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250A -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250A
KR20200008250A KR1020180082146A KR20180082146A KR20200008250A KR 20200008250 A KR20200008250 A KR 20200008250A KR 1020180082146 A KR1020180082146 A KR 1020180082146A KR 20180082146 A KR20180082146 A KR 20180082146A KR 20200008250 A KR20200008250 A KR 20200008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value
user
information
muscl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6626B1 (ko
Inventor
윤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80082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626B1/ko
Priority to PCT/KR2019/003687 priority patent/WO2020017734A1/ko
Publication of KR20200008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들은: 운동 기구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상기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고 있는 제 1 근육 부위의 1RM(1 Repetition Maximum)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에 기초하여,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 및 상기 운동 처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운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A SERVER AND A COMPUTER PROGRAM THAT PROVIDES EXERCISE PRESCRIPTION INFORMATION}
본 개시는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1RM 값에 기반한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이트 트레이닝(weight training)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다양한 운동기구가 설치된 피트니스 센터(fitness center)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개개인마다 신체적 특성과 선호하는 운동이 모두 다르다. 또한,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에 따라 운동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를 사용자 스스로 판단하여 운동하는 것은 자칫 다양한 부작용 및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운동을 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및 부상을 최소화하고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개인 트레이너를 고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개인 트레이너를 고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발생하며, 트레이너의 실력 편차에 따라 사용자에게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개인 트레이너가 관리할 수 있는 인원에는 한계가 있어, 개인 트레이너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잘못된 방법으로 운동을 행함으로써 많은 사용자들이 운동을 중도에 포기하거나, 부상을 당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운동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당업계의 요구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4113호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1RM 값에 기반한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들은: 운동 기구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상기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고 있는 제 1 근육 부위의 1RM(1 Repetition Maximum)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에 기초하여,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 및 상기 운동 처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운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운동하고 하고 있는 운동 기구의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 및 반복하여 운동한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맵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운동 이력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동 기구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근육 부위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한 상기 제 1 근육 부위 및 상기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사전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 1 근육 부위에 대한 제 1 운동 이력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운동 정보 및 상기 제 1 운동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사전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 1 근육 부위와 다른 제 2 근육 부위에 대한 제 2 운동 이력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운동 정보 및 상기 제 2 운동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수학식
Figure pat00001
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1RM 값을 측정 값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X1은 1회 최대로 들어 올릴 수 있는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을 나타내고, 상기 W1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개수만큼 들어 올릴 수 있는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을 나타내고, 상기 R1은 사용자가 반복하여 운동한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수학식
Figure pat00002
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1RM 값을 측정 값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X2은 1회 최대로 들어 올릴 수 있는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을 나타내고, 상기 W2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개수만큼 들어 올릴 수 있는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을 나타내고, 상기 R2은 사용자가 반복하여 운동한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복수의 근육 부위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근육 부위의 1RM 값이 측정된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 이상의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근육 부위 중 나머지 근육 부위에 대한 1RM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RM 값에 기초하여, 운동 처방 정보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운동 기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운동 목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 및 상기 운동 목적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처방 정보는,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에 특정 값을 곱하여 산출된 상기 운동 기구의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 및 운동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값은, 상기 사용자의 운동 목적에 따라 다르게 맵핑되어 메모리에 사전 저장된 값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는,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다시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추천 운동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상기 서버는: 운동 기구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상기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고 있는 제 1 근육 부위의 1RM(1 Repetition Maximum) 값을 측정하는 1RM 관리부; 및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에 기초하여,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운동 처방 정보 및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운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사용자에게 올바른 운동 방법을 알려주기 위한 1RM 값에 기반한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서버, 운동 기구 및 사용자 단말기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 관계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정보" 및 "데이터"는 종종 서로 상호교환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 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 내용에서, 1RM(1 Repetition Maximum) 값은 사용자가 1회 최대로 들어 올릴 수 있는 중량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은, 사용자가 제 1 근육 부위를 이용하여, 1회에 100Kg의 부하를 들어올릴 수 있는 경우, 100Kg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서버, 운동 기구 및 사용자 단말기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 관계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에서의 서버(100)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0)는 임의의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등에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판독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OM(판독 전용 메모리),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CD(컴팩트 디스크)-ROM, DV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통신 매체는,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매체는 네트워크(400)로 연결된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서버(100)의 구성은 하기의 도 2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개시된다. 여기서, 서버(100)는 피트니스 센터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운동 기구(2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피트니스 센터에 등록된 회원들 각각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운동 정보는,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고 있는 운동 기구(200)의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 및 반복하여 운동한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운동 기구(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근육 부위의 1RM(1 Repetition Maximum)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과 사용자의 운동 목적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운동 처방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사용자가 직접 1RM 값을 측정하기 위해 적합하지 않은 중량으로 운동하여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운동 목적에 적합한 운동 처방을 제공할 수 있다.
