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557A -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557A
KR20230100557A KR1020220056881A KR20220056881A KR20230100557A KR 20230100557 A KR20230100557 A KR 20230100557A KR 1020220056881 A KR1020220056881 A KR 1020220056881A KR 20220056881 A KR20220056881 A KR 20220056881A KR 20230100557 A KR20230100557 A KR 20230100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video
exercise
user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경
박재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랙스
Priority to EP22216575.5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07138A1/en
Priority to CN202211685399.2A priority patent/CN116351036A/zh
Priority to US18/146,607 priority patent/US20230201696A1/en
Publication of KR20230100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Abstract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한다. 본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은, 2회 이상의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를 수신하고, 하나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원본 동영상 중 일부 구간의 역재생에 기초하여 상기 횟수에 대응하는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The method of providing a moving image to guide exercise and the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본 개시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일과 개인 생활의 균형을 나타내는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가 주목 받으면서, 퇴근 후, 주말, 또는 여유 시간에 운동 등 자신의 삶을 위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워라밸의 하나로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약간의 시간 투자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영, 헬스, PT(Personal Training), 골프, 필라테스 등 다양한 운동을 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운동을 하는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올바른 자세로 운동하고자 하는 욕구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운동 가이드를 제공하는 영상 등이 제공되고 있다. 운동 가이드 영상은, 강사 또는 트레이너 등이 에어로빅 동작, 요가 동작, 헬스 운동 동작을 하는 영상으로서, 사용자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에서 시연되는 강사 등의 동작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운동 가이드 영상은 시간 단위의 운동을 가이드할 뿐 사용자별로 선택적으로 가이드하지 않는다.
본 개시는 사용자의 수준별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역재생을 기초하여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사용자의 동작에 기초하여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aspect)에 따른 반복 운동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2회 이상의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를 수신하는 단계; 및 하나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원본 동영상 중 일부 구간의 역재생에 기초하여 상기 횟수에 대응하는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원본 동영상은, 제1 동작을 나타내는 제1 구간; 및 제1 동작과 반대되는 제2 동작을 나타내는 제2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간을 재생한 후 상기 제1 구간을 역재생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2 구간을 역재생한 후 상기 제2 구간을 재생하는 제2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에 대응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의 반복 횟수의 합은, 상기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의 반복 횟수의 합은, 상기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보다 1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간과 상기 제2 구간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본 동영상은 준비 동작을 나타내는 제3 구간; 및 마무리 동작을 나타내는 제4 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동영상은 미러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반복 운동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2회 이상의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하나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원본 동영상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원본 동영상을 독출하고, 상기 원본 동영상의 일부 구간의 역재생에 기초하여 상기 횟수에 대응하는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본 동영상은, 제1 동작을 나타내는 제1 구간; 및 제1 동작과 반대되는 제2 동작을 나타내는 제2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구간을 재생한 후 상기 제1 구간을 역재생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2 구간을 역재생한 후 상기 제2 구간을 재생하는 제2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에 대응하여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보다 작도록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가이드 동영상은 세트 동작의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가이드 동영상은 반복 동작인 세트 동작이 영상의 끊김 없이 제공되어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가이드 동영상은 사용자의 운동 속도에 의해 조절되는 바, 사용자에게 보다 유용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기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세트 동작으로 구성된 원본 동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회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회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9는 비교예로서, 복수 회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원본 동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세트 구간 중 하나의 세트 구간을 이용하여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12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세트 구간을 이용하여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1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타입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원본 동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복 운동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복 운동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에 기초하여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자세가 기준 자세보다 앞선 경우,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자세가 기준 자세보다 뒤처진 경우,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자세가 기준 자세보다 뒤처진 경우,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를 지칭하는 캐릭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로 운동효과를 나타내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기 관리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관리 서버(10), 운동 기기(20), 미러 디스플레이(30), 사용자 단말(40) 및 관리자 단말(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시스템(1)은 관리 서버(10)와 연계된 결제 서버 및 콘텐츠 서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 서버(10)는 운동 기기(20), 미러 디스플레이(30), 사용자 단말(40), 및 관리자 단말(50) 등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관리자 단말(5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 스케쥴, 운동 종목 리스트 등을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40) 또는 운동 기기(20)로부터 수신된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운동 결과 등을 저장하며, 관리자 단말(50) 또는 사용자 단말(40)의 요청에 따라 상기한 운동 결과를 관리자 단말(50) 또는 사용자 단말(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는 사용자 단말(40)의 요청에 따라 헬스 센터에 있는 운동 기기(20) 등을 제어하거나, 운동 기기(20)로부터 수신된 운동 결과를 이용하여 운동 이력, 운동 결과에 대응하는 칼로리 정보 등을 생성할 수도 있다.
관리 서버(10)는 인터넷 사이트의 운영 서버일 수 있다. 관리 서버(10)에서는 운동 기기(20), 미러 디스플레이(30), 사용자 단말(40) 및 관리자 단말(50) 등과 연결되는 전용 앱(App) 및/또는 웹(Web)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이를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의 콘텐츠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할 수 있도록, 웹/앱 상에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운동 기기(20)는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또는 러닝 머신 등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운동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동 기기(20)는 관리 서버(10)의 제어하에 사용자에게 운동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운동 결과를 관리 서버(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운동 기기(2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관리 서버(10)의 제어하에 다양한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은 운동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관리 서버(10)에 등록된 단말로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10), 출입 단말(20) 및 운동 기기(20) 등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다. 사용자 단말(40)은 스마트폰, PC,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및 기타 모바일,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 및 스마트 밴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40)은 운동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뿐만 아니라, 등록된 사용자가 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50)은 운동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관리 서버(10)에 등록된 단말로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다. 관리자 단말(50)은 스마트폰, PC,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50)은 관리 서버(10)에 관리자로 등록된 자가 소유하는 단말뿐만 아니라, 등록된 관리자가 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0)는 외부 단말, 예를 들어, 출입 단말(20), 운동 기기(20), 미러 디스플레이(30), 사용자 단말(40), 관리자 단말(50) 등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제1 통신부(110), 사용자의 운동 프로그램, 사용자의 운동 이력, 헬스 센터의 일실 리스트, 운동 기기(20)의 모드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20), 관리 서버(10)를 관리하는 관리자 등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헬스 센터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알리는 제1 출력부(140) 및 관리 서버(20)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제1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50)는 관리자 단말(5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하거나, 센터의 이용 현황을 관리하고, 운동 기기(20)의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출입 단말(20), 관리자 단말(50) 및 사용자 단말(40)도, 통신부, 저장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기(2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기(20)는 유산소 운동 기기 또는 무산소 운동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기기(20)는 트레드밀, 자전거, 일립티컬, 계단운동기구, 등과 같은 유산소 운동 기기, 체스트프레스, 쇼울더프레스, 암컬 랫풀다운 펙덱플라이, 시티드로우, 로우풀 치닝 딥핑, 레그컬, 레그익스텐션, 레그프레스, 이너사이, 아웃사이, 토탈힙, 토르소 백익스텐션, 업도미널 등과 같은 무산소 운동 기기일 수 있다.
