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880A -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 - Google Patents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880A
KR20200100880A KR1020190018297A KR20190018297A KR20200100880A KR 20200100880 A KR20200100880 A KR 20200100880A KR 1020190018297 A KR1020190018297 A KR 1020190018297A KR 20190018297 A KR20190018297 A KR 20190018297A KR 20200100880 A KR20200100880 A KR 20200100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ipe
combustion unit
duct
driv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2523B1 (ko
Inventor
최용식
Original Assignee
최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식 filed Critical 최용식
Priority to KR1020190018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52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2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56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solid heat storag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28D21/0005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8D21/0008Air hea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00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 G08B1/08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using electric transmission ; transformation of alarm signals to electrical signals from a different medium, e.g. transmission of an electric alarm signal upon detection of an audible alarm sig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4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mbustion apparatus, e.g. for boi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에 있어서, 더욱 상세히는 외부로 배기되는 연통의 열원을 회수하여 실내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설계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으며, 난방 기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에 관한 것으로,
난로 본체(110)와, 난로 본체(110)의 연소부(120)에서 연소되어 발생되는 열기를 출력하는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에 연결되어 연소부로부터 제공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사시키는 지그재그 형태의 방열턱트(140)와, 상기 방열덕트 주변에 설치되어 연소부에서 연소되는 열기를 임시저장하는 열 저장수단(150)과, 상기 방열덕트의 출력단에 연결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연결하여 방열덕트로 재회전시킴으로서 폐열을 회수시키는 열 회수용 배관(160)과, 상기 열 회수용 배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함과 동시에 연소부 출력배관에 고정설치되어 열 회수용 배관을 통해 제공되는 폐열을 방열덕트로 재회전시키도록 유도하는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과, 본체의 일단에 설치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위치되어 연소부 출력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과열기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열기 배출수단(180)으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heating apparatus having hypocaust heating}
본 발명은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외부로 배기되는 연통의 열원을 회수하여 실내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설계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으며, 난방 기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로는 화석연료를 태워 실내에 열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난로는 산업용뿐만 아니라 일반 주택의 가정용으로 최근 늘어나는 추세이다.
난로는 여러 종류가 있고, 그 중에서 석유를 연료로 하는 석유난로가 화력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선호의 대상이나, 기름 값의 상승에 따라 화목, 갈탄, 연탄난로들도 각광받게 되었고, 특히 난로의 에너지 효율을 올리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난로 중에 상술한 화목, 갈탄, 연탄 등의 난로는 발생되는 연기를 염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해야 한다. 따라서 난로의 상부에는 염통이 설치되어 실외까지 연장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난로는 연기 등을 배출하기 위한 염통으로 많은 열에너지가 함께 방출되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식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18005호에 난방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난방시스템은 목재, 연탄 등을 연료로 하는 난로. 난로에 의해 가열되는 수조, 수조에 연통되어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난방배관, 바이패스관, 바이패스관을 거쳐 유입되는 온수를 이용한 라디에이터, 라디에이터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를 재차 수조로 공급하는 리턴관으로 구성되어, 농가 등에서 목재, 연탄 등을 연료로 하여 저렴한 연료비로 기름난로 및 가스난로 수준의 효과적인 난방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난방시스템은 수조, 다수개의 관들을 복잡하게 구성하여 장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구입이 어렵고, 또한 설치작업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장치의 구성들은 여러 부품들을 새로 부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증가하여 현재 유행하는 오토캠핑 등과 같은 휴대, 이동성이 필요한 난로에는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찜질방, 전원카페, 펜션, 콘도, 등의 시설물에 특히 많이 보이는 장작, 숯, 석탄 등의 고체원료를 화실에서 발화시켜 실내공간의 난방을 수행하는 난방용 난로는, 설치된 공간의 온도를 높여 난방의 목적을 수행하는가하면, 최근에는 실내의 장식물의 하나로서 미관을 향상시키기 방편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난방용 난로가 설치된 건물 공간에는 바닥 혹은 측벽에 대한 별도의 난방장치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종래 실내 바닥 난방용 배관과 연통되는 난방수 저장실을 화실 주위에 일체로 구비하는 난방용 난로가 제시된바가 있으나, 이러한 실내 바닥 난방 기능을 갖는 난로의 경우에는 난로의 연소열로부터 난방을 위한 충분한 온도의 난방수를 획득하지 못하였으며, 충분한 난방수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상기 난로의 연소를 평소보다 과도하게 연소시켜야만 난방수의 충분한 온도를 구현할 수 있었다. 결국 이는 난로 화실의 과도한 연소로 인해 실내공간이 오히려 과도하게 뜨거워지게 되었으며, 게다가 이는 에너지절약 측면에도 비효율적인 모습을 보이게 되어 그 설치에 따른 실용적인 측면이 저하되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42246-0000호 (2001년07월31일)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86538-0000호 (2002년08월08일)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89885-0000호 (2005년07월06일)
