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414A -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414A
KR20200100414A KR1020190018669A KR20190018669A KR20200100414A KR 20200100414 A KR20200100414 A KR 20200100414A KR 1020190018669 A KR1020190018669 A KR 1020190018669A KR 20190018669 A KR20190018669 A KR 20190018669A KR 20200100414 A KR20200100414 A KR 20200100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ignment
information
personal
rental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4989B1 (ko
Inventor
김미혜
노휘종
남재현
정인균
김용욱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8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989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06K9/62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소유의 개인이동수단을 위탁, 대여 및 반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되며, 개인이동수단이 거치 가능한 다수의 칸이 구비된 거치대 및 다수의 무선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등록한 사용자의 회원정보,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개인이동수단에 대한 거치정보 및 상기 거치대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다수의 무선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회원정보와 개인이동수단에 대한 위탁대상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로부터 위탁요청신호를 전송받아 위탁승인신호를 생성하고, 위탁해제신호를 전송받아 해제승인신호를 생성하는 위탁관리부,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로부터 대여요청신호를 전송받아 대여승인신호를 생성하는 대여관리부 및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로부터 반납요청신호를 전송받아 반납승인신호를 생성하는 반납관리부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개인 소유의 개인이동수단의 활용도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CONSIGNMENT AND RENTAL SYSTEM OF PERSONAL MOBILITY}
본 발명은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개인이동수단이 거치 가능한 거치대, 무선단말기 및 무선단말기나 거치대와 통신 가능한 관리서버를 통해 개인이동수단의 위탁, 대여 및 반납을 수행하는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에서의 이동수단으로 자전거, 모터사이클, 자동차 등을 널리 이용하고 있다. 근거리 이동수단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자전거나 킥보드 등 퍼스널모빌리티는 공해 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이동수단으로서, 교통체증을 감소시키고 국민 건강의 증진에 도움을 주는 유익한 이동수단 중의 하나이며, 이와 같은 장점을 갖는 퍼스널모빌리티의 이용 확대를 위해 전용도로를 만들고, 아파트, 건물 또는 지하철역 등에 무료 보관대를 설치하는 등의 다양한 이용 확대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한편, 퍼스널모빌리티 즉, 개인이동수단의 대표적 예로서 자전거는 목적지가 근거리에 있을 때는 이동수단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자들이 자전거를 각각 소유해야 하고, 소유한 자전거를 자전거 보관소에 보관 또는 고정시킨 후에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자전거 등 개인이동수단의 공유 서비스 또는 공유 시스템의 도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개인이동수단의 공유 서비스는 예컨대, 다수의 설정된 위치에 보관소를 구비하고, 보관소와 연동되는 관리서버와 휴대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 대여, 반납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위와 같은 공유 서비스는 다수의 공공 이동수단을 거치하여 둔 상태로 상기 이동수단을 사용자에게 대여하고, 재차 사용자가 반납하는 방식으로부터 사용자 개인 소유인 이동수단의 경우 적용하기가 어렵고, 공공 이동수단의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개인 소유가 아니기 때문에 공공 이동수단의 파손이나 분실 등의 문제가 빈번하며 이를 방지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문헌 000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88696(등록일:16.01.20.) (문헌 000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78462(등록일:15.12.11.)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개인 소유의 이동수단을 위탁 가능하고, 위탁된 이동수단을 대여 및 반납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이동수단의 보관성과 이용성을 향상시킨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되며, 개인이동수단이 거치 가능한 다수의 칸이 구비된 거치대 및 다수의 무선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고, 무선단말기를 통해 등록한 사용자의 회원정보, 거치대에 거치된 개인이동수단에 대한 거치정보 및 거치대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고, 통합관리서버는, 다수의 무선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회원정보와 개인이동수단에 대한 위탁대상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다수의 무선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로부터 위탁요청신호를 전송받아 위탁승인신호를 생성하고, 위탁해제신호를 전송받아 해제승인신호를 생성하는 위탁관리부, 다수의 무선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로부터 대여요청신호를 전송받아 대여승인신호를 생성하는 대여관리부 및 다수의 무선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로부터 반납요청신호를 전송받아 반납승인신호를 생성하는 반납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거치대는,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 통합관리서버 또는 무선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개인이동수단을 칸에 고정 가능한 잠금장치부 및 통합관리서버 또는 무선단말기로부터 위탁승인신호, 대여승인신호 또는 반납승인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권한정보를 전송받아 잠금장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잠금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잠금제어부는,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개인이동수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모듈,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개인이동수단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모듈 