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303A -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303A
KR20200100303A KR1020190018406A KR20190018406A KR20200100303A KR 20200100303 A KR20200100303 A KR 20200100303A KR 1020190018406 A KR1020190018406 A KR 1020190018406A KR 20190018406 A KR20190018406 A KR 20190018406A KR 20200100303 A KR20200100303 A KR 20200100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slane
hours
extract
portulaca oleracea
ste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6066B1 (ko
Inventor
한평희
Original Assignee
한평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평희 filed Critical 한평희
Priority to KR1020190018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06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에 식용 코팅제를 혼합, 가온하여 점성의 코팅 용액을 만든 후 세척한 쇠비름을 쇠비름의 전면에 상기 코팅 용액이 도포 되도록 하는 코팅 단계;상기 코팅된 쇠비름을 70 내지 15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증숙하는 제1차 증숙단계; 상기 증숙된 쇠비름을 자외선을 7 ~ 20시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단계; 상기 자외선 조사 단계가 완료된 쇠비름을 70 내지 100℃의 열수로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의 추출물에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부가하고 25 내지 65℃에서 2 내지 7시간 동안 효소 처리하는 효소처리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가 완료된 추출물에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20 내지 40℃에서 10 내지 48시간 발효시키는 발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쇠비름 추출물은 피부 보습 효과,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을 통한 피부 주름방지 효과, 티로시네이즈 저해활성을 통한 피부 미백 효과가 뛰어나 화장품 원료로서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ortulaca oleracea extract improved functionality as raw material for cosmetics}
본 발명은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원료로서 보습 효과 등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은 1년생 식물로서 오행초, 장명채, 마치채 등으로도 불리며, 주로 길가·채소밭·빈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용 가능한 다육질의 식물이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서양에서는 샐러드에 쓰며, 한국에서는 연한 부분을 여름에 끓는 물에 데쳐 말렸다가 겨울철에 나물로 무쳐 먹는다.
민간요법에서는 해독제, 방부제, 항괴혈병제제, 진경제, 이뇨제, 구충제, 피부진정제로도 사용되어왔으며 (한국약용작물학회지, 8권 3호, p189, 2000년;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8권 3호, p607, 1999년), 그 외 근육이완 활성과 항균, 항암 및항산화 효과에 대해서도 보고된 바 있다(한국조리과학회지, 17권 6호, p565, 2001년).
쇠비름의 성분으로는 L-노르아드레날린, 도파민, 도파와 여러 종류의 유기산, 아미노산, 테르펜 배당체(portuloside A)가 알려져 있고, 감마-리놀렌산과 같은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국생물공학회지, 18권 3호, p165, 2003년) 이러한 성분과 효능을 가진 쇠비름은 우리나라 텃밭 및 야산에 자생하고 있으나 이를 활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이 아직까지 미흡하여 쇠비름 자원을 대량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가공제품의 개발이 시급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쇠비름을 식용 자원으로 활용한 보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9-0025609호의 “항암 및 항균효과를 가진 쇠비름 음료”,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8-0004704호의 “담배의 유해물질 중 니코틴제거용 쇠비름 추출물”,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8-0014208호의 “쇠비름 추출물을 이용한 식품보존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9-0019384호의 “항암 기능을 가지는 쇠비름 추출물”,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4-0058516호의 “식욕억제를 이용한 비만증 조절”,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8-0000092호의 “항종양활성을 갖는 한약재 추출물”,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22668호의 “자유 라디칼 소거능과 항산화 활성을 갖는 쇠비름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13235호의 “오행초 및 한약재를 주원료로 한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0-0014663호의“순식물성 생약을 주재로 한 해독제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15798호의 “건강음료수의 제조방법” 등 여러 편이 보고되었는데 이들 모두 쇠비름 자체를 직접 이용한 것이 아니라 쇠비름 추출물을 사용한 음료 및 생리활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쇠비름 추출물의 생리 활성 기능을 향상시켜 쇠비름을 이용한 제품의 기능성을 향상시켜야 하는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14888호 "쇠비름 함유 보습 안면 마스크"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5-0107423호 "피부 화장료"를 보면 쇠비름 추출물을 화장품의 보습 효과 등의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비하여 아직 상업화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1.