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606B1 -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 Google Patents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606B1
KR100726606B1 KR1020040086248A KR20040086248A KR100726606B1 KR 100726606 B1 KR100726606 B1 KR 100726606B1 KR 1020040086248 A KR1020040086248 A KR 1020040086248A KR 20040086248 A KR20040086248 A KR 20040086248A KR 100726606 B1 KR100726606 B1 KR 100726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weight
health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7098A (ko
Inventor
김유미
박광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606B1/ko
Publication of KR20060037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60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A) 근거리 통신 기능이 구비된 운동 기기로 운동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운동량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정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운동량 정보를 날짜 정보와 함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누적된 운동량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자신의 운동량을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
운동 기기, 이동 단말기, 근거리 통신 모듈

Description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y Health By Using Health Machine And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운동 기기
130 : 측정 모듈
150 : 마이컴
170 : 근거리 통신 모듈
180 : 메모리
200 : 이동 단말기
300 : 이동 통신망
400 : 건강 관리 서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동 기기로부터 측정된 운동량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 받아 운동 이력을 저장하여 개인의 운동량 정보를 관리하고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운동량 정보를 기초로 건강을 스스로 관리하기 위한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셀룰러,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CS 등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통신 서비스가 크게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이동 통신의 편의성으로 인하여 종래의 유선 인터넷 뿐 아니라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도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현대인은 생활이 현대화되는 관계로 운동 부족인 사람이 많이 발생되고, 식생활이 서구화되는 과정에서 비만, 고혈압 등의 질병들이 발생되는 빈도가 꾸준히 증가되어 왔다. 이러한 질병들을 치료하기 위하여 신체 조건, 체력 조건에 따라 가정이나 피트니스(Fitness) 등에서 자신의 건강 및 체력을 유지 또는 증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체중 관리 또는 건강 관리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운동하는 경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얼마나 꾸준히 운동을 일정량이상 수행하는지를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운동 후 그 운동량을 시간 또는 회수 등으로 측정하고 수첩이나 이 동 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같은 장치에 일일이 기입하는 것이 무척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피트니스와 같이 다수의 운동 기기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경우에는 운동량을 운동 기기별로 기입하려 하면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 기기로부터 측정된 체중 정보 및 운동량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받아 운동 이력을 저장하여 개인의 운동량 정보를 관리하고 개인의 체중 정보 및 운동량 정보를 기초로 건강을 스스로 관리하기 위한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은,
A) 근거리 통신 기능 및 체중계가 구비된 운동 기기를 체중 측정 모드로 변환하여 체중을 측정한 후 운동량 측정 모드로 변환하여 운동량을 측정하여, 체중 정보 및 운동량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정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신상 정보, 선호하는 운동, 및 신체 조건을 포함하는 개별 정보가 등록된 건강 관리 서버로 상기 체중 정보 및 상기 운동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체중 정보가 상기 건강 관리 서버에 저장된 체중 정보와 상이한 경우 업 데이트를 수행하며, 상기 개별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운동량 정보를 날짜 정보와 함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누적된 운동량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시스템은,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체중계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체중계로 측정된 체중 정보를 측정된 운동량 정보와 함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운동 기기;
상기 운동 기기로부터 상기 운동량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운동량 정보를 저장된 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목표 운동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저장 및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운동량 정보 및 체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개별 정보에 포함된 체중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체중 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업 데이트를 수행하고, 상기 개별 정보에 따른 상기 운동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건강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신의 운동량을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운동 기기(100), 이동 단말기(200), 이동 통신망(300), 및 건강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트레이드 밀(Treadmill; 500)은 운동량, 체중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510),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장치(530), 및 선택 버튼(5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의 싸이클(600)도 운동량 등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610),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장치(630), 및 선택 버튼(6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드 밀(500) 및 싸이클(600)은 운동 도중 이동 단말기(200)를 안전하게 놓을 수 있는 거치대(570, 670)가 구비되어 있다.
운동 기기(100)는 선택 버튼(110), 표시부(120), 측정 모듈(130), 마이컴 (150), 근거리 통신 모듈(170), 및 메모리(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거치대(570, 670)가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운동 기기(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170)에 의해 운동 기기에 따른 운동량 정보가 상기 거치대(570, 670)에 거치된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상기 운동 기기(100)는 속도 및 경사의 조절이 가능한 트레이드 밀(500), 토오크(Torque) 조절이 가능한 싸이클(600), 벤치 프레스(Bench press), 스텝퍼(Stepper), 아령, 덤벨 등이 있다.