및 해제모듈의 실행 시 해제모듈의 실행시간과 설정된 기준시간을 비교하여 해제모듈의 실행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 고정모듈을 실행시키는 자동잠금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합관리서버는, 위탁요청신호, 대여요청신호 또는 반납요청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무선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구동시켜 위탁, 대여 또는 반납 대상인 개인이동수단의 이미지 촬영을 유도하는 카메라구동부 및 무선단말기로부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받고,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저장부를 포함하고, 위탁승인신호, 대여승인신호 또는 반납승인신호는 이미지저장부를 통해 이미지가 저장된 경우에만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통합관리서버는, 개인이동수단의 대여 시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와 개인이동수단의 반납 시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 개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미지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합관리서버는, 거치대로부터 거치정보와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거치대 각각의 개인이동수단의 거치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태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태정보제공부는, 위탁대상정보에 대응하는 개인이동수단의 거치상태와 거치위치를 회원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개인 소유의 개인이동수단의 위탁과 상기 개인이동수단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개인이동수단의 이용성과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단말기의 카메라를 구동시켜 위탁, 대여 또는 반납 시 개인이동수단의 상태를 촬영하도록 유도하여 개인이동수단의 무분별한 방치를 방지하고, 파손이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관리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탁 절차를 나타낸 신호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여 절차를 나타낸 신호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납 절차를 나타낸 신호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위탁, 대여 또는 반납의 대상인 개인이동수단(P)은 자전거, 킥보드 등 개인 소유의 이동수단을 의미하며,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되며, 개인이동수단(P)이 거치 가능한 다수의 칸(101)이 구비된 거치대(100) 및 다수의 무선단말기(300)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등록한 사용자의 회원정보, 상기 거치대(100)에 거치된 개인이동수단(P)에 대한 거치정보 및 상기 거치대(100)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무선단말기(300)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휴대폰, 테블릿PC 등의 장치를 의미하며,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본 발명인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에 따라 다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거치대(100) 또는 통합관리서버(200)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통신은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Long Term Evolution), 3G 등의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카메라가 장착되어 촬영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단말기(300)에는 상기 통합관리서버(200)와 연동되는 대여반납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대여반납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 신호나 특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하거나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특정 신호나 특정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하, 후술하는 무선단말기(300)를 통한 위탁, 대여 또는 반납은 상기 대여반납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다만, 상기 대여반납어플리케이션이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치대(100)는 설정된 장소에 위치될 수 있으며, 설정된 장소는 다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치대(100)는 지정된 버스승강장 또는 지하철역 등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100)에는 다수의 칸(101)이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칸(101) 각각에 개인이동수단(P)을 거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대(100)는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110), 상기 통합관리서버(200) 또는 무선단말기(300)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상기 개인이동수단(P)을 상기 칸(101)에 고정 가능한 잠금장치부(130) 및 상기 통합관리서버(200)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위탁승인신호, 대여승인신호 또는 반납승인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권한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잠금장치부(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잠금제어부(1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위치정보생성부(110)는 상기 거치대(100)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수단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RTLS(Real-Time Locating Service(System)), LBS(Location Based Service) 등의 통신을 이용한 위치추적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부는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Long Term Evolution), 3G 등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200)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위치정보생성부(110)에서 생성된 위치정보는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된다.