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9-0025609호의 “항암 및 항균효과를 가진 쇠비름 음료” 2.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8-0004704호의 “담배의 유해물질 중 니코틴제거용 쇠비름 추출물” 3.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8-0014208호의 “쇠비름 추출물을 이용한 식품보존제” 4.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9-0019384호의 “항암 기능을 가지는 쇠비름 추출물” 5.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14888호 "쇠비름 함유 보습 안면 마스크" 6.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5-0107423호 "피부 화장료"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습 효과 등 화장품 원료료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에 식용 코팅제를 혼합, 가온하여 점성의 코팅 용액을 만든 후 세척한 쇠비름을 쇠비름의 전면에 상기 코팅 용액이 도포 되도록 하는 코팅 단계;
상기 코팅된 쇠비름을 70 내지 15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증숙하는 제1차 증숙단계;
상기 증숙된 쇠비름을 자외선을 7 ~ 20시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단계;
상기 자외선 조사 단계가 완료된 쇠비름을 70 내지 100℃의 열수로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의 추출물에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부가하고 25 내지 65℃에서 2 내지 7시간 동안 효소 처리하는 효소처리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가 완료된 추출물에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20 내지 40℃에서 10 내지 48시간 발효시키는 발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쇠비름 추출물은 피부 보습 효과,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을 통한 피부 주름방지 효과, 티로시네이즈 저해활성을 통한 피부 미백 효과가 뛰어나 화장품 원료로서 매우 우수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은
물에 식용 코팅제를 혼합, 가온하여 점성의 코팅 용액을 만든 후 세척한 쇠비름을 쇠비름의 전면에 상기 코팅 용액이 도포 되도록 하는 코팅 단계;
상기 코팅된 쇠비름을 70 내지 15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증숙하는 제1차 증숙단계;
상기 1차 증숙된 쇠비름을 자외선을 7 ~ 20시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단계;
상기 자외선 조사 단계가 완료된 쇠비름을 70 내지 100℃의 열수로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의 추출물에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부가하고 25 내지 65℃에서 2 내지 7시간 동안 효소 처리하는 효소처리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가 완료된 추출물에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20 내지 40℃에서 10 내지 48시간 발효시키는 발효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단계는 본 발명에서 있어서 매우 중요한 단계로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척된 쇠비름에 코팅을 하여 유효성분 손실 및 벤조피렌 등 유해물질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코팅에 사용되는 물은 일반적인 물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쇠비름의 세척에 하였던 마지막 물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코팅이 완료되면 증숙 및 자외선 조사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 등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 이후 여러 차례의 증숙 과정에서 장시간 열에 노출되어 생성되는 벤조피렌의 생성을 간접적으로 열에 노출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는 효과 등이 발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단계는 물의 점도를 증가시켜 코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용 코팅제를 혼합한 후 가온을 하여 점성을 가지는 코팅액을 만든 후 이 코팅액을 이용하여 첫 번째 증숙과 건조가 끝난 삼에 전체 표면에 골고루 도포하면 완성된다.
도포하는 방법에 코팅액에 삼을 완전히 담갔다가 빼고 하는 것을 반복하여 도포하는 방법, 붓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식용 코팅제로는 식용가능하며 코팅 가능하게 물의 점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나 본 발명자의 다양한 실험에 의하여 평가해본 결과 아교, 젤라틴, 한천, 카세인, 알긴산나트륨, 잔탄검, 퀸스시드검, 하이드록시 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식용 코팅제의 사용은 이후의 발효 단계에서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에 아미노산을 공급하는 효모 영양제 역할을 하여 발효 역가를 높여주어 유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을 높임과 동시에 유효 성분의 함량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팅 용액을 만들기 위한 물과 식용 코팅제의 함량 비율을 물 1ℓ를 기준으로 식용 코팅제 100 내지 500g이 혼합되는 것이 코팅에 있어서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어서 증숙단계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는 스팀을 이용하여 쇠비름을 찌는 것으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양에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쇠비름을 증숙하는 것은 이후에 있을 발효 과정을 효율을 최대화하여 제조되는 쇠비름 추출물의 화장품으로서의 기능성 발휘를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증숙단계가 완료된 쇠비름에 대하여 자외선을 7 ~ 20시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단계를 실시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자외선은 전자기파 스펙트럼에서 보라색 띠에 