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062B1 -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062B1
KR102033062B1 KR1020180078111A KR20180078111A KR102033062B1 KR 102033062 B1 KR102033062 B1 KR 102033062B1 KR 1020180078111 A KR1020180078111 A KR 1020180078111A KR 20180078111 A KR20180078111 A KR 20180078111A KR 102033062 B1 KR102033062 B1 KR 102033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ser
information
item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1030A (ko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Priority to KR1020180078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0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81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04L67/2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집이나 직장, 혹은 이동중에 언제, 어디서든 일상 생활에서의 활동을 이용한 생활 운동을 유도하도록 하며, 올바른 운동 방법과 지속적인 동기부여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움직임 감지신호를 생성 및 송신하기 위한 IoT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상 생활 정보가 입력되고, 다종의 운동 종목에 대한 동작 패턴이 저장되며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과 등급을 분석하여 일일 권장 운동량과 운동 종목을 산출 및 안내하며, 상기 IoT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일일 권장 운동량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Management and encourage system for practical exercise using internet of things platform}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통한 기기 간의 네트워크 망을 구축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집이나 직장, 혹은 이동중에 언제, 어디서든 일상 생활에서의 활동을 이용한 생활 운동을 유도하도록 하며, 올바른 운동 방법과 지속적인 동기부여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스마트폰 모델인 아이폰의 출시 이후 폭발적인 증가세를 이어온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듦에 따라 새로운 개념의 모바일 기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차세대 모바일 기술의 대표적인 주자로 ‘착용하는 전자기기’를 뜻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가 부상하고 있으며,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정보처리/엔터테인먼트 목적과 헬스케어 목적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삼성전자, 애플, 구글과 같은 IT분야 선도 기업은 물론 나이키, 아디다스와 같은 운동 용품 전문 기업들까지 포함하는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혁신적인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IT 전문기업 및 중소규모 IT 업체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주로 건강관리와 웰빙 목적의 헬스케어 제품에 집중되고 있다.
한편 발달된 스마트 기기와 센서 기술을 통해 개인 활동 데이터에 대한 정량화가 가능해졌고, 의료서비스의 패러다임이 치료중심에서 개인의 피트니스/웰니스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헬스케어 분야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적용과 확산이 가장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최근 Fibit, Jawbone, FuelBand, Gear Fit과 같은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출시되었으나, 높은 가격과 짧은 배터리 수명으로 인해 사용자 층이 일부에 국한되어 있다.
다가올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의 본격적인 성숙기를 맞이하기 위해 대중이 공감할 수 있는 가격과 장시간의 배터리 수명을 가지는 보급형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발은 물론 이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앱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89765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통한 기기 간의 네트워크 망을 구축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집이나 직장, 혹은 이동중에 언제, 어디서든 일상 생활에서의 활동을 이용한 생활 운동을 유도하도록 하며, 올바른 운동 방법과 지속적인 동기부여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움직임 감지신호를 생성 및 송신하기 위한 IoT 모듈; 및 사용자의 신체 조건 정보, 나이, 성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사용자의 기상 시간, 점심시간, 출, 퇴근 시간, 대중 교통 이용 유무와 방법, 취침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일상생활 정보가 입력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활패턴과 등급을 분석하여 일일 권장 운동량과 운동 종목을 산출하며, 입력된 사용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통해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시간대와 장소를 파악하여 시간대별 또는 장소별로 하나 이상의 운동 종목을 선정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쉬 알람을 통해 해당 운동 종목과 일일 권장 운동량 정보를 안내하며, 다종의 운동 종목에 대한 동작패턴이 저장되며 상기 IoT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일일 권장 운동량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되, 선택된 운동 종목에 대하여 사용자가 운동 활동을 실시할 경우 상기 IoT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움직임 감지 신호가 해당 운동 종목에 대한 기준 패턴 정보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면 자세 교정 신호를 생성하고 푸쉬 알람을 통해 No 카운트 기준과 올바른 운동 자세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최초 사용자 정보의 입력 시, 사용자 본인에 대한 신체와 건강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문진 테스트 항목과 사용자의 기초 체력을 평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자가 테스트 항목을 제시하되, 상기 자가 테스트 항목을 제시함에 있어 사용자가 선택한 테스트 항목의 측정 방법을 안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테스트 항목과 상기 