운동 기기(20)는 운동 본체(210), 센서(220), 제2 통신부(240), 제1 메모리(250),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60), 제2 출력부(270) 및 제2 프로세서(280)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 본체(21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물리적 운동 기구이다. 일 예시에 따른 운동 본체(210)는 설정된 운동 레벨에 따라 부하를 추가, 감소 또는 유지시킬 수 있다. 운동 본체(210)는 운동 기기(2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센서(220)는 운동 본체(2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결과를 제2 프로세서(28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한 센서(220)는 레이저 센서(220), 움직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40)는 외부 기기,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 출입 단말(20), 다른 운동 기기(20), 사용자 단말(40), 관리자 단말(50) 등과 통신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40)는 관리 서버(10)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통신부(240)는 출입 단말(20), 사용자 단말(40) 및 관리자 단말(50)과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등 근거리 통신망으로 통신할 수 있다. 그리하여, 운동 기기(20)가 관리 서버(10) 이외의 다른 외부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 통신부(240)는 관리자 단말(50)과 원거리 통신을 할 수도 있다.
제1 메모리(250)에는 운동 기기(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제2 프로세서(280) 또는 센서(22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한 정보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모리(250)는, 휘발성 제1 메모리(250) 또는 비휘발성 제1 메모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메모리(250)는 사용자 정보에 따라 미리 결정되는 조정 운동 범위 또는 임계 운동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50)는 운동 기기(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운동 기기(20)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전자 태그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50)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신장, 몸무게, 운동 경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출력부(270)는 출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출력 정보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 운동 정보 또는 사용자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출력부(270)는 출력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출력부(270)는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운동 본체(2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운동 본체(210)의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60)는 제2 통신부(230)를 포함하여 운동 본체(21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더라도 운동 본체(210)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받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제2 프로세서(280)는 운동 기기(2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제2 통신부(2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2 프로세서(28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실행하여 제2 프로세서(28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2 프로세서(28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220) 또는 제2 통신부(23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1 메모리(250) 중 휘발성 제1 메모리(250)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제1 메모리(250) 중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3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미러 디스플레이(3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미러(Mirror) 기능 및 디스플레이(Display)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상에 편광 기능을 포함하는 필름(미도시됨)을 더 구비하고 있어, 특정 빛(예를 들어,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는 빛)은 반사시키고 특정 빛(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빛)은 투과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와 거울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공지된 장치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미러 디스플레이(30)는 제3 통신부(310), 제2 메모리(320),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330), 디스플레이(340), 미러(350) 및 제3 프로세서(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신부(310)는 외부 기기,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 사용자 단말(40), 관리자 단말(50) 등과 통신할 수 있다. 제3 통신부(310)는 관리 서버(10)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40) 및 관리자 단말(50)과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등 근거리 통신망으로 통신할 수 있다. 그리하여, 미러 디스플레이(30)는 관리 서버(10) 이외의 다른 외부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3 통신부(310)는 관리자 단말(50)과 원거리 통신을 할 수도 있다.
제2 메모리(320)에는 미러 디스플레이(3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제3 프로세서(36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한 정보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모리(320)는, 휘발성 제2 메모리(320) 또는 비휘발성 제2 메모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메모리(32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원본 동영상이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250)는 각종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예로서,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미러 디스플레이(30)가 표시할 수 있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재생할 운동 종목 및 세트 횟수 등을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제3 프로세서(360)의 제어하에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표시할 수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도 할 수 있다.
