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482A -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482A
KR20200099482A KR1020200016159A KR20200016159A KR20200099482A KR 20200099482 A KR20200099482 A KR 20200099482A KR 1020200016159 A KR1020200016159 A KR 1020200016159A KR 20200016159 A KR20200016159 A KR 20200016159A KR 20200099482 A KR20200099482 A KR 20200099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layer
laminated film
optical laminate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토 혼쇼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207146A external-priority patent/JP6846497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9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Abstract

[과제] 크랙의 발생이 억제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 필름과, 점착제층을 순서대로 갖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편광자층의 최단 위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편광자층측으로 젖혀 올라간, 보호 영역인,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Description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LAYERED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 표시 장치의 디자인성이 다양화하고 있다. 그 트렌드의 영향을 받아, 직선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 필름에도 여러가지 형상에 대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8-25630호 공보에는, 외연부에 오목부를 갖는 형상의 편광판, 및 면내에 관통 구멍을 갖는 형상의 편광판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8-25630호 공보
외연부에 오목부를 갖는 형상의 광학 적층 필름 및 면내에 관통 구멍을 갖는 형상의 광학 적층 필름은,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크랙의 발생이 억제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및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 필름과, 점착제층을 순서대로 갖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편광자층의 최단 위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편광자층측으로 젖혀 올라간, 보호 영역인,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2〕상기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학 적층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서의 윤곽이 곡선인, 곡면 영역이고,
상기 곡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호 영역인 〔1〕에 기재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3〕상기 곡면 영역에서의 상기 보호 영역은, 상기 윤곽이 상기 편광자층의 흡수축 방향과 이루는 각도 θ가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상기 각도 θ가 0° 초과 90° 이하의 부분을 포함하는 〔2〕에 기재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4〕상기 보호 영역은 절단면인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5〕상기 보호 영역은, 상기 점착제층의 최단 위치와, 상기 편광자층의 최단 위치가 이루는 거리 d가 10 ㎛ 이상인 영역을 포함하는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6〕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광학 적층 필름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된 세퍼레이트 필름을 더 갖는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7〕상기 광학 적층 필름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경화물로 이루어진 액정 경화층을 포함하는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8〕상기 광학 적층 필름은, 상기 편광자층에서 볼 때 상기 점착제층과는 반대측에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편광자층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을 구성하는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9〕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 필름과,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된 세퍼레이트 필름을 이 순서대로 갖는 원단 적층 필름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원단 적층 필름에 상기 세퍼레이트 필름측으로부터 부식날을 진입시켜 상기 원단 적층 필름을 절단하여 측면을 형성하는 절단 공정을 갖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10〕상기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편광자층의 최단 위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편광자층측으로 젖혀 올라간, 보호 영역인 〔9〕에 기재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크랙의 발생이 억제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측면에 곡면 영역을 갖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은 측면에 곡면 영역을 갖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부식날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부식날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관한 절단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부식날의 단면형상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부식날의 단면형상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부식날의 단면형상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A, B의 단면을 광학 현미경 이미지에 의해 관찰한 관찰 이미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C, D의 단면을 광학 현미경 이미지에 의해 관찰한 관찰 이미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A, B의 상면을 나타내는 광학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15는 압입력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압입력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도 1은, 본 발명의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00)은,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층(21)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 필름(20)과, 점착제층(31)을 순서대로 갖는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보호 영역이다. 본 명세서에서 「보호 영역」이란, 점착제층(31)이 편광자층(21)의 최단 위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편광자층(21)측으로 젖혀 올라간 상태에 있는 측면의 영역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측면의 영역」의 범위에 관해, 측면에서 적층 방향으로 나열된 위치는 전부 동일한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자층(21)측으로 젖혀 올라갔다는 것은, 점착제층(31)의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편광자층(21)측에 근접해 있는 부분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점착제층(31)의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편광자층(21)측에 근접해 있어, 점착제층(31)이 편광자층(21)의 측면 전부에, 또는 편광자층(21)의 측면 일부에 접해 있어도 좋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제층(31)이 편광자층(21)의 측면에 접하지 않고 편광자층(21)측을 향해 만곡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측면의 영역(100a)은 보호 영역이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00)은, 측면에 있어서 보호 영역(100a)을 갖는 것에 의해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보호 영역(100a)에서는, 점착제층(31)에 의해 광학 적층 필름(20)의 측면이 보호되기 때문에 크랙의 발생이 억제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크랙은, 측면 또는 측면의 근방을 기점으로 발생하기 쉽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00)의 측면은,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보호 영역(100a)이면 되지만, 크랙 발생의 억제의 관점에서는 보호 영역(100a)인 영역의 비율이 높은 쪽이 바람직하다. 또는, 크랙이 발생하기 쉬운 측면의 영역이 보호 영역(100a)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00)의 측면의 전체 영역의 10% 이상의 영역이 보호 영역(100a)이다. 또는, 예컨대,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00)의 측면의 곡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보호 영역(100a)을 포함하고, 곡면 영역의 전체 영역의 50% 이상의 영역이 보호 영역(100a)이다.
