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809A -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809A
KR20150086809A KR1020140006888A KR20140006888A KR20150086809A KR 20150086809 A KR20150086809 A KR 20150086809A KR 1020140006888 A KR1020140006888 A KR 1020140006888A KR 20140006888 A KR20140006888 A KR 20140006888A KR 20150086809 A KR20150086809 A KR 20150086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information
user
prescrip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우
최경식
손락성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씨 주식회사
손락성
정찬우
최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씨 주식회사, 손락성, 정찬우, 최경식 filed Critical 제이에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6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6809A/ko
Publication of KR20150086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운동기구와 중앙건강관리 서버 사이에서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중계시켜 운동처방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운동처방의 계획된 운동량에 실제 운동량이 도달하지 못한 경우 운동시간의 마지막 단위 시간에 사용자에 추가 운동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계획된 운동량을 달성하였는지 판단하고 계획된 운동량을 달성하도록 도와주는 운동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health information of user using smart-phon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운동기구와 중앙건강관리 서버 사이에서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중계시켜 운동처방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운동처방의 계획된 운동량에 실제 운동량이 도달하지 못한 경우 운동시간의 마지막 단위 시간에 사용자에 추가 운동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계획된 운동량을 달성하였는지 판단하고 계획된 운동량을 달성하도록 도와주는 운동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이 발달하면서 풍족해진 식생활에 비해 신체적 활동량이 적어진 현대인은 운동부족으로 비만과 당뇨병 등의 각종 성인병으로 건강을 위협받고 있다. 최근에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데, 비만과 당뇨병등의 성인병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운동하거나 미용 또는 다이어트를 위해 운동을 한다.
이렇게 다양한 목적을 위해 운동을 실시하는데, 운동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 연령 등의 신체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운동 목적을 고려한, 사용자에 개인화된 맞춤형 건강 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건강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는 운동기구의 종류별로 운동방법, 운동시간, 운동강도, 운동횟수 등을 운동자의 성별, 연령, 숙련도, 건강상태로 대별되는 체력수준에 따라서 알맞게 달리하여 운동하여 최적의 운동효과를 얻고자 한다.
이러한 사용자에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일 실시 형태는 사용자의 기본적인 신체상황을 특정 장치나 문진을 통해 파악한 후 운동 목표를 설정하여 만들어진다. 기본적인 신체상황이란 체중, 키, 비만도, 지방과 근육의 비율 등을 측정하여 나오는데 사용자가 갖고 있는 운동의 목적과 과거 병력, 가용 운동 시간 등을 감안하여 초기 운동 프로그램을 만드는 중요한 입력요인이 된다. 이렇게 초기의 운동 프로그램이 만들어지면 그 프로그램에 따라 일정 기간 (보통 약1달 정도) 운동을 수행하고 다시 기본 신체상황을 측정하여 새로운 운동 프로그램을 만들어 시행하게 된다.
이러한 운동 프로그램은 약 1달 주기로 만들어지는데, 운동 프로그램과 회원의 운동 실적에 대한 관계나 데이터 축적이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운동 시작부터 운동 목적을 이룰 때까지의 운동라이프사이클(Exercise Life Cycle)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실제 실시하는 운동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며, 실시간으로 획득한 운동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라이프사이클을 고려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기 위하여 고가의 장비가 추가되어야 하거나 운동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이 복잡하면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추가로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으며 간편하게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개인화된 운동처방을 제공할 수 있는 운동관리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운동 관리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추가의 고가 장비없이도 사용자가 실시하고자 하는 운동기구를 인식하여 인식한 운동기구 및 사용자의 운동처방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중앙건강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운동처방을 다시 운동기구로 전송하며, 운동기구를 통한 운동 중 또는 운동 종료 후에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다시 중앙건강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중앙건강관리 서버의 운동처방정보에 사용자가 종속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현재 몸 상태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운동시간과 운동종목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제 수행한 운동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처방을 갱신하여 계획된 운동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운동 정보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정보의 관리 방법은 근거리 통신 거리에 위치하는 운동기구로부터 운동기구 식별자를 수신하고 수신한 운동기구 식별자 또는 사용자 식별자를 구비한 운동 정보 요청 메시지를 중앙건강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운동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중앙건강관리 서버로부터 운동기구에 따른 운동처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운동처방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중 또는 운동 종료 후 운동기구로부터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한 운동정보를 중앙건강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중앙건강관리 서버로부터 운동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된 운동분석정보 및 갱신된 운동이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운동처방정보, 운동정보, 운동분석정보 및 운동이력정보는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의 관리 방법에서 운동처방정보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운동기구로 전송되며, 운동기구는 상기 운동처방정보로 동작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의 관리 방법에서 운동처방정보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수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운동처방정보가 수정되는 경우 수정된 운동처방정보를 운동기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의 관리 방법은 운동 중 단위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운동기구로부터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요청하고 