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669A -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669A
KR20110139669A KR1020110060937A KR20110060937A KR20110139669A KR 20110139669 A KR20110139669 A KR 20110139669A KR 1020110060937 A KR1020110060937 A KR 1020110060937A KR 20110060937 A KR20110060937 A KR 20110060937A KR 20110139669 A KR20110139669 A KR 20110139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nforcement
parking
mobil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1778B1 (ko
Inventor
이왕석
Original Assignee
이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왕석 filed Critical 이왕석
Publication of KR20110139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속원 모바일의 카메라와 GPS를 이용하여 주차단속을 하는 것으로, 주차단속원이 주차단속 대상 차량에 대해 주차단속원이 소지한 모바일에 설치된 주차단속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차량번호판을 촬영하면 차량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한 후 차량번호, 촬영시간, 촬영시간의 GPS에 따른 위치정보, 단속위반사항, 주차단속원정보를 주차단속서버로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단속원은 본인이 사용하는 모바일에 주차단속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으로 주차단속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기존 수작업 주차단속과 비교하여 정확하고 편리하게 주차단속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지자체는 주차단속과 관련한 비용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 및 시스템{Using Mobile Parking Crackdown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단속원 모바일의 카메라와 GPS를 이용하여 주차단속을 하는 것으로, 주차단속원이 주차단속 대상 차량에 대해 주차단속원이 소지한 모바일에 설치된 주차단속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차량번호판을 촬영하면 차량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한 후 차량번호, 촬영시간, 촬영시간의 GPS에 따른 위치정보, 단속위반사항, 주차단속원정보를 주차단속서버로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차단속원에게 PDA와 같은 주차단속단말기를 보급한 곳도 있지만 대부분 수작업으로 단속을 하고 있고 지자체 예산으로 주차단속단말기를 보급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주차단속 단말기의 유지보수가 잘 되지 않아 무용지물이 되거나 유지비용 또한 지자체의 부담이 되고 있다.
더불어 불법주차단속 5분 예고제를 운영하고 있는 지자체의 경우 막상 주차단속을 당해 과태료를 받는 당사자는 그에 대한 불만이 많아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최초 주차단속경고장 발급 시간에 대한 불만과 주정차 위반 구역이었는지 인지를 못한 경우나 주차단속 시작시간에 대한 불만, 화장실 급해서 갑작스럽게 주차를 한 경우, 피치 못할 사정에 대한 상황이 발생한 것들에 대한 과태료 부과에 대해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차단속원의 모바일에 주차단속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주차단속 단말기를 별도로 보급하지 않아도 지자체에 부담을 덜어 주며 주차단속 상황이 발생할 때 정확하고 편하게 단속사실을 주차단속서버로 전달할 수 있으며, 주차단속 예고제를 운영하는 지자체에서는 정확한 단속기록으로 민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시스템은, 단속원이 소지하며 주차위반 차량을 촬영하는 단속원 모바일 및 상기 단속원 모바일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주차위반 차량에 대한 단속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주차단속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속원 모바일은, 주차위반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번호판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번호판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번호판정보, 촬영 당시의 시간정보, 및 촬영 당시의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단속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단속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주차단속서버는 상기 수신한 단속정보 및 상기 수신한 단속정보를 확인하였다는 확인정보를 포함하는 단속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단속결과정보를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단속원 모바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속원 모바일은, 상기 번호판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촬영 당시의 시간정보 및 상기 촬영 당시의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 및 상기 단속정보를 생성하는 단속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단속서버는, 상기 단속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단속결과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단속결과정보를 저장하는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속결과정보는, 당일 최초로 주차위반으로 단속된 상태를 의미하는 단속경고상태 및 단속경고상태 후 소정의 확정시간 이후에도 차량을 이동시키지 않을 경우 주차위반에 대한 벌칙 또는 벌금이 확정되는 경우를 의미하는 단속확정상태 중의 한 상태를 의미하는 단속상태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속결과정보 생성부는, 상기 수신한 단속정보를 