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0035A - 보일러 열교환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 열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0035A
KR20160130035A KR1020150061929A KR20150061929A KR20160130035A KR 20160130035 A KR20160130035 A KR 20160130035A KR 1020150061929 A KR1020150061929 A KR 1020150061929A KR 20150061929 A KR20150061929 A KR 20150061929A KR 20160130035 A KR20160130035 A KR 20160130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ow pipe
hot water
flow
inle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1616B1 (ko
Inventor
김용수
김용규
김향숙
백사희
이재희
Original Assignee
김용수
백사희
김향숙
김용규
이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백사희, 김향숙, 김용규, 이재희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1020150061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61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0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0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medium being in heat conductive contact with the conduits for the other medium
    • F28D7/001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medium being in heat conductive contact with the conduits for the other medium the conduits for one medium or the conduits for both media being bent
    • F24H9/12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28D7/1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the surrounding tube being closed at one end, e.g. retur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0/00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flow guiding means; Particular flow patterns
    • F28F2250/06Derivation channels, e.g. bypass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 열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외주면에 감김된 상태로 구비되는 한편 일단부의 입수구로 유입된 물이 흐르면서 본체와 열교환되어 생성된 난방수가 타단부의 출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동관을 포함하는 열교환장치에 있어서, 그 양단부가 각각 유동관의 출수구와 입수구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리턴관이 구비되어, 출수구로 배출되는 난방수의 일부를 입수구로 바이패스시켜 입수구로 유입되는 물과 혼합하여 물의 온도를 상승시킨 상태로 공급하는 열교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일러 열교환장치{Heat Exchanger For Heating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에 구비되는 열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장치의 효율을 향상시켜 고온의 난방수 및 온수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보일러 열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이나 온수 공급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일러는 온수를 가열하는 방법에 따라 저탕식 보일러와 급탕식 보일러로 구분할 수 있다.
급탕식 보일러는 직수관으로 유입된 냉수가 펌프에 의해 열교환기로 공급되어 버너에 의해 가열된 후 온수탱크에 임시 저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온수탱크에는 온수관과 난방파이프가 3방변 밸브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버너에서 가열된 온수가 온수관으로 배출되고, 이와 반대로 실내를 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온수관이 닫히면서 난방파이프로 난방수가 순환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급탕식 보일러는 냉수가 버너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열되므로 온수탱크의 크기가 작다는 장점이 있으나, 급탕식 보일러는 냉수가 온수로 전환되는데 시간이 소요되므로 사용자가 바로 온수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과, 온수 사용 중단 후 바로 재사용할 경우에는 온수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저탕식 보일러는 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난방수와 온수가 구별되어 있으므로 직수관을 통해 유입된 냉수가 온수탱크내에 설치된 열교환코일에 의해 항상 적정 고온으로 가열되므로 사용자가 온수를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온수의 단속적인 사용에도 온수가 적정 고온으로 보관되어 있으므로, 바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한편, 저탕식 보일러는 사용자가 풍부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온수탱크를 크게 하였으나, 온수탱크 내에 설치되는 열교환코일의 면적은 빠른 시간 내에 온수탱크에 채워진 물을 온수로 전환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아니하였다.
따라서, 저탕식 보일러는 열교환코일이 온수탱크의 전부분에 걸쳐 가열하지 못하므로 온수탱크 내에 저장된 온수를 가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고, 온수탱크의 크기로 인해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을 뿐만 아니라 보일러의 무게가 무거워지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도 있었다.
이에 급탕식 및 저탕식 보일러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보다 개선된 새로운 형태의 열교환장치를 연구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보일러 열교환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로서, 종래의 열교환장치는 내부가 연소실(2)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본체(1)와, 본체(1)의 상면에 형성되어 연소실(2)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연통(3)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1)의 연소실(2) 내측 상부에는 다수의 배플(4)이 설치되며, 본체(1)의 일측에는 연소실(2)과 연통되는 연통관(5)이 설치되고, 연통관(5)의 단부에는 버너(6)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1)의 외주면에는 직수관(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흐르는 유동관(10)이 본체(1)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김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유동관(10)의 일단부는 직수관과 연결되는 입수구(10a)로 형성되고, 유동관(10)의 타단부는 열교환에 의해 생성된 난방수가 배출되는 출수구(10b)로 형성된다.
