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946A - 가발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가발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946A
KR20200098946A KR1020190016705A KR20190016705A KR20200098946A KR 20200098946 A KR20200098946 A KR 20200098946A KR 1020190016705 A KR1020190016705 A KR 1020190016705A KR 20190016705 A KR20190016705 A KR 20190016705A KR 20200098946 A KR20200098946 A KR 20200098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ortion
hair
base
wi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2683B1 (ko
Inventor
홍인표
Original Assignee
(주)하이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모 filed Critical (주)하이모
Priority to KR1020190016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6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66Planting hair on 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75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w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발 및 가발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가발은, 두피를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에 마련된 제1 면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마련된 제2 면을 포함하는 망 형태의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보다 낮은 온도에서 녹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매듭지어지되,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발 및 그 제작방법{WI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발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두피 표현이 자연스러운 가발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발은 얇은 두께의 네트에 일련의 모를 수제로 엮어서 형성된 완성네트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머리가 없는 해당 부분 또는 머리 전체에 착용하여 착용자의 헤어스타일을 돋보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는 종래 가발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도가 도시된다. 종래 가발(10)은 네트 형태의 베이스망(11)과 베이스망(11)에 식모되는 모(12)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 가발(10)은 매듭에 인접한 모발(14)이 베이스망(11)에 누운 형태가 될 수 있어서, 실제 사람의 머리카락와 같은 볼륨이 형성되지 않아 문제가 된다. 즉, 실제 사람의 머리카락의 경우 두피 아래의 소정 위치(0.3-0.7mm)의 모낭에서부터 나무 형태로 뻗어나오는 구조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가발(10)의 제작 시에 인모 또는 인조모를 네트나 원단에 매듭을 지어서 제작하는 것만으로는 사람의 두피에서 나오는 볼륨감있는 머리카락을 구현할 수 없어서 문제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를 효과적으로 세움으로써 실제 사람의 두피에서 머리카락이 나와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가발 및 가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은, 두피를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에 마련된 제1 면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마련된 제2 면을 포함하는 망 형태의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보다 낮은 온도에서 녹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매듭지어지되,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의 제작방법은, 제2 베이스부를 준비하는 제1 단계와, 두피를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에 마련된 제1 면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마련된 제2 면을 포함하는 망 형태의 제1 베이스부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2 베이스부를 접합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베이스부에 모를 매듭짓고, 상기 모를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순차적으로 관통시킨 후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보다 낮은 온도에서 녹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발 및 가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베이스에 저융점 섬유(LMF)를 적용하여 모를 효과적으로 세움으로써 모의 볼륨감을 높여서 실제 사람의 두피에서 머리카락이 나와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가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의 제작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 베이스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도 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가발 및 가발의 제작방법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발(100)은, 제1 베이스부(110)와 제2 베이스부(130) 및 모(150)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부(110)는 두피를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Ⅰ)에 마련된 제1 면(111)과, 제1 방향(Ⅰ)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Ⅱ)에 마련된 제2 면(112)을 포함하고, 망 형태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는 모(150)의 식모가 가능한 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30)는 제1 면(111)에 접합되고 제1 베이스부(110)보다 낮은 온도에서 녹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베이스부(130)는 제1 베이스부(110)의 전부 또는 일부와 중첩된 상태로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부(110)는 가발(100)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베이스부(130)는 제1 베이스부(110)의 적어도 일부 특히, 착용자의 가르마 부위나 이마 부위와 같이 볼륨업이 필요한 부위에 중첩되게 마련될 수 있다(도 4 및 도 6 참조). 