상기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단속결과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한 단속정보의 단속상태정보를 확정한 후 상기 단속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차단속서버는, 차량의 차량번호 및 차주의 모바일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차주정보를 차주별로 저장하고 있는 차주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속결과정보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단속결과정보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기초로 상기 차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주차위반에 따른 차량번호를 가지는 차량을 소유하는 차주 및 그 차주의 모바일 식별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모바일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차주의 모바일로 단속결과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은, (a) 단속원이 소지하는 단속원 모바일이 주차위반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번호판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단속원 모바일이 상기 번호판영상으로부터 추출한 번호판정보, 촬영 당시의 시간정보, 및 촬영 당시의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단속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속정보를 주차단속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주차단속서버는 상기 수신한 단속정보 및 상기 수신한 단속정보를 확인하였다는 확인정보를 포함하는 단속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생성된 단속결과정보를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단속원 모바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상기 단속원 모바일에 포함된 GPS가 상기 촬영 당시의 시간정보 및 상기 촬영 당시의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속결과정보는, 당일 최초로 주차위반으로 단속된 상태를 의미하는 단속경고상태 및 단속경고상태 후 소정의 확정시간 이후에도 차량을 이동시키지 않을 경우 주차위반에 대한 벌칙 또는 벌금이 확정되는 경우를 의미하는 단속확정상태 중의 한 상태를 의미하는 단속상태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신한 단속정보를 상기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단속결과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한 단속정보의 단속상태정보를 확정한 후 상기 단속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차단속서버는, 차량의 차량번호 및 차주의 모바일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차주정보를 차주별로 저장하고 있는 차주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생성된 단속결과정보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기초로 상기 차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주차위반에 따른 차량번호를 가지는 차량을 소유하는 차주 및 그 차주의 모바일 식별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모바일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차주의 모바일로 단속결과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단속원은 본인이 사용하는 모바일에 주차단속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으로 주차단속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기존 수작업 주차단속과 비교하여 정확하고 편리하게 주차단속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지자체는 주차단속과 관련한 비용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5분 예고제를 운영하는 지자체는 단속사실에 대해 정확하게 기록을 남길 수 있어 주차단속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민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에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의 주차단속시스템은 주차단속요원의 모바일(1), 주차단속서버(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차단속요원의 모바일(1)은 주차단속요원이 평상시에 사용하는 모바일기기이며 카메라와 GPS가 부착되고 주차단속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주차단속서버(2)는 주차단속요원의 정보를 관리하고 주차단속요원의 모바일(1)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이다.
주차단속요원의 모바일(1)은 주차단속프로그램(3), 카메라(4), GPS(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4)는 일반적으로 모바일기기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말하는 것이다.
GPS(5)는 위성으로부터 모바일기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주차단속프로그램(3)은 주차단속요원이 불법주정차단속업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소프트웨어(Application, App)을 말하는 것이다.
주차단속프로그램(3)은 카메라모듈(6), GPS모듈(7), 주차단속관리모듈(8), 주차단속요원관리모듈(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모듈(6)은 주차단속요원이 주차단속프로그램(3)을 실행하여 주차단속를 업무를 시작하여 카메라(4)로 촬영을 할 수 있는 화면과 차량번호판을 정확하게 찍을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같이 보여주는 기능을 하며 촬영된 차량번호판의 글자를 인식하여 주차단속관리모듈(8)에 차량번호와 촬영시간정보를 전달한다.
GPS모듈(7)은 카메라모듈(6)에서 촬영된 완료된 정보를 받아 현재 위치정보를 주차단속관리모듈(8)에 전달한다.
주차단속관리모듈(8)은 카메라모듈(6), GPS모듈(7)에서 전달받은 차량번호와 촬영시간정보, 위치정보가 수신이 되면 단속위반사항을 선택하여 주차단속요원정보를 포함하여 주차단속서버(2)에 전송하고 관리한다.
