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765A -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개인 운동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개인 운동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765A
KR20130089765A KR1020110147333A KR20110147333A KR20130089765A KR 20130089765 A KR20130089765 A KR 20130089765A KR 1020110147333 A KR1020110147333 A KR 1020110147333A KR 20110147333 A KR20110147333 A KR 20110147333A KR 20130089765 A KR20130089765 A KR 20130089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instructor
information
personal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덕
Original Assignee
(주)케이디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디스포츠 filed Critical (주)케이디스포츠
Priority to KR1020110147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9765A/ko
Publication of KR20130089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회원의 운동을 관리하는 개인 운동 시스템 및 개인 운동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은, 제휴 피트니스 센터에 회원 가입하는 사용자를 홈 페이지에 자동 회원 가입시키는 자동 회원 가입부; 회원의 제휴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 정보를 수신하는 출입 관리부; 입장한 회원의 정보를 강사 모바일 단말로 통보하는 강사 단말 통보부; 상기 강사 모바일 단말로부터 회원에 대한 운동 지도 결과 및 신체 변화 결과를 등록받는 강사 운동 지도 결과 등록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원의 운동 결과를 등록받는 회원 운동 결과 등록부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원은 임의의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방문하더라도 강사에게 실시간 통보된 회원의 운동 정보에 기반하여 자신의 운동 프로그램에 맞는 강사의 운동 지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개인 운동 관리 방법{Personal exercise management system for using affiliated fitness cent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개인 운동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의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방문한 사용자에게 회원 정보로 조회된 운동 프로그램에 맞추어 개인 운동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개인 운동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피트니스 센터에 회원 가입하여 운동을 한다. 사용자가 회원 가입을 하면, 피트니스 센터는 사용자를 상대로 간단한 신체 검사 또는 운동 검사를 수행하여 적합한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한다. 이후, 사용자는 처방된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서 운동을 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거주지(예 : 회사, 집 등) 근처의 피트니스 센터에 회원 가입하게 되는데, 사회 생활이 바쁘다 보면 당해 피트니스 센터를 찾아가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운동은 언제든지 사용자가 원하는 때, 원하는 장소에서 즉시 할 수 있어야 운동 의욕이 유지된다. 하지만, 시간, 장소 등의 제약 등으로 한번 운동을 거르기 시작하면 운동 의욕이 감퇴되어 다음번 운동도 거르고 싶은 유혹이 든다.
이에, 피트니스 센터들은 체인점으로 상호 제휴를 맺고, 회원은 제휴 피트니스 센터들 중에서 어느 곳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편리한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방문하여 언제든지 운동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회원 가입한 피트니스 센터가 아닌 다른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방문할 경우, 우연히 1회용으로 당해 피트니스 센터를 들렸다는 생각에 담당 강사의 운동 지도를 받는데 주저하며, 낯선 환경에 따라 지속해왔던 처방 운동 프로그램을 수행하기도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제휴 피트니스 센터는 방문한 사용자가 타 피트니스 센터에서 회원 가입한 사용자일지라도 회원 가입한 당해 피트니스 센터가 제공하는 개인 운동 관리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 요구된다. 이러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시간 및 장소에 제약없이 자신의 운동 프로그램을 규칙적으로 꾸준히 운동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제휴 피트니스 센터의 운동 회원으로 가입하는데 주저할 이유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인식 하에 창출된 것으로서, 임의의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방문한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개인 운동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개인 운동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 강사가 방문한 사용자의 정보를 통보받아 당해 사용자에게 다가가 개인 운동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 후, 사용자의 평가에 의해 운동 강사에게 소정의 보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원과 강사의 운동 점수를 평가하여 우수 회원, 우수 강사 및 우수 피트니스 센터를 선정하여 소정의 보상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은, 제휴 피트니스 센터에 회원 가입하는 사용자를 홈 페이지에 자동 회원 가입시키는 자동 회원 가입부; 회원의 제휴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 정보를 수신하는 출입 관리부; 입장한 회원의 정보를 강사 모바일 단말로 통보하는 강사 단말 통보부; 상기 강사 모바일 단말로부터 회원에 대한 운동 지도 결과 및 신체 변화 결과를 등록받는 강사 운동 지도 결과 등록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원의 운동 결과를 등록받는 회원 운동 결과 등록부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은, 운동 관리 서버로부터 회원의 입장 정보를 통보받고, 입장 회원의 운동 정보를 조회하고, 강사의 회원별 운동 지도 결과를 운동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강사 모바일 단말; 및 운동 관리 서버로부터 회원의 운동 프로그램, 운동 이력 및 운동법을 포함하는 개인 운동 정보를 조회하고, 회원의 운동 결과를 운동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운동 관리 서버는, 강사 또는 회원의 입력에 의해 운동명, 운동 시간, 운동 회수, 중량을 포함하는 운동 결과를 등록받고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운동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회원에 