측정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실시한 해당 테스트 항목의 결과를 입력하고, 상기 문진 테스트 및 자가 테스트의 입력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연령별 및 성별 기준 등급과 그에 따른 일일 권장 운동량 및 운동 종목을 산출하여 안내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안내된 상기 운동 종목과 일일 권장 운동량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미달성 신호를 생성하여 푸쉬 알람을 통해 미달성 운동 종목과 잔여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은, 각 운동 종목에 대한 등급별 기준, 체크 방법, No 카운트 기준, IoT 모듈의 착용 위치 및 올바른 운동 자세 방법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선택된 운동 종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과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록되는 사용자들의 운동량 정보 및 운동 기록을 포함한 운동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정보화하는 운영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와 일상 생활 정보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생활 패턴과 등급 등을 분석함으로써 일일 권장 운동량을 안내하여 개인 맞춤형 생활 운동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푸쉬 알람을 통한 메시지 안내와 콜센터나 트레이너의 음성 안내 등을 통해 피트니스센터의 이용이 어려운 사용자로 하여금 집이나 직장, 혹은 이동중에 언제, 어디서든 일상 생활에서의 활동을 이용한 생활 운동을 유도하도록 하며, 올바른 운동 방법과 지속적인 동기부여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창을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와 테스트 항목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200)은 설정된 권장 운동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고,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200)이 지시 및 제공하는 권장 운동량 정보와 운동 정보를 확인하며 그에 따른 생활 운동을 실시하도록 한다.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는 사물인터넷 기반 움직임 감지 모듈(이하 'IoT 모듈'이라 칭함)(100)를 통해 감지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IoT 모듈(100)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운동 실시에 따른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IoT 모듈(100)로부터 송신되는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실시하는 운동 종목에 대한 자세 내지 횟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 상기 IoT 모듈(100)과 사용자 단말(200)은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통해 네트워크 망을 구축하여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공지된 어느 하나의 플랫폼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권장 운동량 정보 및 운동 정보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일일 권장 운동량 정보와 운동 종목 정보는 물론 선택된 운동 종목에 대한 실시 시점과 올바른 자세 방법, 체크 방법, IoT 모듈(100)의 착용 방법 및 카운트 기준 등의 정보를 푸쉬 알람(Push Alarm) 등을 통해 메시지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운동 활동에 대한 지시 또는 권장 운동량의 미달성 시 또는 자세가 불안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 예를 들면 콜센터(a)나 트레이너(b)가 접속되어 음성을 통해 직접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IoT 모듈(100)과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모듈(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생성 및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상호 데이터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IoT 모듈(100)은 클립 내지 밴드 타입 구조로 설계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선택된 위치에 착용 또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oT 모듈(100)은 선택된 운동 종목에 따라 착용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운동 실시에 따른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IoT 모듈(100)은 정확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3차원 모션을 감지할 수 있는 모션 감지 센싱 기술을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IoT 모듈(100)은 3축 가속도 센서 및 3축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상/하, 좌/우 움직임과 이동 거리와 방위각 등을 포함하여 움직임 정보에 대한 다양한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IoT 모듈(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됨으로써 생성된 감지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oT 모듈(100)은 운동 종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IoT 모듈(100)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각 고유의 일련번호를 갖는 바, 이러한 일련번호는 생성된 감지 신호와 함께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서 각각의 IoT 모듈(100)을 식별하고 각 위치에서의 움직임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이 적용될 수 있는 바, 블루투스(bluetooth) 및 와이브로(Wibro)를 포함하는 등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통상의 단말기 간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운동이 실시되는 공간에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망을 구축하거나 와이파이(Wi-Fi) 환경을 조성하여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인증된 IoT 모듈(100)과 접속하여 상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다종의 운동 종목에 대한 동작 패턴이 저장되며, 선택된 운동 종목에 따라 상기 IoT 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운동 종목의 운동량 및 운동 기록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메모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안내 및 수행될 수 있는 다종의 운동 종목 정보와 해당 운동 종목에 대한 동작 패턴이 저장될 수 있다.
