹으로 나누고 운동 원리에 따라 각 그룹 간의 순서를 결정하며, 운동 원리에 따른 순서와 피트니스 센터 내의 다양한 환경 등을 고려하여 경로를 결정하고 경로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와 같은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 단계로,
피트니스 센터를 방문하여 운동을 시작하려는 회원이 자신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로 회원 인증을 시도하는 단계(S11); 회원 인증이 이뤄지며, 운동 관리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로 인증된 회원의 웜업 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2); 이동경로 생성부는 실시간 정보 입력부에서 입력된 인식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다른 회원에 의해 사용 중인 운동기구를 파악하고, 현재 사용 가능한 운동 기구들을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적용을 위한 정점(vertex)를 결정하는 단계(S13); 이동 경로 생성부는 결정된 정점 간의 경로를 생성하고 경로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S14); 최대 가중치를 갖는 경로를 다음 운동 경로로 결정하고 회원의 모바일 단말로 다음 운동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S15);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적용한 운동 경로 결정 과정들은 회원이 본 운동을 모두 종료할 경우, 이동 경로 생성부를 통해 회원의 모파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운동 기구에 설치된 태그를 고객의 모바일 단말로 인식하게 하여 운동기구 사용 여부를 미리 파악하게 하고, 사용 가능한 운동기구를 정점으로 하여 운동 원리 및 피트니스 센터 내 주변 환경을 경로의 가중치로하여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피트니스 센터의 회원에게는 회원에 적합한 운동 내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운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피트니스 센터의 업주에게는 과다한 트레드 밀 사용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의 운동 관리 서버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은, 피트니스 센터 고객이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10)과, 피트니스 센터 내 운동기구에 설치된 태그(21) 및 고객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고객의 모바일 단말(10)로 제공하는 운동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개인용 단말로서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고객이 소지하여 사용하는 운동기구에 대한 정보를 운동 관리 서버(30)로 전송하고, 운동 관리 서버(30)에서 생성된 피트니스 센터 내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모바일 단말(10)은 운동 기구(20)에 설치된 태그(21)의 인식할 수 있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기능과, 운동 관리 서버(30)로부터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셀룰러 통신 또는 Wifi 또는 Bluetooth 또는 Zigbee 등)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일 수 있다.
태그(21)는 피트니스 센터 내 구비된 복수의 운동 기구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태그(21)는 설치된 운동 기구에 대한 정보(운동기구의 식별 번호 또는 운동기구의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21)에 기록된 운동 기구에 대한 정보는 고객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10)에 의해 식별되고 모바일 단말(10)은 식별된 정보를 운동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운동기구의 사용 개시 때, 고객이 자신의 모바일 단말(10)을 이용하여 태그를 인식하여 그 정보를 운동 관리 서버(30)로 전송하면, 운동 관리 서버(30)는 해당 태그가 설치된 운동 기구가 사용 중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21)는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로 구현될 수 있다.
운동 관리 서버(3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모바일 단말(10)이 식별한 태그에 기록된 운동 기구 정보와 모바일 단말(10)을 소지한 고객에 대해 사전 설정된 운동 정보를 기반으로 고객이 피트니스 센터 내 다양한 운동 기구(20)를 이용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10)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의 운동 관리 서버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 관리 서버(30)는 모바일 단말(10)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31)와, 무선 통신부(31)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정보와 기 저장된 회원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고객을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33)와, 피트니스 센터의 회원에 대한 회원 인증 정보 및 각 회원에 대해 사전 설정된 운동 정보를 저장하는 고객 데이터 저장부(35)와, 무선 통신부(31)로부터 제공된 태그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실시간 정보 입력부(37) 및 고객 데이터 저장부(35)에 저장된 운동 정보 및 실시간 정보 입력부(37)에서 입력된 태그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고객에 대한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이동 경로 생성부(3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1)는 사전 설정된 통신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10)과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각종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요소이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31)는 모바일 단말(10)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또는 지그비 통신 모듈 또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 등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33)는 무선 통신부(3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와 고객 데이터 저장부(35)에 저장된 피트니스 센터 가입 고객인 회원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고객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회원 정보는 사전에 부여된 아이디/패스워드 또는 전화번호/패스워드 등과 같이 사전에 설정된 회원 식별 가능한 정보일 수 있다.
