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985A - 헬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헬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985A
KR20200076985A KR1020180166046A KR20180166046A KR20200076985A KR 20200076985 A KR20200076985 A KR 20200076985A KR 1020180166046 A KR1020180166046 A KR 1020180166046A KR 20180166046 A KR20180166046 A KR 20180166046A KR 20200076985 A KR20200076985 A KR 20200076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management
mobile device
gym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729B1 (ko
Inventor
오혁진
김민관
조재혁
Original Assignee
오혁진
조재혁
김민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혁진, 조재혁, 김민관 filed Critical 오혁진
Priority to KR102018016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7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복수의 헬스장에 설치된 관리 장치, 모바일 장치 및 상기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회원 계정의 이용권 구입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헬스장에 대한 이용 권한을 설정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근거리 무선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회원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 권한을 확인하는 인증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 계정에 대한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을 기록하는 회원 관리부를 포함하는 헬스장 관리 시스템.

Description

헬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ITNESS CENTER}
본 발명은 헬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헬스장 회원의 이용 권한에 대한 정보가 서버를 통해 복수의 헬스장 관리 장치로 연동되어 가맹계약 체결된 모든 헬스장을 이용할 수 있고, 회원 맞춤형 운동 코스를 제공할 수 있는 헬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헬스장 관리 시스템의 경우 독립된 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회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였으며, 이용권 보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회원 카드 등을 이용한 인증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독립된 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회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경우 이용권을 구입한 헬스장에 대해서만 시설 이용이 가능하여 헬스장 이용에 장소와 시간적 제한이 존재하며, 회원 카드를 이용하여 회원 여부를 인증하는 경우 분실의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가맹계약 체결된 모든 헬스장을 이용할 수 있고, 회원 맞춤형 운동 코스를 제공할 수 있는 헬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장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헬스장에 설치된 관리 장치; 모바일 장치; 및 상기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회원 계정의 이용권 구입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헬스장에 대한 이용 권한을 설정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근거리 무선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회원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 권한을 확인하는 인증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 계정에 대한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을 기록하는 회원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회원 계정에 대한 상기 이용 권한 및 운동 현황 데이터를 포함하는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현황 데이터는 상기 회원 관리부에서 기록된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동 현황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입력된 운동 및 운동 횟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운동 현황 데이터를 이용하여 칼로리 소비량, 운동 일수, 운동 시간, 도구별 운동량, 신체 부위별 운동량, 유산소 운동량 및 근력 운동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운동 현황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운동 현황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결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결과, 상기 운동 현황 데이터, 상기 운동 현황 분석 결과 및 목표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동으로 구성된 추천 운동 코스를 생성하는 추천 운동 코스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천 운동 코스 생성부는 상기 추천 운동 코스를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운동 각각에 대응되는 중량, 운동 횟수, 운동 방법, 주의 사항 및 운동 시연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용 권한은 이용가능 기간 또는 이용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가능 횟수는 상기 회원 관리부에서 기록된 입장 시간 또는 퇴장 시간을 이용하여 차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NFC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회원 계정에 대한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이용자수를 계산하고, 미리 정해진 적정 이용자수 및 상기 현재 이용자수에 기초하여 복잡도를 계산하는 복잡도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헬스장 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달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장 관리 방법은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회원 계정의 이용권 구입 요청에 대응하여 서버에서 복수의 헬스장에 대한 이용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헬스장에 설치된 관리 장치를 이용한 회원 관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회원 관리 단계는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무선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회원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 계정에 대한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을 기록하는 출입 관리 단계를 포함한다.
11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회원 계정에 대한 상기 이용 권한 및 운동 현황 데이터를 포함하는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현황 데이터는 상기 출입 관리 단계에서 기록된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동 현황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입력된 운동 및 운동 횟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운동 현황 데이터를 이용하여 칼로리 소비량, 운동 일수, 운동 시간, 도구별 운동량, 신체 부위별 운동량, 유산소 운동량 및 근력 운동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운동 현황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결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결과, 상기 운동 현황 데이터, 상기 운동 현황 분석 결과 및 목표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동으로 구성된 추천 운동 코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천 운동 코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운동 코스를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운동 각각에 대응되는 중량, 운동 횟수, 운동 방법, 주의 사항 및 운동 시연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용 권한은 이용가능 기간 또는 이용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가능 횟수는 상기 출입 관리 단계에서 기록된 입장 시간 또는 퇴장 시간을 이용하여 차감될 수 있다.