(특허문헌 0004)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054700호 (2006년05월23일)
(특허문헌 0005) 대한민국등록실용 제 20-0418005호
본 발명에 의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는 난로의 연통의 출구를 난로의 몸체 내부로 순환시키되 연소실의 입력측 연통에 일정거리 이격시킨 상태로 정렬시켜 폐열을 재사용함으로서 난방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하고, 이를 이용하여 난방수를 공급함으로서 실내공간을 난방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난로 본체(110)와; 난로 본체(110)의 연소부(120)에서 연소되어 발생되는 열기를 출력하는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에 연결되어 연소부로부터 제공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사시키는 지그재그 형태의 방열턱트(140)와; 상기 방열덕트 주변에 설치되어 연소부에서 연소되는 열기를 임시저장하는 열 저장수단(150)과; 상기 방열덕트의 출력단에 연결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연결하여 방열덕트로 재회전시킴으로서 폐열을 회수시키는 열 회수용 배관(160)과; 상기 열 회수용 배관에 열기 토출용 공간부를 두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고정설치되어 열 회수용 배관을 통해 제공되는 폐열을 방열덕트로 재회전시키도록 유도하는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과; 상기 본체의 일단에 설치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위치되어 연소부 출력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과열기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열기 배출수단(180)과; 상기 방열덕트의 몸체에 감긴 형태로 설치되는 온수관(300a)과; 상기 온수관으로 부터 연장설치되어 난방패널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310)과; 상기 배관의 일단에 설치되어 온수관(300a)의 물을 펌핑하여 난방패널(300) 내부로 회전시키는 출력펌프(32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은, 열기가 재인입시에 연소부(120)로 열기의 방향이 향하지 못하도록,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경사지게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방열덕트(140)는, 난로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덕트(141)과, 상기 하부덕트에 일체로 연결하되 난로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덕트(142)와, 상기 상부덕트와 하부덕트를 연결하는 수직덕트(143)로 이루어지고, 상부덕트 또는 하부덕트에 공기 통과용 홀(190)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덕트 또는 하부덕트 표면 일단에 설치되는 공기 개폐 조절용 모터(91)와, 상기 공기 개폐 조절용 모터의 축에 연장설치되며 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움직이면서 공기 통과용 홀에 접면되어 공기 통과용 홀의 개방정도를 결정하는 공기 조절용 패널(92)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난로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아로마 향기도포장치(1100)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아로마 향기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1120)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모터(1130)와; 상기 회전모터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회전하되, 저면이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축(1131)과; 상기 회전모터의 하단에 위치되며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되는 상하구동 실린더(1140)와; 상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부에 위치하되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에 접면되면서 기계적으로 접촉되며,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과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하는 회전축(1141)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하 구동 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약물을 공급하는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와; 일측은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시켜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는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의 결합홀 및 약물 도포기의 결합홀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용 후크(1181)와; 상기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연결편(1182)과; 상기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상기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지지용 스프링(1184)과; 상기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이는 슬라이딩 유동편(1185)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푸시버튼(1186)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난로 본체의 외측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고,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먼지 측정수단(1000)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2000)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한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철망을 통과한 먼지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난로의 연통의 출구를 난로의 몸체 내부로 순환시키되 연소실의 입력측 연통에 일정거리 이격시킨 상태로 정렬시켜 폐열을 재사용함으로서 난방효율을 극대화시키고, 개인 욕조 시스템을 구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난로와 난방패널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난로와 난방패널 구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난로 및 열기 흐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 통과용 홀을 설치한 실시예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제작한 난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난로 내부 구성도.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열기 토출용 공간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공기 통과용 홀 설치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공기 통과용 홀에 개폐수단을 설치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공기 통과용 홀을 폐쇄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폐열 회수용 중계관을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액을 난로의 상부에 공급하는 개념도.
