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812A -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812A
KR20180000812A KR1020160078960A KR20160078960A KR20180000812A KR 20180000812 A KR20180000812 A KR 20180000812A KR 1020160078960 A KR1020160078960 A KR 1020160078960A KR 20160078960 A KR20160078960 A KR 20160078960A KR 20180000812 A KR20180000812 A KR 20180000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ser
information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724B1 (ko
Inventor
이민석
Original Assignee
이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석 filed Critical 이민석
Priority to KR1020160078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7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피트니스 서비스(Fitness Service)에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접목시켜 이용자의 운동을 돕도록 구현한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센싱 장치가 운동기구에서 운동하는 이용자의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운동상태정보를 전달하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가 센싱 장치로부터 운동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며,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제공받아 이용자에게 알려주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가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부터 운동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가공 및 분석하여 데이터화시켜 이용자운동데이터로 저장하며, 이용자운동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운동 상황에 부합하는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 제공한다.

Description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서버 및 방법{Health navigation system, server and method}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피트니스 서비스(Fitness Service)에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접목시켜 이용자의 운동을 돕도록 구현한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관리 및 유지와 건강 증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관리를 위하여 피트니스 클럽이나 체력진단센터에 방문하는 사람들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체력 진단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운동을 제공함과 아울러 제공된 맞춤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통합 운동 관리 시스템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 운동은 사용자에 따라서 어떠한 순서로 어떠한 종류의 운동을 어느 정도 수행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노약자나 질환자 등의 경우에는, 운동 순서에 따라 운동하는 것이 운동에 따른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스포츠 의학 계통에서는 운동프로그램 구성 시에 사용자의 운동 목표에 관련해 목표에 부합되는 운동은 운동프로그램 초반에 수행하고, 목표와 관련이 적은 운동은 운동프로그램 후반에 수행하도록 운동들을 배열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통설이다. 또한, 운동들을 배열 시에 한 가지 운동으로 인한 피로가 다음 운동을 수행할 때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기존의 운동관리 시스템의 경우에는 운동 순서에 입각한 체계적인 운동을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운동처방이 내려지면 운동 처방된 운동기구들을 순서에 무관하게 무작위로 선택하여 운동을 하였다. 이러한 운동 순서에 무관한 무작위의 운동은 때로는 사용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운동을 통해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운동을 통한 피로에 의해 건강 증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기존의 운동관리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여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별 가중치가 반영된 운동순서를 포함하는 맞춤운동정보를 생성하고, 맞춤운동정보에 포함된 운동 순서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을 제어하는 운동관리 시스템의 맞춤운동 제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78920호(2010.08.24 등록)는 사용자별 맞춤운동정보를 제공하는 운동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별 가중치가 반영된 운동 순서를 포함하는 맞춤운동정보를 생성하고, 운동순서에 따라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운동관리 시스템의 맞춤운동 제공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운동기구부의 특정 운동기구에 연동된 식별정보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단계와; 해당 운동기구가 입력 단계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맞춤운동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조회하는 조회단계와; 해당 운동기구가 조회단계에 의한 조회 결과로부터 운동 순서에 맞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판단단계에 의한 판단 결과, 운동 순서에 맞지 않을 경우 사용자에게 순서에 맞는 운동기구를 안내하는 안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운동 순서를 포함하는 사용자별 맞춤운동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운동 순서에 입각한 체계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44113호(2011.04.28 공개)는 운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사용자의 운동관리 수행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의 운동관리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음성신호 및/또는 시각신호로 출력하는 출력부;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운동처방산출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처방 및 운동처방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운동단계마다, 생성된 운동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운동 가이드를 산출하여 음성신호 및/또는 시각신호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운동프로그램 수행상태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생성된 운동처방을 재산출하거나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의 진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서 운동처방 생성에 필요한 정보, 사용자의 운동단계마다 제공되는 운동가이드 정보 및 운동프로그램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상태 및 체력상태에 맞는 운동처방 및 운동프로그램을 산출하고, 산출된 운동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운동 가이드를 음성신호 및/또는 시각신호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상태 및 체력상태에 적합한 운동 목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 자신의 신체상태 및 체력상태에 맞는 운동을 함으로써 운동효과를 높이며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운동의 필요성을 느껴 피트니스 클럽이나 체력진단센터 등에 등록하여 피트니스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으나, 대부분 얼마 지나지 않아 운동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통계적으로도 70%가 넘는 사람들이 피트니스 클럽이나 체력진단센터 등에 등록하고 한 달 이내에 운동을 포기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때, 이러한 현상은 혼자서 알아서 해야 하며, 성과가 잘 느껴지지 않으며, 재미가 없는 등과 같이, 피트니스 서비스의 이용자들이 겪는 문제들로 인해서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7892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4411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 또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피트니스 서비스(Fitness Service)에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접목시켜 이용자의 운동을 돕도록 구현한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트니스 서비스 전용 솔루션(예를 들어, 헬스 네비게이션)을 개발하여, 피트니스 클럽이나 체력진단센터 등의 기존 피트니스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문제들이나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해서, 운전을 도와주는 네비게이션과 같이 피트니스 서비스 이용자의 운동을 도와주는 서비스적 목적과, 많은 피트니스 서비스 이용자들이 효과적이면서 재미있게 운동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강을 챙기는데 도움을 주는 가치적 목적과, 네비게이션을 운전자의 필수품으로 여기듯이 피트니스 서비스의 필수품으로 헬스 네비게이션을 만드는 사업적 목적을 가진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운동기구에서 운동하는 이용자의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운동상태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센싱 장치;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운동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며,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제공받아 이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부터 운동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가공 및 분석하여 데이터화시켜 이용자운동데이터로 저장하며, 이용자운동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운동 상황에 부합하는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싱 장치는, 운동기구에서 식별한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를 식별하기 위한 운동기구식별정보를 운동상태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싱 장치는, 무산소운동기구에서 운동하는 이용자의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무산소운동상태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무산소운동 센싱 장치; 및 유산소운동기구에서 운동하는 이용자의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유산소운동 센싱 장치로 구분해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무산소운동 센싱 장치는, 애드온 형태로 이루어지고, 무게추 상단과 측면에 센서를 부착하여 추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유산소운동 센싱 장치는, 유산소운동기구 콘솔에 출력해 주는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유선통신모듈 또는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는, 상기 유산소운동 센싱 장치가 유선통신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유산소운동기구 콘솔에 임베디드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는, 상기 유산소운동 센싱 장치가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 유산소운동기구의 컨트롤보드에 추가된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는, 헬스 네비게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면서 운동기구에 부착된 P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는, 유산소운동기구의 경우에 운동기구 콘솔 또는 태블릿 P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는, 무산소운동기구의 경우에 태블릿P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는, 운동기구에서 식별한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를 식별하기 위한 운동기구식별정보나, 자기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단말기식별정보를 운동상태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는, 단말기식별정보를 포함한 다운로드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한 후에,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내부 메모리에 설치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는,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에 접속하여 메인화면정보를 수신받아 출력수단을 통해 메인화면을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출력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는, 서비스식별정보, 단말기식별정보 및 이용자식별정보를 포함한 