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577B1 -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577B1
KR102065577B1 KR1020170166565A KR20170166565A KR102065577B1 KR 102065577 B1 KR102065577 B1 KR 102065577B1 KR 1020170166565 A KR1020170166565 A KR 1020170166565A KR 20170166565 A KR20170166565 A KR 20170166565A KR 102065577 B1 KR102065577 B1 KR 102065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ser
user terminal
information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797A (ko
Inventor
유제광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사)한국인지과학산업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한국인지과학산업협회 filed Critical (사)한국인지과학산업협회
Priority to KR1020170166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5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동수행 시간대나 일상 생활에서의 상황은 물론 당일 야외 환경을 반영하여 최적의 시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운동종목을 선택하고 사용자단말로 운동을 추천하는 알림을 발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수행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움직임 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웨어러블 기기; 다종의 운동종목에 대한 동작패턴이 저장되며, 선택한 운동종목에 대하여 상기 웨어러블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운동종목의 운동량 및 운동기록을 계측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운동종목별 목표운동량과 상황별 운동종목을 추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 안내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계측된 사용자의 운동량 및 운동기록을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수신한 상기 운동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운동종목별 목표운동량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Living in the contact type exercise motion analyzing and exercise recommending system us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동수행 시간이나 일상 생활에서의 상황은 물론 당일 야외 환경을 반영하여 최적의 시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운동종목을 선택하고 사용자단말로 운동을 추천하는 알림을 발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수행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스마트폰 모델인 아이폰의 출시 이후 폭발적인 증가세를 이어온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듦에 따라 새로운 개념의 모바일 기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차세대 모바일 기술의 대표적인 주자로 ‘착용하는 전자기기’를 뜻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가 부상하고 있으며,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정보처리/엔터테인먼트 목적과 헬스케어 목적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삼성전자, 애플, 구글과 같은 IT분야 선도 기업은 물론 나이키, 아디다스와 같은 운동 용품 전문 기업들까지 포함하는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혁신적인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IT 전문기업 및 중소규모 IT 업체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주로 건강관리와 웰빙 목적의 헬스케어 제품에 집중되고 있다.
한편 발달된 스마트 기기와 센서 기술을 통해 개인 활동 데이터에 대한 정량화가 가능해졌고, 의료서비스의 패러다임이 치료중심에서 개인의 피트니스/웰니스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헬스케어 분야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적용과 확산이 가장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최근 Fibit, Jawbone, FuelBand, Gear Fit과 같은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출시되었으나, 높은 가격과 짧은 배터리 수명으로 인해 사용자 층이 일부에 국한되어 있다.
다가올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의 본격적인 성숙기를 맞이하기 위해 대중이 공감할 수 있는 가격과 장시간의 배터리 수명을 가지는 보급형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발은 물론 이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앱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89765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운동수행 시간이나 일상 생활에서의 상황은 물론 당일 야외 환경을 반영하여 최적의 시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운동종목을 선택하고 사용자단말로 운동을 추천하는 알림을 발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수행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움직임 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웨어러블 기기; 다종의 운동종목에 대한 동작패턴이 저장되며, 선택한 운동종목에 대하여 상기 웨어러블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운동종목의 운동량 및 운동기록을 계측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운동종목별 목표운동량과 상황별 운동종목을 추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 안내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계측된 사용자의 운동량 및 운동기록을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수신한 상기 운동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운동종목별 목표운동량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사용자단말은, 기설정된 시간에 위치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단말의 위치에 해당되는 지역에 대한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기상 상황에 따라 다종의 운동종목 중 당일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운동종목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 안내하는 운동종목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운영서버는, 수신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기반으로 운동종목별 운동수행 정도를 분석하는 운동수행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운동수행분석부는,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시간별로 분석한 사용자의 운동종목별 운동수행 정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내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운동수행분석부는, 운동수행 정도를 운동종목별 목표운동량 기준 '미달', '이하', '달성', '이상', '초과'로 분류하고 선택된 하나의 운동수행 정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내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운동수행분석부는, 사용자의 과거 운동수행시간을 수집하여 사용자의 운동수행 패턴을 분석하며, 당일 운동수행시간이 분석한 운동수행 패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알림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분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센서에서 송신하는 센싱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사용자의 운동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운동을 추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내하는 상황인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상황인지부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기입력된 사용자의 일상 생활 정보 또는 개인 일정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일상 생활 정보 또는 개인 일정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운동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운영서버는, 수신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기설정된 규칙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운동종목별 동작패턴과 목표운동량에 대한 신규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운동수행 시간이나 일상 생활에서의 상황은 물론 당일 야외 환경을 반영하여 최적의 시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운동종목을 선택하고 사용자단말로 운동을 추천하는 알림을 발송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맞춤형 동기 부여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운동 수행을 유도하며 이를 통해 더 나아가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영서버의 운동종목별 목표운동량 산출 방식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영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그룹별 운동 진척도를 안내하는 표시화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영서버의 운동종목별 목표운동량 산출 방식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영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그룹별 운동 진척도를 안내하는 표시화면이다.