도 18은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 약액 도포장치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 약액 도포장치 단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요부 확대도.
도 23은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구성도.
도 24는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다른 각도 구성도.
도 25는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 약액 통과용 홀 구성도.
도 26은 본 발명의 먼지 경보 블럭도.
도 27은 본 발명의 수분제거 개념도.
도 28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난로와 난방패널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난로와 난방패널 구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난로 및 열기 흐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 통과용 홀을 설치한 실시예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제작한 난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난로 내부 구성도.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열기 토출용 공간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공기 통과용 홀 설치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공기 통과용 홀에 개폐수단을 설치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공기 통과용 홀을 폐쇄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폐열 회수용 중계관을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액을 난로의 상부에 공급하는 개념도.
도 18은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 약액 도포장치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 약액 도포장치 단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요부 확대도.
도 23은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구성도.
도 24는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다른 각도 구성도.
도 25는 본 발명의 아로마 향기 약액 통과용 홀 구성도.
도 26은 본 발명의 먼지 경보 블럭도.
도 27은 본 발명의 수분제거 개념도.
도 28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 개념도로서,
본 발명은 크게 난로(100)와 난방패널(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난로(100)의 내부에는 온수관(300a)이 설치되고 아울러 난로(100)와 난방패널(300) 사이는 배관(310)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관(310)의 일단에는 출력펌프(32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펌프(320)는 온수관(300a)의 물을 펌핑하여 난방패널(300) 내부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난로에서 뎁혀진 물이 난방패널로 공급되면서 난방이 원할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난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난로(100)는, 난로 본체(110)와, 난로 본체(110)의 연소부(120)에서 연소되어 발생되는 열기를 출력하는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에 연결되어 연소부로부터 제공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사시키는 지그재그 형태의 방열턱트(140)와, 상기 방열덕트 주변에 설치되어 연소부에서 연소되는 열기를 임시저장하는 열 저장수단(150)과, 상기 방열덕트의 출력단에 연결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연결하여 방열덕트로 재회전시킴으로서 폐열을 회수시키는 열 회수용 배관(160)과, 상기 열 회수용 배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함과 동시에 연소부 출력배관에 고정설치되어 열 회수용 배관을 통해 제공되는 폐열을 방열덕트로 재회전시키도록 유도하는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과, 본체의 일단에 설치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위치되어 연소부 출력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과열기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열기 배출수단(1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난로 본체는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바, 가장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난로 본체(110)는 일측에 연료부가 설치되며, 상기 연소부(120)는 연료공급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시켜 연소열을 발생시키며, 연소부(120)에서의 연소열은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방열덕트(140)를 통해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연료는 유체 연료, 고체 연료 모두 가능하며, 예를 들어 유체인 경우 등유 등의 기름이거나, 고체인 경우 펠렛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연료의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연소부(120) 내부의 구체적인 구성과, 연료공급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공지의 구조가 가능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130)은 연소부(1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연소부(120)로부터 출력되는 화염이 통과하는 구간이다. 그리고, 연소부 출력배관(130)의 상부에는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에 열 회수용 배관(160)이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열기 토출용 공간부(100a)를 유지하면서 내측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에서 열 회수용 배관(160)과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이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열기 토출용 공간부(100a)를 배치되는 이유는 열 회수용 배관(160)을 따라 열기가 회전되어 다시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으로 투입될시에 고온의 열기가 투입됨으로서 연소부로 역류하는 것을 막고 남은 열기를 난로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시기기 위함이다.