예들 들면 일상 생활에서의 활동을 이용한 생활 운동으로 팔굽혀 펴기, 앉았다 일어서기, 계단 오르내리기, 윗몸 일으키기, 걷기 및 달리기에 대한 동작 패턴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패턴 정보는 이하에서 설명한 운영서버(300)에 의해 신규 등록 또는 변경 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신규 또는 변경된 동작 패턴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는 아래의 표 1에서 분류되는 바와 같이 기설정된 각 운동 종목에 대한 등급별 기준, 체크 방법, No 카운트 기준, IoT 모듈(100)의 착용 위치 및 올바른 운동 자세 방법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시하게 되는 운동 종목이 선택되며 해당 운동 종목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어, 운동량 및 운동 기록 측정에서 비교 분석 데이터로 활용되거나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Figure 112018066254343-pat00001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부가 구비되어 사용자 정보와 일상 생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회원 가입된 인증 사용자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등록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정보 및 일상 생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 정보, 나이, 성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상 생활 정보는 일상 생활에서 사용자가 운동 활동이 가능한 정보로 기상 시간, 점심시간, 출, 퇴근 시간, 대중 교통 이용 유무와 방법, 취침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일상 생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활 패턴과 등급을 분석하여 일일 권장 운동량 정보를 산출 및 안내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일일 권장 운동량 정보의 기준은 아래의 표 2 및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른 연령별, 성별로 결정됨은 물론 이하에서 설명하는 문진 테스트와 자가 테스트 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8066254343-pat00002
Figure 112018066254343-pat00003
상기 문진 테스트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신체를 평가하는 테스트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최초 사용자에 대한 일일 권장 운동량 정보를 산출함에 있어 도 12a 및 도 12b와 같은 다양한 문진 테스트 항목을 제시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선택 및 입력한 문진 테스트 정보에 따라 문진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삭제
또한 상기 자가 테스트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기초 체력을 평가하기 위한 테스트로, 이 과정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가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스트 항목을 제시함과 더불어 해당 항목의 측정 방법 등을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선택한 테스트 항목과 사용자가 실시한 해당 항목의 결과를 입력받아 기초 체력을 평가하기 위한 자가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며, 앞서 설명한 문진 테스트 결과 정보와 함께 일일 권장 운동량 정보와 등급의 산출 과정에 활용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안내되는 일일 권장 운동량 정보에는 일상 생활에서 실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운동 종목과 반복 횟수 및 운동 시 소비 칼로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된 운동 종목에 대한 등급별 기준, 체크 방법, 노카운트 기준 및 IoT 모듈(100)의 착용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생활 운동 활동에 따라 상기 IoT 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일일 권장 운동량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도록 하며, 권장 운동량을 달성할 경우 달성 신호를 생성하고 권장 운동량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에는 미달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IoT 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특정 운동 종목에 대하여 자세가 불안정하다고 판단됨을 감지할 경우 교정 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교정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이를 푸쉬 알람을 통해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안내하며, 해당 운동 종목에 대한 올바른 자세 방법 정보를 재확인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서 생성되는 달성 신호 또는 미달성 신호는 푸쉬 알람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부족한 운동량에 대한 보충 운동을 유도하거나 동기를 부여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운영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기록되는 사용자들의 운동량 정보 및 운동 기록을 포함한 운동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정보화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운동 종목별 운동 정보는 물론 회원 가입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이름, 성별, 신체 정보, 진행단계 등을 포함한 부가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사용자의 나이, 신체 조건 및 성별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추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통해 등급을 분류함에 있어 기준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정보 요청 시 그에 따른 응답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서 생성되는 미달성 신호와 교정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여 특별관리가 요구되는 사용자들을 분리하고 특별 관리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400)은 서비스제공사와 계약 체결된 운동 관리 콜센터나 피트니스센터가 