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6579A - 위루 카테터, 삽입 지그 세트, 삽입 지그 및 위루 카테터 세트 - Google Patents

위루 카테터, 삽입 지그 세트, 삽입 지그 및 위루 카테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6579A
KR20200096579A KR1020207019093A KR20207019093A KR20200096579A KR 20200096579 A KR20200096579 A KR 20200096579A KR 1020207019093 A KR1020207019093 A KR 1020207019093A KR 20207019093 A KR20207019093 A KR 20207019093A KR 20200096579 A KR20200096579 A KR 20200096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catheter
gastric
cap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3294B1 (ko
Inventor
유타카 스즈키
히로유키 후쿠다
기요타카 아리카와
미노루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유타카 스즈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45805A external-priority patent/JP73160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54832A external-priority patent/JP7114402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유타카 스즈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44360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111847A1/ja
Publication of KR20200096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15Gastrostomy feeding-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J15/003Means for fixing the tube inside the body, e.g. balloons, retai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J15/003Means for fixing the tube inside the body, e.g. balloons, retaining means
    • A61J15/0034Retainers adjacent to a body opening to prevent that the tube slips through, e.g. bolsters
    • A61J15/0038Retainers adjacent to a body opening to prevent that the tube slips through, e.g. bolsters expandable, e.g. umbrella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J15/0053Means for fixing the tube outside of the body, e.g. by a special shape, by fixing it to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1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 A61M2025/023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specifically adapted for attaching to a body wall by means which are on both sides of the wall, e.g. for attaching to an abdominal w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55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access to the gastric or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M2039/085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xternal enteral feeding tu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위루 카테터는, 루멘이 마련된 샤프트와, 샤프트의 선단에 마련된 가요성의 범퍼와, 탄성을 갖고 범퍼를 확경 방향으로 부세 가능 또는 범퍼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제한 가능한 와이어를 구비한다. 와이어의 선단 측의 적어도 일부는, 범퍼 내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그 탄성에 의하여 범퍼를 확경 방향으로 부세하거나, 범퍼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제한한다.

Description

위루 카테터, 삽입 지그 세트, 삽입 지그 및 위루 카테터 세트
본 발명은, 위루(胃瘻) 카테터, 위루 카테터를 위내에 장착할 때에 이용되는 삽입 지그 세트, 삽입 지그 및 위루 카테터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12월 4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7-232868호, 2018년 8월 2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8-145805호, 및 2018년 8월 21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8-154832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위루 카테터로서, 위내로의 영양제의 투여를 가능하게 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확장 가능한 범퍼나 벌룬 등의 위내 고정부(위내 유치구)에 의하여, 위내에 선단부를 유치 가능한 구성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드에 의하여 축경되는 범퍼를 구비하는 것이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염 수용액 등의 유체에 의하여 확대·수축하는 벌룬을 구비하는 것이 있다.
몸에 대하여 위루 카테터를 장착할 때에는, 위내 고정부가 누공(瘻孔)의 벽면을 압박 또는 상처입히는 것을 회피 또는 억제하여, 피험자의 부담이 되는 것을 경감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위내 고정부(동 문헌에는, 내부 볼스터라고 기재)를 덮고, 위내 고정부가 절첩된 상태로 유지 가능한 캡(동 문헌에는, 캡슐이라고 기재)을 구비하는 위루 카테터의 삽입 지그 세트(동 문헌에는, 가스트로스토미용 기구라고 기재)가 개시되어 있다.
동 문헌에 기재된 삽입 지그 세트는, 캡에 의하여 위내 고정부를 절첩한 상태로 하고, 누공을 통하여 위내에 위내 고정부를 삽입 가능하게 하여, 피검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있다. 이 캡에는, 립코드(찢는 끈)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캡은, 상기 구멍에 통과된 립코드가 인열(引裂)되어, 위내 고정부를 구속하는 상태로부터 위내 고정부를 확장 가능하게 하는 상태로 이행하여, 위내 고정부를 위내에 유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80841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534168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511206호
특허문헌 1의 위루 카테터에 있어서는 위내에 범퍼를 안정적으로 유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요성이 높은 범퍼를 이용하는 것이 곤란했다. 이 때문에, 위루 카테터의 누공에 대한 삽입, 발거(拔去) 시에는, 범퍼로부터 누공의 벽면 부분에 큰 저항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신체에 대한 부담의 경감을 위하여, 이 저항이 보다 적은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특허문헌 2의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는, 벌룬 내를 채우는 유체의 교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관리상 번거로워, 장기의 유치가 더 곤란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삽입 지그 세트에 있어서는, 립코드에 의하여 캡을 인열(引裂)하였는데, 캡을 위내 고정부로부터 분리하는 기구가 없기 때문에, 인열된 캡이 위내 고정부에 첩부된 상태로 남겨질 우려가 있었다. 이 경우에, 위내 고정부의 절첩 상태로부터 확장 상태로의 이행을 저해할 우려가 있었다.
또, 캡에, 립코드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마련할 필요가 있는 것과 함께, 립코드에 의하여 인열 가능한 정도의 두께 및 소재인 것이 필요해져, 위내 고정부를 절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력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탄성력이 높은 위내 고정부에 대하여, 이 캡을 이용한 경우에는, 위내 고정부의 탄성 복원을 억제할 수 없어, 위내 고정부로부터 캡이 의도치 않게 어긋나 버리는 경우가 생각된다.
또한, 술자(術者)는, 립코드를 당기는 것만으로는, 캡이 위내 고정부로부터 어긋났다는 확증을 얻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지고, 신체에 가해지는 저항을 낮게 억제하면서, 관리상의 번거로움을 경감하고, 비교적 장기의 유치가 가능한 위루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위루 카테터로부터 캡이 의도치 않게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캡을 적합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삽입 지그 세트, 삽입 지그 및 위루 카테터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루 카테터는, 루멘이 마련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선단에 마련된 가요성의 범퍼와, 탄성을 갖고, 상기 범퍼를 확경 방향으로 부세 가능 또는 상기 범퍼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제한 가능한 선상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삽입 지그 세트는, 절첩 가능한 위내 고정부를 선단에 갖는 위루 카테터를 체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그 세트로서, 통상의 외투부와, 상기 외투부 내에 전진 후퇴 가능하게 통과되는 내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삽입 지그와, 상기 외투부의 주위에 장착된 상기 위루 카테터와, 상기 외투부의 선단 측에 배치되며, 절첩된 상태의 상기 위내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을 구비하고, 상기 위루 카테터 또는 상기 외투부와 상기 캡 중 한쪽은, 다른 쪽에 계지(係止)하는 계지부를 가지며, 상기 내삽부는, 상기 외투부 내에 통과되어 전진했을 때에 상기 계지부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삽입 지그는, 절첩 가능한 위내 고정부를 선단에 갖는 위루 카테터와, 절첩된 상태의 상기 위내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을 체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그로서, 상기 위루 카테터를 주위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통상의 외투부와, 상기 외투부 내에 통과되는 내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투부는, 상기 캡에 계지하는 계지부를 가지며, 상기 내삽부는, 상기 외투부 내에 통과되어 전진했을 때에, 상기 계지부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루 카테터 세트는, 절첩 가능한 위내 고정부를 선단에 갖는 위루 카테터와, 절첩된 상태의 상기 위내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루 카테터는, 위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그의 일부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은, 상기 삽입 지그에 계지되는 피계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루 카테터에 의하면, 범퍼를 확경 방향으로 부세 가능 또는 범퍼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제한 가능한 선상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위루 카테터보다 가요성을 갖는 재료의 범퍼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카테터의 삽입·발거 시에 신체에 가해지는 저항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벌룬을 구비하는 위루 카테터와 달리 유체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유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벌룬을 구비하는 것과 비교하여, 관리상의 번거로움을 경감하여, 비교적 장기의 유치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삽입 지그 세트, 삽입 지그 및 위루 카테터 세트에 의하면, 위루 카테터로부터 캡이 의도치 않게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캡을 적합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위루 카테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위루 카테터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1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범퍼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와이어의 각 부위에 있어서의 범퍼의 내주면에 대한 각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범퍼를 위내에 유치된 위루 카테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6은 위루 카테터를, 누공을 통하여 위내에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7은 삽입 지그에 의하여 위루 카테터로부터 커버를 분리함으로써, 범퍼를 확장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8은 기단 유지부를 체외 고정구로부터 제거한 상태의 위루 카테터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9는 위루 카테터를 위내로부터 발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1-1 변형예에 관한 체외 고정구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2 변형예에 관한 범퍼의 연통 구멍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제1-3 변형예에 관한 서브 루멘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1-4 변형예에 관한 범퍼, 및 범퍼가 장착된 샤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범퍼의 외층을 제거하여 범퍼의 내층을 나타내는 도 13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범퍼 및 샤프트의 1XV-1XV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1-5 변형예에 관한, 기단 유지부와 기단 유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체외 고정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a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체외 고정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b는 제한부를 체외 고정구로부터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c는 지지부를 양측으로부터 압입하여, 기단 유지부를 체외 고정구로부터 압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삽입 지그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캡이 범퍼를 절첩 상태로 하도록 구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삽입 지그 세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8의 2II-2II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외투부의 원위 단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18의 2III-2III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삽입 지그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캡이 범퍼를 해방하여 확장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삽입 지그 세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21의 2V-2V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은 제2-1 변형예에 관한 외투부와 캡의 계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폐완(閉腕) 상태의 굴곡 단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는 제2-1 변형예에 관한 외투부와 캡의 계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개완(開腕) 상태의 굴곡 단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제2-2 변형예에 관한 위루 카테터와 캡의 계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제2-3 변형예에 관한 위루 카테터와 캡의 계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계지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7은 제2-3 변형예에 관한 위루 카테터와 캡의 계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계지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의 용이성을 위한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하에 설명하는 부재의 형상, 치수, 배치 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함께,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된다.
또,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개요>>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위루 카테터(11)의 개요에 대하여 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위루 카테터(11)의 정면도, 도 2는, 위루 카테터(11)의 정면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원위 측"이란,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위루 카테터(11)에 있어서, 위루 카테터(11)의 조작자로부터 먼 측을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범퍼(13)가 구비되어 있는 측을 말한다. 또, 원위 측을 선단 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근위 측"이란,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위루 카테터(11)의 조작자로부터 가까운 측을 말한다. 또, 근위 측을 기단 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위루 카테터(11)는, 루멘이 마련된 샤프트(12)와, 샤프트(12)의 선단에 마련된 가요성의 범퍼(13)와, 탄성을 갖고, 범퍼(13)를 확경 방향으로 부세 가능 또는 범퍼(13)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제한 가능한 선상 부재(와이어(14))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범퍼(13)를 확경 방향으로 부세 가능"이란, 와이어(14)가 탄성 변형하여, 범퍼(13)의 직경 방향으로 접촉함으로써, 범퍼(13)의 확경 방향으로 복원력을 더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또, "범퍼(13)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제한 가능"이란, 범퍼(13)가 위벽의 가장자리면에 맞닿거나 하여 축경하고자 했을 때에, 와이어(14)가 범퍼(13)에 맞닿음으로써, 범퍼(13)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제한 가능한 것을 말한다. 즉, 와이어(14)는, 범퍼(13)에 대하여 확경 방향으로 항상 부세하고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범퍼(13)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비로소 확경 방향으로 부세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범퍼(13)에 대하여 내측으로부터 확경 방향으로 와이어(14)의 복원력이 가해지는 구성이지만, 예를 들면 범퍼(13)의 외측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선상 부재로부터 확경 방향의 복원력이 가해지는 것 같은 구성이어도 된다.
위루 카테터(11)는, 범퍼(13)를 확경 방향으로 부세 가능 또는 범퍼(13)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제한 가능한 와이어(14)를 구비함으로써, 이것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의 위루 카테터(11)보다 가요성을 갖는 재료를 범퍼(13)에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위루 카테터(11)의 삽입·발거 시에 신체에 가해지는 저항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범퍼(13)와 와이어(14)를 구비하는 위루 카테터(11)는, 벌룬을 구비하는 위루 카테터와 달리 유체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유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벌룬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관리상의 번거로움을 경감하여, 비교적 장기의 유치가 가능해진다.