대한 강사의 운동 지도 결과를 제공하여 개별 강사에 대한 회원 관리 및 운동 지도의 평가를 등록받고, 강사의 운동 지도 평점을 산출하는 강사 평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운동 관리 서버는, 회원의 출석 정보, 강사에 의해 등록된 강사 운동 지도 결과와 신체 변화 결과 및 회원에 의해 등록된 회원 운동 수행 결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회원의 운동 결과를 평가하는 회원 운동 결과 평가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운동 관리 서버는, 회원 운동 결과를 비교하여 우수 회원을 선정하는 우수 회원 선정부; 회원에 의해 평가된 개별 강사의 운동 지도 평점을 비교하여 우수 강사를 선정하는 우수 강사 선정부; 및 제휴 피트니스 센터별로 회원 및 강사의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우수 피트니스 센터를 선정하는 우수 피트니스 센터 선정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운동 관리 서버는, 우수 회원, 우수 강사 및 우수 피트니스 센터를 대상으로 포상을 제공하고, 각각의 순위 및 포상 정보를 홈 페이지를 통해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개인 운동 관리 방법은, 운동 관리 서버가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방문한 회원의 개인 운동을 관리하기 위하여 실행하는 개인 운동 관리 방법에 있어서, (a)제휴 피트니스 센터에 회원 가입하는 사용자를 홈 페이지에 자동 회원 가입시키는 홈페이지 자동 가입 단계; (b)회원의 제휴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 정보를 수신하는 출입 관리 단계; (c)회원의 입장 정보가 수신되면, 회원의 입장 정보를 대응하는 강사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강사 단말 통보 단계; (d)상기 강사 모바일 단말로부터 회원에 대한 운동 지도 결과 및 신체 변화 결과를 등록받는 운동 지도 결과 등록 단계; 및 (e)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원의 운동 결과를 등록받는 회원 운동 결과 등록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원은 임의의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방문하더라도 자신의 운동 프로그램과 과거 운동 이력에 맞추어 강사로부터 맞춤형 운동 지도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제휴 피트니스 센터의 강사는 입장한 회원의 정보를 자동으로 통보받고 회원 정보를 조회하여 회원에게 먼저 다가가는 고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적극적인 운동 지도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평가에 의해 인센티브의 보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고객의 운동 결과 평가와 강사의 운동 지도 평가를 이용하여 우수 회원, 우수 강사 및 우수 피트니스 센터를 선정하여 홈 페이지를 통해 포상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고객을 관리하며 신규 회원을 유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의 개략적 기능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 서버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의 운동 결과를 등록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의 운동 결과를 평가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회원, 우수 강사 및 우수 피트니스 센터를 선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운동 관리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1)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1)은 유,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구축되며, 홈 페이지(200)를 보유하며 회원, 강사 및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를 상대로 회원의 개인 운동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동 관리 서버(2) 및 회원의 입장 정보를 통보받고, 강사의 회원에 대한 운동 지도 결과를 등록하는 강사 모바일 단말(3) 및 홈 페이지(200)에 접속하여 회원의 운동 결과를 등록하고 운동 이력을 조회하는 사용자 단말(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유, 무선 네트워크는 대표적으로 이동통신망, 인터넷과 같은 유, 무선 공중망이나 전용망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통신망을 포괄한다.
상기 운동 관리 서버(2)는 강사 모바일 단말(3) 및 사용자 단말(4)을 대상으로 개인 운동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운동 관리 서버(3)는 n(n>1)개의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를 대상으로 회원 관리, 강사 관리 및 제휴 피트니스 센터의 관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운동 관리 서버(2)는 회원이 임의의 피트니스 센터(300)를 방문하더라도, 당해 피트니스 센터(300)에 소속된 강사가 먼저 회원에게 다가가 운동 지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운동 관리 서버(2)는 당해 회원의 입장 정보를 해당되는 피트니스 센터(300)에 소속된 강사 모바일 단말(3)로 자동 통보한다. 따라서, 강사는 강사 모바일 단말(3)을 통해 입장한 회원의 정보를 조회한 후 먼저 고객에게 다가가 인사말을 건네고, 회원의 운동을 지도할 수 있다.
그리고 운동 관리 서버(2)는 홈 페이지(200)를 제공하여 일반 회원, 강사 회원 및 피트니스 센터의 관리자 회원을 상대로 각각에 대응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강사 모바일 단말(3)은 개별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에 소속되어 강사가 휴대하는 단말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이 있다. 강사 모바일 단말(3)이 운동 관리 서버(2)로부터 회원의 입장 정보를 통보받으면, 강사는 강사 모바일 단말(3)을 이용하여 당해 회원에게 기 설정된 운동 프로그램 및 운동 이력을 조회한 후 대응하는 맞춤형 운동을 지도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4)은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에 회원 가입한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는 단말로서, 예를 들면, 컴퓨터 단말,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이 있다. 사용자가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에 회원 가입하면, 당해 사용자는 운동 관리 서버(2)의 홈 페이지(200)에 로그인할 수 있는 계정 정보를 자동으로 부여받는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4)은 회원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1)이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의 개략적 기능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회원은 제휴된 복수개 피트니스 센터(300) 중에서 임의의 어느 한 곳을 방문하여 언제든지 운동할 수 있다. 회원이 피트니스 센터(300)를 입장하면, 운동 관리 서버(2)는 출입구에서 인식된 회원의 입출 정보를 수신한다.
