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323B1 - 스마트 헬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헬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323B1
KR102429323B1 KR1020210076188A KR20210076188A KR102429323B1 KR 102429323 B1 KR102429323 B1 KR 102429323B1 KR 1020210076188 A KR1020210076188 A KR 1020210076188A KR 20210076188 A KR20210076188 A KR 20210076188A KR 102429323 B1 KR102429323 B1 KR 102429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s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성
Original Assignee
강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성 filed Critical 강병성
Priority to KR1020210076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63B2071/0661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2Weight, e.g. weight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동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최적의 운동 가이드 정보 및 운동과 연계된 제반정보들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스마트 헬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식별 아이디를 부여하고, 상기 식별 아이디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식별 아이디와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정보가 저장되고, 저장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 상기 서버와 연계되어 센서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부가 구비되며,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운동기기; 및 사용자의 상기 식별 아이디가 저장되거나 저장된 식별 아이디가 초기화되고, 저장된 상기 식별 아이디를 통해 상기 운동기기와 센서 통신을 수행하는 웨어러블기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헬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PR SMART HEALTH}
본 발명은 스마트 헬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운동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최적의 운동 가이드 정보 및 운동과 연계된 제반정보들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스마트 헬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사회적인 홍보와 현대인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섭취 칼로리를 고려한 식생활 개선과 더불어 다양한 운동을 통해 건강관리를 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표적인 것이 헬스클럽에서 운동을 하는 것인데, 이는 현실적으로 바쁜 일상 속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 외에 다양한 헬스 기구를 사용하여 체계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이 애용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헬스클럽에서 이루어지는 운동프로그램은 기본적인 체력 또는 신체측정 후 트레이너의 일방적 운동 처방에 의해 정해지고, 일단 정해진 프로그램은 상당한 기간이 지난 후에야 다시 수정되었다.
따라서, 회원의 신체변화 또는 상황변화에 따라 빠르게 운동 프로그램이 수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회원의 헬스 기구 사용에 대한 운동 데이터 축적이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운동경과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해 차후의 운동프로그램이 주먹구구식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금속 웨이트를 이용하는 헬스 기구는, 사용자 또는 트레이너가 운동하중, 운동횟수, 사용 헬스 기구의 종류 및 사용 시간 등을 직접 기록해야 하므로, 운동 데이터의 관리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레이너 없이는 운동 프로그램의 처방대로 사용자의 운동량을 강제로 단속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웨이트 운동기구의 경우 웨이트 블록 자체의 중량만을 고려하여 총 무게가 계산되므로, 관련된 운동 기구물 전체 즉, 웨이트블록 고정핀이나 덤벨이나 바벨 등의 봉과 같이 손으로 파지하여 움직이는 연관 구성부 전체의 중량은 고려되지 않는다. 이는 자신에게 맞는 정확한 운동 수행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0001) 국내등록특허 제10-193172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운동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최적의 운동 제반 정보 및 운동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스마트 헬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트레이너 없이도 운동 관련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스마트 헬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마트 헬스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식별 아이디를 부여하고, 상기 식별 아이디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식별 아이디와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정보가 저장되고, 저장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 상기 서버와 연계되어 센서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부가 구비되며,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운동기기; 및 사용자의 상기 식별 아이디가 저장되거나 저장된 식별 아이디가 초기화되고, 저장된 상기 식별 아이디를 통해 상기 운동기기와 센서 통신을 수행하는 웨어러블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운동기기는 웨이트 운동기구에 해당되며, 상기 웨이트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동시, 운동에 사용되는 기구물의 실제 총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센서; 상기 기구물을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횟수를 측정하는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에 저장된 상기 식별 아이디를 기반으로 상기 중량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운동량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정보에는, 상기 운동기기를 통한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기반으로 한 운동가이드 정보, 사용자의 목표 설정에 따른 운동가이드 정보, 건강기능식품 정보, 운동용품 정보, 운동의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인 스마트 헬스 방법은, 운동기기에 통신을 위한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운동기기의 사용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부를 구성하는 운동기기의 네트워크 구축단계; 상기 운동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운동기기의 식별번호와 제반 정보, 운동용품 정보, 운동의류 정보 및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포함한 소스정보가 저장되는 서버의 네트워크 구축 단계; 상기 서버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식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회원가입단계; 상기 