<<위루 카테터의 구조에 대하여>>
다음으로, 위루 카테터(11)의 구조의 상세에 대하여, 도 1 및 도 2에 더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1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범퍼(13)의 저면도, 도 4는, 와이어(14)의 각 부위에 있어서의 범퍼(13)의 내주면에 대한 각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범퍼(13)를 위내(152)에 유치된 위루 카테터(11)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위루 카테터(11)는, 샤프트(12)와, 샤프트(12)의 기단부에 마련된 고정부(체외 고정구(15))와, 선단 측에 마련된 범퍼(13)와, 체외 고정구(15), 샤프트(12) 및 범퍼(13)의 각각의 내부에 걸쳐 배치되는 와이어(14)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위루 카테터(11)는, 와이어(14) 이외가, 실리콘 고무 또는 유레테인 고무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 부품이 접합되어 구성되어도 된다. 특히, 별도 부품을 접합하는 구성이어도 동종의 재료이면 품질면에서 바람직하다.
체외 고정구(15) 및 샤프트(12)에는, 루멘이 마련되어 있다. 루멘은, 영양제를 주입하기 위한 메인 루멘(18)과, 와이어(14)의 적어도 일부(기단 측)를 수용하는 서브 루멘(19)을 포함한다.
메인 루멘(18)은, 범퍼(13)의 중공 공간과, 후술하는 범퍼(13)에 형성된 연통 구멍(13a)과 연통하여, 위루 카테터(11)에 있어서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 관통하는 유로를 구성함으로써, 체외로부터 위내(152)에 영양제를 주입 가능하게 한다. 메인 루멘(1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면 D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12) 및 체외 고정구(15) 중앙 측에 있어서 샤프트(12)의 축심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뻗어 있다.
중공의 범퍼(13)에는, 메인 루멘(18)을 연장한 끝에 원공인 연통 구멍(13a)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13a)은, 범퍼(13)의 저면시에 있어서, 메인 루멘(18)과 서브 루멘(19)을 노출시켜, 이들을 내측에 포함하도록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루 카테터(11)를 통하여 위내(152)(도 5 참조)에 공급되는 영양제는, 체외 고정구(15) 및 샤프트(12)의 메인 루멘(18)을 통하여, 범퍼(13)의 연통 구멍(13a)을 통과하여 위내(152)에 공급되게 된다. 메인 루멘(18) 내에는, 위내(152)로부터 체외로의 위액 등의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지 밸브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을 생략하여 도 2 등을 도시하고 있다.
서브 루멘(19)은, 메인 루멘(18)보다 외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12)를 통과하는 부위에 있어서 메인 루멘(18)이 단면 D자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서브 루멘(19)은, 다른 부위보다 두껍게 형성된 부위를 통과하여 형성되어 있다. 서브 루멘(19)은, 단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12) 및 체외 고정구(15)를 따라 L자상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브 루멘(19)은, 샤프트(12) 내에 있어서 그 축심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뻗어 있고, 체외 고정구(15)에 이르는 부위에서 직각으로 굴곡하여, 체외 고정구(15)의 연장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뻗어 있다. 와이어(14)의 일부가 서브 루멘(19) 내에 수용되어 있음으로써, 메인 루멘(18) 측을 통과하는 영양제의 주입을 저해하는 경우는 없다. 또, 와이어(14)를 서브 루멘(19) 내에 있어서 보호할 수 있다.
서브 루멘(19)에 있어서의,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갖는 원위 단부인 선단 개방부(19b)는, 근위 측으로부터 원위 측에 직선적으로 뻗어 있으며 범퍼(13) 내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서브 루멘(19)의 선단 개방부(19b)가 범퍼(13) 내에 연결되어 있다란, 범퍼(13) 내의 공간에 연속하는 공간에 서브 루멘(19)의 선단 개방부(19b)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서브 루멘(19)이 형성되어 있고, 서브 루멘(19) 내에 와이어(14)의 기단 측이 배치됨으로써, 범퍼(13) 내에 와이어(14)의 선단 측을 안내할 수 있다.
체외 고정구(15)는, 복벽(150)에 맞닿음으로써 위루 카테터(11)를 누공(153) 내에 묻히지 않도록, 체외에 고정(소정 위치에 이동을 제한)한다. 체외 고정구(15)는, 누공(153)에 통과되는 샤프트(12)의 축심 방향에 수직인 적어도 일방향에 있어서 샤프트(12)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체외 고정구(15)는, 샤프트(12)의 축심에 대하여 수직으로 직선적으로 뻗어 있는 소편상(小片狀)이다. 누공(153)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벽(150)과 위벽(151)에 걸쳐 이들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체외 고정구(15)는, 샤프트(12) 및 범퍼(1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체외 고정구(15)에는, 샤프트(12)의 직경 방향 중앙 부분이며, 축심 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루멘(18)의 근위 측의 개구인 개구(18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체외 고정구(15)의 측면으로부터 스트랩(17)이 일체적으로 뻗어 있고, 스트랩(17)의 선단부에 개구(18a)를 밀봉 가능한 캡(16)이 형성되어 있다.
체외 고정구(15)에는, 후술하는 와이어(14)의 기단부(14a)를 유지하는 기단 유지부(15c)가 마련되어 있다.
기단 유지부(15c)는, 와이어(14)의 기단부(14a)가 삽입됨으로써 기단부(14a)를 유지하고 있다. 와이어(14)를 위루 카테터(11)에 있어서의 다른 부위로부터 발출의 용이성을 위하여, 기단 유지부(15c)는, 체외 고정구(15)에 절취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와이어(14)의 기단부(14a)를 유지하는 기단 유지부(15c)의 구성으로서는, 기단부(14a)를 삽입함으로써 유지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와이어(14)의 기단에 고정 도구 등을 마련하도록 하여, 체외 고정구(15)의 일부가 상기 고정 도구에 계지하는 구성으로 하거나, 체외 고정구(15)의 일부에 의하여 와이어(14)의 기단부(14a)를 협지하는 구성으로 하여, 와이어(14)를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체외 고정구(15)의 측면에는, 절취 부분의 기준이 되는 선상의 마커(15b)가 부착되어 있다. 이 마커(15b)는, 기단 유지부(15c)를 확실히 절취 가능한 위치인, 서브 루멘(19)의 기단부(19a)에 교차하는 가상 평면(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직면) 내에 포함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기단부(19a)란, 기단부면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기단에 있어서의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가진 부위를 의미한다.
마커(15b)가 부착되어 있는 위치는, 체외 고정구(15)의 상면(근위 측의 단부면)이어도 된다. 또, 마커(15b)는, 도료에 의하여 형성되어도 되고, 간단히 홈상의 절입(切入)이어도 된다. 또, 와이어(14) 및 서브 루멘(19)의 위치를 시인 가능하면, 마커(15b)는 반드시 필수의 구성은 아니다.
이와 같이, 기단 유지부(15c)가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와이어(14)의 선단부가 범퍼(13) 내에 위치하는 소정의 위치에, 와이어(14)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위루 카테터(11)는, 체외에 배치되는 부위가 이른바 버튼형이어도 되고, 튜브형이어도 된다. 튜브형인 경우 등, 체외에 배치되는 부위가 추가로 있다면, 체외 고정구(15)에 기단 유지부(15c)가 마련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체외 고정구(15)의 원위단(15a)보다 근위 측에 있어서, 와이어(14)의 기단부(14a)를 유지하는 부위가 있으면 된다.
상기 구성에 관한 기단 유지부(15c)와 같이, 기단 유지부(15c)가 절취(切取)되지 않는다면, 와이어(14)가 체외 고정구(15) 등으로부터 어긋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의도치 않게 와이어(14)가 떼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범퍼(13)는, 샤프트(1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공의 원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범퍼(13)의 형상은, 자연 상태, 및 와이어(14)의 선단 측을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외관 상은 동일(대략 동일을 포함함)의 원반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범퍼(13)는,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와이어(14)의 선단 측을 수용했을 때에만, 직경 방향 외향으로 팽창하는 것 같은 가요성을 가져도 된다.
또, 범퍼(13)는, 소정의 가요성을 갖도록, 샤프트(12)의 두께(엄밀하게는, 서브 루멘(19)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 있어서의, 메인 루멘(18)의 벽면과 샤프트(12)의 외면과의 거리)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범퍼(13)가 샤프트(12)보다 얇음으로써, 범퍼(13)를 확축(擴縮)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범퍼(13)의 원위 측이며, 메인 루멘(18)의 연장 상에는, 연통 구멍(13a)이 범퍼(13)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범퍼(13) 내에 있어서, 초탄성 합금의 와이어(14)의 선단 측이 똬리 모양으로 배치됨으로써, 범퍼(13)는 직경 방향 외향으로 부세되고, 그 원반상의 형상(직경 방향으로 약간 축경한 형상도 포함함)이 위내(152)에 있어서 유지되게 된다. 와이어(14)는, 범퍼(13)를 직경 방향 외향으로 항상 부세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범퍼(13)에 외력이 가해져 축경 방향으로 변형되어 와이어(14)에 맞닿았을 때에 직경 방향 외향으로 부세하여, 그 변형을 제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나아가서는, 범퍼(13)는, 자연 상태에 있어서 원반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와이어(14)의 선단 측이 배치됨으로써 비로소 원반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선상 부재(와이어(14))는, 적어도 선단 측의 일부가 범퍼(13) 내에 배치되며, 범퍼(13)를 직경 방향 외향으로 부세 가능 또는 범퍼(13)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제한 가능하게 하는 제1 상태와, 제1 상태에 있을 때보다 범퍼(13)를 직경 방향 외향으로 낮게 부세하는 혹은 부세하지 않는, 또는 제1 상태에 있을 때보다 범퍼(13)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허용하는 제2 상태로 가변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상태는, 와이어(14)가 제1 상태에 있을 때보다 범퍼(13)의 기단 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범퍼(13)보다 근위 측으로 인출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14)가 범퍼(13)로부터 완전하게 인출됨(범퍼(13)보다 근위 측으로 인출됨)으로써, 와이어(14)는 당연히 범퍼(13)에 대하여 전혀 부세하지 않게 된다. 한편, 와이어(14)가 범퍼(13)로부터 부분적으로 인출되면, 범퍼(13)를 인출하기 전보다 범퍼(13)는, 낮은 힘으로 부세되거나, 제한되어 있던 범퍼(13)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허용하게 된다. 이들의 쌍방에 관한 범퍼(13) 상태를 "제2 상태"라고 한다.
이와 같이, 범퍼(13)에 대한 와이어(14)의 위치에 따라, 와이어(14)가 범퍼(13)의 변형을 제한하고 있는 상태를 가변으로 할 수 있다.
"직경 방향의 외향"이란, 직경 방향 외향의 성분을 갖는 방향의 의미이며, 직경 방향 내향(환언하면, 범퍼(13)의 중심 방향의 방향)을 제외하는 모든 방향을 의미하고, 이하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와이어(14)의 기단부(14a)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단 유지부(15c)에 매설되어 있다. 와이어(14)의 적어도 선단부(14b)는, 범퍼(13) 내에서 다른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연통 구멍(13a)을 통하여 범퍼(13)의 내외(보다 상세하게는, 범퍼(13) 내부와, 범퍼(13)의 원위 측의 외부)에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와이어(14)의 선단부(14b)를 범퍼(13) 내에 똬리 모양으로 배치된 위루 카테터(11)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조자는 먼저 서브 루멘(19)을 통과하는 와이어(14)의 선단부(14b)를 연통 구멍(13a)으로부터 범퍼(13)의 외부로 일단 꺼낸다. 그 후에, 범퍼(13)로부터 나온 와이어(14)의 선단부(14b)에 있어서의 선단보다 기단 측을 범퍼(13) 내에 점차 똬리 모양으로 수용하도록 하여, 선단에 이를 때까지 와이어(14)를 범퍼(13) 내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선단 측이 똬리 모양으로 수용된 와이어(14)를 갖는 위루 카테터(11)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와이어(14)가, 제1 상태로부터, 범퍼(13)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근위 측에 배치되어 제2 상태가 됨으로써, 범퍼(13)에 대한 부세력을 약하게 하거나 또는 범퍼(13)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허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14)를 제2 상태로 함으로써, 위루 카테터(11)의 발거 시에 신체에 가해지는 저항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14)의 선단 측을 범퍼(13) 내에 수용시킨 상태로, 캡슐 커버(110)로 범퍼(13)를 접은 상태에서, 위루 카테터(11)를 삽입한다. 예를 들면 캡슐 커버(110)를 이용하지 않고, 위루 카테터(11)를 삽입할 때에는, 와이어(14)를 범퍼(13)로부터 인출하여, 범퍼(13)를 제2 상태로 한 후에, 위루 카테터(11)를 삽입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신체에 가해지는 저항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똬리 모양의 와이어(14)의 선단 측은, 범퍼(13)의 내면을 항상 부세하는 것 같은 곡률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똬리 모양의 와이어(14)의 선단 측은, 샤프트(12)의 외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고, 위내(152)에 있는 누공(153)의 가장자리에 범퍼(13)가 계지 가능한 정도로 범퍼(13)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면 되며, 범퍼(13)의 내면으로부터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와이어(14)를 완전히 위루 카테터(11)로부터 인발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와이어(14)의 일부만을 범퍼(13)로부터 인출하도록 하여, 범퍼(13) 내에 있는 와이어(14)의 부위의 양을 줄이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와이어(14)의 양이 줄어드는 정도만큼 범퍼(13)의 직경 방향 외향으로의 부세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축경 방향의 변형을 제한하는 힘이 약해짐으로써, 위루 카테터(11)를 위내(152)에 대하여 삽입·발거할 때의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이들의 구성에 의하면, 범퍼(13)에 대하여 작용하는 와이어(14)의 하중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범퍼(13)에 대한 와이어(14)의 하중을 조정 가능하면, 와이어(14)를 위루 카테터(11)의 근위 측으로 인출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와이어(14)를 거는 봉을 메인 루멘(18)으로부터 삽입하고, 와이어(14)를 범퍼(13) 내에서 권취하여 축경시킴으로써, 범퍼(13)에 대한 직경 방향 외향의 하중을 약하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 와이어(14)의 적어도 선단부(14b)는, 와이어(14)보다 경도가 낮은 코팅부(14c)에 의하여 덮여 있거나, 또는 방전 가공에 의하여 둔두(鈍頭)(대략 구상)로 형상지어져 있다.
