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299A -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299A
KR20200100299A KR1020190018395A KR20190018395A KR20200100299A KR 20200100299 A KR20200100299 A KR 20200100299A KR 1020190018395 A KR1020190018395 A KR 1020190018395A KR 20190018395 A KR20190018395 A KR 20190018395A KR 20200100299 A KR20200100299 A KR 20200100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substituted
unsubstituted
group
organic electrolumin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억
이혜진
김형호
문두환
김영환
김준우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엘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엘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엘엠
Priority to KR1020190018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0299A/ko
Priority to PCT/KR2020/000417 priority patent/WO2020171381A2/ko
Publication of KR20200100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56Ring systems containing three or more rings
    • C07D209/80[b, c]- or [b, d]-condensed
    • C07D209/82Carbazoles; Hydrogenated carb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H01L51/0072
    • H01L51/0073
    • H01L51/0074
    • H01L51/5056
    • H01L51/509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4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oxy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cumarine dy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6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sulfur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benzothioph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전기 발광 소자에 사용되는 화합물 유도체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페닐렌에 헤테로 사이클릭 방향족과 아민치환기가 연결된 방향족 아민 유도체에 대한 것이며, 이것을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유기층에 발광재료로 사용하면 낮은 구동전압으로도 높은 발광효율을 가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전기 발광 소자에 대한 것으로, 특히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발광 재료로 사용되는 방향족 아민 유도체에 대한 것이며, 더욱 자세하게는 페닐렌에 헤테로 사이클릭 방향족과 아민치환기가 연결된 방향족 아민 유도체를 제조하고 이를 유기 전기발광 소자에 이용하여 소자의 수명을 증가시키며, 발광 휘도와 발광 효율이 우수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저 전압구동, 자기발광, 경량 박형, 광 시야각 그리고 빠른 응답속도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 유기 전기발광 소자는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중의 하나로서 최근 가장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유기 전기발광 소자는 일반적으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유기박막이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양극에 인접한 유기층은 정공전달물질을 함유하며 유기 전기발광 소자 장치 내에서 단지 정공(hole)만을 주로 발광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유사하게, 음극에 인접한 유기층은 전자전달물질을 함유하며 유기 전기발광 소자 장치 내에서 단지 전자만을 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양극과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에서 재결합 후 여기 상태에서 기저 상태로 돌아가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유기막은 단순한 구조가 아닌 호스트와 도펀트로 구성되어 있는 발광층,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차단층, 정공차단층, 전자수송층 또는 전자주입층 등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구동 전압, 발광 효율 등의 발광 특성을 향상시키고 소자의 수명을 장시간으로 늘리기 위하여, 유기 전기발광 소자에 사용되는 유기박막 재료들의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 공보 제10-0846586호 대한민국 특허 공보 제10-1023624호 대한민국 특허 공보 제10-1125683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유기층에 발광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낮은 구동전압으로도 높은 발광효율을 가지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적안정성이 우수한 화합물과 이것을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유기 전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자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신규한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은 발광 효율과 연장된 수명을 갖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L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렌기, 또는 연결기(linker)이고,
A 및 B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렌환,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탈렌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난트렌환,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트렌환을 나타내고,
R1 내지 R3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중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또는 시아노기이고,
a는 0 내지 4의 정수이며, a가 2이상인 경우 괄호 안의 치환기는 같거나 상이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유기층에 발광재료로 사용하면 낮은 구동전압으로도 높은 발광효율을 가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높은 유리전이온도와 열분해 온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이것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유기 전기 발광 소자에 사용하여 발광특성을 평가한 결과, 전류 밀도, 휘도, 최고 휘도 그리고 발광 효율 여러 면에서 우수한 발광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사용하여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면, 기존의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가장 큰 단점인 발광 휘도와 발광 효율이 낮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전이온도도 높기 때문에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열적 안정성까지 뛰어나므로, 고성능의 유기 전기 발광 소자를 제작할 수 있고, 고효율, 고휘도 및 장수명이 요구되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족 아민 유도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다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37의 UV/Vis. 흡광도, 형광 PL 및 저온 PL 스펙트럼 그래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9의 시차주사열량계(DSC) 곡선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기 전기 발광 소자에서 유기 전기 발광 재료로써 사용하기에 유용한 방향족 아민 유도체 화합물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높은 유리 전이 온도와 우수한 정공 주입, 수송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여 유기 전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면 낮은 구동전압으로도 발광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어서, 소자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L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렌기, 또는 연결기(linker)이고,
A 및 B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렌환,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탈렌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난트렌환,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트렌환을 나타내고,
R1 내지 R3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중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또는 시아노기이고,
a는 0 내지 4의 정수이며, a가 2이상인 경우 괄호 안의 치환기는 같거나 상이하다.
상기 화학식 [1] 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이라 함은 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어떤 작용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어떠한 작용기에 의해서도 치환되지 않은 것을 뜻하고, 여기서 작용기라 함은 공통된 화학적 특성을 지니는 한 무리의 유기화합물에서 그 특성의 원인이 되는 공통된 원자단이거나 그것의 결합양식을 의미한다.