서비스제공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한 후에,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서비스제공화면정보를 수신받아 서비스제공화면을 출력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출력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운동 중인 이용자의 얼굴 표정을 캡처하여 얼굴표정정보를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상태정보를 이용해서 이용자의 운동 행위를 저장, 가공 및 분석하여 데이터화시켜 통합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상태정보에서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식별정보 또는 단말기식별정보를 확인하며, 운동상태정보를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식별정보 또는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판독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의 접속을 확인하여, 메인화면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제공요청신호에서 서비스식별정보, 단말기식별정보 및 이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하며, 서비스식별정보 및 이용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화면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부터 얼굴표정정보를 수신받아, 기 저장된 표준얼굴표정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힘든정도등급을 확인하며, 힘든정도등급에 따라 무산소운동의 경우에 운동 횟수, 운동 중량, 동작, 속도, 적정 강도의 운동정보를 변경시켜 주며, 유산소운동의 경우에 적정 강도, 속도, 거리, 소모 칼로리의 운동정보를 변경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운동상태정보 또는 이용자운동데이터를 등록해 두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운동상태정보 및 이용자운동데이터를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식별정보 또는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실시간콘텐츠서비스로 스마트코치콘텐츠서비스, 데이터분석콘텐츠서비스, 엔터테인먼트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선택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메인화면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이용자에게 제공할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화면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식별정보 또는 이용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미리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이용자의 운동 시 힘든 정도를 등급별로 나누고, 힘든정도등급에 대응하는 이용자의 얼굴표정데이터들을 모아서 표준얼굴표정데이터로 생성시켜, 표준얼굴표정데이터를 힘든정도등급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미리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힘든정도등급별로 이에 대응하는 운동정보로서, 무산소운동의 경우에 운동 횟수, 운동 중량, 동작, 속도, 적정 강도의 운동정보와, 유산소운동의 경우에 적정 강도, 속도, 거리, 소모 칼로리의 운동정보를 미리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무산소운동 센싱 장치는, 무산소운동기구에서 무게추 이동 동선의 상단에 근거리무선센서를 부착하여 무게추의 거리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한 무게추움직임측정부; 무산소운동기구에서 무게추 측면에 근거리무선센서를 부착하여 이동하는 무게추의 수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추수측정부;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무게추움직임측정부에서 측정한 거리 변화량과 상기 무게추수측정부에서 측정한 무게추의 수를 전달하기 위한 중앙제어장치부; 및 상기 중앙제어장치부로부터 전달되는 거리 변화량과 무게추의 수를 무선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무게추움직임측정부는, 무게추 이동 동선의 상단에 거리 변화 측정이 가능한 초음파센서를 부착하여 무게추 움직임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무게추움직임측정부는, 운동하고 있지 않을 때의 센서와 무게추 사이의 거리 값을 초기 값으로 세팅하며, 무게추가 상승할 때 또는 하강할 때의 거리 변화와 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무게추수측정부는, 무게추 측면에 무게추의 수와 대응되는 적외선센서를 부착하여 무게추 수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무게추수측정부는, 모든 무게추가 움직이지 않았을 때의 값을 초기 값으로 세팅하며, 무게추 상승 시에 움직인 무게추의 수를 센싱하여 중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를 식별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부터 운동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전달하며,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전달받아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운동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동시에 가공 및 분석하여 데이터화시켜 이용자운동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화부; 및 이용자운동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운동 상황에 부합하는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상태정보를 이용해서 이용자의 운동 행위를 저장, 가공 및 분석하여 이용자운동데이터로 데이터화시켜 통합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상태정보에서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식별정보 또는 단말기식별정보를 확인하며, 운동상태정보를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식별정보 또는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무산소운동상태정보를 기초로 운동 횟수, 운동 중량, 동작 유지 여부, 속도 유지 여부, 적정 강도의 이용자무산소운동데이터로 데이터화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무게추의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무게추 거리가 감소하다가 기 설정해 둔 상승조건을 만족한 후에, 다시 증가하여 기 설정해 둔 하강조건을 만족할 때에 1회로 하여 횟수데이터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이용자의 신체특성을 반영하고, 기 설정된 미소거리에 대한 오차 값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상승조건을 이용자가 무게추를 이동시킨 실제 거리가 기 설정해 둔 상승거리보다 큰 경우로 하며, 하강조건을 이용자가 무게추를 이동시킨 실제 거리가 기 설정해 둔 하강거리보다 작은 경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상승조건을
Figure pat00001
로 하며, 'RealD'는 이용자가 무게추를 이동시킨 실제 거리를 의미하며, 'TotalD'는 무산소운동기구에서 무게추가 이동 가능한 전체 거리를 의미하며, 'MaxD'는 무산소운동기구에서 무게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최대 거리를 의미하며, 'UXD'는 이용자가 정상적인 자세로 운동할 시에 무게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최대 거리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하강조건을
Figure pat00002
로 하며, 'RealD'는 이용자가 무게추를 이동시킨 실제 거리를 의미하며, 'TotalD'는 무산소운동기구에서 무게추가 이동 가능한 전체 거리를 의미하며, 'MinD'는 무산소운동기구에서 무게추를 하강시킬 수 있는 최대 거리를 의미하며, 'UND'는 이용자가 정상적인 자세로 운동할 시에 무게추를 하강시킬 수 있는 최소 거리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무산소운동기구의 전체 무게추 수 중에서 이용자의 운동 시에 상승 이동한 무게추의 수에, 무산소운동기구의 단위무게를 반영하여 실제 이용자의 운동 중량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이용자의 운동 중량을
Figure pat00003
로 하며, 'TWC'는 무산소운동기구별 무게추의 총 수를 의미하며, 'NMWC'는 움직이지 않은 무게추의 총 수를 의미하며, 'MUW'는 무산소운동기구의 무게추 단위중량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이용자의 무게추 상승 시에 해당하는 'RealD' 값과, 이용자의 무게추 하강 시에 해당하는 'RealD' 값의 분산과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균일하게 운동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무게추의 이동 속도에 이용자의 신체특성을 반영하여 적절한 운동속도범위를 미리 설정해 두며, 운동속도범위를 기준으로 이용자의 상승운동속도와 하강운동속도가 적합한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이용자가 무게추를 이동시킨 실제 거리에 이용자의 운동속도를 나눈 값이
Figure pat00004
를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며, 'MinS'는 이용자의 운동 적합 최소 속도를 의미하며, 'MaxS'는 이용자의 운동 적합 최대 속도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이용자의 운동 시에 운동 횟수와 운동 중량을 기준으로 이용자가 1회 들 수 있는 최대 중량을
Figure pat00005
로 산출하고 그에 따른 운동 강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기초로 적정 강도, 속도, 거리, 소모 칼로리의 이용자유산소운동데이터로 데이터화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적정 강도의 경우에 사용자의 신체능력을 기반으로 적합한 속도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이행 여부를 분석하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속도의 경우에 유산소운동기구에서 측정된 속도를 실시간 저장 및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거리의 경우에 속도와 시간을 기준으로 실제 진행거리를 저장 및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소모 칼로리의 경우에 이용자의 몸무게와 운동종류를 반영하여 실제 소모 칼로리를 저장 및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이용자의 신체 능력에 적합한 속도 등급을 제공해 주고, 운동 방법에 따른 속도 레벨을 산출해 주며, 이용자의 운동 시에 목표 속도를 제공해 주며, 이에 따라 결과를 분석하여 필요시에 등급 재조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다수 개의 속도 등급 중 이용자의 신체 능력에 적합한 1개의 속도 등급을 확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이용자가 원하는 운동방법에 따라 다수 개의 레벨 중 적합한 레벨의 속도를 산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산출된 레벨의 속도를 기반으로 이용자 운동 시 목표 속도를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목표 속도와 실제 이용자의 운동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목표 속도와 실제 이용자의 운동 결과의 차가 기 설정해 둔 값보다 클 경우에 등급 재조정을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유산소운동기구에서 측정되는 속도를 기준으로 이용자의 실시간 속도를 저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유산소운동기구에서 측정되는 속도와 시간을 기준으로 이용자의 실제 진행거리를 저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화부는, 유산소운동의 종류와 사용자의 몸무게를 기준으로,
Figure pat00006
로 실제 사용자가 소모한 칼로리량을 저장 및 분석하며, 'CalPoint'는 유산소운동기구별 속도에 따른 분당 소모 칼로리 계수를 의미하며, 'UserWeight'는 이용자의 몸무게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용자운동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운동 상황에 부합하는 스마트코치콘텐츠서비스, 데이터분석콘텐츠서비스, 엔터테인먼트콘텐츠서비스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의 접속을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메인화면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받은 서비스제공요청신호에서 서비스식별정보, 단말기식별정보 및 이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하며, 서비스식별정보 및 이용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데이터화부에 의해서 확인된 운동 상태와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이용자에게 필요한 운동정보를 실제 코치처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스마트코치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이용자의 운동 진행시에 필요한 실시간 운동 코칭에 대한 스마트코치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실시간 운동 코칭으로, 운동 시작 전에 정확한 자세와 주의사항, 자극부위에 대해 운동을 진행함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안내해 주며, 운동 진행 중 운동방법에 대한 안내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바로 실시간 코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실시간 운동 코칭으로, 운동 시작 전에 이용자에게 맞는 효과적인 강도를 제시하고 운동을 진행하며 이를 달성할 수 있도록 코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실시간 운동 코칭으로, 진행하고 있는 운동 강도가 이용자에게 힘들다고 판단될 경우 바로 강도를 낮추어 주며, 좀 더 강한 운동 강도가 필요할 경우 바로 운동 강도를 높여 주어 효과적인 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코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실시간 운동 코칭으로, 운동 자세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실시간 