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685A -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685A
KR20140133685A KR20130052755A KR20130052755A KR20140133685A KR 20140133685 A KR20140133685 A KR 20140133685A KR 20130052755 A KR20130052755 A KR 20130052755A KR 20130052755 A KR20130052755 A KR 20130052755A KR 20140133685 A KR20140133685 A KR 20140133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momentum
exercis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2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영
박찬우
류근정
장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52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3685A/ko
Publication of KR20140133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목표 운동량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목표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표시하고,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에 의해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변경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ealth Care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운동량 및 운동 패턴에 기초하여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 및 운동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건강 정보를 관리하고, 운동 스케줄 및 운동량을 결정할 수 있는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보급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는 복잡한 장치 없이도, 휴대폰, PDA등 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 내에 탑재된 GPS,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와 및 혈압계, 혈당계, 체중계, 체온계와 같은 주변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수행하는 운동량 및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들을 편리하게 수신할 수 있다.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은 실제 측정된 사용자의 건강 정보, 운동량과 사용자가 결정한 운동 스케줄, 운동량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건강 관리 프로그램들은 오로지 측정된 결과 및 운동 스케줄, 필요 운동량, 필요 칼로리량 등만을 표시할 뿐이므로, 사용자의 상황이 변동된 경우,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상황 변동에 따라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목표 운동량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목표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 패턴 정보는,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이 합산된 전체 운동량에 따라 구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기준 시간 동안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는,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남은 시간 동안 상기 목표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에 의해 운동 패턴 정보가 변경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시간대별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시간대별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는 디바이스의 내부 센서 또는 디바이스의 외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로부터 목표 운동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목표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패턴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사용자 운동 패턴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 패턴 정보는,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이 합산된 전체 운동량에 따라 구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기준 시간 동안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운동량이 달성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남은 시간 동안 상기 목표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시간대별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시간대별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는 디바이스의 내부 센서 또는 디바이스의 외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목표 운동량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사용자의 운동량에 관한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목표 운동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목표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 및 상기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 패턴 정보는,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이 합산된 전체 운동량에 따라 구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기준 시간 동안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는,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남은 시간동안 상기 목표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에 의해 운동 패턴 정보가 변경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시간대별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시간대별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는 디바이스 외부의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디바이스로부터 목표 운동량 정보 및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목표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패턴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운동 패턴 정보 선택부, 상기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하는 운동 패턴 정보 변경부 및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 및 상기 변경된 사용자 운동 패턴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 패턴 정보는,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이 합산된 전체 운동량에 따라 구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기준 시간 동안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동 패턴 정보 선택부는,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운동량이 달성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남은 시간 동안 상기 목표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시간대별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시간대별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는 디바이스의 센서 또는 주변기기를 통해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목표 운동량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목표 운동량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운동 패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에 따라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에 관한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선택된 운동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추천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상황에 기초한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디바이스에서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패턴 정보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와 서버간의 정보 처리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 상에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100) 도면이다.
본원발명의 시스템은 임상적 의사 결정 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ing System: CDSS)을 포함할 수 있다. CDSS란 의학적인 진단이나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판단 시, 판단에 필요한 제반 지식들을 제공함으로써,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뜻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원발명에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건강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제반 정보들을 획득하고, 운동량을 결정, 변경하도록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디바이스(101)가 네트워크(105)를 통해 서버(103)와 통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1)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3)에게 사용자가 목표한 운동량에 관한 정보, 디바이스(101)가 획득한 사용자의 실제 운동량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서버(103)로부터 목표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계획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달성한 운동량에 따라 목표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계획이 변경될 필요가 있는 경우, 서버로부터 변경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1)는 표시부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변경된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표시된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건강 관리 정보를 상황에 따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디바이스(101)는 핸드폰, PDA와 같은 모바일 기기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트북, 데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포함한다.
