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259A - 4d 모델 기반 홈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4d 모델 기반 홈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259A
KR20200076259A KR1020180165186A KR20180165186A KR20200076259A KR 20200076259 A KR20200076259 A KR 20200076259A KR 1020180165186 A KR1020180165186 A KR 1020180165186A KR 20180165186 A KR20180165186 A KR 20180165186A KR 20200076259 A KR20200076259 A KR 20200076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trainer
motion
conn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리
황영배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65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6259A/ko
Publication of KR20200076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트레이너가 운동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촬영하고, 4D 복원을 수행하여 얻은 트레이너 4D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트레이너의 영상을 보면서 원하는 각도대로 돌려볼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따라해야 하는 운동 동작의 정확한 자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홈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방법은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촬영하여 3D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구성하는 3D 영상 프레임들 간의 움직임 연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3D 영상을 보완하는 단계; 보완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촬영한 3D 영상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를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트레이너가 완전하게 3D로 복원된 모델인 4D 모델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촬영된 카메라의 시점에 상관없이 모든 신체 부분이 완전하게 복원된 트레이너의 모습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트레이너가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가려지는 부분 없이 원하는 각도로 돌려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정확한 동작을 파악하기 쉽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4D 모델 기반 홈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4D Model based Home Training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홈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이너와 사용자의 모습을 4D로 복원하여 홈 트레이닝을 위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운동은 필수 요소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현대인들의 건강 증진을 위한 피트니스 센터, 필라테스 학원, 요가원 등이 많이 생기고 있다.
그러나 바쁜 현대인들이 운동을 하기 위해 운동 시간이 정해져 있는 피트니스 센터 등을 꾸준히 가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집에서 하는 운동인 홈 트레이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YouTube의 운동 컨텐츠나 홈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홈 트레이닝을 위한 영상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운동 동작을 가르쳐주는 트레이너의 모습이나 아바타의 모습이 한 각도에서 보이는 모습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동 동작을 따라함에 있어 정확한 동작을 따라서하기 힘들 수 있고, 사용자가 동작을 따라할 때 제대로 하고 있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또한, 홈 트레이닝의 단점은 사용자 혼자 진행하는 운동이기 때문에 쉽게 흥미가 사라질 수 있고 의지가 강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오래 지속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이너가 운동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촬영하고, 4D 복원을 수행하여 얻은 트레이너 4D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트레이너의 영상을 보면서 원하는 각도대로 돌려볼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따라해야 하는 운동 동작의 정확한 자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홈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하는 모습을 촬영하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또는 업로드하여 사용자의 동작과 트레이너의 동작을 비교 분석하여 그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는 홈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여 4D 복원을 수행하고, 4D 복원된 사용자 모델을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며 사용자의 체중 감량 또는 증량의 정도에 따라 변화된 모습을 예측하여 제공하고, 사용자가 운동할 때 마다 사용자 4D 모델을 생성 및 저장하여, 현재 사용자 4D 모델과 이전에 저장된 사용자 4D 모델을 비교를 통해 신체 부위 별로 변화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을 꾸준히 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 하는 홈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방법은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촬영하여 3D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구성하는 3D 영상 프레임들 간의 움직임 연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3D 영상을 보완하는 단계; 보완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촬영한 3D 영상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를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움직임 연결정보는, 인접한 3D 영상 프레임들에서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3D 영상 보완 단계는, 움직임 연결정보를 기초로, 키 3D 영상 프레임의 가려진 부분을 이후 3D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업데이트하는 것일 수 있다.
트레이너의 3D 영상은, 사용자의 3D 영상을 보완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완된 3D 영상일 수 있다.