1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NFC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1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원 관리 단계는 상기 회원 계정에 대한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이용자수를 계산하고, 미리 정해진 적정 이용자수 및 상기 현재 이용자수에 기초하여 복잡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원 관리 단계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헬스장 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장 관리 시스템 및 발명은 이용권을 구매하면 가맹계약 체결된 모든 헬스장을 이용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헬스장을 이용할 수 있으며, 헬스장 출입시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회원 여부를 인증할 수 있어 회원 카드 소지의 불편함 및 분실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서버를 통해 회원에 대한 정보 및 운동 현황이 공유되어 다수의 헬스장을 이용하더라도 각각의 헬스장에서 효율적으로 회원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장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모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통해 운동 현황 데이터를 입력 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운동 현황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운동 현황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 표싣되는 운동 설명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서 추천 운동 코스 생성을 위해 목표 신체 부위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장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장 관리 시스템은 관리 장치(100), 서버(200) 및 모바일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장 관리 시스템은 하나의 이용 권한을 통해 가맹계약이 체결된 복수의 헬스장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권을 구입한 회원은 가맹계약이 체결된 집 근처의 헬스장과, 역시 가맹계약이 체결된 직장 근처의 헬스장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이용 권한을 보유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용 권한은 이용가능 기간 또는 이용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 권한은 하루, 일주일, 한달, 일년 또는 회원이 지정한 일정 기간을 이용가능 기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용 권한은 미리 정해진 횟수를 이용가능 횟수로 포함할 수 있다. 이용 권한은 이용가능 기간 및 이용가능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헬스장에서 회원의 이용 권한 보유 여부를 인증하기 위하여, 각각의 관리 장치(100)는 헬스장에 방문한 회원의 모바일 장치(300)를 이용하여 회원의 회원 계정 정보를 확인하고, 유효한 이용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각각의 헬스장에 설치된 관리 장치(100)는 서버(200)를 통해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이용 권한이 설정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의 이용 권한 보유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정보의 공유를 위하여, 관리 장치(100)와 모바일 장치(300)는 각각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버(2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회원의 이용 권한 보유 여부 확인을 위해 각각의 관리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 근거리 통신부(120), 인증부(130), 회원 관리부(140), 복잡도 산출부(150), 푸시 메시지 전송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헬스장에 각각 설치어 헬스장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컴퓨터일 수 있다. 관리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300) 및 서버(2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관리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3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장치(300) 및 서버(2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통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4G(LTE, LTE/M) 무선통신 기술이 이용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최근 개발된 5G(IMT-2020) 무선통신 기술,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무선통신 표준기술인 IEEE802.11n, IEEE802.11ac, IEEE802.11ad, IEEE802.11af, IEEE802.11ah, IEEE802.11ai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IEEE802.11ad을 기반으로 하는 WiGig(Wireless Gigabit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LAN(Wireless LAN)(Wi-Fi),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부(120)는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는 모바일 장치(300)에 대응되는 회원 계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데이터에 포함된 회원 계정은 이용권 구입에 사용한 ID, 회원 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의 고유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거리 무선 데이터에 포함된 회원 계정은 암호화된 데이터일 수 있으며, 관리 장치(200)에 저장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근거리 무선 데이터는 상기 고유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와 회원 계정이 구입한 이용권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암호화된 데이터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20)는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모바일 장치(300)도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은 외부의 블루투스 비콘 및 블루투스 모듈과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모듈은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 방식의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규격 및 방식의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NFC 모듈은 NFC 통신 기술이 적용된 외부의 NFC 태그 및 NFC 모듈과 NFC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NFC 통신 