측정 모듈(130)에서 측정된 운동량은 전기적 신호로 출력되고 증폭되어 마이컴(150)으로 입력된다.
상기 마이컴(150)은 상기 거치대(570, 670)에 거치된 이동 단말기(200)로 상기 운동량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 모듈(170)로 출력한다.
일 응용 예에서, 마이컴(150)은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이용자 정보를 메모리(180)에 저장한다. 상기 이용자 정보는 상기 운동 기기(100)를 이용하는 복수의 이용자들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로써, 일 인이 사용하는 운동 기기(100)에서는 이용자 정보를 메모리(180)에 저장하는 것이 사용자의 선택 사항이다. 따라서, 상기 운동 기기(100)에는 선택 버튼(110)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하는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상기 선택 버튼(11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이용자 정보를 선택한다. 상기 마이컴(150)은 상기 측정 모듈(130)로부터 입력된 운동량 정보를 상기 선택 버튼(110)에 의해 입력된 이용자 정보 및 상기 운동 기기(100)의 명칭과 함께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 모듈(170)로 출력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70)은 상기 운동량 정보 및 상기 운동 기기(100)의 명칭을 수신하여 근거리 통신용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이용자 정보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운동 기기(100)에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170)과 동일한 근거리 통신 모듈(170)이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도 내장된다.
근거리 통신 모듈(170)의 일 예로 블루투스(Bluetooth)가 있다. 상기 블루투스란 핸드폰, PDA, 노트북과 같은 이동 가능한 장치들 간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복잡한 전선 없이도 저가격으로 구현하기 위한 표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제품을 총칭하여 일컫는다. 블루투스는 공개된 기술이며, 누구나 사용 가능하다. 2.4G ISM Band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소출력으로 1Mbps의 속도록 10m까지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간에 장애물이 있어도 통신이 가능하며 전력 소모량 또한 적다.
이동 단말기(200)는 소정의 운동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운동 기기(100)의 종류에 따른 목표 운동량을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상기 목표 운동량은 신체 조건, 체력 상태, 질병 상태 등 개인적 상태에 따른 운동량 정보이며, 하나의 수치로 표시된 것이 아닌 최고 값과 최저 값을 갖는다. 즉, 건강한 성인 남자가 트레이드 밀에서 30도 경사를 갖고 걷기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목표 운동량이 40분 이상 1시간 미만으로 설정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운동 기기(100)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동 기기(100)로부 터 전송된 운동 기기에 따른 운동량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목표 운동량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체중 관리 또는 건강 관리를 위해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에 등록한 경우, 상기 운동 기기에 따른 운동량 정보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동 통신망(300)을 통하여 건강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운동 기기에 따른 운동량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가입자 정보를 함께 건강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는 주기는 매일, 이틀, 일주일 등 사용자게 의해 전송 주기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입자 정보의 일 예로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DN(Mobile Directory Number), 및 OMA 표준에서 정의된 클라이언트 ID(Client ID) 등이 있다.
건강 관리 서버(4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 또는 유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한 단말기에 의해 체중 관리 또는 건강 관리 요청을 수신한다. 이 때,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로 체중 관리 또는 건강 관리를 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개별 정보가 입력되어야 한다. 상기 개별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 사용자의 신상 정보, 선호하는 운동, 및 신체 조건을 포함하여 부가적으로 체력 상태 및 질병 상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운동 기기에 따른 운동량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함께 저 장한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는 체중 관리 DB(Database) 및 건강 정보 DB(Database)를 구비하여,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운동량 정보가 수신된 날짜, 식이 요법을 포함하는 건강 정보, 운동 프로그램 등 체중 관리 및 건강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자신의 성별, 나이, 신장, 식생활 습관 등과 같은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식단 정보, 및 각 식단에서 이용되는 음식의 칼로리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음식을 섭취한 경우 상기 칼로리를 소비하기 위한 운동의 종류 및 상기 운동에 따른 운동량 정보에 대한 정보도 함께 관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운동 기기(100)는 이동 단말기(200)의 거치대가 구비되지 않은 것과 거치대가 구비된 것이 있으며, 이하 거치대가 구비되지 않은 운동 기기(100)를 제1 실시예로, 거치대가 구비된 운동 기기(100)를 제2 실시예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근거리 통신 기능이 구비되고 메모리(180)에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정보가 저장된 운동 기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동한 운동량을 측정한다(S400, S410).
