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322B1 -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322B1
KR102157322B1 KR1020180161055A KR20180161055A KR102157322B1 KR 102157322 B1 KR102157322 B1 KR 102157322B1 KR 1020180161055 A KR1020180161055 A KR 1020180161055A KR 20180161055 A KR20180161055 A KR 20180161055A KR 102157322 B1 KR102157322 B1 KR 102157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exercise
fitnes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931A (ko
Inventor
송태건
Original Assignee
(주)아이유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유웰 filed Critical (주)아이유웰
Priority to KR102018016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3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단일 컨텐츠로 이루어진 피트니스 컨텐츠에서 단일 컨텐츠에 대한 단위 동작의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연속하여 다음 단일 컨텐츠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속도 또는 능력에 따라 동기화하여 피트니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으며, 단위 운동 동작 중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 영상에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와 비교 동작을 비교하여 잘못된 운동 특징과 정확한 운동 특징을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잘못된 운동 동작과 정확한 운동 동작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는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Method for progressing fitness content}
본 발명은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단일 컨텐츠로 이루어진 피트니스 컨텐츠에서 단일 컨텐츠에 대한 단위 동작의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연속하여 다음 단일 컨텐츠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속도 또는 능력에 따라 동기화하여 피트니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으며, 단위 운동 동작 중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 영상에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와 비교 동작을 비교하여 잘못된 운동 특징과 정확한 운동 특징을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잘못된 운동 동작과 정확한 운동 동작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는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양 과잉 및 운동 부족으로 인해 비만 및 과체중 인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어 현대인의 건강 관리 필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아울러, 최근 건강한 일반인들도 자신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의 실현 가능성으로 이러한 관심이 기술의 발달 및 사회적 요구에 의해 구체화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건강 관리를 위해 헬스장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일반적인 헬스장의 이용형태는 사용자가 연간회원, 월간회원 등의 방식으로 헬스장에 가입 후,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시간에 헬스장을 방문하여 헬스장에 구비되어 있는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운동한다.
최근에는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헬스장에 등록된 트레이너에 개인 레슨을 추가적으로 등록하여 사용자는 트레이너의 도움으로 자신의 운동목적에 적합한 운동 계획을 세워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개인 레슨은 사용자가 가입한 헬스장에 등록된 트레이너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헬스장에 등록된 트레이너로 한정하여 트레이너를 선택하여야 하며 개인 레슨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가입한 헬스장을 방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트레이너는 소속된 헬스장에 가입한 회원에게만 트레이닝을 제공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사용자는 헬스장 어느 곳에서도 온라인을 통해 저렴하고 편리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트레이너로부터 개인 레슨을 받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트레이너는 회원들과 주변 사용자에 자신을 홍보하기 위한 피트니스 컨텐츠를 제작하고 제작한 피트니스 컨텐츠를 무료 또는 유료로 사용자에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피트니스 컨텐츠는 통상적으로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촬영하면서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움직임과 음성으로 설명하도록 생성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피트니스 컨텐츠는 동일한 단위 동작을 10회 내지 20회 반복하여 구성되는 1세트를 2회 내지 4회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본원발명의 출원인은 단일 운동 컨텐츠를 조합하여 사용자에 개인화된 피트니스 컨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 2017년 11월 7일자로 특허출원 제10-2017-0147668호를 출원하였다.