주차단속요원관리모듈(9)는 주차단속프로그램(3)을 실행하면 주차단속요원이 주차단속서버(2)에 등록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할 수 있으며 로그인 승인정보와 주차단속요원정보를 주차단속서버(2)에서 받으면 주차단속관리모듈(8)에 주차단속요원정보를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주차단속요원(12)이 주차단속서버(11)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등록을 하면 주차단속요원의 모바일(10)에 주차단속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주차단속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주차단속서버(11)에 등록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하고 주차단속프로그램을 실행되어 주차단속한 정보를 주차단속서버(11)에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5분예고제를 운영하는 지자체의 주차단속관리모듈(8)은 단속된 차량번호를 경고상태로 관리하고 주차단속서버에 주차단속경고정보를 전달하고 다시 단속된 차량번호가 촬영이 되면 경고상태의 차량번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존재한다면 5분을 경과 하였는지 시간을 비교하여 5분이 지났으면 주차단속확정으로 차량번호를 관리하며 주차단속서버에 주차단속확정정보를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시스템(100)은, 복수의 주차단속원이 각각 소지하는 단속원 모바일(110_1~110_n) 및 단속원 모바일(110_1~110_n)과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주차단속서버(120)를 포함하며, 추가로 주차단속서버(120)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차주의 모바일(120_1~130_n)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단속서버(120)는 단속원 모바일(110_1~110_n) 및 차주의 모바일(120_1~130_n)과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데,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망이란 이동통신망, 무선랜(Wireless LAN), 및/또는 와이파이(Wi-Fi)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단속원 모바일(110_1~110_n)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및/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및/또는 태블릿 PC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무선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고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으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칩(chip)이 탑재되어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이면 된다.
한편 차주의 모바일(120_1~130_n)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및/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및/또는 태블릿 PC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주차단속서버(120)로부터 단속사실에 대한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이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시스템(100)은, 주차단속원이 각각 소지하는 단속원 모바일(110) 및 단속원 모바일(110_1~110_n)과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주차단속서버(120)를 포함하며, 추가로 주차단속서버(120)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차주의 모바일(120_1~130_n)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처럼 단속원 모바일들과 차주의 모바일들은 각각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 하나만을 도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단속원 모바일(110)은 주차단속부(111)를 포함하며,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112), 단속원 모바일(1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113)를 포함한다.
주차단속부(111)는 단속원 모바일(110)에 설치되는 일종의 프로그램으로서, 다음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주차단속부(111)는, 도 5를 참조하면, 촬영개시부(1111), 단속정보 생성부(1113), 단속정보 송신부(1114), 결과정보 수신부(1116), 저장부(1115), 및 결과정보 수신부(1116)를 포함하며, 추가로 로그인부(1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개시부(1111)는 주차위반을 한 차량의 차량번호판에 대한 촬영을 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카메라(112)로 촬영을 지시하여 차량번호판을 촬영한 번호판영상을 요청하는 동시에 GPS(113)로 촬영 당시의 시간정보 및 현재위치정보를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112)에서 생성된 번호판영상, GPS에서 생성된 촬영 당시의 시간정보와 현재위치정보는 단속정보 생성부(1113)로 전달된다.
그리고 나서 단속정보 생성부(1113)는 번호판영상으로부터 번호판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번호판정보, 촬영 당시의 시간정보, 및 촬영 당시의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단속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단속정보는 단속위반사항 및 단속원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속정보 송신부(1114)는 생성된 단속정보를 주차단속서버(120)로 전송한다.
저장부(1115)는 생성된 단속정보 및 후술할 단속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단속정보 외에도 단속원 모바일의 식별번호(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의 접속번호 또는 단말기 고유번호) 및 단속원을 식별할 수 있는 단속원정보(단속원의 이름, 주소, 성별, 주민등록번호, 단속원 고유번호, 유저 아이디, 및 비밀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더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단속결과정보 수신부(1116)는 주차단속서버(120)로부터 단속결과정보를 수신한다.
단속결과정보는 단속정보 및 확인정보를 포함하며, 추가로 단속상태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인정보란 단속정보가 주차단속서버(120)의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128)에 저장이 되었음을 확인하는 정보이다.