운동 기구(200)는 특정 운동 장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근육의 수축 이완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벨, 덤벨, 픽 덱 플라이(pec-deck fly), 렛 풀 다운(lat pull down), 시티드 케이블 로우(롱풀, seated cable row), 케이블 푸시 다운(cable push down) 시티드 체스트 프레스(seated chest press), 인클라인 체스트 프레스(Incline Chest Press) 등 다양한 운동 장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기구(20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동 기구(200)는 사용자 식별 정보,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동 기구(200)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사용자 ID카드 등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운동 기구(20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수신기 또는 IC(integrated circuit)카드 리더기 또는 MS(magnetic stripe)카드 리더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0)가 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 book),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임의의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등에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판독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OM(판독 전용 메모리),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CD(컴팩트 디스크)-ROM, DV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통신 매체는,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매체는 네트워크(400)로 연결된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 운동 기구(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 중 적어도 둘 이상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상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시되는 네트워크(400)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Public Switiched Telephone Network),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Rate Adaptive DSL), MDSL(Multi Rate DSL), VDSL(Very High Speed DSL), UADSL(versal Asymmetric DSL), HDSL(High Bit Rate DSL) 및 근거리 통신망(LAN)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네트워크(400)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Carrier-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네트워크(40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WAN: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400)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서버(100)는 통신부(110), 1RM 관리부(120),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서버(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서버(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별개의 칩이나 모듈이나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장치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서버(100)와 통신 시스템 사이, 서버(100)와 운동 기구(200) 사이,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300) 사이, 또는 서버(100)와 외부 서버(미도시)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서버(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운동 기구(2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운동 정보는,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고 있는 운동 기구(200)의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 및 반복하여 운동한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1RM 관리부(120)는, 통신부(110)가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고 있는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는 1RM 관리부(120)가 측정한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에 기초하여,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운동 처방 정보를 운동 기구(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서버(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40)는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버(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서버(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파일 관리, 메인 프레임이나 공중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 장치 공유)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서버(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서버(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에 의하여 상기 서버(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40)는 운동 기구(200)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각각의 프로필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들 각각의 프로필은,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맵핑된 운동 부위(또는 근육 부위) 별 운동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사용자의 운동 목적에 따라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값들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는 운동 처방 정보에 포함되는 운동 기구의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 및 운동 횟수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운동 처방 정보에 포함되는 운동 기구의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은,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에 특정 값을 곱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특정 값은 사용자의 운동 목적에 따라 다르게 맵핑되어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서버 제어와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5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서버(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서버(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200) 중 하나인 시티드 케이블 로우를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티드 케이블 로우를 일례로 설명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운동 기구(200)는 특정 운동 장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근육의 수축 이완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운동 장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운동 기구(200)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기구(200)는 디스플레이부(210). 웨이트 블록(220), 와이어(230), 힘 수신부(240), 사용자 식별 정보 인식부(250), 통신부(미도시) 및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운동 기구(200)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운동 기구(2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별개의 칩이나 모듈이나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장치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210)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수신한 운동 처방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웨이트 블록(220) 각각은 일측면에 삽입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복수의 웨이트 블록(220) 중 자신이 원하는 중량에 대응하는 웨이트 블록에 조절핀(참조번호 미기재)을 삽입함으로써 움직이는 제1 웨이트 블록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핀이 복수의 웨이트 블록 중 특정 웨이트 블록의 일 측면에 구비된 삽입 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특정 웨이트 블록에 대응하는 중량으로 중량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웨이트 블록의 중량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조절핀을 복수의 웨이트 블록 중 자신이 원하는 중량에 대응하는 웨이트 블록의 측면에 구비된 삽입 홈에 삽입하면 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웨이트 블록 각각은 스위치 형태의 복수의 조절핀(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복수의 웨이트 블록(220) 중 자신이 원하는 중량에 대응하는 웨이트 블록의 조절핀에 일정한 힘을 가함(예를 들어, 스위치처럼 조절핀을 움직이기 위해 조절필에 힘을 가함)으로써 움직이는 웨이트 블록의 개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와이어(230)는 웨이트 블록(220)과 힘 수신부(240)를 연결할 수 있다. 와이어(230)는 힘 수신부(240)가 수신한 힘을 웨이트 블록(220)에 전달할 수 있다. 와이어(230)는 조절핀(참조번호 미기재)에 의해 특정 중량의 웨이트 블록(220)들과 연결될 수 있다.