상기 통신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접한 무선단말기(300)와 통신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정보를 전송받거나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잠금장치부(130)는 상기 거치대(100)의 다수의 칸(101) 각각에 구비되며 상기 개인이동수단(P)을 상기 칸(101)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잠금장치부(130)는 개인이동수단(P)의 바퀴나 몸체에 결합 가능한 잠금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쇠는 상기 거치대(100)의 칸(101)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거치대(100)의 다수의 칸(101) 중 어느 하나의 칸(101)에 구비된 잠금쇠에 개인이동수단(P)의 바퀴나 몸체를 끼운 상태로 개인이동수단(P)을 고정시킬 수 있다. 잠금장치부(130)는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개인이동수단(P)을 상기 칸(101)에 구속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잠금제어부(140)는 상기 잠금장치부(13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개인이동수단(P)의 고정 또는 고정해제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잠금장치부(130)가 상술한 잠금쇠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잠금제어부(140)는 설정된 패턴이나 암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설정된 패턴이나 암호가 입력된 경우에만 상기 잠금쇠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잠금제어부(140)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무선단말기(300)로부터 권한정보를 전송받은 경우에만 상기 잠금쇠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쇠의 작동이란 개인이동수단(P)과 잠금장치부(130)의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는 개인이동수단(P)을 거치대(100)의 칸(101)에 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입력수단에 설정된 패턴이나 암호를 입력하거나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부여된 권한정보를 거치대(100)의 통신부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잠금쇠를 작동시켜 개인이동수단(P)을 고정시키고, 이후 개인이동수단(P)을 거치대(100)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입력수단에 별도로 설정된 패턴이나 암호를 입력하거나 별도의 권한정보를 거치대(100)의 통신부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잠금쇠를 작동시켜 개인이동수단(P)을 고정 해제시키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제어부(140)는, 상기 잠금장치부(130)를 작동시켜 상기 개인이동수단(P)을 고정시키는 고정모듈(141), 상기 잠금장치부(130)를 작동시켜 상기 개인이동수단(P)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모듈(142) 및 상기 해제모듈(142)의 실행 시 상기 해제모듈(142)의 실행시간과 설정된 기준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해제모듈(142)의 실행시간이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고정모듈(141)을 실행시키는 자동잠금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모듈(141) 또는 해제모듈(142)은 상술한 패턴이나 암호를 입력받아 잠금쇠를 통해 개인이동수단(P)을 고정시키거나, 무선단말기(300) 또는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잠금쇠를 작동시키는 권한정보를 수신하여 개인이동수단(P)을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킨다. 이 경우 상기 권한정보는 상기 통합관리서버(200)에서 생성되며, 고정모듈(141)을 실행시키기 위한 권한정보의 경우 후술하는 위탁승인정보 또는 반납승인정보에 따라 생성되고, 해제모듈(142)을 실행시키기 위한 권한정보의 경우 후술하는 위탁해제정보 또는 대여승인정보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자동잠금모듈(143)은 해제모듈(142)의 실행과 함께 실행되는데, 미리 기준시간을 설정하여 두고 해제모듈(142)의 실행시간을 측정한 후 해제모듈(142)의 실행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 자동으로 잠금모듈을 실행시킨다. 즉, 사용자가 거치대(100)에 설정된 패턴이나 암호를 입력하거나 거치대(100)가 권한정보를 수신한 경우 설정된 시간동안만 해제모듈(142)을 작동하게 함으로써 도난이나 무분별한 방치 상태를 예방할 수 있으며, 개인이동수단(P)의 위탁, 대여 및 반납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대(100)는, 상부에 구비되며 거치되는 개인이동수단(P)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150) 및 상기 개인이동수단(P)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50)는 거치된 개인이동수단(P)을 비나 눈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칸(101) 각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60)는 이미지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을 포함하고, 거치된 개인이동수단(P)을 촬영하여 이를 무선단말기(300)나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카메라부(160)가 구비된 거치대(100)는 개인이동수단(P)의 보관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도난이나 파손 등을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카메라부(160)는 상기 덮개부(150)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160)에서 촬영된 개인이동수단(P)의 이미지나 영상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통합관리서버(200)에 저장된 이미지나 영상은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될 수 있는데, 개인이동수단(P)을 위탁한 사용자의 무선단말기(300)로 해당 이미지나 영상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개인이동수단(P)의 보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관리서버(2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합관리서버(200)는 거치대(100)의 위치정보, 거치된 개인이동수단(P)의 거치정보, 사용자의 회원정보, 위탁하고자 하는 개인이동수단(P)의 위탁대상정보 등을 제공받아 개인이동수단(P)의 위탁, 대여, 반납 등을 처리한다.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는 거치대(100) 및 무선단말기(300)와 각각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합관리서버(200)와 무선달말기의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설정된 도메인을 이용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200)에 접속하거나, 무선단말기(300)에 설치된 대여반납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합관리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는, 다수의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사용자의 회원정보와 개인이동수단(P)에 대한 위탁대상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정보저장부(210),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300) 중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위탁요청신호를 전송받아 위탁승인신호를 생성하고, 위탁해제신호를 전송받아 해제승인신호를 생성하는 위탁관리부(220),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300) 중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300)로부터 대여요청신호를 전송받아 대여승인신호를 생성하는 대여관리부(230) 및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300) 중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300)로부터 반납요청신호를 전송받아 반납승인신호를 생성하는 반납관리부(240)를 포함한다.