상기 아릴렌기(arylene group)는 아렌(arenes)의 양단의 탄소원자에서 수소원자가 하나씩 빠진 형태인 아렌디일기(arenediyl groups)일 수 있고, 상기 헤테로고리기는 적어도 1개의 산소원자, 황원자, 규소원자 및/또는 단일결합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렌(alkylene)기는 알케인(alkane)의 양단의 탄소원자에서 수소원자가 하나씩 빠진 형태(-CnH2n-)가 가능하며(예를 들면, 프로필렌(propylene)), 상기 알케닐렌(alkenylene)기는 알켄(alkene)의 양단의 탄소원자에서 수소원자가 하나씩 빠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L 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렌기, 헤테로고리기,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또는 연결기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중심구조가 페닐렌이고, 여기에 헤테로 사이클릭 방향족과 아민유도체가 오쏘(ortho) 위치로 연결된 방향족 아민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발광특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방향족 아민 유도체 화합물들에 대하여 오랜 기간 연구를 거듭하였고, 그 결과 중심구조는 페닐렌이고 여기에 한쪽은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 사이클릭 방향족이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아민유도체를 포함하는 치환기가 연결되며, 상기 헤테로 사이클릭 방향족과 아민유도체를 포함하는 치환기는 오쏘(ortho-) 위치로 연결된 화합물이, 종래보다 더욱 우수한 발광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한 후,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종래에 발광재료로 사용되던 많은 화합물들은 대부분 헤테로 사이클릭 방향족과 아민유도체가 파라(para-) 또는 메타(meta-) 위치로 연결되었다. 이는 구조적으로 분자간 수소결합을 통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다르게 헤테로 사이클릭 방향족과 아민유도체가 페닐렌을 중심으로 오쏘(ortho-) 위치로 연결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치환기 2개(헤테로 사이클릭 방향족과 아민유도체)가 서로 근접하기 때문에 분자내 수소결합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분자 구조 측면에서 극성이 큰 특징을 가진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유기층에 발광재료로 사용하면, 종래의 다른 화합물보다 낮은 구동전압으로도 높은 발광효율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구조적으로 종래에 다른 화합물과 상이할 뿐만 아니라, 높은 유리전이온도와 열분해 온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유기 전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발광 재료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사용하여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면, 기존의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가장 큰 단점인 발광 휘도와 발광 효율이 낮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전이온도도 높기 때문에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열적 안정성까지 뛰어나므로, 고성능의 유기 전기 발광 소자를 제작할 수 있고, 고효율, 고휘도 및 장수명이 요구되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17]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17]에서, L, R1 내지 R3 및 a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즉,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렌환, 나프탈렌환, 또는 페난트렌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페닐렌에 연결된 헤테로 사이클릭 방향족이 질소로 연결된 것이고, 상기 사이클릭 방향족은 페닐렌환, 나프탈렌환, 페난트렌환, 또는 아트렌환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페닐렌환, 나프탈렌환, 또는 페난트렌환인 것(예를 들어,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17])이 바람직하고, 페닐렌환, 또는 나프탈렌환인 것(예를 들어,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11])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A와 B는 각각 페닐렌환 및 나프탈렌환이거나, 또는 동시에 페닐렌환인 것(예를 들어,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5])이 가장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A 및 B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렌환, 나프탈렌환, 또는 페난트렌환인 경우에는, 종래보다 더욱 우수한 발광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18] 내지 화학식 [24]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인 것도 가능하다.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8] 내지 화학식 [24]에서, R1 내지 R3 및 a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고,
L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이고,
L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렌기이고,
R4 및 R5는 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중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또는 시아노기이고,
R11 및 R1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중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고,
b 및 c는 0 내지 3의 정수이며, b 및 c가 2이상인 경우 괄호 안의 치환기는 같거나 상이하다.
즉, 상기 화학식 [1]에서 L 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렌기, 헤테로고리기,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또는 연결기일 수 있고(예를 들어, 화학식 [18] 내지 화학식 [24]), 그 중에서도 연결기, 아릴렌기, 또는 헤테로고리기인 것(예를 들어, 화학식 [18] 내지 화학식 [23])이 바람직하고, 연결기 또는 아릴렌기인 것(예를 들어, 화학식 [18] 내지 화학식 [20])이 더욱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화학식 [1]에서 L 이 연결기, 아릴렌기, 또는 헤테로고리기인 경우에는 종래보다 더욱 우수한 발광특성을 나타내었다. 그 중에서도 L 이 연결기, 또는 아릴렌기인 경우에는 정공이동도가 우수해서 정공수송층이나 전자저지층으로 사용한 모든 경우에서 더 더욱 우수한 발광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화학식 [1]에서, R1과 R2는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R3는 수소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방향족 아민 유도체로서, 특별히 높은 발광 효율과 긴 수명의 유기 전기 발광 소자를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인 예는 하기 구조식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발광 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방향족 아민 유도체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조성물 또는 유기 발광 재료일 수 있다. 이러한 유도체, 조성물 또는 재료를 유기 전기 발광 소자에 사용하면 고 발광효율을 얻을 수 있고, 상기 방향족 아민 유도체의 유리전이 온도가 높기 때문에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방향족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저지층, 전자주입층, 전자수송층 또는 발광층이나 도펀트로 사용되는 물질이며, 바람직하게는, 정공수송층이나 전자저지층으로 사용될 때 가장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뿐만 아니라 유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유기 레이저 다이오드, 유기 태양 전지, 유기 발광 전기화학 전지 및 유기 집적 회로 등의 분야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족 아민 유도체들은 고순도를 요구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특성상 재결정과 승화법을 이용하여 정제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합물 1의 제조
Figure pat00010
1-1. 화합물 1-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화합물 카바졸 9.7 g (0.058 mol)을 투입하고 다이메틸설폭사이드 20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1,2-디브로모벤젠 15 g, 구리 분말 3.7 g, 탄산 칼륨 12 g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가열하여 20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과 증류수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건조시킨 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1-1 10.3 g (수율 55%)을 얻었다.
1-2. 화합물 1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N-페닐나프탈렌-1-아민 5.2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1 9.1 g (수율 87%)을 얻었다.
[실시예 2] 화합물 2의 제조
Figure pat00011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디((1,1`-비페닐)-4-일)아민 7.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2 10.6 g (수율 83%)을 얻었다.
[실시예 3] 화합물 3의 제조
Figure pat00012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N-((1,1`-비페닐)-4-일)나프탈렌-2-아민 7.1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 10.4 g (수율 85%)을 얻었다.
[실시예 4] 화합물 4의 제조
Figure pat00013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9,9-디메틸-N-페닐-9H-프루오렌-2-아민 6.8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4 9.0 g (수율 75%)을 얻었다.
[실시예 5] 화합물 5의 제조
Figure pat00014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9,9-디메틸-N-(나프탈렌-2-일)-9H-프루오렌-2-아민 8.0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5 9.7 g (수율 74%)을 얻었다.