즉, 열 회수용 배관(160)과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이 완전히 맞물리면서 결합하게 되면 열 회수용 배관(160)을 통해 재순환되는 열기가 미처 방열덕트(140)로 모두 빠져 나가지 못하고 역류하여 연소부(120)로 향할 수 있기 때문이며, 만약에 연소부(120)로 향하게 되면 연소부(120)의 점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방열덕트(140)는 난로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덕트(141)과, 상기 하부덕트에 일체로 연결하되 난로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덕트(142)와, 상기 상부덕트와 하부덕트를 연결하는 수직덕트(14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열회수용 배관(160)은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부덕트(141)와 상부덕트(142)는 지그재그 형식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열기가 지나가면서 방열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저장수단(150)은 난로 본체(110)의 내부에 다수개 삽입하여 방열덕트(140)를 통해 발생된 열을 임시 저장후 난로 본체(11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하는바, 바람직하게는 질석 또는 자갈을 이용하며, 통상 질석이나 자갈에 열을 공급하게 되면 9시간 내지 12시간 정도 계속적으로 열기를 출력하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결합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난로는 난로 본체(110)와, 연소부(120)와,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방열덕트(140)와, 열 저장수단(150)과, 열 회수용 배관(160)과,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과, 열기 배출수단(180)으로 이루어지는바, 난로 본체(110)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중공형태의 직육면체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난로 본체(110)의 일측에는 연소부(120)를 설치하고, 상기 연소부(120)를 통해 연료가 점화되고, 점화된 열원은 연소부 출력배관(180)을 통해 난로(100)로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130)은 방열덕트(140)로 연결되면서 연소부(120)를 통해 발생된 열기가 연소부 출력배관(130) 및 방열덕트(140)를 통해 공급되고, 방열덕트(140)의 외관을 통해 난로 본체 내부의 열 저장수단(150)으로 잠열을 제공하여 열기를 저장함과 동시에 저장된 열기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방열덕트(140)는 하부덕트(141)와, 수직덕트(142)와, 상부덕트(143)로 이루어지며, 마지막으로 연소부 출력배관(130) 방향으로 상기 상부덕트(143)로부터 열 회수용 배관(160)이 연결되고, 열 회수용 배관(160)을 통해 최종 출력되고, 최종 출려된 열기는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을 통해 방열덕트(140)로 다시 인입되어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은 연소부 출력배관(130) 기준으로 출력방향으로 둔각으로 결합하되 약 135도로 결합하여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을 통해 열기가 재인입시에 연소부 출력배관(130)이 출력방향으로만 제공되도록하여 연소부(120)로 열기의 방향이 향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열 회수용 배관(160)과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 사이에서 넘쳐나는 열기는 열기 배출수단(180)을 통해 곧바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기 배출수단(180)은 난로 본체의 홀로 구성하며, 상기 홀을 통해 열기가 직접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턱트(140)의 하부덕트 또는 상부덕트에 공기통과용 홀(190)을 더 설치하여 방열덕트의 내부압력이 기준이상이면 상기 공기통과용 홀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도록하여 방열덕트의 내부압력이 적절히 조절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공기 통과용 홀에는 개폐 조절수단을 더 부가할 수 있는바, 방열덕트의 표면 일단에 설치되는 공기 개폐 조절용 모터(91)와, 상기 공기 개폐 조절용 모터의 축에 연장설치되며 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움직이면서 공기 통과용 홀에 접면되어 공기 통과용 홀의 개방정도를 결정하는 공기 조절용 패널(92)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 개폐 조절용 모터의 동작에 의해서 공기 조절용 패널을 움직여서 공기 통과용 홀의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서 방열덕트 내부에 생성되는 공기압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난로(100)는 난로 본체(110)를 구비하되, 내부에 공간부를 갖으며, 상기 공간부에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방열덕트(140)와, 열 저장수단(150)와, 열 회수용 배관(160)과,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이 탑재되고, 연소부 출력배관(130)에는 연소부(120)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난로 본체(110)에는 열기 배출수단(180)이 측면에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소부(120)를 점화시키게 되면, 상기 연소부(120)로부터 발생한 열기는 난로 본체(110) 내부로 입력되는바, 연소부 출력배관(130)을 따라 난로 본체(110)의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160)을 통과한 열기는 방열덕트(140)를 통해 이동하여 방열덕트(140)를 구성하는 하부 덕트(141)와 상부 덕트(142)를 통해 이동하며, 이때 상기 하부 덕트(141)와 상부 덕트(142) 주변에 존재하는 열저장수단(150)인 자갈이나 질석을 통해 열기가 흡수되고 자갈이나 질석은 흡수한 열기를 서서히 외부로 배출하여 난로 본체의 외부가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덕트(142)를 통과한 열기는 열 회수용 배관(160)에 이르게 된다.
