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961B1 -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961B1
KR101429961B1 KR1020120056834A KR20120056834A KR101429961B1 KR 101429961 B1 KR101429961 B1 KR 101429961B1 KR 1020120056834 A KR1020120056834 A KR 1020120056834A KR 20120056834 A KR20120056834 A KR 20120056834A KR 101429961 B1 KR101429961 B1 KR 101429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ound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515A (ko
Inventor
박종억
김정미
백용구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엘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엘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엘엠
Priority to KR1020120056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961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10K50/171Electron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전기발광 소자에 사용되는 화합물 유도체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페난트렌 유도체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정공전달물질로 사용하여 소자의 수명을 증가시키며, 발광 휘도와 발광 효율이 우수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전기 발광 소자에 대한 것으로, 특히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발광 재료로 사용되는 페난트렌 유도체에 대한 것이며, 더욱 자세하게는 페난트렌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정공전달물질로 사용하여 소자의 수명을 증가시키며, 발광 휘도와 발광 효율이 우수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저 전압구동, 자기발광, 경량 박형, 광 시야각 그리고 빠른 응답속도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 유기 전기발광 소자는 LCD를 대체할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중의 하나로서 최근 가장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미국 특허 제 4,356,429 호에서, 탕(Tang) 등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놓인 2개의 유기층(정공전달층과 발광층)을 포함하는 이층구조의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개시하였다. 즉, 양극에 인접한 정공전달층은 정공전달물질을 함유하며 유기 전기발광 소자 장치 내에서 단지 정공(hole)만을 주로 발광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유사하게, 음극에 인접한 전자수송층은 전자전달물질을 함유하며 유기 전기발광 소자 장치 내에서 단지 전자만을 주로 전달하도록 선택된 이층구조의 유기 전기발광 소자 장치는 높은 발광 효율을 달성하여 상당부분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기술을 개선시켰다. 따라서, 발광효율적인 면에서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과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같은 정공전달층,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정공차단층(hole blocking layer) 등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multilayer system)를 이용하지 않으면 고효율 및 고휘도의 발광특성을 기대하기는 불가능하다.
유기 전기발광 소자 장치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위의 다층 구조로 소자를 구성하는 것 이외에 소자 재료 특히, 정공전달물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장 수명의 소자를 위해서는 정공전달물질이 열적 그리고 전기적으로 안정성을 지니고 있어야한다. 왜냐하면 전압을 걸어주었을 때 소자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열안정성이 낮은 분자는 결정 안정성이 낮아 재배열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결국 국부적으로 결정화가 발생되어 불균질 부분이 존재한다면, 전기장이 이 부분에 집중하여 소자의 열화 및 파괴를 가져오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기층은 통상적으로 비결정질 상태로 사용된다. 더욱이, 유기 전기발광 소자는 전류주입형 소자이기 때문에, 만약 사용되는 재료가 낮은 유리전이온도(Tg)를 갖는다면, 사용 중 발생하는 열이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열화를 초래하여 소자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이런 점에서,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정공전달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CuPC[구리 프탈로시아닌], m-MTDATA[4,4',4"-트리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하기 화학식 1의 2-TNATA[4,4',4"-트리스(N-(나프틸렌-2-일)-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TPD[N,N'-디페닐-N, N'-디(3-메틸페닐)-4,4'-디아미노비페닐] 그리고 하기 화학식 2의 NPB[N, N'-디(나프탈렌-1-일)-N, N'-디페닐벤지딘] 등이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2]
Figure 112012042834378-pat00001
Figure 112012042834378-pat00002
그러나, CuPC는 금속착화합물이므로 ITO 기판과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가장 안정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지만 가시광선 영역에서 흡수가 일어나므로 총 천연색을 구현하는 것이 어렵고, m-MTDATA나 2-TNATA는 유리전이온도가 78 및 108로 낮을 뿐만 아니라 대량화 하는 과정에서 단점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역시 총 천연색을 구현하는 데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TPD나 NPB도 유리전이온도(Tg)가 각각 60 및 96 로 낮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이유로 소자의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유기 전기발광 소자에 사용되는 정공전달물질은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성능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고, 높은 열안정성과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우수한 재료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페난트렌 화합물 유도체와 이것을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유기 전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자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우수한 열안정성을 가진 유기 전기발광 소자용 정공전달 물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은 발광 효율을 나타내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장된 수명을 갖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발광 재료로 사용되며,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페난트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12042834378-pat00003