기술은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 있는 단말기들 사이에서 쌍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인증부(130)는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근거리 무선 데이터에 포함된 회원 계정을 이용하여 이용 권한을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증부(130)는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근거리 무선 데이터로부터 회원 계정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회원 계정에 대해 이용 권한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서버(200)의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220)를 통해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40)는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원 계정에 대한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원이 헬스장에 입장할 때 수신된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통해 인증부(130)에서 이용 권한이 확인된 경우, 회원 관리부(140)는 근거리 통신부(120)에서 근거리 무선 데이터가 수신된 시간, 인증부(130)에서 회원 계정이 확인된 시간 및 이용 권한이 확인된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입장 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회원이 헬스장에서 퇴장할 때 수신된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통해 회원 계정에 대한 퇴장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증부(130)에서 획득된 회원 계정에 대해 동일한 날의 입장 시간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회원 관리부(140)는 근거리 통신부(120)에서 근거리 무선 데이터가 수신된 시간, 인증부(130)에서 회원 계정이 확인된 시간 및 이용 권한이 확인된 시간 중 어느 하나를 퇴장 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증부(130)에서 획득된 회원 계정에 대해 동일한 날의 입장 시간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인증부(130)는 획득된 회원 계정에 대한 이용 권한 확인 절차를 생략할 수 있으며, 회원 관리부(140)는 근거리 통신부(120)에서 근거리 무선 데이터가 수신된 시간 또는 인증부(130)에서 회원 계정이 확인된 시간 중 어느 하나를 퇴장 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용 권한은 이용가능 기간 및 이용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 권한이 이용가능 횟수를 포함하는 경우, 이용가능 횟수는 회원 관리부(140)에서 기록된 입장 시간 또는 퇴장 시간을 이용하여 차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원 관리부(140)는 회원 계정에 대해 입장 시간 또는 퇴장 시간이 기록된 경우(즉, 회원 계정의 헬스장 이용이 확인된 경우) 서버(200)로 회원 계정의 헬스장 이용을 통지할 수 있고, 서버(200)는 이용 권한에 포함된 이용가능 횟수를 차감할 수 있다.
복잡도 산출부(150)는 회원 관리부(140)에서 기록된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이용자수를 계산할 수 있다. 복잡도 산출부(150)는 현재 이용자수 및 적정 이용자수에 기초하여 복잡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복잡도 산출부(150)는 현재 이용자수 및 헬스장 넓이에 기초하여 복잡도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적정 이용자수 및 헬스장 넓이는 헬스장 규모 및 헬스장에 설치된 운동 기구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잡도 산출부(150)는 회원 관리부(140)에서 회원 계정에 대한 입장 시간이 기록되는 경우 현재 이용자수를 증가시키고, 회원 계정에 대한 퇴장 시간이 기록되는 경우 현재 이용자수를 감소시켜서 현재 이용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복잡도 산출부(150)는 입장 시간만이 기록되어 있는 회원 계정의 수를 통해 현재 이용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잡도 산출부(150)는 현재 이용자수를 적정 이용자수와 비교하여 3 단계(예를 들어, 복잡, 보통, 한산)로 구분하거나, 이를 세분화하여 5 단계(예를 들어, 매우 복잡, 복잡, 보통, 한산, 매우 한산)로 구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잡도 산출부(150)는 현재 이용자수를 헬스장 넓이와 비교하여 3 단계(예를 들어, 복잡, 보통, 한산)로 구분하거나, 이를 세분화하여 5 단계(예를 들어, 매우 복잡, 복잡, 보통, 한산, 매우 한산)로 구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푸시 메시지 전송부(160)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헬스장 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서버(200)를 통해 모바일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헬스장 이용에 관한 정보는 광고 정보, 할인 정보,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정보는 별도의 이용권을 구입하여야 하는 1대1 트레이닝 프로그램, 요가, 필라테스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 메시지 전송부(160)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푸시 알림, 문자 메시지, 모바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장치(300)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의마한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10), 근거리 통신부(120), 인증부(130), 회원 관리부(140), 복잡도 산출부(150) 및 푸시 메시지 전송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계정 관리부(210) 및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정 관리부(210)는 회원 계정의 이용권 구입 요청에 대응하여 복수의 헬스장에 대한 이용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계정 관리부(210)는 복수의 헬스장에 대한 이용 권한 설정 외에 회원 계정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정 관리부(210)는 회원 계정의 생성, 로그인, 삭제, 결제 및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220) 제어 등의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220)는 회원 계정에 대한 이름, 나이, 전화번호, 결제 정보 등의 기본적인 회원 정보를 비롯하여, 이용 권한, 운동 현황 데이터 및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 권한에 대한 데이터는 회원 계정이 보유하고 있는 이용 권한에 대한 결제일, 금액, 이용가능 기간 및 이용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용가능 횟수는 회원 관리부(140)에서 기록된 입장 시간 또는 퇴장 시간을 이용하여 갱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원 관리부(140)는 회원 계정에 대해 입장 시간 또는 퇴장 시간이 기록된 경우(즉, 회원 계정의 헬스장 이용이 확인된 경우) 서버(200)로 회원 계정의 헬스장 이용을 통지할 수 있고,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220)는 이용 권한에 포함된 이용가능 횟수를 차감할 수 있다.