상기 운동 기기(100) 및 이동 단말기(20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의 일 예로는 블루투스 등이 존재한다.
상기 운동 기기는 소정의 메모리(180)를 구비하고 있어 운동 기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측정된 운동량 정보를 이용자의 이동 단말기로 근거리 통신 모듈(170)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용자 정보를 선택 버튼(110)을 이용하여 메모리(180)로부터 독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이동 단말기로 상기 운동량 정보를 전송한다(S420, S425). 그러나, 이용자 정보를 선택하고 운동 완료 후 선택된 이용자 정보로 운동량 정보를 전송한다(S430).
상기 운동량 정보는 체중 정보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운동량 정보를 날짜 정보와 함께 이동 단말기(200)의 메모리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운동량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목표 운동량을 비교한다(S440, S450). 상기 목표 운동량은 소정의 운동 프로그램에 의해 개인의 신체 조건, 질병 조건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다.
상기 운동량 정보와 상기 목표 운동량을 비교한 결과를 이동 단말기(200)의 메모리에 저장하며, 날짜 별로 누적된 상기 운동량 정보 및 상기 비교 결과는 그래프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운동 기기(100)의 이용자는 이동 단말기(200) 또는 유선 인터넷 망을 통해 건강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체중 관리 및/또는 건강 관리를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체중 관리 및/또는 건강 관리를 요청하는 경우, 개별 정보를 상 기 건강 관리 서버(400)에 등록해야 된다. 체중 관리를 요청하는 경우 등록해야 되는 상기 개별 정보로는 상기 운동 기기(100) 이용자의 신상 정보, 선호하는 운동, 신체 조건을 포함하며, 건강 관리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부가적으로 질병 내역 등을 등록하도록 한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로 체중 관리 및/또는 건강 관리 요청을 위해 상기 운동 기기 이용자의 개별 정보를 등록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주기적으로 상기 운동량 정보 및 현재 체중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S460, S470).
응용 예에서, 상기 운동 기기(100)에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체중계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운동 기기(100)는 상기 운동량 정보를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할 때 체중 정보도 함께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체중 정보를 저장되어 있는 체중 정보와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업 데이트를 수행한다(S480). 상기 체중 정보는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에 등록된 개별 정보에 포함된 정보이다. 따라서,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는 상기 개별 정보에 따라 상기 운동 기기 이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490).
상기 운동 프로그램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운동 기기(100)로 상기 운동 프로그램을 전송하여 상기 운동 프 로그램에서 제시하는 운동량만큼 상기 운동 기기(100)가 동작하도록 한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는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가능하며,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자신의 체중에 관련된 건강 정보 및 관심 있는 운동에 대하여 열람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운동 기기(100) 즉, 트레이드 밀(500) 및 싸이클(600)에 각각 거치대(570, 670)가 형성된 경우, 상기 운동 기기(100)에 이동 단말기(200)를 거치시킨다(S500).
상기 운동 기기(100)에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체중계가 구비된 경우에는 체중을 측정하고 상기 운동 기기(100)의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에 상기 체중 정보를 날짜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S520).
상기 운동 기기(100)로 운동량을 측정하여 소정의 이동 단말기(200)로 상기 체중 정보 및 운동량 정보를 전송한다(S540).
이 때, 상기 운동 기기(100)에 체중계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 운동량 정보만을 전송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된 상기 체중 정보 및 운동량 정보는 날짜 별로 누적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메모리에 저장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래프로 상기 누적된 운동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가능하다(S550).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에 의해 건강 관리 서버(400)에 건강 관리를 요청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로 상기 체중 정보 및 상기 운동량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S560, S570).