운동 관리 서버(2)가 수신한 회원의 입출 정보가 입장 정보이면, 회원이 방문한 피트니스 센터(300)에 소속된 적어도 하나의 강사 모바일 단말(3)로 당해 회원의 입장 정보를 통보한다. 여기서, 상기 통보 서비스는 비동기식 전송에 해당하는 푸시(push) 전송을 이용할 수 있다.
강사 모바일 단말(3)에 회원의 입장 정보가 통보되면, 운동 관리 서버(2)는 강사의 요청으로 당해 회원의 정보를 조회하여 강사 모바일 단말(3)로 제공한다. 그러면, 강사는 회원 정보를 참조하여 먼저 회원에게 다가가 환영 인사와 더불어 운동 지도를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강사는 회원의 가입 정보, 운동 목적, 운동 이력, 신체 변화 사항, 현재 설정된 운동 프로그램 등의 회원 정보를 조회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지도를 제공한다.
강사의 운동 지도 과정에서, 운동 관리 서버(2)는 강사 모바일 단말(3)로부터 강사가 당해 회원을 지도한 운동 지도 결과를 등록받는다. 예를 들면, 운동 관리 서버(2)는 강사의 입력에 의해 회원이 수행한 운동 종류, 시간, 회수, 중량 등을 등록받는다. 또한, 회원이 잘하는 운동과 못하는 운동 및 싫어하는 운동 등의 운동 성향 정보 등을 등록받을 수 있다. 이렇게 등록된 강사의 운동 지도 결과는 운동 관리 서버(2)가 회원의 운동 이력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운동 관리 서버(2)는 다음번 강사가 운동을 지도할 때 기 저장된 회원의 운동 이력을 당해 강사의 강사 모바일 단말(3)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회원은 특정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를 고정 방문하여 전담 강사에 의해 운동을 지도받는 것은 물론이며, 편의에 따라 임의의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를 방문하여 다른 강사에 의해 운동을 지도받더라도 현재 설정된 운동 프로그램과 과거의 운동 이력에 기반하는 운동 지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회원은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 또는 강사를 변경하더라도 회원의 운동 프로그램과 운동 이력을 포함하는 회원 정보의 조회를 통하여 운동 지도 서비스의 품질에 일관성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운동 관리 서버(2)는 강사의 운동 지도를 받은 회원이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4)로부터 강사의 운동 지도에 대한 평가 정보를 등록받는다. 예를 들면, 운동 관리 서버(2)는 회원의 입력에 의해 강사의 친절 정도, 운동 교수법, 신체 변화 측정 여부, 운동 지도 시간 등에 대하여 항목별로 평가 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나아가, 운동 관리 서버(2)는 회원이 평가한 강사의 평가 정보에 근거하여 강사의 인센티브를 산정하여 지급한다. 따라서, 강사는 회원으로부터 좋은 평가에 따른 인센티브를 받기 위하여 회원 관리에 더욱 친절하며 회원의 운동 지도를 적극적으로 임하게 된다.
그리고 운동 관리 서버(2)는 회원 및 강사의 평가 정보를 취합하여 우수 회원, 우수 강사, 우수 피트니스 센터를 선정하고, 보상 기준에 따라 적절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우수 회원 또는 우수 강사가 다니는 우수 피트니스 센터는 더욱더 회원이 몰릴 수 있다. 따라서, 홈 페이지(200)는 우수 회원, 우수 강사 및 우수 피트니스 센터의 순위 정보와 함께 포상 정보 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회원은 자신이 방문하기 편리한 근처의 피트니스 센터(300)가 아닌 우수하다고 소문난 피트니스 센터(300)를 찾아가 운동 지도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비회원 사용자는 자신의 주변 근처에 우수하다고 소문난 피트니스 센터(300)의 정보를 입수하여 신규 회원 가입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 서버(2)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운동 관리 서버(2)는 회원 가입하는 사용자를 홈 페이지(200)에 자동 회원 가입시키는 자동 회원 가입부(21), 각각의 피트니스 센터(300)에서 발생되는 회원의 출입 정보를 수신하는 출입 관리부(22), 회원의 입장 정보를 해당되는 강사 모바일 단말(3)로 통보하는 강사 단말 통보부(23), 강사 모바일 단말(3)로부터 회원에 대한 운동 지도 결과 및 신체 변화 결과를 등록받는 강사 운동 지도 결과 등록부(24) 및 사용자 단말(4)로부터 회원 자신의 운동 결과를 등록받는 회원 운동 결과 등록부(25)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 회원 가입부(21)는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를 가입하는 사용자에게 홈 페이지(200)의 로그인 접속 정보를 자동 부여한다. 예를 들면, 자동 회원 가입부(21)는 사용자의 ID 및 초기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발급한다. 이후, 회원은 홈 페이지(200)에서 자동 발급된 ID와 초기 비밀번호로 로그인한 후 자신의 운동 수행 결과 및 강사의 운동 지도에 대한 평가 정보 등을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회원 가입부(21)는 회원마다 고유한 미니 홈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도 무방하다. 즉, 회원은 자신의 미니 홈피를 방문하여 운동 정보를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운동 관리 서버(2)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에 자동 발급된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자신의 운동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출입 관리부(22)는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의 출입구에 설치된 단말로부터 회원의 출입 정보를 수신하여 DB에 저장한다. 