본 명세서에서 「곡면 영역」이란, 광학 적층 필름(20)의 점착제층(31)측과는 반대측의 표면(20a)에서의 윤곽이 곡선인 측면의 영역을 의미한다. 여기서 말하는 「곡선」이란, 편광자층(21)의 흡수축 방향과 이루는 각도 θ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곡면 영역에서는, 측면 또는 측면의 근방을 기점으로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
도 2는, 측면에 곡면 영역을 갖는 점착제층 광학 적층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10)의 점착제층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서 본 상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10)은, 모서리부가 라운딩된 사각형이며 관통 구멍(51)을 갖는다. 모서리부가 라운딩된 사각형이란, 사각형의 모서리부 중 하나 이상이 곡선으로 되어있는 형상을 말하며, 즉 사각형의 모서리부 중 하나 이상이 라운딩되어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10)은, 모든 모서리부(52)가 라운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10)은, 관통 구멍(51)의 내벽 및 모서리부(52)의 측면이 곡면 영역을 갖는다. 곡면 영역의 윤곽은, 편광자층의 흡수축 방향과 이루는 각도 θ가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도 3은, 측면에 곡면 영역을 갖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은,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20)의 점착제층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서 본 상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20)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이며 외연에 오목부(53)를 갖는다. 도 3에 도시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20)은, 외연의 오목부(53) 및 모서리부(52)의 측면이 곡면 영역을 갖는다. 곡면 영역의 윤곽은, 편광자층의 흡수축과 이루는 각도 θ가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은, 평면시에서, 도 2,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이어도 좋고, 사각형이어도 좋다. 사각형이란 4개의 모서리가 모두 라운딩되지 않은 형상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각형이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표면(20a) 상에서의 측면의 윤곽은, 편광자층(31)의 흡수축 방향과 이루는 각도 θ가 0°∼90°이고, 각도 θ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영역을 곡면 영역으로 한다. 곡면 영역은, 각도 θ가 0° 초과 90° 이하인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분을 포함하는 곡면 영역은, 측면 또는 측면의 근방을 기점으로 크랙이 발생하기 쉽고,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크랙 발생의 억제 효과가 보다 현저해지기 때문이다.
도 1에,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00)의 보호 영역(100a)에서, 점착제층(31)의 최단 위치와 편광자층(21)의 최단 위치가 이루는 거리 d를 나타낸다. 보호 영역(100a)은, 거리 d가 10 ㎛ 이상인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 ㎛ 이상인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영역에서는, 크랙의 발생을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보호 영역(100a)에서, 점착제층(31)의 최단 위치와 편광자층(21)의 최단 위치가 이루는 거리 d는, 예컨대 30 ㎛ 이하이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00)에 있어서, 보호 영역(100a)을 갖는 측면은, 예컨대, 적층체를 절단날에 의해 절단하여 형성된 절단면이다. 절단에 이용하는 절단날, 절단 방향, 절단 속도, 절단시에 적층체에 부여하는 면내 장력 등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점착제층(31)이 편광자층(21)의 최단 위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편광자층(21)측으로 젖혀 올라간 보호 영역을 갖는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절단날로서, 에칭에 의해 선단이 형성된 부식날(피나클날)을 이용하면, 점착제층(31)이 돌출되고 젖혀 올라가, 상기 보호 영역(100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단 속도, 즉 절단날을 적층체에 진입시킬 때의 진입 속도를 빠르게 하더라도, 동일하게 상기 보호 영역(100a)을 형성할 수 있다. 적층체에 부여하는 면내 장력을 크게 하면, 상기 보호 영역(100a)을 형성할 수 있다. 면내 장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절단시에 적층체를 끼워 유지하는 압력을 크게 하면 된다.
점착제층(31)은, 예컨대, 광학 적층 필름(20)을 액정 셀, 유기 EL 표시 소자 등의 화상 표시 소자, 또는 다른 광학 부재 등의 피착물에 접합하기 위한 점착제층으로서 이용된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00)은, 점착제층(31)의 광학 적층 필름(20)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된 세퍼레이트 필름을 갖고 있어도 좋다.
광학 적층 필름(20)은, 편광자층(21)과는 별도의 다른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으며, 다른 층으로는, 보호층, 액정 경화층, 위상차층, 접합층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적층 필름(20)은, 편광자층(31)에서 볼 때 점착제층(31)측과는 반대측에 보호층을 갖고 있어도 좋으며, 이러한 보호층은, 편광자층(21)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을 구성하는 하드코팅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제1 실시형태>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30)은, 광학 적층 필름(20)과 점착제층(31)을 순서대로 가지며, 점착제층(31)의 광학 적층 필름(20)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된 세퍼레이트 필름(32)을 더 갖는다.
광학 적층 필름(20)은, 표면 보호 필름(24)과, 제1 보호층(22)과, 편광자층(21)과, 제2 보호층(23)을 이 순서대로 갖는다. 제1 보호층(22)은, 점착제층(31)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을 구성하는 하드코팅층을 구비하고, 하드코팅층의 표면에 표면 보호 필름(24)이 박리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30)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내는 측면의 영역(130a)은 보호 영역이다. 보호 영역(130a)에서는, 점착제층(31)이 편광자층(21)의 최단 위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편광자층(21)측으로 젖혀 올라가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40)은, 광학 적층 필름(20)과, 점착제층(31)을 순서대로 가지며, 점착제층(31)의 광학 적층 필름(20)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된 세퍼레이트 필름(32)을 더 갖는다.
광학 적층 필름(20)은, 표면 보호 필름(24)과, 제1 보호층(22)과, 편광자층(21)과, 제2 보호층(23)과, 제1 접합층(25)과, 제1 액정 경화층(26)과, 제2 접합층(27)과, 제2 액정 경화층(28)을 이 순서대로 갖는다. 제1 보호층(22)은, 점착제층(31)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을 구성하는 하드코팅층을 구비하고, 하드코팅층의 표면에 표면 보호 필름(24)이 박리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40)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내는 측면의 영역(140a)은 보호 영역이다. 보호 영역(140a)에서는, 점착제층(31)이 편광자층(21)의 최단 위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편광자층(21)측으로 젖혀 올라가 있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40)의 보호 영역(140a)에 있어서, 점착제층(31) 이외의 다른 층에 관해서도, 점착제층(31)과 마찬가지로, 편광자층(21)의 최단 위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도 좋고, 또한 편광자층(21)측으로 젖혀 올라간 형상이어도 좋다. 도 5에서는, 보호 영역(140a)에 있어서, 점착제층(31)에 더해, 제1 접합층(25)과, 제1 액정 경화층(26)과, 제2 액정 경화층(28)이, 점착제층(31)과 마찬가지로, 편광자층(21)의 최단 위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편광자층(21)측으로 젖혀 올라간 형상인 경우를 나타낸다. 절단면인 측면에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시험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압입력의 기울기가 50 g/mm 이하인 층에서는, 절단날을 넣었을 때의 거동이 점착제층(31)과 유사하기 때문에, 점착제층(31)과 마찬가지로 편광자층(21)의 최단 위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편광자층(21)측으로 젖혀 올라간 형상이 되기 쉽다고 추측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은, 압입력의 기울기가 50 g/mm 이하인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하,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을 이루는 각 층의 재료 등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광학 적층 필름(20))
광학 적층 필름(20)은 편광자층(21)을 포함한다. 광학 적층 필름(20)의 두께는, 통상 5 ㎛ 이상 200 ㎛ 이하로 할 수 있고, 150 ㎛ 이하이어도 좋고, 120 ㎛ 이하이어도 좋다.