식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증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서버에 사용자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개인정보 저장단계; 상기 운동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웨어러블기기에 상기 식별 아이디를 저장하는 웨어러블기기 세팅단계; 상기 식별 아이디가 저장된 웨어러블기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기를 이용하는 운동기기 이용단계; 상기 운동기기 이용단계를 통한 사용자의 운동량을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운동량 저장단계; 및 상기 식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후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받는 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운동기기 이용단계 이후 사용자의 상기 운동기기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식별 아이디가 저장된 웨어러블기기를 초기화하는 웨어러블기기 초기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동기기는 웨이트 운동기구에 해당되며, 상기 운동량 저장단계에서는, 상기 웨이트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동시, 운동에 사용되는 기구물의 실제 총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기구물을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횟수를 측정한 후 측정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정보에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신장 및 몸무게 정보 및 체중감량 목표치와 체중감량 목표기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헬스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사용자는 전문적인 트레이너의 도움 없이도 자신에게 적합한 최적의 운동 계획을 세우고, 체계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자신이 이용할 운동기기의 정보도 함께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도움 없이 초보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 운동기구 이용시 사용자는 실제 자신이 들어올리는 총 무게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통해 운동량 정보는 물론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운동 가이드 정보를 함게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운동 계획 수립 및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
또한, 운동시 웨어러블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기기를 이용하고, 운동시 별도의 설정 없이도 자신의 운동정보를 저장하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마트 헬스 시스템의 구성 개념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인 스마트 헬스 시스템에 따른 일 실시례에 의한 운동기기 구성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인 스마트 헬스 방법의 구성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마트 헬스 시스템의 구성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싱부의 구성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바벨을 이용한 운동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구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중량센서 장착위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운동기기 받침대에 구성되는 센싱부의 구성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웨이트 블록을 이용한 운동기기에 본 발명에 따른 중량센서 장착위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웨이트 블록을 이용한 운동기기에서 센싱부의 구성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스마트 헬스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스마트 헬스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10), 서버(20), 운동기기(30) 및 웨어러블(Wearable)기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0)은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에 설치되거나, 컴퓨터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0)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101)을 실행, 예컨데 어플리케이션(10)이 'SHILOH 앱'이라면 'SHILOH 앱'을 실행시킨 후 자신의 고유 식별 아이디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패스워드를 생성하여 'SHILOH 앱'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SHILOH 앱'을 통해 생성된 자신의 식별 아이디를 기반으로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신장 및 몸무게 등과 같은 기본적인 신체 정보는 물론,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일의 스포츠 의류나 신발, 액세서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체중감량 목표치나 자신이 주로 운동하고 싶은 부위(일례로, 허리 위주, 상체 위주, 다리 위주 등)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또는 전문가에 의해 지정된 체중감량 기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A'라는 사용자는 49세 남성, 신장 175㎝, 몸무게 83㎏일 경우 한 달 동안 자신의 체중감량 목표치를 2㎏으로 설정할 경우, 운동 및 의학 전문가의 소견(사용자에게 질환이 있다면 이를 고려한 소견) 상으로는 한 달 동안 0.8㎏ 감량하는 것이 건강상으로 적합하다면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2㎏으로 체중감량 목표치를 설정할 때, 'SHILOH 앱'을 통해 전문가에 의해 적합한 수준의 체중감량 목표치를 사용자에게 동시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는 자신의 체지방량 및 근력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는 자신이 좋아하거나 사용중인 건강보조(기능)식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는 사용자가 앓고 있는 질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인정보를 활용하여 'SHILOH 앱'은 사용자가 원하거나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A'라는 사용자가 자신의 체중감량 목표치가 한 달에 2㎏이라고 설정하면, 하루 또는 일정기간 단위, 일례로 일주일에 소모해야 할 칼로리 정보, 운동량 정보, 운동에 따른 칼로리 소모정보, 체중감량에 적합한 운동기기 정보, 식단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SHILOH 앱'은 후술할 서버를 통해 다양한 각종 정보들과 연계되며, 'SHILOH 앱'과 연계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SHILOH 앱'과 연계된 정보란 운동 관련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운동기기(30)를 통한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기반으로 한 운동가이드 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 상태와 사용자의 목표 설정에 따른 운동가이드 정보일 수 있다. 