힘 수신부(24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형태가 될 수 있다. 일례로, 힘 수신부(24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전달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힘 수신부(240)는 사용자가 손으로 미는 힘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식별 정보 인식부(250)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식별 정보 인식부(250)는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특정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카드는 NFC카드, IC카드 및 MS카드일 수 있다. 즉, 사용자 식별 정보 인식부(25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수신기 또는 IC(integrated circuit)카드 리더기 또는 MS(magnetic stripe)카드 리더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부(210)에 내장되어,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 가능한 특정 버튼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버튼이 눌리는 것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운동 목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를 식별 가능한 ID 또는 특정 코드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운동 기구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여기서, 사용자의 운동 정보는,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고 있는 운동 기구(200)의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 및 반복하여 운동한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단계(S100)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 식별 정보,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고 있는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할 수 있다(S200).
구체적으로,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140)에 사전 저장된 사용자의 운동 이력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운동 기구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운동 기구에서 운동하고 있는 제 1 근육 부위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운동 기구에서 운동하고 있는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 및 반복하여 운동한 횟수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운동 이력 정보, 제 1 근육 부위,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 및 반복하여 운동한 횟수에 기초하여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가 사용자의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보다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에서 후술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복수의 근육 부위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근육 부위 중 나머지 근육 부위에 대한 1 RM을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복수의 근육 부위 중 하나의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이용하여 나머지 근육 부위에 대한 1RM 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다시 측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300)로 추천 운동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운도 정보는, 제 1 근육 부위에 대응하는 운동을 하도록 운동을 추천하는 정보 및 제 1 근육 부위를 추정할 수 있는 다른 근육 부위에 대응하는 운동을 하도록 운동을 추천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의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는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에 기초하여,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00).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사용자의 운동 목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의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는 사용자의 운동 목적에 따라,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운동 목적은 근력 증가, 근비대 및 근지구력 강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의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가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보다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 및 운동 처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운동 기구(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S400).
운동 기구(200)는,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 및 운동 처방 정보를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부(210)에 운동 처방 정보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 및 운동 처방 정보를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 및 운동 처방 정보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 및 운동 처방 정보가 포함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식별된 사용자의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맵핑하여, 메모리(140)에 저장된 운동 이력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S500).
따라서,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경우, 업데이트 되어 메모리(140)에 저장된 운동 이력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운동 기구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는 제 1 근육 부위를 인식할 수 있다(S211).