(편광자층(21))
편광자층(21)으로는,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진 층 등을 들 수 있다.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로는, 예컨대 이색성 색소를 들 수 있다. 이색성 색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요오드나 이색성의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이색성 유기 염료에는, C. I. DIRECT RED 39 등의 디스아조 화합물로 이루어진 이색성 직접 염료, 트리스아조, 테트라키스아조 등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이색성 직접 염료가 포함된다.
편광자층(21)의 두께는, 예컨대 2 ㎛ 이상 40 ㎛ 이하이다. 편광자층의 두께는 5 ㎛ 이상이어도 좋고, 20 ㎛ 이하, 나아가 15 ㎛ 이하, 더 나아가 10 ㎛ 이하이어도 좋다.
(1)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인 편광자층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진 편광자층으로는, 액정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이색성 색소와 중합성 액정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얻어지는 층 등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편광자층을 들 수 있다.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진 편광자층은,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에 비하여, 굴곡 방향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인 편광자층은, 통상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것에 의해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그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가 이용된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암모늄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몰% 이상 100 몰% 이하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이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이상 10,0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5,000 이하이다.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층인 편광자층은, 통상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는 공정, 얻어진 적층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일축 연신된 적층 필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층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것에 의해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켜 편광자층으로 하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기재 필름을 편광자층으로부터 박리 제거해도 좋다. 기재 필름의 재료는, 후술하는 표면 보호 필름(24)의 기재 필름과 동일한 재료가 예시된다.
(2)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진 편광자층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진 편광자층으로는, 액정성을 갖는 중합성의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이색성 색소와 중합성 액정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하고 경화시켜 얻어지는 층 등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편광자층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기재 필름을 편광자층으로부터 박리 제거해도 좋다. 기재 필름의 재료는, 후술하는 표면 보호 필름(24)의 기재 필름과 동일한 재료가 예시된다.
(제1 보호층(22), 제2 보호층(23))
광학 적층 필름(20)은, 편광자층(21)의 점착제층(31)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적층된 제1 보호층(22)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편광자층(21)의 점착제층(31)측의 표면에 적층된 제2 보호층(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층(22) 및 제2 보호층(23)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쇄형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스, 디아세틸셀룰로스와 같은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ㆍ부타디엔ㆍ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ㆍ스티렌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팅층 또는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보호층의 두께는, 통상 1 ㎛ 이상 100 ㎛ 이하이며, 5 ㎛ 이상 80 ㎛ 이하이어도 좋고, 60 ㎛ 이하이어도 좋고, 50 ㎛ 이하이어도 좋다.
보호 필름은, 예컨대 접착제층을 통해 편광자층(21)에 접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는,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 또는 열경화성 접착제를 들 수 있고,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을 통해 접합되는 대향하는 2개의 표면은, 미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화염 처리 등을 행해도 좋고, 프라이머층 등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1 보호층(22) 및 제2 보호층(23)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보호층이어도 좋고,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 보호층이어도 좋다. 제1 보호층(22)은, 그 표면 상에, 방현층, 광확산층, 위상차층, 반사 방지층 등의 광학 기능층이나, 하드코팅층, 대전 방지층, 방오층 등의 표면 처리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제1 보호층(22)이 하드코팅층을 갖는 경우에는 크랙이 생기기 쉽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24))
광학 적층 필름(20)은, 점착제층(31)측의 표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을 구성하는 표면 보호 필름(24)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24)은, 예컨대 화상 표시 소자나 다른 광학 부재에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이 접합된 후, 그것이 갖는 점착제층마다 박리 제거된다.
표면 보호 필름(24)은 기재 필름과 점착제층을 갖는다. 표면 보호 필름(24)의 두께는, 예컨대 15 ㎛ 이상 100 ㎛ 이하이며, 20 ㎛ 이상 8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 6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을 이루는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쇄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노르보넨계 수지와 같은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트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할 수 있다. 기재층은, 단층 구조이어도 좋고 다층 구조이어도 좋지만, 제조 용이성 및 제조 비용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단층 구조이다. 기재층은, 일축 연신 필름이어도 좋고 이축 연신 필름이어도 좋지만, 필름의 기계 강도, 제조 용이성 및 제조 비용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이축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은, (메트)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에스테르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와 같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적합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열경화형이어도 좋다.
(제1 액정 경화층(26), 제2 액정 경화층(28))
광학 적층 필름(20)은, 1층 또는 2층 이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경화물로 이루어진 액정 경화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접합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40)은, 제1 액정 경화층(26) 및 제2 액정 경화층(28)을 액정 경화층으로서 포함한다. 액정 경화층은, 예컨대 위상차층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액정 경화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기재 필름과 도포층 사이에 배향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액정 경화층은, 배향층 및/또는 기재 필름을 갖는 형태로 광학 적층 필름(20)에 삽입되어도 좋다.
액정 경화층은, 공지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막대형 액정 화합물, 원반형 액정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표 평 11-5130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8998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0873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4403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3122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7010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63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0776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6-81035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7/043438호 및 일본 특허 공표 2011-207765호 공보에 기재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배향층 상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을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액정 경화층을 형성할 수 있다. 액정 경화층의 두께는, 0.5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5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이외에, 중합 개시제, 중합성 모노머, 계면 활성제, 용제, 밀착 개량제, 가소제, 배향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는, 다이코팅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방법으로는, 활성 에너지선(예컨대 자외선)을 조사하는 등의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제1 접합층(25), 제2 접합층(27))
광학 적층 필름(20)에 있어서, 2개의 층을 접합하기 위한 접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접합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40)은, 제1 접합층(25) 및 제2 접합층(27)을 접합층으로서 포함한다. 접합층으로는, 접착제층, 점착제층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층에는,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 또는 열경화성 접착제 등이 이용된다. 점착제층에는, 상기 표면 보호 필름(24)에 형성된 점착제층의 설명이 적용된다.