상기 열 회수용 배관(160)은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으로 열기를 전달하게 되며,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을 통해 전달된 열기는 방열덕트(140)로 재순환하면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으로 미쳐 흡수되지 못하는 열기는 열기 배출수단(180)을 통해 난로의 외부로 곧바로 출력되어 난방의 효과를 더욱더 극대화시키도록 한다.
한편, 종래의 난로는 모두 상부 방향으로 열기를 출력하고, 그대로 천정부로 향하기 때문에 바닥면의 차가운 공기는 차가운 상태가 지속될 수 밖에 없으나, 본 발명은 난로에서 생성된 열기를 하부로 위치시켜 연소부 출력배관에서 재순환시키기 때문에 연소부 출력배관에서 다량의 열기가 외부로 발산되어 바닥면에 강하게 열기가 출력될 뿐만 아니라 열기를 계속적으로 재순환시키기 때문에 최소한의 열기를 이용하여 난방하는 것이 가능한 잇점을 제공하게 된다.
즉, 종래의 난로는 열기가 모두 상부 방향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열기를 품은 가벼운 공기가 빠른 속도로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열기를 공간 전체로 제공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나, 본 발명은 상부면 보다는 연소부가 존재하는 영역에 강력하게 열기를 제공하기 때문에 바닥면에서 뜨거운 공기가 형성되어 난방효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아울러, 자갈이나 질석을 이용하여 열을 저장후 서서히 외부로 출력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연료가 낭비되지 않으며, 또한, 열기를 연속적으로 재순환시키기 때문에 불완전 연소됨이 없이 강력한 열효율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아로마 향기 도포수단을 더 부가하는바, 난로의 상부에 아로마향기 도포수단을 부가 설치하여 자갈이나 질석으로부터 은은한 아로마향이 외부로 분출되도록 한다. 즉, 난로를 사용하면 난로 주변에 아로마 향기가 발산되어 은은한 향이 지속되도록하여 개인 욕조를 사용시에 아로마향을 맡으면서 목욕이 가능토록 한다.
아로마 향기 약액 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배터리(1120)와, 회전모터(1130)와, 상하 구동 실린더(1140)와,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와, 약액 저장수단(1170)과, 도포기 임시고정수단(11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10)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으며, 각종 장치를 내장하여 이루어진다. 즉, 하우징은 일측이 오픈된 두개의 케이스를 각각 상호 접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가 접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간부에 각종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수단들과 비슷한 구조이다.
상기 배터리(1120)는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배터리는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력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을 임시저장하여 전력이 필요로하는 각종 장치에 전기를 공급한다.
상기 회전모터(1130)는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모터축을 자유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축(1131)은 저면이 수직방향으로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형태이다. 즉, 상기 회전모터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며, 모터축의 저면이 굴곡진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하는 형태이다.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는 상기 회전모터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되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된다. 이때,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회전축(1141)은 상부면이 수직방향으로 파형형태로 이루어져 회전모터의 모터축의 파형과 상호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한다. 즉, 상하 구동 실린더는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회전모터의 모터축과 동일하게 회전축이 굴곡진 파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회전모터가 회전하면 상하 구동 실린더는 승하강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은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1110)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1140)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은 상하 구동 실린더(1140)를 상부방향으로 계속 밀어올리는 탄발작용을 하기 때문에 회전모터(130)가 회전시에 회전모터의 모터축(1131)의 파형과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회전축(1141)의 파형이 엇걸리면서 상하 구동 실린더가 하강하고, 엇걸림이 끝난후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에 의해서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상승하면서 회전축(1141)의 파형과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의 파형이 밀착된다. 따라서, 상하 구동 실린더(1140)는 회전모터(1130)에 근접하고 이격되는 것이 반복되어 회전모터(1130)를 중심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연속적으로 상하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는 몸체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아로마 향기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아로마 향기 약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는 내부에 저장되는 아로마 향기 약물을 아로마 향기 약물 통과용 홀(116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하며, 이때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는 상하 구동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작동시에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타격되어 관성의 법칙에 따라 외부로 약물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아로마 향기 약액 저장수단(1170)은 내부에 아로마 향기 약물을 수납한 상태이며,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에 삽입설치되어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의 아로마 향기 약물 통과용 홀(1161)을 통해 출력된다. 즉, 상기 아로마 향기 약액 저장수단(1170)은 약물을 저정한 상태이며, 하부가 오픈된 형태로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며,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구동시에 아로마 향기 약액 저장수단의 아로마 향기 약물이 외부로 출력되게 된다. 실제로 아로마 향기 약물 통과용 홀(1161)은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쉽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일측은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1110)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1140) 및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1140) 및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승하강으로 유동하면서도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으며,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할 경우 버튼을 눌러서 하우징을 기준으로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의 고정을 해제시켜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로부터 이탈되어 하부로 탈거되도록 한다. 즉,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은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를 임시로 고정하여 동작시에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 내부에 존재하는 약물을 모두 사용한 다음에는 버튼을 눌러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를 해제후 아로마 향기 약액 저장수단을 재수납시키도록 유도한다.