코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실시간 운동 코칭으로, 이용자가 힘들어 하거나 어려운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경우 이용자가 좀 더 힘내서 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응원의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운동프로그램 생성, 순서안내, 일정관리의 운동 전반적인 부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관리로, 운동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어떤 운동을 해야 하며 어디로 가야 하는지 안내해 주고, 진행 차례의 운동기구에 이용자들이 많아 대기시간이 발생할 경우 대기시간이 없는 다른 운동부터 진행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관리로, 이용자의 신체정보와 운동 목적을 파악하여 그에 가장 최적화된 운동프로그램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관리로, 이용자가 운동을 시작할 때 당일의 운동프로그램의 구성과 효과, 목적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데이터화부에 의해서 확인된 운동 정보를 기반으로 이용자가 자신의 운동결과와 그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이터분석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종합운동분석정보의 경우에, 당일 정해진 운동이 모두 종료되면 당일 진행한 운동들의 결과를 기준으로 전체 운동에 대한 결과를 요약 분석하고,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운동 결과 추세와 타인 기록들을 비교/분석하여 당일의 운동 결과를 이용자가 객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종합운동분석정보 중 데일리정보의 경우에, 전체 운동 시간과 비중, 진행한 운동 수, 주요 운동 부위, 진행한 유/무산소운동들의 결과를 종합하여 한 눈에 알기 쉽게 요약/분석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종합운동분석정보 중 종합정보의 경우에, 종합 운동 능력, 유/무산소운동 능력, 총시간, 총소모 칼로리, 평균 운동 일수의 일 종합 운동 결과를 그래프 형태로 노출하여 추세 확인이 쉽도록 구성하며, 사용자와 유사한 조건의 타인 기록들과 비교하여 이용자의 현재 상태를 한 눈에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개별운동분석정보의 경우에, 각 운동이 종료되면 진행한 운동의 결과를 기준으로 과거 기록과 타인의 기록 등을 활용하여 비교/분석하여 각 운동의 결과를 사용자가 객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개별운동분석정보 중 유산소운동정보의 경우에, 유산소운동 능력, 소모 칼로리, 진행 거리, 평균 속도, 스텝 수를 그래프 형태로 노출하여 추세 확인이 쉽도록 구성하며, 이용자와 유사한 조건의 타인 기록들과 비교하여 이용자의 현재 상태를 한 눈에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개별운동분석정보 중 무산소운동정보의 경우에, 운동 강도, 운동 능력, 세트 기록, 총 무게를 그래프 형태로 노출하여 추세 확인이 쉽도록 구성하며, 이용자와 유사한 조건의 타인 기록들과 비교하여 이용자의 현재 상태를 한 눈에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이용자신체분석정보의 경우에, 운동 진행에 따라 달라지는 이용자의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비만 진단의 주요 신체 변화를 한 눈에 알기 쉽도록 과거 데이터와 비교/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TV, 게임, 영상의 콘텐츠를 운동과 결합시켜 운동 과정을 즐겁게 변화시키는 엔터테인먼트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유산소운동 중 엔터테인먼트콘텐츠의 다양화에 있어서, 미션마다 각기 다른 엔터테인먼트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유산소운동 중 싱글/멀티시스템에 있어서, 엔터테인먼트콘텐츠를 즐기는 방법을 싱글 형태 외에도 멀티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유산소운동 중 실제 지역의 코스화에 있어서, 이용자의 운동거리를 기준으로 실제 지역을 코스화하여 이용자에게 노출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유산소운동 중 미션시스템에 있어서, 전체 운동시간을 3분~5분 단위 구간으로 쪼개고 운동시간, 운동거리, 운동속도의 구간 목표를 제공하며, 인터벌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운동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무산소운동 중 운동행위 시각화에 있어서, 운동행위를 게이지와 같은 형태로 노출하여 운동속도와 운동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무산소운동 중 미션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가 진행해야 하는 전체 세트 수와 각 세트별 중량 및 횟수를 각 운동의 목표로 제공하며, 운동 진행 중 추가 목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센싱 장치가 운동기구에서 운동하는 이용자의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운동상태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 단말기가 상기 운동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단계;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운동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가공 및 분석하여 데이터화시켜 이용자운동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이용자운동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운동 상황에 부합하는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가 상기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제공받아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헬스 네비게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기존의 피트니스 서비스(Fitness Service)에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접목시켜 이용자의 운동을 돕도록 구현한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혼자서 알아서 해야 하며, 성과가 잘 느껴지지 않으며, 재미가 없는 등과 같이, 피트니스 서비스의 이용자들이 겪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트니스 서비스 전용 솔루션(예를 들어, 헬스 네비게이션)을 개발하여, 운전을 도와주는 네비게이션과 같이 피트니스 서비스 이용자의 운동을 도와줄 수 있으며, 많은 피트니스 서비스 이용자들이 효과적이면서 재미있게 운동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강을 챙기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을 운전자의 필수품으로 여기듯이 피트니스 서비스의 필수품으로 사업적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들의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한 센싱 솔루션을 수행하는 이용자 운동 상태 센싱 단계와, 이용자 운동 상태 센싱 단계에서 센싱된 로우데이터(Raw Data)를 의미 있는 데이터로 만들기 위한 로우데이터의 가공, 저장 및 분석을 수행하는 데이터화 단계와, 데이터화 단계에서 데이터화된 이용자 운동 상태를 기반으로 피트니스 서비스 이용자들이 겪는 3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핵심 콘텐츠(예를 들어, 스마트코치, 데이터 분석, 엔터테인먼트 등)를 제공하는 핵심콘텐츠 제공 단계와 같이 3단계 프로세스(Process)를 통해서, 이용자들이 겪는 3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코치 콘텐츠에 의하여 이용자의 신체정보와 운동 상태를 기반으로 이용자에게 필요한 운동정보를 실제 코치처럼 실시간으로 전달해 줌으로써, 혼자서 알아서 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데이터분석 콘텐츠에 의하여 이용자가 자신의 운동결과와 그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성과가 잘 느껴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 의하여 TV 이외에도 게임 및 영상 등의 콘텐츠를 운동과 결합시켜 운동과정을 즐겁게 변화시켜 줌으로써, 재미가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무산소운동기구의 기본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유산소운동기구의 기본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무산소운동 센싱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있는 무게추움직임측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있는 무게추수측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스마트코치콘텐츠서비스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관리콘텐츠서비스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종합운동분석정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개별운동분석정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이용자신체분석정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유산소운동 중 엔터테인먼트콘텐츠의 다양화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유산소운동 중 싱글/멀티시스템을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유산소운동 중 실제 지역의 코스화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유산소운동 중 미션시스템을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무산소운동 중 운동행위 시각화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무산소운동 중 미션시스템을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8에 있는 로그인관리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 네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무산소운동기구의 기본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유산소운동기구의 기본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는 도 4를 참조하면,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100)은, 다수 개의 센싱 장치(110),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 데이터베이스(140), 네트워크(150)를 포함한다.
센싱 장치(110)는, 각 운동기구에 연결 설치되어 각 운동기구에서 운동하는 이용자의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Sensing)(또는, 파악)하여 해당 센싱(또는, 파악)한 운동상태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 장치(110)는, 각 운동기구에 부착 설치된 센서(또는, 센싱 솔루션)를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운동기구에서 식별한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각 운동기구를 식별하기 위한 운동기구식별정보를 운동상태정보에 포함시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 장치(110)는, 헬스 네비게이션 센싱 솔루션을 구비하여 이용자의 운동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헬스 네비게이션 센싱 솔루션은 운동기구 센싱 방식, 시스템의 확장성, 데이터의 정확도라는 세 가지 중점 사항을 기준으로 개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 장치(110)는, 이용자가 운동을 진행함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이용자의 신체에 별도의 장비를 부착하지 않고 운동기구 자체를 센싱하도록 하기 위한 운동기구 센싱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이용자의 기존 운동방식을 그대로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어떤 회사의 무슨 운동기구에서든 이용자의 운동 상태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확장성을 구현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이 그 목적과 특성에 있어서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여 필요한 데이터(즉, 운동상태정보)를 센싱하여 데이터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 장치(110)는, 무산소운동 센싱 장치(111)와 유산소운동 센싱 장치(112)로 구분하여 구비할 수 있다.
무산소운동 센싱 장치(111)는, 각 무산소운동기구에 연결 설치되어 각 무산소운동기구에서 운동하는 이용자의 무산소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또는, 파악)하여 해당 센싱(또는, 파악)한 무산소운동상태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여기서, 무산소운동기구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가 위아래로 반복 이동하는 기본구조를 가진다.
일 실시 예에서, 무산소운동 센싱 장치(111)는, 어떠한 무산소운동기구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애드온(Add-On) 형태로 개발할 수 있으며, 또한 무게추 상단과 측면에 센서를 부착하여 추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무선통신모듈(예를 들어, 블루투스모듈 등)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유산소운동 센싱 장치(112)는, 각 유산소운동기구에 연결 설치되어 각 유산소운동기구에서 운동하는 이용자의 유산소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또는, 파악)하여 해당 센싱(또는, 파악)한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여기서, 유산소운동기구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롤러가 회전하며 런닝벨트를 이동시키는 기본구조를 가지며, 또한 무산소운동기구와는 달리, 이미 롤러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속도, 거리 등의 데이터(즉,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센싱하여 해당 센싱된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콘솔에 출력해 주는 구조이다.