[실시예 6] 화합물 6의 제조
Figure pat00015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N-((1,1`-비페닐)-4-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8.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6 11.0 g (수율 80%)을 얻었다.
[실시예 7] 화합물 7의 제조
Figure pat00016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N-((1,1`-비페닐)-3-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8.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2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7 11.1 g (수율 81%)을 얻었다.
[실시예 8] 화합물 8의 제조
Figure pat00017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N-((1,1`-비페닐)-2-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8.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2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8 11.4 g (수율 83%)을 얻었다.
[실시예 9] 화합물 9의 제조
Figure pat00018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N-((1,1`-비페닐)-4-일)-9,9-디페닐-9H-플루오렌-2-아민 11.6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4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9 11.8 g (수율 71%)을 얻었다.
[실시예 10] 화합물 10의 제조
Figure pat00019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N-((1,1`-비페닐)-2-일)-9,9-디페닐-9H-플루오렌-2-아민 11.6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2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10 11.4 g (수율 69%)을 얻었다.
[실시예 11] 화합물 11의 제조
Figure pat00020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N-페닐디벤조[b,d]-퓨란-4-아민 6.5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11 8.2 g (수율 72%)을 얻었다.
[실시예 12] 화합물 12의 제조
Figure pat00021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N-((1,1`-비페닐)-4-일)디벤조[b,d]-퓨란-4-아민 8.4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4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12 9.2 g (수율 70%)을 얻었다.
[실시예 13] 화합물 13의 제조
Figure pat00022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N,6-디페닐디벤조[b,d]-퓨란-4-아민 8.4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13 7.9 g (수율 60%)을 얻었다.
[실시예 14] 화합물 14의 제조
Figure pat00023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N-((1,1`-비페닐-4-일)-6-페닐디벤조[b,d]-퓨란-4-아민 9.9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5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14 8.0 g (수율 54%)을 얻었다.
[실시예 15] 화합물 15의 제조
Figure pat00024
15-1. 화합물 15-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2,7-디브로모-9,9-디메틸-9H-플루오렌 9.5 g (0.027 mol)을 투입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페닐보로닉 액시드 3.7 g, 3M-탄산칼륨 수용액 27 mL 그리고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디움(0) 0.5 g을 투입 후 반응액을 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농축한 다음 메탄올을 가하여 석출된 고체를 진공 여과하였다. 모아진 고체 화합물을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15-1 5.2 g (수율 55%)을 얻었다.
15-2. 화합물 15-2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실시예 15-1에서 제조한 화합물 15-1 5.2 g (0.015 mol)을 투입하고 톨루엔 30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화합물 (1,1`-비페닐)-4-아민 2.5 g,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디움(0) 0.07 g, 트리-(t-부틸)포스핀 0.03 g 그리고 소디움 t-부톡시드 1.8 g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15-2 5.2 g (수율 80%)을 얻었다.
15-3. 화합물 15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3.7 g (0.011 mol)에 실시예 15-2에서 제조한 화합물 15-2 5.2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2 g, 트리-(t-부틸)포스핀 0.03 g, 소디움 t-부톡시드 1.4 g 그리고 o-자일렌 7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15 5.2 g (수율 67%)을 얻었다.
[실시예 16] 화합물 16의 제조
Figure pat00025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N-페닐디벤조[b,d]티오펜-4-아민 6.6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16 7.1 g (수율 60%)을 얻었다.
[실시예 17] 화합물 17의 제조
Figure pat00026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N,6-디페닐디벤조[b,d]티오펜-4-아민 8.4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5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17 7.6 g (수율 56%)을 얻었다.
[실시예 18] 화합물 18의 제조
Figure pat00027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비스(9,9-디메틸-9H-프루오렌-2-일)아민 10.1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6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18 6.9 g (수율 47%)을 얻었다.
[실시예 19] 화합물 19의 제조
Figure pat00028
19-1. 화합물 19-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화합물 5H-벤조[b]카바졸 12.6 g (0.058 mol)을 투입하고 다이메틸설폭사이드 20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1,2-디브로모벤젠 15 g, 구리 분말 3.7 g, 탄산 칼륨 12 g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가열하여 20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과 증류수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건조시킨 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19-1 10.3 g (수율 55%)을 얻었다.
19-2. 화합물 19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9-1에서 제조한 화합물 19-1 8.5 g (0.023 mol)에 N-((1,1`-비페닐)-4-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8.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10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19 11.2 g (수율 75%)을 얻었다.
[실시예 20] 화합물 20의 제조
Figure pat00029
20-1. 화합물 20-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화합물 11H-벤조[a]카바졸 12.6 g (0.058 mol)을 투입하고 다이메틸설폭사이드 20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1,2-디브로모벤젠 15 g, 구리 분말 3.7 g, 탄산 칼륨 12 g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가열하여 20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과 증류수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건조시킨 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20-1 9.4 g (수율 50%)을 얻었다.
20-2. 화합물 20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20-1에서 제조한 화합물 20-1 8.5 g (0.023 mol)에 N-((1,1`-비페닐)-4-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8.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10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20 8.9 g (수율 60%)을 얻었다.
[실시예 21] 화합물 21의 제조
Figure pat00030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9-1에서 제조한 화합물 19-1 8.5 g (0.023 mol)에 N-((1,1`-비페닐)-2-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8.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10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21 10.6 g (수율 71%)을 얻었다.
[실시예 22] 화합물 22의 제조
Figure pat00031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20-1에서 제조한 화합물 20-1 8.5 g (0.023 mol)에 N-((1,1`-비페닐)-2-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8.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10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22 7.7 g (수율 52%)을 얻었다.
[실시예 23] 화합물 23의 제조
Figure pat00032
23-1. 화합물 23-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3,5-디페닐브로모벤젠 4.6 g (0.015 mol)을 투입하고 톨루엔 15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3.1 g,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디움(0) 0.07 g, 트리-(t-부틸)포스핀 0.03 g 그리고 소디움 t-부톡시드 1.8 g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23-1 4.9 g (수율 75%)을 얻었다.