와이어(14)의 적어도 선단부(14b)가 코팅부(14c)에 의하여 덮여 있거나, 또는 방전 가공에 의하여 둔두(대략 구상)로 형상지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와이어(14)의 선단부(14b)를 범퍼(13)에 수용할 때에, 선단부(14b)가 범퍼(13)를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와이어(14)를 서브 루멘(19)과 범퍼(13)에 걸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와이어(14)에 있어서의 서브 루멘(19) 내에 배치되는 제1 부위(14x)와, 범퍼(13) 내에 배치되는 제2 부위(14y)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곡점(14j)에서 굴곡되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와이어(14)는, 범퍼(13) 내에 있어서, 범퍼(13)의 직경 방향의 외향으로 굴곡점(14j)에서 굴곡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14)가 굴곡되어 있음으로써, 서브 루멘(19)을 삽통(揷通)한 끝에서, 범퍼(13)를 확경 방향으로 순조롭게 부세, 또는 범퍼(13)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균일하게 제한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범퍼(13)에 대한 확경 방향의 부세된 상태, 및 범퍼(13)의 축경 방향으로의 변형이 제한되고 있는 상태를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고, 범퍼(13) 나아가서는 위루 카테터(11)가 누공(153)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발탈(拔脫)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14)를 서브 루멘(19)과 범퍼(13)에 걸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와이어(14)에 있어서의 범퍼(13) 내에 배치되는 부위의 적어도 일부는, 범퍼(13)의 내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굴곡점(14k)에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14)의 임의의 일부의 연장선과 범퍼(13)의 내주면의 법선(法線)과의 각도를 입사각(1α)으로 하고, 굴곡점(14j)으로부터 범퍼(13)의 내주면을 향하는 연장선에 대한 입사각(1α1), 굴곡점(14k)으로부터 범퍼(13)의 내주면을 향하는 연장선에 대한 입사각(1α2)으로 한다. 이 경우에, 범퍼(13)의 내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굴곡한다는 것은, 입사각(1α1)보다 입사각(1α2)이 커지도록 굴곡하는 것을 말한다.
와이어(14)가, 범퍼(13)의 내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와이어(14)를 범퍼(13)의 내주면을 따르게 할 수 있고, 범퍼(13)의 둘레 방향의 각 위치에 있어서 범퍼(13)를 확경 방향으로 부세하는 하중, 또는 범퍼(13)의 변형을 제한하는 하중을 균등하게 부여하기 쉬워진다.
<<위루 카테터의 장착 방법에 대하여>>
다음으로, 위루 카테터(11)의 장착 방법에 대하여 도 5에 더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위루 카테터(11)를, 누공(153)을 통하여 위내(152)에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설명도, 도 7은, 삽입 지그(111)에 의하여 위루 카테터(11)로부터 캡슐 커버(110)를 분리함으로써, 범퍼(13)를 확장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위루 카테터(11)는, 와이어(14)의 선단 측이 범퍼(13) 내에 배치되어 절첩된 상태의 범퍼(13)를 유지 및 수용하는 커버(캡슐 커버(11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이 캡슐 커버(110)는, 샤프트(1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 가능하고, 범퍼(13)가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여 범퍼(13)를 수용하면 된다. 즉, 이 "수용한다"란, 범퍼(13)를 모두 수용하는 것, 범퍼(1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캡슐 커버(110)는, 누공(153)을 통하여 위내(152)에 범퍼(13)를 배치할 때에, 범퍼(13)가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누공(153)의 벽면에 가해지는 저항을 억제하여, 범퍼(13)의 체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캡슐 커버(110)는, 셀룰로스계 혹은 젤라틴계의 재료로 형성된 식품용으로 이용되는 하드 캡슐 커버, 또는 폴리락트산 등의 체내에서 분해되는 재료이며, 한쪽 측에 바닥부를 갖고 다른 쪽 측이 개방단인 둔두의 캡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캡슐 커버(1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구상 등이어도 된다.
술자는, 캡슐 커버(110)를 체내에서 분리함으로써, 와이어(14)의 확경 방향의 부세에 의하여 범퍼(13)를 확경할 수 있다. 위루 카테터(11)의 누공(153)으로의 장착, 및 캡슐 커버(110)의 분리에는, 삽입 지그(111)가 이용된다.
삽입 지그(111)는, 본체통(111a)과, 본체통(111a)에 장착된 한 쌍의 클로(111b)와, 조작부(111c)와, 본체통(111a)에 대하여 왕복 운동 가능한 피스톤(111d)과, 피스톤(111d)에 접속되어 축방향으로 돌출/퇴입하는 압출봉(111e)을 구비한다.
위루 카테터(11)를 누공(153)에 삽입할 때에, 술자는, 범퍼(13)를 절첩하고, 절첩된 상태의 범퍼(13)를 캡슐 커버(110)로 덮음으로써, 범퍼(13)가 절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술자는, 삽입 지그(111)를 파지(把持)하고, 한 쌍의 클로(111b)로 샤프트(12)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위루 카테터(11)의 체외 고정구(15)의 하면(원위 측의 면)을 지지시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한다.
다음으로, 술자는, 캡슐 커버(110)로 덮인 범퍼(13)를 캡슐 커버(110)채로 누공(153)에 통과시켜, 범퍼(13)가 위내(152)에 이르는 위치(클로(111b)가 복벽(150)의 표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 지그(111)로 위루 카테터(11)를 압입한다.
그 후, 술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111c)를 원위 측에 압입하도록 조작하여, 피스톤(111d)을 본체통(111a) 내에 압입하고, 압출봉(111e)을 돌출시킨다. 이때, 압출봉(111e)은, 범퍼(13)의 연통 구멍(13a)을 통하여 캡슐 커버(110)만을 압출하게 되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슐 커버(110)는, 범퍼(13)로부터 빠져나가게 된다.
캡슐 커버(110)로부터의 유지로부터 해제된 범퍼(13)는, 와이어(14)의 부세력에 의하여 누공(153)의 구멍 직경보다 크게 확경되어, 위내(152)에 유치되게 된다.
위내(152)에 떨어진 캡슐 커버(110)는, 상기와 같이 식용 혹은 체내에서 분해되는 재료이기 때문에, 위 내용물과 함께 배설되거나 용해됨으로써 신체에 대한 영향도 없다.
<<위루 카테터의 분리 방법에 대하여>>
술자는, 위루 카테터(11)를 사용할 때의 위생 상태를 적합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소정 기간마다 위루 카테터(11)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이 위루 카테터(11)의 교환 시에 필요해지는 이미 설치된 위루 카테터(11)의 분리 방법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기단 유지부(15c)를 체외 고정구(15)로부터 제거한 상태의 위루 카테터(11)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9는, 위루 카테터(11)를 위내(152)로부터 발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술자는, 먼저 체외 고정구(15)의 기단 유지부(15c)를, 마커(15b)를 따라 절입이 들어가도록, 체외 고정구(15)의 다른 부위로부터 가위 등에 의하여 제거한다. 이때 술자는, 와이어(14)를 절단하지 않도록, 기단 유지부(15c)를 체외 고정구(15)의 다른 부위로부터 분리한다. 마커(15b)는, 상기와 같이, 서브 루멘(19)의 기단부(19a)에 교차하는 가상 평면 내에 포함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마커(15b)를 따라, 기단 유지부(15c)를 분리함으로써, 체외 고정구(15)에 있어서의 와이어(14)의 기단부(14a)의 매설 부분이 없어지게 된다.
술자는, 기단부(14a)를 파지하여, 범퍼(13), 샤프트(12) 및 체외 고정구(15)로부터 와이어(14)를 인발한다.
마지막으로, 술자는, 체외 고정구(15)를 파지하고, 위루 카테터(11)를 누공(153)으로부터 체외로 인출한다. 이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범퍼(13)는, 와이어(14)가 인발되어 있음으로써, 제2 상태가 되어 있고, 누공(153)의 벽면에 접했을 때에 축경함으로써, 신체로의 저항이 낮게 억제되게 된다.
[제1-1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와이어(14)의 기단부(14a)를 유지하는 기단 유지부(15c)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외 고정구(15)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14)를 매설함으로써 유지하고, 절취됨으로써 와이어(14)의 유지를 해제하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1 변형예에 관한 체외 고정구(115)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1-1 변형예에 관한 체외 고정구(115)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와이어(14)의 기단부(14a)를 유지하는 기단 유지부(115a)는, 고정부(체외 고정구(115))와 별체이며, 고정부(체외 고정구(11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단 유지부(115a)는, 서브 루멘(19)의 기단부(19a)의 연장 상에 배치되어 있고, 소경의 수부(首部)와 대경의 두부(頭部)를 가지며 하방(원위방)으로 돌출하는 계지 돌출부(115b)를 하부에 갖는다. 체외 고정구(115)에 있어서의 계지 돌출부(115b)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오목 홈(115c)이 계지 돌출부(115b)에 상대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지 돌출부(115b)는, 오목 홈(115c)을 형성하는 개구가 탄성 변형시키도록 확장됨으로써 오목 홈(115c)에 수용되며, 계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단 유지부(115a)를 체외 고정구(115)에 장착함으로써, 와이어(14)의 선단부가 범퍼(13) 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계지 돌출부(115b)에 의한 오목 홈(115c)으로의 계지를 해제하고, 기단 유지부(115a)를 체외 고정구(115)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기단 유지부(115a)마다 와이어(14)를 샤프트(12), 범퍼(13) 및 체외 고정구(115)로부터 발거할 수 있다.
계지 돌출부(115b)는, 오목 홈(115c)보다 경질의 수지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연질의 오목 홈(115c)에 계지 돌출부(115b)를 끼워 넣기 쉬워진다. 기단 유지부(115a) 측에 오목 홈, 체외 고정구(115) 측에 계지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환자가 기단 유지부(115a)를 실수로 체외 고정구(115)로부터 떼어내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단 유지부(115a)와 체외 고정구(115)를 협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클립 등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제1-2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통 구멍(13a)이, 메인 루멘(18) 및 서브 루멘(19)을 노출하도록 대경으로 범퍼(13)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2 변형예에 관한 범퍼(113)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1-2 변형예에 관한 범퍼(113)의 연통 구멍(113a)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제1-2 변형예에 관한 범퍼(113)의 내벽의 일부는, 서브 루멘(19)의 연장 상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례에 있어서의 연통 구멍(113a)은, 저면시에 있어서, 메인 루멘(18)을 가장자리를 따라 노출시키면서, 서브 루멘(19)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단면 D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와이어(14)를 서브 루멘(19)에 삽통시켜 범퍼(113) 내에, 그 선단부(14b)를 배치할 때에, 선단부(14b)가 범퍼(113)의 내벽의 일부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와이어(14)의 선단 측은, 범퍼(113)의 직경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배치되게 된다.
특히, 와이어(14)의 선단 측이 범퍼(113) 내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제2 상태로 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저항을 억제하면서 범퍼(113)를 누공(153)에 통과시켜 위내(152)에 배치할 수 있다.