일 실시 예에서, 유산소운동 센싱 장치(112)는, 콘솔에 출력해 주는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유선통신모듈 또는 무선통신모듈(예를 들어, 블루투스모듈 등)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여기서, 유선통신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유산소운동기구의 콘솔에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의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임베디드시켜 줌으로써, 유산소운동기구 내에서 유선으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와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유산소운동기구의 컨트롤보드에 블루투스모듈을 추가하고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는, 센싱 장치(110)와 통신(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센싱 장치(110)로부터 전달되는 운동상태정보(즉, 무산소운동상태정보 또는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악(또는, 수집)하여 네트워크(150)를 통해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를 전송해 주며, 또한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콘텐츠서비스(예를 들어, 스마트코치, 데이터 분석, 엔터테인먼트 등의 콘텐츠서비스)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신받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에게 알려준다.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는, 각 운동기구에 부착된 PC 등이거나, 유산소운동기구의 경우에 운동기구 콘솔 또는 태블릿 PC 등일 수 있으며, 또한 무산소운동기구의 경우에 태블릿PC 등일 수 있으며, 헬스 네비게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구비(또는,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는, 각 운동기구에서 식별한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각 운동기구를 식별하기 위한 운동기구식별정보나, 자기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단말기식별정보를 운동상태정보(즉, 무산소운동상태정보 또는 유산소운동상태정보)에 포함시켜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에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는, 피트니스 클럽이나 체력진단센터 등의 관리자나 운용자가 키패드, 키보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다운로드요청버튼을 클릭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다운로드요청신호(단말기식별정보를 포함함)를 생성시켜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로 전송한 후에,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내지는, 헬스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내부 메모리에 설치해 둘 수 있으며, 해당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내지는, 헬스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에 접속하여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메인화면정보를 수신받아 LCD, 터치스크린, 스피커 등과 같은 출력수단을 통해 메인화면을 디스플레이(또는, 음성출력)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는, 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메인화면의 선택항목 중에서 서비스선택항목을 선택하고 해당 선택된 서비스제공을 요청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해당 선택된 서비스식별정보를 포함한 서비스제공요청신호(단말기식별정보 및 이용자식별정보를 포함함)를 생성시켜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으며, 그런 다음에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제공화면정보를 수신받아, 서비스제공화면을 출력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또는, 음성출력)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운동 중인 이용자의 얼굴 표정을 캡처하여 해당 캡처된 얼굴표정정보를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에 전송해 줄 수도 있다.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운동상태정보(즉, 무산소운동상태정보 또는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운동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해 줌과 동시에, 해당 수신받은 운동상태정보를 가공 및 분석하여 이용자가 자신의 운동결과와 그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시켜 이용자운동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해 주며, 또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이용자운동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운동 상황에 부합하는 실시간콘텐츠서비스(예를 들어, 스마트코치, 데이터 분석, 엔터테인먼트 등의 콘텐츠서비스)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제공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는, 전체 헬스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통합관리서버로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상태정보(즉, 무산소운동상태정보 또는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이용해서 이용자의 운동 행위를 저장, 가공 및 분석하여 데이터화시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상태정보에서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식별정보(또는, 단말기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수신받은 운동상태정보를 해당 확인한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식별정보(또는,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다운로드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내지는, 헬스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내지는, 헬스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송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가 접속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메인화면정보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메인화면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제공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서비스제공요청신호에서 서비스식별정보, 단말기식별정보 및 이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서비스식별정보 및 이용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서비스제공화면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얼굴표정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얼굴표정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표준얼굴표정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힘든정도등급을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힘든정도등급에 따라 무산소운동의 경우에 운동 횟수, 운동 중량, 동작, 속도, 적정 강도 등의 운동정보를 변경시켜 줄 수 있으며, 또한 유산소운동의 경우에 적정 강도, 속도, 거리, 소모 칼로리 등의 운동정보를 변경시켜 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로부터 전달되는 운동상태정보(즉, 무산소운동상태정보 또는 유산소운동상태정보) 및 이용자운동데이터를 등록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로부터 전달되는 운동상태정보 또는 이용자운동데이터를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식별정보(또는,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실시간콘텐츠서비스(예를 들어, 스마트코치, 데이터 분석, 엔터테인먼트 등의 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또는, 헬스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선택항목(예를 들어, 실시간콘텐츠서비스선택 등과 같은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메인화면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이용자에게 제공할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화면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식별정보 또는 이용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미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이용자의 운동 시 힘든 정도를 등급별로 나누고, 해당 나눈 힘든정도등급에 대응하는 이용자의 얼굴표정데이터들을 모아서 표준얼굴표정데이터로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표준얼굴표정데이터를 힘든정도등급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미리 저장해 둘 수 있으며, 또한 힘든정도등급별로 이에 대응하는 운동정보(예를 들어, 무산소운동의 경우에 운동 횟수, 운동 중량, 동작, 속도, 적정 강도 등의 운동정보와, 유산소운동의 경우에 적정 강도, 속도, 거리, 소모 칼로리 등의 운동정보)를 미리 저장해 둘 수도 있다.
네트워크(150)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며,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와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 사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여, 서로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150)는, 다수 개의 센싱 장치(110)와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 사이, 또는 다수 개의 센싱 장치(110)와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 사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여, 서로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100)은, 기존의 피트니스 서비스(Fitness Service)에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접목시켜 이용자의 운동을 돕도록 구현함으로써, 혼자서 알아서 해야 하며, 성과가 잘 느껴지지 않으며, 재미가 없는 등과 같이, 피트니스 서비스의 이용자들이 겪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100)은, 피트니스 서비스 전용 솔루션(예를 들어, 헬스 네비게이션)을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에 적용시켜 줌으로써, 운전을 도와주는 네비게이션과 같이 피트니스 서비스 이용자의 운동을 도와줄 수 있으며, 많은 피트니스 서비스 이용자들이 효과적이면서 재미있게 운동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강을 챙기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을 운전자의 필수품으로 여기듯이 피트니스 서비스의 필수품으로 사업적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100)은, 센싱 장치(110)가 이용자들의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한 센싱 솔루션을 수행하는 이용자 운동 상태 센싱 단계를 수행하며, 이에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가 이용자 운동 상태 센싱 단계에서 센싱된 로우데이터(Raw Data)를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를 통해 수신받아, 의미 있는 데이터로 만들기 위한 로우데이터의 가공, 저장 및 분석을 수행하는 데이터화 단계를 수행하며, 또한 데이터화 단계에서 데이터화된 이용자 운동 상태를 기반으로 피트니스 서비스 이용자들이 겪는 3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핵심 콘텐츠로 실시간콘텐츠서비스(예를 들어, 스마트코치, 데이터 분석, 엔터테인먼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핵심콘텐츠 제공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이용자들이 겪는 3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100)은,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스마트코치 콘텐츠에 의하여 이용자의 신체정보와 운동 상태를 기반으로 이용자에게 필요한 운동정보를 실제 코치처럼 실시간으로 전달해 줌으로써, 혼자서 알아서 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분석 콘텐츠에 의하여 이용자가 자신의 운동결과와 그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성과가 잘 느껴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 의하여 TV 이외에도 게임 및 영상 등의 콘텐츠를 운동과 결합시켜 운동과정을 즐겁게 변화시켜 줌으로써, 재미가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무산소운동 센싱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있는 무게추움직임측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5에 있는 무게추수측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는 도 7을 참조하면, 무산소운동 센싱 장치(111)는, 무게추움직임측정부(1111), 무게추수측정부(1112), 중앙제어장치부(1113), 무선통신모듈부(1114)를 포함한다.
무게추움직임측정부(1111)는, 무산소운동기구에 있어서 무게추 이동 동선의 상단에 근거리무선센서(예를 들어, 초음파센서 등)를 부착하여 무게추의 거리 변화량을 측정하고, 해당 측정한 거리 변화량을 중앙제어장치부(1113)에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무게추움직임측정부(11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 이동 동선의 상단에 거리 변화 측정이 가능한 초음파센서를 부착하여 무게추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게추움직임측정부(1111)는, 운동하고 있지 않을 때의 센서와 무게추 사이의 거리 값을 초기 값으로 세팅해 두며, 무게추가 상승할 때 또는 하강할 때의 거리 변화와 속도를 측정하여, 해당 측정한 거리 변화와 속도를 중앙제어장치부(1113)에 전달해 줄 수 있다.
무게추수측정부(1112)는, 무산소운동기구에 있어서 무게추 측면에 근거리무선센서(예를 들어, 적외선센서 등)를 부착하여 이동하는 무게추의 수를 측정하고, 해당 측정한 무게추 수를 중앙제어장치부(1113)에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무게추수측정부(11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 측면에 무게추의 수와 대응되는 적외선센서를 부착하여 무게추 수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게추수측정부(1112)는, 모든 무게추가 움직이지 않았을 때의 값을 초기 값으로 세팅해 두며, 운동 시(즉, 무게추 상승 시)에 움직인 무게추의 수를 센싱하여 중량을 측정하여, 해당 측정한 중량을 중앙제어장치부(1113)에 전달해 줄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부(1113)는, 무게추움직임측정부(1111), 무게추수측정부(1112) 및 무선통신모듈부(1114)를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주며, 무게추움직임측정부(1111)로부터 전달되는 거리 변화량과 무게추수측정부(1112)로부터 전달되는 무게추의 수를 무선통신모듈부(1114)로 전달해 준다.
무선통신모듈부(1114)는, 블루투스모듈 등으로서, 중앙제어장치부(1113)로부터 전달되는 거리 변화량과 무게추의 수를 무선으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에 전송해 준다.
도 8은 도 1에 있는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스마트코치콘텐츠서비스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관리콘텐츠서비스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종합운동분석정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2는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개별운동분석정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3은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이용자신체분석정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4는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유산소운동 중 엔터테인먼트콘텐츠의 다양화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5는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유산소운동 중 싱글/멀티시스템을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6은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유산소운동 중 실제 지역의 코스화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7은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유산소운동 중 미션시스템을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8은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무산소운동 중 운동행위 시각화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9는 도 8에 있는 서비스제공부에서 제공하는 무산소운동 중 미션시스템을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0은 도 8에 있는 로그인관리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는 도 20을 참조하면,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는, 인터페이스부(131), 데이터화부(132), 서비스제공부(133)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31)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또는, 센싱 장치(110))와 통신 접속하며, 각기 자기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유 식별정보(예를 들어, 단말기식별정보, 센서식별정보 등)를 통해 해당 통신 접속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또는, 센싱 장치(110)) 각각을 식별하며, 그런 후에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운동상태정보(즉, 무산소운동상태정보 또는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운동상태정보를 데이터화부(132)로 전달해 주며, 또한 서비스제공부(133)로부터 전달되는 실시간콘텐츠서비스(예를 들어, 스마트코치, 데이터 분석, 엔터테인먼트 등의 콘텐츠서비스)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제공해 준다.