23-2. 화합물 23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3.7 g (0.011 mol)에 실시예 15-2에서 제조한 화합물 23-1 4.9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2 g, 트리-(t-부틸)포스핀 0.03 g, 소디움 t-부톡시드 1.4 g 그리고 o-자일렌 7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23 5.3 g (수율 71%)을 얻었다.
[실시예 24] 화합물 24의 제조
Figure pat00033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N-((1,1`-비페닐)-4-일)-9,9-디메틸-9H-플루오렌-1-아민 9.2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2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24 7.4 g (수율 54%)을 얻었다.
[실시예 25] 화합물 25의 제조
Figure pat00034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7.4 g (0.023 mol)에 N-((1,1`-비페닐)-4-일)-9,9-디메틸-9H-플루오렌-1-아민 9.2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2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25 8.4 g (수율 61%)을 얻었다.
[실시예 26] 화합물 26의 제조
Figure pat00035
26-1. 화합물 26-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화합물 9H-나프토[2,1-c]카바졸 15.5 g (0.058 mol)을 투입하고 다이메틸설폭사이드 30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1,2-디브로모벤젠 15 g, 구리 분말 3.7 g, 탄산 칼륨 12 g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가열하여 20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과 증류수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건조시킨 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26-1 10.3 g (수율 43%)을 얻었다.
26-2. 화합물 26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26-1에서 제조한 화합물 26-1 9.6 g (0.023 mol)에 N-((1,1`-비페닐)-4-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8.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10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6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26 8.8 g (수율 55%)을 얻었다.
[실시예 27] 화합물 27의 제조
Figure pat00036
27-1. 화합물 27-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화합물 7H-벤조[c]카바졸 12.6 g (0.058 mol)을 투입하고 다이메틸설폭사이드 30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1,2-디브로모벤젠 15 g, 구리 분말 3.7 g, 탄산 칼륨 12 g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가열하여 20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과 증류수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건조시킨 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27-1 10.1 g (수율 47%)을 얻었다.
27-2. 화합물 27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27-1에서 제조한 화합물 27-1 8.56 g (0.023 mol)에 N-((1,1`-비페닐)-4-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8.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10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6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27 8.5 g (수율 57%)을 얻었다.
[실시예 28] 화합물 28의 제조
Figure pat00037
28-1. 화합물 28-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화합물 카바졸 9.7 g (0.058 mol)을 투입하고 다이메틸설폭사이드 20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4,5-디메틸-1,2-디브로모벤젠 24.8 g, 구리 분말 3.7 g, 탄산 칼륨 12 g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가열하여 20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과 증류수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건조시킨 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28-1 13.5 g (수율 49%)을 얻었다.
28-2. 화합물 28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28-1에서 제조한 화합물 28-1 10.8 g (0.023 mol)에 N-((1,1`-비페닐)-4-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8.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8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5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28 6.7 g (수율 39%)을 얻었다.
[실시예 29] 화합물 29의 제조
Figure pat00038
29-1. 화합물 29-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화합물 3,6-디페닐-9H-카바졸 18.5 g (0.058 mol)을 투입하고 다이메틸설폭사이드 36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1,2-디브로모벤젠 15 g, 구리 분말 3.7 g, 탄산 칼륨 12 g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가열하여 20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과 증류수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건조시킨 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29-1 15.1 g (수율 55%)을 얻었다.
29-2. 화합물 29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29-1에서 제조한 화합물 29-1 10.8 g (0.023 mol)에 N-((1,1`-비페닐)-4-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8.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10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6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29 10.3 g (수율 60%)을 얻었다.
[실시예 30] 화합물 30의 제조
Figure pat00039
30-1. 화합물 30-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2-(4-브로모페닐)-9,9-디메틸-9H-플루오렌 5.2 g (0.015 mol)을 투입하고 톨루엔 15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1,1`-비페닐)-2-아민 3.1 g,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디움(0) 0.07 g, 트리-(t-부틸)포스핀 0.03 g 그리고 소디움 t-부톡시드 1.8 g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0-1 4.7 g (수율 71%)을 얻었다.
30-2. 화합물 30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3.5 g (0.011 mol)에 실시예 30-1에서 제조한 화합물 30-1 4.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2 g, 트리-(t-부틸)포스핀 0.03 g, 소디움 t-부톡시드 1.4 g 그리고 o-자일렌 7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0 4.6 g (수율 61%)을 얻었다.
[실시예 31] 화합물 31의 제조
Figure pat00040
31-1. 화합물 31-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4-브로모-9,9`-스피로비(플루오렌) 5.9 g (0.015 mol)을 투입하고 톨루엔 15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1,1`-비페닐)-4-아민 3.1 g,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디움(0) 0.07 g, 트리-(t-부틸)포스핀 0.03 g 그리고 소디움 t-부톡시드 1.8 g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5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1-1 5.4 g (수율 75%)을 얻었다.
31-2. 화합물 31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3.5 g (0.011 mol)에 실시예 31-1에서 제조한 화합물 31-1 5.3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2 g, 트리-(t-부틸)포스핀 0.03 g, 소디움 t-부톡시드 1.4 g 그리고 o-자일렌 7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5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1 5.3 g (수율 67%)을 얻었다.
[실시예 32] 화합물 32의 제조
Figure pat00041
32-1. 화합물 32-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2-브로모-9,9`-스피로비(플루오렌) 6.3 g (0.015 mol)을 투입하고 톨루엔 15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1,1`-비페닐)-4-아민 3.2 g,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디움(0) 0.07 g, 트리-(t-부틸)포스핀 0.03 g 그리고 소디움 t-부톡시드 1.9 g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5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2-1 5.5 g (수율 71%)을 얻었다.
32-2. 화합물 32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3.5 g (0.011 mol)에 실시예 32-1에서 제조한 화합물 32-1 5.3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2 g, 트리-(t-부틸)포스핀 0.03 g, 소디움 t-부톡시드 1.4 g 그리고 o-자일렌 7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5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2 4.8 g (수율 60%)을 얻었다.