고객 데이터 저장부(35)는 전술한 회원 정보 및 회원에 대해 사전에 설정된 운동 정보를 저장하는 요소이다. 운동 정보는 피트니스 가입 회원에 대해 사전 진행된 상담이나 진단을 통해 회원이 요구 또는 회원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전문가가 처방한 운동 원리가 될 수 있다.
실시간 정보 입력부(37)는 무선 통신부(31)가 전송받은 식별된 태그 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실시간 정보 입력부(37)는 이동 경로 생성부(39)에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적용하는데 사용되는 현재 운동기구의 전력 사용량 및/또는 현재 가용 운동기구 개수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동 경로 생성부(39)는 고객 데이터 저장부(35)에 저장된 운동 정보 및 실시간 정보 입력부(37)에서 입력받은 여러 정보를 기반으로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고객에 대한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방법은, 피트니스 센터를 방문하여 운동을 시작하려는 회원이 자신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로 회원 인증을 시도하는 단계(S11)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단계(S11)에서 회원은 자신의 모바일 단말(10)에 사전 설치된 운동 관리 어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회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운동 관리 서버(30)의 사용자 인증부(33)는 무선 통신부(31)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정보와 고객 데이터 저장부(35)에 저장된 회원 정보가 상호 일치하는 확인하여 회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1)에서 회원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 인증 실패 메시지와 함께 사용자 정보를 재입력 받기 위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전 설정된 회수 이상 회원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는 재등록 등의 절차를 진행하게 할 수 있다. 회원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에 미도시 된다.
단계(S12)에서 회원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운동 관리 서버(30)는 모바일 단말(10)로 인증된 회원의 웜업 운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12). 예를 들어, 웜업 운동은 트레드밀을 이용한 속보나 가벼운 구보와 같은 유산소 운동이 될 수 있다.
단계(S12)에서 운동 관리 서버(30)의 이동 경로 생성부(39)는 고객 데이터 저장부(35)에서 해당 회원에게 사전 지정된 운동 정보에 따라 적절한 웜업 운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이동 경로 생성부(39)는 실시간 정보 입력부(37)에서 입력되는 식별된 태그 정보나 전력 사용량 및 가용 운동기구 개수를 고려하여, 회원에게 웜업 운동에 사용되는 운동기구를 지정해 줄 수 있다.
이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적절한 운동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S13 내지 S15)가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은 어떤 변도 음수 가중치를 갖지 않는 유향 그래프에서 주어진 출발점과 도착점 사이의 모든 가능한 경로 중 최단경로를 찾는 알고리즘 중 대표적인 알고리즘이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의 진행 방법은 각 정점에 이르는 최단 경로를 시작점의 주변에서부터 하나씩 확장 지어가면서 서서히 범위를 넓힌 후 최종적으로 모든 정점에 이르는 최단 경로를 구하는 것이다.
단계(S13)에서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의 정점을 결정한다. 단계(S13)에서, 이동경로 생성부(39)는 실시간 정보 입력부(37)에서 입력된 인식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다른 회원에 의해 사용 중인 운동기구를 파악하고, 현재 사용 가능한 운동 기구들을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적용을 위한 정점(vertex)를 결정한다.