본 발명의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기기(10)와 사용자단말(20) 및 운영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10)는 클립 내지 밴드 타입 구조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또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운동 실시에 따른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는 3차원 모션을 감지할 수 있는 모션 감지센서가 탑재되어 사용자의 다방향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는 3축 가속도 센서 및 3축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상/하, 좌/우 움직임과 이동 거리와 방위각 등을 포함한 움직임 정보에 대하여 다양한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는 상기 사용자단말(20)과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되는 움직임 감지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20)로 송신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는 운동 종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10)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각 고유의 일련번호를 갖는 바, 이러한 일련번호는 생성된 상기 감지신호와 함께 사용자 단말(20)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20)에서 각각의 웨어러블 기기(10)를 식별하고 각 위치에서의 움직임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2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 와이브로(Wibro) 등을 포함한 기존의 단말기 간 무선 통신 방식이 지원됨은 물론 운동이 실시되는 공간에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망을 구축하여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다종의 운동 종목에 대한 동작 패턴이 저장되며, 선택된 운동 종목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로부터 전송되는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운동 종목의 운동량 및 운동 기록을 계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200)와, 비교분석부(210) 및 결과도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00)는 상기 사용자단말(20)을 통해 안내 및 수행될 수 있는 다종의 운동 종목 정보와 해당 운동 종목에 대한 동작 패턴이 저장될 수 있다.
예들 들면 상기 메모리부(200)에는 일상 생활 중 실내나 실외에서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앉았다 일어서기', '윗몸 일으키기', '팔굽혀펴기', '계단 오르기', '걷기' 등의 운동 종목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들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특징적으로 발생하는 주요 동작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러한 동작 패턴은 추후 운동량 결과값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 정보로 활용된다.
이러한 동작 패턴 정보는 이하에서 설명한 운영서버(30)에 의해 신규 등록 또는 변경 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신규 또는 변경된 동작 패턴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200)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모리부(200)는 기설정된 각 운동 종목에 대한 등급별 기준, 체크 방법, No 카운트 기준, 웨어러블 기기(10)의 착용 위치 및 올바른 운동 자세 방법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시하게 되는 운동 종목이 선택되며 해당 운동 종목에 대한 관련 정보가 추출되어, 운동량 및 운동 기록 측정에서 비교 분석 데이터로 활용되거나 사용자단말(20)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비교분석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동 종목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200)로부터 해당 운동 종목에 대한 정보와 동작 패턴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로부터 수신된 움직임 감지신호를 비교 분석한다.