(상기 화학식 I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이고, R11 내지 R18는 각각 수소원자,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이며, 원으로 표시되는 구조 A 및 구조 B는 환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써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헤테로환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술한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기층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이다. 여기서, 상기 유기 전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유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유기 레이저 다이오드, 유기 태양 전지, 유기 발광 전기화학 전지 또는 유기 집적 회로를 포함하고, 본 발명은 상기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기타 다른 실시예들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난트렌 유도체는 140 이상의 높은 유리전이온도와 높은 열분해 온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이것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정공전달물질 등으로 사용하여 발광특성을 평가한 결과, 기존의 정공전달물질인 2-TNATA(화학식 1)나 NPB(화학식 2)보다 전류 밀도, 휘도, 최고 휘도 그리고 발광 효율 여러 면에서 우수한 발광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페난트렌 유도체를 정공전달물질 등으로 사용하여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면, 기존의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가장 큰 단점인 발광 휘도와 발광 효율이 낮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전이온도도 높기 때문에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열적 안정성까지 뛰어나므로, 고성능의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효율, 고휘도 및 장수명이 요구되는 총천연색의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11의 페난트렌 유도체에 대한 UV/Vis. 및 형광 스펙트럼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11의 페난트렌 유도체에 대한 시차주사열량계(DSC) 곡선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12의 페난트렌 유도체에 대한 UV/Vis. 및 형광 스펙트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12의 페난트렌 유도체에 대한 시차주사열량계(DSC) 곡선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난트렌 유도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다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유기 전기 발광 소자에서 정공전달물질 또는 유기 전기 발광 재료로써 사용하기에 유용한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페난트렌 유도체로써, 이러한 페난트렌 유도체는 높은 유리 전이 온도와 우수한 정공 주입, 수송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정공전달물질 등으로 사용하여 유기 전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면 발광 효율을 높이고 소자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12042834378-pat00004
(상기 화학식 I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케닐기, 또는 알킬기이고, R11 및 R18는 각각 수소원자, 중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케닐기, 또는 아미노기이고, 원으로 표시되는 구조 A 및 구조 B는 환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써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헤테로환기이다.)
상기 화학식 I 에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이라 함은 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어떤 작용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어떠한 작용기에 의해서도 치환되지 않은 것을 뜻하고, 여기서 작용기라 함은 공통된 화학적 특성을 지니는 한 무리의 유기화합물에서 그 특성의 원인이 되는 공통된 원자단이거나 그것의 결합양식을 의미한다. 그래서, 상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기라 함은 예를 들어 페닐기, 나프틸기, 페난트릴기, 안트릴기, 비페닐기, 터페닐기, 플루오렌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조 A 및 구조 B는 환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페닐기, 비페닐기, 플루오렌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라 함은 어떤 작용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거나 또는 치환되어 있지 않은 것을 모두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화학식 I의 구조를 갖는 페난트렌 유도체로서, 특별히 높은 발광 효율과 긴 수명의 유기 전기 발광 소자를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인 예는 하기 화학식 11 내지 화학식 30 화합물을 포함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화학식 11] [화학식 12]
Figure 112012042834378-pat00005
Figure 112012042834378-pat00006
[화학식 13] [화학식 14]
Figure 112012042834378-pat00007
Figure 112012042834378-pat00008
[화학식 15] [화학식 16]
Figure 112012042834378-pat00009
Figure 112012042834378-pat00010
[화학식 17] [화학식 18]
Figure 112012042834378-pat00011
Figure 112012042834378-pat00012