비교 단계는, 보완된 트레이너의 3D 영상의 움직임 연결정보로부터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파악하는 단계; 보완된 사용자의 3D 영상의 움직임 연결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파악하는 단계; 및 파악된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과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단계는, 사용자의 운동동작을 개선하기 위한 안내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방법은 트레이너의 보완된 3D 영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방법은 현재 시점의 보완된 사용자의 3D 영상과 이전 시점의 보완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비교하여, 부위 별로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변화 정보를 피드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방법은 검출된 변화 정보를 기초로, 일정 기간 이후 시점의 보완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가상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피드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영상을 3D 영상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3D 영상을 구성하는 3D 영상 프레임들 간의 움직임 연결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3D 영상을 보완하고, 보완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촬영한 3D 영상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피드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트레이닝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3D 영상을 구성하는 3D 영상 프레임들 간의 움직임 연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3D 영상을 보완하는 단계; 보완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촬영한 3D 영상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3D 영상을 구성하는 3D 영상 프레임들 간의 움직임 연결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3D 영상을 보완하며, 보완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촬영한 3D 영상과 비교하는 프로세서; 및 비교 결과에 의한 피드백을 사용자의 단말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트레이닝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트레이너가 완전하게 3D로 복원된 모델인 4D 모델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촬영된 카메라의 시점에 상관없이 모든 신체 부분이 완전하게 복원된 트레이너의 모습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트레이너가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가려지는 부분 없이 원하는 각도로 돌려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정확한 동작을 파악하기 쉽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4D 복원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조밀한 움직임 복원이 가능하므로, 트레이너가 움직이는 모습과 사용자가 움직이는 모습을 비교할 때 조밀한 움직임까지 비교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따라하는 모습을 촬영하여 트레이너와 사용자의 동작을 비교하고, 사용자가 동작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판단하고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올바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를 촬영하여 4D 복원을 수행하고, 4D 복원된 사용자 모델을 체중 감량 또는 증량에 따라 변화된 모습을 가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을 꾸준히 할 수 있도록 강한 동기부여를 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운동할 때 마다 사용자 4D 모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사용자 4D 모델과 이전의 사용자 4D 모델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을 일정기간 수행한 후에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어떻게 변하였는지 알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트레이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트레이너 4D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3은 사용자 운동 동작을 피드백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4는 현재의 사용자 4D 모델과 운동 후 변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사용자 4D 모델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홈 트레이닝 서버의 상세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트레이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트레이닝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너 단말(10), 사용자 단말(20) 및 홈 트레이닝 서버(1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
트레이너 단말(10)은 트레이너가 보유하고 있는 단말로, 트레이너의 운동 모습을 촬영하기 위한 단말이다.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단말로, 사용자의 운동 모습을 촬영하기 위한 단말이다.
홈 트레이닝 서버(100)는 트레이너의 4D 모델과 사용자의 4D 모델을 생성하고, 양자를 비교/분석하여 사용자의 운동 동작 정확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이다.
이하에서, 홈 트레이닝 서버(100)가 제공하는 기능과 서비스에 대해,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트레이너 4D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트레이너 4D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먼저, 트레이너 단말(10)이 트레이너가 여러 종류별로 운동하는 모습을 촬영한다(S210), S210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은 홈 트레이닝 서버(100)로 전송된다.
그러면, 홈 트레이닝 서버(100)는, 촬영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복원하고(S220), 3차원으로 복원된 트레이너가 운동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완된 3D 모델인 4D 모델로 복원한다(S230).
S330단계에서, 홈 트레이닝 서버(100)는, 키 프레임(기준 프레임)을 생성하고 이후의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키 프레임의 가려진 부분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완전하게 3D로 보완된 모델인 4D 모델을 생성한다.
4D 복원 모델은 이전 프레임과 이후 프레임의 움직임 연결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조밀한 움직임 정보까지 포함하고 있는 모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하고 있는 4D 복원 모델은,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움직임 연결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조밀한 움직임까지 복원이 가능하다.