접합층을 통해 접합되는 대향하는 2개의 표면은, 미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화염 처리 등을 행해도 좋고, 프라이머층 등을 갖고 있어도 좋다.
(위상차층)
광학 적층 필름(20)은, 1층 또는 2층 이상의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차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 경화층이어도 좋고 수지 필름이어도 좋다. 위상차층의 예로는, λ/4판이나 λ/2판 등의 포지티브 A 플레이트 및 포지티브 C 플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31)>
점착제층(31)은, (메트)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에스테르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와 같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적합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열경화형이어도 좋다.
점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베이스 폴리머)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과 같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베이스 폴리머에는, 극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모노머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을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지만, 통상은 가교제를 더 함유한다. 가교제로는, 2가 이상의 금속 이온이며,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카르복실산 금속염을 형성하는 것; 폴리아민 화합물이며,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에폭시 화합물이나 폴리올이며,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란, 자외선이나 전자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받아 경화하는 성질을 갖고 있고, 활성 에너지선 조사전에도 점착성을 가져 필름 등의 피착체에 밀착시킬 수 있고,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여 밀착력의 조정을 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 가교제에 더해,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을 더 함유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광중합 개시제나 광증감제 등을 함유시키는 경우도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광산란성을 부여하기 위한 미립자, 비드(수지 비드, 유리 비드 등), 유리 섬유, 베이스 폴리머 이외의 수지, 점착성 부여제, 충전제(금속 가루나 그 밖의 무기 분말 등),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염료, 안료, 착색제, 소포제, 부식 방지제, 광중합 개시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적층 필름(20)에 대한 점착제층(31)의 형성은, 예컨대,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 용제에 점착제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점착제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편광판의 대상면에 직접 도공하여 점착제층(31)을 형성하는 방식이나, 이형 처리된 세퍼레이트 필름 상에 점착제층(31)을 시트형으로 형성해 두고, 그것을 광학 적층 필름(20)의 대상면으로 이착하는 방식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점착제층(31)은, 점착제 조성물의 유기 용제 희석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는, 형성된 점착제층(31)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경화도를 갖는 경화물로 할 수 있다.
점착제층(31)의 두께는, 그 접착력 등에 따라서 결정되지만, 1 ㎛ 이상 50 ㎛ 이하의 범위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40 ㎛ 이하이다.
점착제층(31)은, 온도 20℃, 각주파수 100 rad/s로 측정되는 저장 탄성률이 통상 1 MPa 이하, 바람직하게는 0.15 MPa 이하이다. 점착제의 상기 저장 탄성률은 통상 0.001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 MPa 이상이다.
<세퍼레이트 필름(32)>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은, 점착제층(31)의 표면에 형성된 세퍼레이트 필름(32)을 포함할 수 있다. 세퍼레이트 필름(32)은,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필름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트 필름(32)이 박리되어, 점착제층(31)을 통해 광학 적층 필름(20)이 피착물에 접합된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은,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층(21)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 필름과,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된 세퍼레이트 필름을 이 순서대로 갖는 원단 적층 필름을 준비하는 공정과, 원단 적층 필름에 세퍼레이트 필름측으로부터 부식날을 진입시켜 원단 적층 필름을 절단하여 측면을 형성하는 절단 공정을 갖는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으로서, 측면에 보호 영역을 갖는 전술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이 예시된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20)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절단 공정에서 이용되는 부식날을 구비하는 부식날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부식날형(121)은, 금속판을 에칭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부식날이 입체적으로 돌출된 형상이며, 도 6에 도시되는 윤곽(122)은 부식날의 날끝을 나타내고,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20)의 윤곽과 일치한다.
부식날형(121)을 원단 적층 필름에 대고 눌러, 부식날(122)을 원단 적층 필름 내에 진입시켜 절단하는 것에 의해 측면이 형성됨과 더불어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20)이 펀칭된다. 펀칭 대상이 되는 원단 적층 필름은, 복수장이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1장인 것이, 얻어지는 편광판의 치수 정밀도가 양호해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부식날형(121)에 의하면 1회의 펀칭에 의해 원단 적층 필름 1장당 6장의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을 동시에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20)의 측면은 모두 절단면이다.
부식날형(121)은, 레이저 조사에 의해 레지스트막을 패터닝하여 에칭 가공에 의해 제작된다. 이 때문에, 높은 치수 정밀도의 날형이 얻어진다. 한편, 에칭 가공에 의해 제작되기 때문에, 그 날끝은 비교적 예리하지 않다. 부식날은 피나클날이라고도 한다. 이에 비해, 톰슨날은 기계 연마에 의해 제작하기 때문에, 그 날끝은 비교적 예리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측면에 보호 영역을 갖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이 얻어지는 이유로서, 절단시에 부식날인 피나클날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날끝은 비교적 예리한 톰슨날을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점착제층(31)의 층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기 쉬워지고, 이것에 의해 점착제층(31)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세퍼레이트 필름(32)측으로부터 피나클날을 진입시키는 것에 의해 돌출부가 편광자층(21)측으로 젖혀 올라가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도 7은, 부식날(122)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부식날(122)은, 날끝(122a)과 본체(122b)로 이루어진다. 날끝(122a)의 각도 β는, 20°∼4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3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체(122b)의 두께 t는, 0.1 mm∼1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mm∼0.6 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8은, 부식날(122)을 이용한 절단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댐판(160) 상에 원단 적층 필름(150)을 배치한다. 이 때, 원단 적층 필름(150)의 광학 적층 필름(20)이 맞댐판(160)측에, 세퍼레이트 필름(32)측이 맞댐판(160)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1장의 원단 적층 필름(150)을 배치한다. 원단 적층 필름(150)은, 복수장을 적층하여 배치하고, 복수장의 펀칭을 동시에 행해도 좋다. 그리고, 부식날(122)을 세퍼레이트 필름(32)측으로부터 원단 적층 필름(150) 내에 진입시킨다. 부식날(122)이 맞댐판(160)에 도달하면, 부식날(122)을 원단 적층 필름(150) 내로부터 빼내고, 펀칭이 완료한다.