데이터화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운동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해 줌과 동시에, 해당 수신받은 운동상태정보를 가공 및 분석하여 이용자가 자신의 운동결과와 그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시켜 이용자운동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운동상태정보(즉, 무산소운동상태정보 또는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수신받는 경우에, 해당 수신받은 운동상태정보(즉, 무산소운동상태정보 또는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이용해서 이용자의 운동 행위를 저장, 가공 및 분석하여 이용자운동데이터로 데이터화시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운동상태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운동상태정보에서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식별정보(또는, 단말기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수신받은 운동상태정보를 해당 확인한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식별정보(또는,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는 무산소운동상태정보를 기초로 이용자무산소운동데이터로 데이터화시켜 줄 수 있는데, 이때 이용자의 무산소운동 행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운동 횟수, 운동 중량, 균일한 동작 유지 여부, 적절한 속도 유지 여부, 적정 강도 등의 다섯 가지 정보를 데이터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운동 횟수의 경우에 정확한 1회 운동에 대한 분석 및 저장을 수행하고, 운동 중량의 경우에 정확한 1회 중량에 대한 분석 및 저장을 수행하고, 균일한 동작 유지 여부의 경우에 이용자가 균일한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 및 저장을 수행하고, 적절한 속도 유지 여부의 경우에 이용자가 적절한 속도를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 및 저장을 수행하고, 적정 강도의 경우에 이용자의 운동 강도가 적정한지에 대한 분석 및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운동 횟수(R)의 경우에, 무게추의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무게추 거리가 감소하다가 기 설정해 둔 상승조건(또는, 상승거리)을 만족한 후에, 다시 증가하여 기 설정해 둔 하강조건(또는, 하강거리)을 만족할 때에 1회로 하여 횟수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정확한 1회를 산출하기 위해서 각 이용자의 신체특성을 반영하고, 기 설정된 미소거리(예를 들어, 운동 시작 전에 자세를 잡거나, 운동 중간에 자세가 흐트러짐에 따른 움직임이 발생하는 등의 작은 움직임)에 대한 오차 값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상승조건과 하강조건 모두를 만족할 시에만 1회로 인정할 수 있는데, 이때 상승조건을 이용자가 무게추를 이동시킨 실제 거리가 기 설정해 둔 상승거리보다 큰 경우로 할 수 있으며, 하강조건을 이용자가 무게추를 이동시킨 실제 거리가 기 설정해 둔 하강거리보다 작은 경우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상승조건을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도록 할 수 있으며, 하강조건을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RealD'는 이용자가 무게추를 이동시킨 실제 거리를 의미하며, 'TotalD'는 해당 무산소운동기구에서 무게추가 이동 가능한 전체 거리를 의미하며, 'MaxD'는 해당 무산소운동기구에서 무게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최대 거리를 의미하며, 'MinD'는 해당 무산소운동기구에서 무게추를 하강시킬 수 있는 최대 거리를 의미하며, 'UXD'는 이용자가 정상적인 자세로 운동할 시에 무게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최대 거리(즉, 이용자의 앉은키와 팔 길이를 각 무산소운동기구별 상수 치환한 값)를 의미하며, 'UND'는 이용자가 정상적인 자세로 운동할 시에 무게추를 하강시킬 수 있는 최소 거리(즉, 이용자의 앉은키와 팔 길이를 각 무산소운동기구별 상수 치환한 값)를 의미한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운동 중량(W)의 경우에, 해당 무산소운동기구의 전체 무게추 수 중에서 이용자의 운동 시에 상승 이동한 무게추의 수에, 해당 무산소운동기구의 단위무게를 반영하여 실제 이용자의 운동 중량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이용자의 운동 중량(W)을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할 수 있다. 여기서, 'TWC'는 각 무산소운동기구별 무게추의 총 수를 의미하며, 'NMWC'는 움직이지 않은 무게추의 총 수를 의미하며, 'MUW'는 해당 무산소운동기구의 무게추 단위중량(kg 단위)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9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균일한 동작 유지 여부의 경우에, 이용자의 무게추 상승 시에 해당하는 'RealD' 값과, 이용자의 무게추 하강 시에 해당하는 'RealD' 값의 분산과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균일하게 운동하고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적절한 속도 유지 여부의 경우에, 무게추의 이동 속도에 이용자의 신체특성을 반영하여 적절한 운동속도범위를 미리 설정해 두며, 해당 미리 설정해 둔 운동속도범위를 기준으로 이용자의 상승운동속도와 하강운동속도가 적합한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이용자가 무게추를 이동시킨 실제 거리(RealD)에 이용자의 운동속도(UserS)를 나눈 값이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만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MinS'는 이용자의 운동 적합 최소 속도(즉, 무산소운동기구별 상수 치환한 값)를 의미하며, 'MaxS'는 이용자의 운동 적합 최대 속도(즉, 무산소운동기구별 상수 치환한 값)를 의미한다.
Figure pat00010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적정 강도의 경우에, 이용자의 운동 시에 운동 횟수(R)와 운동 중량(W)을 기준으로 이용자가 1회 들 수 있는 최대 중량(1RM)을 아래의 수학식 5(브르지키 공식을 이용한 운동측정평가)와 같이 산출하고 그에 따른 운동 강도를 분석할 수 있다.
Figure pat00011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기초로 이용자유산소운동데이터로 데이터화시켜 줄 수 있는데, 이때 이용자의 유산소운동 효율을 높이고 그 결과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적정 강도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이행 결과들(예를 들어, 속도, 거리, 칼로리 등)을 데이터화하는데, 이때 적정 강도, 속도, 거리, 소모 칼로리 등의 네 가지 정보를 데이터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적정 강도의 경우에 사용자의 신체능력을 기반으로 적합한 속도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이행 여부를 분석하고 저장할 수 있으며, 속도의 경우에 유산소운동기구에서 측정된 속도를 실시간 저장 및 분석할 수 있으며, 거리의 경우에 속도와 시간을 기준으로 실제 진행거리를 저장 및 분석할 수 있으며, 소모 칼로리의 경우에 이용자의 몸무게와 운동종류를 반영하여 실제 소모 칼로리를 저장 및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적정 강도의 경우에, 이용자의 신체 능력을 기반으로 적합한 속도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이행 여부를 분석할 수 있는데, 이때 이용자의 신체 능력에 적합한 속도 등급(예를 들어, 1~7 속도 등급)을 제공해 주고, 운동 방법에 따른 속도 레벨을 산출해 주며, 이용자의 운동 시에 목표 속도를 제공해 주며, 이에 따라 결과를 분석하여 필요시에 등급 재조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이용자 신체 능력에 적합한 속도 등급을 제공해 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총 7개의 속도 등급 중 이용자의 신체 능력에 적합한 1개의 속도 등급을 확정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운동 방법에 따른 속도 레벨을 산출해 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빠르게 달리기의 운동영역에 대해 속도 레벨 11과 10으로, 달리기의 운동영역에 대해 속도 레벨을 9와 8로, 느리게 달리기의 운동영역에 대해 속도 레벨을 7과 6으로, 빠르게 걷기의 운동영역에 대해 속도 레벨을 5와 4로, 걷기의 운동영역에 대해 속도 레벨을 3으로, 느리게 걷기의 운동영역에 대해 속도 레벨을 2와 1로 등과 같이, 이용자가 원하는 운동방법(걷기, 걷기+달리기 등)에 따라 총 11개의 레벨 중 적합한 레벨의 속도를 산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이용자의 운동 시에 목표 속도를 제공해 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산출된 레벨의 속도를 기반으로 이용자 운동 시 목표 속도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이용자의 이행 결과를 분석할 수 있는데,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공된 목표 속도와 실제 이용자의 운동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상술한 바와 같은 비교 및 분석 결과에 따라 등급 재조정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공된 목표 속도와 실제 이용자의 운동 결과의 차가 기 설정해 둔 값보다 클 경우에 등급 재조정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속도의 경우에, 유산소운동기구에서 측정되는 속도를 기준으로 이용자의 실시간 속도를 저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거리의 경우에, 유산소운동기구에서 측정되는 속도와 시간을 기준으로 이용자의 실제 진행거리를 저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화부(132)는, 소모 칼로리의 경우에, 유산소운동의 종류(예를 들어, 러닝머신, 사이클 등)와 사용자의 몸무게를 기준으로, 아래의 수학식 6과 같이 실제 사용자가 소모한 칼로리량(Cal)을 저장 및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CalPoint'는 유산소운동기구별 속도에 따른 분당 소모 칼로리 계수를 의미하며, 'UserWeight'는 이용자의 몸무게를 의미한다.
