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810A -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810A
KR20220042810A KR1020200126083A KR20200126083A KR20220042810A KR 20220042810 A KR20220042810 A KR 20220042810A KR 1020200126083 A KR1020200126083 A KR 1020200126083A KR 20200126083 A KR20200126083 A KR 20200126083A KR 20220042810 A KR20220042810 A KR 20220042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er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김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현 filed Critical 김승현
Priority to KR1020200126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2810A/ko
Publication of KR2022004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1Maps, e.g. yardage maps or electronic m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 상에서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전송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범위 내의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하는 운동환경 산출부; 산출된 상기 운동환경 정보를 기초로 지도 상에, 상기 하나의 위치정보에서 시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 또는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동일위치 이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에서 시작하여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에서 가장 먼 위치정보까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를 생성하는 운동경로 생성부; 상기 지도 상에 맵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와 해당 운동경로의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운동정보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의해 선택된 운동경로를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이동경로와 소요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 대비 달성도를 포함하는 운동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상기 운동정보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운동결과인 공유정보를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운동정보 공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RCISE PATH AND SHARING RESULTS BASED ON EXERCISE ENVIRONMENT}
본 발명은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정보에 따라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적합한 운동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이를 선택하여 수행한 운동경로와 그 운동결과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강관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문 피트니스 클럽이나 체계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수강하여, 자신의 건강 및 생활패턴에 기초해서 맞춤형 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체계적인 운동의 중요성을 인정하지만, 바쁜 일상과 동기 부여의 어려움으로 인해 자신에게 맞는 운동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주변에서 가장 편리하고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걷기, 달리기, 자전거 타기와 같은 전통적인 방식의 운동이 다시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동식 운동 방식은 정확한 기록과 측정수단이 없기 때문에 운동 내용을 기록하고, 결과를 측정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운동 진행 경로를 추적하여, 걷은 거리(m), 걷은 걸음 수, 소요시간 등과 같은 운동 정보를 측정하여 알려주는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별도의 운동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여야 하고, 자신이 진행하고 있는 운동경로에 대한 결과와 비교 대상의 부재로 인해 동기부여가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걷기,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의 운동진행 시, 실제 이동경로 상의 주변의 환경정보나 안전정보 등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여, 실제 운동의 효율적이 저하되거나, 밤이나 새벽과 같은 시간에 혼자서 걷기,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의 운동을 진행하는 것은 안전 측면에서(특히, 노약자, 여성) 부담을 가지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심의 일상생활 속에서도 다양한 운동환경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운동경로와 그 결과를 통해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37340호(등록일자: 2016.07.0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치정보에 따른 주변의 운동환경을 기반으로 적합한 운동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사용자의 위치(또는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거리가 가까운 순서로 경유하여, 가장 거리가 먼 위치정보까지 이동하는 운동경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하여 수행한 운동경로(이동경로)와 그 운동결과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통신망 상에서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전송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범위 내의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하는 운동환경 산출부; 산출된 상기 운동환경 정보를 기초로 지도 상에, 상기 하나의 위치정보에서 시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 또는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동일위치 이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에서 시작하여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에서 가장 먼 위치정보까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를 생성하는 운동경로 생성부; 상기 지도 상에 맵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와 해당 운동경로의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운동정보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의해 선택된 운동경로를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이동경로와 소요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 대비 달성도를 포함하는 운동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상기 운동정보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운동결과인 공유정보를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운동정보 공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통신망 상에서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전송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범위 내의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상기 운동환경 정보를 기초로 지도 상에, 상기 하나의 위치정보에서 시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 또는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동일위치 이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에서 