운동 현황 데이터는 운동, 운동 횟수, 운동 날짜 및 운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이 201X년 XX월 XX일 14시 00분(입장시간)부터 16시 00분(퇴장시간)까지 벤치프레스 1세트 10회씩 3세트, 윗몸 일으키기 1세트 20회씩 4세트, 케이블 크로스오버 1세트 13회씩 5세트 진행하였다면, 운동 현황 데이터는 운동 및 운동 횟수로 벤치프레스 3세트(10회/세트), 윗몸 일으키기 4세트(20회/세트), 케이블 크로스오버 5세트(13회/세트)를 포함하고, 운동 날짜로 201X년 XX월 XX일을 포함하며, 운동 시간으로 2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운동 현황 데이터는 회원 관리부(140)에서 기록된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원 관리부(140)는 회원 계정에 대해 입장 시간 또는 퇴장 시간이 기록된 경우(즉, 회원 계정의 헬스장 이용이 확인된 경우) 서버(200)로 회원 계정의 헬스장 이용을 통지할 수 있고,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220)는 운동 현황 데이터에 포함된 운동 날짜를 회원 관리부(140)에서 기록된 입장 시간 또는 퇴장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된 년월일 정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입장 시간은 201X년 XX월 XX일 14시 00분이고, 퇴장 시간은 201X년 XX월 XX일 16시 00분 이므로, 두 정보를 통해 운동한 날짜는 201X년 XX월 XX일이 될 수 있다.
운동 현황 데이터의 운동 시간과 관련하여, 운동 시간은 회원 관리부(140)에서 기록된 퇴장 시간에서 입장 시간을 뺀 값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입장 시간은 201X년 XX월 XX일 14시 00분이고, 퇴장 시간은 201X년 XX월 XX일 16시 00분 이므로, 두 정보를 통해 운동 시간은 2시간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220)는 회원 관리부(140)에 기록된 입장 시간 또는 퇴장 시간을 통해 회원 계정의 헬스장 이용이 확인된 경우, 운동 현황 데이터에 운동, 운동 횟수, 운동 날짜 및 운동 시간으로 구성된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운동 날짜 및 운동 시간은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운동 현황 데이터의 운동 및 운동 횟수는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통해 운동 현황 데이터를 입력 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운동 및 운동 횟수는 모바일 장치(30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운동 현황 데이터의 운동은 모바일 장치(300)의 화면에 표시된 운동을 클릭 또는 터치하여 선택 및 입력될 수 있으며, 운동 선택과 함께 운동 횟수가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리 장치(100)에서 이용 권한이 확인되면, 모바일 장치(300)는 미리 정해진 운동 코스에 따라 진행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동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회원은 운동 코스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운동을 진행하고, 개별 운동을 마칠 때 마다 화면에 표시된 운동을 터치하는 방식을 통해 운동 현황 데이터에 운동 및 운동 횟수를 입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3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오면,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결과는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및 체지방 등의 체성분량, 근육량, 골격근량, 부위별 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률, 체중, BMI(Body Mass Index)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BIA)이란, 미세 전류를 통하여 전기 저항(즉, 임피던스)을 측정하고, 측정한 임피던스값으로 체내의 수분의 양을 측정하여 골격근량, 체지방량, 체지방률, 복부 비만율, 부위별 근육량 등을 분석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결과는 모바일 장치(3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장치로부터 모바일 장치(300)로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결과를 다운로드 받은 후 서버(200)의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220)로 전달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헬스장에 설치된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관리 장치(100)가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결과를 전달받고, 이를 서버(200)의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220)로 전달하여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모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300)는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통화, 문자 메시지, 인터넷 접속 등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운동 현황 분석부(310) 및 추천 운동 코스 생성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 현황 분석부(310)는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220)에 포함된 운동 현황 데이터를 이용하여 칼로리 소비량, 운동 일수, 운동 시간, 도구별 운동량, 신체 부위별 운동량, 유산소 운동량 및 근력 운동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운동 현황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동 일수는 운동 현황 데이터에 저장된 운동 날짜를 이용하여 일정 기간별로 분석될 수 있다. 운동 시간은 운동 현황 데이터에 저장된 운동 시간을 이용하여 일정 기간별로 분석될 수 있다. 칼로리 소비량, 도구별 운동량, 신체 부위별 운동량, 유산소 운동량 및 근력 운동량은 운동 현황 데이터에 저장된 운동, 운동 횟수 및 운동 시간을 이용하여 분석될 수 있다. 운동량은 운동 횟수 또는 운동 시간을 기초로 집계될 수 있다.
각각의 운동은 사용되는 도구를 기준으로 맨몸, 머신, 덤벨, 바벨, 케이블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도구별 운동량은 운동에 사용되는 도구를 기준으로 운동 현황 데이터에 저장된 운동, 운동 횟수 또는 운동 시간을 분석한 결과일 수 있다.