Figure pat00012
서비스제공부(133)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이용자운동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운동 상황에 부합하는 실시간콘텐츠서비스(예를 들어, 스마트코치, 데이터 분석, 엔터테인먼트 등의 콘텐츠서비스)를 인터페이스부(131)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가 접속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메인화면정보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메인화면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송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제공요청신호를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수신받는 경우에, 해당 수신받은 서비스제공요청신호에서 서비스식별정보, 단말기식별정보 및 이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서비스식별정보 및 이용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서비스제공화면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스마트코치콘텐츠서비스에 있어서, 데이터화부(132)에 의해서 확인된 운동 상태와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이용자에게 필요한 운동정보를 실제 코치처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때 음성과 자막을 통해 운동 진행에 대한 실시간 운동 코칭과 전체적인 관리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이용자의 성향에 따라 다양한 코치 중 한 명을 선택하도록 한 후에 해당 선택된 코치에 해당하는 스마트코치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40)는 다양한 코치별로 이에 대응하는 스마트코치콘텐츠서비스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운동 코칭, 관리 등의 음성 및 자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이용자의 운동 진행시에 필요한 실시간 운동 코칭에 대한 스마트코치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해 줌으로써, 이용자가 운동을 진행할 때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안내해 주어 이용자가 좀 더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운동 코칭으로 운동방법을 안내(또는, 소개)해 줄 수 있는데, 운동 시작 전에 정확한 자세와 주의사항, 자극부위 등의 운동을 진행함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안내해 주며, 운동 진행 중 운동방법에 대한 안내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바로 실시간 코칭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늘 첫 번째 Move는 30분 걷기+달리기입니다. 총 30분 동안 3.2km 운동하겠습니다.', '운동 후에는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 주세요.' 등을 안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실시간 운동 코칭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를 안내해 줄 수 있는데, 운동 시작 전에 이용자에게 맞는 효과적인 강도를 제시하고 운동을 진행하며 이를 달성할 수 있도록 코칭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세트 9kg으로 12회 들겠습니다.', '지리산둘레길 4코스 1.0km 지점에 거의 다 왔어요.' 등을 안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실시간 운동 코칭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 변경을 안내해 줄 수 있는데, 진행하고 있는 운동 강도가 이용자에게 힘들다고 판단될 경우 바로 강도를 낮추어 주며, 좀 더 강한 운동 강도가 필요할 경우 바로 운동 강도를 높여 주어 효과적인 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코칭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금만 더 해내셔서 11.0km/h로 운동해 주세요! 회원님 할 수 있습니다!', '다섯 개만 더할게요. 등을 안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실시간 운동 코칭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 교정을 안내해 줄 수 있는데, 운동 자세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실시간 코칭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깨에 자극이 가도록 끝까지 밀어주세요.', '조금만 더 높이 올려 주세요.' 등을 안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실시간 운동 코칭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원을 안내해 줄 수 있는데, 이용자가 힘들어 하거나 어려운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경우 이용자가 좀 더 힘내서 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응원의 메시지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이 조금만 더 힘내주세요.', '남은 미션도 지금처럼 해주세요.', '잘하고 있어요.' 등을 안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이용자의 운동 진행시에 필요한 관리에 대한 스마트코치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해 주는데, 이때 개별적 운동 진행을 도와주는 것 이외에도 운동프로그램 생성, 순서안내, 일정관리 등의 운동 전반적인 부분을 통합적으로 관리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로 운동 순서 관리 및 동선 관리를 제공해 줄 수 있는데, 운동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어떤 운동을 해야 하며 어디로 가야 하는지 안내해 주고, 만약 진행 차례의 운동기구에 이용자들이 많아 대기시간이 발생할 경우 대기시간이 없는 다른 운동부터 진행하도록 안내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늘 첫 번째 Move는 8분 동적 워밍업(또는, 스쿼트 스미스머신, 데드리프트 바벌 등)입니다. 81번~90번 중 편한 곳으로 이동해 주세요.', '21번~22번 중 편한 곳으로 이동해 주세요.' 등을 안내해 줄 수 있으며, 다음 운동을 표시해 줄 수도 있으며, 또한 완료된 운동(예로, 40분 달리기 Clear, 스쿼트 스미스머신 Clear 등)도 표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관리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해 줄 수 있는데, 이용자의 신체정보와 운동 목적을 파악하여 그에 가장 최적화된 운동프로그램을 추천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목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선택된 운동 목적을 표시도 해 줄 수 있으며, 운동 프로그램(예로, 4주 완성 균형 프로그램 등) 및 완료 등을 표시해 줄 수 있으며, '오늘의 Workout는 4주 완성 균형 프로그램 2회차 시간인데요.' 등을 안내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관리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늘의 운동프로그램을 제공(또는, 소개)해 줄 수 있는데, 이용자가 운동을 시작할 때 당일의 운동프로그램의 구성과 효과, 목적 등을 안내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10개의 Move를 총 115분 동안 진행할 예정이며, 유산소운동은 30분, 무산소운동은 35분, 홈트레이닝은 40분 진행하겠습니다.', '8개의 Move를 총 70분 동안 진행하겠습니다.' 등을 안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데이터분석콘텐츠서비스에 있어서, 데이터화부(132)에 의해서 확인된 운동 정보를 기반으로 이용자가 자신의 운동결과와 그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때 운동의 결과(예를 들어, 12kg을 12회 들었다 등)를 숫자로만 표현할 경우 그 의미를 알기 어려우므로 다양한 그래프로 변화량을 표현해 줄 있으며, 자신의 과거 기록 또는 타인 기록 등과 비교하여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해 줄 수도 있으며, 또한 운동 중에도 스마트코치를 통해 이용자의 달라진 운동량, 신기록 등이 제공하여 이용자가 운동결과를 체감하고 성과를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40)는 이용자식별정보별로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분석콘텐츠서비스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종합운동분석, 개별운동분석, 이용자신체분석 등의 음성, 자막 및 그래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 둘 수 있다. 또한, 종합운동분석정보는 당일 운동 시간, 진행 운동 비중, 근력 운동 주요 부위, 최종 결과 등 해당 일에 진행한 운동들에 대한 종합 결과 분석에 대한 데일리정보와, 종합 운동 능력, 무산소운동 능력, 유산소운동 능력 등 과거부터 현재까지 진행한 운동들의 종합 결과 분석에 대한 종합정보를 포함하며, 개별운동분석정보는 유산소운동 능력, 소모 칼로리, 진행 거리, 평균 속도, 스텝 수 등 진행한 유산소 개별 운동들의 결과 분석에 대한 유산소운동정보와, 운동 강도, 운동 능력, 세트 기록, 총 무게 등 진행한 무산소 개별 운동들의 결과 분석에 대한 무산소운동정보를 포함하며, 이용자신체분석정보는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등의 사용자의 신체 정보 변화를 한 눈에 파악하기 쉽도록 결과 분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종합운동분석정보의 경우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일 정해진 운동이 모두 종료되면 당일 진행한 운동들의 결과를 기준으로 전체 운동에 대한 결과를 간략하게 요약 분석하고,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운동 결과 추세와 타인 기록들을 비교/분석하여 당일의 운동 결과를 이용자가 객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일(회원 가입 후 총 운동 일수), 주 운동일(회원 가입 후 1주 동안의 평균 운동 일수) 등을 표시해 줄 수 있으며, 운동 시간에서 유산소운동, 무산소운동, 홈트레이닝운동이 차지하는 시간 비중을 표시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종합운동분석정보 중 데일리정보의 경우에, 전체 운동 시간과 비중, 진행한 운동 수, 주요 운동 부위, 진행한 유/무산소운동들의 결과 등을 종합하여 한 눈에 알기 쉽게 요약/분석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종합운동분석정보 중 종합정보의 경우에, 종합 운동 능력, 유/무산소운동 능력, 총시간, 총소모 칼로리, 평균 운동 일수 등의 해당 일 종합 운동 결과를 그래프 형태로 노출하여 추세 확인이 쉽도록 구성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이와 함께 사용자와 유사한 조건의 타인 기록들과 비교하여 이용자의 현재 상태를 한 눈에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개별운동분석정보의 경우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운동이 종료되면 진행한 해당 운동의 결과를 기준으로 과거 기록과 타인의 기록 등을 활용하여 비교/분석하여 각 운동의 결과를 사용자가 객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트 기록(세트별로 무게 및 회수)을 표기해 줄 수 있으며, 30대 남성 평균 1RM 및 이용자가 1회에 들 수 있는 최대 무게 예상치(1RM)의 변화를 표시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개별운동분석정보 중 유산소운동정보의 경우에, 유산소운동 능력, 소모 칼로리, 진행 거리, 평균 속도, 스텝 수 등을 그래프 형태로 노출하여 추세 확인이 쉽도록 구성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이와 함께 이용자와 유사한 조건의 타인 기록들과 비교하여 이용자의 현재 상태를 한 눈에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개별운동분석정보 중 무산소운동정보의 경우에, 운동 강도, 운동 능력, 세트 기록, 총 무게 등을 그래프 형태로 노출하여 추세 확인이 쉽도록 구성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이와 함께 이용자와 유사한 조건의 타인 기록들과 비교하여 이용자의 현재 상태를 한 눈에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이용자신체분석정보의 경우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진행에 따라 달라지는 이용자의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비만 진단(예로, 체지방률, BMI 등) 등의 주요 신체 변화를 한 눈에 알기 쉽도록 과거 데이터와 비교/분석하여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엔터테인먼트콘텐츠서비스에 있어서, TV 및 게임, 영상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운동과 결합시켜 운동 과정을 즐겁게 변화시키는 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때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운동상태정보를 컨트롤러로 하여 엔터테인먼트콘텐츠와 상호 작용시켜 줄 수 있으며, 또한 무산소운동과 유산소운동은 그 운동 시간이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서로 다른 특성을 반영하여 엔터테인먼트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으며, 무산소운동의 경우에 운동 행위 집중도 향상을 위해 이용자의 운동 상황을 가시적으로 표현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해 줄 수 있으며, 유산소운동의 경우에 운동의 지루함을 줄이기 위해 엔터테인먼트콘텐츠의 다양화뿐 아니라, 미션시스템, 멀티콘텐츠 등의 시스템과 융합하여 구성해 줄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40)는 무산소운동이나 유산소운동별(또는, 이용자식별정보별)로 이에 대응하는 엔터테인먼트콘텐츠서비스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유산소운동(엔터테인먼트콘텐츠의 다양화, 싱글/멀티시스템, 실제 지역의 코스화, 미션시스템 등)과 무산소운동(운동행위 시각화, 미션시스템 