서버(103)는 네트워크(105)를 통해 디바이스(101)로부터 목표 운동량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3)는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병원, 보험회사, 건강 관리 센터의 데이터 서버를 포함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에게 적합한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건강 관리를 위한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서버 및 서버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3)는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 목표로 하는 운동량 등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운동 스케줄, 운동 계획, 운동 패턴 등에 대한 정보를 디바이스에게 송신한다. 또한 서버(103)는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운동 계획, 운동 패턴 등에 대한 정보가 변경될 필요가 있는 경우, 운동 계획, 운동 패턴 등의 정보를 변경하여, 디바이스에게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디바이스에서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계 201에서, 디바이스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한 목표 운동량 정보를 전송한다.
목표 운동량 정보는, 사용자가 목표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25000Kcal를 소모하는 것을 목표로 정한 경우, 25000Kcal를 목표 운동량이라 할 수 있다. 물론, Kcal 단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하루에 4Km를 걷는 것을 목표로 한 경우, 목표 운동량이 4Km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목표 운동량 정보란 사용자가 목표한 운동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단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운동량은 특정 단위에 제한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목표 운동량 정보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목표 운동량을 얼마만큼의 시간 동안 달성하겠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하루, 일주일, 한시간 등 다양한 기간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을지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별히 설정하지 않은 경우, 소정의 기간(예를 들면 24시간 내) 동안 목표 운동량을 달성하겠다고 결정한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목표 운동량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주변기기로부터 측정된 혈당, 혈압, 체중, 체온과 같은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는 목표 운동량 정보와 함께 서버로 전송되며, 서버에서 목표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패턴을 선택하는데 참고되는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단계 203에서 디바이스는 서버로부터 목표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수신한다. 운동 패턴 정보라 함은, 목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여야 할 운동 스케줄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목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해 시간별 또는 기간별로 수행해야 할 운동량을 나타낸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도 4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패턴 정보는 디바이스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 내에서 목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운동 패턴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서버가 아닌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운동량을 기초로 하여 운동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운동 패턴이 서버 또는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패턴 정보는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이란, 목표 운동량에 따라 정해진 운동 패턴의 전체운동량 또는 목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결정한 기간, 또는 소정의 기간 내에 각 시간대별로 수행해야 할 목표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패턴 정보는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이 합산된 전체 운동량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즉, 각 시간대 별 운동량을 모두 합산한 것이 전체 운동량이며, 전체 운동량이 다른 경우, 서버는 다른 운동 패턴 정보라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체 운동량이 동일한 경우에도, 시간대 별 운동량이 다른 경우, 운동 패턴이 다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205에서, 디바이스는 수신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표시한다. 즉, 사용자가 결정한 목표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디바이스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들이라 함은,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주변 기기들로부터 측정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혈압, 혈당, 체온, 체중과 같은 정보들 및 서버로부터 수신된 최근 운동량, 운동 기록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하거나, 디바이스가 측정을 통해 획득하거나, 서버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운동 패턴 정보의 전체 운동량을 표시할 수 있으며, 수신된 운동 패턴 정보의 전체 운동량 및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그래프, 도형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단계 207에서, 디바이스는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사용자 운동량 정보라 함은, 사용자가 실제 수행한 운동의 양을 측정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실제로 움직인 거리,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해 추측되는 칼로리의 소모량, 사용자가 걸은 횟수를 통해 연산된 거리, 칼로리의 소모량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실제로 수행한 움직임을 측정하여, 측정된 값, 측정된 값을 통해 연산, 추정된 값과 같은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값의 연산, 추정은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시간대별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각 시간대별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이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6시부터 7시까지, 7시부터 8시까지 수행한 운동량이 각각 얼마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기준 시간 동안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준 시간이라 함은, 현재 시간 또는, 소정의 시간을 의미하며, 기준 시간 동안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이란 현재 시간, 또는 소정의 시간까지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이 얼마인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이 오후 1시인 경우, 선택된 운동 패턴에 따라 운동 수행을 시작해야 하는 시간부터 오후 1시까지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이 총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내에 내장된 GPS,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통해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다양한 주변기기를 통해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사용자 운동량 정보뿐만 아니라, 연결된 다양한 주변기기로부터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함께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혈압계, 혈당계, 체중계, 체온계와 같은 주변기기가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주변기기로부터 혈압, 혈당 등과 같은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함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09에서, 디바이스는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에 의해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서버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목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해 운동 패턴을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운동 패턴을 변경하여,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를 디바이스에게 송신한다. 디바이스는 이를 수신한다. 