정보저장부(210)는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사용자의 회원정보와 위탁 대상인 개인이동수단(P)의 위탁대상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한다. 또한, 거치대(100)로부터 위치정보와 거치된 개인이동수단(P)의 거치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한다.
이하, 위탁, 대여 및 반납 절차를 통해 통합관리서버(20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대여반납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대여반납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사용자 각자에 부여되어 고유식별기능을 수행하는 아이디 등의 회원정보를 입력하거나 통합관리서버(200)와 연동된 웹페이지 등을 통해서 상기 회원정보를 입력한다. 이 경우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는 상기 입력된 회원정보와 거치대(100)로부터 제공받은 거치대(100)의 위치정보와 거치정보를 정부저장부를 통해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탁 절차를 나타낸 신호흐름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위탁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대여반납어플리케이션 또는 무선단말기(300)를 조작하여 위탁하고자 하는 개인이동수단(P)에 대한 위탁대상정보를 입력하고, 위탁요청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위탁대상정보에는 개인이동수단(P)의 종류와 모델명 등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위탁요청신호에는 위탁하고자 하는 거치대(100)의 위치와 위탁시간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탁관리부(220)는 위탁요청신호를 전송받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위탁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탁요청신호를 전송한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위탁관리부(220)는 통합관리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위탁 가능한 대상에 대한 개인이동수단(P)의 종류와 사용자가 입력한 위탁대상정보에 포함된 개인이동수단(P)의 종류를 비교하여 위탁 대상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보저장부(210)에 저장된 거치대(100)의 위치정보 및 거치정보와 위탁요청신호에 포함된 위탁하고자 하는 거치대(100)의 위치를 비교하여 해당 거치대(100)에 빈 칸(101)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개인이동수단(P)의 종류가 위탁 가능한 종류이고, 해당 거치대(100)에 빈 칸(101)이 존재하는 경우 위탁승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위탁승인정보는 무선단말기(300)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확인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탁관리부(220)는 상기 위탁승인정보가 생성된 경우 위탁에 대한 권한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권한정보는 거치대(100)로 직접 전달되거나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전달되어 잠금제어부(140)의 잠금장치 작동 여부를 결정한다. 이 경우 상기 잠금제어부(140)는 상기 권한정보를 수신하여 잠금장치부(130)를 작동시켜 상기 위탁 대상인 개인이동수단(P)을 거치대(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위탁 해제 시 상기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위탁해제신호를 생성하여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하고, 위탁관리부(220)는 위탁해제신호를 전송받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제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탁해제신호를 전송한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위탁해제신호에는 위탁의 해제 예상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위탁관리부(220)는 통합관리서버(200)에 저장된 거치대(100)의 위치정보와 거치정보로부터 위탁된 개인이동수단(P)의 현재 거치된 위치 또는 대여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개인이동수단(P)이 대여 중이 아닌 경우 해제승인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개인이동수단(P)이 대여 중인 경우에는 해당 개인이동수단(P)의 반납 예상 시각을 산출하여 조건부로 해제승인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해제승인신호는 해제요청신호를 생성한 무선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반납 예상 시간은 대여한 사용자의 대여시간에 대응되어 결정될 수 있다.
위탁관리부(220)는 상기 해제승인신호의 생성 시 해제에 대한 권한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권한정보는 거치대(100)로 직접 전달되거나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전달되어 잠금제어부(140)의 잠금장치 작동 여부를 결정한다. 이 경우 상기 잠금제어부(140)는 상기 권한정보를 수신하여 잠금장치부(130)를 작동시켜 상기 위탁 대상인 개인이동수단(P)을 거치대(100)에 고정해제시킬 수 있다.