그 후에, 도 10에 나타내는 기단 유지부(115a)에 기단부(14a)가 매설된 와이어(14)의 선단 측을, 서브 루멘(19)을 통하여 범퍼(113) 내에 있어서 똬리 모양으로 넣어, 범퍼(113)를 확경 방향으로 부세 가능한 상태, 또는 범퍼(113)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제한 가능한 상태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삽입 지그(111)에 의하여 캡슐 커버(110)를 떼어냄으로써 범퍼(13)를 확경하는 방법이 아닌, 와이어(14)를 서브 루멘(19)에 삽입한다는 간단한 방법으로 범퍼(113)를 제1 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 및 본례에 있어서의 메인 루멘(18)은, 단면 D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샤프트(12)에 있어서, 서브 루멘(19)을 형성하는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면, 단면 원형상이나 직사각형상이어도 되고,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연통 구멍(113a)의 형상도 서브 루멘(19)의 연장 상에 범퍼(113)의 내벽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으면, 단면 원형상이나 직사각형상이어도 되고,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3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루멘(19)의 선단 개방부(19b)가 근위 측으로부터 원위 측으로 직선적으로 뻗어 범퍼(13) 내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3 변형예에 관한 서브 루멘(129)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1-3 변형예에 관한 서브 루멘(129)의 선단 개방부(129b)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제1-3 변형예에 관한 샤프트(122)를 통과하는 서브 루멘(129)의 선단부(선단 개방부(129b))는, 범퍼(13)의 직경 방향 외향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단 개방부(129b)는 범퍼(13) 내까지 뻗어 있고, 선단 개방부(129b)를 획정(劃定)하는 벽부가 범퍼(13) 내에 있어서 범퍼(13)의 직경 방향 외향으로 굴곡하여 뻗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와이어(14)를 서브 루멘(129)에 삽통시켜 범퍼(13) 내에, 그 선단부(14b)를 배치할 때에, 선단부(14b)가 범퍼(13)의 직경 방향 외향으로 서브 루멘(129)의 선단 개방부(129b)에 의하여 안내된다. 이 때문에, 와이어(14)의 선단 측은, 범퍼(13)의 직경 방향 외향으로 자연스럽게 배치되게 된다.
특히, 제1-2 변형예와 동일하게, 와이어(14)의 선단 측이 범퍼(13) 내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제2 상태로 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저항을 억제하면서 범퍼(13)를 누공(153)에 통과시켜 위내(152)에 배치할 수 있다.
그 후에, 도 10에 나타내는 기단 유지부(115a)에 기단부(14a)가 매설된 와이어(14)의 선단 측을, 서브 루멘(129)을 통하여 범퍼(13) 내에 있어서 똬리 모양으로 넣어, 제1 상태(즉, 범퍼(13)를 확경 방향으로 부세 가능한 상태, 또는 축경 방향의 변형을 억제 가능한 상태)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삽입 지그(111)에 의하여 캡슐 커버(110)를 떼어냄으로써 범퍼(13)를 확경하는 방법이 아닌, 와이어(14)를 서브 루멘(19)에 삽입한다는 간단한 방법으로 범퍼(13)를 제1 상태로 할 수 있다.
[제1-4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범퍼(13, 113)에 대해서는, 중공의 원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4 변형예에 관한 범퍼(133) 및 범퍼(133)가 장착되는 샤프트(132)에 대하여, 도 13~도 15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1-4 변형예에 관한 범퍼(133), 및 범퍼(133)가 장착된 샤프트(132)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범퍼(133)의 외층(135)을 제거하여 범퍼(133)의 내층(134)을 나타내는 도 13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범퍼(133) 및 샤프트(132)의 1XV-1XV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범퍼(133)는, 범퍼(133)의 축선 방향에서 보아, 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132)의 선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샤프트(132)는, 샤프트 본체(132a)와, 다른 부위(샤프트 본체(132a))보다 소경으로 형성된 선단부(도 15에 나타내는 제1 선단부(132b) 및 제2 선단부(132c))를 갖는다. 상세에 대하여 후술하는 범퍼(133)는, 샤프트(132)의 선단부로부터 뻗어 있다.
제1 선단부(132b)는, 샤프트 본체(132a)로부터 선단 측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 본체(132a)보다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선단부(132c)는, 제1 선단부(132b)로부터 선단 측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제1 선단부(132b)보다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범퍼(133)의 내층(134)의 접속통부(134a)가, 샤프트(132)의 선단부(제2 선단부(132c))에 접속되고, 내층(134)이 뻗어 있다. 또, 후술하는 범퍼(133)의 외층(135)의 접속통부(135a)가, 샤프트(132)의 선단부(제1 선단부(132b))에 접속되고, 외층(135)이 뻗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샤프트(132)의 선단부(제1 선단부(132b))가 샤프트 본체(132a)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보다, 샤프트(132)의 제1 선단부(132b)에 접속되는 범퍼(133)의 확경 방향의 최대 변형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범퍼(133) 내에 일부가 마련된 와이어(14)(도 15 참조)에 의하여, 축심 방향에 대한 변형 후의 범퍼(133)(의 경사부(135c))의 경사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변형 후의 범퍼(133)와 위벽(151)(도 5 참조)의 내면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위내(152)에 범퍼(133)를 유치하기 쉬워진다.
범퍼(133)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층(134)과 외층(135)을 구비하고, 내층(134)과 외층(135)의 사이에 공간(133s)이 있으며, 공간(133s) 내에 선상 부재(와이어(14))의 선단 측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 샤프트(132)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와이어(14)가 통과되는 하나의 서브 루멘(132d)이 축심 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어 마련되어 있다. 서브 루멘(132d)은, 제1 선단부(132b)의 선단면을 관통하여, 샤프트(132)의 선단부에 장착된 범퍼(133)의 내층(134)과 외층(135)의 사이의 공간(133s)에 연통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내층(134)과 외층(135)의 사이에, 와이어(14)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133s)을 형성할 수 있다. 또, 공간(133s)이 형성되어 강성이 낮아짐으로써, 와이어(14)가 범퍼(133)로부터 인발된 경우에는, 범퍼(133)를 순조롭게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범퍼(133)의 외층(135)의 표면에는, 범퍼(133)의 직경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 범퍼(133)의 축선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오목부(135f)가 범퍼(133)의 주회(周回)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범퍼(133)(의 외층(135))의 표면에 오목부(135f)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범퍼(133)를 순조롭게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범퍼(133)가 절첩될 때에, 누공(153)(도 5 참조)의 벽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범퍼(133)에 있어서의 오목부(135f)가 아닌 부분에 국소적으로 가해져, 오목부(135f)에 있어서 절첩의 기점이 발생한다. 오목부(135f)가 절첩의 스페이스가 됨으로써, 범퍼(133)를 순조롭게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범퍼(133)의 외층(135)은, 기단 측부터 선단 측에 걸쳐, 샤프트(132)에 접속되는 접속통부(135a)와, 최대경부(135e)를 갖는 대경부(135b)와, 대경부(135b)보다 선단 측에 마련된 소경부(135g)를 구비한다.
범퍼(133)의 내층(134)은, 기단 측부터 선단 측에 걸쳐, 샤프트(132)에 접속되는 접속통부(134a)와, 접속통부(134a)의 선단부터 선단부(134d)의 기단까지 확경 방향으로 경사져 뻗어 있는 경사부(134b)와, 경사부(134b)보다 선단 측에 마련된 선단부(134d)를 구비한다.
접속통부(135a)는, 샤프트(132)의 제1 선단부(132b)에 접속되어 있고, 접속통부(135a)의 내경은, 제1 선단부(132b)의 외경과 대략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135b)는, 최대경부(135e)를 포함하는 샤프트(132)의 축심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선단을 향함에 따라 확경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135c)와, 최대경부(135e)와, 선단을 향함에 따라 축경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135d)를 갖는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경부(135e)를 포함하는 범퍼(133)의 축방향에 수직인 평면 공간 내에서, 와이어(14)의 선단부(14b)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최대경부(135e)를 사이에 두는 양측에, 경사부(135c)와 경사부(135d)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공간(133s) 내에 삽입된 와이어(14)의 선단부(14b)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복원할 때에, 최대경부(135e)를 포함하는 상기의 평면 공간 내에 적합하게 가이드되게 된다.
범퍼(133)의 외층(135)의 최대경부(135e)는, 샤프트(132)의 선단보다 선단 측으로 이간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최대경부(135e)가 샤프트(132)의 선단보다 선단 측으로 이간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최대경부(135e)를 수축시켰을 때에 샤프트(132) 상에 범퍼(133)가 덮어 중첩되는 것을 억제하여, 범퍼(133)의 절첩 형상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외층(135)의 대경부(135b)에는 오목부(135f)가, 소경부(135g)에는 오목부(135h)가, 각각에 있어서 주회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135b) 및 소경부(135g) 각각에 있어서의 오목부(135f, 135h)는, 범퍼(133)의 주회 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135b)와 소경부(135g)에 복수 형성된 오목부(135f, 135h)가 주회 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대경부(135b)와 소경부(135g)의 절첩의 기점이 되는 부위가, 대경부(135b)와 소경부(135g)에 걸쳐 직선적으로 된다. 이 때문에, 범퍼(133)의 외층(135)은, 절첩 상태로 순조롭게 변형할 수 있게 된다.
"주회 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위치"란, 구체적으로는 범퍼(133)를 그 축선 방향에서 보아, 범퍼(133)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한 각도에 있는 것을 말한다.
동일하게, 내층(134)의 경사부(134b)에는 오목부(134c)가, 선단부(134d)에는 오목부(134e)가, 각각에 있어서 주회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134b) 및 선단부(134d) 각각에 있어서의 오목부(134c, 134e)는, 범퍼(133)의 주회 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134b)와 선단부(134d)에 복수 형성된 오목부(134c, 134e)가 주회 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경사부(134b)와 선단부(134d)의 절첩의 기점이 되는 부위가, 경사부(134b)와 선단부(134d)에 걸쳐 직선적이 된다. 이 때문에, 범퍼(133)의 내층(134)은, 절첩 상태로 순조롭게 변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층(135)의 오목부(135f)와 내층(134)의 오목부(134c), 및 외층(135)의 오목부(135h)와 내층(134)의 오목부(134e)의 각각은, 범퍼(13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환언하면, 오목부(135f)와 오목부(134c), 및 오목부(135h)와 오목부(134e)의 각각의 가장 움푹 들어간 부위끼리를 연결하여 범퍼(133)의 직경 방향으로 뻗는 직선이, 범퍼(133)의 축선과 교차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내층(134)과 외층(135)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억제하여, 범퍼(133)를 순조롭게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대경부(135b)에 있어서는, 내층(134)과 외층(135)이 이간하고 있고, 소경부(135g)에 있어서는, 내층(134)(엄밀하게는, 선단부(134d))과 외층(135)이 접촉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대경부(135b)에 있어서 내층(134)과 외층(135)이 이간하고 있음으로써, 강성이 낮아진 수축하기 쉬운 구성이다. 또, 소경부(135g)에 있어서 내층(134)과 외층(135)이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강성이 높아져 형상 유지성이 우수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1-5 변형예]
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위루 카테터(11)의 범퍼(13)를 위내로부터 체외로 제거하는 경우에 와이어(14)를 범퍼(13)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기단 유지부(15c)를 체외 고정구(15)로부터 절취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계지 돌출부(115b)에 의한 오목 홈(115c)으로의 계지를 해제하여, 기단 유지부(115a)를 체외 고정구(15)로부터 분리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5 변형예에 관한 체외 고정구(145)에 대하여, 도 16 및 도 17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제1-5 변형예에 관한, 기단 유지부(148)와 기단 유지부(148)를 지지하는 지지부(146)를 구비하는 체외 고정구(145)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a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체외 고정구(145)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7b는, 제한편(147)을 체외 고정구(145)로부터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7c는, 지지부(146)를 양측으로부터 압입하여, 기단 유지부(148)를 체외 고정구(145)로부터 압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캡(16) 및 스트랩(17)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1-5 변형예에 관한 고정부(체외 고정구(145))는, 기단 유지부(148)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46)와, 기단 유지부(148)의 이동 및 지지부(146)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하는 제한부(제한부(147))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단 유지부(148)는, 평면시에 있어서 사다리꼴 형상의 두께를 갖는 판편이며, 내부에 와이어(14)의 기단부가 매설되어 있다. 기단 유지부(148)는, 고정부(체외 고정구(145))의 외방을 향함에 따라 확대되도록 형성된 역테이퍼부(148a)를 갖는다.