자세한 내용은 도 3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패턴의 변경은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획득한 사용자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패턴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서버가 아닌 디바이스가 직접 운동 패턴을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211에서, 디바이스는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변경한다. 즉, 사용자 운동량에 기초하여,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변경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뿐만 아니라, 수신된 변경된 운동 패턴에 기초하여, 표시된 모든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모든 정보라 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체 운동량, 도형, 그래프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단계 201 내지 단계 211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간별 운동량, 현재 시간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적합한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계 301에서, 서버는 디바이스로부터 목표 운동량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20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목표 운동량 정보를 입력 받고, 서버는 목표 운동량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사용자의 건강 관련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건강 관련 정보들을 통해 목표 운동량을 직접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병원 기록, 의사의 처방과 같은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이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가 직접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목표 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가 서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직접 목표 운동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303에서 서버는 목표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패턴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는 복수 개의 운동 패턴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운동 패턴 정보는 사용자 본인의 운동량, 운동 계획, 시간대별 운동량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고, 타인의 운동량, 운동 계획, 시간대별 운동량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패턴 정보는 전체 운동량, 시간대별 운동량뿐만 아니라, 해당 운동 패턴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나이, 성별과 같은 건강 관련 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목표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패턴 중 하나를 선택 시, 목표 운동량 정보 내의 목표 운동량과 동일한 전체 운동량을 가진 운동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장 서버 내에 저장된 복수 개의 운동 패턴 중 가장 근접하게 크거나 작은 전체 운동량을 가진 운동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운동 패턴 정보를 선택하는 방법은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목표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패턴 중 하나를 선택할 때, 목표 운동량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고려하여 운동 패턴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운동 패턴 정보 내에 저장된 성별, 나이 등을 고려하여, 운동 패턴 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패턴 정보의 선택은 서버가 아닌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305에서, 서버는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는 시간대별 운동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체 운동량, 성별, 나이 등 운동 패턴 정보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7에서, 서버는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사용자 운동량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혈압, 체중, 혈당 등 디바이스가 획득한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들을 함께 수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시간대별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정보인 시간대별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대별 사용자 운동량 정보란 각 시간별마다 사용자가 운동한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기준 시간 동안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준 시간이라 함은, 현재 시간 또는, 소정의 시간을 의미하며, 기준 시간동안의 사용자 운동량 정보란 현재 시간, 또는 소정의 시간까지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이 오후 1시인 경우, 선택된 운동 패턴에 따라 운동을 시작한 시간부터 오후 1시까지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이 총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9에서 서버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단계 303에서 선택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한다. 즉, 사용자의 실제 운동량, 사용자의 시간별 운동량과 같은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운동 패턴은 소정의 기간 동안 수행해야 할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간은 일주일, 하루, 등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운동량이 달성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즉, 소정의 기간 중 기준 시간 까지 수행한 사용자의 운동량이,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의 기준 시간까지의 운동량과 비교하여 부족한지, 초과되었는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물론 사용자 운동량 정보에 포함된 시간대별 운동량과 운동 패턴 정보에 포함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각각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목표 운동량을 달성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목표 운동량이 달성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운동량이 달성되지 못한 경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은 남은 시간에 목표 운동량 또는 목표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의 전체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운동량과 소정의 기간 중 기준 시간 까지 수행한 사용자의 운동량의 차이량을 남은 시간의 목표 운동량 또는 남은 시간의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에 합산하는 방법으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남은 시간이란 운동 패턴에 따라 운동을 수행해야 할 전체 기간 중, 기준 시간까지의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가장 높은 활동량을 기록하고 있는 시간대의 시간대별 운동량에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운동량과 소정의 기간 중 기준 시간 까지 수행한 사용자의 운동량의 차이량을 추가할 수 있다.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방법은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현재 시간,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수신하여 운동 패턴을 변경해야 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매일 동일한 시간대에 동일한 운동량을 수행하기는 불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시간대별 운동량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종래에는 목표 운동량의 달성과정이 변경되더라도, 운동 패턴이 변경되어 제공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고려하여,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황에 맞춰 달성 가능한 운동 패턴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기본적으로 서버가 운동 패턴 정보를 선택 할 때에도 동일한 사용자 개인의 기록을 최우선으로 선택하거나, 나이, 성별 등 건강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본인 또는 사용자와 가장 유사한 건강 관련 정보를 가지고 있는 운동 패턴을 선택하므로, 사용자에 따른 달성 가능한 운동 목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패턴 정보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운동 패턴 정보는 디바이스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패턴 정보이다. 도시된 운동 패턴 정보는 목표 운동량 정보에 따라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이며,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기초로 그래프 형태로 표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합산한 것이 운동 패턴의 전체 운동량이다.