시작하여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에서 가장 먼 위치정보까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지도 상에 맵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와 해당 운동경로의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의해 선택된 운동경로를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이동경로와 소요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 대비 달성도를 포함하는 운동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운동결과인 공유정보를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정보에 따른 주변의 운동환경을 기반으로 적합한 운동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운동종류(예를 들면, 걷기,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에 적합한 운동경로를 추천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성별, 나이, 운동 시간대에 따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운동경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사용자의 위치(또는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거리가 가까운 순서로 경유하여, 가장 거리가 먼 위치정보까지 이동하는 운동경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맞는 보다 자세한 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어, 맞춤형 운동경로를 추천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하여 수행한 운동경로와 그 운동결과를 공유할 수 있어, 별도의 번거로운 설정 없이도 사용자의 위치정보만으로도 간편하게 주변 운동경로(이동경로)를 추천 받을 수 있고, 다른 사용자를 비교 대상(경쟁 상대)으로 설정하여 운동의 동기부여를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를 제공하는 과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를 제공하는 과정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를 공유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반드시 분리된 하드웨어이거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 예 및 분리된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
본 발명에 있어서, “운동환경 정보”란, 환경정보와 안전정보 및 공유정보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일 수 있는데, 상기 환경정보는, 공원, 산, 산책로, 호수, 하천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안전정보는, 교통안전, 치안안전, 시설안전, 산업안전, 보건안전, 재난안전, 사고안전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상기 공유정보는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경로(이동경로)와 운동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로, 운동환경 정보는 이러한 상기 정보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 사용자 단말장치(300),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 및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망으로, 유선 및/또는 무선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무선랜(wireless LAN) 또는 이동통신망(mobile telecommunication)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통신망(100)은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망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은, 통신망(100) 상에서 운동환경을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전송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범위 내의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운동환경 정보를 기초로 지도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은 산출된 상기 운동환경 정보를 기초로 지도 상에, 상기 하나의 위치정보에서 시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 또는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동일위치 이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에서 시작하여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위치에서 가장 먼 위치정보까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와 해당 운동경로의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의해 선택된 운동경로를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이동경로와 소요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 대비 달성도를 포함하는 운동결과를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동경로와 상기 운동결과를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로 공유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은 도 2를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정보를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로 제공하고,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서 추천 운동경로와, 상기 추천 운동경로에 따라 산출된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을 제공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지자기 센서, 자이로스코프(gyroscope)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미도시됨)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GPS와 같은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로 제공하고,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값, 가속도 값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실제 이동경로와 소요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 대비 달성도를 포함하는 운동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으로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전용 웹(Web) 또는 앱(App)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이동통신단말장치,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장치, 유선 단말장치, 무선 단말장치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장치 등의 다양한 공지된 디지털 기기가 제한 없이 채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와이브로(Wibro) 단말기,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을 구비하면서, 유/무선의 통신기능을 포함하고 있다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로서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 단말장치(30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도 상의 운동경로 및 이와 연동하는 운동 결과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표시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수단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수단에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어 입력수단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장치(3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지자기 센서, 자이로스코프(gyroscope)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는,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장치로,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정보를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로 