트레이너는 자신의 단위 동작을 기촬영하여 작성한 단일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하며 등록된 단일 컨텐츠를 조합하여 용이하게 개인화된 피트니스 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피트니스 컨텐츠를 재생하며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수의 단일 컨텐츠로 이루어진 피트니스 컨텐츠를 재생하며 운동을 수행하는데, 피트니스 컨텐츠는 일정한 속도로 재생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단일 컨텐츠를 완료하기 전에 연속되는 다음 단일 컨텐츠가 재생되어 사용자의 운동 속도 또는 능력에 따라 동기화하여 피트니스 컨텐츠를 재생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다수의 단일 컨텐츠로 이루어진 피트니스 컨텐츠를 사용자의 운동 속도 또는 능력에 따라 동기화하여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단일 컨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1 이격 시간에서 단일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2 이격 시간 동안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로부터 사용자의 단위 동작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사용자의 운동 속도 또는 능력에 따라 동기화하여 피트니스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단일 컨텐츠의 재생 속도와 사용자의 단위 동작의 완료 속도를 비교하여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단위 동작 중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 영상에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와 비교 동작을 비교하여 잘못된 운동 특징과 정확한 운동 특징을 판단하여 사용자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은 피트니스 컨텐츠에서 다수의 단위 동작 중 1개의 단위 동작에 대한 단일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와, 단일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단일 컨텐츠의 단위 동작을 완료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단일 컨텐츠의 단위 동작을 완료하는 경우 피트니스 컨텐츠에서 연속하는 다음 단일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에서 피트니스 컨텐츠는 단일 컨텐츠 단위로 구분되어 다수의 단일 컨텐츠가 1세트로 정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에서 사용자가 단위 동작을 완료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단일 컨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1 이격 시간에서 단일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2 이격 시간 동안에 사용자가 단일 컨텐츠에 해당하는 단위 동작을 완료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에서 사용자가 단위 동작을 완료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단일 컨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1 이격 시간에서 단일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2 이격 시간 동안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에서 사용자가 단위 동작을 완료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단일 컨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1 이격 시간에서 단일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2 이격 시간 동안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와 다수의 비교 동작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은 피트니스 컨텐츠의 완료 후,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단위 동작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잘못된 운동 동작 또는 정확한 운동 동작에 대한 피드백을 생성하며 생성한 피드백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을 생성하는 단계는 단위 운동 동작별로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에서 잘못된 운동 특징과 정확한 운동 특징을 판단하는 단계와, 연속하여 반복되는 다수의 단위 운동 동작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잘못된 운동 특징과 정확한 운동 특징 중 임계 횟수 이상으로 동일하게 반복되는 잘못된 운동 특징 또는 정확한 운동 특징을 판단하는 단계와, 임계 횟수 이상으로 반복되는 잘못된 운동 특징 또는 정확한 운동 특징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제공할 피드백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잘못된 운동 특징과 정확한 운동 특징은 단위 동작 중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 영상에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와 기준 운동 동작을 비교하여 판단하는데, 기준 운동 동작에서 주요 골격별 정상 임계범위가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이 정상 임계범위에 위치하는지 여부로 잘못된 운동 특징 또는 정확한 운동 특징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은 다수의 단일 컨텐츠로 이루어진 피트니스 컨텐츠에서 단일 컨텐츠에 대한 단위 동작의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연속하여 다음 단일 컨텐츠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속도 또는 능력에 따라 동기화하여 피트니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은 단일 컨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1 이격 시간에서 단일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2 이격 시간 동안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로부터 사용자 단위 동작을 완료하였는지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단위 동작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사용자의 운동 속도 또는 능력에 따라 동기화하여 피트니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은 단일 컨텐츠의 재생 속도와 사용자의 단위 동작의 완료 속도를 비교하여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속도 또는 운동 능력에 따라 자동으로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은 단위 동작 중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 영상에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와 비교 동작을 비교하여 잘못된 운동 특징과 정확한 운동 특징을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잘못된 운동 동작과 정확한 운동 동작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정보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시간 흐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단일 컨텐츠의 단위 운동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간 흐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판단 시간 간격 동안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에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와 다수의 비교 동작의 골격 움직임 변화에 기초하여 단위 운동 동작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에서 피드백을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교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생성된 피드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정보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10), 트레이너 단말기(50) 및 운동 관리 서버(7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0)는 사용자 단말기(10)와 운동 관리 서버(7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트레이너 단말기(50)와 운동 관리 서버(7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 사용자 단말기(10)는 운동 관리 서버(70)가 제공하는 온라인 피트니스 앱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운동 감지 디바이스, 사용자에 피트니스 컨텐츠 또는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운동 관리 서버(7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구비하는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트레이너 단말기(50)는 운동 관리 서버(7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제공할 피트니스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트레이너가 사용하는 단말기로, 트레이너 단말기(50)는 운동 관리 서버(70)가 제공하는 피트니스 컨텐츠의 제작 툴을 이용하여 피트니스 컨텐츠를 제작하는 프로세서, 운동 관리 서버(70)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운동 관리 서버(7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트레이너 단말기(50)는 노트북, 스마트폰, 데스크탑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운동 관리 서버(70)는 사용자 단말기(10)와 접속하여 사용자에 피트니스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며, 트레이너 단말기(50)와 접속하여 트레이너가 작성한 피트니스 컨텐츠를 업로드하거나 피트니스 컨텐츠의 다운로드 횟수에 따라 트레이너 단말기(50)로 보상을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장치는 운동 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피트니스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운동 속도에 동기화하여 피트니스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사용자의 운동 동작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로, 바람직하게 스마트폰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재생하고자 하는 피트니스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컨텐츠 재생부(130)는 데이터베이스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된 피트니스 컨텐츠를 재생 초기화한다. 컨텐츠 재생부(130)는 선택된 피트니스 컨텐츠를 재생 초기화시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선택된 피트니스 컨텐츠를 재생 제어하며 움직임 감지부(130)로 재생 시작 신호를 송신한다.