이어, 단계(S14)에서 이동 경로 생성부(39)는 결정된 정점 간의 경로를 생성하고 경로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로 결정 및 가중치 결정에는 고객 데이터 저장부(35)에 저장된 해당 회원의 운동 정보가 고려될 수 있다. 고객 데이터 저장부(35)에 저장된 운동 정보는 일정에 따른 운동 부위, 운동 순서 및 운동 원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경로 생성부(39)는 각각의 정점을 운동 부위 및 운동 순서가 유사한 그룹으로 나누고 운동 원리에 따라 각 그룹 간의 순서를 결정하며, 운동 원리에 따른 순서와 피트니스 센터 내의 다양한 환경 등을 고려하여 경로를 결정하고 경로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생성부(39)는 운동 원리에 입각한 운동 적합도, 실시간 정보 입력부(37)를 통해 입력되는 각 운동기구의 전력 사용량 및/또는 운동 기구 종류별 가용 운동 기구 개수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 단계(S15)에서 최대 가중치를 갖는 경로를 다음 운동 경로로 결정하고 회원의 모바일 단말(10)로 다음 운동 경로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은,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적용한 운동 경로 결정 과정들은 회원이 본 운동을 모두 종료할 때까지(S16) 하나의 운동기구에 의한 운동이 종료될 때마다 반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이동 경로 생성부(39)가 실시간 정보 입력부(37)를 통해 입력된 각종 정보들을 고려하여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적용한 이동 경로 연산을 사전 설정된 시간마다 반복하며, 회원이 하나의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을 종료한 경우 최신의 이동 경로를 회원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운동이 종료된 경우(S16), 이동 경로 생성부(39)는 정리 운동을 위한 정보를 해당 회원의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운동 기구에 설치된 태그를 고객의 모바일 단말로 인식하게 하여 운동기구 사용 여부를 미리 파악하게 하고, 사용 가능한 운동기구를 정점으로 하여 운동 원리 및 피트니스 센터 내 주변 환경을 경로의 가중치로하여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트니스 센터의 회원에게는 회원에 적합한 운동 내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운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피트니스 센터의 업주에게는 과다한 트레드 밀 사용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및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모바일 단말 20: 운동 기구
21: 태그 30: 운동 관리 서버
31: 무선 통신부 33: 사용자 인증부
35: 고객 데이터 저장부 37: 실시간 정보 입력부
39: 이동 경로 생성부

Claims (6)

  1. 복수의 운동 기구를 갖는 피트니스 센터에서 고객에게 최적 운동 경로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객이 소지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
    상기 복수의 운동 기구에 설치되며,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식별되는 태그;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식별된 태그의 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을 소지한 고객에 대해 사전 설정된 운동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이 상기 운동 기구를 이용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운동 관리 서버;
    상기 운동 관리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고객의 입력 정보와 기 저장된 회원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을 소지한 고객이 상기 피트니스 센터의 회원인지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회원 인증 정보 및 상기 피트니스 센터의 각 회원에 대해 사전 설정된 운동 정보를 저장하는 고객 데이터 저장부;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태그의 정보 및 상기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실시간 정보 입력부; 및 상기 고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운동 정보 및 상기 실시간 정보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고객에 대한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이동 경로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경로 생성부는, 상기 실시간 정보 입력부에서 입력된 인식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다른 회원에 의해 사용 중인 운동기구를 파악하고, 현재 사용 가능한 운동 기구들을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적용을 위한 정점(vertex)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 경로 생성부는, 상기 고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회원의 운동 정보 및 상기 피트니스 센터 내의 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정점 사이의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경로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며,
    상기 고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회원의 운동 정보는 상기 회원의 운동 일정에 따른 운동 부위, 운동 순서 및 운동 원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경로 생성부는, 상기 정점을 운동 부위 및 운동 순서가 유사한 그룹으로 나누고 운동 원리에 따라 각 그룹 간의 순서를 결정하며, 운동 원리에 따른 순서와 피트니스 센터 내의 다양한 환경 등을 고려하여 경로를 결정하고 경로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와 같은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 단계로,
    피트니스 센터를 방문하여 운동을 시작하려는 회원이 자신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로 회원 인증을 시도하는 단계(S11);
    회원 인증이 이뤄지며, 운동 관리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로 인증된 회원의 웜업 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2);
    이동경로 생성부는 실시간 정보 입력부에서 입력된 인식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다른 회원에 의해 사용 중인 운동기구를 파악하고, 현재 사용 가능한 운동 기구들을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적용을 위한 정점(vertex)를 결정하는 단계(S13);