제공하고,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서 추천 운동경로와, 상기 추천 운동경로에 따라 산출된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을 제공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사용자들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는,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선택된 운동경로를 따라, 그 이동경로와 소요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 대비 달성도를 제공할 수 있고,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운동결과를 공유정보로 제공하거나 제공받을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제외한, 그 구성과 기능은 상술된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동일함으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500)는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 사용자 단말장치(300) 및/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와 통신하는 운영 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500)는 인터넷 사이트의 운영 서버일 수 있는데, 이때, 서버(500)는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과 사용자 단말장치(300) 및/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를 연결하는 전용 웹(Web) 및/또는 앱(App)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이를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 및/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정보와 운동관련 정보를 검색하여 지도정보에 맵핑하여 브라우징 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500)는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의 위치정보와 운동환경 정보를 기초로 지도 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동경로를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할 수 있도록, 웹/앱 상에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에서는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과 서버(500)가 별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을 서버(400)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의 구성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은 운동환경 산출부(210), 운동경로 생성부(220), 운동정보 제공부(230), 운동정보 관리부(240), 운동정보 공유부(250), 데이터베이스(260), 통신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환경 산출부(210), 운동경로 생성부(220), 운동정보 제공부(230), 운동정보 관리부(240), 운동정보 공유부(250), 데이터베이스(260), 통신부(270) 및 제어부(28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단말장치(300),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 및/또는 서버(5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적인 구성요소(범용 프로세서, 전용 프로세서)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요소(펌웨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모듈)와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환경 산출부(21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전송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범위 내의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제적으로, 운동환경 산출부(21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전송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한 설정범위(예를 들면, 반경 200m, 500m, 1km, 2km 등) 이내의 환경정보, 안전정보 또는 공유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운동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환경정보는, 공원, 산, 산책로, 호수, 하천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안전정보는, 교통안전, 치안안전, 시설안전, 산업안전, 보건안전, 재난안전, 사고안전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상기 공유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운동결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환경정보, 안전정보 또는 공유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운동환경 정보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범위 내에서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환경 산출부(210)에 의한 운동환경 정보 산출과정은 도 3 및 도 5를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경로 생성부(220)는, 운동환경 산출부(210)에서 산출된 운동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지도상에 맵핑하여, 상기 하나의 위치정보에서 시작하는 설정범위 내의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 또는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동일위치 이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에서 시작하여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에서 가장 먼 위치정보까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장치(300)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경로 생성부(220)는,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동일위치 이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에서 시작하여,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위치에서 거리가 가까운 순서로 경유한 후,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에서 가장 거리가 먼 위치정보까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경로를 추천할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운동결과를 시뮬레이션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운동경로 생성부(220)에 의한 운동경로 제공 과정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정보 제공부(230)는, 상기 지도 상에 맵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와 해당 운동경로의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정보 관리부(24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의해 선택된 운동경로를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이동경로와 소요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 대비 달성도를 포함하는 운동결과를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정보 공유부(25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운동결과인 공유정보를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동정보 공유부(250)는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로,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이동경로를 추천하거나, 상기 운동결과의 순위를 더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운동정보 공유부(250)에서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운동결과를 공유하는 과정은 도 6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6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정보와 지도정보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일 수 있다. 