현재 불법주차단속 5분 예고제를 운영하고 있는 지자체가 있는데, 불법주차단속 5분 예고제란 불법주차로 인하여 단속된 해당 차량의 주인에게 경고한 후 5분 이후에도 차를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 불법주차로 인한 벌칙 및/또는 벌금을 부과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불법주차단속 5분 예고제 하에서는 이러한 5분의 시간이라는 확정시간이 지나면 경고상태에서 벌금/벌칙이 확정되는데, 이러한 확정시간은 각 지자체별로 다양한 시간 간격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처럼 불법주차단속 예고제를 시행하는 경우에는 단속상태정보가 필요하다. 단속상태정보란 당일 최초로 주차위반으로 단속된 경우를 의미하는 단속경고상태 및 단속경고상태 후 소정의 확정시간 이후에도 차량을 이동시키지 않을 경우 주차위반에 대한 벌칙 및/또는 벌금이 확정되는 경우를 의미하는 단속확정상태 중의 어느 하나의 상태를 의미하는 정보이다. 만일 불법주차단속 예고제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속된 순간 바로 불법주차로 인한 벌금 및/또는 벌칙이 즉시 확정된다.
로그인부(1112)는 부수적인 구성요소로서, 단속원 모바일(110)이 주차단속서버(12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될 때 인증된 단속원만이 주차단속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도록 로그인절차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로그인절차는 단속원이 유저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로그인정보를 단속원 모바일(110)에 입력하고, 주차단속소보(120)가 로그인정보를 인증함으로써 진행된다.
주차단속서버(120)는 접속부(121), 로그인처리부(123), 단속결과정보 생성부(124), 및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128)를 포함하며, 추가로, 설치부(122), 단속원 데이터베이스(126) 및 차주 데이터베이스(127)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121)는 단속원 모바일(110)과 무선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는다.
설치부(122)는 단속원 모바일(110)의 요청에 따라 단속원 모바일(110) 내에 주차단속부(111)를 설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로그인처리부(123)는 단속원 모바일(110)의 로그인부(1112)로부터 수신한 로그인정보를 후술한 단속원 데이터베이스(126)에 저장되어 있는 단속원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로그인절차를 처리한다. 단속원이 입력한 로그인정보가 단속원 데이터베이스(126)에 저장되어 있는 단속원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단속원이 단속원 모바일(110)을 이용할 수 있다.
단속결과정보 생성부(124)는 단속원 모바일(110)로부터 수신한 단속정보를 기초로 단속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128)에 저장한다.
단속결과정보는 단속정보 및 확인정보를 포함하며, 추가로 단속상태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인정보란 단속정보가 주차단속서버(120)의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128)에 저장이 되었음을 확인하는 정보이다. 단속상태정보란 당일 최초로 주차위반으로 단속된 상태를 의미하는 단속경고상태 및, 단속경고상태 후 소정의 확정시간 이후에도 차량을 이동시키지 않을 경우 주차위반에 대한 벌칙 및/또는 벌금이 확정되는 경우를 의미하는 단속확정상태 중의 어느 한 상태를 의미하는 정보이다. 만일 불법주차단속 예고제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속된 순간 바로 불법주차로 인한 벌금 및/또는 벌칙이 즉시 확정된다.
한편, 불법주차단속 예고제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단속결과정보 생성부(124)는 수신한 단속정보를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128)에 저장되어 있는 단속결과정보와 비교 검색하여 당일에 동일한 차량번호로 동일한 위치에 단속된 사실이 없는 경우 단속상태정보를 단속경고정보로서 세팅하여 단속결과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128)에 저장한다. 한편 당일에 동일한 차량번호와 동일한 위치를 가지는 단속결과정보가 존재하는 동시에 단속된 이후로 주차된 시간이 소정의 확정시간을 초과한 경우, 단속결과정보 생성부(124)는 단속상태정보를 단속확정상태로 세팅하여 단속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128)에 저장한다.
단속결과정보는 생성된 후 즉시 해당 단속정보를 전송한 단속원 모바일(110)로 전송된다.