이후, 홈 트레이닝 서버(100)는, 4D 복원된 데이터(트레이너 4D 모델)를 DB에 저장하고(S240),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제공한다(S25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운동 종류를 선택하여 볼 수 있으며, 본인이 원하는 각도로 가려진 부분 없이 4D 복원된 트레이너의 모습을 돌려 볼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따라 해야 하는 올바른 운동 동작의 정확한 자세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사용자 운동 동작을 피드백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20)은 4D 복원된 트레이너 모델을 재생하고(S310), 사용자 단말(20)은 트레이너를 따라하는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촬영한다(S320). S320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은 홈 트레이닝 서버(100)로 전송된다.
홈 트레이닝 서버(100)는 촬영된 영상에 담겨 있는 사용자가 운동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4D 모델로 복원한다(S330). 4D 모델 복원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다음, 홈 트레이닝 서버(100)는 트레이너 4D 모델과 사용자 4D 모델을 조밀한 움직임까지 비교하여, 사용자가 동작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동작 유사도를 판단하고(S340), 정확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S350).
S340단계에서의 피드백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쿼트 자세를 수행할 때 자세 교정을 위해 '좀 더 낮게(정확한 수치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음 ex) n센티 낮게) 앉아주세요' 등의 안내를 음성 또는 자막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홈 트레이닝 서버(100)는 복원된 사용자 4D 모델을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하여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실제 변화된 모습을 가시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홈 트레이닝 서버(100)는 사용자가 운동을 할 때 마다 사용자 4D 모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전 사용자 4D 모델과 비교를 수행하여 변화의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을 일정 기간 수행한 후에 사용자가 어느 시점을 선택하여(1주일전, 1개월전, 2개월 전 등) 해당 시점에서의 사용자 4D 모델과, 현재 생성된 사용자 4D 모델을 비교하여 변화된 부분(팔 둘레, 복부 둘레 변화량 등)에 대한 정보를 수치적으로 또는 4D 모델에 대입하여 보여줄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동기부여를 위해 사용자 모습을 4D 복원하여 사용자의 체중 감량 또는 근육 증량 등에 따른 변화된 모습을 가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홈 트레이닝 서버(100)는 4D 복원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꾸준히 운동을 수행하여 체중 감량 또는 근육 증량 등을 통해 변화된 모습을 가상으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좌측에는 현재의 사용자 4D 모델을 예시하였고, 도 4의 우측에는 운동 후 변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사용자 4D 모델을 예시하였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홈 트레이닝 서버(100)의 상세 블럭도이다. 홈 트레이닝 서버(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110)는 트레이너 단말(10) 및 사용자 단말(20)과 통신 연결하여, 영상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프로세서(120)는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트레이너 4D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홈 트레이닝 서버(100)가 수행하는 절차들을 수행하고,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운동 동작을 피드백하는 과정에서 홈 트레이닝 서버(100)가 수행하는 절차들을 수행한다.
저장부(130)는 프로세서(120)가 기능과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저장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저장부(130)에는 트레이너 4D 모델이 트레이너 별로 저장되어 있는 DB와 사용자 4D 모델이 사용자 별로 저장되어 있는 DB가 구축되어 있다.