또한, 미러(350)는 디스플레이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상에 배치될 수 있다. 미러(350)는 외부에서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고 디스플레이에서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필름, 예를 들어,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미러 디스플레이(3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제3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실행하여 제3 프로세서(36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3 프로세서(360)는 다른 구성요소(예: 제3 통신부(230) 또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2 메모리(320) 중 휘발성 제2 메모리에 로드하고, 휘발성 제2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제2 메모리 중 비휘발성 제2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프로세서(360)는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된 하나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원본 동영상을 제2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원본 동영상은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본 동영상은 준비 동작을 나타내는 준비 구간(R), 마무리 동작을 나타내는 마무리 구간(E), 반복 동작이 될 수 있는 세트 구간(S)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동영상은 세트 동작의 예인, 스쿼트 운동을 포함하는 동영상인 경우, 원본 동영상은 스쿼트 운동을 준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준비 구간(R), 스쿼트 운동을 마무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마무리 구간(E), 스쿼트 동작이 반복될 수 있는 세트 구간(S), 즉, 앉았다 일어나는 동작을 나타내는 세트 구간(S)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세트 구간(S)은 변곡점, 예를 들어, 동작의 방향이 전환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두 개의 서브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세트 구간(S)이 스쿼트 동작을 나타내는 구간인 경우, 스쿼트 동작의 앉은 지점을 기준으로, 세트 구간(S)은 앉아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제1 구간과, 일어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제2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앉아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제1 구간이 순방향 구간(F)이라고 할 때 일어나는 동작은 앉아지는 동작의 역방향 동작인 바, 일어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제2 구간은 역방향 구간(B)이라고 칭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외부, 예를 들어, 서버로부터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분된 원본 동영상을 수신받아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된 않는다. 제3 프로세서(360)는 수신된 원본 동영상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제3 프로세서(360)는 원본 동영상을 저장한 후, 사용자 명령 등에 의해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을 요청받으면 원본 동영상을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분한 후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미러 디스플레이(30)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션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획득하기 위한 장비로서, 비전 카메라, 비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감지 센서(370)는 검출된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관절에 대응하는 영역을 추출하여 해당하는 관절의 좌표 데이터, 속도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도 4에서 모션 감지 센서는 미러 디스플레이의 일 구성요소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모션 감지 센서는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가 모션 감지 센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제3 프로세서(360)는 제3 통신부(310) 또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330) 등으로부터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를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명령을 수신받을 수 있다(S410). 사용자가 미러 디스플레이(30)와 일정 거리내에 진입하면, 미러 디스플레이(30)는 대기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미러 디스플레이(3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 등에 재생할 운동 종목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기저장된 운동 종목과 상기한 운동 종목의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를 미러 디스플레이(30)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운동 종목에 대한 운동 가이드 영상의 재생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미러 디스플레이(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운동 종목 및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를 입력함으로써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원본 동영상 중 일부 구간의 역재생을 기초로 횟수에 대응하는 세트 동작을 포함한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420). 제3 프로세서(360)는 원본 동영상 중 일부 구간의 재생 및 역재생함으로써 세트 동작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구간의 재생 및 역재생하는 단계가 증가할수록 생성된 동영상에 포함된 세트 동작의 횟수도 증가할 수 있다.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3 프로세서(360)는 생성된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S430). 제3 프로세서(36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생성을 완성 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도 있고,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생성과 동시에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것을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재생한다고 칭할 수 있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세트 동작으로 구성된 원본 동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원본 동영상(50)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원본 동영상(50)은 준비 동작을 나타내는 준비 구간(R), 마무리 동작을 나타내는 마무리 구간(E), 반복 운동의 동작이 될 수 있는 세트 구간(S)으로 구분된 수 있다.
세트 구간(S)은 동작의 변곡점, 즉, 동작의 방향이 전환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순방향 구간(F)과 역방향 구간(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쿼트 운동 중 앉았다 일어나는 동작을 나타내는 세트 구간(S)은 세트 구간(S)의 시작 지점에서 앉은 지점까지의 앉아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방향 구간(F)과 앉은 지점에서부터 세트 구간(S)의 종료 지점까지의 일어나는 동작을 나타내는 역방향 구간(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순방향 구간(F)에 포함된 동작은 역방향 구간(B)에 포함된 동작과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순방향 동영상에 포함된 동작은 앉아지는 동작인 반면, 순방향 동영상에 포함된 동작은 일어나는 동작일 수 있다.
순방향 구간(F)이 재생되는 시간과 역방향 구간(B)이 재생되는 시간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순방향 구간(F)이 재생되는 시간과 역방향 구간(B)이 재생되는 시간은 10%의 오차 범위 이내일 수도 있다.
세트 구간(S)의 시작 지점에서의 동영상 내 포즈와 세트 구간(S)의 종료 지점에서의 동영상내 포즈는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트 구간(S)의 시작 지점에서의 포즈와 세트 구간(S)의 종료 지점에서의 포즈는 10%의 오차 범위 이내일 수 있다.
상기한 원본 동영상(50)의 미러 디스플레이(30)의 제2 메모리(320)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도 5의 1세트 동작의 원본 동영상(50)을 이용하여 복수 회의 반복 동작 즉, 복수 회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50a)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회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50)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330)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n회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명령을 수신받으면, 제3 프로세서(36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에 대응하는 원본 동영상(50)을 제2 메모리(320)에서 독출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외부 기기,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 사용자 단말(30) 등으로부터 원본 동영상(50)을 수신하여 제2 메모리(320)에 임시 저장한 후 원본 동영상(50)을 이용할 수 있다.