단속원 데이터베이스(126)는 전술한 단속원정보를 단속원별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고, 차주 데이터베이스(127)는 차량의 차량번호 및 해당차량의 주인인 차주의 모바일 식별번호(차주의 모바일의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차주정보를 차주별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128)는 주차위반한 차량을 단속한 단속결과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한편, 단속결과정보 생성부(124)는 생성된 단속결과정보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기초로 차주 데이터베이스(127)를 검색하고, 주차위반에 따른 차량번호를 가지는 차량을 소유하는 차주 및 그 차주의 모바일 식별번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나서 단속결과정보 생성부(124)는 차주의 모바일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차주의 모바일(130)로 단속결과정보를 전송한다.
차주의 모바일(130)은 단속결과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차주가 즉시 단속정보, 단속상태정보 등의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시스템과 카테고리만 다를 뿐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단속원 모바일(110)은 주차위반차량이 있는 경우 단속원의 키입력에 의하여 카메라(112)로 주차위반 차량의 번호판에 대한 촬영개시를 지시한다(S100). 차량의 번호판에 대한 촬영과 동시에 촬영 당시의 시간정보 및 현재위치정보가 동시에 획득된다.
그리고 나서 단속원 모바일(110)은 카메라(112)에서 생성된 번호판영상, GPS에서 생성된 촬영 당시의 시간정보와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단속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한다(S110). 생성된 단속정보는 주차단속서버(120)로 전송된다(S120).
주차단속서버(120)는 단속정보를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128)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단속결과정보와 비교함으로써(S130) 단속결과정보를 생성한다(S140). 단속결과정보 수신부(1116)는 주차단속서버(120)로부터 단속결과정보를 수신한다.
주차단속서버(120)는 단속정보를 송신한 단속원 모바일(110)로 생성된 단속결과정보를 전송한다.
단속원 모바일(110)은 수신한 단속결과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함으로써(S160) 단속결과정보를 단속원에게 알려준다.
한편 주차단속서버(120)는 단속결과정보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기초로 차주 데이터베이스(127)를 비교 검색하여 동일한 차량번호를 가지는 차주의 모바일 전화번호를 추출한다(S170).
주차단속서버(102)는 추출된 차주의 모바일 전화번호로 단속결과정보를 전송하고(S180), 차주의 모바일(130)은 수신한 단속결과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한다(S19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에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을 수행하기 전 단계에서 단속원을 주차단속서버(120)에 등록하고, 단속원 모바일(110)에 주차단속부(111)를 설치하며, 차주 및 차주의 모바일(130)에 대한 정보를 주차단속서버(120)에 등록하는 절차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속원 모바일(110)은 주차단속서버(120)로 접속한 후 주차단속서버(120)로 단속원의 이름, 주소, 성별, 주민등록번호, 단속원 고유번호, 유저 아이디, 및 비밀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속원정보를 전송한다(S10). 도 7에서 단속원정보는 단속원 모바일(110)을 통해 주차단속서버(120)로 전달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단속원정보는 인터넷망에 접속된 컴퓨터로부터 주차단속서버(120)로 전달될 수도 있다.
주차단속서버(120)는 수신한 단속원정보를 단속원 데이터베이스(126)에 저장함으로써 단속원을 주차단속서버(120)에 등록한다(S20).
그 후 단속원이 단속원 모바일(110)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단속원은 단속원 모바일(110)에 로그인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로그인정보는 주차단속서버(120)로 전송된다(S30). 로그인정보는 유저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다.
주차단속서버(120)는 수신한 로그인정보를 단속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단속원정보와 비교하고(S40), 로그인을 처리한다(S50). 수신한 로그인정보가 단속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단속원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로그인 절차가 성공되어 단속원 모발기(110)가 주차단속서버(120)와 정상적으로 통신한다. 그러나 수신한 로그인정보가 단속원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로그인 절차는 실패하여 모발기(110)와 주차단속서버(120)가 서로 정보를 주고받지 못한다.