인접한,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영역으로 320~400nm의 UV-A, 280~320nm의 UV-B, 100~280nm의 UV-C 어떠한 것도 이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한 자외선 조사 시간은 본 발명자의 다양한 실험 결과에 의해 측정된 것으로서 유효성분의 함량 증가를 위해서는 최소 7시간은 조사하여야 하며, 조사 시간에 따라 함량 증가의 폭이 커지기는 하나 20시간을 넘게 되면 증가의 의미가 미미하며, 전체 제조 공정이 너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어 추출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제조방법은 쇠비름을 열수 추출하여 복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제조하는 것으로 종료하거나 발효단계를 거치는 경우 쇠비름 추출물에 균을 접종하여 발효를 완료한 후에 복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제조하는 것으로 종료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증숙단계, 코팅단계 및 자외선 조사 단계를 완료한 후 열수 추출을 한 다음에 이후에 효소 처리 및 발효 단계를 거쳐 제조를 완료하게 되는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추출물을 발효함으로써 본 발명은 발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수 추출 단계는 통상의 열수 추출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어서 추출단계를 마친 추출물을 효소로 처리하는 효소처리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효소처리단계는 열수 추출물에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부가하고 25 내지 65℃에서 2 내지 7시간 동안 효소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온도와 시간 조건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험에 의해 효율적인 온도와 시간을 정한 것이며,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는 통상에 판매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예를 들면, 알파-아밀라제(α-amylase)로는 상표명 FURGAMYL, 셀룰라제(cellulase)로는 VISCOZYME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통한 효소처리단계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쇠비름 추출물 제조 방법은 쇠비름 추출물 전분의 알파 1, 4 결합과 베타 1, 4 결합을 끊어 발효단계의 발효 역가를 높여주고 유효 성분의 피부 흡수율을 높여주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어 발효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발효 단계를 실시하는 목적은 쇠비름 추출물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을 높이며 또한 유효 성분의 함량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효소처리가 완료된 추출물에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20 내지 40℃에서 10 내지 48시간 발효시키는 형태로 수행된다.
본 발명자는 다양한 효모를 통한 발효시험을 하였으나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통한 발효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여 선정한 것으로서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는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며, 본 발명자는 프랑스 FERMIVIN사에서 시판하는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발효단계를 시작하기 전에 온도는 80 내지 95℃로 상승시킨 후 3 내지 9시간 동안 방치하여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불활성화시키고 다른 균을 살균처리하는 것이 발효 단계의 수행에 바람직하다.
발효 용기로 사용되는 항아리는 사전에 알코올로 소독하고 산소가 통하는 종이로 봉인하고 그 위에 참숯을 올려놓아서 잡균 및 잡냄새의 침입을 막고 깨끗이 멸균한 천연 면소재의 천을 여러 겹 덮어서 보온을 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발효 단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보호범위가 후술하는 실시예와 시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쇠비름 추출물의 제조>
물1ℓ에 젤라틴 300g을 부가한 후 식용 코팅제가 용해되거나 물에 잘 풀어지도록 교반하면서 가온한 다음 세척한 쇠비름을 식용 코팅제가 담긴 용기에 넣어 삼 전면에 도포되도록 한 다음 꺼내고 어느 정도 건조된 다음 다시 담기는 과정을 4회 반복하면 코팅 단계는 완성하였다.
이어서 코팅된 쇠비름을 증숙기에 넣고 123℃에서 5시간 동안 가압상태에서 1차 증숙하하고 건조실에서 약 1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증숙이 완료된 쇠비름을 자외선을 14시간 동안 조사한 후 곱게 분쇄한 다음 85℃의 열수 5ℓ로 72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55℃로 낮춘 다음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 각각 30g을 부가한 후 3시간 동안 효소처리를 하였다.
효소처리 후 85℃ 상승시킨 다음 6시간 동안 이 온도를 유지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고 추출물을 살균하였다.
이어서 34℃로 온도를 낮춘 다음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24시간 동안 발효한 다음, 온도를 85℃로 상승시켜 24시간 동안 유지하여 살균처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쇠비름 추출물 제조를 완료하였다.
< 비교예 1>
세척한 쇠비름을 곱게 분쇄한 다음 85℃의 열수 5ℓ로 72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34℃로 온도를 낮춘 다음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24시간 동안 발효한 다음, 온도를 85℃로 상승시켜 24시간 동안 유지하여 살균처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쇠비름 추출물 제조를 완료하여, 코팅, 증숙, 자외선 조사, 효소처리에서 실시예 1과 차이가 있다.
<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효소처리를 하나 코팅, 증숙, 자외선 조사를 생략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것에 차이가 있다.