거치대(100)의 잠금장치를 통해 개인이동수단(P)의 고정 또는 고정해제가 완료된 경우 위탁하거나 위탁을 해제한 사용자는 통합관리서버(200)나 거치대(100)로부터 위탁 또는 위탁 해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위탁확인정보를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탁관리부(220)는 위탁에서부터 위탁 해제 시까지 다른 사용자가 대여한 경우 위탁한 사용자에게 마일리지를 적립하거나 별도의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개인 소유의 이동수단의 위탁을 장려할 수 있다. 상기 마일리지는 별도로 위탁된 타인 소유의 개인이동수단(P)을 대여하고자 하는 경우 차감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여 절차를 나타낸 신호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대여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무선단말기(300)를 조작하여 대여하고자 하는 개인이동수단(P)에 대하여 대여요청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대여요청신호에는 대여하고자 하는 거치대(100)의 위치와 대여 대상인 개인이동수단(P)에 대한 정보 및 대여예상시간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합관리서버(200)의 대여관리부(230)는 대여요청신호를 전송받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대여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대여요청신호를 전송한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여관리부(230)는 사용자의 무선단말기(300)로부터 대여요청신호가 전송된 경우 거치대(100)의 위치정보, 거치정보 등으로부터 결정되는 초기사용요금에 대한 초기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초기사용요금은 대여예상시간, 대여 장소, 대여 대상인 개인이동수단(P)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초기결제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는 외부 결제서버(M)로 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결제서버(M)로부터 결제가 승인되는 경우 무선단말기(300)와 통합관리서버(200)는 상기 결제서버(M)로부터 결제완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대여관리부(230)는 상기 결제완료정보가 수신된 경우 대여승인신호를 생성하여 무선단말기(300)로 송신한다.
또한, 대여관리부(230)는 대여승인신호가 생성된 경우 대여에 대한 권한정보를 생성하여 거치대(100)로 직접 전달하거나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대여에 대한 권한정보는 상기 잠금제어부(140)의 잠금장치 작동 여부를 결정한다.
거치대(100)의 잠금장치를 통해 개인이동수단(P)의 고정해제가 완료된 경우 개인이동수단(P)을 대여한 사용자는 통합관리서버(200)나 거치대(100)로부터 대여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대여확인정보를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여관리부(230)는 대여요청신호에 포함된 대여예상시간과 해제요청신호에 포함된 해제예상시간을 비교하여 대여예상시간의 완료시점이 해제예상시간의 완료시점보다 앞선 경우에만 대여승인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납 절차를 나타낸 신호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반납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무선단말기(300)를 조작하여 반납하고자 하는 개인이동수단(P)에 대하여 반납요청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반납요청신호에는 반납하고자 하는 거치대(100)의 위치와 반납 대상인 개인이동수단(P)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합관리서버(200)의 반납관리부(240)는 반납요청신호를 전송받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반납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반납요청신호를 전송한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납관리부(240)는 사용자의 무선단말기(300)로부터 반납요청신호가 전송된 경우 후기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상기 후기결제정보는 반납요청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후기사용요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후기사용요금은 실제대여시간, 반납 장소, 반납 대상인 개인이동수단(P)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대여시간이 대여예상시간보다 큰 경우 후기사용요금은 증대될 수 있다. 후기결제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는 외부 결제서버(M)로 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결제서버(M)로부터 결제가 승인되는 경우 무선단말기(300)와 통합관리서버(200)는 상기 결제서버(M)로부터 결제완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반납관리부(240)는 상기 결제완료정보가 수신된 경우 반납승인신호를 생성하여 무선단말기(300)로 송신한다.
또한, 반납관리부(240)는 반납승인신호가 생성된 경우 반납에 대한 권한정보를 생성하여 거치대(100)로 직접 전달하거나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반납에 대한 권한정보는 상기 잠금제어부(140)의 잠금장치 작동 여부를 결정한다.