따라서, 버너(6)에서 발생된 화염이 연소실(2) 내부의 공기를 가열시키면, 가열된 고온의 배기가스가 연소실(2) 내의 배플(4)을 거쳐 연통(3)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이 과정에서 본체(1)의 외주면에 나선형태로 감김되어 있는 유동관(10)의 입수구(10a)를 통해 유입된 물이 출수구(10b)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가열되므로 난방수 및 온수(이하 "난방수"로 통칭함)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열교환장치는 유동관(10) 내를 흐르는 많은 양의 물을 가열하도록 되어 있어 빠른 시간 내에 난방수를 생성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고온의 난방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긴 대기 시간이 필요하므로 열교환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보일러 열교환장치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350161호 한국 등록특허 제10-045891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동관의 출수구로 배출되는 난방수(온수)의 일부를 입수구로 바이패스시켜 입수구로 유입되는 물과 혼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온의 난방수(온수)를 신속하게 생성 및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열교환장치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보일러 열교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동관의 입수구에서 출수구까지 연속되는 유동구의 중간부위에서 입수구에 가까이 있는 온수를 바이패스시켜 출수구 가까이에 있는 유동관으로 전달함으로서 고온의 난방수(온수)를 신속하게 생성 및 공급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바이패스는 복수가 설치할 수 있으며 보일러나 발전소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은, 본체의 외주면에 감김된 상태로 구비되는 한편 일단부의 입수구로 유입된 물이 흐르면서 본체와 열교환되어 생성된 난방수가 타단부의 출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동관을 포함하는 열교환장치에 있어서, 그 양단부가 각각 유동관의 출수구와 입수구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리턴관이 구비되어, 출수구로 배출되는 난방수의 일부를 입수구로 바이패스시켜 입수구로 유입되는 물과 혼합하여 물의 온도를 상승시킨 상태로 공급하는 열교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유동관의 출수구 압력이 입수구의 압력보다 높게 구비되되, 이를 위해 유동관의 출수구 직경이 입수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출수구의 압력을 입수구의 압력보다 높게 형성시킨다.
게다가, 리턴관의 일단부는 유동관의 입수구 내부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한편 리턴관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브라켓이 돌출되게 구비되어, 유동관의 입수구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와류시켜 쉽게 섞이게 할 수 있다. 이때 브라켓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단부는 유동관의 입수구 내주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유동관에는 유동관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연결하여 유동관 상측부의 난방수를 하측부로 바이패스시키는 복수의 서브리턴관이 구비되되, 서브리턴관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유동관에는 확관부가 형성되고, 확관부는 유동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확관부의 압력을 유동관의 압력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일러 열교환장치에 따르면, 유동관의 출수구로 배출되는 난방수의 일부를 입수구로 바이패스시켜 입수구로 유입되는 물과 섞어 줌으로써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1차 상승시킨 상태로 공급하므로 고온의 난방수와 온수를 신속하게 생성 및 공급할 수 있고, 열교환장치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이 바이패스시키는 리턴관은 복수개 설치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리턴관에서도 연소실의 열을 통해 열교환이 가능하므로 효율이 향상됨은 당연하다.
도 1은 종래의 보일러 열교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장치를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제1", "제2", "일면", "타면" 등과 같은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장치의 본체(1) 외주면에 나선형태로 감김되어 구비되는 유동관(200)의 출수구(200b)와 입수구(200a)를 연결하는 리턴관(100)을 포함한다.
리턴관(100)은 그 양단부가 각각 유동관(200)의 출수구(200b)와 입수구(200a)에 관통되게 연결되어 출수구(200b)와 입수구(200a)를 연통되게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리턴관(100)은 유동관(200)의 출수구(200b)로 배출되는 난방수의 일부를 입수구(200a)로 바이패스시켜 입수구(200a)로 유입되는 찬물(직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과 혼합하여 물의 온도를 상승시킨 상태로 유동관(200) 내로 공급함으로써 고온의 난방수를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유동관(200)의 입수구(200a)와 출수구(200b)는 열교환장치의 본체(1)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출수구(200b)의 직경(D2)이 입수구(200a)의 직경(D1)보다 크게 형성된다(D1<D2). 이와 같이 출수구(200b)의 직경(D2)이 입수구(200a)의 직경(D1)보다 크게 형성되면, 출수구(200b)의 유속이 입수구(200a)의 유속보다 느려지게 되므로 출수구(200b)의 내부 압력(P2)이 입수구(200a)의 내부 압력(P1)보다 높아지게 형성된다(P1<P2).
