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442B1 - 연통의 폐열을 회수하는 배기열 회수기능을 갖는 난로장치 - Google Patents

연통의 폐열을 회수하는 배기열 회수기능을 갖는 난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442B1
KR102112442B1 KR1020190018295A KR20190018295A KR102112442B1 KR 102112442 B1 KR102112442 B1 KR 102112442B1 KR 1020190018295 A KR1020190018295 A KR 1020190018295A KR 20190018295 A KR20190018295 A KR 20190018295A KR 102112442 B1 KR102112442 B1 KR 102112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ipe
duct
combustion unit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식
Original Assignee
최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식 filed Critical 최용식
Priority to KR1020190018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28D21/0005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56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solid heat storage materi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Abstract

본 발명은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에 있어서, 더욱 상세히는 외부로 배기되는 연통의 열원을 회수하여 실내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설계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에 관한 것으로,
난로 본체(110)와, 난로 본체(110)의 연소부(120)에서 연소되어 발생되는 열기를 출력하는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에 연결되어 연소부로부터 제공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사시키는 지그재그 형태의 방열턱트(140)와, 상기 방열덕트 주변에 설치되어 연소부에서 연소되는 열기를 임시저장하는 열 저장수단(150)과, 상기 방열덕트의 출력단에 연결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연결하여 방열덕트로 재회전시킴으로서 폐열을 회수시키는 열 회수용 배관(160)과, 상기 열 회수용 배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함과 동시에 연소부 출력배관에 고정설치되어 열 회수용 배관을 통해 제공되는 폐열을 방열덕트로 재회전시키도록 유도하는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과, 본체의 일단에 설치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위치되어 연소부 출력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과열기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열기 배출수단(180)으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연통의 폐열을 회수하는 배기열 회수기능을 갖는 난로장치{heating apparatus having hypocaust heating}
본 발명은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외부로 배기되는 연통의 열원을 회수하여 실내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설계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로는 화석연료를 태워 실내에 열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난로는 산업용뿐만 아니라 일반 주택의 가정용으로 최근 늘어나는 추세이다.
난로는 여러 종류가 있고, 그 중에서 석유를 연료로 하는 석유난로가 화력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선호의 대상이나, 기름 값의 상승에 따라 화목, 갈탄, 연탄난로들도 각광받게 되었고, 특히 난로의 에너지 효율을 올리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난로 중에 상술한 화목, 갈탄, 연탄 등의 난로는 발생되는 연기를 염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해야 한다. 따라서 난로의 상부에는 염통이 설치되어 실외까지 연장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난로는 연기 등을 배출하기 위한 염통으로 많은 열에너지가 함께 방출되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식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18005호에 난방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난방시스템은 목재, 연탄 등을 연료로 하는 난로. 난로에 의해 가열되는 수조, 수조에 연통되어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난방배관, 바이패스관, 바이패스관을 거쳐 유입되는 온수를 이용한 라디에이터, 라디에이터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를 재차 수조로 공급하는 리턴관으로 구성되어, 농가 등에서 목재, 연탄 등을 연료로 하여 저렴한 연료비로 기름난로 및 가스난로 수준의 효과적인 난방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난방시스템은 수조, 다수개의 관들을 복잡하게 구성하여 장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구입이 어렵고, 또한 설치작업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장치의 구성들은 여러 부품들을 새로 부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증가하여 현재 유행하는 오토캠핑 등과 같은 휴대, 이동성이 필요한 난로에는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42246-0000호 (2001년07월31일)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86538-0000호 (2002년08월08일)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89885-0000호 (2005년07월06일)
(특허문헌 0004)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054700호 (2006년05월23일)
(특허문헌 0005) 대한민국등록실용 제 20-0418005호
본 발명에 의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는 난로의 연통의 출구를 난로의 몸체 내부로 순환시키되 연소실의 입력측 연통에 일정거리 이격시킨 상태로 정렬시켜 폐열을 재사용함으로서 난방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난로 본체(110)와, 난로 본체(110)의 연소부(120)에서 연소되어 발생되는 열기를 출력하는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에 연결되어 연소부로부터 제공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사시키는 지그재그 형태의 방열턱트(140)와, 상기 방열덕트 주변에 설치되어 연소부에서 연소되는 열기를 임시저장하는 열 저장수단(150)과, 상기 방열덕트의 출력단에 연결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연결하여 방열덕트로 재회전시킴으로서 폐열을 회수시키는 열 회수용 배관(160)과, 상기 열 회수용 배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함과 동시에 연소부 출력배관에 고정설치되어 열 회수용 배관을 통해 제공되는 폐열을 방열덕트로 재회전시키도록 유도하는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과, 본체의 일단에 설치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위치되어 연소부 출력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과열기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열기 