여기서, 출입 정보는 피트니스 센터의 식별 정보, 회원의 식별 정보, 입장 또는 퇴장 구분, 이벤트 발생 시각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출입구 단말은 회원이 소유한 마그네틱 카드의 접촉 방식,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방식, 지문 입력 방식 또는 바코드 스캔 방식 등을 통해 자동으로 회원의 출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러면, 입력된 출입 정보는 출입구 단말이 운동 관리 서버(2)로 전송하여 출입 관리부(22)가 수신한다. 물론, 사용자의 출입을 자동 감지하는 방식에는 전술한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강사 단말 통보부(23)는 회원의 출입 정보가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의 입장 정보이면, 당해 회원의 입장 정보를 회원이 현재 방문중인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의 강사 모바일 단말(3)로 실시간 전송한다. 그러면, 강사 모바일 단말(3)은 회원의 입장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강사가 회원 정보를 요청하면, 강사 단말 통보부(23)는 강사의 요청을 수신하고 당해 회원의 운동 프로그램 정보, 운동 이력 정보 등을 제공한다. 강사는 회원의 프로필(예 : 사진), 운동 이력 등의 회원 정보를 미리 조회한 후 입장 회원을 맞이함으로써 더욱 회원에게 친밀한 고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강사 운동 지도 결과 등록부(24)는 강사 모바일 단말(3)로부터 강사의 지도하에 회원이 수행한 운동 결과를 등록받고 DB에 저장한다.
여기서, 강사 운동 지도 결과 등록부(24)는 강사의 입력에 의해 회원의 운동 수행 결과를 미리 정의된 객관적 항목별로 등록받는 것은 물론이며 강사의 주관적 평가 등을 등록받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강사 운동 지도 결과 등록부(24)는 강사의 입력에 의해 주기적으로 회원의 신체 변화 정보를 등록받고 DB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강사는 적어도 월 1회 이상으로 회원의 체중, 허리 치수, 혈압, BMI(Body Mass Index) 지수 등의 신체 변화 정보의 측정을 유도하여 각각의 측정값을 등록하는 것이다.
상기 회원 운동 결과 등록부(25)는 사용자 단말(4)로부터 회원이 입력하는 본인의 운동 수행 결과를 등록받고 DB에 저장한다. 회원은 스스로 본인의 운동 일지를 사용자 단말(4)에 입력하는 것이 나중에 도움이 된다. 왜냐하면, 강사가 회원의 운동 일지를 조회하여 운동 지도하는데 참조할 수 있고, 과거 운동 이력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개선된 운동 프로그램을 설정하는데 참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의 운동 관리 서버(2)는 회원의 평가 정보 입력으로 강사의 운동 지도를 평가하는 강사 평가부(26) 및 회원의 운동 결과를 평가하는 회원 운동 결과 평가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사 평가부(26)는 회원의 요청으로 회원의 운동을 지도한 강사에 의해 입력된 운동 지도 결과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4)로부터 당해 회원에 의해 입력된 강사의 회원 관리 및 운동 지도를 평가한 정보를 등록받고 DB에 저장한다.
여기서, 강사 평가부(26)는 개별 회원의 개별 강사에 대한 평가 정보를 개별 강사에 대한 평가 정보로 취합하여 당해 강사의 운동 지도 결과를 평가한다. 예를 들면, 평가 항목별로 가중치를 적용하여 점수 또는 등급을 매기고, 개별 강사에 대한 전체 합산 점수를 누계하여 평균 산출된 운동 지도 점수 또는 등급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렇게 산출된 강사의 운동 지도 점수는 강사 평가부(26)가 강사의 인센티브를 산출하는데 이용된다. 즉, 강사가 적극적으로 회원의 운동 지도를 하고 회원에게 더욱 친밀한 고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수록, 강사는 회원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그에 따른 인센티브를 보상받는다. 이처럼 강사가 먼저 회원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는 서비스를 통해 회원은 임의의 피트니스 센터(300)를 방문하여 낯선 환경과 낯선 강사를 만나더라도 강사로부터 친절한 안내와 운동 지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상기 회원 운동 결과 평가부(27)는 회원의 출석 정보, 강사가 등록한 운동 지도 결과 및 회원의 신체 변화 정보, 회원이 등록한 운동 수행 결과 등의 항목과 항목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당해 회원의 항목별 운동 결과 점수를 구한다. 그리고 회원 운동 결과 평가부(27)는 항목별 운동 결과 점수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합산된 전체 항목의 점수의 평균을 산출하여 회원의 운동 점수를 구한다. 물론, 회원 운동 결과 평가부(27)는 회원의 나이대와 성별에 따른 기준을 적용하여 운동 결과를 평가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출석 정보는 출석일 간격 정보, 1일 출석당 운동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개별 정보에 할당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출석 정보 항목의 점수를 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의 운동 관리 서버(2)는 회원과 강사의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우수 회원과 강사에게 소정의 보상을 제공하는 우수 회원 선정부(281), 우수 강사 선정부(282) 및 우수 피트니스 센터 선정부(2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수 회원 선정부(281)는 개별 회원마다 산출된 운동 결과 점수를 순위화하여 선정 기준에 따라 우수 회원을 선정한다. 여기서, 회원의 성별과 나이대로 구분하여 각각의 우수 회원을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선정된 우수 회원에게는 각종 포상 또는 보상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선호된다. 또한, 평가 항목별로 우수 회원을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출석율과 운동 시간이 긴 우수 회원을 선정하고, 강사가 평가한 회원의 운동 지도 결과에 의해 선정된 우수 회원을 선정하는 것이다.