운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400)은 상기 운영서버(300)와 연계되어 사용자별 운동량 정보와 운동 정보를 실시간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운영서버(300)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와 운동 정보를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1 대 1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운동 정보를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하여 복수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비스 설정은 운영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 단말(400)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운동량 정보와 운동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0)로 해당 운동에 대한 점검 및 처방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삭제
즉, 상기 관리자 단말(400)은 트레이너 등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운동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로서, 각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와 운동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운동에 대한 교정 및 자세에 대한 지적 사항이나 향후 운동량 증감 등의 스케줄링 사항 등을 점검 및 처방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관리자 단말(400) 역시 점검 및 처방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점검 및 처방 정보는 텍스트, 음성, 이미지 및 영상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생활 운동에 대한 동기 부여를 도모할 수 있도록 상기 관리자 단말(400)은 특별 관리 대상으로 지정된 사용자 단말(200)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전달받고, 해당 사용자 단말(200)에서 미달성 신호 또는 교정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에 접속하여 콜센터 직원이나 트레이너가 직접 음성으로 관리 지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400)에서 제공되는 각 사용자에 대한 점검 및 처방 정보는 상기 운영서버(3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운영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 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일일 권장 운동량의 산출 과정과 사용자의 운동 활동을 평가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분석모듈(210)과 산출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일상 생활 정보와 성별 정보 및 체중, 신장 등을 포함한 신체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210)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일상 생활 정보와 성별 정보 및 신체 정보를 취합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과 사용자 등급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출모듈(220)은 상기 분석모듈(210)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 및 등급을 기반으로 일일 권장 운동량 내지 권장 운동 종목 등을 포함한 개인 맞춤형 운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석모듈(210)과 산출모듈(220)은 입력된 사용자의 일상 생활 정보를 통해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시간대와 장소 등을 파악하고 대중 교통 이용 유무와 방법에 따라 권장운동 종목을 선택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성별 정보와 신체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등급에 따른 반복 운동 횟수를 포함한 일일 권장 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의 추정과 사용자 등급을 판단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일련의 시간대 별로 또는 장소별로 권장 운동 종목과 권장 운동량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자체 분석에 의해 파악된 운동 활동이 가능한 시간대에 선택된 운동 종목 정보와 권장 운동량 정보를 푸쉬 알람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모듈(230)과 결과보고모듈(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모듈(230)은 상기 IoT 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움직임 감지 신호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운동 종목별 기준 동작 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선택된 운동 종목의 횟수를 카운팅하거나 No 카운트 되는지의 여부, 사용자의 운동 패턴이 올바르게 실시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동작 패턴은 각 운동 종목별로 기저장된 IoT 모듈(100)의 초기 위치 정보와 움직임 감지 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팔굽혀 펴기의 경우 IoT 모듈(100)의 움직임이 초기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20Cm 이상 간격으로 이동하는지에 대한 움직임 감지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결과보고모듈(240)은 상기 비교모듈(230)을 통해 해당 운동 종목의 총 횟수 결과를 산출하여 권장 운동량을 달성했는가 또는 미달성했는가를 알리도록 하며, 미달성의 경우 No 카운트 횟수와 자세 교정이 요구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등 운동 활동에 대한 결과를 보고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운동 진행상황 및 성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결과 보고에 있어 자세 교정이 요구되는 경우 해당 운동 종목의 올바른 자세 방법 정보를 함께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정보 제공 모듈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을 제공하여 입력과 설정은 물론 생활 운동 관련 다양한 정보들을 팝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도 6은 사용자 단말(200)의 메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일상 생활에서 이용될 수 있는 생활 운동의 항목들을 나타낸다.