각각의 운동은 근력 운동 또는 유산소 운동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으며, 유산소 운동량 및 근력 운동량은 이러한 분류를 기준으로 운동 현황 데이터에 저장된 운동, 운동 횟수 또는 운동 시간을 분석한 결과일 수 있다.
각각의 운동은 운동 효과가 미치는 신체 부위를 기준으로 어깨, 가슴, 등, 복근, 삼두, 이두, 전완, 엉덩이, 허벅지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신체 부위별 운동량은 운동 효과가 미치는 신체 부위를 기준으로 운동 현황 데이터에 저장된 운동, 운동 횟수 또는 운동 시간을 분석한 결과일 수 있다.
운동 현황 분석부(310)는 생성된 운동 현황 분석 결과를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즉,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운동 현황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운동 현황은 특정 기간에 대해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현황은 일주일, 한달, 일년 등의 기간에 대해 분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동 일수는 특정 기간에 대해 운동한 일수와 운동하지 않은 일수로 표시될 수 있으며, 운동 시간은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에 대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일주일을 기준으로 각 요일별로 근력 운동시간과 유산소 운동 시간을 표시할 수 있고, 일 평균, 주 평균 및 월 평균 운동 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구별 운동량(또는 도구별 운동 빈도)은 운동에 사용되는 도구를 기준으로 맨몸, 머신, 덤벨, 바벨, 케이블 각각에 대한 특정 기간에 수행된 운동량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운동량은 도구별 누적 세트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동 현황 분석은 운동 횟수가 높은 순으로 정렬된 자주하는 운동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부위별 근력운동 빈도는 운동 효과가 미치는 신체 부위를 기준으로 어깨, 가슴, 등, 복근, 삼두, 이두, 전완, 엉덩이, 허벅지 각각에 대한 특정 기간에 수행된 운동량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운동량은 신체 부위별 누적 세트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4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 모바일 장치(300)에 대해 설명한다. 추천 운동 코스 생성부(320)는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220)에 포함된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결과와 운동 현황 데이터, 운동 현황 분석부(310)에서 생성된 운동 현황 분석 결과 및 목표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천 운동 코스를 생성할 수 있다. 추천 운동 코스는 회원 맞춤형 운동 코스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동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추천 운동 코스를 구성하는 각각의 운동에 대응되는 추천 중량 및 추천 운동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추천 운동 코스 생성부(320)는 추천 운동 코스를 구성하는 운동 각각에 대응되는 중량, 운동 횟수, 운동 방법, 주의 사항 및 운동 시연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 표시되는 운동 설명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추천 운동 코스를 구성하는 운동 각각에 대한 운동 설명 화면은 중량, 운동 횟수, 운동 방법, 주의 사항 및 운동 시연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량 및 운동 횟수는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결과, 운동 현황 데이터, 운동 현황 분석 결과 및 목표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생성된 값일 수 있다. 운동 방법, 주의 사항 및 운동 시연 동영상은 미리 설정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동 시연 동영상은 서버(200)에 저장된 동영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운동 시연 동영상은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에 저장된 동영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서 추천 운동 코스 생성을 위해 목표 신체 부위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원은 화면에 표시되는 전신 이미지에서 운동을 진행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를 선택하여 목표 신체 부위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신체 부위는 운동을 통해 집중적으로 단련하기 위한 신체 부위를 의미하며, 추천 운동 코스는 목표 신체 부위를 집중적으로 단련하기 위한 부위별 운동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시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관리 장치 110: 통신부
120: 근거리 통신부 130: 인증부
140: 회원 관리부 150: 복잡도 산출부
160: 푸시 메시지 전송부 170: 제어부
200: 서버 210: 계정 관리부
220: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 300: 모바일 장치
310: 운동 현황 분석부 320: 추천 운동 코스 생성부

Claims (18)

  1. 복수의 헬스장에 설치된 관리 장치;
    모바일 장치; 및
    상기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회원 계정의 이용권 구입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헬스장에 대한 이용 권한을 설정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근거리 무선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회원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 권한을 확인하는 인증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 계정에 대한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을 기록하는 회원 관리부를 포함하는 헬스장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회원 계정에 대한 상기 이용 권한 및 운동 현황 데이터를 포함하는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현황 데이터는 상기 회원 관리부에서 