배출수단(180)으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은, 열기가 재인입시에 연소부(120)로 열기의 방향이 향하지 못하도록,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경사지게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방열덕트(140)는, 난로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덕트(141)과, 상기 하부덕트에 일체로 연결하되 난로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덕트(142)와, 상기 상부덕트와 하부덕트를 연결하는 수직덕트(143)로 이루어지고, 상부덕트 또는 하부덕트에 공기 통과용 홀(190)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방열덕트(140)는, 상기 상부덕트 또는 하부덕트 표면 일단에 설치되는 공기 개폐 조절용 모터(91)와, 상기 공기 개폐 조절용 모터의 축에 연장설치되며 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움직이면서 공기 통과용 홀에 접면되어 공기 통과용 홀의 개방정도를 결정하는 공기 조절용 패널(92)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난로 본체의 외측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고,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먼지 측정수단(1000)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2000)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한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철망을 통과한 먼지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난로의 연통의 출구를 난로의 몸체 내부로 순환시키되 연소실의 입력측 연통에 일정거리 이격시킨 상태로 정렬시켜 폐열을 재사용함으로서 난방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난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열기 흐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 통과용 홀을 설치한 실시예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제작한 난로 구성도.
도 7는 본 발명의 난로 내부 구성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열기 토출용 공간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공기 통과용 홀 설치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공기 통과용 홀에 개폐수단을 설치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공기 통과용 홀을 폐쇄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폐열 회수용 중계관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먼지 경보 블럭도.
도 17은 본 발명의 수분제거 개념도.
도 18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난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열기 흐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 통과용 홀을 설치한 실시예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제작한 난로 구성도.
도 7는 본 발명의 난로 내부 구성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열기 토출용 공간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공기 통과용 홀 설치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공기 통과용 홀에 개폐수단을 설치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공기 통과용 홀을 폐쇄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폐열 회수용 중계관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먼지 경보 블럭도.
도 17은 본 발명의 수분제거 개념도.
도 18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 개념도로서,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난로(100)는, 난로 본체(110)와, 난로 본체(110)의 연소부(120)에서 연소되어 발생되는 열기를 출력하는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에 연결되어 연소부로부터 제공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사시키는 지그재그 형태의 방열턱트(140)와, 상기 방열덕트 주변에 설치되어 연소부에서 연소되는 열기를 임시저장하는 열 저장수단(150)과, 상기 방열덕트의 출력단에 연결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연결하여 방열덕트로 재회전시킴으로서 폐열을 회수시키는 열 회수용 배관(160)과, 상기 열 회수용 배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함과 동시에 연소부 출력배관에 고정설치되어 열 회수용 배관을 통해 제공되는 폐열을 방열덕트로 재회전시키도록 유도하는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과, 본체의 일단에 설치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위치되어 연소부 출력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과열기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열기 배출수단(1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난로 본체는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바, 가장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난로 본체(110)는 일측에 연료부가 설치되며, 상기 연소부(120)는 연료공급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시켜 연소열을 발생시키며, 연소부(120)에서의 연소열은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방열덕트(140)를 통해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연료는 유체 연료, 고체 연료 모두 가능하며, 예를 들어 유체인 경우 등유 등의 기름이거나, 고체인 경우 펠렛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연료의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연소부(120) 내부의 구체적인 구성과, 연료공급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공지의 구조가 가능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130)은 연소부(1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연소부(120)로부터 출력되는 화염이 통과하는 구간이다. 그리고, 연소부 출력배관(130)의 상부에는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에 열 회수용 배관(160)이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열기 토출용 공간부(100a)를 유지하면서 내측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에서 열 회수용 배관(160)과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이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열기 토출용 공간부(100a)를 배치되는 이유는 열 회수용 배관(160)을 따라 열기가 회전되어 다시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으로 투입될시에 고온의 열기가 투입됨으로서 연소부로 역류하는 것을 막고 남은 열기를 난로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시기기 위함이다.