도시된 운동 패턴을 보면, 0시부터 24시까지 24시간을 기준으로 운동을 수행하도록 계획되어 있는 운동 패턴이며, 각 시간대별로 수행해야 할 운동량이 표시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선택된 운동 패턴에 따라 운동을 수행해야 할 시작 시간이 0시이며, 종료 시간은 24시이다.
도시된 운동 패턴 정보를 참고하면, 6시의 시간대(예를 들면, 6시부터 7시 전까지)에는 1000Kcal가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에 해당한다. 7시의 시간대(예를 들면, 7시부터 8시 전까지) 또한 1000Kcal가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여, 서버로 전송한다. 전송한 사용자 운동량 정보 내에는 시간대별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포함한다. 서버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6시의 시간대에 500Kcal만을 소모한 경우, 해당 시간대의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달성하지 못한 나머지 500Kcal의 운동량을 남은 시간인 7시부터 24시까지의 시간대별 운동량에 각각 분배하여 목표 운동량을 달성하도록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장 낮은 시간대별 목표량을 가진 8시의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에 500Kcal를 합산하도록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8시의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은 150Kcal에서 650Kcal로 증가하도록 운동 패턴 정보가 변경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시간 동안의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과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시간을 9시라 하면, 사용자 운동량 정보에는 사용자가 9시까지 수행한 운동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서버는 9시까지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과 운동 패턴에서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운동량, 즉, 9시까지 수행해야 할 목표 운동량인 2450Kcal를 비교하여,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운동량을 달성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운동량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 나머지 시간인 10시부터 24시까지의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에 기준 시간 동안 달성하지 못한 나머지 운동량을 합산하여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예시에서, 기준 시간 동안이란 0시부터 9시를 의미하고, 남은 시간은 10시부터 24시까지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하는 기준은 사용자의 설정 또는 서버나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초과한 경우 또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할 수 있으며, 운동 패턴 정보의 변경은 서버뿐만 아니라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패턴 정보는 상기 그래프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밴다이어그램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운동 패턴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그래프에는 한시간 단위인 시간대별로 목표 운동량이 표시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의 시간마다의 운동량을 합산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24시간이 아닌 6시간, 일주일 등의 더 길거나, 짧은 기간의 운동 패턴의 경우 다른 시간 간격에 따라 해당 시간 간격 동안의 목표 운동량이 표시될 수 있으며, 선택된 또는 변경된 운동 패턴의 전체 운동량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와 서버간의 정보 처리 과정을 도시한다.
단계 S501에서, 디바이스는 목표 운동량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목표 운동량 정보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디바이스가 직접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기록들에 기초하여 연산, 추정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서버는 수신한 목표 운동량 정보를 기초로 운동 패턴을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목표 운동량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목표 운동량 정보와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운동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패턴 정보는 운동 패턴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 전체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해당 운동 패턴을 통해 목표 운동량 달성에 적합한 나이, 성별, 직업 등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05에서, 서버는 선택된 운동 패턴에 관한 정보인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단계 S507에서, 디바이스는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포함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뿐만 아니라, 전체 운동량, 나이, 성별, 직업 등의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들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건강 관련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509에서, 디바이스는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운동량 정보에는 시간대별로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시간대별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준 시간 동안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내에 내장된 GPS,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통해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다양한 주변기기를 통해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사용자 운동량 정보뿐만 아니라, 연결된 다양한 주변기기로부터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함께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혈압계, 혈당계, 체중계, 체온계와 같은 주변기기가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주변기기로부터 혈압, 혈당 등과 같은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함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11에서, 디바이스는 서버로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513에서, 서버는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와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비교하여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운동량 정보 내에 포함된 시간대별 사용자 운동량 정보 또는 기준 시간 동안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을 운동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운동 패턴 정보 내에 포함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 또는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운동량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운동량이 달성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남은 시간 동안 목표 운동량 또는 선택된 운동 패턴의 전체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하는 것은 달성하지 못한 목표 운동량을 남은 시간 동안의 시간대별 운동량에 균일하게 분배하거나, 가장 낮은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가진 시간대에 합산하는 방식으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목표 운동량 또는 전체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단계 S515에서, 서버는 디바이스로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517에서, 디바이스는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변경한다.