단위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운동기구로부터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정보 관리 방법은 운동처방정보에 기초하여 운동처방의 운동시간의 종료 직전 단위 시간에 사용자의 실제 운동량을 계산하며 실제 운동량과 운동처방정보의 계획된 운동량을 비교하는 단계와, 실제 운동량이 계획된 운동량보다 적은 경우 계획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운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추가 운동정보를 계산하는 일 예로, 계획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운동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제 운동량과 계획된 운동량의 차이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 운동정보를 계산하는 다른 예로 계획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운동정보는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데, 추가 운동정보는 중앙건강관리 서버에 저장된 운동처방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사용한 운동기구 또는 사용자에 처방된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정보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운동기구와 중앙건강관리 서버 사이에서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중계시킴으로써, 추가의 고가 장비없이도 사용자가 실시하고자 하는 운동기구를 인식하여 인식한 운동기구 및 사용자의 운동처방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운동 중 또는 운동 종료 후에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중앙건강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정보 관리 방법은 중앙건강관리 서버의 운동처방에 따라 운동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현재 몸 상태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원하는 운동 종목에 따라 자유롭게 운동시간과 운동종목을 선택할 수 있으며 실제 운동시간 또는 운동종목에 따른 운동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처방을 갱신함으로써, 계획된 운동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정보 관리 방법은 운동처방의 계획된 운동량에 실제 운동량이 도달하지 못한 경우 운동시간의 마지막 단위 시간에 사용자에 추가 운동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계획된 운동량을 달성하였는지 판단하고 계획된 운동량을 달성하도록 도와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통합되어 있는 운동정보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 관리부(14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 관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정보 관리 방법에서 운동처방정보를 편집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사용자의 실제 운동량과 계획된 운동량이 서로 상이한 경우 추가 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정보 관리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네트워크(200)에는 중앙건강관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300)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 네트워크(200)는 중앙건강관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300)가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연결망으로, 일반공중회선망(PSTN), ISDN, 전용선, LAN(local area network) 및 WAN(wide area network)에 의해서 이루어진 상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총칭한다. 특히, 이러한 통신망들에 웹브라우져를 이용하여 중앙건강관리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300)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이 자유로운 인터넷(internet)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이 유익하다.
여기서 중앙건강관리 서버(100)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주소, 신체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DB와, 사용자 성별, 나이, 신체정보에 기초하여 작성된 사용자의 운동처방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운동처방 DB와, 사용자가 날짜별 실시한 운동에 따른 운동량 분석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운동이력 DB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건강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특정 운동기구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운동처방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300)를 인증하고 인증한 사용자 단말기(300)로 사용자의 운동처방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중앙건강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사용자 운동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사용자 운동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운동이력을 갱신하여 운동이력 DB에 저장 관리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300)는 다양한 운동기구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운동기구를 식별하여 해당 운동기구에 해당하는, 중앙건강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운동처방정보를 운동기구(400-1, 400-2)로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운동 중 주기적 단위 시간마다 또는 운동처방정보에 따른 운동 종료 후 운동기구(400-1, 400-2)로부터 사용자가 실제 실시한 운동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운동 정보를 중앙건강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기(300)는 인터넷망을 통해 중앙건강관리 서버(100)와 통신하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운동기구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중앙건강관리 서버(100) 또는 운동기구(400-1, 400-2)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PDA, 스마트폰, 개인용 컴퓨터 등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이 휴대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예가 될 수 있다.
운동기구(400)는 사용자가 운동을 실시하는 통상의 운동기구로, 다만 근거리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 단말기(300)가 근거리 통신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300)로 운동기구 식별자를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운동처방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위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사용자 운동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운동기구(4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운동처방정보에 따라 구동부(미도시)를 구동하여 사용자에 계획된 운동량을 실시하도록 제어되거나, 단순히 운동처방정보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실시한 운동정보를 주기적으로 단위 시간마다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통합되어 있는 운동정보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운동정보 관리 장치는 인터넷을 통해 중앙건강관리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넷 송수신부(110)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운동기구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송수신부(120)를 구비한다.