[실시예 33] 화합물 33의 제조
Figure pat00042
33-1. 화합물 33-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2-브로모-9,9`-스피로비(플루오렌) 11.9g (0.030 mol)을 투입하고 톨루엔 25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1,1`-비페닐)-2-아민 6.5 g,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디움(0) 0.14 g, 트리-(t-부틸)포스핀 0.06 g 그리고 소디움 t-부톡시드 3.8 g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4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3-1 9.1 g (수율 63%)을 얻었다.
33-2. 화합물 33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3.5 g (0.011 mol)에 실시예 33-1에서 제조한 화합물 33-1 5.3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2 g, 트리-(t-부틸)포스핀 0.03 g, 소디움 t-부톡시드 1.4 g 그리고 o-자일렌 7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5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3 4.1 g (수율 52%)을 얻었다.
[실시예 34] 화합물 34의 제조
Figure pat00043
34-1. 화합물 34-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4-브로모-9,9`-스피로비(플루오렌) 11.9g (0.030 mol)을 투입하고 톨루엔 25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1,1`-비페닐)-2-아민 6.5 g,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디움(0) 0.14 g, 트리-(t-부틸)포스핀 0.06 g 그리고 소디움 t-부톡시드 3.8 g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4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4-1 9.7 g (수율 67%)을 얻었다.
34-2. 화합물 34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3.5 g (0.011 mol)에 실시예 34-1에서 제조한 화합물 34-1 5.3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2 g, 트리-(t-부틸)포스핀 0.03 g, 소디움 t-부톡시드 1.4 g 그리고 o-자일렌 7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4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4 4.6 g (수율 58%)을 얻었다.
[실시예 35] 화합물 35의 제조
Figure pat00044
35-1. 화합물 35-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8.7 g (0.027 mol)을 투입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4-클로로페닐)보로닉 액시드 4.6 g, 3M-탄산칼륨 수용액 27 mL 그리고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디움(0) 0.5 g을 투입 후 반응액을 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농축한 다음 메탄올을 가하여 석출된 고체를 진공 여과하였다. 모아진 고체 화합물을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5-1 6.8 g (수율 71%)을 얻었다.
35-2. 화합물 35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35-1에서 제조한 화합물 35-1 3.9 g (0.011 mol)에 디((1,1`-비페닐)-4-일)아민 3.9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2 g, 트리-(t-부틸)포스핀 0.03 g, 소디움 t-부톡시드 1.4 g 그리고 o-자일렌 6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4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5 5.8 g (수율 82%)을 얻었다.
[실시예 36] 화합물 36의 제조
Figure pat00045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35-1에서 제조한 화합물 35-1 8.1 g (0.023 mol)에 N-((1,1`-비페닐)-4-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8.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10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6 11.9 g (수율 77%)을 얻었다.
[실시예 37] 화합물 37의 제조
Figure pat00046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35-1에서 제조한 화합물 35-1 8.1 g (0.023 mol)에 N-((1,1`-비페닐)-3-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8.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10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7 9.9 g (수율 64%)을 얻었다.
[실시예 38] 화합물 38의 제조
Figure pat00047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35-1에서 제조한 화합물 35-1 8.1 g (0.023 mol)에 N-((1,1`-비페닐)-2-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8.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10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8 11.1 g (수율 72%)을 얻었다.
[실시예 39] 화합물 39의 제조
Figure pat00048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35-1에서 제조한 화합물 35-1 8.1 g (0.023 mol)에 N-((1,1`-비페닐)-4-일)-9,9-디페닐-9H-플루오렌-2-아민 8.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10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5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9 13.2 g (수율 72%)을 얻었다.
[실시예 40] 화합물 40의 제조
Figure pat00049
40-1. 화합물 40-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8.7 g (0.027 mol)을 투입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2-클로로페닐)보로닉 액시드 4.6 g, 3M-탄산칼륨 수용액 27 mL 그리고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디움(0) 0.5 g을 투입 후 반응액을 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농축한 다음 메탄올을 가하여 석출된 고체를 진공 여과하였다. 모아진 고체 화합물을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40-1 5.8 g (수율 61%)을 얻었다.
40-2. 화합물 40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40-1에서 제조한 화합물 40-1 3.9 g (0.011 mol)에 N-((1,1`-비페닐)-4-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4.4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2 g, 트리-(t-부틸)포스핀 0.03 g, 소디움 t-부톡시드 1.4 g 그리고 o-자일렌 6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4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40 5.7 g (수율 76%)을 얻었다.
[실시예 41] 화합물 41의 제조
Figure pat00050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40-1에서 제조한 화합물 40-1 8.1 g (0.023 mol)에 N-((1,1`-비페닐)-2-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8.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10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41 8.5 g (수율 55%)을 얻었다.
[실시예 42] 화합물 42의 제조
Figure pat00051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40-1에서 제조한 화합물 40-1 8.1 g (0.023 mol)에 N-페닐디벤조[b,d]-퓨란-4-아민 6.5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10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3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42 9.2 g (수율 70%)을 얻었다.
[실시예 43] 화합물 43의 제조
Figure pat00052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40-1에서 제조한 화합물 40-1 8.1 g (0.023 mol)에 N,6-디페닐디벤조[b,d]-퓨란-4-아민 8.4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10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5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43 9.1 g (수율 61%)을 얻었다.
[실시예 44] 화합물 44의 제조
Figure pat00053
44-1. 화합물 44-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 8.7 g (0.027 mol)을 투입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4-클로로나프탈렌-1-일)보로닉 액시드 6.1 g, 3M-탄산칼륨 수용액 27 mL 그리고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디움(0) 0.5 g을 투입 후 반응액을 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농축한 다음 메탄올을 가하여 석출된 고체를 진공 여과하였다. 모아진 고체 화합물을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44-1 5.6 g (수율 51%)을 얻었다.