또한, 공원, 산, 산책로, 호수, 하천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환경정보와, 교통안전, 치안안전, 시설안전, 산업안전, 보건안전, 재난안전, 사고안전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안전정보 및,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운동결과인 공유정보를 포함하는 운동환경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공유된 운동경로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하거나, 상기 운동 결과와 상기 운동경로의 점수를 기준으로 순위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비록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260)는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60)는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과 별개로 구성하거나 서버(500)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26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도 포함하여 지칭하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260)에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70)는,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이 사용자 단말장치(300),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 및/또는 서버(500)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80)는, 운동환경 산출부(210), 운동경로 생성부(220), 운동정보 제공부(230), 운동정보 관리부(240), 운동정보 공유부(250), 데이터베이스(260) 및 통신부(27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80)는 외부로부터의, 또는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운동환경 산출부(210), 운동경로 생성부(220), 운동정보 제공부(230), 운동정보 관리부(240), 운동정보 공유부(250), 데이터베이스(260) 및 통신부(27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과정(방법)에 대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운동환경 기반의 운동경로 제공 과정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정 값으로'위치정보: 미설정, 운동종류: 걷기, 운동범위: 반경 1Km 이내, 운동환경: 1. 환경, 2. 안전'을 설정하여 구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를 제공하는 과정을 일례로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장 대표적인 활용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보도, 달리기, 자전거 중 어느 하나의 운동종류를 이용하여 운동을 진행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소유의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통해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전용 웹(Web) 또는 앱(App)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관련정보를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으로 입력하거나,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전용 웹(Web) 또는 앱(App)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과 접속하면,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전송되는 하나의 위치정보(A)를 기준으로, 설정범위 이내의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메뉴화면(320)를 통해 설정정보를 '위치정보: 미설정, 운동종류 걷기, 운동범위: 반경 1Km 이내, 운동환경: 1. 환경, 2. 안전' 입력(선택)하여 전송하면,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실제 위치정보(GPS 정보)를 기준으로, 반경 1Km 이내의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환경 정보는 제1 카테고리인 '환경'과 제2 카테고리인 '안전'에 해당하는 각각의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하게 되는데, 상기 환경정보는, 공원, 산, 산책로, 호수, 하천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안전정보는, 교통안전, 치안안전, 시설안전, 산업안전, 보건안전, 재난안전, 사고안전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환경정보는 지도의 정보를 통해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정보는 일례로 행정안전부에서 다양한 통계자료를 통해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는 "생활안전지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데이터베이스를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이어서, 산출된 운동환경 정보(환경정보, 안전정보)를 기초로 지도 상(310)에서,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실제 위치정보(A)에서 시작하는 설정범위 (반경 1Km) 이내의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인 '1. 추천 운동경로(10): 900m, 2. 추천 운동경로(20): 950m'를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적색 선으로 표시된 제1 추천 운동경로(10)은 환경정보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생성하였기 때문에, 지도상에서 걷기운동(산책)하기 용이한 지역인 공원, 산 주변을 중심으로 경로를 진행한 후, 다시 원 지점(A)으로 되돌아오는 운동경로를 생성하여 추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원리로, 파란색 선으로 표시된 제2 추천 운동경로(20)는 안전정보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생성하였기 때문에, 지도상에서 교통안전, 치안안전, 시설안전, 산업안전, 보건안전, 사고안전 등의 등급(예를 들면, 위험도가 가장 낮은 1등급부터 가장 높은 6등급으로 구분)이 가장 낮은 지역을 걷기운동(산책) 하기 용이한 지역으로 판단하여, 학교와 공원 주변을 돌아서 다시 원 지점(A)으로 되돌아오는 운동경로를 생성하여 추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정보는 시간대에 따른 안전 등급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생성된 상기 운동경로의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을 산출하여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예상시간 및 예상운동량 보기'버튼을 선택하여, 추천 운동경로 별 상세한 예상시간 및 예상 운동량을 미리 확인하고, 자신에게 보다 적합한 어느 하나의 운동경로를 선택하여,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추천 운동경로(10): 900m'를 선택할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300)가 실제로 해당 운동경로를 따라 이동한 이동경로와 소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 대비 달성도를 포함하는 운동결과를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목표치의 달성여부(예를 들면, 달성도 60%, 80%, 100% 등)와 이를 점수화(달성도 60%: 6점, 달성도 80%: 8점, 달성도 100%: 10점 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운동환경 기반의 운동경로 제공을 통해, 사용자는 운동종류(예를 들면, 걷기,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에 적합한 운동경로를 추천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성별, 나이, 운동 시간대에 따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운동경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운동환경을 기반으로 다른 운동경로 제공과정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정 값으로 '위치정보: A, B 운동종류: 걷기운동, 운동환경: 안전 + 환경'을 설정하여 구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를 제공하는 과정을 다른 일례로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장 