도 9∼도 11은, 각각, 부식날(122)의 단면형상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식날(122)은, 절단후에 목적으로 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측이 되는 면(이하, 「A면」이라고 함)과, 그 반대측의 면(이하, 「B면」이라고 함)이, 모두 수선(진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소위 양날이어도 좋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식날(122)은, A면이 수선(진입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고, B면만이 수선(진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소위 편날이어도 좋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식날(122)은, A면의 수선(진입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와, B면의 수선(진입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상이한 양날이어도 좋다.
부식날(122)의 A면은, 수선 방향(진입 방향)에 대한 각도 α1이 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식날(122)의 B면은, 수선 방향(진입 방향)에 대한 각도 α2가 14∼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 각도의 합(α12)은, 절단날의 강도를 충분한 것으로 하는 점에서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절단을 용이한 것으로 하는 점에서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 각도(α1, α2)는 동일해도 좋다(α1=α2). 이 경우, 부식날(122)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날이다. 양 각도(α1, α2)는 상이해도 좋다. 이 경우, 부식날(122)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도 α1이 0°인 편날이어도 좋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α12인 양날이어도 좋고, α12인 양날이어도 좋다. 통상, 양 각도(α1, α2)가 상이한 경우 α12이다.
각도 α1은, 거리 d를 크게 할 수 있는 관점에서는 큰 편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도 α1은, 절단시의 부식날의 진입에 의해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에 주는 데미지(손상 등)를 작게 할 수 있는 관점에서는,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펀칭시에, 세퍼레이트 필름(32)측으로부터 부식날(122)을 진입시키는 것에 의해, 보호 영역을 갖는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부식날(122)의 형상, 부식날(122)의 원단 적층 필름(150) 내에 대한 진입 속도 등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점착제층(31)의 최단 위치와 편광자층(21)의 최단 위치가 이루는 거리 d를 조정할 수 있다. 부식날(122)의 선단의 각도(α12)가 크고 선단이 무딜수록, 거리 d를 크게 할 수 있다.
맞댐판(160)의 재료는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제의 맞댐판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10)의 제조 방법에서는, 외측 프레임의 펀칭과, 관통 구멍(51)이 펀칭이 동시에 행해져도 좋고, 상이한 타이밍에 행해져도 좋다. 펀칭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는, 동시에 행해지는 편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절단 공정은, 측면의 형성은 부식날에 의한 펀칭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라우터를 이용하여 절삭 가공하는 방법, 드릴 등의 회전 절삭 기구를 이용하여 천공 가공을 행하는 방법 등을 조합해도 좋다.
[화상 표시 장치]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은,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화상 표시 소자로는, 예컨대 액정 표시 소자, 유기 EL 표시 소자 등을 들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를 구축함에 있어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은, 시인측에 배치하여 이용되어도 좋고, 백라이트측에 배치하여 이용되어도 좋고, 시인측 및 백라이트측의 쌍방에 이용되어도 좋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 중의 「%」 및 「부」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 및 질량부이다. 시험 및 측정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했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A] (실시예)
<원단 적층 필름의 제작 공정>
도 4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30)과 동일한 층구성 「표면 보호 필름(24)/제1 보호층(22)/편광자층(21)/제2 보호층(23)/점착제층(31)/세퍼레이트 필름(32)」의 원단 적층 필름을 이하와 같이 제작했다.
(편광자층(21)의 제작)
장척형의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요오드를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 염색한 후, 붕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 속비가 상이한 롤 사이에서 6배로 길이 방향으로 일축 연신하여, 길이 방향으로 흡수축을 갖는 장척형의 편광자층을 얻었다. 이 장척형의 편광자층은 연신후 권취하여 권회체로 했다. 편광자층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99.995% 정도이며,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42.7%이며, 두께는 12 ㎛였다.
(제1 보호층(22)의 준비)
제1 보호층(22)으로서, 장척형의 하드코팅층 부착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두께 32 ㎛, 토판인쇄사 제조, 상품명 : 25KCHCN-TC)을 준비했다.
(제2 보호층(23)의 준비)
제2 보호층(23)으로서, 장척형의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두께 13 ㎛, 닛폰제온사 제조 제오노아 필름, 상품명 : ZF14-013)을 준비했다.
(적층 공정)
상기와 같이 제작 또는 준비한 편광자층(21), 제1 보호층(22) 및 제2 보호층(23)을 각각 300 mm×400 mm로 잘라낸 후,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를 통해 편광자층(21)의 양면에 제1 보호층(22)과 제2 보호층(23)을 접합하고, 80℃ 건조 오븐에 3분 넣었다. 다음으로, 제2 보호층(23)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한 후, 그 코로나 처리면측에 세퍼레이트 필름(32)이 접합되어 있는 아크릴계의 점착제층(31)(두께 20 ㎛)을 적층했다. 마지막으로, 제1 보호층(22)의 표면에 표면 보호 필름(24)인 미점착제 부착 이형 필름을 적층시켜 원단 적층 필름을 얻었다. 코로나 처리는, 카스가전기 주식회사 제조의 코로나 방전 장치에 의해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코로나 표면 처리 프레임 "STR-1764", 고주파 전원 "CT-0212", 고압 트랜스 "CT-T02W"를 사용했다. 이 원단 적층 필름은, 편광자층(21)과 제1 보호층(22) 사이에는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층(두께 0.2 ㎛ 이하)이, 편광자층(21)과 제2 보호층(22) 사이에도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층(두께 0.2 ㎛ 이하)이 각각 개재되어 있다.