44-2. 화합물 44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44-1에서 제조한 화합물 44-1 4.4 g (0.011 mol)에 N-((1,1`-비페닐)-4-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4.4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2 g, 트리-(t-부틸)포스핀 0.03 g, 소디움 t-부톡시드 1.4 g 그리고 o-자일렌 6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4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44 6.0 g (수율 75%)을 얻었다.
[실시예 45] 화합물 45의 제조
Figure pat00054
45-1. 화합물 45-1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화합물 카바졸 9.7 g (0.058 mol)을 투입하고 다이메틸설폭사이드 20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2,2`-디브로모-4,4`,5,5`-테트라메틸-1,1`-비페닐 21.3 g, 구리 분말 3.7 g, 탄산 칼륨 12 g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가열하여 20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과 증류수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45-1 16.4 g (수율 52%)을 얻었다.
45-2. 화합물 45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45-1에서 제조한 화합물 45-1 10.5g (0.023 mol)에 N-((1,1`-비페닐)-4-일)-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8.7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15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5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45 11.4 g (수율 68%)을 얻었다.
[실시예 46] 화합물 46의 제조
Figure pat00055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35-1에서 제조한 화합물 35-1 8.1 g (0.023 mol)에 실시예 31-1에서 제조한 화합물 31-1 11.6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10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4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46 12.2 g (수율 67%)을 얻었다.
[실시예 47] 화합물 47의 제조
Figure pat00056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35-1에서 제조한 화합물 35-1 8.1 g (0.023 mol)에 실시예 32-1에서 제조한 화합물 32-1 11.6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0.05 g, 소디움 t-부톡시드 2.8 g 그리고 o-자일렌 10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4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한 다음 컬럼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47 12.8 g (수율 70%)을 얻었다
[실시예 48]
막 두께가 1200Å인 인듐 주석 산화물 (ITO)의 투명성 양극을 형성시킨 리 기판을 완전히 세척 후 진공 증착장치에 넣어 약 10-7 torr로 감압하였다. 이어서 하기 화합물 RHI를 두께가 5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정공주입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 1을 두께가 80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정공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하기 화합물 RHT2를 두께가 15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전자저지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청색 호스트인 하기 화합물 BH1과 청색 도판트인 하기 화합물 BD1을 중량비 97 : 3 비율로 동시에 증착하여 두께가 250Å이 되도록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엘엠 제품의 화합물 EET1를 두께가 20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전자수송층 1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엘엠 제품의 화합물 EET2를 두께가 5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전자수송층 2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리튬 프루오라이드 (LiF)를 두께가 15Å이 되도록 증착시켜 전자주입층을 형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알루미늄을 두께가 2000Å이 되도록 증착하여 음극을 형성시켰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유기 전기발광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여 발광시험을 실시하였다. 휘도 500cd/m2에서의 측정된 인가 전압, 발광 효율 그리고 발광색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57
[실시예 49]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50]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51]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4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52]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53]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6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54]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55]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8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56]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9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57]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1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58]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11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59]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1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60]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16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61]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19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62]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2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63]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2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64]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2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65]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28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66]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31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67]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3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68]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3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69]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34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70]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3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71]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36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72]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3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73]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38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74]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4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75]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46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76]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화합물 4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77]
막 두께가 1200Å인 인듐 주석 산화물 (ITO)의 투명성 양극을 형성시킨 리 기판을 완전히 세척 후 진공 증착장치에 넣어 약 10-7 torr로 감압하였다. 이어서 하기 화합물 RHI를 두께가 5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정공주입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상기 화합물 RHT1을 두께가 80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정공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 6을 두께가 15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전자저지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청색 호스트인 하기 화합물 BH1과 청색 도판트인 하기 화합물 BD1을 중량비 97 : 3 비율로 동시에 증착하여 두께가 250Å이 되도록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엘엠 제품의 화합물 EET1를 두께가 20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전자수송층 1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엘엠 제품의 화합물 EET2를 두께가 5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전자수송층 2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리튬 프루오라이드 (LiF)를 두께가 15Å이 되도록 증착시켜 전자주입층을 형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알루미늄을 두께가 2000Å이 되도록 증착하여 음극을 형성시켰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유기 전기발광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여 발광시험을 실시하였다. 