즉, 서버(20)에 저장된 전문적인 트레이너의 운동 가이드 지침을 사용자의 현재 상태와 목표에 따라 'SHILOH 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A'라는 사용자가 한 달 2㎏ 감량을 목표치로 설정했으나, 허리 부분에 통증이 있다면, 이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기기 정보, 하루 운동량 및 운동 방법 등을 제공하고, 식단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서버(20)를 통해 'SHILOH 앱'은 운동과 관련된 건강기능식품 정보, 운동용품 정보, 운동의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HILOH 앱'에는 전술한 각 정보들이 카테고리별로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정보를 입력하면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연관된 정보들이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SHILOH 앱'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10)과 연계되어 각종 정보들이 저장되고, 저장된 정보들이 어플리케이션(10)을 통해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서버(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20)는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각종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거나 인공지능(AI : Artificial Intelligence) 서버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0)과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술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20)의 기본적인 구성 상태 등은 공지의 기술이라 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서버(20)에는 어플리케이션(10, 이하, 'SHILOH 앱'이라 함)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와 개인정보 및 'SHILOH 앱'과 연계된 정보가 저장되고, 저장된 정보를 'SHILOH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서버(20)에는 전술한 운동 정보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저장된 정보는 새롭게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 별로 사용자가 현재까지 수행한 운동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SHILOH 앱'에 회원 가입 후, 자신의 체중 감량 목표치와 감량 기간 등을 설정한 직후부터 현재까지의 날짜 별 운동량 정보는 물론, 운동에 이용된 운동기기(30) 정보 등이 서버(20)에 식별 아이디 별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체중을 매일 체크하고 이를 'SHILOH 앱'을 통해 입력한다면, 사용자의 체중 정보가 서버(20)에 저장되어 날짜별 몸무게 변화 추이 정보를 'SHILOH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에는 'SHILOH 앱' 및 운동과 연계된 정보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운동과 관련된 건강기능식품 정보, 운동용품 정보, 운동의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서버(20)에 저장된 정보는 'SHILOH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운동기기(30)는 전술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서버(2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야 한다. 즉, 운동기기(30)에는 서버(20)와 연계되어 센서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부(31)가 구비되며, 센싱부(31)를 통해 감지된 정보는 서버(20)로 송신된다.
운동기기(30)는 크게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을 위한 운동기기(30)로 구분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무산소 운동을 위한 운동기기(30)를 일례로 설명하도록 한다.
무산소 운동을 위한 운동기기란 웨이트 운동기구가 이에 해당되며, 웨이트 운동기구는 일반적으로 웨이트 블록(중량 추)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근력을 증진시킨다. 그러나, 웨이트 블록 자체의 설정된 무게로만 운동량이 체크되므로, 웨이트 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핀이나 덤벨이나 바벨 등의 경우 웨이트 블록을 결합하기 위한 지지봉과 같은 관련 기구물 전체의 정확한 중량을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보다 정확한 운동 지침을 가이드하는데 애로사항이 있다. 즉, 사용자의 정확한 운동량을 파악하기 위해선 사용자가 들어올리거나 운동에 이용되는 전체 중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운동 가이드 지침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운동기기(30)에는 웨이트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동시, 운동에 사용되는 기구물의 실제 총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센서(31-1)와 상기 기구물을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횟수를 측정하는 위치감지센서(31-2) 및 중량센서(31-1)와 위치감지센서(31-2)를 통해 취득된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하는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를 참조하면, 바벨(도면부호 미기재) 등의 경우 웨이트 블록(35, 무게 추)이 장착된 바벨의 측부를 지지하는 지지대(32)와 지지대(32)를 지탱하기 위한 받침대(33)로 구성된 장치에서, 지지대(32)가 지탱되는 받침대(33)의 접촉점에 로드셀과 같은 중량센서(31-1)를 구성하고, 받침대(33)의 일측에는 지지대와 마주보는 면에 거리감지센서와 같은 위치감지센서(31-2)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운동시 중량센서(31-1)를 통해 정확히 얼마만큼의 중량을 들어올리는지와 위치감지센서(31-2)를 통해 몇 번 들어올렸는지 운동 횟수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중량센서(31-1)와 위치감지센서(31-2)의 결합 위치를 실제 웨이트 운동기기(30)를 통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중량센서(31-1)는 로드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웨이트 블록(35)을 지지하는 지지핀(도면부호 미기재) 상부에 구성하거나, 웨이트 블록(35)이 결합된 지지핀의 상부에 연결된 와이어(도면부호 미기재)에 구성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지지핀 상부와 와이어에 모두 중량센서(31-1)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두 곳 중 어느 한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감지센서(31-2)는 적외선센서나 초음파센서와 같은 거리감지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웨이트 블록(35)의 측면과 웨이트 블록(35)이 안착지지되는 지지프레임(도면부호 미기재) 측면에 구성할 수 있다. 즉, 웨이트 블록(35)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바벨 등을 이용한 웨이트 운동기기(30)의 경우에는 바벨(도면부호 미기재)이 거치되는 거치대(34)에 적어도 하나의 중량센서(31-1)와 적어도 하나의 위치감지센서(31-2)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바벨이 거치되는 거치대(34)에 로드셀을 구성하여 바벨 및 바벨에 결합된 무게 추(도면부호 미기재) 전체의 중량을 정확히 측정하고, 거치대(34) 각각에는 도 5와 같이 위치감지센서(31-2)를 구성하여 바벨을 통한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중량센서(31-1)와 위치감지센서(31-2)를 통한 사용자의 운동량 이외에도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운동기기(30)의 모델 정보가 함께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어떤 종류의 운동기기(30)를 얼마만큼 이용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운동기기(30)의 제반 정보도 함께 서버(20)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량센서(31-1)와 위치감지센서(31-2)를 통해 측정된 운동량 및 운동기기(30) 정보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서버(20)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 별로 저장된다.