따라서, 이와 같은 출수구(200b)와 입수구(200a)의 압력차로 인해서 유동관(200)의 출수구(200b)로 배출되는 난방수의 일부가 리턴관(100)을 통해 유동관(200)의 입수구(200a)로 자동 공급된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유동관(200)의 출수구(200b)를 통해 배출되는 난방수(일점쇄선 화살표로 도시)의 일부를 유동관(200)의 입수구(200a)로 바이패스시켜 재공급하여, 직수관으로부터 입수구(200a)로 유입되는 찬물(t1)(점선 화살표로 도시)과 난방수(t2)를 섞어줌으로써 입수구(200a)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1차로 높여주고, 이와 같이 1차 온도 상승된 물이 유동관(200)을 흐르면서 열교환장치의 본체(1)와 열교환되어 출수구(200b)로 배출되는 난방수(실선 화살표로 표시)의 온도(t3)를 하기의 표 1에서와 같이, 신속하게 고온화할 수 있게 된다.
리턴관이 없는 종래의 열교환장치와 리턴관이 있는 본 발명의 열교환장치에 의한 난방수의 측정온도
시간 종래의 열교환장치에 의한 난방수의 온도(t2)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장치에 의한 난방수의 온도(t3)
11시 08분 9℃ 9℃
11시 18분 21℃ 25℃
11시 28분 32℃ 37℃
11시 33분 36℃ 42℃
11시 38분 41℃ 47℃
11시 43분 43℃ 51℃
위 표 1은 같은 날 동일 시간에 측정한 결과이며, 측정결과는 처음부터 3회까지는 10분 간격으로, 그 이후에는 5분 간격으로 유동관(200)의 출수구(200b)를 통해 배출되는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따라서, 위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열교환장치의 작동 초기에는 종래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장치에서 배출되는 난방수의 온도가 동일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직수관을 통해 찬물(t1)을 공급받는 종래의 열교환장치보다는 리턴관(100)을 통해 난방수(t2)의 일부를 유동관(200)의 입수구(200a)로 바이패스시켜 찬물(t1)과 혼합한 상태로 공급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장치에 의한 난방수의 온도(t3)가 훨씬 더 빨리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t2<t3),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장치가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도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유동관(200)의 입수구(200a)와 연결되는 리턴관(100)의 일단부는 입수구(200a)를 관통한 상태로 삽입되어 입수구(200a)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유동관(200)의 입수구(200a)에 삽입된 리턴관(100)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ㄱ"자 단면 형상의 브라켓(110)이 설치되고, 이 브라켓(110)은 리턴관(100)의 일단부에 고정밴드(120)로서 결합되어 고정되며, 브라켓(110)과 고정밴드(120)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110)은 리턴관(100)의 전 외주면을 감싸는 링형태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와 같이 리턴관(10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편 브라켓(110)의 단부는 유동관(200)의 입수구(200a) 내주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리턴관(100)에 구비되는 브라켓(110)에 의해 유동관(200)의 입수구(200a)로 유입되는 찬물(t1)(직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흐름에 와류가 생성됨으로 인해 물이 잘 섞이게 되고, 이와 같은 찬물(t1)의 지체로 인해 리턴관(100)을 통해 입수구(200a)로 바이패스되는 난방수(t2)와 찬물(t1)의 섞임 즉 교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바이패스되는 난방수(t2)와 찬물(t1)의 교반 효율이 향상되면, 유동관(200)의 입수구(200a)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가 1차 상승되고, 그로 인해 열교환장치에 의해 열교환된 난방수의 온도(t3) 역시도 신속하게 고온화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장치를 도시한 부분 절개도로서, 종래기술 및 전술한 실시예와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장치는 도 5에서와 같이, 열교환장치의 본체(1) 외주면에 나선형태로 감김되어 구비되는 유동관(200)에는 복수의 서브리턴관(100a)(100b)이 구비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서브리턴관만(100a)(100b)을 예시하여 설명하나, 더 많은 서브리턴관이 일정 간격마다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브리턴관은 본체(1)의 외주면을 나선형태로 감은 상부의 유동관(200)에 구비되는 제 1 서브리턴관(100a)과, 하부의 유동관(200)에 구비되는 제 2 서브리턴관(100b)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이와 같이 구비된 제 1,2 서브리턴관(100a)(100b)은 유동관(200)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유동관(200)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연통되게 연결한다.