원본 동영상(50)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구간(R, F, B, E)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구간(R, F, B, E)이 마커 등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본 동영상(50)이 복수 개의 구간(R, F, B, E)으로 구분되지 않는 경우, 제3 프로세서(360)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커 등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원본 동영상 중 일부 구간의 역재생을 기초로 n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영상(50a)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프로세서(360)는 원본 동영상(50) 중 준비 구간(R)을 재생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세트 구간(S)을 재생함에 있어서, 세트 구간(S) 중 일부 구간을 역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순방향 구간(F)은 앉아지는 동작을 포함하기 때문에 순방향 구간(F)을 역재생하면 일어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3 프로세서(360)는 순방향 구간(F)을 재생한 후 변곡점(P2)에 순방향 구간(F)을 역재생하면, 앉았다 일어나는 첫번째 세트 구간(S1)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가 순방향 구간(F)을 재생한 후 순방향 구간(F)을 역재생하는 단계를 n-1 회 수행하면 n-1 회의 세트 구간(SE1, SE2,??)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프로세서(360)는 순방향 구간(F) 및 역방향 구간(B)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면 n번째의 세트 구간(SEn)을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 프로세서(360)는 마무리 구간(E)을 재생함으로써 운동 가이드 동영상(50a)의 생성을 완성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회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330) 또는 외부 기기 등으로부터 n회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요청을 수신받으면, 제3 프로세서(360)는 원본 동영상(50) 중 일부 구간의 역재생을 기초로 n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프로세서(360)는 원본 동영상(50) 중 준비 구간(R)을 재생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순방향 구간(F) 및 역방향 구간(B)을 재생함으로써 세트 첫번째 세트 구간(SE1)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프로세서(360)는 역방향 구간(B)을 역재생한 후 역방향 구간(B)을 재생함으로써 두번째 세트 구간(SE2)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방향 구간(B)이 일어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영상이면, 역방향 구간(B)을 역재생함으로서 앉아지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역방향 구간(B)을 역재생한 후 역방향 구간(B)을 재생하는 단계를 n-1회 수행함으로써 n-1 회 세트 구간(SE2,??, SEn)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마무리 구간(E)을 재생하여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생성(50b)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원본 동영상(50) 중 일부 구간의 역재생을 기초로 복수 회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50a, 50b)을 생성할 수 있는 바, 영상의 끊김이 없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하나의 세트 동작을 나타내는 원본 동영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세트 동작이 반복된다 하더라도 동작이 흐트러지지 않는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복수 회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촬영에 의해 획득한다면, 세트 동작을 반복하는 사람, 예를 들어, 트레이너는 세트 동작을 반복할수록 트레이너의 자세가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원본 동영상의 일부 구간을 재생 및 역재생을 반복함으로써 세트 동작의 횟수를 증가시키는 바, 동작이 흐트러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트 동작의 횟수 별로 원본 동영상을 제작 및 저장할 필요가 없어, 원본 동영상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원본 동영상의 저장 용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1 세트 동작을 나타내는 원본 동영상(50) 중 세트 구간을 반복 재생함으로써 복수 회의 세트 동작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9는 비교예로서, 복수 회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 프로세서(360)는 원본 동영상(50) 중 준비 구간(R)을 재생한 후, 세트 구간(SE1)을 재생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세트 구간(S)을 n회 반복 재생할 수 있다. 즉, 제3 프로세서(360)는 세트 구간(S=SE1)을 반복 재생한 후 세트 구간(S=SE1)의 종료 지점(P3)에 도달하면 세트 구간(S)의 시작 지점(P1)으로 이동하여 세트 구간(S=SE2)을 다시 재생할 수 있다.
반복 재생은 세트 구간(S)의 종료 지점(P3)에서 세트 구간(S)의 시간 지점(P1)으로 이동하여 재생되는 바, 짧은 시간이라 할지라도 영상의 끊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세트 구간(S)의 종료 지점(P3)에서의 동영상 내 포즈와 세트 구간(S)의 시작 지점(P1)에서 동영상 내 포즈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의 불연속성을 더욱 가중될 수 있다.
원본 동영상(50)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운동 과정을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인 바, 세트 구간(S)의 종료 지점(P3)에서의 포즈와 세트 구간(S)의 시작 지점(P1)에서 포즈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하여, 반복 재생에 생성된 운동 가이드 동영상(50C)에서 끊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끊김 현상은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몰입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바와 같이, 원본 동영상(50) 중 일부 구간의 역쟁생을 이용하여 복수 회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50a, 50b)을 생성하면, 세트 동작의 시작 지점과 세트 동작의 종료 지점이 동일한 바 영상의 끊김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영상을 보면서 운동에 대한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의 원본 동영상(50)은 1 세트 동작으로 구성된 원본 동영상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본 동영상은 2 세트 동작 이상을 포함하는 동영상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반복 운동은 복수 회의 세트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원본 동영상은 기본 횟수의 세트 동작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프로세서(360)는 원본 동영상의 일부 구간의 역재생을 기초로 기본 횟수를 초과하는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원본 동영상(6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 동영상(60)은 기본 횟수가 2회인 세트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동영상(60)의 세트 구간(S)은 동일한 타입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제1 세트 구간(S1) 및 제2 세트 구간(S2)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 횟수를 초과하는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제3 프로세서(360)는 세트 구간(S) 중 일부 구간의 재생 및 역재생을 반복함으로써 세트 동작의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세트 구간 중 하나의 세트 구간을 이용하여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3 프로세서(360)는 세트 구간(S) 중 제1 세트 구간(S1)의 순방향 구간(F1)을 재생 및 역재생함으로써 첫번째 세트 구간(SE1)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세트 구간(S) 중 제1 세트 구간(S1)의 순방향 구간(F1)을 재생 및 역재생하는 단계를 n-2회 수행함으로써 n-2회의 세트 구간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프로세서(360)은 원본 동영상(60)의 제1 세트 구간(S1) 및 제2 세트 구간(S2)을 재생함으로써 n-1번째의 세트 구간(SEn-1) 및 n-번째의 세트 구간(SEN)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제1 세트 구간(S1)의 순방향 구간(F1)을 재생 및 역재생함으로써 세트 구간을 증가시켰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세트 구간(S1)의 역방향 구간(B1)을 재생 및 역재생함으로써 세트 구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세트 구간(S2)의 순방향 구간(F2) 또는 역방향 구간(B2)의 재생 및 역재생을 이용하여 세트 동작의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제3 프로세서(360)는 제1 세트 구간(S)의 일부 구간 및 제2 세트 구간(S)의 일부 구간을 재생 및 역재새함으로써 세트 동작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12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세트 구간을 이용하여 운동 가이드 동영상(60b)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제3 프로세서(360)는 제1 세트 구간(S1)의 일부 구간 및 제2 세트 구간(S2)의 일부 구간을 재생 및 역재생함으로써 세트 구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프로세서(360)는 원본 동영상(60)의 제1 세트 구간(S1)의 순방향 구간(F1) 및 역방향 구간(B1)을 재생함으로써 첫번째 세트 구간(SE1)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제2 세트 구간(S2)의 순방향 구간(F2)을 재생 및 역재생함으로써 두번째 세트 구간(SE2)을 생성하고, 프로세서(360)는 제1 세트 구간(S1)의 역방향 구간(B 1 )을 역재생 및 재생함으로써 세번째 세트 구간(SE3)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2 세트 구간(S2)의 순방향 구간(F2)을 재생 및 역재생과 제1 세트 구간(S1)의 역방향 구간(B 1 )을 역재생 및 재생을 반복 수행함으로서 네번째 세트 구간에서 n-1 번쩨 세트 구간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제2 세트 구간(S2)의 순방향 구간(F2) 및 역방향 구간(B2)을 순차적으로 재생함으로써 n번째 세트 구간(SEn)을 생성할 수 있다.