이를 위해 운동기기(3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를 운동기기(30)로 전송할 수 있는 웨어러블기기(40)가 사용될 수 있다. 웨어러블기기(40)는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일례로, 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웨어러블기기(40)에는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가 저장되거나 웨어러블기기(40)에 저장된 식별 아이디가 초기화 될 수 있다. 웨어러블기기(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를 통해 웨어러블기기(40)는 운동기기(30)와 센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하는 운동기기(30) 정보 및 운동량을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인 스마트 헬스 방법의 구성 개념도이며, 도 1 내지 도 7과 함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스마트 헬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스 방법은, 전술한 스마트 헬스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으며, 운동기기의 네트워크 구축단계(S10), 서버의 네트워크 구축단계(S20), 회원가입단계(S30), 개인정보 저장단계(S40), 웨어러블기기 세팅단계(S50), 운동기기 이용단계(S60), 운동량 저장단계(S70) 및 정보 제공단계(S80)를 포함하며, 웨어러블기기 초기화단계(S5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운동기기의 네트워크 구축단계(S10)에서는, 전술한 동작을 위해 운동기기(30)에 통신을 위한 식별번호, 즉 고유 IP(Internet Protocol)를 할당하고 웨어러블기기(40) 및 서버(20)와 통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운동기기(30)의 사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전술한 중량센서(31-1)나 위치감지센서(31-2)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부(31)를 구성할 수 있다.
서버의 네트워크 구축단계(S20)에서는, 서버(20)에 고유 IP를 할당하고 운동기기(30) 및 어플리케이션(10)이 저장된 단말이나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서버(20)에는 센싱부(31)를 통해 감지된 정보가 저장되고, 운동기기(30)의 식별번호와 운동기기(30)의 제반 정보, 운동용품 정보, 운동의류 정보 및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포함한 소스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서버(20)에는 전술한 스마트 헬스 시스템에서 언급한 각종 정보들이 모두 저장되고, 저장된 정보는 가공된 형태의 정보이거나 가공되지 않은 형태의 정보로 단말이나 컴퓨터 등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회원가입단계(S30)에서는 서버(20)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10)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나 컴퓨터 등에 설치(Install)하고, 어플리케이션(10)을 이용하기 위한 식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개인정보 저장단계(S40)에서는 상기와 같이 식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10)에 사용자 인증 후 어플리케이션(10) 이용을 위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1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10)과 연계된 서버(20)에 사용자의 개인정보, 즉 상기 스마트 헬스 시스템에서 언급한 개인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웨어러블기기 세팅단계(S50)에서는 운동기기(30)와 통신을 수행하는 웨어러블기기(40)에 식별 아이디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10)에 사용하는 자신의 식별 아이디를 웨어러블기기(40)에 저장할 수 있다. 웨어러블기기(40)에도 통신을 위한 고정 IP가 할당될 수 있다. 웨어러블기기(40)는 다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에 고유 IP가 할당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운동기기(30)를 이용하기 위해 웨어러블기기(40)에 어플리케이션(10)에서 사용하는 자신의 식별 아이디를 저장하거나, 웨어러블기기(40)에 임의의 식별 아이디를 저장하고 저장된 임의의 식별 아이디를 어플리케이션(10)에서 사용하는 자신의 고유 식별 아이디와 매칭시켜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어플리케이션(10)에서 사용하는 자신의 식별 아이디를 웨어러블기기(40)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운동기기 이용단계(S60)에서는, 상기와 같이 웨어러블기기(40)에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를 저장한 후 웨어러블기기(40)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기기(30)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기기(40)와 운동기기(30) 상호간은 비콘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센서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기기(40)를 착용한 사용자가 운동기기(30)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 운동기기(30)에서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를 자동 인식하고 식별 아이디와 매칭되는 사용자가 운동기기(30)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 및 운동기기(30)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세팅된다.