기록된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장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현황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입력된 운동 및 운동 횟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운동 현황 데이터를 이용하여 칼로리 소비량, 운동 일수, 운동 시간, 도구별 운동량, 신체 부위별 운동량, 유산소 운동량 및 근력 운동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운동 현황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운동 현황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장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결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결과, 상기 운동 현황 데이터, 상기 운동 현황 분석 결과 및 목표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동으로 구성된 추천 운동 코스를 생성하는 추천 운동 코스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장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운동 코스 생성부는
    상기 추천 운동 코스를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운동 각각에 대응되는 중량, 운동 횟수, 운동 방법, 주의 사항 및 운동 시연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장 관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권한은 이용가능 기간 또는 이용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가능 횟수는 상기 회원 관리부에서 기록된 입장 시간 또는 퇴장 시간을 이용하여 차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장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NFC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장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회원 계정에 대한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이용자수를 계산하고, 미리 정해진 적정 이용자수 및 상기 현재 이용자수에 기초하여 복잡도를 계산하는 복잡도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장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헬스장 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달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장 관리 시스템.
  10.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회원 계정의 이용권 구입 요청에 대응하여 서버에서 복수의 헬스장에 대한 이용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헬스장에 설치된 관리 장치를 이용한 회원 관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회원 관리 단계는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무선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회원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 계정에 대한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을 기록하는 출입 관리 단계를 포함하는, 헬스장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회원 계정에 대한 상기 이용 권한 및 운동 현황 데이터를 포함하는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현황 데이터는 상기 출입 관리 단계에서 기록된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장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현황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입력된 운동 및 운동 횟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운동 현황 데이터를 이용하여 칼로리 소비량, 운동 일수, 운동 시간, 도구별 운동량, 신체 부위별 운동량, 유산소 운동량 및 근력 운동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운동 현황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장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결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결과, 상기 운동 현황 데이터, 상기 운동 현황 분석 결과 및 목표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동으로 구성된 추천 운동 코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장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운동 코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운동 코스를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운동 각각에 대응되는 중량, 운동 횟수, 운동 방법, 주의 사항 및 운동 시연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장 관리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권한은 이용가능 기간 또는 이용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가능 횟수는 상기 출입 관리 단계에서 기록된 입장 시간 또는 퇴장 시간을 이용하여 차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장 관리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NFC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장 관리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관리 단계는
    상기 회원 계정에 대한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이용자수를 계산하고, 미리 정해진 적정 이용자수 및 상기 현재 이용자수에 기초하여 복잡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장 관리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관리 단계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헬스장 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장 관리 방법.