즉, 디바이스는 표시되어 있는 선택된 운동 패턴의 정보를, 수신한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변경된 상황에 따라 적합한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은 디바이스에서 모두 수행될 수 있다. 즉, 서버와의 통신 없이 디바이스 내에서 모든 단계를 단독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목표 운동량을 판단하고, 목표 운동량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운동 패턴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운동 패턴에 따라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추천할 수 있다. 목표 운동량을 추천한 후,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운동량에 관한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여, 선택된 운동패턴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필요한 경우 추천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변경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6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6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1), 센서부(603), 표시부(605), 수신부(607), 송신부(609)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1)는 사용자로부터 목표 운동량, 사용자의 건강 관련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지문 인식기, RFI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603)는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603)는 GPS, 가속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 또는 산정할 수 있는 정보인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603)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주변기기로부터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603)는 획득한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시간대별 운동량을 연산,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607)는 서버로부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 및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를 수신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동 패턴 정보에 따른 목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해 함께 수행해야 할 식단, 추천 운동등에 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으며, 다양한 데이터는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부(609)는 목표 운동량 정보,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서버로 송신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목표 운동량 정보, 사용자 운동량 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함께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600)의 각 구성요소는 내부 버스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7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700)는 운동 패턴 정보 선택부(701), 운동 패턴 정보 변경부(703), 수신부(705) 및 송신부(707)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패턴 정보 선택부(701)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목표 운동량을 기초로 운동 패턴 정보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패턴 정보 선택부(701)에는 복수의 운동 패턴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패턴 정보 선택부는 목표 운동량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고려하여 운동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운동 패턴 정보 내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와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고려하여 운동 패턴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패턴 정보 선택부(701)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디바이스가 단독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패턴 정보 변경부(703)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패턴 정보 변경부(703)는 사용자 운동량 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와, 운동 패턴 정보 선택부(701)에서 선택한 운동 패턴 정보 내에 포함된 전체 운동량 또는 시간대별 운동량을 비교하여, 운동 패턴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패턴 정보 변경부(703)는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실제 운동량을 추정, 또는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705)는 디바이스로부터, 목표 운동량 정보,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수신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부(707)은 디바이스로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 및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7)

  1.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목표 운동량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목표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패턴 정보는,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이 합산된 전체 운동량에 따라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기준 시간 동안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는,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남은 시간 동안 상기 목표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에 의해 운동 패턴 정보가 변경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시간대별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시간대별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는 디바이스의 내부 센서 또는 디바이스의 외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방법.
  7.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로부터 목표 운동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목표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패턴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사용자 운동 패턴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패턴 정보는,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이 합산된 전체 운동량에 따라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기준 시간 동안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운동량이 달성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남은 시간 동안 상기 목표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시간대별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시간대별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는 디바이스의 내부 센서 또는 디바이스의 외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방법.
  13.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목표 운동량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사용자의 운동량에 관한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목표 운동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목표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 및 상기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패턴 정보는,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이 합산된 전체 운동량에 따라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디바이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기준 시간 동안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운동 패턴 정보는,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남은 시간동안 상기 목표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에 의해 운동 패턴 정보가 변경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디바이스.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시간대별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시간대별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디바이스.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디바이스 외부의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디바이스.