등)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유산소운동의 경우에, 종래 피트니스 클럽에서 유산소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TV를 틀어 놓고 멍하게 20분~30분 동안 걷고 있는 상황 등으로, 20분 이상의 장시간 동안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는 운동이라 쉽게 지루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지루함을 줄이고 운동 효과를 올리기 위하여 다양한 엔터테인먼트콘텐츠, 싱글/멀티시스템, 실제 지역의 코스화 및 미션시스템을 함께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유산소운동 중 엔터테인먼트콘텐츠의 다양화에 있어서, 미션마다 각기 다른 엔터테인먼트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시각적 지루함을 줄여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 출발점에서 파괴하며 목표점인 유정에 도달하는 게임으로, 이용자의 운동 속도에 따라 타일의 파괴 속도가 실시간으로 변하며, 중간에 다양한 이벤트들을 배치하여 재미 상승을 유도한 드릴러, 점과 점을 연결하여 하나의 그림을 완성해 가는 게임으로, 이용자의 운동 속도에 따라 점을 연결하는 속도가 실시간으로 변하며 속도감을 주기 위한 장치들을 배치하여 제공하는 Dot to Dot, 해외 유명 관광지를 투어하는 영상 게임으로, 이용자의 운동 속도에 따라 플레이되는 속도가 변하여 이용자가 실제 해당 지역을 투어하는 느낌을 제공하는 트레킹 비디오, 운동과 분리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에서 재생하도록 전송되며, 시청 중에도 운동 정보를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TV, 이용자의 성향에 맞는 음악을 제공하는 음악플레이어 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유산소운동 중 싱글/멀티시스템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든 운동도 여러 사람이 함께 하는 경우에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여 운동이 즐거워짐으로, 이를 위해 엔터테인먼트콘텐츠를 즐기는 방법을 싱글 형태 외에도 멀티 형태로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산소운동의 그룹 운동화가 가능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유산소운동 중 실제 지역의 코스화에 있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클럽에서 운동을 함에 좀 더 직관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도록 이용자의 운동거리를 기준으로 실제 지역을 코스화하여 이용자에게 노출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유산소운동 중 미션시스템에 있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시간 운동에 따른 집중도 저하를 방지하고자 전체 운동시간을 3분~5분 단위 구간으로 쪼개고 운동시간, 운동거리, 운동속도 등 다양한 구간 목표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또한 고강도 고효율 운동방법인 인터벌프로그램(정해진 시간 내 강한 강도의 운동과 약한 강도의 운동을 교대로 수행하는 운동)을 적용하여 좀 더 효율적인 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무산소운동의 경우에, 짧은 시간 동안 정확한 자세를 유지한 채 고강도로 운동을 수행해야 하는 운동으로, 이를 위해 이용자의 운동행위를 시각적으로 노출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미션시스템으로 구성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무산소운동 중 운동행위 시각화에 있어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행위를 게이지와 같은 형태로 노출하여 운동속도와 운동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제공부(133)는, 무산소운동 중 미션시스템에 있어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진행해야 하는 전체 세트 수와 각 세트별 중량 및 횟수를 각 운동의 목표로 제공하고 이용자가 이를 잘 이행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또한 운동 진행 중 추가 목표를 제공하여 좀 더 효율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는, 앱관리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앱관리부(134)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다운로드요청신호를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수신받는 경우에,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내지는, 헬스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내지는, 헬스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는, 로그인관리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그인관리부(135)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로그인요청신호를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수신받는 경우에, 해당 수신받은 로그인요청신호에서 이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이용자식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의 이용자관련정보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이용자식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인증완료신호를 생성시켜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에서 NFC 기능이 탑재된 라커룸 팔찌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용자로 하여금 유산소운동 머신 콘솔 또는 태블릿에 해당 라커룸 팔찌를 가져다 대도록 함으로써, 이를 확인하여 이용자식별정보를 포함한 로그인요청신호를 생성시켜 네트워크(150)를 통해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 네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각 운동기구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센싱 장치(110)에서는, 각 운동기구에서 운동하는 이용자의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또는, 파악)하여 해당 센싱(또는, 파악)한 운동상태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달해 주게 된다(S201).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운동상태정보를 전달함에 있어서, 각 운동기구에 부착 설치된 센서(또는, 센싱 솔루션)를 구비하고 있는 센싱 장치(110)에서는, 해당 센서(또는, 센싱 솔루션)를 통해 얻은 운동상태정보에, 각 운동기구에서 식별한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각 운동기구를 식별하기 위한 운동기구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운동상태정보를 전달함에 있어서, 센싱 장치(110)에서는, 내부에 구비된 헬스 네비게이션 센싱 솔루션에 따라 이용자의 운동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운동상태정보를 전달함에 있어서, 각 무산소운동기구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센싱 장치(110) 중 무산소운동 센싱 장치(111)에서는, 각 무산소운동기구에서 운동하는 이용자의 무산소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또는, 파악)하여 해당 센싱(또는, 파악)한 무산소운동상태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운동상태정보를 전달함에 있어서, 무산소운동 센싱 장치(111)에서는, 무게추 상단과 측면에 센서를 부착하여 추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무선통신모듈(예를 들어, 블루투스모듈 등)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달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운동상태정보를 전달함에 있어서, 각 유산소운동기구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센싱 장치(110) 중 유산소운동 센싱 장치(112)에서는, 각 유산소운동기구에서 운동하는 이용자의 유산소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또는, 파악)하여 해당 센싱(또는, 파악)한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운동상태정보를 전달함에 있어서, 유산소운동 센싱 장치(112)에서는, 콘솔에 출력해 주는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유선통신모듈 또는 무선통신모듈(예를 들어, 블루투스모듈 등)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운동상태정보를 전달하게 되면, 센싱 장치(110)와 통신(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에서는, 센싱 장치(110)로부터 전달되는 운동상태정보(즉, 무산소운동상태정보 또는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파악(또는, 수집)하여 네트워크(150)를 통해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를 전송해 주게 된다(S202).
상술한 단계 S202에서 운동상태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에서는, 각 운동기구에서 식별한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각 운동기구를 식별하기 위한 운동기구식별정보나, 자기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단말기식별정보를 운동상태정보(즉, 무산소운동상태정보 또는 유산소운동상태정보)에 포함시켜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에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202에서 운동상태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에서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운동 중인 이용자의 얼굴 표정을 캡처하여 해당 캡처된 얼굴표정정보를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에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이에,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에서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얼굴표정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얼굴표정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표준얼굴표정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힘든정도등급을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힘든정도등급에 따라 무산소운동의 경우에 운동 횟수, 운동 중량, 동작, 속도, 적정 강도 등의 운동정보를 변경시켜 줄 수 있으며, 또한 유산소운동의 경우에 적정 강도, 속도, 거리, 소모 칼로리 등의 운동정보를 변경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2에서 운동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피트니스 클럽이나 체력진단센터 등의 관리자나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다운로드요청버튼을 클릭하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에서는, 입력수단을 통한 다운로드요청버튼 클릭을 확인하여 다운로드요청신호(단말기식별정보를 포함함)를 생성시켜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에서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다운로드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내지는, 헬스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내지는, 헬스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그러면,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에서는,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내지는, 헬스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내부 메모리에 설치해 둘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2에서 운동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에서는, 헬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내지는, 헬스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에 접속하게 되는데, 이때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에서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가 접속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메인화면정보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메인화면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에서는,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메인화면정보를 수신받아 출력수단을 통해 메인화면을 디스플레이(또는, 음성출력)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2에서 운동상태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에서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운동상태정보(즉, 무산소운동상태정보 또는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운동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해 줌과 동시에, 해당 수신받은 운동상태정보를 가공 및 분석하여 이용자가 자신의 운동결과와 그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시켜 이용자운동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해 주게 된다(S203).