즉 상기 비교분석부(210)는 사용자가 특정 운동 종목을 수행함에 따라 감지되는 움직임 감지신호를 상기 메모리부(200)에 저장된 동작 패턴과 비교 분석하여 해당 운동 종목을 적합하게 수행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과도출부(220)는 상기 비교분석부(210)의 비교 결과를 전달받고, 해당 운동 종목의 실시에 따른 사용자의 총 운동량과 더불어 실시 회수를 포함한 운동 기록 결과를 도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과도출부(220)는 상기 비교분석부(210)의 결과값이 사용자의 운동 패턴이 해당 운동 종목의 기준 동작 패턴과 상대적으로 큰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 이를 동작 오류를 판단하고 오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단말(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운동량과 운동기록을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계측하고 측정된 운동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2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입력부가 구비되어 사용자 정보와 일상 생활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운영서버(30)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 정보, 나이, 성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상 생활 정보는 일상 생활에서 사용자가 운동 활동이 가능한 정보로 기상 시간, 점심시간, 출, 퇴근 시간, 대중 교통 이용 유무와 방법, 취침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 및 일상 생활 정보는 향후 사용자의 생활 패턴과 등급을 분석하여 일일 목표 운동량를 산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20)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내지 태블릿 PC 등 모바일 단말기일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사로부터 배포되는 특정 운동관리 앱(App)등을 설치 및 실행하여 운동량 계측 등을 포함한 운동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는 상기 사용자단말(20)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단말(20)의 설정정보는 물론 상기 사용자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운동량 및 운동기록을 포함한 운동정보 등을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별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운영서버(30)는 상기 사용자단말(20)로부터 기록 및 처리되는 운동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함으로써 정보화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20)의 입력부에서 입력된 입력정보 즉, 사용자 정보와 일상생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정보 요청 시 그에 따른 응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20)의 입력정보 즉, 사용자의 일상 생활 정보와 사용자의 성별 정보, 사용자의 신체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는 물론 운동 수행 진척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일일 목표 운동량과 권장 운동 종목을 산출하고 이를 사용자단말(20)을 통해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30)는 운동종목별 목표운동량과 상황별 운동종목을 추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20)로 안내하며, 상기 사용자단말(20)을 통해 계측된 사용자의 운동량 및 운동기록을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운동종목별 목표운동량 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운영서버(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종목추천부(310)와 운동수행분석부(320) 및 상황인지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동종목추천부(310)는 상기 사용자단말(2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단말(20)의 위치에 해당되는 지역에 대한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기상 상황에 따라 다종의 운동종목 중 당일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운동종목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단말(20)로 안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20)은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GPS모듈(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시간에 생성한 위치정보를 상기 운영서버(30)의 운동종목추천부(31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사용자단말(20)은 운동수행을 시작하기 시기인 아침시간대에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현재 위치를 나타내도록 하고, 상기 운영서버(30)는 기상청 서버와 접속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기상정보에 기반하여 운동종목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운동종목추천부(310)는 수집한 기상정보를 시간대별로 분류하여 각 시간대별 적합한 운동종목을 추천할 수 있다.
즉 수집한 기상 정보가 미세먼지가 많거나 비가 오는 등 야외 운동이 곤란할 경우 상기 운동종목추천부(310)는 야외에서 수행할 수 있는 운동보다 실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운동 종목 예를 들면 '앉았다 일어서기', '윗몸 일으키기' 등의 운동 종목을 추천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기상정보와 함께 알림 발송하여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림은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중 어느 하나의 안내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종목추천부(310)는 기상정보를 분석하여 '강수', '폭염', '한파', '미세먼지', '습도높음', '흐림', '맑음' 등 세부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분류된 항목에 대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운동종목추천부(310)는 수신한 기상정보에 있어 비 또는 눈일 경우 '강수'로 정의하고, 수신한 기상정보가 '폭염주의보', '폭염경보', '열대야'일 경우 '폭염'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수신한 기상정보가 습도지수 70% 이상일 경우 '습도높음'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운동수행분석부(320)는 수신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기반으로 운동종목별 운동수행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운동수행분석부(320)는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시간별로 분석한 사용자의 운동종목별 운동수행 정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본인의 운동수행 정도에 대한 진행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수행분석부(320)는 아침 09시, 점심 12시, 저녁 18시에 각각 운동수행 정보를 알림 발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운동수행분석부(320)는 