운동기구 관리부(140)는 운동기구와 근거리 통신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근거리 송수신부(120)를 통해 운동기구로부터 운동기구 식별자를 수신하거나, 운동기구로부터 주기적으로 단위 시간마다 운동정보를 수신하며, 운동기구 식별자 또는 운동정보를 서버 관리부(130)로 제공한다.
서버 관리부(130)는 인터넷 송수신부(110)를 통해 중앙건강관리 서버로 운동기구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운동정보를 전송하며, 운동기구 식별자 또는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중앙건강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운동처방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운동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된 운동량 분석 정보 또는 갱신된 운동이력정보를 수신한다. 서버 관리부(130)는 운동처방정보를 운동기구 관리부(140)로 제공하며, 운동기구 관리부(140)는 운동처방정보를 근거리 송수신부(120)를 통해 운동기구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서버 관리부(130)는 중앙건강관리 서버로부터 운동처방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운동처방정보를 출력부(160)를 통해 사용자에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수신한 운동처방정보를 사용자 명령에 따라 현재 사용자 몸 상태 또는 현재 사용자의 운동 기호에 맞게 수정 편집한다. 서버 관리부(130)는 편집한 운동처방정보를 운동기구 관리부(140)로 제공한다. 여기서 출력부(160)는 사용자의 운동처방정보, 사용자의 운동정보, 운동량 분석 정보 또는 운동이력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수단으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 관리부(14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근거리 통신부(141)는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 거리에 위치하는 운동기구로부터 운동기구 식별자 또는 운동정보를 수신하거나 운동처방정보를 운동기구로 전송한다. 운동정보 관리부(143)는 운동기구 식별자를 수신하는 경우 서버 관리부(130)로 운동기구 식별자를 전송하며, 서버 관리부(130)로부터 운동처방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근거리 통신부(141)를 통해 운동기구로 송신 제어한다.
한편, 단위 시간 카운트부(145)는 운동처방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운동시간에 기초하여 전체 운동시간을 다수의 단위 시간으로 구분하여 단위 시간을 카운트하는데, 운동정보 관리부(143)는 단위 시간마다 운동기구로부터 운동정보를 요청하여 단위 시간별 운동정보를 획득한다. 운동정보 관리부(143)는 단위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수신한 운동정보를 서버 관리부(130)로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 관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서버 정보 관리부(153)는 운동기구 식별자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운동기구를 통해 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운동기구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인터넷 통신부(151)를 통해 중앙건강관리 서버로 송신한다.
인터넷 통신부(151)는 중앙건강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운동처방정보를 수신하여 서버 정보 관리부(153)로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운동처방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서버 정보 관리부(153)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운동 프로그램 편집부(155)를 통해 운동처방정보를 편집 제어한다.
서버 정보 관리부(153)는 단위 시간마다 운동기구 관리부(140)로부터 주기적으로 운동정보를 제공받으며, 마지막 단위 시간 이전의 단위 시간에 대한 운동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운동량 비교부(157)를 통해 사용자의 실제 운동량과 운동처방정보의 운동량을 비교하도록 제어한다.
실제 운동량이 운동처방정보의 계획된 운동량보다 작은 경우, 서버 정보 관리부(153)는 운동량 계산부(159)를 통해 계획된 운동량을 채우기 위한 운동량 정보를 계산하도록 제어한다. 계산한 운동량 정보는 출력부(160)로 출력되어 사용자에 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가 소지하는 운동정보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동기구와 근거리 통신 거리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S110). 사용자가 운동기구와 근거리 통신 거리에 위치하는지의 판단은 운동정보 관리 장치 또는 운동기구가 인식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판단된다.
운동기구와 근거리 통신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운동기구로부터 운동기구 식별자를 수신하며 수신한 운동기구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운동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운동정보 관리 장치는 생성한 운동정보 요청 메시지를 인터넷망을 통해 중앙건강관리 서버로 송신하며(S120), 운동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중앙건강관리 서버로부터 운동기구 식별자 또는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운동처방정보를 수신한다. 중앙건강관리 서버는 사용자 식별자, 예를 들어 사용자 아이디, 운동정보 관리 장치의 시리얼 번호 등과 같이 사용자를 고유하게 구별할 수 있는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운동처방정보를 저장하고 있는데, 바람직하게 운동처방정보는 운동기구 식별자에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다.