    이동 경로 생성부는 결정된 정점 간의 경로를 생성하고 경로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S14);
    최대 가중치를 갖는 경로를 다음 운동 경로로 결정하고 회원의 모바일 단말로 다음 운동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S15);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적용한 운동 경로 결정 과정들은 회원이 본 운동을 모두 종료할 경우, 이동 경로 생성부를 통해 회원의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25193A 2015-02-23 2015-02-23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 KR101637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193A KR101637340B1 (ko) 2015-02-23 2015-02-23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193A KR101637340B1 (ko) 2015-02-23 2015-02-23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340B1 true KR101637340B1 (ko) 2016-07-20

Family

ID=5668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193A KR101637340B1 (ko) 2015-02-23 2015-02-23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3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032A (ko) * 2019-02-19 2020-08-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CN113485560A (zh) * 2021-08-05 2021-10-08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显示信息的方法和装置
KR20220042810A (ko) 2020-09-28 2022-04-05 김승현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2231A (ko) * 2012-04-30 2013-11-07 류정탁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최단거리 경로탐색 로봇 및 그 구동방법
KR101458432B1 (ko) * 2013-06-20 2014-11-07 주식회사 경희스포츠패나틱 운동정보 제공을 위한 자동연결 운동기구, 스마트기기, 이에 사용되는 운동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KR20140134431A (ko) * 2013-05-14 2014-11-2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oi를 이용한 경로 추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2231A (ko) * 2012-04-30 2013-11-07 류정탁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최단거리 경로탐색 로봇 및 그 구동방법
KR20140134431A (ko) * 2013-05-14 2014-11-2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oi를 이용한 경로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1458432B1 (ko) * 2013-06-20 2014-11-07 주식회사 경희스포츠패나틱 운동정보 제공을 위한 자동연결 운동기구, 스마트기기, 이에 사용되는 운동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032A (ko) * 2019-02-19 2020-08-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KR102196344B1 (ko) * 2019-02-19 2020-12-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KR20220042810A (ko) 2020-09-28 2022-04-05 김승현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3485560A (zh) * 2021-08-05 2021-10-08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显示信息的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076B2 (en) Facilitation of interactive exercise system
US9939784B1 (en) Smartwatch device and method
US20200167798A1 (en) Customizing customer onboarding for a service with machine learning models
US20190392441A1 (en) Customizing authorization request schedules with machine learning models
US20190147430A1 (en) Customizing payment sessions with machine learning models
US201600649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ower management for a wearable smart device
KR101637340B1 (ko)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
US10977648B2 (en) Transaction confirmation based on user attributes
CN105452987A (zh) 管理使用电子设备的低功率模式的近场通信
CA2757266A1 (en) Exercise activity recording system
EP3879444A1 (en) Biometric feature database establish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458432B1 (ko) 운동정보 제공을 위한 자동연결 운동기구, 스마트기기, 이에 사용되는 운동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KR101974902B1 (ko) 스마트 운동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21163235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7679493A (zh) 人脸识别方法和装置
JP2012065178A (ja)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21065184A1 (ja) リハビリ計画装置、リハビリ計画システム、リハビリ計画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20170123427A (ko) 헬스센터 스마트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Dharia et al. PRO-Fit: Exercise with friends
CN106571143A (zh) 智能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US10018980B2 (en) Controlling a process with sensor information
KR20200076985A (ko) 헬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20212058A1 (en) Facilitation of interactive exercise system
KR102581340B1 (ko)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CN108931248A (zh) 导航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