운동수행 정도를 운동종목별 목표운동량 기준 '미달', '이하', '달성', '이상', '초과'로 분류하고 선택된 하나의 운동수행 정도를 상기 사용자단말(20)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운동수행분석부(320)는 사용자가 수행한 각 운동종목의 달성/미달성 여부를 분석하여 군집별 분류 후 설정한 특정시간에 알림 발송할 수 있으며, 보다 세부적으로는 사용자가 수행한 각 운동종목별 개인목표제공량 대비 ±% 수행 정도에 따라 운동수행 정도를 '미달','이하','달성','이상','초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를 설정된 시간 예를 들면 운동이 후 당일 설정한 특정시간에 알림 발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동수행분석부(320)는 운동종목별 운동수행 정도가 동일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과거 운동수행기록이 적은 종목으로 분류하여 알림 발송할 수 있으며, 과거 운동수행기록이 없을 경우에는 중요도에 따라 운동종목의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알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수행분석부(320)는 사용자가 과거 운동을 수행한 시간을 수집하여 사용자의 운동수행 시간 패턴을 분석할 수 있으며, 당일의 운동수행시간이 분석한 운동수행 시간 패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20)로 운동 추천을 알림 발송하여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과거는 작일에 대한 데이터거나 설정한 일정 기간 동안의 누적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상황인지부(330)는 상기 사용자단말(20)의 센서에서 송신하는 센싱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사용자의 운동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운동을 추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20)로 알림 발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20)은 가속도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등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분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21)로부터 생성 및 출력되는 센싱정보를 상기 상황인지부(33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상황인지부(330)는 상기 센서(21)로부터 송신되는 센싱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현재 어떠한 상황인 것인지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황인지부(330)는 상기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운전 중인지, 10분 이상 정지된 상태인지를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운동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운동을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황인지부(330)는 상기 사용자단말(20)로부터 기입력된 사용자의 일상 생활 정보 또는 개인 일정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일상 생활 정보 또는 개인 일정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운동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상황인지부(330)는 전달된 일상 생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출근 시간, 취침시간, 식사 시간대 등을 분석할 수 있으며, 해당 시간을 운동수행 가능 시기로부터 제외시킬 수 있으며, 별도로 입력된 일정 정보에 따른 일정시간 역시 제외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인지부(330)는 사용자단말(20)의 입력정보에 기반한 상황 인지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운동수행 패턴 등에 대한 반복적인 강화학습을 통해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운동을 추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운영서버(30)는 수신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기설정된 규칙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운동종목별 동작패턴과 목표운동량에 대한 신규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운영서버(30)는 사용자의 운동 상황시 규칙 준수 여부를 통해 해당 운동종목에 대한 사용자 적응 상황을 판단하고, 이와 같이 사용자 적응 상황이라 판단된 경우 새로운 규칙을 설정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의 규칙은 운동종목별 반복횟수, 1회당 빠르기, 운동속도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30)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별 운동정보와 이력을 일정 기간 누적하여 사용자 본인의 운동수행 능력이 다른 사용자는 평균 사용자의 운동수행 능력과 대비하여 상기 사용자단말(20)을 통해 안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운영서버(30)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한 그룹별 비교 운동 진척도를 분석하여 안내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단말(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앱(App.) 등으로 통해 시각화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본인의 운동수행 능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웨어러블 기기 20 : 사용자단말
21 : GPS모듈 22 : 센서
30 : 운영서버 200 : 메모리부
210 : 비교분석부 220 : 결과도출부
300 : 사용자데이터베이스 310 : 운동종목추천부
320 : 운동수행분석부 330 : 상황인지부

Claims (9)

  1.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움직임 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웨어러블 기기;
    다종의 운동종목에 대한 동작패턴이 저장되며, 선택한 운동종목에 대하여 상기 웨어러블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운동종목의 운동량 및 운동기록을 계측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분석하기 위한 가속도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운동종목별 목표운동량과 상황별 운동종목을 추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 안내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계측된 사용자의 운동량 및 운동기록을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수신한 상기 운동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운동종목별 목표운동량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센서에서 송신하는 센싱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사용자의 운동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선택적으로 운동을 추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내하되,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기입력된 사용자의 일상 생활 정보 또는 개인 일정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일상 생활 정보 또는 개인 일정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운동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상황인지부를 포함하며,