KR1020180166046A 2018-12-20 2018-12-20 헬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05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046A KR102205729B1 (ko) 2018-12-20 2018-12-20 헬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046A KR102205729B1 (ko) 2018-12-20 2018-12-20 헬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985A true KR20200076985A (ko) 2020-06-30
KR102205729B1 KR102205729B1 (ko) 2021-01-20

Family

ID=7112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046A KR102205729B1 (ko) 2018-12-20 2018-12-20 헬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7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925B1 (ko) 2022-01-10 2022-07-05 김동욱 O2o 피트니스 네트워크 마케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KR102517967B1 (ko) * 2022-11-30 2023-04-04 주식회사 서플라이스 멀티 모달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반한 출입 통제가 가능한 스마트 헬스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762A (ko) * 2005-09-15 2007-03-20 주식회사 스포츠서울 21 피트니스 클럽 네트워크 시스템
KR101633338B1 (ko) * 2015-10-22 2016-06-24 주식회사 자원메디칼 생체 정보 측정 장치, 서버 및 프로그램
KR20170123427A (ko) * 2016-04-29 2017-11-08 박성수 헬스센터 스마트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762A (ko) * 2005-09-15 2007-03-20 주식회사 스포츠서울 21 피트니스 클럽 네트워크 시스템
KR101633338B1 (ko) * 2015-10-22 2016-06-24 주식회사 자원메디칼 생체 정보 측정 장치, 서버 및 프로그램
KR20170123427A (ko) * 2016-04-29 2017-11-08 박성수 헬스센터 스마트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925B1 (ko) 2022-01-10 2022-07-05 김동욱 O2o 피트니스 네트워크 마케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KR102517967B1 (ko) * 2022-11-30 2023-04-04 주식회사 서플라이스 멀티 모달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반한 출입 통제가 가능한 스마트 헬스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729B1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0441B2 (en) Pilates exercise routine system and method
CN107710327A (zh) 私教健身的服务方法、系统、用户端和教练端及处理方法
KR102205729B1 (ko) 헬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0263020A1 (ko) 피트니스 센터의 운영자 및 이용자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196344B1 (ko)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US114266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correcting muscular and skeletal disbalances through exercise
CN105608323A (zh) 健康数据处理方法与系统
US9326032B2 (en) Delivery of workout video
KR102156626B1 (ko)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202580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fitness training and tracking devices
KR20190029102A (ko) 운동 강사 매칭 시스템
US20200215389A1 (en) Strength training system
WO2024029843A1 (ko) 운동 서비스 시스템 및 운동 서비스 방법
KR20160064893A (ko) 피트니스센터의 회원 간에 제공되는 소셜피트니스 서비스 제공방법
CN104767622B (zh) 加密方法及装置
KR101663091B1 (ko) 운동센터 등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37340B1 (ko) 피트니스 센터 내 최적 운동 경로 제공 시스템
KR20170123427A (ko) 헬스센터 스마트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1643809B1 (ko) 운동센터 관리 시스템의 운동센터 등재 관리 방법
KR20220041466A (ko) 사용자 맞춤형 운동기구 매칭 시스템
JP2013022109A (ja) 電子装置及び電子システム
CN110248326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其装置
KR102581340B1 (ko)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CN103841540B (zh) 实现手机无线局域网用户单独计费的方法和计费平台
KR102428457B1 (ko) 운동을 통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