휘도 500cd/m2에서의 측정된 인가 전압, 발광 효율 그리고 발광색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8]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79]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8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80]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9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81]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1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82]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11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83]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1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84]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1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85]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14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86]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1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87]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16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88]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1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89]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18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90]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19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91]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2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92]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21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93]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2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94]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2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95]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24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96]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2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97]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26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98]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2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99]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28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00]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29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01]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3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02]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31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03]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3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04]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3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05]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34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06]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3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07]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36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08]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3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09]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38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10]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39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11]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4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12]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41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13]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4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14]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4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15]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44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16]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4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17]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46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18]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4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상기 화합물 RHT1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상기 화합물 RHT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상기 화합물 RHT4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상기 화합물 RHT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48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합물 1 대신 상기 화합물 RHT6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8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RHT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RHT8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비교예 8]
상기 실시예 77에서, 전자저지층으로 화합물 6 대신 화합물 RHT9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7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58
실시예 정공수송층
재료
전자저지층
재료
구동전압
(V)
발광효율
(cd/A)
발광색
실시예 48 화합물 1 RHT2 4.4 6.2 청색
실시예 49 화합물 2 RHT2 4.3 7.2 청색
실시예 50 화합물 3 RHT2 4.5 6.8 청색
실시예 51 화합물 4 RHT2 4.4 7.0 청색
실시예 52 화합물 5 RHT2 4.5 6.9 청색
실시예 53 화합물 6 RHT2 3.9 8.0 청색
실시예 54 화합물 7 RHT2 4.0 7.8 청색
실시예 55 화합물 8 RHT2 3.8 8.0 청색
실시예 56 화합물 9 RHT2 4.0 7.8 청색
실시예 57 화합물 10 RHT2 4.2 7.4 청색
실시예 58 화합물 11 RHT2 4.8 6.9 청색
실시예 59 화합물 15 RHT2 4.6 7.0 청색
실시예 60 화합물 16 RHT2 4.8 6.8 청색
실시예 61 화합물 19 RHT2 4.2 7.3 청색
실시예 62 화합물 20 RHT2 4.5 7.2 청색
실시예 63 화합물 22 RHT2 4.3 7.4 청색
실시예 64 화합물 25 RHT2 4.0 7.7 청색
실시예 65 화합물 28 RHT2 4.8 6.9 청색
실시예 66 화합물 31 RHT2 4.0 7.8 청색
실시예 67 화합물 32 RHT2 4.1 7.7 청색
실시예 68 화합물 33 RHT2 4.2 7.0 청색
실시예 69 화합물 34 RHT2 4.2 7.1 청색
실시예 70 화합물 35 RHT2 4.4 7.2 청색
실시예 71 화합물 36 RHT2 3.9 7.8 청색
실시예 72 화합물 37 RHT2 4.2 7.0 청색
실시예 73 화합물 38 RHT2 4.3 7.5 청색
실시예 74 화합물 40 RHT2 4.2 7.4 청색
실시예 75 화합물 46 RHT2 4.1 7.8 청색
실시예 76 화합물 47 RHT2 4.0 7.7 청색
실시예 77 RHT1 화합물 6 3.7 8.1 청색
실시예 78 RHT1 화합물 7 4.1 7.6 청색
실시예 79 RHT1 화합물 8 3.7 8.0 청색
실시예 80 RHT1 화합물 9 4.1 7.5 청색
실시예 81 RHT1 화합물 10 4.3 7.0 청색
실시예 82 RHT1 화합물 11 4.0 7.6 청색
실시예 83 RHT1 화합물 12 4.4 7.0 청색
실시예 84 RHT1 화합물 13 4.2 7.2 청색
실시예 85 RHT1 화합물 14 4.2 6.8 청색
실시예 86 RHT1 화합물 15 4.5 7.3 청색
실시예 87 RHT1 화합물 16 4.4 7.0 청색
실시예 88 RHT1 화합물 17 4.6 6.8 청색
실시예 89 RHT1 화합물 18 4.2 7.3 청색
실시예 90 RHT1 화합물 19 3.9 7.9 청색
실시예 91 RHT1 화합물 20 4.2 7.0 청색
실시예 정공수송층
재료
전자저지층
재료
구동전압
(V)
발광효율
(cd/A)
발광색
실시예 92 RHT1 화합물 21 4.4 7.2 청색
실시예 93 RHT1 화합물 22 4.5 6.5 청색
실시예 94 RHT1 화합물 23 4.3 6.6 청색
실시예 95 RHT1 화합물 24 4.0 7.7 청색
실시예 96 RHT1 화합물 25 4.1 7.0 청색
실시예 97 RHT1 화합물 26 4.5 7.0 청색
실시예 98 RHT1 화합물 27 4.2 7.4 청색
실시예 99 RHT1 화합물 28 3.9 7.8 청색
실시예 100 RHT1 화합물 29 4.7 6.8 청색
실시예 101 RHT1 화합물 30 4.8 6.5 청색
실시예 102 RHT1 화합물 31 4.0 8.0 청색
실시예 103 RHT1 화합물 32 4.0 8.1 청색
실시예 104 RHT1 화합물 33 4.2 7.4 청색
실시예 105 RHT1 화합물 34 4.3 7.5 청색
실시예 106 RHT1 화합물 35 4.2 7.4 청색
실시예 107 RHT1 화합물 36 4.1 7.6 청색
실시예 108 RHT1 화합물 37 4.4 7.2 청색
실시예 109 RHT1 화합물 38 4.2 7.2 청색
실시예 110 RHT1 화합물 39 4.2 7.5 청색
실시예 111 RHT1 화합물 40 4.4 7.2 청색
실시예 112 RHT1 화합물 41 4.5 7.0 청색
실시예 113 RHT1 화합물 42 4.1 7.5 청색
실시예 114 RHT1 화합물 43 4.0 7.7 청색
실시예 115 RHT1 화합물 44 4.7 6.5 청색
실시예 116 RHT1 화합물 45 4.6 6.9 청색
실시예 117 RHT1 화합물 46 4.2 7.8 청색
실시예 118 RHT1 화합물 47 4.2 7.7 청색
비교예 1 RHT1 RHT2 5.6 5.5 청색
비교예 2 RHT3 RHT2 5.5 6.0 청색
비교예 3 RHT4 RHT2 5.3 6.1 청색
비교예 4 RHT5 RHT2 5.8 5.8 청색
비교예 5 RHT6 RHT2 5.6 5.6 청색
비교예 6 RHT1 RHT7 5.0 6.0 청색
비교예 7 RHT1 RHT8 5.2 6.3 청색
비교예 8 RHT1 RHT9 5.3 5.7 청색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48 내지 118에 따른 유기 전기발광 소자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8 보다 높은 휘도 및 효율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1 내지 47은 모두 중심구조가 페닐렌이고 여기에 한쪽은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 사이클릭 방향족이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아민유도체를 포함하는 치환기가 연결되며, 상기 헤테로 사이클릭 방향족과 아민유도체를 포함하는 치환기는 오쏘(ortho-) 위치로 연결된 것인데, 그렇지 않은 경우(비교예 1 내지 8)와 비교하여, 구동전압은 더 낮고 발광효율은 더 높은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1]에서, A와 B가 모두 페닐렌환인 경우(예를 들어, 화합물 6, 7, 8, 9, 28, 31, 32, 36)에는, A와 B 중 하나가 나프탈렌환이거나(화합물 19, 20, 22, 27) 또는 A와 B 중 하나가 페난트렌환인 경우(화합물 26)보다, 더 낮은 구동전압에서 더욱 우수한 발광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1]에서, L이 연결기 또는 페닐렌인 경우(예를 들어, 화합물 6, 7, 8, 9, 28, 31, 32, 36)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L이 나프탈렌인 화합물 44인 경우)보다, 더 낮은 구동전압에서 더욱 우수한 발광효율을 나타내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 [1]
    Figure pat00059

    상기 화학식 [1]에서, L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렌기, 또는 연결기(linker)이고,
    A 및 B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렌환,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탈렌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난트렌환,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트렌환을 나타내고,
    R1 내지 R3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중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또는 시아노기이고,
    a는 0 내지 4의 정수이며, a가 2이상인 경우 괄호 안의 치환기는 같거나 상이하다.