지지부(146)는, 기단 유지부(148)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바닥벽(146c)과, 바닥벽(146c)의 양측에 마련되어 세워 설치되어 있는 접속벽(146b)을 갖는다. 바닥벽(146c) 및 접속벽(146b)은, 지지부(146)의 다른 부위보다 체외 고정구(145)의 연장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지지부(146)에는, 기단 유지부(148)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평면시 사다리꼴 형상의 개구(146d)가 근위 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구(146d)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술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146)를 양측으로부터 집는 것 외에, 손가락으로 기단 유지부(148)를 만져 기단 유지부(148)를 체외 고정구(145)로부터 분리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한편(147)은, 지지부(146)의 접속벽(146b) 및 바닥벽(146c)에 접속되고, 지지부(146)로부터 기단 유지부(148)가 이탈하는 방향 상이며, 기단 유지부(148)에 대하여 그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크기 및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기단 유지부(148)는,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한편(147)이 지지부(146)로부터 떼어짐으로써, 지지부(146)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체외 고정구(145)가 지지부(146)와 제한편(147)을 갖고 있음으로써, 기단 유지부(148)의 전체가 체외 고정구(145)에 접속되어 있는 것과 비교하여, 제한편(147)을 지지부(146)로부터 떼어내는 것만으로, 지지부(146)로부터 기단 유지부(148)를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단 유지부(148)가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단 유지부(148)를 제한편(147)에 투영한 경로 상에, 지지부(146)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내는 통과 구멍(146e)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지지부(146)에 의하여, 기단 유지부(148)의 제한편(147)을 향하는 방향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고, 제한편(147)에 의해서만, 그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지지부(146)는, 체외 고정구(145)에 장착된 상태의 기단 유지부(148)의 역테이퍼부(148a)를 따라 뻗어 있는 대향부(146a)를 갖는다. 지지부(146)는, 제한편(147)이 지지부(146)로부터 분리된 후에, 대향부(146a)가 역테이퍼부(148a)에 대하여 맞닿아, 기단 유지부(148)를 고정부(체외 고정구(145))의 외방으로 압입 가능하도록,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술자는 도 1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146)를 양측으로부터 기단 유지부(148)를 사이에 끼워넣는 방향(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집어, 지지부(146)의 대향부(146a)를 변형시킨다. 그렇게 하면, 대향부(146a)로부터 역테이퍼부(148a)에 가해지는 하중의 체외 고정구(145)의 연장 방향 외측을 향하는(가는 화살표 방향의) 분력이 발생함으로써, 기단 유지부(148)가 지지부(146)로부터 체외 고정구(145)의 외방으로 용이하게 분리되게 된다.
"체외 고정구(145)의 외방"이란, 체외 고정구(145)의 연장 방향 중 샤프트(12)(도 16 참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체외 고정구(145)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이며, 체외 고정구(145)의 두께의 중심으로부터 외방을 향하는 방향이어도 된다. 상기의 "변형 가능"이란, 탄성 변형·소성 변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기단 유지부(148)의 형상은, 평면시에 있어서 역테이퍼부(148a)를 포함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직선적인 역테이퍼부(148a) 대신 한 쌍의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기단 유지부(148)의 형상은, 체외 고정구(145)의 외방(기단 유지부(148)의 취출 방향)을 향함에 따라 확대된 형상이면 된다.
<<개요>>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삽입 지그 세트(2S) 및 삽입 지그(옵튜레이터(21))의 개요에 대하여, 도 18~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삽입 지그 세트(2S)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캡(25)이 범퍼(24a)를 절첩 상태로 하도록 구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9는, 삽입 지그 세트(2S)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8의 2II-2II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외투부(22)의 원위 단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18의 2III-2III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삽입 지그 세트(2S)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캡(25)이 범퍼(24a)를 해방하여 확장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삽입 지그 세트(2S)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21의 2V-2V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원위 측"이란,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삽입 지그 세트(2S) 및 옵튜레이터(21)에 있어서, 삽입 지그 세트(2S) 및 옵튜레이터(21)의 조작자로부터 먼 측을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캡(25)에 장착되거나 또는 덮이는 측을 말한다. 또, 원위 측을 선단 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근위 측"이란,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삽입 지그 세트(2S) 및 옵튜레이터(21)의 조작자로부터 가까운 측을 말한다. 또, 근위 측을 기단 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삽입 지그 세트(2S)의 구성 요소가 원위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전진한다고 호칭하고, 반대로 근위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후퇴한다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삽입 지그 세트(2S)는, 절첩 가능한 위내 고정부(범퍼(24a))를 선단에 갖는 위루 카테터(24)를 체내(위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그 세트(2S)이다.
삽입 지그 세트(2S)는, 통상의 외투부(22)와, 외투부(22) 내에 전진 후퇴 가능하게 통과되는 내삽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삽입 지그(옵튜레이터(21))와, 외투부(22)의 주위에 장착된 위루 카테터(24)와, 외투부(22)의 선단 측에 배치되고, 절첩된 상태의 위내 고정부(범퍼(24a))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25)을 구비한다.
위루 카테터(24) 또는 외투부(22)와 캡(25) 중 한쪽은, 다른 쪽에 계지하는 계지부(계지 클로(22b))를 갖고, 내삽부(23)는, 외투부(22) 내에 통과되어 전진했을 때에, 계지 클로(22b)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위루 카테터(24) 또는 외투부(22)와 캡(25)이 계지하고 있고, 내삽부(23)에 의하여, 그 계지를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위루 카테터(24) 및 외투부(22)로부터 캡(25)이 의도치 않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지"란, 일시적으로 유지·고정되어 이동을 제한하고 있는 상태를 말하고, 하기에 있어서 설명하는 구조적으로 계지하는 상태 외에, 점착제 등에 의하여, 물성적으로 점착하여 이탈 가능한 상태를 포함한다.
내삽부(23)가 외투부(22) 내에 통과되어 전진했을 때에, 계지부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는 구성으로서는, 계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부재에 전진한 내삽부(23)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맞닿아, 상기 부재를 변형시킴으로써, 계지부의 계지력을 약하게 하여 계지를 해제하는 구성이 있다.
그 외에, 전진한 내삽부(23)가, 계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부재 또는 계지 대상 부재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맞닿아 압압하고, 계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부재 또는 계지 대상 부재와의 사이에 계지부에 의한 계지력보다 강한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계지부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는 구성이 있다. 이들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삽입 지그(옵튜레이터(21))는, 절첩 가능한 위내 고정부(범퍼(24a))를 선단에 갖는 위루 카테터(24)와, 절첩된 상태의 위내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25)을 체내에 삽입한다.
삽입 지그(옵튜레이터(21))는, 위루 카테터(24)를 주위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통상의 외투부(22)와, 외투부(22) 내에 통과되는 내삽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외투부(22)는, 캡(25)에 계지하는 계지부(계지 클로(22b))를 갖는다.
내삽부(23)는, 외투부(22) 내에 통과되어 전진했을 때에, 계지 클로(22b)에 의한 계지를 해제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외투부(22)와 캡(25)이 계지하고 있고, 내삽부(23)에 의하여, 그 계지를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외투부(22)로부터 캡(25)이 의도치 않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에 관한 위루 카테터 세트(2S1)는, 절첩 가능한 위내 고정부(범퍼(24a))를 선단에 갖는 위루 카테터(24)와, 절첩된 상태의 범퍼(24a)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2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위루 카테터(24)는, 위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그(옵튜레이터(21))의 일부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캡(25)은, 옵튜레이터(21)의 계지 클로(22b)에 계지되는 피계지부(피계지 블록(25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캡(25)이 옵튜레이터(21)에 계지되는 피계지부를 가짐으로써, 위루 카테터(24)로부터 캡(25)이 의도치 않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성>>
다음으로, 삽입 지그 세트(2S) 및 삽입 지그(옵튜레이터(21))의 구성에 대하여 도 18~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삽입 지그 세트(2S)는, 상기와 같이, 위루 카테터(24)를 체내에 삽입하기 위한 옵튜레이터(21)와, 외투부(22)의 주위에 장착된 위루 카테터(24)와, 외투부(22)의 선단 측에 배치되고, 절첩된 상태의 위내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25)을 구비한다.
<옵튜레이터>
옵튜레이터(21)는, 상기와 같이 외투부(22)와, 내삽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외투부(22)의 중앙 부분에, 위루 카테터(24)의 근위 측에 있는 체외 고정부(24b)를 유지하는 유지부(22d)가 마련되어 있다. 유지부(22d)는, 옵튜레이터(21)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두 갈래 부분을 갖고, 상기 두 갈래 부분에서 위루 카테터(24)의 체외 고정부(24b)를 유지하고 있다.
외투부(22)의 원위 단부의 외주에, 외투부(22)의 원위단으로부터 통과된 위루 카테터(24)가 장착된다.
옵튜레이터(21)의 근위단에는, 내삽부(23)에 연속하는 조작부(23b)가 마련되어 있고, 술자는 조작부(23b)를 외투부(2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내삽부(23)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투부(22)의 선단부에 슬릿(22c)이 4개 형성되어 있고, 슬릿(22c)은, 외투부(22)의 선단에 이를 때까지 외투부(22)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다. 외투부(22)의 선단부는, 4개의 슬릿(22c)에 의하여, 4편으로 분할되어 있다. "축방향으로 연장"이란, 축방향 성분을 포함하여 연장의 의미이며, 축방향에 평행한 방향뿐만 아니라, 축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뻗어 있는 것도 포함한다.
외투부(22)의 선단부에 슬릿(22c)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외투부(22)의 선단 측이 확개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술자가 내삽부(23)를 전진 조작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계지 클로(22b)에 의한 계지를 해제했을 때에, 외투부(22)로부터 캡(25)을 원활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슬릿(22c)의 수는 4개이면, 외투부(22)의 원위 단부를 4편으로 분할할 수 있고, 대향하는 2편을 양호한 밸런스로 굽힘 변형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계지 클로(22b)에 의한 캡(25)의 피계지 블록(25c)에 대한 계지 및 계지 해제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외투부(22)의 원위 단부를 확경시켜 캡(25)의 계지의 해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면, 슬릿(22c)의 수는 임의이다. 나아가서는, 예를 들면 외투부(22)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슬릿(22c)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외투부(22)에는, 캡(25)의 일부를 계지하는 계지부(계지 클로(22b))가 마련되어 있다.
계지 클로(22b)는, 외투부(22)의 내벽면에 마련되어, 후술하는 캡(25)의 피계지 블록(25c)의 잘록한 부분에 계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투부(22)의 선단부에 있어서 분할된 4편 중, 대향하는 2편에 마련되어 있다.
계지 클로(22b)는, 외투부(22)의 선단부에 있어서 분할된 대향하는 2편에 마련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계지 클로(22b)의 수는 임의이며, 외투부(22)의 선단부에 있어서 분할된 4편 모두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계지 클로(22b)가 상기 4편 모두에 마련되어 있으면, 외투부(2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90도마다 4개소에 배치된 계지 클로(22b)의 각각이, 캡(25)의 피계지 블록(25c)의 잘록한 부분에 계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캡(25)에 대한 계지 상태를 보다 적합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와 같이, 추가로 복수의 슬릿(22c)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외투부(22)의 선단부가, 추가로 복수의 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임의의 복수의 편에 계지 클로(22b)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계지 클로(22b)에 있어서의, 외투부(22)의 축심에 대한 직경 방향의 단면은, 축심 측을 윗변으로 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사다리꼴은, 원위 측의 변과 다른 근방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예각 측의 각도가, 근위 측의 변과 다른 근방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예각 측의 각도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사다리꼴의 원위 측의 변을 포함하며 형성되는 면은, 사다리꼴의 근위 측의 변을 포함하며 형성되는 면보다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근위 측의 변은, 다른 근방의 내벽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계지 클로(22b)의 근위 측의 면은, 외투부(22)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면이다. 계지 클로(22b)의 계지 대상인, 캡(25)에 마련된 피계지 블록(25c)의 원위 측의 면도, 외투부(22)의 원위 단부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외투부(22)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계지 클로(22b)에는, 원위 측으로부터 캡(25)의 피계지 블록(25c)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경사면에 근위 단부면(25a)이 맞닿음으로써, 자연스럽게 확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어, 외투부(22)의 원위 단부를 용이하게 확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계지 클로(22b)의 근위 측의 면과, 피계지 블록(25c)의 원위 측의 면은, 외투부(22)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면이다. 이 때문에, 캡(25)의 피계지 블록(25c)이, 계지 클로(22b)를 넘어 근위 측까지 삽입되었을 때에는, 캡(25)이 외투부(22)의 축방향으로 이동했다고 해도, 외투부(22)의 원위 단부를 확개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기 어려워, 계지 클로(22b)에 의한 계지가 해제되기 어렵다.