기본 횟수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원본 동영상(60)을 이용하여 운동 가이드 동영상(60a, 60b)을 생성하기 때문에 역재생 회수 또는 역재생 구간을 다변화시킬 수 있다.
원본 동영상은 한 종류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본 동영상은 복수 개의 서로 다른 타입 세트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동영상은 우측 방향으로 반복 운동할 수 있는 제1 타입 세트 동작, 좌측 방향으로 반복 운동할 수 있는 제2 타입 세트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원본 동영상의 일부 구간에 대한 역재생을 이용하여 운동 가이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타입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원본 동영상(7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원본 동영상(70)은 복수 개의 구간(R, S, 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원본 동영상(70)은 준비 동작을 나타내는 준비 구간(R), 마무리 동작을 나타내는 마무리 구간(E), 반복 운동의 동작이 될 수 있는 세트 구간(S)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세트 구간(S)은 반복 운동의 타입이 변경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세트 구간(AS, BS)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트 구간(S)은 반복 운동의 타입이 변경되는 지점(P13=P21)을 제1 타입 세트 구간(AS)과 제2 타입 세트 구간(BS)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런지 운동은 우측 다리를 뒤로하는 우측 런지 운동 즉, 제1 타입 세트 구간(AS)과 좌측 다리를 뒤로하는 좌측 런지 운동 즉, 제2 타입 세트 구간(BS)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각 세트 구간(AS, BS)은 동작의 방향이 전환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순방향 구간(AF, BF)과 역방향 구간(AB, B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 런지 운동과 좌측 런지 운동 각각은 앉아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방향 구간과 일어나는 동작을 나타내는 역방향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런지 운동의 세트 구간(S)은 세트 동작의 시작 지점(P1)에서 우측 무?냅? 90도가 되고 상체가 낮춰진 지점(P12)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1 타입 세트 구간(AS)의 순방향 구간(AF), 우측 무?냅? 90도가 되고 상체가 낮춰진 지점(P12)에서 양 무?냅? 펴지고 상체가 올라간 지점(P13=P21)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1 타입 세트 구간(AS)의 역방향 구간(AB), 양 무?냅? 펴지고 상체가 올라간 지점(P13=P21)에서 좌측 무?냅? 90도가 되고 상체가 낮춰진 지점(P22)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의 순방향 구간(BF) 및 좌측 무?냅? 90도가 되고 상체가 낮춰진 지점(P22)에서 무?냅? 펴지고 상체가 올라간 지점(P23)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의 역방향 구간(BB)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각 타입의 세트 구간의 순방향 구간이 재생되는 시간과 그에 대응하는 타입의 세트 구간의 역방향 구간이 재생되는 시간은 동일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순방향 구간이 재생되는 시간과 역방향 구간)이 재생되는 시간은 10%의 오차 범위 이내일 수도 있다.
각 타입의 세트 구간의 시작 지점에서의 동영상내 포즈와 그에 대응하는 타입의 세트 구간의 종료 지점에서의 동영상내 포즈는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 타입의 세트 구간의 시작 지점에서의 포즈와 그에 대응하는 타입의 세트 구간의 종료 지점에서의 포즈는 10%의 오차 범위 이내일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도 13의 원본 동영상(70)을 이용하여 복수 회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4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복 운동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영상(70a)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320)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n회의 세트 동작이 요청되면, 제3 프로세서(360)는 원본 동영상(70) 중 일부 구간의 역재생을 기초로 n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70a)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프로세서(360)는 원본 동영상(70) 중 준비 구간(R)을 재생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제1 타입 세트 구간(AS)의 순방향 구간(AF), 제1 타입 세트 구간(AS)의 역방향 구간(AB) 및 제2 타입 세트 구간(AS)의 순방향 구간(AF)을 순차적으로 재생하고,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의 순방향 구간(BF)을 역재생함으로서 첫번째 세트 구간(ASE1, BSE1)을 생성할 수 있다.
원본 동영상이 런지 운동을 포함하는 경우, 제3 프로세서(360)가 제1 타입 세트 구간(AS)의 순방향 구간(AF) 및 제1 타입 세트 구간(AS)의 역방향 구간(AB)을 재생하면 우측 런지 운동의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프로세서(360)가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의 순방향 구간(BF)을 재생한 후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의 순방향 구간(BF)을 역재생하면, 제3 프로세서(360)는 좌측 런지 운동의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의 순방향 구간(BF)은 좌측 무릎이 굽혀지면서 상체가 아래로 내려가는 동영상인 바,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의 순방향 구간(BF)을 역재생하면 좌측 무?냅? 펴지면서 상체가 위로 올라가는 동영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3 프로세서(360)는 제1 타입 세트 구간(AS)의 역방향 구간(AB)을 역재생하고, 제1 타입 세트 구간(AS)의 역방향 구간(AB) 및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의 순방향 구간(BF)을 순차적으로 재생한 후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의 순방향 구간(BF)을 역재생하면 두번째 세트 구간(ASE2, BSE2)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가 제1 타입 세트 구간(AS)의 역방향 구간(AB)을 역재생하고, 제1 타입 세트 구간(AS)의 역방향 구간(AB) 및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의 순방향 구간(BF)을 순차적으로 재생한 후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의 순방향 구간(BF)을 역재생하는 단계를 n-2회 수행하면, 제3 프로세서(360)는 n-2회의 세트 구간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프로세서(360)는 제1 타입 세트 구간(AS)의 역방향 구간(AB)을 역재생하고, 제1 타입 세트 구간(AS)의 역방향 구간(AB),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의 순방향 구간(BF) 및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의 역방향 구간(BB)을 순차적으로 재생함으로써 n번째 세트 구간(ASEn, BSEn)을 생성할 수있다. 마지막으로, 제3 프로세서(360)는 마무리 구간(E)을 재생함으로써 운동 가이드 동영상(70a)의 생성을 완성할 수 있다.