[화학식 19] [화학식 20]
Figure 112012042834378-pat00013
Figure 112012042834378-pat00014
[화학식 21] [화학식 22]
Figure 112012042834378-pat00015
Figure 112012042834378-pat00016
[화학식 23] [화학식 24]
Figure 112012042834378-pat00017
Figure 112012042834378-pat00018
[화학식 25] [화학식 26]
Figure 112012042834378-pat00019
Figure 112012042834378-pat00020
[화학식 27] [화학식 28]
Figure 112012042834378-pat00021
Figure 112012042834378-pat00022
[화학식 29] [화학식 30]
Figure 112012042834378-pat00023
Figure 112012042834378-pat000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발광 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페난트렌 유도체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조성물 또는 유기 발광 재료일 수 있다. 이러한 유도체, 조성물 또는 재료를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정공전달물질로 사용하면 고 발광효율을 얻을 수 있고, 상기 페난트렌 유도체의 유리전이 온도가 높기 때문에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정공전달물질은 정공주입층 또는 정공수송층에 사용되는 물질을 말하며, 일부 경우에는 발광층에 사용하는 물질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뿐만 아니라 유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유기 레이저 다이오드, 유기 태양 전지, 유기 발광 전기화학 전지 및 유기 집적 회로 등의 분야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페난트렌 유도체들은 고순도를 요구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특성상 재결정과 승화법을 이용하여 정제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화학식 11의 제조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페난트렌 유도체는 하기 반응식 1과 같은 합성 경로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2042834378-pat00025

1-1. 화학식 102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1-브로모-4-아이오도벤젠 (화학식 101) 50 g (0.177 mol)를 투입하고 피페리딘 350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코퍼(I)아이오다이드 1.68 g (8.8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디움(0) 4.08 g (3.50 mmol)과 트리메틸실릴아세틸렌 25 mL (0.177 mol)를 투입하고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포화 암모니움 클로라이드 수용액에 투입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포화 암모니움 클로라이드 수용액과 증류수로 연속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이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흰색의 목적화합물 44.3 g (수율 99%)을 얻었다.
1H NMR (CDCl3): d 7.44(d, J = 8.5Hz, 2H), 7.32(d, J = 8.5Hz, 2H), 0.26(s, 9H).
1-2. 화학식 103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학식 102 화합물 43 g (0.170 mmol),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60 mL, 메탄올 200 mL와 포타슘 카보네이트 45 g을 차례로 투입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후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시키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켰다. 농축액에 증류수와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여 추출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건조 후 다시 감압 농축하여 흰색의 목적화합물을 30.8 g (수율 94%) 얻었다.
1H NMR (CDCl3): d 8.47(d, J = 8.5Hz, 2H), 7.36(d, J = 8.5Hz, 2H), 3.13(s, 1H).
1-3. 화학식 104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화학식 103 화합물 28 g (0.155 mol)을 투입하고 트리에틸아민 12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1-브로모-4-아이오도벤젠 43.8 g (0.155 mol), 코퍼(I)아이오다이드 1.47 g (7.74 mmol)과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디움(0) 3.57 g (3.09 mmol)을 투입하고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메탄올을 가하고 얻어진 결정을 여과한 다음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이 고체를 진공 건조하여 목적화합물 46.9 g (수율 90%)을 얻었다.
1H NMR (CDCl3): d 7.50(d, J = 8.3Hz, 4H), 7.39(d, J = 8.2Hz, 4H).
1-4. 화학식 105의 제조
1000-mL, 4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2-아이오도비페닐 25 mL (0.142 mol)를 투입하고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 50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화학식 104 화합물 51 g, 소디움 아세테이트 23.3 g, 니켈 클로라이드 6 g 그리고 팔라디움(II) 아세테이트 1.2 g 을 차례로 투입 후 120 에서 2일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세게 교반되고 있는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메탄올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모아진 고체를 진공건조하여 목적화합물 42.3 g (수율 61%)을 얻었다.
1H NMR (DMSO-d6): d 8.80(d, J = 8.3Hz, 2H), 7.70~7.67(m, 2H), 7.51~7.48(m, 4H), 7.41(dd, J = 6.6, 1.7Hz, 4H), 7.02(dd, J = 6.6, 1.7Hz, 4H).
MALDI-TOF mass(M+H+) : C26H16Br2: 486.9902(486.9619)
1-5. 화학식 11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화학식 105 화합물 13.3 g (0.0272 mol)에 화학식 106 화합물 19.1 g (0.0572 mol),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10% 헥산용액) 0.55 g, 소디움 t-부톡시드 5.76 g 그리고 o-자일렌 133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6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하여 목적화합물 22.4 g (수율 86%)을 얻었다.