운동량 저장단계(S70)에서는, 상기와 같이 웨어러블기기(40)를 착용한 사용자가 운동기기(30) 이용 시 사용자의 운동량을 전술한 중량센서(31-1) 및 위치감지센서(31-2) 등과 같은 센싱부(31)에서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정확한 운동량 정보를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서버(20)로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동기기(30)를 이용시 바벨과 무게 추(도면부호 미기재) 전체의 정확한 중량 및 몇 회 들어올렸는지 운동횟수를 측정한 후, 측정된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운동을 마치면 웨어러블기기 초기화단계(S50-1)를 통해 웨어러블기기(40)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 아이디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이는 헬스 클럽과 같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시설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의 고유 웨어러블기기(40)를 이용할 경우 웨어러블기기 초기화단계(S50-1)는 사용자가 자신의 식별 아이디를 해제하거나 새로운 식별 아이디를 발급받았을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GUEST 0001'이라는 자신의 식별 아이디를 사용하다가 'GUEST 0002'라는 새로운 식별 아이디를 사용할 경우, 'GUEST 0001'이라는 자신의 식별 아이디가 저장된 웨어러블기기(40)를 초기화시킨 후 다시 'GUEST 0002'라는 새로운 식별 아이디를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정보 제공단계(S80)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식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10)에 접속하여 서버(20)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정확한 운동량을 파악하고, 일례로 자신의 원하는 체중감량 목표치와 감량 기간을 설정한 경우 어플리케이션(10)을 통해 서버(20)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받아 자신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서버(20)에 저장된 정보, 일례로 운동과 관련된 건강기능식품 정보, 운동용품 정보, 운동의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정보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10)을 통해 제공받을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제공받거나, 관련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10) 자체에서 자동으로 제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스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한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 내지 도 8 참조)
먼저, 어플리케이션(10), 서버(20), 운동기기(30) 및 웨어러블기기(40) 각각 및 상호간의 네트워크 환경 구축 및 저장되는 정보들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실제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운동 관련 어플리케이션(10)인, 일례로 'SHILOH 앱'을 설치한 후 실행시킨다.
실행된 'SHILOH 앱'을 통해 회원가입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이용한 식별 아이디(ID)와 패스워드를 설정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식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해 'SHILOH 앱'에 로그인 한다. 로그인 후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한다. 즉, 나이, 성별, 신장, 몸무게(체지방 대비 근력량 포함), 체중감량 목표, 체중감량 기간 등을 입력한다. 일례로, 49살, 남, 175㎝, 몸무게 89㎏, 한 달 간 2㎏ 감량 목표로 입력할 수 있다.
'SHILOH 앱'에서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체중 감량 정보나 하루에 소모해야 할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기기(30) 및 운동방법 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헬스 센터를 방문하여 'SHILOH 앱'에서 설정한 자신의 식별 아이디를 헬스 센터 관리자에게 알려준다. 헬스 센터 관리자는 사용자가 알려준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를 웨어러블기기(40)인 손목밴드에 입력 및 저장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식별 아이디가 저장된 웨어러블기기(40)를 손목에 착용하고, 자신이 이용할 운동기기(30) 또는 'SHILOH 앱'을 통해 추천받은 운동기기(30)를 이용한다.
이때, 사용자가 웨어러블기기(40)를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기기(30)에 일정 간격 다가서게 되면, 운동기기(30)에서 웨어러블기기(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를 인식하고, 이를 서버(20)로 전송한다. 운동기기(30)는 웨어러블기기(40)에 저장된 식별 아이디의 사용자가 운동기기(30)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식별 아이디와 함께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한다.