도 14에는 제1 타입 세트 구간(AS)과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을 교번적으로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프로세서(360)는 제1 타입 세트 구간(AS)을 이용하여 n회의 제1 타입 세트 구간을 생성하고,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을 이용하여 n회의 제2 타입 세트 구간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복 운동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영상(70b)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310)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n회의 세트 동작이 요청되면, 제3 프로세서(360)는 원본 동영상(70) 중 일부 구간의 역재생을 기초로 n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70b)을 재생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프로세서(360)는 원본 동영상(70) 중 준비 구간(R)을 재생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제1 타입 세트 구간(AS)의 순방향 구간(AF)을 재생한 후 제1 타입 세트 구간(AS)의 순방향 구간(AF)을 역재생하는 단계를 n-1회 수행함으로써 n-1회의 제1 타입 세트 구간(AS1,??)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타입 세트 구간(AS)의 순방향 구간(AF) 및 제1 타입 세트 구간(AS)의 역방향 구간(AB)을 순차적으로 재생함으로써 n회째의 제1 타입 세트 구간(ASn)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프로세서(360)는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의 순방향 구간(BF)을 재생한 후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의 순방향 구간(BF)을 역재생하는 단계를 n-1회 수행함으로써 n-1회의 제2 타입 세트 구간(BS1,??)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프로세서(360)는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의 순방향 구간(BF) 및 제2 타입 세트 구간(BS)의 역방향 구간(BB)을 순차적으로 재생함으로써 n회째의 제2 타입 세트 구간(BSn)을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 프로세서(360)는 마무리 구간(E)을 재생함으로써 운동 가이드 동영상(70b)의 생성을 완료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각 타입 세트 구간을 n번 반복 생성함으로써 있어서, 도 7의 역재생을 기초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입 세트 구간의 역재생은 도 8의 역재생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도 7의 역재생과 도 8의 역재생이 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4 및 도 15에서는 서로 다른 두 개 타입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원본 동영상을 이용하여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3개 이상의 서로 다른 타입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원본 동영상을 이용하여서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또한 1 세트의 서로 다른 타입의 반복 운동을 포함하는 원본 동영상 뿐만 아니라 2 이상의 기본 세트의 서로 다른 타입의 반복 운동을 포함하는 원본 동영상을 이용하여서도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생성된 운동 가이드 동영상은 미러 디스플레이(30)에서 제공될 수도 있고, 다른 장치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가이드 동영상은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조절되거나 종료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에 기초하여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3 프로세서(36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S610).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가 미러 디스플레이(30)로부터 일정 거리내에 진입하면, 미러 디스플레이(30)는 대기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미러 디스플레이(3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40) 등에 재생할 운동 종목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은 기저장된 운동 종목과 상기한 운동 종목의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를 미러 디스플레이(30)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운동 종목에 대한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미러 디스플레이(30)의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운동 종목 및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를 입력함으로써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표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원본 동영상 중 일부 구간의 역재생을 기초로 복수 개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메모리(320)에는 사용자별 또는 세트별 운동 가이드 동영상이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재생 요청 명령에 따라 기저장된 사용자 또는 세트에 대응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독출하여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의 자세를 인식할 수 있다(S620). 모션 감지 센서(370)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그 결과를 제3 프로세서(360)에 전달한다. 모션 감지 센서(37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획득하기 위한 장비로서, 비전 카메라, 비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적외선 세서 등일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모션 감지 센서(370)로부터 수신된 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데이터가 사용자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인 경우,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자세를 인식하기 위한 특징점들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한 특징점은 사람 신체를 나타내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징점은 어깨, 어깨 관절, 상측팔, 팔굽 관절, 하측팔, 손목관절, 손, 몸통, 고관절, 상부다리, 무릅관절, 하부다리, 발목관절, 발 등일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특징점, 각 특징점의 연결 각도(입체적 각도), 각 특징점의 거리(입체적 거리)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프로세서(360)는 동작 데이터에 딥러닝 학습 방식, FPD(Fast Human Pose Estimation) 학습방식 등을 이용하여 2차원 자세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제3 프로세서(360)는 3D Body Model을 가지고 하는 Model-based 방식 또는 3D 모델 없이 추정하는 Modelfree 방식등을 이용하여 3차원의 자세를 인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인체 자세 인식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가 자세를 인식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운동 가이드 동영상에 포함된 타겟(예를 들어, 트레이너)의 자세(이하, '기준 자세'라고 한다)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프로세서(360)는 원본 동영상으로부터 기준 자세를 추정하여 동작 모델링을 생성하고, 원본 동영상과 동작 모델링을 함께 기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원본 동영상에 기초하여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표시할 때, 제3 프로세서(360)는 표시된 운동 가이드 동영상과 매칭된 동작 모델링도 함께 변형시키면서 기준 자세를 추출할 수 있다. 동작 모델링은 제3 프로세서(360)가 수행할 수도 있지만, 서버 등 외부 기기가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모션 감지 센서(370)가 디스플레이(340)의 화면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자세와 타겟의 자세를 촬영하는 비젼 카메라인 경우, 제3 프로세서(360)는 감지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자세와 기준 자세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자세 및 기준 자세를 인식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의 자세와 운동 가이드 동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를 비교할 수 있다(S630). 제3 프로세서(360)는 특정 시점, 예를 들어, 현재의 사용자의 자세와 운동 가이드 동영상에 포함되면서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시점에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와 디스플레이(340)에 표시된 기준 자세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보다 늦은 경우, 사용자의 자세는 디스플레이(340)에 표시되는 기준 자세보다 뒤쳐질 수 있다. 즉 운동 가이드 동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는 기표시되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를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는 기표시된 기준 자세와 비교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보다 빠른 경우, 사용자의 자세는 디스플레이(340)에 표시되는 기준 자세보다 앞설 수 있다. 즉 운동 가이드 동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는 아직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가 디스플레이(340)에 표시될 때, 비로소,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와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를 비교할 수 있다.