지금까지, 4D 모델 기반 홈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트레이너가 운동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촬영하고, 4D 복원을 수행하여 얻은 트레이너 4D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트레이너의 영상을 보면서 원하는 각도대로 돌려볼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따라해야 하는 운동 동작의 정확한 자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하는 모습을 촬영하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또는 업로드하여 사용자의 동작과 트레이너의 동작을 비교 분석하여 그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4D 복원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조밀한 움직임 복원이 가능하므로, 트레이너가 움직이는 모습과 사용자가 움직이는 모습을 비교할 때 조밀한 움직임까지 비교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트레이너 단말
20 : 사용자 단말
100 : 홈 트레이닝 서버
110 : 통신부
120 : 프로세서
130 : 저장부

Claims (12)

  1.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촬영하여 3D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구성하는 3D 영상 프레임들 간의 움직임 연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3D 영상을 보완하는 단계;
    보완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촬영한 3D 영상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를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움직임 연결정보는,
    인접한 3D 영상 프레임들에서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3D 영상 보완 단계는,
    움직임 연결정보를 기초로, 키 3D 영상 프레임의 가려진 부분을 이후 3D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트레이너의 3D 영상은,
    사용자의 3D 영상을 보완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완된 3D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비교 단계는,
    보완된 트레이너의 3D 영상의 움직임 연결정보로부터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파악하는 단계;
    보완된 사용자의 3D 영상의 움직임 연결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파악하는 단계; 및
    파악된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과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피드백 단계는,
    사용자의 운동동작을 개선하기 위한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트레이너의 보완된 3D 영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현재 시점의 보완된 사용자의 3D 영상과 이전 시점의 보완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비교하여, 부위 별로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변화 정보를 피드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검출된 변화 정보를 기초로, 일정 기간 이후 시점의 보완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가상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피드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방법.
  10.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영상을 3D 영상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3D 영상을 구성하는 3D 영상 프레임들 간의 움직임 연결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3D 영상을 보완하고, 보완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촬영한 3D 영상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피드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트레이닝 서버.
  11. 사용자의 3D 영상을 구성하는 3D 영상 프레임들 간의 움직임 연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3D 영상을 보완하는 단계;
    보완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촬영한 3D 영상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방법.
  12. 사용자의 3D 영상을 구성하는 3D 영상 프레임들 간의 움직임 연결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3D 영상을 보완하며, 보완된 사용자의 3D 영상을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촬영한 3D 영상과 비교하는 프로세서; 및
    비교 결과에 의한 피드백을 사용자의 단말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트레이닝 시스템.
KR1020180165186A 2018-12-19 2018-12-19 4d 모델 기반 홈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76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186A KR20200076259A (ko) 2018-12-19 2018-12-19 4d 모델 기반 홈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186A KR20200076259A (ko) 2018-12-19 2018-12-19 4d 모델 기반 홈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259A true KR20200076259A (ko) 2020-06-29

Family

ID=7140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186A KR20200076259A (ko) 2018-12-19 2018-12-19 4d 모델 기반 홈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62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294A (ko) * 2020-11-05 2022-05-13 주식회사 내몸랩 비대면 실시간 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294A (ko) * 2020-11-05 2022-05-13 주식회사 내몸랩 비대면 실시간 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692B1 (ko) 댄스 키모션 자동생성을 이용한 댄스 트레이닝 장치 및 방법
JP7457806B2 (ja) レンズ分割の実現方法、装置および関連製品
WO2021098616A1 (zh) 运动姿态识别方法、运动姿态识别装置、终端设备及介质
WO2018214528A1 (zh) 运动效果的展示方法及装置
JP6757010B1 (ja) 動作評価装置、動作評価方法、動作評価システム
CN112434679A (zh) 康复运动的评估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CN113505662B (zh) 一种健身指导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00072931A (ko)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EP3786971A1 (en) Advancement manager in a handheld user device
KR20200076259A (ko) 4d 모델 기반 홈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CN114245210A (zh) 视频播放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JP2014164644A (ja) 信号処理装置、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359969B2 (ja) 運動支援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30100557A (ko)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100558A (ko) 운동 가이드 동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220139253A1 (e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action postures
JP6810121B2 (ja) データ補正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1051579A (ja) 映像表示方法、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70127354A (ko) 페이셜 모션 캡쳐를 이용한 얼굴 변환 화상 대화 장치 및 방법
JP663213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364818A (zh) 动作的纠正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501300B1 (ko) 동작 평가 방법
KR20210067718A (ko) 골프 스윙 동작 피드백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6208422A (ja) トレーニング実施状況判定方法、サーバ装置及びトレーニング実施状況判定システム
TWI789974B (zh) 線上直播運動姿勢指導輔助系統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