서버(100)의 메모리(140)는 운동 기구(200) 각각에 부하가 전달되는 근육 부위를 맵핑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운동 기구 식별 정보를 통해 식별된 운동 기구(200)와 맵핑되어 메모리(140)에 저장된 근육 부위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운동 기구 식별 정보를 통해, 운동 기구가 시티드 케이블 로우인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메모리(140)에 시티드 케이블 로우와 맵핑하여 저장된 근육 부위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운동 기구가 시티드 케이블 로우로 식별된 경우, 운동 기구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는 제 1 근육 부위가 광배근, 능형근, 승모근상부 및 상완이두근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제어부(150)가 인식한 제 1 근육 부위와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할 수 있다(S212). 여기서, 사용자의 운동 정보는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 및 반복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 인식 정보에 포함된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 및 반복 횟수를 1RM 값 측정식에 대입하여,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1RM 값 측정식은 이하 수학식 1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X1은 1회 최대로 들어 올릴 수 있는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1RM 값)을 나타내고, W1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7~8회)만큼 들어 올릴 수 있는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을 나타내며, R1은 사용자가 반복하여 운동한 횟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가 제 1 근육 부위에 대응하는 운동을 100Kg의 중량 값으로 8회 반복하여 운동한 것으로 인식한 경우, 수학식 1의 W1에 100Kg을 대입하고 R1에 8을 대입하여, X1 값이 120Kg이라는 것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제 1 근육 부위에 대응하는 1RM 값이 120Kg 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1RM 값 측정식은 이하 수학식 2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X2은 1회 최대로 들어 올릴 수 있는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1RM 값)을 나타내고, W2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7~8회)만큼 들어 올릴 수 있는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을 나타내며, R2은 사용자가 반복하여 운동한 횟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가 제 1 근육 부위에 대응하는 운동을 80Kg의 중량 값으로 10회 반복하여 운동한 것으로 인식한 경우, 수학식 2의 W2에 80Kg을 대입하고 R1에 10을 대입하여, X2 값이 106.7Kg이라는 것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제 1 근육 부위에 대응하는 1RM 값이 106.7Kg 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1RM 관리부(120)는 1RM 값 산출식을 통해 산출된 결과 값을 기 설정된 조건(예를 들어, 자연수 5단위로 반올림)에 따라 반올림하여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의 설명에서,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메모리(140)에 사전 저장된 사용자의 제 1 근육 부위에 대한 제 1 운동 이력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S221). 여기서, 제 1 운동 이력 정보는, 사용자가 이전에 제 1 근육 부위에 대한 운동을 수행했을 때, 서버(100)가 운동 기구(200)로부터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140)에 저장한 정보일 수 있다.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운동 정보 및 제 1 운동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산출할 수 있다(S222)
구체적으로,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인 제 1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제 1 운동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인 제 2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제 1 값과 제 2 값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이 90Kg이고, 제 1 운동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 2 근육 부위의 1RM 값이 80Kg인 경우, 90Kg과 80Kg의 평균 값인 85Kg를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운동 정보 및 제 1 운동 이력 정보에 포함된 웨이트 블록 중량 값의 평균과 반복 횟수의 평균을 이용하여,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포함된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이 80Kg이고, 제 1 운동 이력 정보에 포함된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이 60Kg, 70Kg 및 80Kg인 경우, 웨이트 블록 중량 값의 평균 값 72.5Kg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포함된 반복 횟수가 10회이고, 제 1 운동 이력 정보에 포함된 반복 횟수가 10회, 8회 및 8회인 경우, 반복 횟수의 평균 값 9회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의 평균 값 72.5Kg과 반복 횟수의 평균 값 9회를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에 대입하여,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1RM 값 산출식을 이용하여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도 5에 자세히 상술한 바, 중복되는 내용이므로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운동 정보 및 운동 이력 정보 각각에 포함된 특정 값들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제 1 근육 부위의 정확한 1RM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가 적합하지 않은 중량으로 운동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제 1 운동 이력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제 1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1RM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고 있는 정보인 사용자의 제 2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1RM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이전에 운동하여 산출한 1RM 값과 현재 운동하여 산출된 1RM 값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대한 정보를 운동 기구(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의 제 1 근육 부위에 대한 1RM 값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의 설명에서,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메모리(140)에 사전 저장된 사용자의 제 2 근육 부위에 대한 제 2 운동 이력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S231). 여기서, 제 2 운동 이력 정보는, 사용자가 이전에 제 1 근육 부위와 상이한 제 2 근육 부위에 대한 운동을 수행했을 때, 서버(100)가 운동 기구(200)로부터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140)에 저장한 정보일 수 있다.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운동 정보 및 제 2 운동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산출할 수 있다(S232).