상기 메인 화면에는 일일 권장 운동량의 목표 달성시 해당 운동 종목에 대해서는 운동완료가 표시될 수 있으며, 미달성된 운동 종목은 활성화되어 목표 운동 횟수와 카운팅된 운동 횟수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올바른 운동 방법과 IoT 모듈의 착용 방법을 제시하는 것으로 각 운동 종목별로 No 카운트 조건 등을 안내하도록 한다.
도 8은 사용자가 생활 운동을 실시함에 있어 자세가 불안정할 경우 사용자 단말(200)에서는 자세 교정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서는 상기 자세 교정 신호에 대응하는 푸쉬 알람 팝업창을 발생시키고 팝업창을 통해 해당 운동 종목의 올바른 자세 방법을 안내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 단말(200)의 결과 보고 화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결과보고 모듈에서 수행되는 정보들을 표출하도록 한다.
도 10은 사용자에게 부여된 일일 권장 운동량에서 특정 운동 종목의 목표치로 설정된 횟수를 달성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미달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서는 상기 미달성 신호에 대응하는 푸쉬 알람 팝업창을 발생시키고 팝업창을 통해 해당 운동 종목과 잔여 횟수를 안내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IoT 모듈 200 : 사용자 단말
210 : 분석모듈 220 : 산출모듈
230 : 비교모듈 240 : 결과보고모듈
300 : 운영 서버 400 : 관리자 단말

Claims (3)

  1. 클립 또는 밴드 타입 구조로 선택된 운동 종목에 따라 착용 위치가 결정되어사용자의 신체에 하나 이상이 착용되며, 3축 가속도 센서 및 3축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상/하, 좌/우 움직임과 이동 거리와 방위각을 포함한 움직임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생성된 움직임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IoT 모듈;
    사용자의 신체 조건 정보, 나이, 성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사용자의 기상 시간, 점심시간, 출, 퇴근 시간, 대중 교통 이용 유무와 방법, 취침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일상생활 정보가 입력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활패턴과 등급을 분석하여 일일 권장 운동량과 운동 종목을 산출하며, 입력된 사용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통해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시간대와 장소를 파악하여 시간대별 또는 장소별로 하나 이상의 운동 종목을 선정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쉬 알람을 통해 해당 운동 종목, 일일 권장 운동량 정보, 운동 종목에 대한 실시 시점과 올바른 자세 방법, 체크 방법, IoT 모듈의 착용 방법 및 카운트 기준을 안내하며,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다종의 운동 종목에 대한 동작패턴이 저장되며 상기 IoT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운동 종목의 운동량 및 운동 기록을 측정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일일 권장 운동량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되, 선택된 운동 종목에 대하여 사용자가 운동 활동을 실시함에 있어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일일 권장 운동량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도록 하며 권장 운동량을 달성할 경우 달성 신호를 생성하고 권장 운동량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에는 미달성 신호를 생성하며, 사용자가 특정 운동 종목에 대하여 자세가 불안정하다고 판단됨을 감지할 경우 교정 신호를 생성하고 푸쉬 알람을 통해 No 카운트 기준과 올바른 운동 자세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록되는 사용자들의 운동량 정보 및 운동 기록을 포함한 운동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정보화하고 사용자 단말의 정보 요청시 그에 따른 응답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되는 미달성 신호와 교정 신호를 수신하여 관리가 요구되는 사용자들을 분리하여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운영서버와 연계되어 사용자별 운동량 정보와 운동 정보를 실시간 수신받으며, 수신한 운동량 정보와 운동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와 운동 정보를 확인하고 텍스트, 음성, 이미지 및 영상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이 구비되어 해당 운동에 대한 점검 정보, 처방 정보, 향후 운동량 증감을 포함한 스케줄링 사항을 입력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상기 운영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 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최초 사용자 정보의 입력 시, 사용자 본인에 대한 신체와 건강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문진 테스트 항목과 사용자의 기초 체력을 평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자가 테스트 항목을 제시하되, 상기 자가 테스트 항목을 제시함에 있어 사용자가 선택한 테스트 항목의 측정 방법을 안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테스트 항목과 상기 측정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실시한 해당 테스트 항목의 결과를 입력하고, 상기 문진 테스트 및 자가 테스트의 입력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연령별 및 성별 기준 등급과 그에 따른 일일 권장 운동량 및 운동 종목을 