움직임 감지부(150)는 재생 시작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시작하는데, 여기서 움직임 감지부(150)의 일 예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 동작 영상을 획득한다.
동작 완료 판단부(160)는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중 움직임 감지부(150)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운동 동작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단일 컨텐츠의 단위 운동 동작을 완료하였는지 판단한다. 동작 완료 판단부(160)에서 단위 운동 동작의 완료 여부의 판단은 획득한 사용자의 운동 동작 영상에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의 변화에 기초하여 판단하는데,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와 다수의 비교 동작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단위 운동 동작을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피트니스 컨텐츠에는 단위 운동 동작에 대한 단일 컨텐츠가 반복되어 재생되도록 1세트를 구성하는 단일 컨텐츠의 반복 횟수에 대한 정보 또는 1세트를 구성하는 동일한 단일 컨텐츠가 정렬되어 구성되는데, 컨텐츠 재생부(130)는 동작 완료 판단부(160)를 통해 단위 운동 동작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피트니스 컨텐츠가 종료될 때까지 일정 이격 간격으로 다음 단일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피드백 생성부(170)는 사용자의 단위 운동 동작이 완료될 때마다 단위 운동 동작별로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단위 운동 동작에서 잘못된 운동 특성 또는 정확한 운동 특성을 판단하여 사용자가 피트니스 컨텐츠를 따라 운동하면서 반복하는 잘못된 운동 동작 또는 정확한 운동 동작에 대한 피드백을 생성하고, 생성한 피드백을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사용자에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재생하고자 하는 피트니스 컨텐츠의 선택 명령과 선택한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S110), 선택한 피트니스 컨텐츠를 구성하는 단일 컨텐츠 단위로 피트니스 컨텐츠를 재생한다(S130). 여기서 피트니스 컨텐츠는 동일한 단일 컨텐츠가 설정된 횟수만큼 일정 이격 간격으로 반복 재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단일 컨텐츠의 단위 운동 동작을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S150), 바람직하게 단일 컨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부터 설정된 제1 이격 시간에서 단일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2 이격 시간 동안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에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를 판단하며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와 다수의 비교 동작의 골격 움직임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단위 운동 동작을 완료하였는지 판단한다.
단위 운동 동작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피트니스 컨텐츠를 구성하는 단일 컨텐츠가 모두 재생되었는지 판단하여 피트니스 컨텐츠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데(S170),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된 경우 사용자에 제공할 피드백을 생성하고 생성한 피드백을 사용자에 제공한다(S190),
그러나 피트니스 컨텐츠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일정 이격 간격으로 다음 단일 컨텐츠를 재생하며 앞서 설명한 S130, S150, S170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도 4는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시간 흐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단일 컨텐츠의 단위 운동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간 흐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고로 살펴보면, 단일 컨텐츠는 동일한 시간 각격(U1, U2, U3, U4,....Un)으로 재생되는데, 단일 컨텐츠는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단일 운동 동작이 수행되는 시간(M1, M2, M3, M4,....Mn)을 판단하여 단일 운동 동작이 완료된 시점(t1, t2)으로부터 일정 이격 간격(I)으로 재생 시작한다. 여기서 단일 운동 동작이 수행되는 시간(M1, M2, M3, M4,....Mn)은 사용자의 운동 속도 또는 운동 능력에 따라 단일 컨텐츠의 재생 시간과 상이하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위 운동 동작의 완료 판단시점이 단일 컨텐츠의 재생 종료 이후인 경우 단위 운동 동작의 완료 판단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간격 이후에 다음 단일 컨텐츠 재생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의 운동 속도에 동기화하여 운동 컨텐츠를 재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컨텐츠 제어부는 단일 컨텐츠의 재생 종료 이후에 사용자의 단위 운동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즉 단일 컨텐츠의 재생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사용자가 단위 운동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1세트에서 단일 컨텐츠의 재생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사용자가 단위 운동 동작을 수행하는 횟수 또는 단일 컨텐츠의 재생 시간과 실제 사용자의 단위 운동 동작의 수행 완료 시간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다음 세트에서 단일 컨텐츠의 재생 시간을 변경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단일 컨텐츠의 단일 운동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시간 간격은 단일 컨텐츠의 재생 시작 시각(tS)으로부터 설정된 제1 이격 간격(d1)에서 단일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각(tE)으로부터 설정된 제2 이격 간격(d2) 동안에 수행되는 사용자의 실제 단일 운동 동작의 움직임 시간(M)으로부터 판단한다.