  2. 제1항에 있어서,
    유기 전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발광 재료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17]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Figure pat00060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17]에서, L, R1 내지 R3 및 a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18] 내지 화학식 [24]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Figure pat00061

    상기 화학식 [18] 내지 화학식 [24]에서, R1 내지 R3 및 a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고,
    L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이고,
    L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렌기이고,
    R4 및 R5는 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중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또는 시아노기이고,
    R11 및 R1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중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고,
    b 및 c는 0 내지 3의 정수이며, b 및 c가 2이상인 경우 괄호 안의 치환기는 같거나 상이하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Figure pat00062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4

    Figure pat00065

    Figure pat00066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고,
    유기 전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발광 재료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고,
    유기 전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정공수송층 또는 전자저지층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8. 제6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기층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20190018395A 2019-02-18 2019-02-18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20200100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395A KR20200100299A (ko) 2019-02-18 2019-02-18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PCT/KR2020/000417 WO2020171381A2 (ko) 2019-02-18 2020-01-09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395A KR20200100299A (ko) 2019-02-18 2019-02-18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299A true KR20200100299A (ko) 2020-08-26

Family

ID=7214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395A KR20200100299A (ko) 2019-02-18 2019-02-18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00299A (ko)
WO (1) WO2020171381A2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482A (ko) *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KR20210103386A (ko) * 2020-02-13 2021-08-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WO2021201287A1 (ja) * 2020-04-03 2021-10-07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非対称1,2-ビス(ジアリールアミノ)ベンゼン類、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KR20220006845A (ko) * 2020-07-09 2022-01-18 주식회사 이엘엠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캐핑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WO2022080927A1 (ko) * 2020-10-16 2022-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WO2022231268A1 (ko) * 2021-04-26 2022-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WO2023013900A1 (ko) * 2021-08-05 2023-0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WO2023068794A1 (ko) * 2021-10-19 2023-04-27 머티어리얼사이언스 주식회사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WO2023244000A1 (ko) * 2022-06-15 2023-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CN117486782A (zh) * 2023-12-29 2024-02-02 中国医学科学院药用植物研究所 一种n-取代咔唑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4029927A1 (ko) * 2022-08-02 2024-0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6785B (zh) * 2021-06-25 2022-11-11 长春海谱润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硅芴的芳香胺类化合物及其有机电致发光器件
CN116082318B (zh) * 2023-04-03 2023-07-28 吉林奥来德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蓝光发光辅助材料及其制备方法和有机电致发光器件
CN116063293B (zh) * 2023-04-06 2023-07-28 吉林奥来德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发光辅助材料及其制备方法和有机电致发光器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586B1 (ko) 2006-05-29 2008-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KR101023624B1 (ko) 2009-06-09 2011-03-22 주식회사 이엘엠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1125683B1 (ko) 2010-06-21 2012-03-27 주식회사 이엘엠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816B1 (ko) * 2013-06-28 2015-09-25 주식회사 이엘엠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JP2015122369A (ja) * 2013-12-20 2015-07-02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08699438B (zh) * 2016-03-03 2021-11-30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有机电致发光器件的材料
CN107686484A (zh) * 2016-08-05 2018-02-13 南京高光半导体材料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化合物和使用该化合物的有机电致发光器件
KR20180041477A (ko) * 2016-10-14 2018-04-24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586B1 (ko) 2006-05-29 2008-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KR101023624B1 (ko) 2009-06-09 2011-03-22 주식회사 이엘엠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1125683B1 (ko) 2010-06-21 2012-03-27 주식회사 이엘엠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482A (ko) *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KR20210103386A (ko) * 2020-02-13 2021-08-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WO2021201287A1 (ja) * 2020-04-03 2021-10-07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非対称1,2-ビス(ジアリールアミノ)ベンゼン類、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KR20220006845A (ko) * 2020-07-09 2022-01-18 주식회사 이엘엠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캐핑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WO2022080927A1 (ko) * 2020-10-16 2022-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WO2022231268A1 (ko) * 2021-04-26 2022-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WO2023013900A1 (ko) * 2021-08-05 2023-0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WO2023068794A1 (ko) * 2021-10-19 2023-04-27 머티어리얼사이언스 주식회사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WO2023244000A1 (ko) * 2022-06-15 2023-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WO2024029927A1 (ko) * 2022-08-02 2024-0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CN117486782A (zh) * 2023-12-29 2024-02-02 中国医学科学院药用植物研究所 一种n-取代咔唑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1381A3 (ko) 2020-10-22
WO2020171381A2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0299A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1555816B1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US7794855B2 (en)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KR101218029B1 (ko) 방향족 아민을 포함하는 트리페닐렌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90030004A (ko)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1429961B1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US10224489B2 (en) Compound and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90007892A (ko)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JP6716145B1 (ja) 含ホウ素化合物および有機el素子
CN113135923A (zh) 有机电致发光器件的覆盖层用组合物及包含其的有机电致发光器件
KR20190003329A (ko)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20120043878A (ko) 유기 전기 발광 소자용 유기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KR20200095709A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20080038383A (ko) 아릴아민 화합물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200095710A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20160038310A (ko) 융합된 플루오란텐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JP2014227399A (ja) アリール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正孔輸送材料に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KR101396647B1 (ko) 신규한 안트라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KR20190005661A (ko)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20110021073A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0990805B1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소자
KR100852987B1 (ko)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20220144862A1 (en) Organic compound and application thereof
KR102304989B1 (ko) 유기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502811B1 (ko)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