유사도가 높을수록 사용자의 자세과 기준 자세간의 일치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3 프로세서(360)는 특징점들의 각도 또는 거리 기반의 유사도를 사용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특징점들의 각도 또는 특징점들간의 거리별 유사도를 산출하고, 각 유사도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합산하는 방식으로 정량적으로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특징점 모두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할 수도 있지만, 기준 자세에서 중요한 일부 특징점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유사도 산출 방식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되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의 자세와 기준 자세간의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이면(S640-Yes),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의 운동 속도에 대응하여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S650).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는 원본 동영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명령 등에 따라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재생 속도는 사용자의 운동 속도와 상관없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와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다를 수 있다.
사용자가 노약자이거나 컨디션이 좋지 않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초보 운동자인 경우, 사용자의 운동 속도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보다 느릴 수 있다. 사용자가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에 맞춰 운동하게 되면 다치거나 올바른 자세로 운동하지 못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세트 동작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운동 속도가 느려지는 반면,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는 일정한 바, 사용자는 다치거나 정확한 자세로 운동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의 운동 속도에 대응하여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자세가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보다 기준 구간 앞선다고 판단되면,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보다 빠르다고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구간은 세트 동작 중 서브 세트 동작 또는 세트 동작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쿼트 운동의 경우, 순방향 구간 및 역방향 구간 각각이 서브 세트 동작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이고, 순방향 구간과 역방향 구간의 합이 세트 동작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 기준 구간은 운동 종목에 따라 다르게 사용자 또는 관리자 등에 의해 기설정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은 이전에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를 기초로 현재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프로세서(360)는 이전에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를 기초로 현재 이식된 사용자의 자세가 스쿼트 운동의 순방향 구간의 자세인지 역방향 구간의 자세인지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프로세서(360)은 현재의 기준 자세를 이전의 기준 자세를 기초로 결정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표시되는 기준 자세가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되도록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재생 속도는 사용자의 운동 속도에 비례하여 조절될 수도 있고, 단계적 크기 변경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3 프로세서(360)는 표시되는 기준 자세가 사용자의 자세가 대응되도록, 즉, 특정 시점에 표시되는 기준 자세와 사용자의 자세가 일치하도록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1.1배, 1.2배, 1.5배, 2배 중 어느 하나로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자세가 표시되는 기준 자세보다 기준 구간 뒤쳐졌다고 판단되면,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운동 가이드 동영상이 재생 속도보다 느리다고 결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3 프로세서(360)는 표시되는 기준 자세가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되도록, 즉, 특정 시점에 표시되는 기준 자세와 사용자의 자세가 일치하도록,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재생 속도는 사용자의 동작 속도에 비례하여 조절될 수도 있고, 단계적 크기 변경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3 프로세서(360)는 기준 자세가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되도록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0.9배, 0.8배, 0.5배 중 어느 하나로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자세가 기준 자세보다 기준 구간 뒤쳐졌다고 판단되면, 제3 프로세서(360)는 표시되는 기준 자세가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될 때까지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자세와 운동 가이드 동영상에 표시된 기준 자세가 일치하면, 제3 프로세서(360)는 다시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 및 기준 자세를 기초로 사용자의 운동 속도와 재생 속도간의 관계를 결정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프로세서(360)는 특정한 사용자의 동작이 수행되는 시간과 상기한 특정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는 기준 동작이 표시되는 재생 시간을 기초로 사용자의 운동 속도와 재생 속도간의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프로세서(360)는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들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 즉, 사용자의 동작을 프로파일링하고, 프로파일링된 사용자의 동작을 서브 세트 단위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서브 세트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서브 세트 구간을 재생하는데 소요되는 재생 시간과 비교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는 동작 시간과 재생 시간간의 차가 기준 시간이내이면 사용자의 운동 속도와 재생 속도는 동일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는 동작 시간이 재생 시간보다 기준 시간 이상 긴 경우,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재생 속도보다 느리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3 프로세서는 동작 시간이 재생 시간보다 기준 시간 이상 짧은 경우,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재생 속도보다 빠르다고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시간은 서브 세트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일 수 있으며, 운동 종목에 따라 다르게 사용자 또는 관리자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밖에도 사용자의 운동 속도를 산출하는 방법은 종래의 운동 속도 산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자세와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의 유사도가 기준값 미만이면, 제3 프로세서(36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한 일정 시간은 1회 세트 동작에 대응하는 시간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정 시간은 2회 또는 3회의 세트 동작에 대응하는 시간일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모션 감지 센서(370)로부터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결과를 수신받지 못하는 경우, 제3 프로세서(36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모션 감지 센서(370)로부터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결과를 수신받지 않으면,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의 자세와 기준 자세간의 유사도는 'O'으로 결정할 수 있다. 모션 감지 센서(370)가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하는 못하는 경우, 사용자가 운동하는 장소를 이탈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기준 자세가 아닌 사용자의 자세가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면, 제3 프로세서(36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표시를 종료함으로서, 불필요한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운동 기기 또는 미러 디스플레이(30)의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면서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와 관련된 정보, 사용자의 자세와 기준 자세간의 유사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정보는 캐릭터, 그래프, 텍스트 및 음향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프로세서(36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710)을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에 표시된 기준 자세를 보면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의 자세와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를 비교하고, 사용자의 자세와 기준 자세간의 유사도를 산출한 후 그 결과(720)를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유사도로 자신의 자세에 대한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자세가 그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보다 기준 구간 앞섰다고 판단되면,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운동 가이드 동영상이 재생 속도보다 빠르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표시되는 기준 자세가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도록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프로세서(36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가 증가하였음을 알리는 제1 인디케이터(730)를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가 운동 속도를 늦출 것을 안내하는 제2 인디케이터(740)를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자세가 기준 자세보다 기준 구간 뒤쳐졌다고 판단되면,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보다 느리다고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프로세서(360)는 표시되는 기준 자세가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되도록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프로세서(36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가 