    수신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기설정된 운동종목별 반복횟수, 1회당 빠르기, 운동속도를 포함하는 규칙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적응 상황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적응 상황이라 판단된 경우 상기 운동종목별 동작패턴과 목표운동량에 대하여 신규 규칙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기설정된 시간에 위치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단말의 위치에 해당되는 지역에 대한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기상 상황에 따라 다종의 운동종목 중 당일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운동종목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 안내하는 운동종목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수신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기반으로 운동종목별 운동수행 정도를 분석하는 운동수행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수행분석부는,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시간별로 분석한 사용자의 운동종목별 운동수행 정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수행분석부는,
    운동수행 정도를 운동종목별 목표운동량 기준 '미달', '이하', '달성', '이상', '초과'로 분류하고 선택된 하나의 운동수행 정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수행분석부는,
    사용자의 과거 운동수행시간을 수집하여 사용자의 운동수행 패턴을 분석하며, 당일 운동수행시간이 분석한 운동수행 패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알림정보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166565A 2017-12-06 2017-12-06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KR102065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565A KR102065577B1 (ko) 2017-12-06 2017-12-06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565A KR102065577B1 (ko) 2017-12-06 2017-12-06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97A KR20190066797A (ko) 2019-06-14
KR102065577B1 true KR102065577B1 (ko) 2020-01-13

Family

ID=66846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565A KR102065577B1 (ko) 2017-12-06 2017-12-06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5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104B1 (ko) * 2019-08-22 2021-07-15 호스트웨이아이디씨(주) 운동 추천 시스템
KR102296885B1 (ko) * 2020-12-23 2021-09-02 주식회사 글로벌비즈텍 사용자 맞춤형 헬스 해빗 서비스 장치
KR20220150086A (ko) * 2021-05-03 2022-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화된 운동 코칭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4096565A1 (ko) * 2022-11-02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운동 루틴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5736A (ja) * 2010-03-31 2011-10-2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運動スケジュール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3685A (ko) * 2013-05-09 2014-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38433B1 (ko) * 2014-09-12 2016-07-12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사물인터넷 및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웰니스플랫폼 시스템
KR20160090113A (ko) * 2015-01-21 2016-07-29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5736A (ja) * 2010-03-31 2011-10-2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運動スケジュール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97A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8734B2 (en) User activity tracking system
KR102065577B1 (ko)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CN107172590B (zh) 基于移动终端的活动状态信息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9366746B2 (en) Comprehensive system and method of universal real-time linking of real objects to a machine, network, internet, or software service
US96724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objective reporting via wearable sensors
US20150324412A1 (en) User Activity Tracking System and Device
KR101458432B1 (ko) 운동정보 제공을 위한 자동연결 운동기구, 스마트기기, 이에 사용되는 운동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JP2018005536A (ja) 生活データ統合分析システム、生活データ統合分析方法、及び生活データ統合分析プログラム
KR20130065586A (ko) 모바일 광고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706474B1 (ko) 스마트폰 이용행태 수집 가공 시스템
KR20180022943A (ko) 선택적 인덱싱을 통한 검색 엔진 최적화
KR20160090113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KR20160147297A (ko)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JPWO2009075294A1 (ja) 危険度予測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033062B1 (ko)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US20140344253A1 (en) Terminal device, exter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200072112A (ko) 개인의 상황을 파악한 개인 맞춤형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921997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102240895B1 (ko) 체중 관리를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
GB2618249A (en) System for determining degree of interest, server device, progra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gree of inte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