상기 우수 강사 선정부(282)는 개별 강사마다 산출된 운동 지도 점수를 순위화하여 선정 기준에 따라 우수 강사를 선정한다.
상기 우수 피트니스 센터 선정부(283)는 개별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한 전체 회원들의 운동 결과와 강사들의 운동 지도 결과를 이용하여 각각의 우수 피트니스 센터를 선정하여 순위화한다. 예를 들면, 전체 회원의 운동 결과 점수의 평균 또는 전체 강사의 운동 지도 점수의 평균을 이용하여 각각의 우수 피트니스 센터(300)를 선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회원의 운동 결과 평가 방식, 강사의 운동 지도 평가 방식 이외에 다양한 평가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다양한 선정 기준에 따라 우수 회원, 우수 강사, 우수 피트니스 센터의 선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한 평가 방식 및 선정 방식 이외에도 여러 가지 변형 실시예가 가능할 것임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의 운동 결과를 등록하는 예시도이다.
회원이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에 입장하면, 강사 모바일 단말(3)을 통해 입장 정보를 통보받은 강사는 회원에게 다가가 응대를 한다. 회원은 강사의 운동 지도를 받아 운동하거나 혼자서 개인 운동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4)이 모바일 단말일 경우, 회원은 운동 중에 자신의 운동 프로그램, 운동 이력, 운동법 등을 운동 관리 서버(2)로부터 조회하면서 운동할 수 있다. 즉, 회원은 자신의 운동 프로그램과 최근의 운동 이력에 맞추어 운동을 한다. 또한, 자신이 수행하는 운동 종목에 대한 운동 기기 사용법, 식단 관리 및 건강 관련 정보 등의 운동법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운동 관리 서버(2)로부터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원이 런닝 머신을 이용할 경우, 런닝 머신의 기기 조작법, 달리기 거리, 속도 등의 운동 방법의 동영상을 조회한 후 달리기 운동을 하는 것이다.
이후, 운동 관리 서버(2)는 강사 모바일 단말(3)로부터 운동 지도 결과의 명목으로 회원의 운동 수행 결과를 등록받고 사용자 단말(4)로부터 회원의 운동 수행 결과를 등록받는다. 여기서, 회원의 운동 수행 결과는 운동명, 운동 시간, 횟수, 중량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운동 관리 서버(2)는 회원으로부터 강사의 회원 관리와 운동 지도에 대한 평가 정보를 등록받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의 운동 결과를 평가하는 예시도이다.
운동 관리 서버(2)가 강사 및 회원으로부터 회원의 운동 결과 정보를 등록받으면, 회원의 운동 결과 점수를 산정한다. 이외에도 회원의 출석 정보, 신체 변화(예 : 체중, BMI 등)의 항목 등이 회원의 운동 결과 점수를 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운동 관리 서버(2)는 정보의 객관성을 위해 강사에 의해 평가된 운동 지도 결과 및 신체 변화 정보는 회원이 평가하는 운동 수행 결과보다 높은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회원, 우수 강사 및 우수 피트니스 센터를 선정하는 예시도이다.
운동 관리 서버(2)가 강사 및 회원으로부터 등록된 회원의 운동 결과를 이용하여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점수를 순위화하면 우수 회원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운동 관리 서버(2)는 회원에 의해 평가된 강사의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점수를 순위화하면 우수 강사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회원 및 강사의 점수 및 순위 정보가 생성되면, 운동 관리 서버(2)는 각각의 점수 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에 관계되는 회원과 강사의 점수를 산출하고 회원별 및 강사별로 순위화하여 우수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를 선정할 수 있다. 즉, 회원별 점수, 강사별 점수 및 회원과 강사의 평균 점수로 각각의 우수 피트니스 센터(300)를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운동 관리 서버(2)는 월마다 우수 회원, 우수 강사 및 우수 피트니스 센터(300)를 선정하여 포상 정보와 함께 홈 페이지(200)에 게재한다. 이로써 사용자들은 홈 페이지(200)에 게재된 정보를 이용하여 우수 회원이 다니는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 우수 강사가 근무하는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 또는 우수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에 회원으로 가입하게 된다.
<2. 방법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개인 운동 관리 방법은 전술한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1)의 구축을 통하여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피트니스 센터(300)에 회원 가입을 하게 되면, 운동 관리 서버(2)는 회원 가입 정보를 수신하여 DB에 저장하고, 당해 사용자를 홈 페이지(200)의 로그인 회원으로 자동 가입시킨다(S21). 즉, 피트니스 센터(300)의 회원은 회원 가입과 동시에 로그인 ID 및 초기 비밀번호를 부여받는다.