일례로,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인 제 1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제 2 운동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근육 부위의 1RM 값 인 제 2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제 1 값과 제 2 값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의 1RM 관리부(120)는 제 1 값이 80Kg이고, 제 2 값이 100Kg인 경우, 제 1 값 및 제 2 값의 평균 값인 90Kg을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고 있는 정보인 사용자의 제 1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인 제 1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제 2 운동 이력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제 2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근육 부위의 1RM 값인 제 2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에 대응하는 제 1 값과 사용자의 제 2 근육 부위의 1RM 값에 대응하는 제 2 값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대한 정보를 운동 기구(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의 근육 부위 중 1RM 값이 낮은 근육 부위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추천 운동 정보를 운동 기구(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1RM 값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근육 부위에 대응하는 운동 기구(200)를 추천하는 추천 운동 정보를 운동 기구(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의 근육 부위 중 1RM 값이 낮은 근육 부위에 대응하는 운동 기구(200)를 인식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버(100)의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가 상술한 단계(S200)에서 산출된 1RM 값 및 운동 목적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운동 기구(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의 운동 목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11). 여기서, 운동 목적 정보는, 사용자가 운동 기구(200)의 사용자 입력부(미도시)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하여 서버(100)로 전송된 정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의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는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 및 운동 목적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12).
구체적으로, 서버(100)의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는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에 특정 값을 곱하여 산출된 운동 기구의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을 포함하는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값은 사용자의 운동 목적에 따라 다르게 맵핑되어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는 상기 특정 값과 맵핑되어 메모리(140)에 저장된 반복 횟수를 포함하는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버(100)의 메모리(140)는 사용자의 운동 목적에 따른 중량 값을 결정할 수 있는 1RM 값의 비율 및 상기 1RM 값의 비율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를 맵핑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서버(100)의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는, 제 1 사용자의 운동 목적이 근력 증가인 경우, 근력 증가에 대응하는 1RM 값에 대한 비율이 100% 또는 90%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는 근력 증가에 대응하는 1RM 값에 대한 비율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가 1~2회 또는 3~5회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의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는, 제 1 사용자의 운동 목적이 근력 증가이고, 제 1 사용자의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이 100Kg인 경우, 100Kg으로 1~2회 운동하도록 제안하는 정보 또는, 90Kg으로 3~5회 운동하도록 제안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서버(100)의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는, 제 1 사용자의 운동 목적이 근비대인 경우, 근비대에 대응하는 1RM 값에 대한 비율이 85%, 80% 및 75%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는 근비대에 대응하는 1RM 값에 대한 비율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가 6~8회, 8~10회 및 10~12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의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는, 제 1 사용자의 운동 목적이 근비대이고, 제 1 사용자의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이 100Kg인 경우, 85Kg으로 6~8회 운동하도록 제안하는 정보, 80Kg으로 8~10회 운동하도록 제안하는 정보 및 75Kg으로 10~12회 운동하도록 제안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서버(100)의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는, 제 1 사용자의 운동 목적이 근지구력 강화인 경우, 근지구력 강화에 대응하는 1RM 값에 대한 비율이 70%, 50% 및 35%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는 근지구력 강화에 대응하는 1RM 값에 대한 비율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가 13~15회, 20~30회 및 50~60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의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130)는, 제 1 사용자의 운동 목적이 근지구력 강화이고, 제 1 사용자의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이 100Kg인 경우, 70Kg으로 13~15회 운동하도록 제안하는 정보, 50Kg으로 20~30회 운동하도록 제안하는 정보 및 35Kg으로 50~60회 운동하도록 제안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도 4 및 도 8의 단계는 필요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가 생략 또는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단계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개시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보여질 수 있는 제 1 인터페이스(50)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운동 기구(200)의 디스플레이부(21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인터페이스(5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제 1 인터페이스(50)는 제 1 영역(51)에 식별 된 사용자 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의 ID가 정확하게 식별되었는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50)는 제 2 영역(52)에 운동 목표를 달성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순위에 대한 정보 및 식별 된 사용자의 목표 달성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운동 기구(200)는 제 1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른 사용자들의 달성률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운동하고자 하는 의지를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인터페이스(50)는 제 3 영역(53)에 사용자의 운동 목적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인디케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인디케이터는 근비대, 근력 증가 및 근지구력 강화 등과 같은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인터페이스(50)는 제 4 영역(54)에 추천 달성률에 대한 정보, 추천 달성률을 수행하는 예상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추천 운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의 제 3 영역(53)에 포함된 복수의 인디케이터 중 근비대에 대응하는 제 1 인디케이터 대한 터치 입력을 한 경우, 보여질 수 제 2 인터페이스(60)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운동 기구(200)의 디스플레이부(21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인터페이스(6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제 2 인터페이스(60)는 제 5 영역(61)에 입력된 운동 목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터페이스(60)는 제 6 영역(62)에 입력된 운동 목적에 따라 추천하는 웨이트 블록의 중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터페이스(60)는, 제 7 영역(64)에 입력된 운동 목적에 따라 추천하는 반복 횟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에게 적합한 웨이트 블록의 중량 및 반복 횟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터페이스(60)는, 제 8 영역(63)에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고 있는 근육의 1RM 값에 대한 정보 및 상기 1RM 값이 측정된 날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의 1RM 값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측정된 날짜를 확인하여, 본인이 최근에 운동한 시점을 암시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운동 기구(200)의 디스플레이부(210)가 운동 처방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위해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형태 및 위치는 일 예시 불과하며,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전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가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의 모듈은 특정의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의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시져,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방법이 단일-프로세서 또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는 물론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가능 가전 제품, 기타 등등(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비롯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개시의 설명된 실시예들은 또한 어떤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둘다에 위치할 수 있다.