다만 제2 베이스부(130)의 위치와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 베이스부(110)의 전체와 중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베이스부(130)는 제1 베이스부(110)보다 낮은 온도에서 녹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베이스부(130)는 저융점 섬유(Low melting fiber, LMF)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융점 섬유(LMF)는, 265℃ 이상에서 녹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달리, 약 100-200℃의 낮은 온도에서 녹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원단과 원단의 접착에 널리 사용되는 친환경 섬유이다. 본 발명은 제2 베이스부(130)를 저융점 섬유로 구비함으로써, 저융점 섬유 원단의 이러한 접착성과 함께 섬유질 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
모(150)는 제1 베이스부(110)에 매듭지어지되, 제2 베이스부(130)와 제1 베이스부(11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2 방향(Ⅱ)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모(150)는 제1 베이스부(110)의 제1 면(111)에서 매듭지어진 후 두피 측에 마련되는 제2 베이스부(130)를 먼저 관통한 다음 제1 베이스부(110)를 관통하여 제2 방향(Ⅱ)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150)가 제1 베이스부(110) 아래의 제2 베이스부(130)에서 뻗어 나오는 구조가 됨으로써, 실제 사람의 머리카락의 두피와 유사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저융점 섬유(LMF)로 이루어진 제2 베이스부(130)는 일정한 형태를 가진 섬유질로 마련되기 때문에, 모(150)가 섬유질 사이로 뽑아 올려져서 솟아오르는 형태가 되도록 잡아주므로 모(150)가 휘거나 넘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제2 베이스부(130)가 실제 사람의 두피에서 모낭과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모(150)의 볼륨감을 살려주어 실제 사람의 두피와 같이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제2 베이스부(130)는 가열에 의해 제1 베이스부(110)와 접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베이스부(130)는 코어부와 피복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피복부(134)는 코어부(133)를 둘러싸고, 코어부(133) 및 제1 베이스부(110)보다 융점이 낮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베이스부(130)는 가열에 의해 피복부(134)가 용융됨으로써 제1 베이스부(110)와 접착될 수 있다.
도 5에는 제2 베이스부(130)를 이루는 저융점 섬유(LMF)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가이 저웅점 섬유는 가열(HEAT) 시에 피복부(134)가 녹으면서 같은 저융점 섬유 간 또는 다른 부재와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융점이 낮은 저융점 섬유의 특성을 이용하여, 저융점 섬유로 이루어진 제2 베이스부(130)와 제1 베이스부(110)를 접착할 수 있다(도 5 참조).
한편 제2 베이스부(130)는 가열에 의해 이완된 후 가열 중지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베이스부(130)의 수축에 의해 제2 베이스부(130)를 관통한 모(150)가 세워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모(150)는 매듭부(151)와 결속부(152) 및 모발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매듭부(151)는 제1 베이스부(110)의 제1 면(111)에서 매듭지어질 수 있다. 그리고 결속부(152)는 매듭부(151)에서 제1 방향(Ⅰ)으로 연장되고 제2 베이스부(130)의 서로 다른 2 지점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되, 제2 베이스부(130)의 제1 방향(Ⅰ)을 향하는 면에서 2 지점 사이가 이어질 수 있다. 모발부(153)는 결속부(152)에서 연장되고 제2 면(112)에서 제2 방향(Ⅱ)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150)는, 제1 베이스부(110)의 두피를 향하는 면인 제1 면(111)에서 수제되고, 제2 베이스부(130)의 두 개의 지점을 통과하여 J자 형상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모(150)가 제2 베이스부(1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1 관통공(131,제1 지점)과 제2 관통공(132,제2 지점)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베이스부(110)의 아래(제1 방향(Ⅰ))인 두피 측에서 제2 베이스부(130)를 먼저 관통한 후 제1 베이스부(110)를 관통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실제 사람의 두피와 같은 볼륨감을 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발(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가발(100)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가발(100)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발(100)의 제조방법은 제1 단계(S110)와 제2 단계(S120) 및 제3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계(S110)는 제2 베이스부(13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가르마 부위와 이마 부위와 같이 볼륨감이 필요한 부위의 형상으로 재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베이스부(130)는 제1 베이스부(110)보다 낮은 온도에서 녹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한다. 즉 제2 베이스부(130)는 저융점 섬유(Low melting fiber, LMF)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저융점 섬유(LMF)의 특성은 상기한 설명과 동일하다.