이후, 회원이 제휴된 피트니스 센터(300) 중에서 어느 한 곳을 방문하게 되면, 운동 관리 서버(2)는 출입 단말로부터 당해 회원의 출입 정보를 수신하여 DB에 저장한다(S22). 즉, 사용자의 입장 정보와 퇴장 정보는 운동 관리 서버(2)에 의해 관리된다. 회원의 출입 정보를 수신하면, 운동 관리 서버(2)는 출입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의 피트니스 센터(300) 입장인지 판단한다.
회원의 입장으로 판단되면, 운동 관리 서버(2)는 출입 정보로부터 추출된 피트니스 센터(30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회원의 입장 정보를 당해 피트니스 센터(300)에 소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사 모바일 단말(3)로 실시간 통보한다(S23).
여기서, 회원 입장 정보의 실시간 통보는 강사 모바일 단말(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강사 모바일 단말(3)이 접속한 홈 페이지(300)로부터 제공받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강사는 강사 모바일 단말(3)을 통해 회원의 입장 정보를 확인하고, 회원의 회원 정보를 운동 관리 서버(2)로 요청하여 회원에게 처방된 운동 프로그램과 과거의 운동 이력 정보를 조회한다. 그러면, 강사는 조회된 회원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에게 먼저 다가가 인사말을 건네고 회원의 운동을 지도한다. 강사는 회원의 운동 질문에 답변하고 적합한 운동법을 지도하고 회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등의 운동 지도 서비스를 회원에게 제공한다.
이후, 강사가 회원의 운동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운동 관리 서버(2)는 강사의 입력에 의해 강사 모바일 단말(3)로부터 당해 회원에 대한 운동 지도 결과를 등록받고 DB에 저장한다(S24). 여기서, 강사의 운동 지도 결과는 당해 회원이 수행한 운동 결과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운동 관리 서버(2)는 홈 페이지(200)에 자동 발급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접속한 사용자 단말(4)로부터 운동 수행 결과를 등록받고 DB에 저장한다(S25). 즉, 본 발명에서 회원이 수행한 운동 결과는 단계(S24)를 통해 강사에 의해 등록될 수 있고, 단계(S25)를 통해 회원에 의해 등록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25)는 회원이 자신의 운동 수행 일지를 등록하는 것이다. 여기서, 회원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운동 수행 결과를 등록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운동 관리 서버(2)는 회원의 입력에 의해 홈 페이지(20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4)로부터 강사의 회원 관리 및 운동 지도에 대한 평가를 등록받고 DB에 저장한다. 물론, 회원은 모바일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강사의 평가 정보를 운동 관리 서버(2)에 등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회원이 홈 페이지(200)에 접속하여 강사를 평가하는 것이라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운동 관리 서버(2)는 사용자 단말(4)로부터 강사가 회원에 대해 등록한 운동 지도 결과의 조회를 요청받고, 당해 회원에 대한 운동 지도 결과를 제공한다(S261). 그러면, 운동 관리 서버(2)는 강사가 등록한 평가 정보를 조회한 회원의 사용자 단말(4)로부터 당해 강사에 대한 평가 정보를 등록받고 DB에 저장한다(S262). 그리고 운동 관리 서버(2)는 개별 회원의 평가 정보를 강사별로 취합하여 개별 강사의 운동 지도 평점을 산출하여 DB에 저장한다(S263).
다음으로, 운동 관리 서버(2)는 회원의 운동 수행 결과를 평가한다(27).
여기서, 운동 관리 서버(2)는 회원의 출석 정보, 강사가 회원에 대해 등록한 운동 수행 결과, 회원의 신체 변화 및 회원이 등록한 운동 수행 결과 등의 항목을 이용하여 회원의 운동 결과 점수를 산출한다. 운동 결과 점수는 항목별 가중치에 의해 항목별 점수가 산출된 후, 항목별 점수의 평균으로 산출될 수 있다.
회원 및 강사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면, 운동 관리 서버(2)는 회원의 운동 결과 점수를 이용하여 순위를 매기고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우수 회원을 선정한다(S281). 운동 관리 서버(2)는 강사의 운동 지도 결과 점수를 이용하여 순위를 매기고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우수 강사를 선정한다(S282), 그리고 운동 관리 서버(2)는 개별 제휴 피트니스 센터(300)의 회원 점수 및 강사 점수를 이용하여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우수 피트니스 센터를 선정한다.