< 비교예 3>
어떠한 공정 없이 세척한 쇠비름을 곱게 분쇄한 다음 85℃의 열수 5ℓ로 72시간 동안 추출하여 쇠비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피부 보습효과 측정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쇠비름 추출물이 혼합된 미용팩을 표 1에 따라 제조하여 준비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쇠비름 추춤룰 30
폴리비닐알코올 14
글리세린 10
셀룰로오서검 0.3
PEG 4000 1
프로필렌글리콜 5
pH 조절제 적량
향, 색소,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이어서 물로 여러 차례 세안하게 한 후, 물기를 제거하고, 5분 경과 후 각각 피부에 바르게 하였다. 10분 후 corneometer(Courage-Khazaka Electronics, Germany ; CM 825)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10분 간격으로 5회 더 측정하였다. 실험시 실내온도는 23℃, 상대습도는 22%였고, 수분함량은 아래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3회 반복측정하여 평균수치를 사용하였으며, 40명에 대한 평균치를 아래 표 2에 기재하였다.
수분함량( % ) = 시료 도포후 수치 - 시료 도포전 수치
시간(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0 70.5 30.2 42.8 23.5
20 55.5 27.8 39.5 21.2
30 74.0 20.2 31.3 14.0
40 35.2 11.5 17.8 7.1
50 23.4 5.8 9.6 3.0
60 15.5 2.7 4.9 1.4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미용팩에 비해 본 발명의 미용팩을 사용한 경우의 수분함량 수치가 월등히 높았으며, 지속효과 또한 월등히 뛰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2> 주름방지효과 측정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에 대하여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엘라스타제(elastase) 저해활성의 측정은 아조카세인(azocasein)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즉, 0.2 M Tris-CI 버퍼(pH 8.0)에 아조카세인(azocasein) 0.005 g을 녹여서 기질로 사용하였다. 또한, 이 실험에서는 0.2 M Tris-CI 버퍼(pH 8.0)에 1 unit/100 ㎕ 엘라스타제와 0.8 mM N-Suc-(Ala)3-ρ-nitroanilide를 넣어 25℃에서 20 분간 반응시킨 후 4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기질로부터 생성되는 ρ-nitroanilide의 양을 정량하였다.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1 unit는 분당 1 umol의 ρ-nitroanilide을 생성하는 엘라스타제의 효소의 양으로 하였다. 또한, 저해활성은 아래의 식으로부터 계산한다.
[엘라스타제 저해활성도(%) = (1-B/A)×100]
* A : 무처리군의 엘라스타제
* B : 처리군의 엘라스타제
구분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실시예 1 89.9
비교예 1 39.4
비교예 2 45.5
비교예 3 21.2
상기의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추출물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이 89.9%로서 효과가 월등히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은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이 뛰어나 주름억제 기능이 탁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미백효과 측정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에 티로시네이즈(tyrosinase) 저해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대 상 Tyrosinase 저해활성(IC50)
실시예 1 0.65 mg/ml
비교예 1 1.82 mg/ml
비교예 2
비교예 3
상기의 표 3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추출물이 저해활성이 높아 미백활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쇠비름 추출물은 피부 보습 효과,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을 통한 피부 주름방지 효과, 티로시네이즈 저해활성을 통한 피부 미백 효과가 뛰어나 화장품 원료로서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물에 식용 코팅제를 혼합, 가온하여 점성의 코팅 용액을 만든 후 세척한 쇠비름을 쇠비름의 전면에 상기 코팅 용액이 도포 되도록 하는 코팅 단계;
    상기 코팅된 쇠비름을 70 내지 15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증숙하는 제1차 증숙단계;
    상기 증숙된 쇠비름을 자외선을 7 ~ 20시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단계;
    상기 자외선 조사 단계가 완료된 쇠비름을 70 내지 100℃의 열수로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의 추출물에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부가하고 25 내지 65℃에서 2 내지 7시간 동안 효소 처리하는 효소처리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가 완료된 추출물에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20 내지 40℃에서 10 내지 48시간 발효시키는 발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코팅제가 아교, 젤라틴, 한천, 카세인, 알긴산나트륨, 잔탄검, 퀸스시드검, 하이드록시 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용액이 물 1ℓ를 기준으로 식용 코팅제 100 내지 500g이 혼합되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처리단계 후 발효단계를 시작하기 전에 80 내지 95℃로 상승시킨 후 3 내지 9시간 동안 방치하여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를 불활성화시키고 살균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
KR1020190018406A 2019-02-18 2019-02-18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 KR102196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406A KR102196066B1 (ko) 2019-02-18 2019-02-18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406A KR102196066B1 (ko) 2019-02-18 2019-02-18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303A true KR20200100303A (ko) 2020-08-26
KR102196066B1 KR102196066B1 (ko) 2020-12-29

Family