즉, 열 회수용 배관(160)과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이 완전히 맞물리면서 결합하게 되면 열 회수용 배관(160)을 통해 재순환되는 열기가 미처 방열덕트(140)로 모두 빠져 나가지 못하고 역류하여 연소부(120)로 향할 수 있기 때문이며, 만약에 연소부(120)로 향하게 되면 연소부(120)의 점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방열덕트(140)는 난로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덕트(141)과, 상기 하부덕트에 일체로 연결하되 난로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덕트(142)와, 상기 상부덕트와 하부덕트를 연결하는 수직덕트(14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열회수용 배관(160)은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부덕트(141)와 상부덕트(142)는 지그재그 형식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열기가 지나가면서 방열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저장수단(150)은 난로 본체(110)의 내부에 다수개 삽입하여 방열덕트(140)를 통해 발생된 열을 임시 저장후 난로 본체(11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하는바, 바람직하게는 질석 또는 자갈을 이용하며, 통상 질석이나 자갈에 열을 공급하게 되면 9시간 내지 12시간 정도 계속적으로 열기를 출력하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결합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난로는 난로 본체(110)와, 연소부(120)와,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방열덕트(140)와, 열 저장수단(150)과, 열 회수용 배관(160)과,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과, 열기 배출수단(180)으로 이루어지는바, 난로 본체(110)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중공형태의 직육면체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난로 본체(110)의 일측에는 연소부(120)를 설치하고, 상기 연소부(120)를 통해 연료가 점화되고, 점화된 열원은 연소부 출력배관(180)을 통해 난로(100)로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130)은 방열덕트(140)로 연결되면서 연소부(120)를 통해 발생된 열기가 연소부 출력배관(130) 및 방열덕트(140)를 통해 공급되고, 방열덕트(140)의 외관을 통해 난로 본체 내부의 열 저장수단(150)으로 잠열을 제공하여 열기를 저장함과 동시에 저장된 열기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방열덕트(140)는 하부덕트(141)와, 수직덕트(142)와, 상부덕트(143)로 이루어지며, 마지막으로 연소부 출력배관(130) 방향으로 상기 상부덕트(143)로부터 열 회수용 배관(160)이 연결되고, 열 회수용 배관(160)을 통해 최종 출력되고, 최종 출려된 열기는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을 통해 방열덕트(140)로 다시 인입되어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은 연소부 출력배관(130) 기준으로 출력방향으로 둔각으로 결합하되 약 135도로 결합하여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을 통해 열기가 재인입시에 연소부 출력배관(130)이 출력방향으로만 제공되도록하여 연소부(120)로 열기의 방향이 향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열 회수용 배관(160)과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 사이에서 넘쳐나는 열기는 열기 배출수단(180)을 통해 곧바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기 배출수단(180)은 난로 본체의 홀로 구성하며, 상기 홀을 통해 열기가 직접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턱트(140)의 하부덕트 또는 상부덕트에 공기통과용 홀(190)을 더 설치하여 방열덕트의 내부압력이 기준이상이면 상기 공기통과용 홀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도록하여 방열덕트의 내부압력이 적절히 조절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공기 통과용 홀에는 개폐 조절수단을 더 부가할 수 있는바, 방열덕트의 표면 일단에 설치되는 공기 개폐 조절용 모터(91)와, 상기 공기 개폐 조절용 모터의 축에 연장설치되며 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움직이면서 공기 통과용 홀에 접면되어 공기 통과용 홀의 개방정도를 결정하는 공기 조절용 패널(92)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 개폐 조절용 모터의 동작에 의해서 공기 조절용 패널을 움직여서 공기 통과용 홀의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서 방열덕트 내부에 생성되는 공기압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난로(100)는 난로 본체(110)를 구비하되, 내부에 공간부를 갖으며, 상기 공간부에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방열덕트(140)와, 열 저장수단(150)와, 열 회수용 배관(160)과,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이 탑재되고, 연소부 출력배관(130)에는 연소부(120)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난로 본체(110)에는 열기 배출수단(180)이 측면에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소부(120)를 점화시키게 되면, 상기 연소부(120)로부터 발생한 열기는 난로 본체(110) 내부로 입력되는바, 연소부 출력배관(130)을 따라 난로 본체(110)의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160)을 통과한 열기는 방열덕트(140)를 통해 이동하여 방열덕트(140)를 구성하는 하부 덕트(141)와 상부 덕트(142)를 통해 이동하며, 이때 상기 하부 덕트(141)와 상부 덕트(142) 주변에 존재하는 열저장수단(150)인 자갈이나 질석을 통해 열기가 흡수되고 자갈이나 질석은 흡수한 열기를 서서히 외부로 배출하여 난로 본체의 외부가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덕트(142)를 통과한 열기는 열 회수용 배관(160)에 이르게 된다.