우수 회원, 우수 강사, 우수 제휴 피트니스 센터가 선정되면, 운동 관리 서버(2)는 대응하는 포상(예 : 경품, 상품권 등) 또는 보상(예 : 회원 할인, 무료 이용권 등)을 제공한다. 그리고 운동 관리 서버(2)는 선정된 우수 회원, 우수 강사 및 우수 피트니스 센터의 정보와 포상 내역을 홈 페이지(200)를 통하여 제공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부"라는 용어는 운동 관리 시스템(1)의 하드웨어적 구분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통합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의 구성부로 분할될 수도 있다. 또한, 구성부는 하드웨어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의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성부라는 용어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2 : 운동 관리 서버
3 : 강사 모바일 단말 4 : 사용자 단말
200 : 홈 페이지 300 : 제휴 피트니스 센터

Claims (14)

  1. 제휴 피트니스 센터에 회원 가입하는 사용자를 홈 페이지에 자동 회원 가입시키는 자동 회원 가입부;
    회원의 제휴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 정보를 수신하는 출입 관리부;
    입장한 회원의 정보를 강사 모바일 단말로 통보하는 강사 단말 통보부;
    상기 강사 모바일 단말로부터 회원에 대한 운동 지도 결과 및 신체 변화 결과를 등록받는 강사 운동 지도 결과 등록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원의 운동 결과를 등록받는 회원 운동 결과 등록부
    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운동 관리 서버로부터 회원의 입장 정보를 통보받고, 입장 회원의 운동 정보를 조회하고, 강사의 회원별 운동 지도 결과를 운동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강사 모바일 단말; 및
    운동 관리 서버로부터 회원의 운동 프로그램, 운동 이력 및 운동법을 포함하는 개인 운동 정보를 조회하고, 회원의 운동 결과를 운동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관리 서버는,
    강사 또는 회원의 입력에 의해 운동명, 운동 시간, 운동 회수, 중량을 포함하는 운동 결과를 등록받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회원에 대한 강사의 운동 지도 결과를 제공하여 개별 강사에 대한 회원 관리 및 운동 지도의 평가를 등록받고, 강사의 운동 지도 평점을 산출하는 강사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관리 서버는,
    회원의 출석 정보, 강사에 의해 등록된 강사 운동 지도 결과와 신체 변화 결과 및 회원에 의해 등록된 회원 운동 수행 결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회원의 운동 결과를 평가하는 회원 운동 결과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관리 서버는,
    회원 운동 결과를 비교하여 우수 회원을 선정하는 우수 회원 선정부;
    회원에 의해 평가된 개별 강사의 운동 지도 평점을 비교하여 우수 강사를 선정하는 우수 강사 선정부; 및
    제휴 피트니스 센터별로 회원 및 강사의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우수 피트니스 센터를 선정하는 우수 피트니스 센터 선정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관리 서버는,
    우수 회원, 우수 강사 및 우수 피트니스 센터를 대상으로 포상을 제공하고, 각각의 순위 및 포상 정보를 홈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8. 운동 관리 서버가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방문한 회원의 개인 운동을 관리하기 위하여 실행하는 개인 운동 관리 방법에 있어서,
    (a)제휴 피트니스 센터에 회원 가입하는 사용자를 홈 페이지에 자동 회원 가입시키는 홈페이지 자동 가입 단계;
    (b)회원의 제휴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 정보를 수신하는 출입 관리 단계;
    (c)회원의 입장 정보가 수신되면, 회원의 입장 정보를 대응하는 강사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강사 단말 통보 단계;
    (d)상기 강사 모바일 단말로부터 회원에 대한 운동 지도 결과 및 신체 변화 결과를 등록받는 운동 지도 결과 등록 단계; 및
    (e)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원의 운동 결과를 등록받는 회원 운동 결과 등록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운동 관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운동 관리 서버가,
    회원이 입장한 제휴 피트니스 센터의 강사 모바일 단말로 회원의 입장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 및
    강사 모바일 단말의 조회 요청에 따라 입장 회원의 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운동 관리 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관리 서버는,
    단계(d) 또는 단계(e)에서 운동명, 운동 시간, 운동 회수, 중량을 포함하는 운동 결과를 등록받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운동 관리 방법.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관리 서버는, 단계(d) 이후에, 회원의 강사 평가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사 평가 단계는,
    (d1)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회원에 대한 강사의 운동 지도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d2)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사에 대한 회원 관리 및 운동 지도의 평가를 등록받는 단계; 및
    (d3)개별 사용자 단말의 평가 정보를 수집하여 강사의 운동 지도 평점을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운동 관리 방법.
  12.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관리 서버는,
    (f)회원의 출석 정보, 강사에 의해 등록된 강사 운동 지도 결과와 신체 변화 결과 및 회원에 의해 등록된 회원 운동 수행 결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회원의 운동 결과를 평가하는 회원 운동 결과 평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운동 관리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f)는,
    (f1)개별 회원의 운동 결과를 비교하여 우수 회원을 선정하는 단계; 및
    (f2)회원에 의해 평가된 개별 강사의 운동 지도 평점을 비교하여 우수 강사를 선정하는 단계; 및
    (f3)제휴 피트니스 센터별로 회원 및 강사의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우수 피트니스 센터를 선정하는 단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운동 관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f4)우수 회원, 우수 강사 및 우수 피트니스 센터를 대상으로 포상을 제공하고, 각각의 순위 및 포상 정보를 홈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운동 관리 방법.