외투부(22)에 있어서의 계지 클로(22b)가 마련된 2편의 내벽면의 각각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삽부(23)가 외투부(22) 내에 통과되어 전진했을 때(외투부(22)의 근위 측으로부터 원위 측으로 삽입되었을 때)에, 내삽부(23)의 외주면이 돌출부(22a)에 맞닿음으로써, 외투부(22)의 2편의 원위 측을 확개시키는(직경 방향 외측으로 굽힘 변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돌출부(22a)는, 단면 원호상으로 형성되며, 둘레 방향으로 뻗어 있고, 계지부(계지 클로(22b))보다 근위 측에 배치되어 있다. 내삽부(23)가 돌출부(22a)에 맞닿아, 외투부(22)를 확개시킴으로써, 캡(25)과 외투부(22)의 계지를 적합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 돌출부(22a)가 단면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내삽부(23)에 대한 외투부(22)의 축방향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고, 외투부(22)의 2편의 원위 측을 외형 방향의 외측으로 순조롭게 변형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돌출부의 형상은, 단면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내삽부(23)의 외면에 맞닿는 근위 측의 면이, 축선 방향에 대하여 완만하게 경사진 경사면이면, 단면 삼각 형상이어도 되고 단면 사다리꼴 형상이어도 된다.
<위루 카테터>
위루 카테터(24)는, 누공을 통하여, 체외와 위의 내부를 연통하는 것이며, 외투부(22)의 외주에 장착되고, 옵튜레이터(21)의 유지부(22d)에 의하여 체외 고정부(24b)가 유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위루 카테터(24)는, 위내에 유치되는 직경 방향으로 확축 가능한 범퍼(24a)와, 몸 표면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체외 고정부(24b)와, 이들을 연통하는 샤프트(24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범퍼(24a)는, 우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연 상태에 있어서 축방향에 수직인 직경 방향으로 펼쳐지고 있고, 절첩되어 탄성 변형한 상태로, 후술하는 캡(25)의 공간(25s) 내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범퍼(24a)는, 직경 방향으로 확축 가능한 구성이면, 우산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굴곡 가능한 복수의 봉상의 부재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캡>
캡(25)은, 도시하지 않은 누공을 통하여 위내에 범퍼(24a)를 배치할 때에, 범퍼(24a)가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누공의 벽면에 가해지는 저항을 억제하여, 범퍼(24a)의 체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캡(25)은, 셀룰로스계 혹은 젤라틴계의 재료로 형성된 식품용으로 이용되는 하드 캡슐 커버, 또는 폴리락트산 등의 체내에서 분해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원위단 측이 둔두의 캡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캡(25)은 피계지 블록(25c)과, 피계지 블록(25c)으로부터 연속하여 직경 방향 중앙부에 마련된 축선 방향으로 뻗어 있는 축심부(25b)와, 축심부(25b)의 원위 측과 연속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마련된 둘레벽(25d)에 의하여, 일체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축심부(25b)의 외주부와 둘레벽(25d)의 내주부에 의하여, 절첩된 상태의 범퍼(24a)를 수용 가능한 원형의 심굴상(深堀狀)의 공간(25s)이 형성되어 있다.
위내 고정부(범퍼(24a))의 적어도 일부는, 내삽부(23)가 외투부(22)의 원위 측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도 19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캡(25)에 있어서의 계지부(계지 클로(22b))에 계지되는 부위(피계지 블록(25c))를 제외한 일부의 공간(25s)에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캡(25)이, 외투부(22)에 계지된 상태로, 범퍼(24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공간(25s)은, 범퍼(24a)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축심부(25b)의 외경은, 위루 카테터(24)의 샤프트(24c)의 내경보다 작고, 둘레벽(25d)의 근위 측 단부면의 내경은, 샤프트(24c)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축심부(25b)로부터 피계지 블록(25c)에 걸쳐, 관통 구멍(25e)이 축방향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25e)은,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와이어를 삽통시킨다.
<<동작>>
다음으로, 삽입 지그 세트(2S)에 의한 위루 카테터(24)의 체내로의 삽입 동작에 대하여, 도 18~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술자는, 체외 고정부(24b)가 근위 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한 위루 카테터(24)를 외투부(22)의 원위 단부에 통과시켜, 유지부(22d)를 체외 고정부(24b)에 걸치도록 하고, 위루 카테터(24)를 외투부(22)에 장착한다. 술자는, 위루 카테터(24)의 범퍼(24a)가 캡(25)의 공간(25s) 내에 들어가도록, 캡(25)을 위루 카테터(24)에 장착하면서, 캡(25)을 외투부(22)에 삽입하여, 계지 클로(22b)에 계지시킨다. 여기에서, 계지 클로(22b)에 의한 캡(25)의 계지 위치는, 피계지 블록(25c)이 외투부(22)의 계지 클로(22b)를 넘는 위치이다.
다음으로, 술자는 캡(25)으로 덮인 범퍼(24a)를 캡(25)채로 누공에 통과시켜, 범퍼(24a)가 위의 내부에 이르는 위치(유지부(22d)가 복벽의 표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옵튜레이터(21)로 위루 카테터(24)를 압입한다.
술자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23b)를 원위 측에 압입하도록 조작하여, 내삽부(23)를 외투부(22)의 원위 측에 압입한다. 내삽부(23)는, 외투부(22) 내에 통과되어 전진했을 때에 돌출부(22a)에 맞닿아, 외투부(22)의 원위 단부에 있어서의 돌출부(22a)가 마련된 2편에 굽힘 하중이 가해지고, 외투부(22)의 원위 단부의 2편을 확개시킨다.
이로써, 외투부(22)의 2변의 원위단에 마련된 계지 클로(22b)에 의한 피계지 블록(25c)에 대한 계지가 해제되어, 캡(25)을 자체 중량에 의하여 위내에 떨어뜨릴 수 있다. 위내에 떨어진 캡(25)은, 상기와 같이 식용 혹은 체내에서 분해되는 재료이기 때문에, 위 내용물과 함께 배치되거나 용해됨으로써 신체에 대한 영향도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캡(25)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 범퍼(24a)를 직경 방향으로 확장시켜, 위루 카테터(24)의 범퍼(24a)를 위내에 유치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는, 외투부(22)를 확개시켜, 계지 클로(22b)의 계지를 해제시키고, 캡(25)의 자체 중량에 의하여, 외투부(22)로부터 캡(25)을 이탈시키는 구성을 설명했다. 또한, 내삽부(23)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25)의 근위 단부(근위 단부면(25a))에 맞닿아, 캡(25)을 위루 카테터(24) 및 외투부(22)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한 위치까지 전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계지 클로(22b)와 캡(25)의 계지를 해제한 것만으로는 위루 카테터(24) 및 외투부(22)로부터 캡(25)이 이탈하지 않았다고 해도, 내삽부(23)를 캡(25)의 근위 단부면(25a)에 맞닿게 하며, 캡(25)을 확실히 이탈시킬 수 있다.
내삽부(23)를 캡(25)의 근위 단부면(25a)에 맞닿게 하여 압입하고, 캡(25)을 떼어낼 때에는, 옵튜레이터(21)의 유지부(22d)에 체외 고정부(24b)가 유지되어 있어, 위루 카테터(24)는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캡(25)을 상대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1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옵튜레이터(21)에 있어서는, 외투부(22)의 돌출부(22a)에 내삽부(23)를 맞닿게 함으로써, 외투부(22)의 원위 단부를 확개시키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2-1 변형예에 관한 계지 구조에 대하여, 도 23 및 도 24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제2-1 변형예에 관한 외투부(212)와 캡(25)의 계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폐완 상태의 굴곡 단부(212a)를 나타내는 도, 도 24는, 외투부(212)와 캡(25)의 계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개완 상태의 굴곡 단부(212a)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변형예에 관한 위루 카테터 세트(2S2)는, 절첩 가능한 위내 고정부(범퍼(24a))를 선단에 갖는 위루 카테터(24)와, 절첩된 상태의 범퍼(24a)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2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위루 카테터(24)는, 위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그(옵튜레이터(21))의 일부(외투부(212))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캡(25)은, 옵튜레이터(21)의 계지 클로(212b)에 계지되는 피계지부(피계지 블록(25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캡(25)이 옵튜레이터(21)의 계지 클로(212b)에 계지되는 피계지 블록(25c)을 가짐으로써, 위루 카테터(24)로부터 캡(25)이 의도치 않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외투부(212)에 있어서의 원위 단부의 대향하는 2편은, 자연 상태에 있어서, 원위단을 향함에 따라 축심 측에 가까워지도록 굴곡하여 있는 굴곡 단부(212a)를 형성하고 있다. 굴곡 단부(212a)의 원위단은, 내삽부(23)의 외면 간의 크기보다 축심 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굴곡 단부(212a)의 원위단으로부터 축심 방향을 향하여, 피계지 블록(25c)의 원위 단부에 계지하는 계지 클로(212b)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투부(212)에 대하여 원위 측에 압입된 내삽부(23)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투부(212)의 내벽면의 일부인 굴곡 단부(212a)에 맞닿아 외투부(212)의 굴곡 단부(212a)를 확개시킴으로써, 계지부(계지 클로(212b))에 의한 계지를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외투부(212)에 있어서의 원위 단부의 대향하는 2편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외투부(22)와 달리, 외투부(212)의 다른 부위보다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위루 카테터(24)의 내벽에 의하여 변형이 저해되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외투부(212)와 캡(25)의 계지 상태를 외투부(22)보다 순조롭게 해제할 수 있다.
굴곡 단부(212a)는, 외투부(212)의 원위 단부의 대향하는 2편에 마련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굴곡 단부(212a)의 수는 임의이며, 외투부(212)의 원위 단부에 있어서 분할된 4편 모두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굴곡 단부(212a)가 상기 4편 모두에 마련되어 있으면, 외투부(21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90도마다 4개소에 배치된 굴곡 단부(212a)의 각각이, 캡(25)의 피계지 블록(25c)의 잘록한 부분에 계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캡(25)에 대한 계지 상태를 보다 적합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와 같이, 추가로 복수의 굴곡 단부(212a)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외투부(212)의 선단부가, 추가로 복수의 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임의의 복수의 편에 굴곡 단부(212a)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제2-2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캡(25)의 피계지 블록(25c)에 외투부(22, 212)의 계지 클로(22b, 212b)가 계지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2-2 변형예에 관한 계지 구조에 대하여, 도 25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제2-2 변형예에 관한 위루 카테터(24)와 캡(225)의 계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관한 위루 카테터 세트(2S3)는, 절첩 가능한 위내 고정부(범퍼(24a))를 선단에 갖는 위루 카테터(24)와, 절첩된 상태의 범퍼(24a)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22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위루 카테터(24)는, 위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그(옵튜레이터(21))의 일부(외투부(222))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관한 캡(225)은, 위루 카테터(24)의 범퍼(24a)에 계지하는 계지부(계지 돌기(225b))를 갖는다.
예를 들면, 계지 돌기(225b)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범퍼(24a)가 캡(225)의 공간(225s) 내에 수용되어, 범퍼(24a)의 외주면으로부터의 직경 방향 외측에 하중에 의한 압축 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캡(225)은, 계지 돌기(225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마찰력에 의하여, 범퍼(24a)에 계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계지 구조에 의하여, 위루 카테터(24)에 캡(225)이 계지하고 있음으로써, 위루 카테터(24)로부터 캡(225)이 의도치 않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지 돌기(225b)에 의한 계지를 해제할 때에는, 상기의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내삽부(23)의 원위 단부면(23a)을 캡(225)의 근위 단부면(225a)에 맞닿게 하여, 계지 돌기(225b)가 범퍼(24a)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내삽부(23)를 원위 측에 압입하도록 하면 된다.