도 6은 판단 시간 간격 동안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에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와 다수의 비교 동작의 골격 움직임 변화에 기초하여 단위 운동 동작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위 운동 동작이 스쿼트 동작인 경우,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비교 동작은 사용자가 손을 앞으로 펴고 서 있는 자세인데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에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이 손을 앞으로 펴고 서 있는 자세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가 제1 비교 동작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한다.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비교 동작은 사용자가 손을 앞으로 펴고 있는 상태에서 다리를 90도로 굽히고 허리는 직각으로 유지한 상태인데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에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이 손을 앞으로 펴고 다리를 90도로 굽히고 허리는 직각으로 유지한 자세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가 제2 비교 동작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한다.
도 6(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3 비교 동작은 사용자가 손을 앞으로 펴고 서 있는 자세인데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에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이 손을 앞으로 펴고 서 있는 자세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가 제3 비교 동작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한다.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에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제1 비교 동작, 제2 비교 동작 및 제 3 비교 동작을 연속하여 수행하는 경우 단위 운동 동작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에서 피드백을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일 컨텐츠의 재생 중 수행되는 사용자의 단위 운동 동작에서 비교 동작에서 설정한 주요 골격과 해당 비교 동작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서 주요 골격별 움직임을 비교하여(S191) 사용자의 움직임에서 주요 골격의 움직임이 임계 정상범위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사용자의 단위 운동 동작에서 잘못된 운동 특성 또는 정확한 운동 특성을 단위 운동 동작별로 판단한다(S193).
연속하여 반복되는 다수의 단위 운동 동작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잘못된 운동 특징과 정확한 운동 특징 중 임계 횟수 이상으로 동일하게 반복되는 잘못된 운동 특징 또는 정확한 운동 특징을 판단하며(S195), 임계 횟수 이상으로 반복되는 잘못된 운동 특징 또는 정확한 운동 특징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제공할 피드백을 생성한다(S197).
즉, 잘못된 운동 특징 또는 정확한 운동 특징은 단위 운동 동작 중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 영상에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와 비교 동작의 골격 움직임을 비교하여 판단하는데, 비교 동작에는 주요 골격별 정상 임계범위가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이 정상 임계범위에 위치하는지 여부로 잘못된 운동 특징 또는 정확한 운동 특징을 판단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교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교 동작에는 손(A), 허리(B) 및 다리(L) 등과 같이 주요 골격별로 정확한 운동 특성을 판단하는 정상 임계범위가 설정되어 있는데, 주요 골격별로 각 골격에 설정된 정상 임계범위에 사용자의 골격이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로 사용자의 골격이 정상 임계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정확한 운동 특성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골격이 정상 임계범위를 벗어나 위치하고 있는 경우 잘못된 운동 특성으로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비교 동작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단위 운동 동작을 완료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에서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단위 운동 동작을 수행하는 중 사용자의 골격이 정상 임계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정확한 운동 특성으로 판단한다.
도 9는 생성된 피드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로 살펴보면, 단일 컨텐츠별로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잘못된 운동 특성(E)과 정확한 운동 특성(C)에 대한 개별 피드백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1 단일 콘텐츠에서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다리 골격은 잘못되었으며 손과 허리 골격은 정확하다는 개별 피드백을 생성하거나, 제2 단일 콘텐츠에서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다리, 손, 허리 골격이 모두 정확하다는 개별 피드백을 생성한다.