감소하였음을 알리는 제3 인디케이터(830)를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가 운동 속도를 높일 것을 안내하는 제4 인디케이터(840)를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자세가 그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보다 기준 구간 뒤쳐졌다고 판단되면, 제3 프로세서(360)는 표시되는 기준 자세가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할 때까지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프로세서(36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이 일시 정지되었음을 알리는 제5 인디케이터(930)를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자세가 디스플레이(340)에 표시된 기준 자세에 도달하면, 제3 프로세서(36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자세가 대응하는 기준 자세보다 기준 구간만큼 뒤쳐진 것으로 판단되는 순간, 제3 프로세서(36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자세가 기준 자세보다 기준 구간만큼 뒤쳐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3 프로세서(36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 중 서브 세트 동작 종료 지점 또는 세트 동작 종료 지점에서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의 운동 속도를 저장하고, 다음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시 참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운동할때마다 재생 속도보다 빠르게 운동하는 경우, 제3 프로세서(36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기설정된 재생 속도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의 자세와 그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간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효과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60)는 사용자를 지칭하는 캐릭터, 예를 들어, 아바타의 체형으로 운동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프로세서(36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재생하기 전 사용자를 지칭하는 캐릭터(101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프로세서(360)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표시하는 동안, 사용자의 자세와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를 비교하고, 사용자의 자세와 기준 자세의 유사도를 산출한다. 제3 프로세서(360)는 산출된 유사도의 결과에 기초하여 캐릭터의 체형을 변경시키고, 체형이 변경된 캐릭터(1010)를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쿼트 운동은 하체 근육을 강화시키고 지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프로세서(360)는 하체 근육이 강화되고 지방이 감소된 캐릭터(1010)를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미러 디스플레이(30)가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생성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운동 가이드 동영상은 운동 기기가 생성할 수도 있고, 운동 기기 또는 미러 디스플레이(30)와 통신 가능한 서버가 생성하고, 운동 기기 또는 미러 디스플레이(30)가 생성된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운동 가이드 동영상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 PC,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웨어러블 장치 및 기타 모바일,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 등에서도 생성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 생성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개시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omputer program product)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제까지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운동 기기 관리 시스템
10: 관리 서버
20: 운동 기기
30: 미러 디스플레이
40: 사용자 단말
50: 관리자 단말

Claims (17)

  1. 반복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2회 이상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에 대한 생성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하나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원본 동영상 중 일부 구간의 역재생에 기초하여 상기 횟수에 대응하는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동영상은,
    제1 동작을 나타내는 제1 구간; 및
    제1 동작과 반대되는 제2 동작을 나타내는 제2 구간;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간을 재생한 후 상기 제1 구간을 역재생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2 구간을 역재생한 후 상기 제2 구간을 재생하는 제2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에 대응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의 반복 횟수의 합은,
    상기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보다 작은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의 반복 횟수의 합은,
    상기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보다 1보다 작은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과 상기 제2 구간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동영상은
    준비 동작을 나타내는 제3 구간; 및
    마무리 동작을 나타내는 제4 구간;을 더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동영상은 미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11. 반복 동작을 포함하는 운동 가이드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원본 동영상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원본 동영상을 독출하고, 상기 원본 동영사의 일부 구간의 역재생에 기초하여 상기 횟수에 대응하는 세트 동작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동영상은,
    제1 동작을 나타내는 제1 구간; 및
    제1 동작과 반대되는 제2 동작을 나타내는 제2 구간;을 포함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구간을 재생한 후 상기 제1 구간을 역재생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2 구간을 역재생한 후 상기 제2 구간을 재생하는 제2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에 대응하여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세트 동작에 대한 횟수보다 작도록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20056881A 2021-12-28 2022-05-09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100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216575.5A EP4207138A1 (en) 2021-12-28 2022-12-23 Method of providing exercise video guide and apparatus thereof
CN202211685399.2A CN116351036A (zh) 2021-12-28 2022-12-27 提供运动指导视频的方法和其装置
US18/146,607 US20230201696A1 (en) 2021-12-28 2022-12-27 Method of providing exercise video guide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358 2021-12-28
KR20210190358 2021-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557A true KR20230100557A (ko) 2023-07-05

Family

ID=8715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881A KR20230100557A (ko) 2021-12-28 2022-05-09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05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914B1 (ko) 2023-08-21 2023-11-21 (주)아힘사 이미지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해부학을 활용한 요가 운동 가이드 및 커리큘럼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914B1 (ko) 2023-08-21 2023-11-21 (주)아힘사 이미지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해부학을 활용한 요가 운동 가이드 및 커리큘럼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9954B2 (en) Dynamic exercise content
WO2021000708A1 (zh) 健身教学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200723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ining users to perform activities
CN115485753A (zh) 用于交互式训练和演示的反射视频显示设备及其使用方法
KR20200144991A (ko) 운동 보조 장치 및 운동 보조 방법
US20220366653A1 (en) Full Body Virtual Reality Utilizing Computer Vision From a Single Camera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2157322B1 (ko)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CN113962965B (zh) 图像质量评价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US202302490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ed exercise protocols and tracking thereof
KR20230100557A (ko)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100558A (ko)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Wei et al. Performance monitoring and evaluation in dance teaching with mobile sensing technology
JP2022080645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US20230201696A1 (en) Method of providing exercise video guide and apparatus thereof
US20220139253A1 (e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action postures
KR20230087352A (ko) 운동 상태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22080828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KR20220053021A (ko) 비디오 게임 오버레이
CN112507166A (zh) 运动教程智能调整方法及相关装置
KR102633168B1 (ko) 스윙 분석 장치 및 스윙 분석 방법
KR102574764B1 (ko) 피트니스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3449945B (zh) 运动课程评分方法与系统
KR20220048405A (ko)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
KR20230126815A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피트니스 컨텐츠 제공방법
KR20230124235A (ko) 제스처를 통한 비대면 운동 서비스 진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