또, 캡(225)의 둘레벽(225d)의 내면에는, 계지 돌기(225b)를 마련하지 않고, 위루 카테터(24)의 범퍼(24a)에, 캡(225)의 둘레벽(225d)의 내면에 계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계지부를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제2-3 변형예>>
상기의 제2-2 변형예에 있어서는, 우산 형상의 범퍼(24a)에 계지하는 계지 돌기(225b)를 갖는 캡(225)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2-3 변형예에 관한 계지 구조에 대하여, 도 26 및 도 27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제2-3 변형예에 관한 위루 카테터(234)와 캡(235)의 계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계지 상태를 나타내는 도 26, 도 27은, 위루 카테터(234)와 캡(235)의 계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계지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변형예에 관한 위루 카테터 세트(2S4)는, 절첩 가능한 위내 고정부(범퍼(234a))를 선단에 갖는 위루 카테터(234)와, 절첩된 상태의 범퍼(234a)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23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위루 카테터(234)는, 위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그의 일부(외투부(222)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캡(235)은, 위루 카테터(234)에 계지하는 계지부(계지 돌기(235b))를 갖는다.
특히, 범퍼(234a)는, 내부에 똬리 모양으로 권회된 와이어(234b)를 구비한다. 와이어(234b)가 자연 상태보다 범퍼(234a)의 축심 측으로 수축한 상태로, 범퍼(234a)는, 캡(235)의 공간(235s)에 수용되게 된다.
캡(235)의 계지 돌기(235b)가, 범퍼(234a)를 통하여 범퍼(234a)의 내부에 있는 와이어(234b)에 맞닿음으로써, 캡(235)이 위루 카테터(234)에 계지하게 된다.
내삽부(23)는, 캡(235)의 근위 단부(근위 단부면(235a))에 맞닿아 캡(235)을 위루 카테터(234) 및 외투부(222)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한 위치까지 외투부(222) 내에 통과되어 전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삽부(23)의 원위 단부면(23a)이 캡(235)의 근위 단부면(235a)에 맞닿아, 계지 돌기(235b)가 와이어(234b)를 넘는 위치까지, 캡(235)이 내삽부(23)에 의하여 원위 방향으로 압입된다. 이와 같이 캡(235)이 압입됨으로써,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루 카테터(234)로부터 캡(235)을 이탈시킬 수 있다.
술자는, 캡(235)을 체내에서 분리함으로써, 와이어(234b)의 확경 방향으로 복원할 때에 부세에 의하여 범퍼(234a)를 확경할 수 있다. 범퍼(234a)의 도시하지 않음의 누공의 구멍 직경보다 크게 확경함으로써, 위루 카테터(234)의 원위단이 위내에 유치되게 된다.
상기 변형예에 관한 캡(225, 235)의 계지 돌기(225b, 235b)는, 위루 카테터(24, 234)의 범퍼(24a, 234a) 부분에 계지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샤프트 부분에 계지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삽부(23)가, 계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부재 또는 계지 대상 부재에 직접 맞닿게 하며 압압함으로써, 계지부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제3 부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상기의 부재를 압압하여, 계지를 해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는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
(1) 루멘이 마련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선단에 마련된 가요성의 범퍼와,
탄성을 갖고, 상기 범퍼를 확경 방향으로 부세 가능 또는 상기 범퍼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제한 가능한 선상 부재를 구비하는 위루 카테터.
(2) 상기 선상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범퍼 내에 배치되어, 상기 범퍼를 직경 방향 외향으로 부세 가능 또는 상기 범퍼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제한 가능하게 하는 제1 상태와,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때보다 상기 범퍼의 기단 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범퍼보다 근위 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때보다 상기 범퍼를 직경 방향 외향으로 낮게 부세하거나 혹은 부세하지 않는, 또는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때보다 상기 범퍼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허용하는 제2 상태로 가변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3) 상기 샤프트의 기단부에, 위루 카테터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고정부의 원위단보다 근위 측에는, 상기 선상 부재의 기단부를 유지하는 기단 유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4) 상기 기단 유지부는, 상기 선상 부재의 상기 기단부가 상기 기단 유지부에 매립됨으로써 상기 기단부를 유지하고 있고, 상기 고정부에 절취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3)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5) 상기 기단 유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3)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6) 상기 루멘은, 영양제를 주입하기 위한 메인 루멘과, 상기 선상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서브 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루멘의 선단 개방부는, 상기 범퍼 내에 연결되어 있는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7) 상기 범퍼의 내벽의 일부는, 상기 서브 루멘의 연장 상에 위치하고 있는 (6)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8) 상기 서브 루멘의 선단부는, 상기 범퍼의 직경 방향 외향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6) 또는 (7)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9) 상기 선상 부재를 상기 서브 루멘과 상기 범퍼에 걸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선상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서브 루멘 내에 배치되는 부위와, 상기 범퍼 내에 배치되는 부위는, 굴곡하여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10) 상기 선상 부재를 상기 서브 루멘과 상기 범퍼에 걸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선상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범퍼 내에 배치되는 부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범퍼의 내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9)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11) 상기 범퍼에는, 상기 범퍼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상 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범퍼 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범퍼의 내외로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는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12) 상기 선상 부재의 적어도 선단부는, 상기 선상 부재보다 경도가 낮은 코팅부에 의하여 덮여 있거나, 또는 둔두로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13) 절첩된 상태의 상기 범퍼를 유지 및 수용하는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선상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범퍼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범퍼를 유지 및 수용하고 있는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14) 상기 범퍼의 최대경부가, 상기 샤프트의 선단보다 선단 측으로 이간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15) 상기 범퍼의 표면에는, 상기 범퍼의 직경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 상기 범퍼의 축선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16) 상기 범퍼는, 최대경부를 갖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보다 선단 측에 마련된 소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대경부 및 상기 소경부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경부 및 상기 소경부 각각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범퍼의 주회 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15)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17) 상기 범퍼는 내층과 외층을 구비하고,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의 사이에 공간이 있으며, 상기 공간 내에 상기 선상 부재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18) 상기 범퍼는, 최대경부를 갖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보다 선단 측에 마련된 소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경부에 있어서는,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이 이간되어 있으며,
상기 소경부에 있어서는,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이 접촉하고 있는 (17)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19) 상기 샤프트는, 다른 부위보다 소경으로 형성된 선단부를 갖고,
상기 범퍼는, 상기 샤프트의 상기 선단부로부터 뻗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20)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기단 유지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접속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기단 유지부가 이탈하는 방향 상에 마련되어 상기 기단 유지부의 이동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단 유지부는,
상기 제한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떼어짐으로써,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3)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21) 상기 기단 유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외방을 향함에 따라 확대되도록 형성된 역테이퍼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역테이퍼부를 따라 뻗어 있는 대향부를 가지며,
상기 제한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떼어진 후에, 상기 대향부가 상기 역테이퍼부에 대하여 맞닿아, 상기 기단 유지부를 상기 고정부의 외방으로 압입 가능하도록,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20)에 기재된 위루 카테터.
(22) 절첩 가능한 위내 고정부를 선단에 갖는 위루 카테터를 체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그 세트로서,
통상의 외투부와, 상기 외투부 내에 전진 후퇴 가능하게 통과되는 내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삽입 지그와,
상기 외투부의 주위에 장착된 상기 위루 카테터와,
상기 외투부의 선단 측에 배치되며, 절첩된 상태의 상기 위내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을 구비하고,
상기 위루 카테터 또는 상기 외투부와 상기 캡 중 한쪽은, 다른 쪽에 계지하는 계지부를 가지며,
상기 내삽부는, 상기 외투부 내에 통과되어 전진했을 때에, 상기 계지부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는 삽입 지그 세트.
(23) 상기 계지부는, 상기 외투부의 내벽면에 마련되며, 상기 캡에 계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삽부는, 상기 외투부의 내벽면의 일부에 맞닿아 상기 외투부를 확개시킴으로써, 상기 계지부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는 (22)에 기재된 삽입 지그 세트.
(24) 상기 외투부의 내벽면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계지부보다 근위 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삽부는, 상기 외투부 내에 통과되어 전진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맞닿아, 상기 외투부를 확개시키는 (23)에 기재된 삽입 지그 세트.
(25) 상기 외투부의 선단부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은, 상기 외투부의 선단에 이를 때까지 상기 외투부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23) 또는 (24)에 기재된 삽입 지그 세트.
(26) 상기 내삽부는, 상기 캡의 근위 단부에 맞닿아 상기 캡을 상기 위루 카테터 및 상기 외투부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한 위치까지 전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22) 내지 (2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삽입 지그 세트.
(27) 상기 위내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캡에 있어서의 상기 계지부 또는 상기 계지부에 계지되는 부위를 제외한 일부의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22) 내지 (2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삽입 지그 세트.
(28) 절첩 가능한 위내 고정부를 선단에 갖는 위루 카테터와, 절첩된 상태의 상기 위내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을 체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그로서,
상기 위루 카테터를 주위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통상의 외투부와, 상기 외투부 내에 통과되는 내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투부는, 상기 캡에 계지하는 계지부를 가지며,
상기 내삽부는, 상기 외투부 내에 통과되어 전진했을 때에, 상기 계지부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는 삽입 지그.
(29) 절첩 가능한 위내 고정부를 선단에 갖는 위루 카테터와,
절첩된 상태의 상기 위내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루 카테터는, 위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그의 일부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은, 상기 삽입 지그에 계지되는 피계지부를 갖는 위루 카테터 세트.
(30) 절첩 가능한 위내 고정부를 선단에 갖는 위루 카테터와,
절첩된 상태의 상기 위내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루 카테터는, 위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그의 일부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위루 카테터와 상기 캡 중 한쪽은, 다른 쪽에 계지하는 계지부를 갖는 위루 카테터 세트.
산업상 이용가능성
신체에 가해지는 저항을 낮게 억제하면서, 관리상의 번거로움을 경감하여, 비교적 장기의 유치가 가능한 위루 카테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위루 카테터로부터 캡이 의도치 않게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캡을 적합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삽입 지그 세트, 삽입 지그 및 위루 카테터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11 위루 카테터
12 샤프트
13 범퍼
13a 연통 구멍
14 와이어(선상 부재)
14a 기단부
14b 선단부
14c 코팅부
14j, 14k 굴곡점
14x 제1 부위
14y 제2 부위
15 체외 고정구(고정부)
15a 원위단
15b 마커
15c 기단 유지부
16 캡
17 스트랩
18 메인 루멘(루멘)
18a 개구
19 서브 루멘(루멘)
19a 기단부
19b 선단 개방부
110 캡슐 커버
111 삽입 지그
111a 본체통
111b 클로
111c 조작부
111d 피스톤
111e 압출봉
113 범퍼
113a 연통 구멍
115 체외 고정구(고정부)
115a 기단 유지부
115b 계지 돌출부
115c 오목 홈
122 샤프트
129 서브 루멘(루멘)
129b 선단 개방부
132 샤프트
132a 샤프트 본체
132b 제1 선단부(선단부)
132c 제2 선단부(선단부)
132d 서브 루멘
133 범퍼
133s 공간
134 내층
134a 접속통부
134b 경사부
134c 오목부
134d 선단부
134e 오목부
135 외층
135a 접속통부
135b 대경부
135c, 135d 경사부
135e 최대경부
135f 오목부
135g 소경부
135h 오목부
145 체외 고정구(고정부)
146 지지부
146a 대향부
146b 접속벽
146c 바닥벽
146d 개구
146e 통과 구멍
147 제한편(제한부)
148 기단 유지부
148a 역테이퍼부
150 복벽
151 위벽
152 위내
153 누공
1α, 1α1, 1α2 입사각
2S 삽입 지그 세트
2S1, 2S2, 2S3, 2S4 위루 카테터 세트
21 옵튜레이터(삽입 지그)
22 외투부
22a 돌출부
22b 계지 클로(계지부)
22c 슬릿
22d 유지부
23 내삽부
23a 원위 단부면
23b 조작부
24 위루 카테터
24a 범퍼(위내 고정부)
24b 체외 고정부
24c 샤프트
25 캡
25a 근위 단부면
25b 축심부
25c 피계지 블록(피계지부)
25d 둘레벽
25e 관통 구멍
25s 공간
212 외투부
212a 굴곡 단부
212b 계지 클로(계지부)
222 외투부
225 캡
225a 근위 단부면
225b 계지 돌기(계지부)
225d 둘레벽
225s 공간
234 위루 카테터
234a 범퍼(위내 고정부)
234b 와이어
235 캡
235a 근위 단부면
235b 계지 돌기(계지부)
235s 공간

Claims (30)

  1. 루멘이 마련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선단에 마련된 가요성의 범퍼와,
    탄성을 갖고, 상기 범퍼를 확경 방향으로 부세 가능 또는 상기 범퍼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제한 가능한 선상 부재를 구비하는 위루 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상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범퍼 내에 배치되어, 상기 범퍼를 직경 방향 외향으로 부세 가능 또는 상기 범퍼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제한 가능하게 하는 제1 상태와,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때보다 상기 범퍼의 기단 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범퍼보다 근위 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때보다 상기 범퍼를 직경 방향 외향으로 낮게 부세하거나 혹은 부세하지 않는, 또는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때보다 상기 범퍼의 축경 방향의 변형을 허용하는 제2 상태로 가변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위루 카테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기단부에, 위루 카테터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고정부의 원위단보다 근위 측에는, 상기 선상 부재의 기단부를 유지하는 기단 유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위루 카테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단 유지부는, 상기 선상 부재의 상기 기단부가 상기 기단 유지부에 매립됨으로써 상기 기단부를 유지하고 있고, 상기 고정부에 절취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위루 카테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단 유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위루 카테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멘은, 영양제를 주입하기 위한 메인 루멘과, 상기 선상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서브 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루멘의 선단 개방부는, 상기 범퍼 내에 연결되어 있는 위루 카테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범퍼의 내벽의 일부는, 상기 서브 루멘의 연장 상에 위치하고 있는 위루 카테터.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브 루멘의 선단부는, 상기 범퍼의 직경 방향 외향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위루 카테터.