서버(20)에는 사용자의 운동정보, 즉 운동시간, 운동량(칼로리 소모량 포함) 및 운동기기 정보 등이 식별 아이디와 함께 저장된다. 이때, 운동량이란 일반적으로 운동기기에서 설정된 중량(웨이트 블록의 무게만으로 설정된 중량)이 아닌 전술한 바와 같이 운동기기(30)에 구비된 중량센서(31-1) 및 위치감지센서(31-2)를 통해 사용자가 실제 운동에 사용한 관련 기구물의 총 중량 및 운동횟수에 따른 측정 결과이다.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기기(30)를 이용할 수 있으며, 운동기기(30) 이용에 따른 운동정보는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와 함께 서버(20)로 자동 전송 및 저장된다.
사용자는 모든 운동을 마친 후 웨어러블기기(40)를 헬스 센터에 반납한다. 헬스 센터 관리자는 사용자가 반납한 웨어러블기기(40)에 저장된 식별 아이디를 초기화하고, 새로운 사용자에게 전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를 웨어러블기기(40)에 새로 저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운동을 마치고 웨어러블기기(40)를 반납한 사용자는 추후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SHILOH 앱'을 실행시키고, 자신의 식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해 로그인 한다.
사용자는 'SHILOH 앱'을 통해 자신의 운동정보, 즉 자신이 이용한 운동기기 종류, 운동시간, 운동량(칼로리 소모량), 금일 체중감량 목표치 달성 여부, 현재까지의 운동량 추이, 앞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체중감량 기간 중 남은 체중감량 기간동안 소모해야 할 칼로리 정보 및 이에 따른 추천 운동기기 정보와 운동기기 사용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사용자에게 운동복이나 운동화, 건강보조(기능)식품 및 운동에 필요한 액세서리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공되는 정보는 'SHILOH 앱'을 실행시 자동으로 팝업되도록 설정하거나, 사용자가 미리 저장한 정보에 따라 제공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문적인 트레이너의 도움 없이도 자신에게 적합한 최적의 운동 계획을 세우고, 체계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자신이 이용한 운동기기의 정보도 함께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초보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 운동기구 이용시 실제 자신이 들어올리는 총 무게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통해 운동량 정보는 물론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운동 가이드 정보를 함게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운동 계획 수립 및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 또한, 운동시 웨어러블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기기를 이용하고, 운동시 별도의 설정 없이도 자신의 운동정보를 저장하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어플리케이션 20 : 서버
30 : 운동기기 31 : 센싱부
31-1 : 중량센서 31-2 : 위치감지센서
32 : 지지대 33 : 받침대
34 : 거치대 35 : 웨이트 블록
40 : 웨어러블기기

Claims (7)

  1. 사용자에게 식별 아이디를 부여하고, 상기 식별 아이디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성별, 나이, 신장, 몸무게, 사용자가 좋아하는 스포츠 의류, 신발, 액세서리, 사용자의 체중감량 목표치, 사용자가 주로 운동하고 싶은 부위, 체중감량 기한, 사용자의 체지방량과 근력량, 사용자가 좋아하거나 사용중인 건강보조식품, 사용자가 앓고 있는 질환, 운동량, 운동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 사용자의 체중감량에 적합한 운동기기, 사용자의 체중감량에 적합한 식단, 사용자의 건강 상태와 사용자의 목표 설정에 따른 운동가이드,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기기, 목표 설정에 따른 사용자의 하루 운동량 및 운동 방법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식별 아이디와 개인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정보가 저장되고, 저장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
    상기 서버와 연계되어 센서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부가 구비되며,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운동기기; 및
    사용자의 상기 식별 아이디가 저장되거나 저장된 식별 아이디가 초기화되고, 저장된 상기 식별 아이디를 통해 상기 운동기기와 센서 통신을 수행하는 웨어러블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기기는 지지핀으로 지지되는 웨이트 블록이나 지지봉에 결합되는 바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근력을 증진시키는 웨이트 운동기구에 해당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웨이트 블록을 지지하는 지지핀의 상부에 연결된 와이어에 구성되거나, 상기 웨이트 블록이 장착된 바벨의 측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지탱하기 위한 받침대에 구성되어 상기 웨이트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동시, 운동에 사용되는 기구물의 실제 총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센서; 및
    상기 기구물을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횟수를 측정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기기는,
    상기 웨어러블기기에 저장된 상기 식별 아이디를 기반으로 상기 중량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운동량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정보에는,
    상기 운동기기를 통한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기반으로 한 운동가이드 정보, 사용자의 목표 설정에 따른 운동가이드 정보, 건강기능식품 정보, 운동용품 정보, 운동의류 정보가 모두 포함되는 스마트 헬스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헬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운동기기에 통신을 위한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운동기기의 사용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센싱부를 구성하는 운동기기의 네트워크 구축단계;
    상기 운동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운동기기의 식별번호와 제반 정보, 운동용품 정보, 운동의류 정보 및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포함한 소스정보가 저장되는 상기 서버의 네트워크 구축 단계;
    상기 서버와 연계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식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회원가입단계;
    상기 식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증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상기 서버에 사용자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개인정보 저장단계;