제2 단계(S120)는 두피를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Ⅰ)에 마련된 제1 면(111)과, 제1 방향(Ⅰ)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Ⅱ)에 마련된 제2 면(112)을 포함하는 망 형태의 제1 베이스부(110)의 제1 면(111)에 제2 베이스부(130)를 접합한다.
구체적으로 제2 단계(S120)는 제1 베이스부(110)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 제2 베이스부(130)를 중첩시킨 후 접합시킬 수 있다. 이때 1차 가열에 의해 제2 베이스부(130)가 용융되어 제1 베이스부(110)와 접착될 수 있다(도 6 참조). 즉 제2 단계(S120)에서 제1 가열부재(21)(일례로 다리미 등)로 1차 가열하여 제2 베이스부(130)를 녹여서 제1 베이스부(110)에 접착시킬 수 있다.
제3 단계(S130)는 제2 단계(S120) 이후에, 제1 베이스부(110)에 모(150)를 매듭짓고, 모(150)를 제2 베이스부(130)와 제1 베이스부(110)에 순차적으로 관통시킨 후 제2 방향(Ⅱ)으로 연장한다.
구체적으로 제3 단계(S130)에서, 제1 베이스부(110)의 제1 면(111)에서 모(150)를 매듭지은 후 두피 측에 마련되는 제2 베이스부(130)를 먼저 관통한 다음 제1 베이스부(110)를 관통하여 제2 방향(Ⅱ)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150)가 제1 베이스부(110) 아래의 제2 베이스부(130)에서 뻗어 나오는 구조가 됨으로써, 이는 실제 사람의 머리카락이 두피와 유사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저융점 섬유(LMF)로 이루어진 제2 베이스부(130)는 일정한 형태를 가진 섬유질로 마련되기 때문에, 모(150)가 섬유질 사이로 뽑아올려져서 솟아오르는 형태가 되도록 잡아주므로 모(150)가 휘거나 넘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제2 베이스부(130)가 실제 사람의 두피에서 모낭과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모(150)의 볼륨감을 살려주어 실제 사람의 두피와 같이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제3 단계(S130)는 매듭부 형성단계(S131) 및 모 결속단계(S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a)는 제1 베이스부(110)와 제2 베이스부(130)가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매듭부 형성단계(S131)는 제1 면(111)에서 제1 베이스부(110)에 모(150)를 식모하여 제1 베이스부(110)에 매듭부(151)를 형성할 수 있다(도 3의 (b) 참조). 구체적으로 매듭부 형성단계(S131)는 제1 베이스부(110)의 두피를 향하는 면인 제1 면(111)에서 수제를 하여 매듭지을 수 있다.
모 결속단계(S132)는 매듭부 형성단계(S131) 이후에, 모(150)를 매듭부(151)에서 제1 방향(Ⅰ)으로 연장하여 제2 베이스부(130)의 제1 지점을 관통시킨 후, 모(150)를 구부려 제2 베이스부(130)의 제1 지점과 다른 제2 지점을 관통시키고 제1 베이스부(110)를 통과하여 제2 방향(Ⅱ)으로 빼낼 수 있다(도 3의 (c) 참조).