  9.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상 부재를 상기 서브 루멘과 상기 범퍼에 걸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선상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서브 루멘 내에 배치되는 부위와, 상기 범퍼 내에 배치되는 부위는, 굴곡하여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위루 카테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선상 부재를 상기 서브 루멘과 상기 범퍼에 걸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선상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범퍼 내에 배치되는 부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범퍼의 내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위루 카테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에는, 상기 범퍼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상 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범퍼 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범퍼의 내외로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는 위루 카테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상 부재의 적어도 선단부는, 상기 선상 부재보다 경도가 낮은 코팅부에 의하여 덮여 있거나, 또는 둔두로 형성되어 있는 위루 카테터.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첩된 상태의 상기 범퍼를 유지 및 수용하는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선상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범퍼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범퍼를 유지 및 수용하고 있는 위루 카테터.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의 최대경부가, 상기 샤프트의 선단보다 선단 측으로 이간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위루 카테터.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의 표면에는, 상기 범퍼의 직경 방향으로 파여, 상기 범퍼의 축선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위루 카테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범퍼는, 최대경부를 갖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보다 선단 측에 마련된 소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대경부 및 상기 소경부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경부 및 상기 소경부 각각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범퍼의 주회 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위루 카테터.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는 내층과 외층을 구비하고,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의 사이에 공간이 있으며, 상기 공간 내에 상기 선상 부재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위루 카테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범퍼는, 최대경부를 갖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보다 선단 측에 마련된 소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경부에 있어서는,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이 이간하고 있으며,
    상기 소경부에 있어서는,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이 접촉하고 있는 위루 카테터.
  1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다른 부위보다 소경으로 형성된 선단부를 갖고,
    상기 범퍼는, 상기 샤프트의 상기 선단부로부터 뻗어 있는 위루 카테터.
  2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기단 유지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접속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기단 유지부가 이탈하는 방향 상에 마련되어 상기 기단 유지부의 이동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단 유지부는,
    상기 제한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위루 카테터.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기단 유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외방을 향함에 따라 확대되도록 형성된 역테이퍼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역테이퍼부를 따라 뻗어 있는 대향부를 가지며,
    상기 제한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된 후에, 상기 대향부가 상기 역테이퍼부에 대하여 맞닿아, 상기 기단 유지부를 상기 고정부의 외방으로 압입 가능하도록,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위루 카테터.
  22. 절첩 가능한 위내 고정부를 선단에 갖는 위루 카테터를 체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그 세트로서,
    통상의 외투부와, 상기 외투부 내에 전진 후퇴 가능하게 통과되는 내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삽입 지그와,
    상기 외투부의 주위에 장착된 상기 위루 카테터와,
    상기 외투부의 선단 측에 배치되며, 절첩된 상태의 상기 위내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을 구비하고,
    상기 위루 카테터 또는 상기 외투부와 상기 캡 중 한쪽은, 다른 쪽에 계지하는 계지부를 가지며,
    상기 내삽부는, 상기 외투부 내에 통과되어 전진했을 때에, 상기 계지부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는 삽입 지그 세트.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는, 상기 외투부의 내벽면에 마련되며, 상기 캡에 계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삽부는, 상기 외투부의 내벽면의 일부에 맞닿아 상기 외투부를 확개시킴으로써, 상기 계지부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는 삽입 지그 세트.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외투부의 내벽면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계지부보다 근위 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삽부는, 상기 외투부 내에 통과되어 전진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맞닿아, 상기 외투부를 확개시키는 삽입 지그 세트.
  25.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외투부의 선단부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은, 상기 외투부의 선단에 이를 때까지 상기 외투부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삽입 지그 세트.
  26.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삽부는, 상기 캡의 근위 단부에 맞닿아 상기 캡을 상기 위루 카테터 및 상기 외투부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한 위치까지 전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삽입 지그 세트.
  27.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내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캡에 있어서의 상기 계지부 또는 상기 계지부에 계지되는 부위를 제외한 일부의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삽입 지그 세트.
  28. 절첩 가능한 위내 고정부를 선단에 갖는 위루 카테터와, 절첩된 상태의 상기 위내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을 체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그로서,
    상기 위루 카테터를 주위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통상의 외투부와, 상기 외투부 내에 통과되는 내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투부는, 상기 캡에 계지하는 계지부를 가지며,
    상기 내삽부는, 상기 외투부 내에 통과되어 전진했을 때에, 상기 계지부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는 삽입 지그.
  29. 절첩 가능한 위내 고정부를 선단에 갖는 위루 카테터와,
    절첩된 상태의 상기 위내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루 카테터는, 위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그의 일부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은, 상기 삽입 지그에 계지되는 피계지부를 갖는 위루 카테터 세트.
  30. 절첩 가능한 위내 고정부를 선단에 갖는 위루 카테터와,
    절첩된 상태의 상기 위내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루 카테터는, 위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그의 일부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위루 카테터와 상기 캡 중 한쪽은, 다른 쪽에 계지하는 계지부를 갖는 위루 카테터 세트.
KR1020207019093A 2017-12-04 2018-12-03 위루 카테터, 삽입 지그 세트, 삽입 지그 및 위루 카테터 세트 KR102543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32868 2017-12-04
JPJP-P-2017-232868 2017-12-04
JP2018145805A JP7316029B2 (ja) 2018-08-02 2018-08-02 挿入治具セット、挿入治具及び胃瘻カテーテルセット
JPJP-P-2018-145805 2018-08-02
JP2018154832A JP7114402B2 (ja) 2017-12-04 2018-08-21 胃瘻カテーテル
JPJP-P-2018-154832 2018-08-21
PCT/JP2018/044360 WO2019111847A1 (ja) 2017-12-04 2018-12-03 胃瘻カテーテル、挿入治具セット、挿入治具及び胃瘻カテーテル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579A true KR20200096579A (ko) 2020-08-12
KR102543294B1 KR102543294B1 (ko) 2023-06-13

Family

ID=7203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093A KR102543294B1 (ko) 2017-12-04 2018-12-03 위루 카테터, 삽입 지그 세트, 삽입 지그 및 위루 카테터 세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177704A1 (ko)
EP (1) EP3721856A4 (ko)
KR (1) KR102543294B1 (ko)
CN (1) CN1116552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8687B (zh) * 2021-05-29 2022-11-25 吉林大学中日联谊医院 胃肠外科用结直肠固定牵出辅助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2310A (ja) * 1997-10-14 1999-07-21 Radius Internatl Lp 身体アクセスチューブ
JP2002534168A (ja) 1999-01-07 2002-10-15 バラード・メディカル・プロダクツ 改良されたバルーン配置をもつ胃の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2003180841A (ja) 2001-12-13 2003-07-02 Jiro Kanie 胃瘻用カテーテル・キット
WO2004096115A1 (ja) * 2003-04-28 2004-11-11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瘻孔用カテーテルキット
JP2005511206A (ja) 2001-12-10 2005-04-28 アプライド メデイカル リサーチ ガストロストミー用器具パッケイジおよび組立て方法
US20080097392A1 (en) * 2006-08-03 2008-04-24 Delegge Rebecca Catheter assembly including foldable internal bolster
EP3081253A1 (en) * 2013-12-11 2016-10-19 JMS Co., Ltd. Mal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3529A (en) * 1992-12-04 1993-12-28 Olajire Idowu Gastrostomy tube with expandable insertion tip
US6743207B2 (en) * 2001-04-19 2004-06-01 Scimed Life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insertion of a medical device
US8709018B2 (en) * 2005-09-16 2014-04-29 Applied Medical Technology, Inc. Non-balloon low profile feed device with insertion/removal tool
CN101485918A (zh) * 2009-02-13 2009-07-22 马立勋 一种带有双管腔的鼻胃管
CN103041494B (zh) * 2011-10-17 2017-03-01 库利艾特梅迪克株式会社 导管
US8870852B2 (en) * 2012-08-24 2014-10-28 Tycast Technologies, Llc Medical device for providing port-like access to a mammalian urinary bladder and methods of inserting and utilizing the same
JP2014068654A (ja) * 2012-09-27 2014-04-21 Nihon Covidien Kk 胃瘻カテーテル挿入補助キット
US20170056575A1 (en) * 2015-08-27 2017-03-02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Dialysis catheter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7219010A1 (en) * 2016-06-18 2017-12-21 Arthroscopic Innovations, Llc Surgical device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2310A (ja) * 1997-10-14 1999-07-21 Radius Internatl Lp 身体アクセスチューブ
JP2002534168A (ja) 1999-01-07 2002-10-15 バラード・メディカル・プロダクツ 改良されたバルーン配置をもつ胃の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2005511206A (ja) 2001-12-10 2005-04-28 アプライド メデイカル リサーチ ガストロストミー用器具パッケイジおよび組立て方法
JP2003180841A (ja) 2001-12-13 2003-07-02 Jiro Kanie 胃瘻用カテーテル・キット
WO2004096115A1 (ja) * 2003-04-28 2004-11-11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瘻孔用カテーテルキット
US20080097392A1 (en) * 2006-08-03 2008-04-24 Delegge Rebecca Catheter assembly including foldable internal bolster
EP3081253A1 (en) * 2013-12-11 2016-10-19 JMS Co., Ltd. Mal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21856A4 (en) 2021-12-01
KR102543294B1 (ko) 2023-06-13
CN111655219A (zh) 2020-09-11
EP3721856A1 (en) 2020-10-14
US20210177704A1 (en) 2021-06-17
CN111655219B (zh)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9232B1 (en) Injector needle cap remover
ES2907286T3 (es) Capuchones para agujas y catéteres y procedimiento de uso relacionado
JP5377944B2 (ja) 胃瘻用シース、シース付きダイレータ、挿入補助具付き胃瘻用シース、胃瘻カテーテルキット
US8992483B2 (en) Indwelling needle assembly and protector
EP3132752B1 (en) Tissue aperture securing and sealing apparatuses
EP2529782B1 (en) Hemostatic band
US20220257908A1 (en) System for anchoring medical devices
ES2374445T3 (es) Conector de hemostasis separable.
JP4837112B2 (ja) 解放自在のかえしアンカーを備えたガイドワイヤ
JP6138921B2 (ja) カテーテル組立体
ES2369968T3 (es) Conjunto de protección de aguja.
JP5219610B2 (ja) 治療用物質の運搬投与器具
EP3049144B1 (en) Catheter-positioning slide cover clamp assembly
WO2005102186A1 (en) Self-sealing cannula having integrated seals
JP2010523289A (ja) 入れ子式ガイド・チューブを有する弾性変形可能な外科用アクセス装置
KR20090116744A (ko) 이중 원뿔형 조임근 도입기 조립체 및 합체식 밸브 조립체
JP6669780B2 (ja) アクセスシース、アクセスシステム、及び関連する方法
BR112017009834B1 (pt) Sistema de fechamento para uso com uma bainha processual usada na realização de uma arteriotomia
EP3549537A1 (en) Cannula assembly with collapsible fixation device
JP6261420B2 (ja) 止血器具
KR20150000877A (ko) 다양한 사이즈의 투관침들을 위한 적응 가능한 폐색 장치
KR20200096579A (ko) 위루 카테터, 삽입 지그 세트, 삽입 지그 및 위루 카테터 세트
US11383031B2 (en) Catheter assembly
WO2019111847A1 (ja) 胃瘻カテーテル、挿入治具セット、挿入治具及び胃瘻カテーテルセット
JP7114402B2 (ja) 胃瘻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