컴퓨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transitory) 및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 및 비-일시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등을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컴퓨터(1102)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여러가지 측면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환경(1100)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컴퓨터(1102)는 처리 장치(1104), 시스템 메모리(1106) 및 시스템 버스(1108)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1108)는 시스템 메모리(1106)(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비롯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처리 장치(1104)에 연결시킨다. 처리 장치(1104)는 다양한 상용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듀얼 프로세서 및 기타 멀티프로세서 아키텍처도 역시 처리 장치(1104)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108)는 메모리 버스, 주변장치 버스, 및 다양한 상용 버스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에 추가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몇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06)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110)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12)를 포함한다.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은 ROM, EPROM,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1110)에 저장되며, 이 BIOS는 시동 중과 같은 때에 컴퓨터(1102)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일을 돕는 기본적인 루틴을 포함한다. RAM(1112)은 또한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정적 RAM 등의 고속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102)는 또한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114)(예를 들어, EIDE, SATA)―이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는 또한 적당한 섀시(도시 생략) 내에서 외장형 용도로 구성될 수 있음―, 자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1116)(예를 들어, 이동식 디스켓(1118)으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예를 들어, CD-ROM 디스크(1122)를 판독하거나 DVD 등의 기타 고용량 광 매체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를 포함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1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6)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8)에 의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될 수 있다. 외장형 드라이브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1124)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둘다를 포함한다.
이들 드라이브 및 그와 연관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 데이터 구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기타 등등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컴퓨터(1102)의 경우, 드라이브 및 매체는 임의의 데이터를 적당한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에 대응한다. 상기에서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대한 설명이 HDD, 이동식 자기 디스크, 및 CD 또는 DVD 등의 이동식 광 매체를 언급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집 드라이브(zip drive),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카트리지, 기타 등등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다른 유형의 저장 매체도 역시 예시적인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 임의의 이러한 매체가 본 개시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운영 체제(1130),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32), 기타 프로그램 모듈(1134) 및 프로그램 데이터(1136)를 비롯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이 드라이브 및 RAM(1112)에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모듈 및/또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그 일부분이 또한 RAM(1112)에 캐싱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여러가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유선/무선 입력 장치, 예를 들어, 키보드(1138) 및 마우스(1140) 등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1102)에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도시 생략)로는 마이크, IR 리모콘, 조이스틱, 게임 패드, 스타일러스 펜, 터치 스크린, 기타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입력 장치가 종종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처리 장치(1104)에 연결되지만, 병렬 포트, IEEE 1394 직렬 포트, 게임 포트, USB 포트, IR 인터페이스, 기타 등등의 기타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1144)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역시 비디오 어댑터(1146)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모니터(1144)에 부가하여,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스피커, 프린터, 기타 등등의 기타 주변 출력 장치(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한 원격 컴퓨터(들)(1148) 등의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로의 논리적 연결을 사용하여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들)(1148)는 워크스테이션, 서버 컴퓨터, 라우터,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오락 기기, 피어 장치 또는 기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컴퓨터(1102)에 대해 기술된 구성요소들 중 다수 또는 그 전부를 포함하지만, 간략함을 위해, 메모리 저장 장치(1150)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논리적 연결은 근거리 통신망(LAN)(1152) 및/또는 더 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원거리 통신망(WAN)(1154)에의 유선/무선 연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LAN 및 WAN 네트워킹 환경은 사무실 및 회사에서 일반적인 것이며, 인트라넷 등의 전사적 컴퓨터 네트워크(enterprise-wide computer network)를 용이하게 해주며, 이들 모두는 전세계 컴퓨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156)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1152)에 연결된다. 