<절단 공정>
얻어진 원단 적층 필름(300 mm×400 mm)의 1장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식날을 이용하여, 도 3에 나타내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형상으로 펀칭하여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A를 얻었다. 부식날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양날이며, α12=15°인 부식날을 이용했다. 도 8에 나타내는 펀칭시에, 원단 적층 필름의 표면 보호 필름(24)이 맞댐판(160)측에, 세퍼레이트 필름(32)이 맞댐판(160)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원단 적층 필름(150)을 배치하고, 양생 테이프로 네 모서리를 각각 맞댐판(160)에 고정하고, 세퍼레이트 필름(32)측으로부터 부식날을 원단 적층 필름 내에 진입시켰다. 펀칭은, 편광자층(21)의 흡수축이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A의 길이 방향에 평행해지도록 행했다. 또, 절단날은, 펀칭 방향으로 24 mm(원단 적층 필름의 두께를 충분히 넘는)의 행정(「1 행정」으로 함)을 왕복 운동이 가능한 것을 이용하고, 1 행정을 1.5초로 왕복시켜, 왕복 운동의 반환점에서 원단 적층 필름(150)을 절단했다. 맞댐판(160)으로는 아크릴 시트(두께 3.5 mm) 1장과 폴리프로필렌 시트(두께 1.0 mm) 1장을 중합한 것을 이용했다. 맞댐판(160)은, 폴리프로필렌 시트측이 원단 적층 필름(150)과 접하도록 이용했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B] (비교예)
<원단 적층 필름의 제작 공정>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A에서의 제작 공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원단 적층 필름을 제작했다.
<절단 공정>
얻어진 원단 적층 필름(300 mm×400 mm)의 1장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식날을 이용하여, 도 3에 나타내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형상으로 펀칭하여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B를 얻었다. 도 8에 나타내는 펀칭시에, 원단 적층 필름의 세퍼레이트 필름(32)이 맞댐판(160)측에, 표면 보호 필름(24)이 맞댐판(160)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원단 적층 필름(150)을 배치하고, 양생 테이프로 네 모서리를 각각 맞댐판(160)에 고정하고, 표면 보호 필름(24)측으로부터 부식날을 원단 적층 필름 내에 진입시켰다. 펀칭은, 편광자층(21)의 흡수축이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B의 길이 방향(길이 400 mm)에 평행해지도록 행했다. 또, 절단날은, 펀칭 방향으로 24 mm(원단 적층 필름의 두께를 충분히 넘는)의 행정(「1 행정」으로 함)을 왕복 운동이 가능한 것을 이용하고, 1 행정을 1.5초로 왕복시켜, 왕복 운동의 반환점에서 원단 적층 필름(150)을 절단했다. 맞댐판(160)으로는 아크릴 시트(두께 3.5 mm) 1장과 폴리프로필렌 시트(두께 1.0 mm) 1장을 중합한 것을 이용했다. 맞댐판(160)은, 폴리프로필렌 시트측이 원단 적층 필름(150)과 접하도록 이용했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C] (실시예)
<원단 적층 필름의 제작 공정>
도 5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의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140)과 동일한 층구성 「표면 보호 필름(24)/제1 보호층(22)/편광자층(21)/제2 보호층(23)/제1 접합층(25)/제1 액정 경화층(26)/제2 접합층(27)/제2 액정 경화층(28)/점착제층(31)/세퍼레이트 필름(32)」의 원단 적층 필름을 이하와 같이 제작했다.
(편광자층(21)의 제작)
장척형의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요오드를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 염색한 후, 붕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 속비가 상이한 롤 사이에서 6배로 일축 연신하여, 길이 방향으로 흡수축을 갖는 장척형의 편광자층을 얻었다. 이 장척형의 편광자층은 연신후 권취하여 권회체로 했다. 편광자층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99.995% 정도이며,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42.7%이며, 두께는 12 ㎛였다.
(제1 보호층(22)의 준비)
제1 보호층(22)으로서, 장척형의 하드코팅층 부착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두께 32 ㎛, 토판인쇄사 제조, 상품명 : 25KCHCN-TC)을 준비했다.
(제2 보호층(23)의 준비)
제2 보호층(23)으로서, 장척형의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두께 40 ㎛, 코니카미놀타사 제조, 상품명 : KC4UYW)을 준비했다.
(제1 액정 경화층(26)의 준비)
제1 액정 경화층(26)으로서, 네마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 및 배향막으로 이루어진 필름(두께 1 ㎛)을 준비했다. 이 제1 액정 경화층(26)의 면내 위상차치 Re(550)는 140 nm이며, Re(450)/Re(550)는 1.0 미만이며, Re(650)/Re(550)는 1.0초였다. 이러한 제1 액정 경화층(26)에 관해, 후술하는 압입력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한 압입력은 8.8 g/mm였다.
(제2 액정 경화층(28)의 준비)
제2 액정 경화층(28)으로서, 막대형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 및 배향막으로 이루어진 필름(두께 2 ㎛)을 준비했다. 이 제2 액정 경화층(28)은, 그 면내에서 Nz>Nx=Ny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그 면내 위상차치 Re(550)는 0.6 nm이며, 두께 방향의 위상차치 Rth(550)는 -69.6 nm였다. 이러한 제2 액정 경화층(28)에 관해, 후술하는 압입력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한 압입력은 38.1 g/mm였다.
(적층 공정)
상기와 같이 제작 또는 준비한 편광자층(21), 제1 보호층(22), 제2 보호층(23), 제1 액정 경화층(26) 및 제2 액정 경화층(28)을 각각 300 mm×400 mm로 잘라낸 후,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를 통해 편광자층(21)의 양면에 제1 보호층(22)과 제2 보호층(23)을 접합하고, 80℃의 건조 오븐에 3분 넣었다. 이어서, 제2 보호층(23)측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한 후, 코로나 처리면 상에 제1 접합층(25)로서 아크릴계의 점착제(두께 5 ㎛)를 적층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적층체를 제1 적층체라고 부른다. 코로나 처리는, 카스가전기 주식회사 제조의 코로나 방전 장치에 의해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코로나 표면 처리 프레임 "STR-1764", 고주파 전원 "CT-0212", 고압 트랜스 "CT-T02W"를 사용했다.