그리고, 제 1,2 서브리턴관(100a)(100b)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유동관(200)에는 유동관(200)의 직경(D1)보다 큰 직경(D3)을 갖는 확관부(210)가 형성된다(D1<D3). 이와 같이 제 1,2 서브리턴관(100a)(100b)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확관부(210)의 직경(D3)이 제 1,2 서브리턴관(100a)(100b)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유동관(200)의 직경(D1)보다 크므로(D1<D3) 확관부(210) 내의 유속이 유동관(200) 내의 유속보다 상대적으로 느려지는 반면, 확관부(210)의 내부 압력(P3)이 유동관(200)의 내부 압력(P1)보다 높아지게 된다(P1<P3).
따라서, 이와 같은 확관부(210)와 유동관(200)의 압력차로 인해서 제 1,2 서브리턴관(100a)(100b)의 상단부로 유입된 고온의 난방수가 제 1,2 서브리턴관(100a)(100b)의 하단부로 배출되는 자동적인 흐름을 갖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 1,2 서브리턴관(100a)(100b)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난방수는 유동관(200)의 하측부를 유동하는 상대적 저온의 난방수와 섞이게 되므로 유동관(200)을 유동하는 난방수의 온도를 전반적으로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도6을 본 발명에서 발명한 보일러의 일반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도면에서와 같이 리턴관이 유동관의 공급지점에서 온수를 공급받아 유동관의 배출지점에서 공급받은 온수를 상기 유동관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리턴관(서브리턴관)은 복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유동관의 공급지점의직경이 유동관의 배출지점의 직경보다 크게 도시됨으로서 공급지점의 압력이 배출지점의 압력보다 높아 리턴관(서브리턴관)을 통해 온수가 리턴됨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리턴관 및 서브리턴관 모두 연소실의 부근에 위치하므로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달되므로 리턴관과 서브리턴관에서도 열교환이 발생됨은 당연하며 이러한 이유로 열효율이 더욱 향상됨을 기대할 수 있다.
서브리턴관은 온수를 공급받는 공급부와 온수를 배출하는 배출부가 양단에 구비되되, 유동관에서 온도가 높은 곳의 온수를 낮은곳의 온수와 교반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므로, 공그부는 유동관의 출수관과 가까운 지점(온수의 온도가 높은지점)이 공급지점에 설치되며, 배출부는 출수관에서 상기 공급지점보다 상대적으로 먼지점인 배출지점에 설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리턴관과 서브리턴관을 동시에 배치하거나, 리턴관만 배치하거나 서브리턴관만 배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로 제작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외통 2 : 연소실
3 : 연통 4 : 배플
5 : 연통관 6 : 버너
10 : 유동관 10a : 입수구
10b : 출수구 100 : 리턴관
100a,100b : 서브리턴관 110 : 브라켓
120 : 고정밴드 200 : 유동관
200a : 입수구 200b : 출수구
210 : 확관부
D1 : 유동관 및 입수구 직경(내경)
D2 : 유동관의 출수구 직경(내경)
D3 : 유동관의 확관부 직경(내경)
P1 : 유동관의 입수구 내부 압력
P2 : 유동관의 출수구 내부 압력
P3 : 확관부의 내부 압력
t1 : 직수관을 통해 유동관의 입수구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
t2 : 열교환 후 유동관의 출수구로 배출되는 난방수의 온도
t3 : 유동관의 출수구로 배출되는 난방수를 리턴관으로 바이패스시켜 유동관으로 재공급하여 출수구로 배출되는 난방수의 온도

Claims (6)

  1. 본체에 구비되는 한편 일단부의 입수구로 유입된 물이 흐르면서 본체와 열교환되어 생성된 온수가 타단부의 출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동관을 포함하는 열교환장치에 있어서,
    그 양단부가 각각 유동관의 출수구와 입수구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리턴관이 구비되어, 출수구로 배출되는 난방수의 일부를 입수구로 바이패스시켜 입수구로 유입되는 물과 혼합하여 물의 온도를 상승시킨 상태로 공급하는 열교환장치.