그리고 나서 주차단속서버(120)는 주차단속부(111)를 단속원 모바일(110)에 설치한다(S60).
한편, 차주의 모바일(130)은 차량의 차량번호 및 해당차량의 주인인 차주의 모바일 식별번호(차주의 모바일의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차주정보를 주차단속서버(130)로 전송한다(S70).
주차단속서버(120)는 차주정보를 차주 데이터베이스(127)에 저장함으로써 차주를 주차단속서버(120)에 등록시킨다(S80).
도 7에서 S70 ~ S80 단계가 S60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S10 ~ S60 단계 및 S70 ~ S80 단계는 별개의 독립적인 단계로서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단속원 모바일(110) 및 차주의 모바일(130)은 도 7에서 하나로 도시되었지만, 실제로는 복수의 단속원 모바일 및 복수의 차주의 모바일이 각각 독립적으로 자신의 단속원정보 및 차주정보를 주차단속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무방함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 및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단속원 모바일 120, 주차단속서버
130, 차주의 모바일 111, 주차단속부
112, 카메라 113, GPS

Claims (12)

  1. 단속원이 소지하며 주차위반 차량을 촬영하는 단속원 모바일 및 상기 단속원 모바일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주차위반 차량에 대한 단속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주차단속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속원 모바일은, 주차위반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번호판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번호판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번호판정보, 촬영 당시의 시간정보, 및 촬영 당시의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단속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단속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주차단속서버는 상기 수신한 단속정보 및 상기 수신한 단속정보를 확인하였다는 확인정보를 포함하는 단속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단속결과정보를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단속원 모바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원 모바일은,
    상기 번호판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촬영 당시의 시간정보 및 상기 촬영 당시의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 및
    상기 단속정보를 생성하는 단속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단속서버는,
    상기 단속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단속결과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단속결과정보를 저장하는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결과정보는, 당일 최초로 주차위반으로 단속된 상태를 의미하는 단속경고상태 및 단속경고상태 후 소정의 확정시간 이후에도 차량을 이동시키지 않을 경우 주차위반에 대한 벌칙 또는 벌금이 확정되는 경우를 의미하는 단속확정상태 중의 한 상태를 의미하는 단속상태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속결과정보 생성부는, 상기 수신한 단속정보를 상기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단속결과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한 단속정보의 단속상태정보를 확정한 후 상기 단속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단속서버는, 차량의 차량번호 및 차주의 모바일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차주정보를 차주별로 저장하고 있는 차주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속결과정보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단속결과정보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기초로 상기 차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주차위반에 따른 차량번호를 가지는 차량을 소유하는 차주 및 그 차주의 모바일 식별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모바일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차주의 모바일로 단속결과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단속서버는
    단속원의 이름, 주소, 성별, 주민등록번호, 단속원 고유번호, 유저 아이디, 및 비밀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속원정보를 단속원별로 저장하는 단속원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시스템.