구체적으로 모 결속단계(S132)는 매듭부 형성단계(S131) 이후에 모(150)가 제2 베이스부(130)의 서로 다른 2 지점인 제1 지점과 제2 지점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150)는 J자 형상으로 제1 및 제2 베이스부(110,130)에 결속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점에는 제1 관통공(131)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지점에는 제2 관통공(13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150)는, 제1 지점을 통과한 후에, 제2 베이스부(130)와 제1 베이스부(110)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즉 모(150)는 제1 베이스부(110)의 아래(제1 방향(Ⅰ))인 두피 측에서 제2 베이스부(130)를 먼저 관통한 다음 제1 베이스부(110)를 관통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사람의 두피와 같은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실제 두피처럼 머리카락이 솟아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3 단계(S130) 후에 수행되는 제4 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단계(S140)는 제2 베이스부(130)와 모(150)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고 수축에 의해 제2 베이스부(130)를 통과한 모(150)가 세워지도록, 2차 가열에 의해 제2 베이스부(130)를 이완시킨 후 2차 가열을 중지하여 제2 베이스부(130)를 수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단계(S130)를 통해 모(150)가 제2 베이스부(130)를 통과하면서 모(150)가 솟아오르는 형태가 되고, 모(150)가 휘거나 넘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4 단계(S140)에서는 제2 베이스부(130)의 재질인 저융점 섬유(LMF)의 특성을 이용하여 제2 베이스부(130)를 수축함으로써 모(150)를 더욱 효과적으로 세울 수 있다.
즉 제4 단계(S140)에서 제2 가열부재(22)(일례로 드라이기 등)로 2차 가열을 하여 제2 베이스부(130)를 이완시킬 수 있고, 2차 가열을 중지하여 제2 베이스부(130)를 수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베이스부(130)를 이루는 저융점 섬유는 제4 단계(S140) 이전보다 더욱 수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섬유가 모(150)를 더욱 견고하게 조임으로써 제2 베이스부(130)를 통과한 모(150)를 더욱 효과적으로 세워서 볼륨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단계(S140)에서 2차 가열 시에 제2 베이스부(130)가 용융되어 모(150)와 접착력이 강화됨으로써, 모(150)와 제2 베이스부(130)의 결속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발 및 가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베이스에 저융점 섬유(LMF)를 적용하여 모를 효과적으로 세움으로써 모의 볼륨감을 높여서 실제 사람의 두피에서 머리카락이 나와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를 제1 및 제2 베이스부에 J자 형상으로 결속 및 인출함으로써, 실제 사람의 머리카락의 두피와 유사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가발 110: 제1 베이스부
111: 제1 면 112: 제2 면
130: 제2 베이스부 131: 제1 관통공
132: 제2 관통공 133: 코어부
134: 피복부 150: 모
151: 매듭부 152: 결속부
153: 모발부 Ⅰ: 제1 방향
Ⅱ: 제2 방향 21 제1 가열부재
22 제2 가열부재

Claims (9)

  1. 두피를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에 마련된 제1 면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마련된 제2 면을 포함하는 망 형태의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보다 낮은 온도에서 녹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에 매듭지어지되,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를 포함하는, 가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가열에 의해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접합되는, 가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부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고, 상기 코어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보다 융점이 낮은 피복부를 포함하고,
    가열에 의해 상기 피복부가 용융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접합되는, 가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수축에 의해 상기 제2 베이스부를 관통한 상기 모가 세워지도록,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가열에 의해 이완된 후 가열 중지에 의해 수축되는, 가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기 제1 면에 매듭지어진 매듭부;
    상기 매듭부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서로 다른 2 지점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되,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면에서 상기 2 지점 사이가 이어지는 결속부; 및
    상기 결속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발부를 포함하는, 가발.
  6. 제2 베이스부를 준비하는 제1 단계;
    두피를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에 마련된 제1 면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마련된 제2 면을 포함하는 망 형태의 제1 베이스부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2 베이스부를 접합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베이스부에 모를 매듭짓고, 상기 모를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순차적으로 관통시킨 후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보다 낮은 온도에서 녹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가발의 제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1차 가열에 의해 상기 제2 베이스부가 용융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접합되는, 가발의 제작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에 모를 식모하여 상기 제1 베이스부에 매듭부를 형성하는 매듭부 형성단계; 및
    상기 매듭부 형성단계 이후에, 상기 모를 상기 매듭부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제1 지점을 관통시킨 후, 상기 모를 구부려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기 제1 지점과 다른 제2 지점을 관통시키고 상기 제1 베이스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빼내는 모 결속단계를 포함하는 가발의 제작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후에,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상기 모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고 수축에 의해 상기 제2 베이스부를 통과한 상기 모가 세워지도록, 2차 가열에 의해 상기 제2 베이스부를 이완시킨 후 상기 2차 가열을 중지하여 상기 제2 베이스부를 수축시키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발의 제작방법.