피트니스 컨텐츠를 구성하는 모든 단일 컨텐츠가 수행 완료한 경우, 개별 피드백으로부터 사용자에 제공할 피드백을 생성하는데, 예를 들어 단일 컨텐츠가 10이며 정확한 운동 특성에 대한 임계 횟수가 9이고 잘못된 운동 특성에 대한 임계 횟수가 3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허리 자세는 정확하고 다리 자세는 부정확하다는 골격별 피드백을 생성하여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피드백에 기초하여 다리 자세가 자주 틀리게 동작하며 손은 가끔 틀려 유의하여야 한다는 자세 교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기 30: 네트워크
50: 트레이너 단말기 70: 운동 관리 서버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컨텐츠 재생부
150: 움직임 감지부 160: 동작 완료 판단부
170: 피드백 생성부 190: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동일한 단위 동작이 반복되는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트니스 컨텐츠에서 다수의 단위 동작 중 1개의 단위 동작에 대한 단일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단일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사용자가 단일 컨텐츠의 단위 동작을 완료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단일 컨텐츠의 단위 동작을 완료하는 경우, 상기 피트니스 컨텐츠에서 연속하는 다음 단일 컨텐츠를 재생하여 사용자의 단위 동작과 상기 피트니스 컨텐츠를 구성하는 단일 컨텐츠의 재생을 서로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일 컨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1 이격 시간에서 상기 단일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2 이격 시간 동안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일 컨텐츠에 해당하는 단위 동작을 완료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에서
    상기 피트니스 컨텐츠는 단일 컨텐츠 단위로 구분되어 다수의 단일 컨텐츠가 1세트로 정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단위 동작을 완료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일 컨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1 이격 시간에서 상기 단일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2 이격 시간 동안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단위 동작을 완료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일 컨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1 이격 시간에서 상기 단일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2 이격 시간 동안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와 다수의 비교 동작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6.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은
    상기 피트니스 컨텐츠의 완료 후,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단위 동작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잘못된 운동 동작 또는 정확한 운동 동작에 대한 피드백을 생성하며, 생성한 피드백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운동 동작별로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에서 잘못된 운동 특징과 정확한 운동 특징을 판단하는 단계;
    연속하여 반복되는 다수의 단위 운동 동작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잘못된 운동 특징과 정확한 운동 특징 중 임계 횟수 이상으로 동일하게 반복되는 잘못된 운동 특징 또는 정확한 운동 특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임계 횟수 이상으로 반복되는 잘못된 운동 특징 또는 정확한 운동 특징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제공할 피드백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잘못된 운동 특징과 정확한 운동 특징은 상기 단위 동작 중 모니터링한 사용자의 움직임 영상에서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 변화와 기준 운동 동작을 비교하여 판단하는데,
    상기 기준 운동 동작에서 주요 골격별 정상 임계범위가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골격 움직임이 상기 정상 임계범위에 위치하는지 여부로 잘못된 운동 특징 또는 정확한 운동 특징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KR1020180161055A 2018-12-13 2018-12-13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KR102157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055A KR102157322B1 (ko) 2018-12-13 2018-12-13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055A KR102157322B1 (ko) 2018-12-13 2018-12-13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931A KR20200072931A (ko) 2020-06-23
KR102157322B1 true KR102157322B1 (ko) 2020-09-17

Family

ID=7113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055A KR102157322B1 (ko) 2018-12-13 2018-12-13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127A (ko) 2021-05-03 2022-11-10 (주)릴리어스 동작 평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945A (ko) * 2020-12-01 202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89513A (ko) * 2020-12-21 2022-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기반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19731B1 (ko) * 2022-02-18 2022-07-12 신화건설㈜ 이동식 동작감응형 디지털 치료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488B1 (ko) * 2015-01-28 2017-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작 기반 인터랙티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488B1 (ko) * 2015-01-28 2017-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작 기반 인터랙티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127A (ko) 2021-05-03 2022-11-10 (주)릴리어스 동작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931A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322B1 (ko)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US11675830B2 (en) Generating custom audio content for an exercise session
US20150364059A1 (en) Interactive exercise mat
KR102050558B1 (ko) 신체 측정 및 성장 곡선을 이용한 어린이 또는 청소년 회원의 회원 관리 시스템
KR20160093131A (ko) 동작 기반 인터랙티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33065A (ko)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
US202200723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sing activity performance of users through smart mirror
US11351371B2 (en) Automated customization of output intensity from a fitness apparatus
US11682157B2 (en) Motion-based online interactive platform
KR20210007906A (ko) 운동 기구 컨트롤
US20230071274A1 (en) Method and system of capturing and coordinating physical activities of multiple users
EP3786971A1 (en) Advancement manager in a handheld user device
KR20190051728A (ko) 헬스 프로그램의 제공 방법
EP4207138A1 (en) Method of providing exercise video guide and apparatus thereof
KR20200089934A (ko) 실시간 피트니스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50736B1 (ko) 메타버스를 이용하는 셀프 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KR20230100558A (ko)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100557A (ko)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TWI687252B (zh) 網路教學訓練系統及其教學訓練方法
WO2021178589A1 (en) Exercise instruction and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KR102095647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
KR20200076259A (ko) 4d 모델 기반 홈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WO2022230557A1 (ja) ユーザの運動によるコンテンツ生成装置、及び、ユーザの運動によるコンテンツ生成方法
US20210307652A1 (en) Systems and devices for measuring, capturing, and modifying partial and full body kinematics
JP7229469B2 (ja)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