상기 임시고정수단(1180)은 걸림용 후크(1181)와, 연결편(1182)과,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지지용 스프링(1184)과,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푸시버튼(118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용 후크(1181)는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결합홀(1140a) 및 약물 도포기(1160)의 결합홀(1160a)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연결편(1182)은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한다.
상기 회전 지지용 힌지(1183)는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중심축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용 스프링(1184)은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은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인다.
상기 푸시버튼(1186)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난로 본체의 외부 일단에 먼지 측정수단(1000)을 더 부가하여 설치하며, 상기 먼지 측정수단(1000)의 측정 결과 기준이상의 먼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 출력부(20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야외활동을 중단토록 유도한다. 즉, 난로 주변의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난로 주변에 미세먼지가 기준이상이면 마스크의 착용을 유도하기 위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1000)은 입력되는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한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철망을 통과한 먼지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먼지 측정 제어부에서 적외선 수신수단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100: 난로
110: 난로 본체
120: 연소부
130: 연소부 출력배관
140: 방열턱트
150: 열 저장수단
160: 열 회수용 배관
170: 폐열 회수용 중계관
180: 열기 배출수단

Claims (5)

  1. 난로 본체(110)와;
    난로 본체(110)의 연소부(120)에서 연소되어 발생되는 열기를 출력하는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에 연결되어 연소부로부터 제공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사시키는 지그재그 형태의 방열턱트(140)와;
    상기 방열덕트 주변에 설치되어 연소부에서 연소되는 열기를 임시저장하는 열 저장수단(150)과;
    상기 방열덕트의 출력단에 연결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연결하여 방열덕트로 재회전시킴으로서 폐열을 회수시키는 열 회수용 배관(160)과;
    상기 열 회수용 배관에 열기 토출용 공간부를 두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고정설치되어 열 회수용 배관을 통해 제공되는 폐열을 방열덕트로 재회전시키도록 유도하는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과;
    상기 본체의 일단에 설치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위치되어 연소부 출력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과열기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열기 배출수단(180)과;
    상기 방열덕트의 몸체에 감긴 형태로 설치되는 온수관(300a)과;
    상기 온수관으로 부터 연장설치되어 난방패널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310)과;
    상기 배관의 일단에 설치되어 온수관(300a)의 물을 펌핑하여 난방패널(300) 내부로 회전시키는 출력펌프(32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은,
    열기가 재인입시에 연소부(120)로 열기의 방향이 향하지 못하도록,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경사지게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덕트(140)는,
    난로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덕트(141)과, 상기 하부덕트에 일체로 연결하되 난로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덕트(142)와, 상기 상부덕트와 하부덕트를 연결하는 수직덕트(143)로 이루어지고, 상부덕트 또는 하부덕트에 공기 통과용 홀(190)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덕트 또는 하부덕트 표면 일단에 설치되는 공기 개폐 조절용 모터(91)와, 상기 공기 개폐 조절용 모터의 축에 연장설치되며 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움직이면서 공기 통과용 홀에 접면되어 공기 통과용 홀의 개방정도를 결정하는 공기 조절용 패널(92)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난로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아로마 향기도포장치(1100)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아로마 향기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1120)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모터(1130)와;
    상기 회전모터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회전하되, 저면이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축(1131)과;
    상기 회전모터의 하단에 위치되며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되는 상하구동 실린더(1140)와;
    상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부에 위치하되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에 접면되면서 기계적으로 접촉되며,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과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하는 회전축(1141)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하 구동 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약물을 공급하는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와;