KR1020190016705A 2019-02-13 2019-02-13 가발 및 그 제작방법 KR102202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05A KR102202683B1 (ko) 2019-02-13 2019-02-13 가발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05A KR102202683B1 (ko) 2019-02-13 2019-02-13 가발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946A true KR20200098946A (ko) 2020-08-21
KR102202683B1 KR102202683B1 (ko) 2021-01-13

Family

ID=7223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705A KR102202683B1 (ko) 2019-02-13 2019-02-13 가발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6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472U (ko) * 1989-06-29 1991-02-15
KR200392823Y1 (ko) * 2005-05-25 2005-08-17 최원희 극사 망을 이용한 가발
US7331351B1 (en) * 2005-05-18 2008-02-19 Teruyoshi Asai Wigs and methods of wig manufacture
KR20140132096A (ko) * 2013-05-07 2014-11-17 (주)하이모 이중 삽입 구조의 모발이 적용된 가발 및 제작방법
KR20150046469A (ko) * 2013-10-22 2015-04-30 나윤설 부분 가발 이식이 용이한 멀티가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472U (ko) * 1989-06-29 1991-02-15
US7331351B1 (en) * 2005-05-18 2008-02-19 Teruyoshi Asai Wigs and methods of wig manufacture
KR200392823Y1 (ko) * 2005-05-25 2005-08-17 최원희 극사 망을 이용한 가발
KR20140132096A (ko) * 2013-05-07 2014-11-17 (주)하이모 이중 삽입 구조의 모발이 적용된 가발 및 제작방법
KR20150046469A (ko) * 2013-10-22 2015-04-30 나윤설 부분 가발 이식이 용이한 멀티가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683B1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1351B1 (en) Wigs and methods of wig manufacture
CN101094600B (zh) 假发及其制造方法
US4299242A (en) Method of making artificial eyelashes
JP4460535B2 (ja) 毛髪誘導輪を有する付け毛
US7854233B2 (en) Hair extension device
US5547529A (en) Process for fabricating false eyelash system
US9596898B2 (en) Braidless apparatus and method of combining natural and artificial hair
US20130125913A1 (en) Method for fabricating hair extensions on a woman utilizing a mesh-based foundation
US20090272396A1 (en) Scalp Hair Strand/Supplemental Hair Fiber Strand Attachment Structure and Method
US8905048B2 (en) Invisible lace weft
JP6501960B2 (ja) つけ髪並びにつけ髪製作方法及び施術方法
US20030226571A1 (en) Open loop hair extension
KR100986906B1 (ko) 붙임머리 및 그 시술 방법
GB2490399A (en) Hair Extension Means and Method of Attachment Thereof
KR102202683B1 (ko) 가발 및 그 제작방법
TWI243028B (en) Method for mounting fiber for hair
KR20160129690A (ko) 증모부재, 증모부재 조립체 및 증모방법
KR101086890B1 (ko) 붙임머리, 그 제조방법 및 그 식모방법
KR100824895B1 (ko) 연결형 붙임머리 및 그 시술방법
JP2007262646A (ja) 自毛束・毛髪用繊維束結合構造及び自毛束・毛髪用繊維束結合方法
KR102152681B1 (ko) 붙임머리 및 그 제조방법
JP2020146393A (ja) 装飾用人形の製造方法
JP3338433B2 (ja) 毛髪用繊維の取付け方法
JPS60252705A (ja) 人工睫毛の製造法
JP6998340B2 (ja) 葉脈状エクステン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