어댑터(1156)는 LAN(1152)에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으며, 이 LAN(1152)은 또한 무선 어댑터(1156)와 통신하기 위해 그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모뎀(1158)을 포함할 수 있거나, WAN(1154) 상의 통신 서버에 연결되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하는 등, WAN(1154)을 통해 통신을 설정하는 기타 수단을 갖는다. 내장형 또는 외장형 및 유선 또는 무선 장치일 수 있는 모뎀(1158)은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컴퓨터(1102)에 대해 설명된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그의 일부분이 원격 메모리/저장 장치(1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네트워크 연결이 예시적인 것이며 컴퓨터들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기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컴퓨터(1102)는 무선 통신으로 배치되어 동작하는 임의의 무선 장치 또는 개체, 예를 들어, 프린터, 스캐너, 데스크톱 및/또는 휴대용 컴퓨터, PDA(portable data assistant), 통신 위성, 무선 검출가능 태그와 연관된 임의의 장비 또는 장소, 및 전화와 통신을 하는 동작을 한다. 이것은 적어도 Wi-Fi 및 블루투스 무선 기술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은 종래의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미리 정의된 구조이거나 단순하게 적어도 2개의 장치 사이의 애드혹 통신(ad hoc communication)일 수 있다.
Wi-Fi(Wireless Fidelity)는 유선 없이도 인터넷 등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Wi-Fi는 이러한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가 실내에서 및 실외에서, 즉 기지국의 통화권 내의 아무 곳에서나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셀 전화와 같은 무선 기술이다. Wi-Fi 네트워크는 안전하고 신뢰성 있으며 고속인 무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IEEE 802.11(a,b,g, 기타)이라고 하는 무선 기술을 사용한다. 컴퓨터를 서로에, 인터넷에 및 유선 네트워크(IEEE 802.3 또는 이더넷을 사용함)에 연결시키기 위해 Wi-Fi가 사용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는 비인가 2.4 및 5 GHz 무선 대역에서, 예를 들어, 11Mbps(802.11a) 또는 54 Mbps(802.11b) 데이터 레이트로 동작하거나, 양 대역(듀얼 대역)을 포함하는 제품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ㄹ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들은:
    운동 기구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상기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고 있는 제 1 근육 부위의 1RM(1 Repetition Maximum)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에 기초하여,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 및 상기 운동 처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운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운동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운동하고 하고 있는 운동 기구의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 및 반복하여 운동한 횟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맵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운동 이력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동 기구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근육 부위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한 상기 제 1 근육 부위 및 상기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사전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 1 근육 부위에 대한 제 1 운동 이력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운동 정보 및 상기 제 1 운동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사전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 1 근육 부위와 다른 제 2 근육 부위에 대한 제 2 운동 이력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운동 정보 및 상기 제 2 운동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수학식
    Figure pat00005
    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1RM 값을 측정 값으로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X1은 1회 최대로 들어 올릴 수 있는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을 나타내고, 상기 W1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개수만큼 들어 올릴 수 있는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을 나타내고, 상기 R1은 사용자가 반복하여 운동한 횟수를 나타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수학식
    Figure pat00006
    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1RM 값을 측정 값으로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X2은 1회 최대로 들어 올릴 수 있는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을 나타내고, 상기 W2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개수만큼 들어 올릴 수 있는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을 나타내고, 상기 R2은 사용자가 반복하여 운동한 횟수를 나타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복수의 근육 부위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근육 부위의 1RM 값이 측정된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 이상의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근육 부위 중 나머지 근육 부위에 대한 1RM 값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RM 값에 기초하여, 운동 처방 정보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운동 기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운동 목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 및 상기 운동 목적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처방 정보는,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에 특정 값을 곱하여 산출된 상기 운동 기구의 웨이트 블록의 중량 값 및 운동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값은,