다음으로 제1 액정 경화층(26)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공하여 제2 액정 경화층(28)을 접합하고, 제2 액정 경화층(28)측으로부터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즈(주) 제조〕를 이용하여, 적산광량 400 mJ/㎠(UV-B)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제1 액정 경화층(26)/접착제층으로 이루어진 제2 접합층(27)/제2 액정 경화층(28)」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제2 적층체라고 부른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제1 적층체와 제2 적층체를, 제1 적층체의 제1 접합층(25)과 제2 적층체의 제1 액정 경화층(26)이 접합되도록 적층했다. 이 때, 제1 액정 경화층(26)의 지상축이 편광자층(31)의 흡수축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적층했다.
그 후, 제2 액정 경화층(28)의 표면에, 세퍼레이트 필름(32)이 접합되어 있는 아크릴계의 점착제층(31)(두께 20 ㎛)을 적층했다. 마지막으로, 제1 보호층(22)의 표면에 표면 보호 필름(24)인 미점착제 부착 이형 필름을 적층시켜 원단 적층 필름을 얻었다.
<절단 공정>
얻어진 원단 적층 필름(300 mm×400 mm)의 1장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식날을 이용하여, 도 3에 나타내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형상으로 펀칭하여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C를 얻었다. 도 8에 나타내는 펀칭시에, 원단 적층 필름의 표면 보호 필름(24)이 맞댐판(160)측에, 세퍼레이트 필름(32)이 맞댐판(160)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원단 적층 필름(150)을 배치하고, 양생 테이프로 네 모서리를 각각 맞댐판(160)에 고정하고, 세퍼레이트 필름(32)측으로부터 부식날을 원단 적층 필름 내에 진입시켰다. 펀칭은, 편광자층(21)의 흡수축(연신 방향)이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C의 길이 방향(400 mm)에 평행해지도록 행했다. 또, 절단날은, 펀칭 방향으로 24 mm(원단 적층 필름의 두께를 충분히 넘는)의 행정(이하, 「1 행정」으로 함)을 왕복 운동이 가능한 것을 이용하고, 1 행정을 1.5초로 왕복시켜, 왕복 운동의 반환점에서 원단 적층 필름(150)을 절단했다. 맞댐판(160)으로는 아크릴 시트(두께 3.5 mm) 1장과 폴리프로필렌 시트(두께 1.0 mm) 1장을 중합한 것을 이용했다. 맞댐판(160)은, 폴리프로필렌 시트측이 원단 적층 필름(150)과 접하도록 이용했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D] (비교예)
<원단 적층 필름의 제작 공정>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D의 제작 공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원단 적층 필름을 제작했다.
<펀칭 공정>
얻어진 원단 적층 필름(300 mm×400 mm)의 1장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식날을 이용하여, 도 3에 나타내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형상으로 펀칭하여 시료 4를 얻었다. 도 8에 나타내는 펀칭시에, 원단 적층 필름의 세퍼레이트 필름(32)이 맞댐판(160)측에, 표면 보호 필름(24)이 맞댐판(160)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원단 적층 필름(150)을 배치하고, 양생 테이프로 네 모서리를 각각 맞댐판(160)에 고정하고, 표면 보호 필름(24)측으로부터 부식날을 원단 적층 필름 내에 진입시켰다. 펀칭은, 편광자층(21)의 흡수축이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D의 길이 방향(400 mm)에 평행해지도록 행했다. 또, 절단날은, 펀칭 방향으로 24 mm(원단 적층 필름의 두께를 충분히 넘는)의 행정(이하, 「1 행정」으로 함)을 왕복 운동이 가능한 것을 이용하고, 1 행정을 1.5초로 왕복시켜, 왕복 운동의 반환점에서 원단 적층 필름(150)을 절단했다. 맞댐판(160)으로는 아크릴 시트(두께 3.5 mm) 1장과 폴리프로필렌 시트(두께 1.0 mm) 1장을 중합한 것을 이용했다. 맞댐판(160)은, 폴리프로필렌 시트측이 원단 적층 필름(150)과 접하도록 이용했다.
[측면 관찰]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A∼D에 관해, 측면의 곡면 영역의 개시 위치의 단면형상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도 12의 (a) 및 (b)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A, B에 관해 광학 현미경에 의한 관찰 이미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a) 및 (b)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C, D에 관해 광학 현미경에 의한 관찰 이미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A, C의 측면은, 점착제층(31)이 편광자층(21)의 최단 위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편광자층(21)측으로 젖혀져 있다. 즉 보호 영역이 형성되어 있었다. 한편,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B, D의 측면은, 점착제층(31)이 편광자층(21)의 최단 위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편광자층(21)과는 반대측으로 젖혀져 있다. 즉, 보호 영역을 갖고 있지 않았다. 또,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A∼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D 모두 점착제층(31)의 최단 위치와 편광자층(21)의 최단 위치의 거리 d는 15 ㎛였다. 또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A∼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D 모두, 편광자층(21)과 제1 보호층(22) 사이에 개재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층, 및 편광자층(21)과 제2 보호층(23) 사이에 개재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층은 관찰되지 않았다.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C 및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D 모두, 제1 접합층(25), 제2 액정 경화층(26), 제2 접합층(27) 및 제2 액정 경화층(28)은 각각을 식별하여 관찰할 수는 없고, 일체의 층(도 13의 (a)(b)에서 층(29)으로서 나타냄)으로서 관찰되었다.
[열충격 시험]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A∼D에 관해, 에탄올로 표면을 닦아낸 무알칼리 유리(코닝 제조 이글 XG, 120×200×0.7 mm)의 상기 표면에 접합하고, 그 후, 50℃, 0.5 MPa(게이지압)으로 20분간의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행했다. 이것을 평가용 샘플로 했다.
열충격 시험조에 평가용 샘플을 투입하고, -40℃ 및 85℃의 열자극을 각 30분의 사이클로 부여했다. 저온으로부터 고온으로의 열자극을 1 사이클로 하여, 각 샘플에 관해 합계 100 사이클의 시험을 행했다.