UV(max) : 375 nm PL : 434 nm (도 1 참조)
유리전이온도 (Tg, DSC에 의한 측정) : 182 (도 2 참조)
[실시예 2] 화학식 12의 제조
Figure 112012042834378-pat00026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화학식 105 화합물 13.3 g (0.0272 mol)에 화학식 107 화합물 22.0 g (0.0572 mol),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10% 헥산용액) 0.55 g, 소디움 t-부톡시드 5.76 g 그리고 o-자일렌 133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6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하여 목적화합물 23. 3g (수율 78%)을 얻었다.
UV(max) : 328 nm PL : 462 nm (도 3 참조)
유리전이온도 (Tg, DSC에 의한 측정) : 203 (도 4 참조)
[실시예 3] 화학식 13의 제조
Figure 112012042834378-pat00027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화학식 105 화합물 13.3 g (0.0272 mol)에 화학식 108 화합물 22.0 g (0.0572 mol),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10% 헥산용액) 0.55 g, 소디움 t-부톡시드 5.7 6g 그리고 o-자일렌 133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6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하여 목적화합물 25.8 g (수율 87%)을 얻었다.
[실시예 4] 화학식 20의 제조
Figure 112012042834378-pat00028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화학식 105 화합물 13.3 g (0.0272 mol)에 화학식 109 화합물 26.3 g (0.0572 mol),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3 g, 트리-(t-부틸)포스핀 (10% 헥산용액) 0.55 g, 소디움 t-부톡시드 5.76 g 그리고 o-자일렌 133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12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하여 목적화합물 24.1 g(수율 71%)을 얻었다.
[ 실시예 5] 화학식 29의 제조
Figure 112012042834378-pat00029

5-1. 화학식 111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1-클로로-4-아이오도벤젠 (화학식 110) 42.2 g (0.177 mol)를 투입하고 피페리딘 35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코퍼(I)아이오다이드 1.68 g (8.8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디움(0) 4.08 g (3.50 mmol)과 트리메틸실릴아세틸렌 25 mL (0.177 mol)를 투입하고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포화 암모니움 클로라이드 수용액에 투입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포화 암모니움 클로라이드 수용액과 증류수로 연속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이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흰색의 목적화합물 35.8 g (수율 97%)을 얻었다.
5-2. 화학식 112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5-1에서 제조한 화학식 111 화합물 35.5 g (0.170 mmol),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60 mL, 메탄올 200 mL와 포타슘 카보네이트 45 g을 차례로 투입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후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시키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켰다. 농축액에 증류수와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여 추출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건조 후 다시 감압 농축하여 흰색의 목적화합물을 22 g (수율 95%) 얻었다.
5-3. 화학식 113의 제조
25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상기 실시예 5-2에서 제조한 화학식 112 화합물 21 g (0.155 mol)을 투입하고 트리에틸아민 12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1-클로로-4-아이오도벤젠 (화학식 110) 37 g (0.155 mol), 코퍼(I)아이오다이드 1.47 g (7.74 mmol)과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디움(0) 3.57 g (3.09 mmol)을 투입하고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메탄올을 가하고 얻어진 결정을 여과한 다음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이 고체를 진공 건조하여 목적화합물 33.3 g (수율 87%)을 얻었다.
5-4. 화학식 114의 제조
1000-mL, 4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2-아이오도비페닐 25 mL (0.142 mol)를 투입하고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 50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실시예 5-3에서 제조한 화학식 113 화합물 33 g, 소디움 아세테이트 23.3 g, 니켈 클로라이드 6 g 그리고 팔라디움(II) 아세테이트 1.2 g을 차례로 투입 후 120 에서 2일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세게 교반되고 있는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메탄올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모아진 고체를 진공건조하여 목적화합물 42.3 g (수율 67%)을 얻었다.
5-5. 화학식 115의 제조
1000-mL, 4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5-4에서 제조한 화학식 114 화합물 41 g (0.103 mol)를 투입하고 클로로포름 40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브롬 49.4 g을 서서히 투입 후 10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이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가성소다 수용액으로 중화시킨 다음 클로로포름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 후 아세톤으로 희석한 다음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모아진 고체를 진공건조하여 목적화합물 40.7 g (수율 71%)을 얻었다.