대표적인 활용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의 운동경로 제공과정과 중복되는 과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를 제공하는 과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전용 웹(Web) 또는 앱(App)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과 접속하면,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전송되는 다수의 위치정보(A, B)를 기준으로, 설정범위 이내의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메뉴화면(320)를 통해 설정정보를 '위치정보: A, B, 운동종류: 걷기운동, 운동환경: 안전 + 환경' 입력(선택)하여 전송하면,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동일위치 이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A)에서 시작하여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위치에서 가장 먼 위치정보(B)까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10, 20)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위치정보(A, B)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입력되어 설정된 값일 수 있는데, 사용자가 지도 상(310)에서 출발점(A)와 도착점(B)를 각각 선택하여 제공할 방식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위치정보(A, B) 중 위치정보(A)는 사용자 단말장치(300)가 위치하는 실제 위치정보(GPS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치정보(A)부터 위치정보(B)까지의 최단거리인 비교경로(30, 700m)를 설정범위(700m)로 설정하여 위치정보(A) 및 위치정보(B)에서 각각 반경 700m 이내의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설정범위를 통해 추천경로가 너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운동환경 정보는 제1 카테고리인 '환경'과 제2 카테고리인 '안전'을 통합하여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데, 상기 환경정보인, 공원, 산책로, 산, 호수, 하천 정보 중 어느 하나, 상기 안전정보인, 교통안전, 치안안전, 시설안전, 산업안전, 보건안전, 재난안전, 사고안전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어서, 산출된 운동환경 정보(환경정보, 안전정보)를 기초로 지도 상에,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동일위치 이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A)에서 시작하여,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위치에서 가장 먼 위치정보(B)까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인 '1. 추천 운동경로(10): 900m, 2. 추천 운동경로(20): 1.4km'를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적색 선으로 표시된 제1 추천경로(10)은 안전과 환경을 모두 반영하면서도 제2 추천경로(20)에 비해 짧은 거리인 900m의 운동경로를 생성하여 추천하며, 이와 동일한 원리로, 파란색 선으로 표시된 제2 추천경로(20)는 안전과 환경을 모두 반영하면서도, 제1 추천경로(10)에 비해 긴 거리인 1.4km의 운동경로를 생성하여 추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정보(A)부터 위치정보(B)까지의 최단거리인 비교경로(30, 700m)를 설정범위(700m)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위치정보(A) 및 위치정보(B)에서 각각 반경 700m 이내의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하여 최대 운동경로는 제2 추천경로(20)과 같이 1.4km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생성된 상기 운동경로의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을 산출하여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예상시간 및 예상운동량 보기'버튼을 선택하여, 추천 운동경로 별 상세한 예상시간 및 예상 운동량을 미리 확인하고, 자신에게 보다 적합한 어느 하나의 운동경로를 선택하여,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추천경로(20): 1.4km'를 선택할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300)가 실제로 해당 운동경로를 따라 이동한 이동경로와 소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 대비 달성도를 포함하는 운동결과를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목표치의 달성여부와 이를 점수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운동환경을 기반으로 또 다른 운동경로 제공과정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정 값으로 '위치정보: A ,B, C, 운동종류: 걷기운동, 운동환경: 환경 + 안전'을 설정하여 구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를 제공하는 과정을 또 다른 일례로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장 대표적인 활용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 및 도 4의 운동경로 제공과정과 중복되는 과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를 제공하는 과정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전용 웹(Web) 또는 앱(App)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과 접속하면,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전송되는 다수의 위치정보(A, B, C)를 기준으로, 설정범위 이내의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메뉴화면(320)를 통해 설정정보를 '위치정보: A, B, C, 운동종류: 걷기운동, 운동환경: 환경 + 안전'으로 입력(선택)하여 전송하면,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동일위치 이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A)에서 시작하여,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A, B, C)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위치에서 거리가 가까운 순서로 경유(C)하여, 상기 하나의 위치정보(A)에서 가장 거리가 먼 위치정보(B)까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10, 20)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위치정보(A, B, C)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입력되어 설정된 값일 수 있는데, 사용자가 지도 상(310)에서 출발점(A)와 도착점(B), 경유점(C)를 각각 선택하여 제공할 방식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위치정보(A, B, C) 중 위치정보(A)는 사용자 단말장치(300)가 위치하는 실제 위치정보(GPS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치정보(A)부터 위치정보(B)까지의 최단거리인 비교경로(30, 700m)를 설정범위(700m)로 설정하여 위치정보(A) 및 위치정보(B)에서 각각 반경 700m 이내의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설정범위를 통해 추천경로가 너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환경 정보는 제1 카테고리인 '환경'과 제2 카테고리인 '안전'을 통합하여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하게 되는데, 상기 환경정보인, 공원, 산, 산책로, 호수, 하천 정보 중 어느 하나, 상기 안전정보인, 교통안전, 치안안전, 시설안전, 산업안전, 보건안전, 재난안전, 사고안전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어서, 산출된 운동환경 정보(환경정보, 안전정보)를 기초로 지도 상에,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동일위치 이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A)에서 시작하여, 중간 경유지점인 위치정보(C)를 경유하여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동일위치 이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A)에서 가장 먼 위치정보(B)까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인 '1. 추천 운동경로(10): 900m, 2. 