운동처방정보는 사용자 신체 정보, 나이, 성별 등에 기초하여 전문 관리사에 의해 작성되어 중앙건강관리 서버에 저장되거나 운동처방 자동 생성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어 중앙건강관리 서버에 저장된다. 운동처방정보에는 사용자가 수행하여야 할 운동량, 소비하여야 할 칼로리, 운동기구별 운동시간, 운동기구별 운동 프로그램(경사도, 속도, 반복횟수 등), 사용자가 피해야할 운동기구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운동처방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운동기구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데, 운동처방정보에 따라 운동기구에서 실제 사용자가 실시한 운동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운동정보를 중앙건강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140). 본 발명에서 운동 정보는 운동처방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운동을 종료한 후 중앙건강관리 서버로 전송하거나 운동 중에도 단위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중앙건강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운동정보란 사용자의 총 운동시간, 전체 소비 칼로리, 심박수 등을 포함한다.
운동 종료 후, 중앙건강관리 서버는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기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운동이력정보를 수신한 운동정보로 갱신한다. 운동정보 관리 장치는 운동량 분석 정보 또는 운동이력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운동량 분석 정보 또는 운동이력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 제공한다(S150). 여기서 운동이력정보는 사용자가 1일, 1주일, 1달 단위로 이전에 실시했던 운동정보, 지금까지의 운동 목표 달성량, 오늘의 운동 목표 달성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정보 관리 방법에서 운동처방정보를 편집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건강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운동처방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131). 중앙건강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운동처방은 사용자가 사용자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한 운동처방으로 사용자는 현재의 몸 상태에 따라 기설정한 운동처방과 달리 운동처방을 수정 편집하기를 원할 수 있다.
사용자 명령을 통해 수정할 운동처방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운동처방 정보에 따라 운동처방을 편집하고(S133), 편집한 운동처방정보를 운동기구로 전송한다(S135).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신체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운동처방에 따라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사용자의 현재 몸 상태에 따라 운동시간, 운동속도, 경사도, 반복횟수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기설정된 운동처방에 종속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운동 프로그램을 변경하여 실시하거나 운동 목표치를 다양한 운동기구를 통해 실시 가능하다.
도 7은 사용자의 실제 운동량과 계획된 운동량이 서로 상이한 경우 추가 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로 살펴보면, 사용자가 기설정된 운동처방에 따라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계획된 운동량을 채우지 못할 수 있으며, 더욱이 사용자가 기설정된 운동처방을 수정 변경하는 경우에는 계획된 운동량을 채우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게 계획된 운동량을 채우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운동처방정보의 운동 시간을 다수의 단위 시간으로 구분하여, 단위 시간을 주기적으로 카운트하며(S210), 카운트한 단위 시간마다 운동기구로부터 운동 정보를 수신한다(S220). 카운트한 단위 시간의 횟수 및 운동처방정보의 운동 시간에 기초하여 마지막 단위 시간만이 남았는지 판단한다(S230).
마지막 단위 시간만이 남아있는 경우, 마지막 단위 시간까지의 운동정보를 운동처방정보에 기초하여 예상하여 사용자가 실시한 총 실제 운동량을 계산한다(S240). 계획된 운동량과 계산한 총 실제 운동량을 비교하여 총 실제 운동량이 계획된 운동량보다 작은지 판단하며(S250), 총 실제 운동량이 계획된 운동량보다 작은 경우 추가 운동을 원하는지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추가 운동을 원하는지 판단한다(S260).