5-6. 화학식 116의 제조
2000-mL, 4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5-5에서 제조한 화학식 115 화합물 40 g (0.072 mol)을 투입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 900 mL로 희석시켰다. 이 희석액에 벤젠보론 산 21 g, 3M-탄산칼륨 수용액 136 mL 그리고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디움(0) 2.2 g을 투입 후 반응액을 1일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농축한 다음 메탄올을 가하여 석출된 고체를 진공 여과하였다. 모아진 고체 화합물을 진공건조하여 목적화합물 36.9 g (수율 93%)을 얻었다.
5-7. 화학식 29의 제조
500-mL, 3구 둥근바닥플라스크에 실시예 5-6에서 제조한 화학식 116 화합물 30.0 g (0.0544 mol)에 화학식 106 화합물 38.2 g, 팔라디움 아세테이트(II) 0.06 g, 트리-(t-부틸)포스핀 (10% 헥산용액) 1.1 g, 소디움 t-부톡시드 11.5 g 그리고 o-자일렌 300 mL를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12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냉각하고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하여 목적화합물 43 g (수율 69%)을 얻었다.
[실시예 6]
화학식 11을 정공수송층에 사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제작
25㎜ × 75㎜ × 1.1㎜ 크기의 유리 기판 상에 막 두께가 750Å인 인듐 주석 산화물(ITO)의 투명성 양극을 형성시켰다. 상기 유리 기판을 진공 증착장치에 넣어 약 10-7torr로 감압하였다. 이어서 하기 화학식 1의 2-TNATA를 두께가 50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정공주입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1을 두께가 30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정공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하기 화학식 3의 Alq3를 두께가 50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최종적으로 리튬 프루오라이드(LiF)를 두께가 10Å이 되도록 증착한 다음 알루미늄을 두께가 1000Å이 되도록 증착하여 음극을 형성시켰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유기 전기발광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여 발광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된 최고 휘도, 최대 발광 효율 그리고 발광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1] [화학식 3]
Figure 112012042834378-pat00030
Figure 112012042834378-pat00031

[실시예 7]
화학식 12을 사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제작
상기 실시예 6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학식 11 대신 화학식 12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측정된 최고 휘도, 최대 발광 효율 그리고 발광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화학식 13을 사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제작
상기 실시예 6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학식 11 대신 화학식 1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측정된 최고 휘도, 최대 발광 효율 그리고 발광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화학식 20을 사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제작
상기 실시예 6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학식 11 대신 화학식 2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측정된 최고 휘도, 최대 발광 효율 그리고 발광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화학식 29을 사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제작
상기 실시예 6에서, 정공수송층으로 화학식 11 대신 화학식 29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측정된 최고 휘도, 최대 발광 효율 그리고 발광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화학식 11을 정공주입층에 사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제작
25㎜ × 75㎜ × 1.1㎜ 크기의 유리 기판 상에 막 두께가 750Å인 인듐 주석 산화물(ITO)의 투명성 양극을 형성시켰다. 상기 유리 기판을 진공 증착장치에 넣어 약 10-7torr로 감압하였다. 이어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1를 두께가 50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정공주입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하기 화학식 2의 NPB를 두께가 30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정공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화학식 3의 Alq3를 두께가 50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최종적으로 리튬 프루오라이드(LiF)를 두께가 10Å이 되도록 증착한 다음 알루미늄을 두께가 1000Å이 되도록 증착하여 음극을 형성시켰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유기 전기발광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여 발광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된 최고 휘도, 최대 발광 효율 그리고 발광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2]
Figure 112012042834378-pat00032

[비교예 1]
2- TNATA NPB 를 사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제작
25㎜ × 75㎜ × 1.1㎜ 크기의 유리 기판 상에 막 두께가 750Å인 인듐 주석 산화물(ITO)의 투명성 양극을 형성시켰다. 상기 유리 기판을 진공 증착장치에 넣어 약 10-7torr로 감압하였다. 이어서 상기 화학식 1의 2-TNATA를 두께가 50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정공주입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상기 화학식 2의 NPB를 두께가 300Å이 되도록증착시켜 정공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화학식 3의 Alq3를 두께가 500Å이 되도록 증착시켜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최종적으로 리튬 프루오라이드(LiF)를 두께가 10Å이 되도록 증착한 다음 알루미늄을 두께가 1000Å이 되도록 증착하여 음극을 형성시켰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유기 전기발광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여 발광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된 최고 휘도, 최대 발광 효율 그리고 발광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정공주입층의 화합물 정공수송층의 화합물 최대휘도
(cd/m2)
최대효율
(cd/A)
발광색
실시예 6 2-TNATA 화학식 11 14140 4.92 녹색
실시예 7 2-TNATA 화학식 12 17248 6.32 녹색
실시예 8 2-TNATA 화학식 13 31490 6.76 녹색
실시예 9 2-TNATA 화학식 20 25557 5.03 녹색
실시예 10 2-TNATA 화학식 29 18267 5.22 녹색
실시예 11 화학식 11 NPB 12165 4.90 녹색
비교예 1 2-TNATA NPB 10970 4.87 녹색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6 내지 11에 따른 유기 전기발광 소자는 대체로 비교예 1 보다 높은 휘도 및 효율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Claims (3)

  1.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발광 재료로 사용되며,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페난트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112014004429019-pat00033