상기 체중 정보는 상기 운동 기기(100)에 체중계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운동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체중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지만, 상기 운동 기기(100)에 체중계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0)에 입력한 정보를 이용한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로 전송된 체중 정보가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에 저장된 체중 정보와 상이한 경우에는 업 데이트를 수행한다(S580).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는 업 데이트된 체중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개별 정보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590).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동 통신망(300)을 통해서 이동 단말기(200)로 건강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체중 관리를 요청한다(S610, S620). 이 때,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자신의 신장, 나이, 성별, 식생활 습관, 목표 체중, 현재 체중 등을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에 등록한다.
체중 관리를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로 요청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운동 기기(100)를 이용하여 운동량을 측정한다(S630).
상기 운동 기기(100)로 측정된 운동량 정보는 상기 운동 기기(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170)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되며, 상기 운동량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저장됨과 동시에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로 전송된다(S640). 현재 체중이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에 등록할 당시의 체중과 상이한 경우 현재 체중을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로 함께 전송한다.
상기 현재 체중 정보는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에 저장된 체중 표준 정보와 비교되며, 그 비교 결과에 따른 체중 관리 프로그램을 독출한다(S650, S660).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는 상기 체중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정해진 시각에 식단, 식단의 칼로리, 필요한 운동량 정보 등을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67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자신이 운동을 할 때마다 그 운동량을 이동 단말기에 저장하여 관리하므로 자신이 평소에 운동을 어느 정도 하고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에 맞는 운동량 또는 사용자가 스스로 정한 목표 운동량과 사용자의 운동량을 비교하여 제공 받음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운동 상태를 이동 단말기를 통해 간편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체중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자신의 체중에 적절한 체중 관 리 프로그램을 이동 단말기로 제공 받음으로써 체중이 표준 체중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적절한 식이요법 및 추천 운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Claims (26)

  1. A) 근거리 통신 기능 및 체중계가 구비된 운동 기기를 체중 측정 모드로 변환하여 체중을 측정한 후 운동량 측정 모드로 변환하여 운동량을 측정하여, 체중 정보 및 운동량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정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신상 정보, 선호하는 운동, 및 신체 조건을 포함하는 개별 정보가 등록된 건강 관리 서버로 상기 체중 정보 및 상기 운동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체중 정보가 상기 건강 관리 서버에 저장된 체중 정보와 상이한 경우 업 데이트를 수행하며, 상기 개별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운동량 정보를 날짜 정보와 함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누적된 운동량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의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운동량 정보를 소정의 운동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목표 운동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된 운동량 정보 및 상기 운동량 정보와 설정된 목표 운동량과의 비교 결과는 그래프로 변환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소정의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운동 기구별 운동량, 시간 단위의 운동량을 날짜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G) 상기 건강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운동 프로그램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된 운동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상기 운동 기기로 전송되어 상기 운동 기기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는, MIN, MDN, 및 클라이언트 ID(Client I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K) 복수의 이용자들을 구별하기 위한 이용자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운동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L) 상기 운동 기기를 이용하기 전 상기 운동 기기의 선택 버튼을 선택하여 상기 이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15.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체중계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체중계로 측정된 체중 정보를 측정된 운동량 정보와 함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운동 기기;
    상기 운동 기기로부터 상기 운동량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운동량 정보를 저장된 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목표 운동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저장 및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운동량 정보 및 체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개별 정보에 포함된 체중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체중 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업 데이트를 수행하고, 상기 개별 정보에 따른 상기 운동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건강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시스템.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기기는
    이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모듈;
    상기 측정된 운동량 정보 및 상기 운동 기기 정보를 근거리 통신 모듈로 출력하기 위한 마이컴;
    상기 운동량 정보 및 상기 운동 기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용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적어도 한 명의 이용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이용자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 및
    상기 이동 단말기를 거치시키며 상기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하는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시스템.
  18. 삭제
  19. 삭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기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시스템.
  21. 삭제
  22. 삭제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운동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운동 기기로부터 전송된 운동량 정보를 상기 운동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된 목표 운동량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경우 상기 운동량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운동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운동량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 서버로 전송할 때 가입자 정보를 함께 전송하며, 상기 가입자 정보는, MIN, MDN, 및 클라이언트 ID(Client I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체중 관리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한 상기 개별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운동량 정보를 기초로 체중 관리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체중 관리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 관리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정보는 식단, 상기 식단에 따른 칼로리, 상기 칼로리를 소비하기 위한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시스템.