    상기 운동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웨어러블기기에 상기 식별 아이디를 저장하는 웨어러블기기 세팅단계;
    상기 식별 아이디가 저장된 상기 웨어러블기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기를 이용하는 운동기기 이용단계;
    상기 운동기기 이용단계를 통한 사용자의 운동량을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운동량 저장단계;
    상기 식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후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받는 정보 제공단계; 및
    상기 운동기기 이용단계 이후 사용자의 상기 운동기기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식별 아이디가 저장된 상기 웨어러블기기를 초기화하는 웨어러블기기 초기화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량 저장단계에서는,
    상기 웨이트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동시, 운동에 사용되는 기구물의 실제 총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기구물을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횟수를 측정한 후 측정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76188A 2021-06-11 2021-06-11 스마트 헬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29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188A KR102429323B1 (ko) 2021-06-11 2021-06-11 스마트 헬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188A KR102429323B1 (ko) 2021-06-11 2021-06-11 스마트 헬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323B1 true KR102429323B1 (ko) 2022-08-04

Family

ID=82836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188A KR102429323B1 (ko) 2021-06-11 2021-06-11 스마트 헬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658B1 (ko) 2022-11-08 2023-08-08 (주)스포투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용 센서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380A (ko) * 2014-07-14 2016-01-22 유병완 운동센터 관리 시스템의 운동센터 등재 관리 방법
KR20160109177A (ko) * 2015-03-10 2016-09-21 와이유헬스 주식회사 헬스기구의 운동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31724B1 (ko) 2016-06-24 2019-03-20 이민석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190088957A (ko) * 2019-07-22 2019-07-29 유정용 다관절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380A (ko) * 2014-07-14 2016-01-22 유병완 운동센터 관리 시스템의 운동센터 등재 관리 방법
KR20160109177A (ko) * 2015-03-10 2016-09-21 와이유헬스 주식회사 헬스기구의 운동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31724B1 (ko) 2016-06-24 2019-03-20 이민석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190088957A (ko) * 2019-07-22 2019-07-29 유정용 다관절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658B1 (ko) 2022-11-08 2023-08-08 (주)스포투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용 센서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2519B2 (en) Customizing nutritional supplement shake recommendations
JP6454304B2 (ja)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リング方法、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製品及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
TWI650713B (zh) 客製化的訓練建議
KR20200029180A (ko) Ai 기반의 스마트 코칭 방법
US80706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and tracking physical activity among a participating group of individuals
US7063643B2 (en) Physical training machine operation system and method
CA2587491C (en) System for measuring physical performance and for providing interactive feedback
KR102192542B1 (ko) 피트니스 센터의 운영자 및 이용자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60000124A (ko)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모니터링 운동처방 및 관리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KR102429323B1 (ko) 스마트 헬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301810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cardiorespiratory fitness
KR20050112217A (ko) 회원의 신체상태에 적합한 헬스클럽의 운동관리 시스템 및방법,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운동방법 관리장치
KR20100052951A (ko) 일체형 헬스케어 장치
KR20210087165A (ko) 피트니스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모바일 피트니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44196B1 (ko)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
KR101940032B1 (ko)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맞춤형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
KR20160008685A (ko) 운동센터 등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638162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형 개별 운동서비스방법
JP6049424B2 (ja) 活動量測定端末を用いた健康管理システム
KR20220041466A (ko) 사용자 맞춤형 운동기구 매칭 시스템
CN107016227B (zh) 一种智能设备联动型基于实时运转数据的运动处方的运转指导系统
KR100676941B1 (ko) 운동능력 측정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118034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verting exercise activity into user credit
KR20160008380A (ko) 운동센터 관리 시스템의 운동센터 등재 관리 방법
KR20180072235A (ko) 신체 운동량을 이용한 게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