  6. (a) 단속원이 소지하는 단속원 모바일이 주차위반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번호판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단속원 모바일이 상기 번호판영상으로부터 추출한 번호판정보, 촬영 당시의 시간정보, 및 촬영 당시의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단속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속정보를 주차단속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주차단속서버는 상기 수신한 단속정보 및 상기 수신한 단속정보를 확인하였다는 확인정보를 포함하는 단속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생성된 단속결과정보를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단속원 모바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단속원 모바일에 포함된 GPS가 상기 촬영 당시의 시간정보 및 상기 촬영 당시의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결과정보는, 당일 최초로 주차위반으로 단속된 상태를 의미하는 단속경고상태 및 단속경고상태 후 소정의 확정시간 이후에도 차량을 이동시키지 않을 경우 주차위반에 대한 벌칙 또는 벌금이 확정되는 경우를 의미하는 단속확정상태 중의 한 상태를 의미하는 단속상태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신한 단속정보를 상기 단속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단속결과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한 단속정보의 단속상태정보를 확정한 후 상기 단속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단속서버는, 차량의 차량번호 및 차주의 모바일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차주정보를 차주별로 저장하고 있는 차주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생성된 단속결과정보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기초로 상기 차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주차위반에 따른 차량번호를 가지는 차량을 소유하는 차주 및 그 차주의 모바일 식별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모바일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차주의 모바일로 단속결과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 단속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단속 방법은 상기 (a)단계의 수행 전에
    단속원의 이름, 주소, 성별, 주민등록번호, 단속원 고유번호, 유저 아이디, 및 비밀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속원정보를 단속원별로 단속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단속 방법은 상기 (a)단계의 수행 전에
    단속원의 이름, 주소, 성별, 주민등록번호, 단속원 고유번호, 유저 아이디, 및 비밀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속원정보를 단속원별로 단속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 단속 방법을 구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060937A 2010-06-23 2011-06-23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 및 시스템 KR101271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495 2010-06-23
KR20100059495 2010-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669A true KR20110139669A (ko) 2011-12-29
KR101271778B1 KR101271778B1 (ko) 2013-06-11

Family

ID=4550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937A KR101271778B1 (ko) 2010-06-23 2011-06-23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7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545B1 (ko) * 2012-12-04 2013-06-24 박정수 앱을 이용한 주차단속 및 계도 시스템
KR101414832B1 (ko) * 2013-11-07 2014-07-03 서정호 사전 스티커 발부 인지를 위한 주차단속 사전인지 앱이 탑재된 스마트폰
KR101939783B1 (ko) * 2018-01-17 2019-04-11 (주)제이컴모빌피아 기관서버를 포함하는 체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607B1 (ko) * 2014-04-23 2014-11-26 (주)서광시스템 이동통신망의 휴대폰을 이용한 다목적 문제차량 알림시스템
KR20210007458A (ko) 2019-07-11 2021-01-20 (주) 알티솔루션 딥 러닝 기반의 이동식 주정차 단속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9927A (ko) * 2004-08-30 2006-03-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이동통신을 이용한 주차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30634B1 (ko) * 2005-09-06 2006-10-04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 번호 기반 모바일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545B1 (ko) * 2012-12-04 2013-06-24 박정수 앱을 이용한 주차단속 및 계도 시스템
KR101414832B1 (ko) * 2013-11-07 2014-07-03 서정호 사전 스티커 발부 인지를 위한 주차단속 사전인지 앱이 탑재된 스마트폰
KR101939783B1 (ko) * 2018-01-17 2019-04-11 (주)제이컴모빌피아 기관서버를 포함하는 체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778B1 (ko)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7614B2 (en) Sharing system
WO2018006456A1 (zh) 一种访客终端的控制方法、装置、服务器及移动终端
JP4693818B2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CN105637916B (zh) 对车辆数据的授权访问
KR101271778B1 (ko)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단속 방법 및 시스템
US10275957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access control
JP2006331048A (ja) 位置情報による個人認証方法及びシステム
JP7356216B2 (ja) モバイル資格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JP2007286879A (ja) 医用機器の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医用機器、及び医用機器の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
US202303088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counter identity verification
JP2017199214A (ja) 駐車スペース貸出システム、サーバ装置、サー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
KR20150096850A (ko) 휴대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입실 검증시스템을 갖는 도서관 좌석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ikri et al. Smart parking area management system for the disabled using IoT and mobile application
KR101947874B1 (ko) 외부 서비스와 연동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WO2019225553A1 (ja) 情報提供装置、端末、本人確認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記録媒体
US11995165B2 (en) Unmanned flight device, management device, operation device and flight management method
JP2007233609A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
JP2003284113A (ja) 位置証明方法、位置証明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55486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문 관리 시스템
JP2002183188A (ja) 位置認証システム
CN106251631A (zh) 用于众包车辆识别的方法和设备
KR101284139B1 (ko) 위치정보 제공 인증관리 서비스 시스템과 제공 방법
KR20200094333A (ko) 지능형 골프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2018163536A (ja) 駐車車室管理サーバ、入出庫管理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70020061A (ko) 근태관리 시스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