거치대(100)의 잠금장치를 통해 개인이동수단(P)의 고정이 완료된 경우 개인이동수단(P)을 반납한 사용자는 통합관리서버(200)나 거치대(100)로부터 반납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반납확인정보를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납관리부(240)는 상기 위탁관리부(220)를 통해 해제승인신호가 먼저 생성된 경우 반납승인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는 상기 위탁요청신호, 대여요청신호 또는 반납요청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카메라를 구동시켜 위탁, 대여 또는 반납 대상인 개인이동수단(P)의 이미지 촬영을 유도하는 카메라구동부(250) 및 상기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받고,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저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구동부(250)는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위탁, 대여 또는 반납 대상인 개인이동수단(P)의 이미지나 영상의 촬영을 유도하고, 상기 이미지저장부(260)는 상기 카메라구동부(250)를 통해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나 영상을 제공받아 저장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위탁, 대여 또는 반납 시 상기 카메라구동부(250)와 이미지저장부(260)를 통해 개인이동수단(P)의 상태를 촬영케 함으로써 위탁, 대여 또는 반납 상태를 객관적으로 인증할 수 있으며, 무분별한 반납이나 방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다수의 공용이동수단에 각각 식별코드를 부여한 후 해당 식별코드의 대여 또는 반납과는 상이하며, 사용자 소유의 개인이동수단(P)을 위탁, 대여 또는 반납하는 점에서 더욱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는 개인이동수단(P)의 대여 시 이미지저장부(260)에 저장된 이미지와 개인이동수단(P)의 반납 시 이미지저장부(260)에 저장된 이미지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 개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미지분석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분석부(270)는 상기 이미지저장부(260)에 저장된 이미지나 영상을 분석하여 개인이동수단(P)의 식별이나 파손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이미지저장부(260)에는 위탁한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와, 대여 및 반납한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가 저장되는데, 상기 이미지분석부(270)는 대여한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와 반납한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대여한 개인이동수단(P)과 반납한 개인이동수단(P)이 동일한지 여부와 파손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위탁한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와 대여 또는 반납한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위탁한 개인이동수단(P)의 동일 개체 여부와 파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분석부(270)는 상기 이미지저장부(260)에 저장된 이미지의 픽셀을 분석하여 데이터화하고, 위탁하는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의 데이터와 대여 또는 반납하는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위탁된 개인이동수단(P)과 대여 또는 반납된 개인이동수단(P)이 동일한 개체인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파손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위탁승인신호, 대여승인신호 또는 반납승인신호는 상기 이미지저장부(260)를 통해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경우에만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미지분석부(270)를 통해 대여된 개인이동수단(P)과 반납하고자 하는 개인이동수단(P)이 동일한 개체로 판단된 경우에만 생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는 상기 거치대(100)로부터 상기 거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거치대(100) 각각의 개인이동수단(P)의 거치상태에 대한 정보를 무선단말기(300)로 제공하는 상태정보제공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정보제공부(280)는 거치대(100)의 위치정보와 상기 거치대(100)에 거치된 거치정보를 무선단말기(300)로 제공하여, 위탁한 사용자는 자신이 위탁한 개인이동수단(P)에 대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대여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위탁된 개인이동수단(P)의 거치상태를 확인하여 대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100)의 거치정보로부터 빈 칸(101)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위탁 또는 반납 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제공부(280)는 상기 위탁대상정보에 대응하는 개인이동수단(P)의 거치상태와 거치위치를 상기 회원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거치대(100)에 구비된 카메라부(16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나 영상을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인 소유의 이동수단을 위탁한 사용자는 상태정보제공부(280)에서 제공된 정보를 통해 자기 소유의 개인이동수단(P)이 거치중인지, 대여중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거치중인 경우 해당 개인이동수단(P)의 이미지나 영상을 통해 거치상태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인 소유의 개인이동수단(P)을 위탁, 대여 및 반납하여 공공이동수단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개인이동수단(P)의 활용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100 : 거치대 101: 칸
110 : 위치정보생성부 120 : 통신부
130 : 잠금장치부
140 : 잠금제어부 141 : 고정모듈
142 : 해제모듈 143 : 자동잠금모듈
150 : 덮개부 160 : 카메라부
200 : 통합관리서버
210 : 정보저장부 220 : 위탁관리부
230 : 대여관리부 240 : 반납관리부
250 : 카메라구동부 260 : 이미지저장부
270 : 이미지분석부 280 : 상태정보제공부
300 : 무선단말기 301 : 제1무선단말기
302 : 제2무선단말기
P : 개인이동수단 M : 결제서버

Claims (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되며, 개인이동수단이 거치 가능한 다수의 칸이 구비된 거치대; 및
    다수의 무선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등록한 사용자의 회원정보,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개인이동수단에 대한 거치정보 및 상기 거치대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다수의 무선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회원정보와 개인이동수단에 대한 위탁대상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로부터 위탁요청신호를 전송받아 위탁승인신호를 생성하고, 위탁해제신호를 전송받아 해제승인신호를 생성하는 위탁관리부;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로부터 대여요청신호를 전송받아 대여승인신호를 생성하는 대여관리부; 및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로부터 반납요청신호를 전송받아 반납승인신호를 생성하는 반납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