산출하여 안내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안내된 상기 운동 종목과 일일 권장 운동량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미달성 신호를 생성하여 푸쉬 알람을 통해 미달성 운동 종목과 잔여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각 운동 종목에 대한 등급별 기준, 체크 방법, No 카운트 기준, IoT 모듈의 착용 위치 및 올바른 운동 자세 방법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선택된 운동 종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80078111A 2018-07-05 2018-07-05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KR102033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111A KR102033062B1 (ko) 2018-07-05 2018-07-05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111A KR102033062B1 (ko) 2018-07-05 2018-07-05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834A Division KR20160147297A (ko) 2015-06-15 2015-06-15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030A KR20180081030A (ko) 2018-07-13
KR102033062B1 true KR102033062B1 (ko) 2019-10-16

Family

ID=6291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111A KR102033062B1 (ko) 2018-07-05 2018-07-05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229B1 (ko) * 2020-10-29 2021-06-04 권상언 운동 정보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006A (ko) * 2000-03-06 2001-09-15 신요택 인터넷을 이용한 다이어트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080087773A (ko) * 2008-08-21 2008-10-01 테크온팜 주식회사 다기능 운동량측정기를 이용한 운동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4529144A (ja) * 2011-09-14 2014-10-30 ワークスマート ラボラ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Worksmart Labs,Inc. ウェルネスタスクの生成、表示、追跡
KR20130089765A (ko) 2011-12-30 2013-08-13 (주)케이디스포츠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개인 운동 관리 방법
KR20140105656A (ko) * 2013-02-22 2014-09-02 이지웅 스마트 폰을 이용한 요가 동작 교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030A (ko) 2018-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8734B2 (en) User activity tracking system
US20180160925A1 (en) Workou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KR101952692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운동 관리 및 권장 플랫폼 시스템
US20190143174A1 (en) Motion training guide system based on wearable sensor and method thereof
KR101859608B1 (ko) 운동량을 환산하여 화폐 유통이 가능한 핀테크 시스템
KR20160147297A (ko)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KR102196344B1 (ko) IoT 기반의 헬스장 회원 관리 시스템
KR101458432B1 (ko) 운동정보 제공을 위한 자동연결 운동기구, 스마트기기, 이에 사용되는 운동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KR102173335B1 (ko) 모션 인식 기반의 신체능력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CN111899141A (zh) 一种管理运动数据的智能终端
KR102065577B1 (ko)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KR20160090113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CA28230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age, monitoring and management within a health facility
KR102275175B1 (ko) IoT 기술을 활용하여 모든 피트니스 기구에 연동되는 장착형 스마트 짐 통합 솔루션 장치와 그 운영 방법
US201603244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eedback automatically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to a user
KR102033062B1 (ko)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RU2712120C2 (ru) Планирование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с субъектом
US20240038350A1 (en) Health management system
KR20100052951A (ko) 일체형 헬스케어 장치
KR101663091B1 (ko) 운동센터 등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54758B1 (ko) 운동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43809B1 (ko) 운동센터 관리 시스템의 운동센터 등재 관리 방법
JP2017224180A (ja) 健康管理サーバおよび健康管理サーバ制御方法並びに健康管理プログラム
CN111192411A (zh) 基于智能药箱实现药品共享的方法及装置
KR101658835B1 (ko) 운동 관리 서버의 운동센터 등재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