추천 운동경로(20): 1.1km'를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적색 선으로 표시된 제1 추천 운동경로(10)은 안전과 환경을 모두 반영하면서도 중간 경유지점인 위치정보(C)를 거치는, 제2 추천 운동경로(20)에 비해 짧은 거리인 900m의 운동경로를 생성하여 추천하며, 이와 동일한 원리로, 파란색 선으로 표시된 제2 추천 운동경로(20)는 안전과 환경을 모두 반영하면서도 중간 경유지점인 위치정보(C)를 거치는, 제1 추천 운동경로(10)에 비해 긴 거리인 1.1km의 운동경로를 생성하여 추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정보(A)부터 위치정보(B)까지의 최단거리인 비교경로(30, 700m)를 설정범위(700m)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위치정보(A) 및 위치정보(B)에서 각각 반경 700m 이내의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하여 최대 운동경로는 제2 추천 운동경로(20)과 같이 1.4km 보다 짧게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생성된 상기 운동경로의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을 산출하여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예상시간 및 예상운동량 보기'버튼을 선택하여, 추천 운동경로 별 상세한 예상시간 및 예상 운동량을 미리 확인하고, 자신에게 보다 적합한 어느 하나의 운동경로를 선택하여,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추천경로(20): 1.1km'를 선택할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300)가 실제로 해당 운동경로를 따라 이동한 이동경로와 소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 대비 달성도를 포함하는 운동결과를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목표치의 달성여부와 이를 점수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맞는 보다 자세한 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어, 맞춤형 운동경로를 추천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운동환경을 기반으로 운동경로 공유 과정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정 값을 '위치정보: 미설정, 운동종류: 걷기운동, 운동범위: 반경 1Km 이내, 운동환경: 공유'으로 설정하여 구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의 공유과정을 일례로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장 대표적인 활용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를 공유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전용 웹(Web) 또는 앱(App)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과 접속하면,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전송되는 하나의 위치정보(A)를 기준으로, 설정범위 이내의 공유정보를 검색(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메뉴화면(320)를 통해 설정정보를 '위치정보: 미설정, 운동종류: 걷기운동, 운동범위: 반경 1Km 이내, 운동환경: 공유'으로 입력(선택)하여 전송하면,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실제 위치정보(GPS 정보)를 기준으로, 반경 1Km 이내의 공유정보를 검색(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유정보는 운동환경 정보의 제3 카테고리인 '공유'에 해당되는데, 상기 공유정보는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의 이동경로(운동경로)를 포함하는 운동결과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유정보는 운동경로 제공시스템(200)의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이어서, 검색된 운동환경 정보(공유정보)를 기초로 지도 상(310)에서,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실제 위치정보(A)에서 시작하는 설정범위 (반경 1Km) 이내의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인 '1. 추천 운동경로(10): 880m, 2. 추천 운동경로(20): 1Km'를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적색 선으로 표시된 제1 추천 운동경로(10)는 "누적횟수 32회, 랭킹 1) 점수 175점 'ㄱ ㄱ ㄱ' 2) 점수 167점 'ㄴ ㄴ ㄴ'"인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에 의해 해당 운동경로에서 진행된 운동횟수와 점수별 순위(랭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원리로, 파란색 선으로 표시된 제2 추천 운동경로(20)는 "2. 추천 운동경로(20): 1Km - 누적횟수 27회, 랭킹 1) 점수 115점 'ㄷ ㄷ ㄷ', 2) 점수 113점 'ㄹ ㄹ ㄹ'" 인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에 의해 해당 운동경로에서 진행된 운동횟수와 점수별 순위(랭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300)가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의 이동경로(운동경로)를 포함하는 운동결과를 공유정보로 검색(산출)하여 가져오는 것을 일례로 설명했지만, 그 역도 이와 동일하다. 즉,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400)가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이동경로(운동경로)를 포함하는 운동결과를 공유정보로 검색하여 가져오는 경우도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미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되어 반복적으로 운동이 진행된 운동경로들(10, 20) 중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운동경로를 선택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와의 객관화된 점수를 비교하여 운동의 동기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운동경로 제공시스템
210: 운동환경 산출부
220: 운동경로 생성부
230: 운동정보 제공부
240: 운동정보 관리부
250: 운동정보 공유부
260: 데이터베이스
270: 통신부
280: 제어부
300: 사용자 단말장치
400: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
500: 서버

Claims (11)

  1. 통신망 상에서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전송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범위 내의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하는 운동환경 산출부;
    산출된 상기 운동환경 정보를 기초로 지도 상에, 상기 하나의 위치정보에서 시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 또는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동일위치 이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에서 시작하여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에서 가장 먼 위치정보까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를 생성하는 운동경로 생성부;
    상기 지도 상에 맵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와 해당 운동경로의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운동정보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의해 선택된 운동경로를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이동경로와 소요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 대비 달성도를 포함하는 운동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상기 운동정보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운동결과인 공유정보를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운동정보 공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실제 위치정보이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입력되어 설정된 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경로 생성부는,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동일위치 이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에서 시작하여,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에서 거리가 가까운 순서로 경유한 후,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에서 가장 거리가 먼 위치정보까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환경 정보는,