    일측은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시켜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는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의 결합홀 및 약물 도포기의 결합홀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용 후크(1181)와;
    상기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연결편(1182)과;
    상기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상기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지지용 스프링(1184)과;
    상기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이는 슬라이딩 유동편(1185)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아로마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푸시버튼(1186)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로 본체의 외측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고,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먼지 측정수단(1000)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2000)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한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철망을 통과한 먼지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
KR1020190018297A 2019-02-16 2019-02-16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 KR102152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297A KR102152523B1 (ko) 2019-02-16 2019-02-16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297A KR102152523B1 (ko) 2019-02-16 2019-02-16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880A true KR20200100880A (ko) 2020-08-27
KR102152523B1 KR102152523B1 (ko) 2020-09-07

Family

ID=7223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297A KR102152523B1 (ko) 2019-02-16 2019-02-16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5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381U (ja) * 1992-03-31 1993-10-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香り放出器
JPH07333122A (ja) * 1994-06-11 1995-12-22 Toyo Roshi Kaisha Ltd ダスト濃度測定用簡易乾燥装置
KR20060025600A (ko) * 2006-03-01 2006-03-21 손을택 배기가스 순환 연소 방식 온수보일러장치 및 방법
KR101652578B1 (ko) * 2014-04-22 2016-08-31 황익현 흡입 배출 순환식 다목적 가습형 온풍장치
KR101882274B1 (ko) * 2018-03-13 2018-07-27 주식회사 진성엘엔엘 조명방향 조절이 용이한 가로등용 엘이디 조명등 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381U (ja) * 1992-03-31 1993-10-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香り放出器
JPH07333122A (ja) * 1994-06-11 1995-12-22 Toyo Roshi Kaisha Ltd ダスト濃度測定用簡易乾燥装置
KR20060025600A (ko) * 2006-03-01 2006-03-21 손을택 배기가스 순환 연소 방식 온수보일러장치 및 방법
KR101652578B1 (ko) * 2014-04-22 2016-08-31 황익현 흡입 배출 순환식 다목적 가습형 온풍장치
KR101882274B1 (ko) * 2018-03-13 2018-07-27 주식회사 진성엘엔엘 조명방향 조절이 용이한 가로등용 엘이디 조명등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523B1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397B1 (ko) 화목보일러
CA1115157A (en) Method of burning solid fuel in a closed firebox and a stov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2152523B1 (ko)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
CN113203104B (zh) 一种霄燃料家用取暖烹饪联用炉及其使用方法
KR101295328B1 (ko) 회전가능한 화격자 구조를 가지는 펠릿 보일러
KR20130104395A (ko) 사이클론 집진식 열교환기 구조의 고체연소 보일러
KR101017898B1 (ko) 전자동 석탄보일러
KR101542350B1 (ko) 축열식 화목 난방장치
KR20110080431A (ko) 펠렛 보일러
CN100396997C (zh) 热风供暖与供水双用节煤锅炉
KR20030076953A (ko) 가정용 난방 보일러
RU2443759C1 (ru) Газогенератор "рабика"
KR102112442B1 (ko) 연통의 폐열을 회수하는 배기열 회수기능을 갖는 난로장치
KR101483879B1 (ko) 무연통식 열풍난로
CN212362100U (zh) 一种凸轮式自动排渣回风炉
CN218495023U (zh) 生物质燃烧炉具
KR102592212B1 (ko) 숯을 원료로 하는 난로 구조물
CN212362101U (zh) 一种电磁式自动排渣回风炉
CN217715869U (zh) 旋转燃烧炉
KR101216129B1 (ko) 화목보일러
CN212362097U (zh) 一种搅棍式自动排渣回风炉
JP3119032U (ja) ペレットストーブ
RU164695U1 (ru) Пеллетный термоблок
KR20130019610A (ko) 하향 연소방식의 보일러
KR20050051598A (ko) 라지 에타를 겸한 보일러연통의 제조형성 및 그설치시공방법 (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