  2. 본체에 구비되는 한편 일단부의 입수구로 유입된 물이 흐르면서 본체와 열교환되어 생성된 온수가 타단부의 출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동관을 포함하는 열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에는 복수의 서브리턴관이 배치되되, 상기 서브리턴관은 상기 유동관에 설치되어 유동관의 온수를 공급받는 공급부와, 상기 유동관에 설치되어 온수를 배출하는 배출부가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부는 유동관의 출수관과 가까운 지점인 공급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부는 출수관에서 상기 공급지점보다 상대적으로 먼지점인 배출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동관의 출수구 직경이 입수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출수구의 압력이 입수구의 압력보다 높게 형성됨에 따라 리턴관으로 상기 온수가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관의 일단부는 유동관의 입수구 내부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한편 리턴관의 상기 삽입된 일단부 외주면에는 브라켓이 돌출되게 구비되어, 유동관의 입수구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와류시켜 리턴관에서 공급되는 물과 교반되도록 하는 열교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에는 복수의 서브리턴관이 배치되되, 상기 서브리턴관은 상기 유동관에 설치되어 유동관의 온수를 공급받는 공급부와, 상기 유동관에 설치되어 온수를 배출하는 배출부가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부는 유동관의 출수관과 가까운 지점인 공급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부는 출수관에서 상기 공급지점보다 상대적으로 먼지점인 배출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에서 공급지점의 직경이 상기 배출지점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공급지점의 압력이 상기 배출지점의 압력보다 높게 형성됨에 따라 서브리턴관으로 상기 온수가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장치.














KR1020150061929A 2015-04-30 2015-04-30 보일러 열교환장치 KR101771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929A KR101771616B1 (ko) 2015-04-30 2015-04-30 보일러 열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929A KR101771616B1 (ko) 2015-04-30 2015-04-30 보일러 열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035A true KR20160130035A (ko) 2016-11-10
KR101771616B1 KR101771616B1 (ko) 2017-08-28

Family

ID=5748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929A KR101771616B1 (ko) 2015-04-30 2015-04-30 보일러 열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442B1 (ko) * 2019-02-16 2020-05-18 최용식 연통의 폐열을 회수하는 배기열 회수기능을 갖는 난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437B1 (ko) * 2020-05-07 2020-12-11 김다혜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동애등에 사육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229A (ko) 2000-03-21 2001-10-24 최진민 분젠식버너를 사용한 가정용 가스보일러
KR100458918B1 (ko) 2003-03-07 2004-12-03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보일러용 열교환기의 열교환파이프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229A (ko) 2000-03-21 2001-10-24 최진민 분젠식버너를 사용한 가정용 가스보일러
KR100458918B1 (ko) 2003-03-07 2004-12-03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보일러용 열교환기의 열교환파이프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442B1 (ko) * 2019-02-16 2020-05-18 최용식 연통의 폐열을 회수하는 배기열 회수기능을 갖는 난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616B1 (ko) 2017-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78577A1 (en) Boiler for improving heat exchanging property
JP2008145097A (ja) 分解ガスを冷却するための熱交換器
RU201213728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горячих текучих сред, содержащее теплообменник-конденсатор
EP2828587B1 (en) Dual purpose heat exchanger
US20140053791A1 (en) Downfired High Efficiency Gas-Fired Water Heater
CN106091356B (zh) 燃气热水器
KR101771616B1 (ko) 보일러 열교환장치
EA006357B1 (ru) Система для нагрева жидкостей
JP2003080930A (ja) 補助ヒータの熱交換器
KR101281697B1 (ko) 전기 온수/스팀 보일러
EP3090213B1 (en) Heat exchanger, heating device, heating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water
TW201043892A (en) Instant-hot type drinking fountain
EP3356747B1 (en) A fired water heater
KR101771624B1 (ko) 보일러 열교환장치
CN101520232B (zh) 双水腔燃油加热器用热交换器
EP3097366B1 (en) Modular fired heat exchanger
CN103196162B (zh) 一种能够回收燃气余热的燃气灶
CN201377898Y (zh) 双水腔燃油加热器用热交换器
CA2823597C (en) Downfired high efficiency gas-fired water heater
JP2007132575A (ja) 小型熱交換器
CN204574192U (zh) 混能装置
GB2551600A (en) Boiler
CN207180038U (zh) 锅炉内胆
US11378307B2 (en) Hybrid condensing boiler with preheater
CN211119536U (zh) 一种灶用余热回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