KR1020040086248A 2004-10-27 2004-10-27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726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248A KR100726606B1 (ko) 2004-10-27 2004-10-27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248A KR100726606B1 (ko) 2004-10-27 2004-10-27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098A KR20060037098A (ko) 2006-05-03
KR100726606B1 true KR100726606B1 (ko) 2007-06-11

Family

ID=3714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248A KR100726606B1 (ko) 2004-10-27 2004-10-27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6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640B1 (ko) 2009-07-20 2010-05-06 프림포주식회사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KR101458432B1 (ko) 2013-06-20 2014-11-07 주식회사 경희스포츠패나틱 운동정보 제공을 위한 자동연결 운동기구, 스마트기기, 이에 사용되는 운동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WO2015099356A1 (en) * 2013-12-24 2015-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210B1 (ko) * 2012-03-16 2014-10-31 (주)엠에이씨네트웍스 유-헬스케어시스템 및 이를 위한 운동량 측정 장치
KR101510088B1 (ko) * 2013-03-19 2015-04-08 한국기계연구원 재활운동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운동 관리방법
KR101487391B1 (ko) * 2014-08-29 2015-01-29 (주)팜스포 무선 줄넘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WO2018097363A1 (ko) * 2016-11-23 2018-05-31 김태홍 운동 데이터 측정 시스템
KR102051146B1 (ko) * 2019-06-17 2019-12-02 우승식 운동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2304193B1 (ko) * 2020-01-03 2021-09-1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체중부하 피드백 워커
KR102476285B1 (ko) * 2020-10-27 2022-12-13 (주)투핸즈인터랙티브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개인별 운동량 측정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277A (ko) * 2001-01-19 2001-08-04 김효상 휴대용 다이어트 제어기 및 다이어트 제어기를 이용한다이어트제어방법
JP2004248828A (ja) 2003-02-19 2004-09-09 Sony Corp ジム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KR20040090770A (ko) * 2003-04-18 2004-10-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아바타를 이용한 운동상태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277A (ko) * 2001-01-19 2001-08-04 김효상 휴대용 다이어트 제어기 및 다이어트 제어기를 이용한다이어트제어방법
JP2004248828A (ja) 2003-02-19 2004-09-09 Sony Corp ジム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KR20040090770A (ko) * 2003-04-18 2004-10-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아바타를 이용한 운동상태 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640B1 (ko) 2009-07-20 2010-05-06 프림포주식회사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KR101458432B1 (ko) 2013-06-20 2014-11-07 주식회사 경희스포츠패나틱 운동정보 제공을 위한 자동연결 운동기구, 스마트기기, 이에 사용되는 운동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WO2015099356A1 (en) * 2013-12-24 2015-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098A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968B1 (ko) Ai 기반의 스마트 코칭 방법
US20220054037A1 (en) Personal health management device, method and system
RU2654164C2 (ru) Способ администрирования внешних устройств, способ оперирования внешним устройством, хост-устройство, сервер администрирования и внешн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1931724B1 (ko)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US20100145209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amount of exercise, system for measuring amount of exercise, and method for measuring amount of exercise
US20130196821A1 (en) Systems and Methods to Generate a Customized Workout Routine
JP2006255028A (ja) 運動支援システム及び運動支援方法
KR100726606B1 (ko)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102066001B1 (ko) 운동 지수기반의 운동 코칭 방법 및 시스템
JP2008295746A (ja) 携帯式運動量計測装置及び運動量計測システム
KR101592021B1 (ko) 개인화된 임신, 출산, 산후조리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050032557A (ko) 사용자인증 기능과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하는 운동기기.
JP626527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18471B1 (ko) 체중계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60121476A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종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730548B1 (ko) 서버-클라이언트 기반 운동기구 대여/판매 및 사용자의 운동정보 관리 시스템
KR101064736B1 (ko) 손목 단말기, 이를 이용한 개인 건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
CN1316840C (zh) 具有测脂功能的移动电话及其测脂方法
KR101113361B1 (ko) 만보기와 인터넷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109064A (ja) 健康管理システム
KR100707098B1 (ko) 다기능 변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3795B1 (ko) 체중 측정 및 경쟁심리를 이용한 체중 관리 시스템
EP4195172A1 (en) Exercise equipment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thereof
KR20120013817A (ko) 건강 관련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129524A (ko) 개인 맞춤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