ID=72242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406A KR102196066B1 (ko) 2019-02-18 2019-02-18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0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247B1 (ko) * 2021-07-02 2021-11-22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분산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쇠비름 유래 엑소좀의 정제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617819A (zh) * 2022-04-25 2022-06-14 广州善合化工有限公司 一种马齿苋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4704A (ko) 1996-06-28 1998-03-30 김광호 씨디-롬 드라이브에서의 서보 제어방법
KR19980014208A (ko) 1996-08-08 1998-05-25 김광호 디스크 어레이 장치 및 그 구현방법
KR19990019384A (ko) 1997-08-29 1999-03-15 양재신 차량용 캠 샤프트
KR19990025609A (ko) 1997-09-13 1999-04-06 전주범 인터넷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서의 패스워드 관리 방법
KR20050107423A (ko) 2003-02-13 2005-11-11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차량 전기 장비용 장착 구조체
KR20150066188A (ko) * 2013-12-06 2015-06-16 구동회 천연 미용액상비누의 제조방법
KR20160014888A (ko) 2014-07-30 2016-02-1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진세노사이드의 사이클로스포린에 의한 면역 반응 개선 용도
KR20160121627A (ko) * 2015-04-09 2016-10-20 주식회사 진생바이팜 흑삼 추출 발효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여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비듬 방지 및 두피 가려움을 해소하는 세정제 조성물
KR20170056830A (ko) * 2015-11-16 2017-05-24 박숙우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54218B1 (ko) * 2016-02-19 2017-07-06 (주)진셀팜 복합유산균 파쇄액 및 마치현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4704A (ko) 1996-06-28 1998-03-30 김광호 씨디-롬 드라이브에서의 서보 제어방법
KR19980014208A (ko) 1996-08-08 1998-05-25 김광호 디스크 어레이 장치 및 그 구현방법
KR19990019384A (ko) 1997-08-29 1999-03-15 양재신 차량용 캠 샤프트
KR19990025609A (ko) 1997-09-13 1999-04-06 전주범 인터넷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서의 패스워드 관리 방법
KR20050107423A (ko) 2003-02-13 2005-11-11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차량 전기 장비용 장착 구조체
KR20150066188A (ko) * 2013-12-06 2015-06-16 구동회 천연 미용액상비누의 제조방법
KR20160014888A (ko) 2014-07-30 2016-02-1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진세노사이드의 사이클로스포린에 의한 면역 반응 개선 용도
KR20160121627A (ko) * 2015-04-09 2016-10-20 주식회사 진생바이팜 흑삼 추출 발효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여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비듬 방지 및 두피 가려움을 해소하는 세정제 조성물
KR20170056830A (ko) * 2015-11-16 2017-05-24 박숙우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54218B1 (ko) * 2016-02-19 2017-07-06 (주)진셀팜 복합유산균 파쇄액 및 마치현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247B1 (ko) * 2021-07-02 2021-11-22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분산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쇠비름 유래 엑소좀의 정제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617819A (zh) * 2022-04-25 2022-06-14 广州善合化工有限公司 一种马齿苋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617819B (zh) * 2022-04-25 2023-06-09 广州善合化工有限公司 一种马齿苋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066B1 (ko)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907B1 (ko) 혈당조절 및 생리활성 작용을 하는 서목태(쥐눈이콩) 엑기스와 그 제조방법
KR101181515B1 (ko) 흑삼 제조방법
KR20090002677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2006708B1 (ko) 산양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CN103720631B (zh) 一种可食用的水果沐浴露及其制备方法
KR20100023478A (ko) 항균 및 방부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65592B1 (ko) 5-아미노레불린산 수화염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96066B1 (ko)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
CN103783192A (zh) 一种复方薏米红茶的加工方法
KR20170029105A (ko)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항아토피 및 무좀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195395B1 (ko)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화장료 조성물
KR20170121653A (ko) 한방약재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한방약재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소금의 용도
KR101251401B1 (ko)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물티슈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4660B1 (ko)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0277B1 (ko)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68881A (ko)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KR102067791B1 (ko) 산양산삼 발효 추출물과 오미자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78698B1 (ko) 양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관리 화장료 조성물
KR101539744B1 (ko)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 주방용 항균 세제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40390A (ko) 천연살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0099A (ko) 흑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