상기 열 회수용 배관(160)은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으로 열기를 전달하게 되며,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을 통해 전달된 열기는 방열덕트(140)로 재순환하면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으로 미쳐 흡수되지 못하는 열기는 열기 배출수단(180)을 통해 난로의 외부로 곧바로 출력되어 난방의 효과를 더욱더 극대화시키도록 한다.
한편, 종래의 난로는 모두 상부 방향으로 열기를 출력하고, 그대로 천정부로 향하기 때문에 바닥면의 차가운 공기는 차가운 상태가 지속될 수 밖에 없으나, 본 발명은 난로에서 생성된 열기를 하부로 위치시켜 연소부 출력배관에서 재순환시키기 때문에 연소부 출력배관에서 다량의 열기가 외부로 발산되어 바닥면에 강하게 열기가 출력될 뿐만 아니라 열기를 계속적으로 재순환시키기 때문에 최소한의 열기를 이용하여 난방하는 것이 가능한 잇점을 제공하게 된다.
즉, 종래의 난로는 열기가 모두 상부 방향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열기를 품은 가벼운 공기가 빠른 속도로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열기를 공간 전체로 제공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나, 본 발명은 상부면 보다는 연소부가 존재하는 영역에 강력하게 열기를 제공하기 때문에 바닥면에서 뜨거운 공기가 형성되어 난방효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아울러, 자갈이나 질석을 이용하여 열을 저장후 서서히 외부로 출력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연료가 낭비되지 않으며, 또한, 열기를 연속적으로 재순환시키기 때문에 불완전 연소됨이 없이 강력한 열효율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난로 본체의 외부 일단에 먼지 측정수단(1000)을 더 부가하여 설치하며, 상기 먼지 측정수단(1000)의 측정 결과 기준이상의 먼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 출력부(20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야외활동을 중단토록 유도한다. 즉, 난로 주변의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난로 주변에 미세먼지가 기준이상이면 마스크의 착용을 유도하기 위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1000)은 입력되는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한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철망을 통과한 먼지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먼지 측정 제어부에서 적외선 수신수단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100: 난로
110: 난로 본체
120: 연소부
130: 연소부 출력배관
140: 방열턱트
150: 열 저장수단
160: 열 회수용 배관
170: 폐열 회수용 중계관
180: 열기 배출수단

Claims (5)

  1. 난로 본체(110)와;
    난로 본체(110)의 연소부(120)에서 연소되어 발생되는 열기를 출력하는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에 연결되어 연소부로부터 제공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사시키는 지그재그 형태의 방열턱트(140)와;
    상기 방열덕트 주변에 설치되어 연소부에서 연소되는 열기를 임시저장하는 열 저장수단(150)과;
    상기 방열덕트의 출력단에 연결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연결하여 방열덕트로 재회전시킴으로서 폐열을 회수시키는 열 회수용 배관(160)과;
    상기 열 회수용 배관에 열기 토출용 공간부를 두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고정설치되어 열 회수용 배관을 통해 제공되는 폐열을 방열덕트로 재회전시키도록 유도하는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과;
    본체의 일단에 설치하되 연소부 출력배관에 위치되어 연소부 출력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과열기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열기 배출수단(18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열 회수용 중계관(170)은,
    열기가 재인입시에 연소부(120)로 열기의 방향이 향하지 못하도록, 상기 연소부 출력배관(130)과 경사지게 결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방열덕트(140)는,
    난로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덕트(141)과, 상기 하부덕트에 일체로 연결하되 난로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덕트(142)와, 상기 상부덕트와 하부덕트를 연결하는 수직덕트(143)로 이루어지고, 상부덕트 또는 하부덕트에 공기 통과용 홀(190)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덕트(140)는,
    상기 상부덕트 또는 하부덕트 표면 일단에 설치되는 공기 개폐 조절용 모터(191)와, 상기 공기 개폐 조절용 모터의 축에 연장설치되며 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움직이면서 공기 통과용 홀에 접면되어 공기 통과용 홀의 개방정도를 결정하는 공기 조절용 패널(192)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의 폐열을 회수하는 배기열 회수기능을 갖는 난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로 본체의 외측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고,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먼지 측정수단(1000)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2000)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한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철망을 통과한 먼지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의 폐열을 회수하는 배기열 회수기능을 갖는 난로장치.