    (상기 화학식 I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이고, R11 내지 R18는 각각 수소원자,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이며, 원으로 표시되는 구조 A 및 구조 B는 환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써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헤테로환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은 하기 화학식 11, 12, 13, 20 및 29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화학식 11] [화학식 12]
    Figure 112014004429019-pat00034
    Figure 112014004429019-pat00035

    [화학식 13] [화학식 20]
    Figure 112014004429019-pat00036
    Figure 112014004429019-pat00043

    [화학식 29]
    Figure 112014004429019-pat0005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기층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20120056834A 2012-05-29 2012-05-29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1429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834A KR101429961B1 (ko) 2012-05-29 2012-05-29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834A KR101429961B1 (ko) 2012-05-29 2012-05-29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515A KR20130133515A (ko) 2013-12-09
KR101429961B1 true KR101429961B1 (ko) 2014-08-14

Family

ID=4998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834A KR101429961B1 (ko) 2012-05-29 2012-05-29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5086B2 (en) 2016-10-21 2023-02-07 Samsung Display Co., Ltd. Monoamine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366A (ko) * 2013-06-24 2015-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아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KR102203101B1 (ko) * 2014-04-18 2021-0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아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KR102116161B1 (ko) * 2016-02-29 2020-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함질소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2064413B1 (ko) * 2017-06-29 2020-0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WO2019004617A1 (ko) * 2017-06-29 2019-0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KR102134379B1 (ko) * 2017-09-07 2020-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페난트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WO2019050153A1 (ko) * 2017-09-07 2019-03-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페난트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CN113024510A (zh) * 2019-12-25 2021-06-25 北京鼎材科技有限公司 一种吲哚衍生物及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469B2 (ja) 1993-06-11 2000-07-17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080080513A (ko) * 2005-12-02 2008-09-04 도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카바졸릴기를 갖는 디아미노아릴렌 화합물 및 그 용도
KR20100045587A (ko) * 2008-10-24 2010-05-04 주식회사 이엘엠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20110119206A (ko) * 2010-04-27 2011-11-02 다우어드밴스드디스플레이머티리얼 유한회사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469B2 (ja) 1993-06-11 2000-07-17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080080513A (ko) * 2005-12-02 2008-09-04 도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카바졸릴기를 갖는 디아미노아릴렌 화합물 및 그 용도
KR20100045587A (ko) * 2008-10-24 2010-05-04 주식회사 이엘엠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20110119206A (ko) * 2010-04-27 2011-11-02 다우어드밴스드디스플레이머티리얼 유한회사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5086B2 (en) 2016-10-21 2023-02-07 Samsung Display Co., Ltd. Monoamine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515A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961B1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1555816B1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JP5937002B2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のための2−アザトリフェニレン物質
KR101529878B1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1326668B1 (ko) 전자 수송-주입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191023B1 (ko) 유기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US7862904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KR20200095709A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1312471B1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20150064687A (ko) 신규한 청색 형광 호스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20150033074A (ko) 비대칭 방향족 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1125682B1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20200095710A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1125683B1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1160387B1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20110041330A (ko)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적색 인광 호스트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990805B1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소자
CN116113294A (zh)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应用
CN116156980A (zh)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应用
KR20130133518A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1799033B1 (ko) 적색 인광 호스트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561554B1 (ko) 전자 수송-주입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750696B1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1505059B1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20140129435A (ko)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