    환경정보, 안전정보 또는 공유정보 중 어느 하나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환경정보는, 공원, 산, 산책로, 호수, 하천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안전정보는, 교통안전, 치안안전, 시설안전, 산업안전, 보건안전, 재난안전, 사고안전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상기 공유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운동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정보 공유부는,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이동경로를 추천하거나, 상기 운동결과의 순위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통신망 상에서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전송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범위 내의 운동환경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상기 운동환경 정보를 기초로 지도 상에, 상기 하나의 위치정보에서 시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 또는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동일위치 이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에서 시작하여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에서 가장 먼 위치정보까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지도 상에 맵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와 해당 운동경로의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의해 선택된 운동경로를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이동경로와 소요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예상시간과 예상 운동량 대비 달성도를 포함하는 운동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운동결과인 공유정보를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실제 위치정보이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입력되어 설정된 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동일위치 이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에서 시작하여,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에서 거리가 가까운 순서로 경유한 후,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에서 가장 거리가 먼 위치정보까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환경 정보는,
    환경정보, 안전정보 또는 공유정보 중 어느 하나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환경정보는, 공원, 산, 산책로, 호수, 하천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안전정보는, 교통안전, 치안안전, 시설안전, 산업안전, 보건안전, 재난안전, 사고안전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상기 공유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운동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정보를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이동경로를 추천하거나, 상기 운동결과의 순위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00126083A 2020-09-28 2020-09-28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042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83A KR20220042810A (ko) 2020-09-28 2020-09-28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83A KR20220042810A (ko) 2020-09-28 2020-09-28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810A true KR20220042810A (ko) 2022-04-05

Family

ID=8118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083A KR20220042810A (ko) 2020-09-28 2020-09-28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28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340B1 (ko) 2015-02-23 2016-07-20 김인환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340B1 (ko) 2015-02-23 2016-07-20 김인환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1856B1 (en) Computer-aided route selection
US8738422B2 (en) Systems, technique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cation assessments
US10207175B2 (en) Media, systems, and methods for game-based exercise tracking with virtual world variations
US20110270654A1 (en) Pedestrian Mapping System
KR20150101294A (ko) 운동경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JP2015148817A (ja) 場所認識型携帯スポーツ活動モニタリングデバイスを装着しているアスリートがたどるルートを表示する方法
KR102549472B1 (ko) 매핑 애플리케이션에 개인화된 랜드마크 표시
JP2014230616A (ja) 運動支援システム、端末装置、サーバー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集計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集計プログラム
Krisp et al. Car navigation–computing routes that avoid complicated crossings
US9817907B1 (en) Using place of accommodation as a signal for ranking reviews and point of interest search results
JP7108053B2 (ja) 馴染みのあるロケーションを中間目的地とするナビゲーション指示
KR20220042810A (ko) 운동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와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ngh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ocation–based multimedia mobile tourist guide system
Kulju et al. Route guidance using a 3D city model on a mobile device
EP1434033A2 (en) Portable promenade navigation device
KR100762717B1 (ko) 등산 네비게이션 단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등산 코스안내 운영 방법
Koyun et al. Implementation of a beacon-enabled mobile indoor naviga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Robinson et al. Exploring casual point-and-tilt interactions for mobile geo-blogging
KR102614076B1 (ko) 산책 코스 추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érez-Delhoyo et al. Social networks of sport and their potential in smart urban planning processes
JPWO2012053429A1 (ja) 運動促進システム、運動促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Bhattacharya et al. Monstre: A mobile navigation system for retail environments
Machado Mobile HealthyTrack: Recommendation of Healthy Routes
RU2663705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информативной пешеходной навигации с мультимедийным сопровождением
Xiong Designing turn-by-turn navigation system for customized wearable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