    상기 사용자의 운동 목적에 따라 다르게 맵핑되어 메모리에 사전 저장된 값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측정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을 다시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추천 운동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운동 기구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운동 기구 식별 정보 및 상기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고 있는 제 1 근육 부위의 1RM(1 Repetition Maximum) 값을 측정하는 1RM 관리부; 및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에 기초하여, 운동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운동 처방 정보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운동 처방 정보 및 상기 제 1 근육 부위의 1RM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운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KR1020180082146A 2018-07-16 2018-07-16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56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146A KR102156626B1 (ko) 2018-07-16 2018-07-16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PCT/KR2019/003687 WO2020017734A1 (ko) 2018-07-16 2019-03-29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146A KR102156626B1 (ko) 2018-07-16 2018-07-16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250A true KR20200008250A (ko) 2020-01-28
KR102156626B1 KR102156626B1 (ko) 2020-09-17

Family

ID=6916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146A KR102156626B1 (ko) 2018-07-16 2018-07-16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6626B1 (ko)
WO (1) WO202001773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098A (ko) * 2021-02-15 2022-08-23 (의료)길의료재단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이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3128612A1 (ko) *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디랙스 Ai운동가이드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25316A1 (en) 2018-12-28 2020-07-02 Kyowa Kirin Co., Ltd. Bispecific antibody binding to tfr
CN114388100B (zh) * 2022-01-14 2022-09-02 清华大学 肌肉映射模型的建立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313B1 (ko) * 2000-09-19 2005-09-09 김양수 맞춤 운동 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44113A (ko) 2009-10-22 2011-04-28 (주)인성정보 운동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6809A (ko) * 2014-01-20 2015-07-29 제이에스씨 주식회사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 관리 방법
KR20170067467A (ko) * 2015-12-08 2017-06-1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활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KR101772123B1 (ko) * 2014-11-19 2017-08-28 김병욱 최대 근력 측정기 및 최대 근력에 기초한 운동 처방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907B1 (ko) * 2009-08-27 2013-10-08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운동 처방 시스템 및 운동 처방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313B1 (ko) * 2000-09-19 2005-09-09 김양수 맞춤 운동 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44113A (ko) 2009-10-22 2011-04-28 (주)인성정보 운동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6809A (ko) * 2014-01-20 2015-07-29 제이에스씨 주식회사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 관리 방법
KR101772123B1 (ko) * 2014-11-19 2017-08-28 김병욱 최대 근력 측정기 및 최대 근력에 기초한 운동 처방 제공 시스템
KR20170067467A (ko) * 2015-12-08 2017-06-1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활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098A (ko) * 2021-02-15 2022-08-23 (의료)길의료재단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이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3128612A1 (ko) *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디랙스 Ai운동가이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626B1 (ko) 2020-09-17
WO2020017734A1 (ko)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8250A (ko)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TWI658706B (zh) Data transmission system
US1154127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quential tasks via task specific user interface elements
US20020173407A1 (en) Exercise information system
KR102196344B1 (ko)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US20190143174A1 (en) Motion training guide system based on wearable sensor and method thereof
US20050283051A1 (en) Portable health information displaying and managing device
KR101607748B1 (ko) 운동 기구 및 운동량 측정 시스템
KR102019202B1 (ko) 개인건강기록에 기반하여 개인 맞춤형 운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의 동작방법
KR102145692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피트니스 회원 관리시스템
KR20190016373A (ko) 대화형 개인 맞춤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33818B1 (ko) 건강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US20160250518A1 (en) Online coaching method enabling online communication between trainer and trainee
KR20160147297A (ko)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KR102106429B1 (ko) 운동 기구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65593A (ko)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US20050064995A1 (en) Exercise support system
KR20050112217A (ko) 회원의 신체상태에 적합한 헬스클럽의 운동관리 시스템 및방법,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운동방법 관리장치
KR102284441B1 (ko) 개인 맞춤형 근력 운동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운동 지원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20210123012A (ko) 대화형 개인 맞춤 필라테스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896759B2 (en) Intelligent grouping of peers in motivational programs
KR102356927B1 (ko)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서버 장치
KR102033062B1 (ko)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KR20120013817A (ko) 건강 관련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129524A (ko) 개인 맞춤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