상술한 단계 S203에서 운동상태정보 및 이용자운동데이터를 저장함에 있어서,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에서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상태정보(즉, 무산소운동상태정보 또는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이용해서 이용자의 운동 행위를 저장, 가공 및 분석하여 데이터화시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3에서 운동상태정보 및 이용자운동데이터를 저장함에 있어서,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에서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상태정보에서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식별정보(또는, 단말기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수신받은 운동상태정보를 해당 확인한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식별정보(또는,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3에서 운동상태정보 및 이용자운동데이터를 저장한 다음에,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에서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이용자운동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운동 상황에 부합하는 실시간콘텐츠서비스(예를 들어, 스마트코치, 데이터 분석, 엔터테인먼트 등의 콘텐츠서비스)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제공해 주게 된다(S204).
상술한 단계 S204에서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메인화면의 선택항목 중에서 서비스선택항목을 선택하고 해당 선택된 서비스제공을 요청하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에서는, 이를 확인하여 해당 선택된 서비스식별정보를 포함한 서비스제공요청신호(단말기식별정보 및 이용자식별정보를 포함함)를 생성시켜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에서는,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제공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서비스제공요청신호에서 서비스식별정보, 단말기식별정보 및 이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서비스식별정보 및 이용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서비스제공화면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4에서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에서는,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콘텐츠서비스(예를 들어, 스마트코치, 데이터 분석, 엔터테인먼트 등의 콘텐츠서비스)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신받아 이용자에게 통보해 주게 된다(S205).
상술한 단계 S205에서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통보함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120)에서는,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제공화면정보를 수신받아, 서비스제공화면을 출력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또는, 음성출력)시켜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110: 센싱 장치
120: 어플리케이션 단말기
130: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
131: 인터페이스부
132: 데이터화부
133: 서비스제공부
134: 앱관리부
135: 로그인관리부
140: 데이터베이스
150: 네트워크

Claims (10)

  1. 운동기구에서 운동하는 이용자의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운동상태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센싱 장치;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운동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며,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제공받아 이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부터 운동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가공 및 분석하여 데이터화시켜 이용자운동데이터로 저장하며, 이용자운동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운동 상황에 부합하는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운동기구에서 식별한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를 식별하기 위한 운동기구식별정보를 운동상태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무산소운동기구에서 운동하는 이용자의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무산소운동상태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무산소운동 센싱 장치; 및
    유산소운동기구에서 운동하는 이용자의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유산소운동상태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유산소운동 센싱 장치로 구분해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는,
    운동기구에서 식별한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를 식별하기 위한 운동기구식별정보나, 자기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단말기식별정보를 운동상태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는,
    서비스식별정보, 단말기식별정보 및 이용자식별정보를 포함한 서비스제공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한 후에,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서비스제공화면정보를 수신받아 서비스제공화면을 출력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출력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상태정보에서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식별정보 또는 단말기식별정보를 확인하며, 운동상태정보를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식별정보 또는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운동상태정보 또는 이용자운동데이터를 등록해 두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운동상태정보 및 이용자운동데이터를 이용자식별정보 또는 운동기구식별정보 또는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9.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를 식별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부터 운동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전달하며,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전달받아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운동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동시에 가공 및 분석하여 데이터화시켜 이용자운동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화부; 및
    이용자운동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운동 상황에 부합하는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
  10. 센싱 장치가 운동기구에서 운동하는 이용자의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운동상태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 단말기가 상기 운동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단계;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운동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가공 및 분석하여 데이터화시켜 이용자운동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헬스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이용자운동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운동 상황에 부합하는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말기가 상기 실시간콘텐츠서비스를 제공받아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헬스 네비게이션 방법.
KR1020160078960A 2016-06-24 2016-06-24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1931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960A KR101931724B1 (ko) 2016-06-24 2016-06-24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960A KR101931724B1 (ko) 2016-06-24 2016-06-24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12A true KR20180000812A (ko) 2018-01-04
KR101931724B1 KR101931724B1 (ko) 2019-03-20

Family

ID=6099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960A KR101931724B1 (ko) 2016-06-24 2016-06-24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72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229A (ko) *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스포츠패나틱 서비스 질의 편차를 줄이는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
KR102317878B1 (ko) * 2020-06-25 2021-10-26 김민철 네트워크를 통한 홈 트레이닝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220097751A (ko) * 2020-12-31 2022-07-08 주식회사 피씨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 및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활용한 운동량 측정관리방법
KR102432394B1 (ko) * 2022-02-17 2022-08-11 권상언 직관적으로 운동량을 표시하는 웨이트 트레이닝 시스템
KR20220117098A (ko) * 2021-02-15 2022-08-23 (의료)길의료재단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이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435695B1 (ko) * 2021-08-18 2022-08-24 정진현 스마트 피트니스 장치 및 방법
KR20230000234A (ko) *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피트니스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17958B1 (ko) * 2022-11-30 2023-04-04 주식회사 서플라이스 IoT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헬스장 내에서 운동 정보를 기록하거나 운동 보조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628A (ko) * 2019-08-30 202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운동 정보 처리 방법
KR102416987B1 (ko) 2020-11-18 2022-07-0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얼굴인식과 동작인식을 활용한 지능형 버추얼 피트니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429323B1 (ko) 2021-06-11 2022-08-04 강병성 스마트 헬스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8577A (ko) * 2006-09-27 2008-04-01 김대성 운동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
KR100978920B1 (ko) 2007-11-05 2010-08-30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운동관리 시스템의 맞춤운동 제공방법
KR20110044113A (ko) 2009-10-22 2011-04-28 (주)인성정보 운동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17402A (ko) * 2012-04-17 2013-10-28 (주)더힘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형 운동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9358A (ko) * 2013-12-13 2015-06-23 주식회사 아카인텔리전스 운동 기구
KR20160008685A (ko) * 2014-07-14 2016-01-25 유병완 운동센터 등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8577A (ko) * 2006-09-27 2008-04-01 김대성 운동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
KR100978920B1 (ko) 2007-11-05 2010-08-30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운동관리 시스템의 맞춤운동 제공방법
KR20110044113A (ko) 2009-10-22 2011-04-28 (주)인성정보 운동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17402A (ko) * 2012-04-17 2013-10-28 (주)더힘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형 운동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9358A (ko) * 2013-12-13 2015-06-23 주식회사 아카인텔리전스 운동 기구
KR20160008685A (ko) * 2014-07-14 2016-01-25 유병완 운동센터 등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229A (ko) *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스포츠패나틱 서비스 질의 편차를 줄이는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
KR102317878B1 (ko) * 2020-06-25 2021-10-26 김민철 네트워크를 통한 홈 트레이닝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220097751A (ko) * 2020-12-31 2022-07-08 주식회사 피씨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 및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활용한 운동량 측정관리방법
KR20220117098A (ko) * 2021-02-15 2022-08-23 (의료)길의료재단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이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00234A (ko) *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피트니스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35695B1 (ko) * 2021-08-18 2022-08-24 정진현 스마트 피트니스 장치 및 방법
KR102432394B1 (ko) * 2022-02-17 2022-08-11 권상언 직관적으로 운동량을 표시하는 웨이트 트레이닝 시스템
KR102432395B1 (ko) * 2022-02-17 2022-08-11 권상언 직관적으로 운동량을 표시하는 웨이트 트레이닝 시스템
WO2023158036A1 (ko) * 2022-02-17 2023-08-24 권상언 직관적으로 운동량을 표시하는 웨이트 트레이닝 시스템
KR102517958B1 (ko) * 2022-11-30 2023-04-04 주식회사 서플라이스 IoT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헬스장 내에서 운동 정보를 기록하거나 운동 보조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724B1 (ko)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724B1 (ko)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2116968B1 (ko) Ai 기반의 스마트 코칭 방법
JP6454304B2 (ja)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リング方法、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製品及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
US84292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group activities
US80014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dio and visual cues via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956290B2 (en) Lifestyle companion system
US8235724B2 (en) Dynamically adaptive scheduling system
JP5643116B2 (ja) 対話型運動器具システム
KR101952692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운동 관리 및 권장 플랫폼 시스템
JP2006255028A (ja) 運動支援システム及び運動支援方法
WO200108742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exercise
JP2017070598A (ja) 運動内容設定システム、運動内容設定装置、運動内容設定方法及び運動内容設定プログラム
KR102145692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피트니스 회원 관리시스템
KR20160000124A (ko)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모니터링 운동처방 및 관리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KR101628713B1 (ko) 센서 정보와 헬스 아바타를 이용한 운동관리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1129329B1 (ko) 헬스클럽용 유비쿼터스 키오스크 시스템
CN107016227B (zh) 一种智能设备联动型基于实时运转数据的运动处方的运转指导系统
KR20190072061A (ko) 맞춤형 트레이닝이 가능한 헬스 케어 시스템
AU2016210760A1 (en) Dynamically adaptive scheduling system
AU2011204846B2 (en) Dynamically adaptive schedu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