KR1020190018295A 2019-02-16 2019-02-16 연통의 폐열을 회수하는 배기열 회수기능을 갖는 난로장치 KR102112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295A KR102112442B1 (ko) 2019-02-16 2019-02-16 연통의 폐열을 회수하는 배기열 회수기능을 갖는 난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295A KR102112442B1 (ko) 2019-02-16 2019-02-16 연통의 폐열을 회수하는 배기열 회수기능을 갖는 난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442B1 true KR102112442B1 (ko) 2020-05-18

Family

ID=7091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295A KR102112442B1 (ko) 2019-02-16 2019-02-16 연통의 폐열을 회수하는 배기열 회수기능을 갖는 난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4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780U (ko) * 2012-01-31 2013-08-08 김룡 고효율 균일 난방 히터
KR20150121839A (ko) * 2014-04-22 2015-10-30 황익현 흡입 배출 순환식 다목적 가습형 온풍장치
KR20160130035A (ko) * 2015-04-30 2016-11-10 김용수 보일러 열교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780U (ko) * 2012-01-31 2013-08-08 김룡 고효율 균일 난방 히터
KR20150121839A (ko) * 2014-04-22 2015-10-30 황익현 흡입 배출 순환식 다목적 가습형 온풍장치
KR20160130035A (ko) * 2015-04-30 2016-11-10 김용수 보일러 열교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9145094A (ru) Газовая плита
IT201800001712A1 (it) Sistema per l’ottimizzazione del processo di combustione di una stufa/caldaia, in particolare a pellet
CA1115157A (en) Method of burning solid fuel in a closed firebox and a stov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2112442B1 (ko) 연통의 폐열을 회수하는 배기열 회수기능을 갖는 난로장치
KR101393380B1 (ko)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한 난방용 온풍기
CN101346579B (zh) 照明装置
RU2035667C1 (ru) Теплоэлектрогенератор
US4277021A (en) Closed circuit heating system
CN101196305A (zh) 太阳能与生物质锅炉结合取暖装置
KR101947115B1 (ko) 가스 재순환을 이용한 펠릿 난로
KR102152523B1 (ko) 난방 기능을 갖는 보일러 겸용 난로장치
US20070062935A1 (en) A microwave heating system for conditioning air in a space by heating the air to change its temperature
KR101664792B1 (ko) 태양열 에너지와 연소장치를 연계한 온수공급장치
KR101616782B1 (ko) 실내난방시스템 및 천막난방시스템
JP2013221728A (ja) 補助暖房装置
TWI720298B (zh) 生質熱電供給系統
KR20180002638U (ko) 다기능 난로
CN218495023U (zh) 生物质燃烧炉具
RU148080U1 (ru) Котел водогрейный
WO2020107699A1 (zh) 一种用于暖通系统的红外发生器及其暖通系统
RU110460U1 (ru) Котел газовый настенный
CN210035472U (zh) 生物颗粒锅炉的燃烧系统
KR200220782Y1 (ko) 연탄보일러
KR20050051598A (ko) 라지 에타를 겸한 보일러연통의 제조형성 및 그설치시공방법 (2)
CN109373355B (zh) 环保型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