  19.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디바이스로부터 목표 운동량 정보 및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목표 운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패턴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운동 패턴 정보 선택부;
    상기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하는 운동 패턴 정보 변경부; 및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 및 상기 변경된 사용자 운동 패턴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서버.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패턴 정보는,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이 합산된 전체 운동량에 따라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서버.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기준 시간 동안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서버.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패턴 정보 선택부는,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운동량이 달성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남은 시간 동안 상기 목표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서버.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시간대별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에 관한 시간대별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서버.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운동량 정보는 디바이스의 센서 또는 주변기기를 통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서버.
  25.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목표 운동량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목표 운동량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운동 패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운동 패턴에 따라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에 관한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된 사용자 운동량 정보와 선택된 운동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추천된 시간대별 목표 운동량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26. 제 1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7. 제 7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30052755A 2013-05-09 2013-05-09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33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2755A KR20140133685A (ko) 2013-05-09 2013-05-09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2755A KR20140133685A (ko) 2013-05-09 2013-05-09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685A true KR20140133685A (ko) 2014-11-20

Family

ID=5245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2755A KR20140133685A (ko) 2013-05-09 2013-05-09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368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564A1 (ko) * 2015-12-24 2017-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개인화된 운동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WO2017111248A1 (ko) * 2015-12-24 2017-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와 연결 가능한 사용자 단말장치
KR101952407B1 (ko) * 2017-09-20 2019-05-08 주식회사 디엔제이 휴먼케어 음악에 기초하여 운동 게임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66797A (ko) * 2017-12-06 2019-06-14 사단법인 한국인지과학산업협회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KR102137076B1 (ko) * 2019-04-15 2020-07-23 최수지 스포츠 수강이력관리를 이용한 맞춤형 스포츠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71793A (ko) * 2019-12-06 2021-06-16 한국과학기술원 다단계 적시 중재 시스템을 통한 원격 헬스케어 사용자의 운동 처방 준수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564A1 (ko) * 2015-12-24 2017-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개인화된 운동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WO2017111248A1 (ko) * 2015-12-24 2017-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와 연결 가능한 사용자 단말장치
KR20170076379A (ko) * 2015-12-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와 연결 가능한 사용자 단말장치
US11173341B2 (en) 2015-12-24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apparatus and user terminal device connectable to wearable device
US11185739B2 (en) 2015-12-24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sed exercise guide therefor
KR101952407B1 (ko) * 2017-09-20 2019-05-08 주식회사 디엔제이 휴먼케어 음악에 기초하여 운동 게임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66797A (ko) * 2017-12-06 2019-06-14 사단법인 한국인지과학산업협회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KR102137076B1 (ko) * 2019-04-15 2020-07-23 최수지 스포츠 수강이력관리를 이용한 맞춤형 스포츠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71793A (ko) * 2019-12-06 2021-06-16 한국과학기술원 다단계 적시 중재 시스템을 통한 원격 헬스케어 사용자의 운동 처방 준수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45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latform Designed for Digital Health Management and Support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Yang et al. Lifelogging data validation model for internet of things enabled personalized healthcare
EP3079090B1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80160925A1 (en) Workou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KR20140133685A (ko)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A2809076C (en) Power management for a handheld medical device
US96724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objective reporting via wearable sensors
US8965402B2 (en)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and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 and mobile app
US10463300B2 (en) Body-worn monitor
US20200126673A1 (en) Evaluation request program, evaluation request method, and computer apparatus
US20150342511A1 (en) Operating system with color-based health state themes
US20160213979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providing exercise guide information
US20170262617A1 (en) Activity tracking device
EP3019084B1 (en) Reminder, classification, and pattern i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held diabetes management devices
EP3567594B1 (en) Diabetes management system with dynamic selection of prediction logic
US11587672B1 (en) Tiered time-in-range guiding interfaces for diabetes management
JP201905367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80344229A1 (en) Pulse oximeter suggests another test
CN109843155B (zh) 用于提供血糖护理服务的电子装置和方法
CA2856649A1 (en) Wellness application for data-capable band
US10466094B2 (en) Method and system to track weight without stepping on a weight scale
JP7119755B2 (ja) 健康管理装置、健康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52658A (ja) 特徴抽出装置
KR20240005255A (ko) 사용자 위치 정보에 기반한 정보제공 방법
WO2016163465A1 (ja) 疾患分析装置、疾患リスク分析システムおよび疾患分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