사용자가 추가 운동을 원하는 경우, 계획된 운동량과 총 실제 운동량의 차이에 해당하는 운동량을 채우기 위한 새로운 운동처방정보를 중앙건강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수신한 새로운 운동처방정보에 기초하여 다시 운동을 실시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는 다른 운동기구로 변경하여 부족한 운동량을 채울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중앙건강관리 서버는 변경한 운동기구 식별자를 수신하며 수신한 운동기구 식별자와 사용자의 총 실제 운동량에 기초하여 변경한 운동기구로 부족한 운동량을 채우기 위한 새로운 운동처방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전기 또는 자기식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중앙건강관리서버 200: 네트워크
300: 사용자 단말기 400: 운동기구

Claims (8)

  1. 중앙건강관리 서버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 거리에 위치하는 운동기구로부터 운동기구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운동기구 식별자 또는 사용자 식별자를 구비한 운동 정보 요청 메시지를 중앙건강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운동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건강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운동기구에 따른 운동처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동처방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중 또는 운동 종료 후 상기 운동기구로부터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운동정보를 상기 중앙건강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중앙건강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운동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된 운동분석정보 및 갱신된 운동이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처방정보, 상기 운동정보, 상기 운동분석정보 및 운동이력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의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운동 정보의 관리 방법에서
    상기 운동처방정보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운동기구로 전송되며,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운동처방정보로 동작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의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운동 정보의 관리 방법은
    상기 운동처방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수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동처방정보가 수정되는 경우, 수정된 운동처방정보를 상기 운동기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의 관리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운동 정보의 관리 방법은
    운동 중 단위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상기 운동기구로부터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단위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상기 운동기구로부터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의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처방정보에 기초하여 운동처방의 운동시간의 종료 직전 단위 시간에 사용자의 실제 운동량을 계산하며, 상기 실제 운동량과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계획된 운동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운동량이 상기 계획된 운동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계획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운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의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획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운동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실제 운동량과 상기 계획된 운동량의 차이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의 관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운동 정보의 관리 방법에서
    상기 계획된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운동정보는 상기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데,
    상기 추가 운동정보는 상기 중앙건강관리 서버에 저장된 운동처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운동기구 또는 상기 사용자에 처방된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계산된 추가 운동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의 관리 방법.
  8. 제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블루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의 관리 방법.
KR1020140006888A 2014-01-20 2014-01-20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 관리 방법 KR20150086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888A KR20150086809A (ko) 2014-01-20 2014-01-20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888A KR20150086809A (ko) 2014-01-20 2014-01-20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809A true KR20150086809A (ko) 2015-07-29

Family

ID=5387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888A KR20150086809A (ko) 2014-01-20 2014-01-20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680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363A1 (ko) * 2016-11-23 2018-05-31 김태홍 운동 데이터 측정 시스템
KR101880198B1 (ko) * 2016-08-19 2018-07-19 최준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운동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90072061A (ko) 2017-12-15 2019-06-25 김두호 맞춤형 트레이닝이 가능한 헬스 케어 시스템
WO2020017734A1 (ko) * 2018-07-16 2020-01-23 주식회사 인프라웨어테크놀러지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73132A (ko) * 2020-11-26 2022-06-03 (주)디자인파크개발 운동 관리 시스템에서 운동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198B1 (ko) * 2016-08-19 2018-07-19 최준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운동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WO2018097363A1 (ko) * 2016-11-23 2018-05-31 김태홍 운동 데이터 측정 시스템
KR20190072061A (ko) 2017-12-15 2019-06-25 김두호 맞춤형 트레이닝이 가능한 헬스 케어 시스템
WO2020017734A1 (ko) * 2018-07-16 2020-01-23 주식회사 인프라웨어테크놀러지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08250A (ko) * 2018-07-16 2020-01-28 주식회사 인프라웨어테크놀러지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73132A (ko) * 2020-11-26 2022-06-03 (주)디자인파크개발 운동 관리 시스템에서 운동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3133B1 (en) Exercise routine system and method
KR102116968B1 (ko) Ai 기반의 스마트 코칭 방법
US10773124B2 (en) Biometric assessment in fitness improvement
KR20150086809A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 관리 방법
US2021031618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quential tasks via task specific user interface elements
US20180176331A1 (en) Data-driven adaptation of communications in user-facing applications
US9473593B2 (en) Coaching and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onitoring, managing, supporting, scheduling and prompting of clients
US20170225034A1 (en) Health tracking devices
US20090156364A1 (en) Exercise regime management tool
WO2017219276A1 (zh) 私教健身的服务方法、系统、用户端和教练端及处理方法
US1151779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ining plan delivery and logging
US20150170531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wellness-related communications to a user
KR101871388B1 (ko) 헬스장 관리 방법
US11673025B2 (en) Workout recommendation engine
WO2020114286A1 (zh) 一种运动数据处理方法和装置
KR101430305B1 (ko)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운동 처방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57322B1 (ko)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KR102156626B1 (ko)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671707B2 (en) Online coaching method enabling online communication between trainer and trainee
KR101933439B1 (ko) 사용자 분석 기반 피트니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1728A (ko) 헬스 프로그램의 제공 방법
KR100726606B1 (ko)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508328B1 (ko) 운동 기구의 제어 방법
KR101900764B1 (ko) 비콘을 이용한 운동기록관리 단말기 및 시스템
KR101508330B1 (ko) 운동 컨설팅 정보의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