[크랙 평가]
상기 열충격 시험후의 평가용 샘플의 크랙의 발생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특히, 곡면 영역에 관해서는 상세하게 관찰했다. 발생한 크랙의 일례에 관한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도 14에 나타낸다. 이 도면(광학 현미경 이미지)은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A, B에 관해 공통된 특정 영역의 상면으로부터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이다. 각 평가용 샘플에 관해 동일한 범위가 되도록 규정한 곡면 영역으로부터 발생하고 있는 크랙을 관찰하고, 그 크랙의 길이에 기초하여 크랙을 이하와 같이 분류하고, 각 분류에 포함되는 크랙의 갯수를 계측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짧은 크랙 : 길이가 100 ㎛ 미만인 크랙
중간 크랙 : 길이가 100 ㎛ 이상 200 ㎛ 미만인 크랙
긴 크랙 : 길이가 200 ㎛ 이상인 크랙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A, C는, 열충격 시험에서 100 사이클 실시후에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다.
[압입력의 측정]
샘플 A로서 두께 6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 샘플 B로서 두께 2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 샘플 C로서 두께 23 ㎛의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필름, 샘플 D, E로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C, D의 제작시에 준비한 제1 액정 경화층(26), 제2 액정 경화층(28)을 준비하여, 각 샘플의 압입력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도 15의 (a)에 상면도를 나타내고, (b)에 단면도를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샘플(170)을 30 mm×30 mm의 직사각형으로 잘라내고, 중심에 10 mm×10 mm의 직사각형 개구부(171a)를 갖는 두꺼운 종이(171)(두께 85 ㎛, 30 mm×30 mm의 직사각형) 위에, 두께 25 ㎛의 점착제층(172)을 통해 개구부(171a)를 막도록 접착했다. 그 후, 막힌 개구부(171a)의 샘플(170)측의 상측으로부터, 선단의 직경이 1.0 mm인 철봉(173)을 0.33 mm/s의 속도로 압입하고, 핸디 압축 시험기(KEN-G5, 카토테크 주식회사 제조)를 이용하여 두께 방향의 변형량에 대한 압입력을 측정했다. 도 16은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표 2는, 도 16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한 압입력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20 : 광학 적층 필름, 21 : 편광자층, 22 : 제1 보호층, 23 : 제2 보호층, 24 : 표면 보호 필름, 25 : 제1 접합층, 26 : 제1 액정 경화층, 27 : 제2 접합층, 28 : 제2 액정 경화층, 31 : 점착제층, 32 : 세퍼레이트 필름, 51 : 관통 구멍, 52 : 모서리부, 53 : 오목부, 100, 110, 120, 130, 140 :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100a, 130a, 140a : 보호 영역, 121 : 부식날형, 122 : 부식날, 122a : 날끝, 122b : 본체, 150 : 원단 적층 필름, 160 : 맞댐판.

Claims (10)

  1.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 필름과, 점착제층을 순서대로 갖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편광자층의 최단 위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편광자층측으로 젖혀 올라간, 보호 영역인,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학 적층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서의 윤곽이 곡선인, 곡면 영역이고,
    상기 곡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호 영역인,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영역에서의 상기 보호 영역은, 상기 윤곽이 상기 편광자층의 흡수축 방향과 이루는 각도 θ가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상기 각도 θ가 0° 초과 90° 이하의 부분을 포함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영역은 절단면인,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영역은, 상기 점착제층의 최단 위치와, 상기 편광자층의 최단 위치가 이루는 거리 d가 10 ㎛ 이상인 영역을 포함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광학 적층 필름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된 세퍼레이트 필름을 더 갖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적층 필름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경화물로 이루어진 액정 경화층을 포함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적층 필름은, 상기 편광자층에서 볼 때 상기 점착제층과는 반대측에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편광자층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을 구성하는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9.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 필름과,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된 세퍼레이트 필름을 이 순서대로 갖는 원단 적층 필름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원단 적층 필름에 상기 세퍼레이트 필름측으로부터 부식날을 진입시켜 상기 원단 적층 필름을 절단하여 측면을 형성하는 절단 공정을 갖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편광자층의 최단 위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편광자층측으로 젖혀 올라간, 보호 영역인,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200016159A 2019-02-14 2020-02-11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994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24606 2019-02-14
JPJP-P-2019-024606 2019-02-14
JP2019207146A JP6846497B2 (ja) 2019-02-14 2019-11-15 粘着剤層付光学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9-207146 2019-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482A true KR20200099482A (ko) 2020-08-24

Family

ID=7206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159A KR20200099482A (ko) 2019-02-14 2020-02-11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99482A (ko)
CN (1) CN1115626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7067A (zh) * 2022-07-07 2022-09-16 丝艾产品标识(重庆)有限公司 一种摄像头镜片保护膜的剥离解决方法
CN115469381B (zh) * 2022-09-23 2023-06-23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承载膜结构、光学膜结构、光学模组及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5630A (ja) 2016-08-09 2018-02-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5630A (ja) 2016-08-09 2018-02-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62642A (zh)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48076B (zh) 附保護膜之偏光板及液晶面板
KR102525401B1 (ko) 편광판,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477797B1 (ko) 편광판
JP2016110159A (ja) 偏光板、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TWI634354B (zh) 偏光板及液晶顯示裝置
KR20160076435A (ko)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편광판의 세트, 액정 패널, 액정 표시 장치
KR102642673B1 (ko) 적층체
KR20200081288A (ko) 플렉시블 적층체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TW201930063A (zh) 積層體
KR20200099482A (ko)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06839A (ko) 절삭 가공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10122699A (ko) 편광판 및 이 편광판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2017181597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KR102412245B1 (ko) 편광판 세트
JP7005803B1 (ja) 積層体
JP6846497B2 (ja) 粘着剤層付光学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126710A (ko)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21152641A (ja) 円偏光板及び光学積層体
TWI838456B (zh) 附黏著劑層之光學積層膜及其製造方法
JP2020187595A (ja)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CN110398800B (zh) 层叠体
KR20190010446A (ko) 광학 시트
KR20240035512A (ko) 편광 소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20147582A (ko) 광학 적층체
KR20230141649A (ko) 편광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