    상기 통합관리서버 또는 무선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상기 개인이동수단을 상기 칸에 고정 가능한 잠금장치부; 및
    상기 통합관리서버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위탁승인신호, 대여승인신호 또는 반납승인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권한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잠금장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잠금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제어부는,
    상기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개인이동수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모듈;
    상기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개인이동수단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모듈; 및
    상기 해제모듈의 실행 시 상기 해제모듈의 실행시간과 설정된 기준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해제모듈의 실행시간이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고정모듈을 실행시키는 자동잠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위탁요청신호, 대여요청신호 또는 반납요청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구동시켜 위탁, 대여 또는 반납 대상인 개인이동수단의 이미지 촬영을 유도하는 카메라구동부; 및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받고,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탁승인신호, 대여승인신호 또는 반납승인신호는 상기 이미지저장부를 통해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경우에만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개인이동수단의 대여 시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와 상기 개인이동수단의 반납 시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 개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미지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거치대로부터 상기 거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거치대 각각의 개인이동수단의 거치상태에 대한 정보를 무선단말기로 제공하는 상태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제공부는,
    상기 위탁대상정보에 대응하는 개인이동수단의 거치상태와 거치위치를 상기 회원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
KR1020190018669A 2019-02-18 2019-02-18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 KR102214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669A KR102214989B1 (ko) 2019-02-18 2019-02-18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669A KR102214989B1 (ko) 2019-02-18 2019-02-18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414A true KR20200100414A (ko) 2020-08-26
KR102214989B1 KR102214989B1 (ko) 2021-02-10

Family

ID=7224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669A KR102214989B1 (ko) 2019-02-18 2019-02-18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9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1662A (ko) * 2007-11-19 2009-05-22 (주)큐에이엠엠 자전거 관리 시스템
KR20140028351A (ko) * 2012-08-28 2014-03-10 (주)리베카 카메라를 이용한 도서 상황 관제 시스템
KR20150114608A (ko) * 2014-04-01 2015-10-13 송준우 공공 자전거 대여 시스템
KR101578462B1 (ko) 2015-04-23 2015-12-18 (주)리눅스아이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전거 대여 시스템
KR101896055B1 (ko) * 2018-02-20 2018-09-06 (주)바이콕 모바일 인증을 이용한 이동수단 대여 및 보관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1662A (ko) * 2007-11-19 2009-05-22 (주)큐에이엠엠 자전거 관리 시스템
KR20140028351A (ko) * 2012-08-28 2014-03-10 (주)리베카 카메라를 이용한 도서 상황 관제 시스템
KR20150114608A (ko) * 2014-04-01 2015-10-13 송준우 공공 자전거 대여 시스템
KR101588696B1 (ko) 2014-04-01 2016-01-29 주식회사 부상 공공 자전거 대여 시스템
KR101578462B1 (ko) 2015-04-23 2015-12-18 (주)리눅스아이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전거 대여 시스템
KR101896055B1 (ko) * 2018-02-20 2018-09-06 (주)바이콕 모바일 인증을 이용한 이동수단 대여 및 보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989B1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745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rostering a vehicle
CN110009757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图像获取方法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2261108A2 (en) Municipal bicycle sharing system
CN107835500A (zh) 使用移动设备识别车辆
CN107111937A (zh) 用于交通流量优化的受管理使用权系统
JP6554259B1 (ja) 擬似電子決済対応型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5588327B2 (ja) シェアリング車両の認証システム
JP2008242555A (ja) 駐車場予約システム、駐車場予約方法、駐車場管理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US20220005141A1 (en) Vehicle management device, vehicle management method, and vehicle
JP2010237842A (ja) カーシェアリング用の車両およびカーシェアリング管理システム
JP7072297B2 (ja) 電子決済代行型システム組合せ体
KR102294572B1 (ko) 공유 전동 킥보드의 안전모 대여시스템
US11787444B2 (en) Management device, transportation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0271484B (zh) 车辆控制装置
US118871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gig locker
KR102214989B1 (ko)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
KR20110139669A (ko)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 및 시스템
JP7070446B2 (ja) 荷物ロック装置
JP2021160848A (ja) 管理装置、運搬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496378A (zh) 管理装置、运输系统、管理方法及存储介质
JP2020173665A (ja) 管理装置、管理方法および管理プログラム
JP2018163536A (ja) 駐車車室管理サーバ、入出庫管理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232725B (zh) 停车场快递接收方法、系统及运输设备、控制台和车辆
KR20220032256A (ko) 개인이동수단 대여 장치 및 방법
KR20210071506A (ko) 전동 킥보드 대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