KR1020110147333A 2011-12-30 2011-12-30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개인 운동 관리 방법 KR20130089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333A KR20130089765A (ko) 2011-12-30 2011-12-30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개인 운동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333A KR20130089765A (ko) 2011-12-30 2011-12-30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개인 운동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765A true KR20130089765A (ko) 2013-08-13

Family

ID=49215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333A KR20130089765A (ko) 2011-12-30 2011-12-30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개인 운동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9765A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113A (ko) 2015-01-21 2016-07-29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KR20160106420A (ko) 2015-03-02 2016-09-12 김태희 퍼스널 트레이닝을 위한 온라인 휘트니스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160111079A (ko) * 2015-03-16 2016-09-26 이호재 운동 관리 시스템 장치
KR20160147297A (ko) 2015-06-15 2016-12-23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KR20170024314A (ko) 2015-08-25 2017-03-07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운동량을 환산하여 화폐 유통이 가능한 핀테크 시스템
KR20170118298A (ko) * 2016-04-14 2017-10-25 (주)아이유웰 헬스장 관리 방법
KR20170131067A (ko) * 2016-05-20 2017-11-29 정택진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081030A (ko) 2018-07-05 2018-07-13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KR20190029102A (ko) * 2017-09-11 2019-03-20 두병일 운동 강사 매칭 시스템
KR20200024987A (ko) 2018-08-29 2020-03-10 정광 모바일 트레이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트레이너 서비스 제공방법
KR102117708B1 (ko) * 2020-02-14 2020-06-01 김경덕 개인운동관리시스템
KR20200090552A (ko) * 2019-01-21 2020-07-29 김현찬 피트니스 센터의 회원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261228B1 (ko) 2020-10-29 2021-06-04 권상언 운동 정보 제공 장치
KR102261229B1 (ko) 2020-10-29 2021-06-04 권상언 운동 정보 제공 방법
WO2022099081A1 (en) * 2020-11-08 2022-05-12 YourCoach Healt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osting wellness programs
KR20220122847A (ko) 2021-02-26 2022-09-0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트레이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인공지능 트레이닝 방법
KR102580766B1 (ko) * 2022-12-08 2023-09-20 김효남 피트니스 고객 결제시스템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113A (ko) 2015-01-21 2016-07-29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KR20160106420A (ko) 2015-03-02 2016-09-12 김태희 퍼스널 트레이닝을 위한 온라인 휘트니스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160111079A (ko) * 2015-03-16 2016-09-26 이호재 운동 관리 시스템 장치
KR20160147297A (ko) 2015-06-15 2016-12-23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KR20170024314A (ko) 2015-08-25 2017-03-07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운동량을 환산하여 화폐 유통이 가능한 핀테크 시스템
KR20170118298A (ko) * 2016-04-14 2017-10-25 (주)아이유웰 헬스장 관리 방법
KR20170131067A (ko) * 2016-05-20 2017-11-29 정택진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029102A (ko) * 2017-09-11 2019-03-20 두병일 운동 강사 매칭 시스템
KR20180081030A (ko) 2018-07-05 2018-07-13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KR20200024987A (ko) 2018-08-29 2020-03-10 정광 모바일 트레이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트레이너 서비스 제공방법
KR20200090552A (ko) * 2019-01-21 2020-07-29 김현찬 피트니스 센터의 회원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117708B1 (ko) * 2020-02-14 2020-06-01 김경덕 개인운동관리시스템
KR102261228B1 (ko) 2020-10-29 2021-06-04 권상언 운동 정보 제공 장치
KR102261229B1 (ko) 2020-10-29 2021-06-04 권상언 운동 정보 제공 방법
WO2022099081A1 (en) * 2020-11-08 2022-05-12 YourCoach Healt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osting wellness programs
KR20220122847A (ko) 2021-02-26 2022-09-0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트레이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인공지능 트레이닝 방법
KR102580766B1 (ko) * 2022-12-08 2023-09-20 김효남 피트니스 고객 결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9765A (ko)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개인 운동 관리 방법
US11587457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interactively prompting user decisions
US85603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compliance with a health plan
KR102117708B1 (ko) 개인운동관리시스템
KR101500673B1 (ko)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이동 통신 기기 및 건강 관리 방법
KR101871388B1 (ko) 헬스장 관리 방법
JP2012137930A (ja) 運動管理装置、運動管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20130095458A1 (en) Social Network Train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Trainer Application
KR101592021B1 (ko) 개인화된 임신, 출산, 산후조리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30197988A1 (en) Management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KR20130128533A (ko) 개인별 운동 이력을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헬스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Robb et al. Mastering survey design and questionnaire development
KR20160064893A (ko) 피트니스센터의 회원 간에 제공되는 소셜피트니스 서비스 제공방법
JP6021223B2 (ja) マッチングサーバ
KR102107587B1 (ko) 고객관리시스템
JP6575028B2 (ja) 来店分析システム及び来店分析方法
KR101663091B1 (ko) 운동센터 등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7165A (ko) 피트니스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모바일 피트니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9238148A (ja) 動線情報を利用した広告表示システム
KR101643809B1 (ko) 운동센터 관리 시스템의 운동센터 등재 관리 방법
KR20110118428A (ko) 목표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목표 관리 서비스 방법
JP202202594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方法
JP2004054393A (ja) 評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58835B1 (ko) 운동 관리 서버의 운동센터 등재 관리 방법
KR101658836B1 (ko) 운동 관리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