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374A - 일종의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풍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일종의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풍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374A
KR20200095374A KR1020200006544A KR20200006544A KR20200095374A KR 20200095374 A KR20200095374 A KR 20200095374A KR 1020200006544 A KR1020200006544 A KR 1020200006544A KR 20200006544 A KR20200006544 A KR 20200006544A KR 20200095374 A KR20200095374 A KR 20200095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ekju
rice
extraction
raw rice
nuru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롱 주
청 루오
동리앙 리
팡 수에
헹 수
동 자오
지에빈 유안
린 선
Original Assignee
차이나 토바코 시추안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시추안 이빈 우리앙예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토바코 시추안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시추안 이빈 우리앙예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차이나 토바코 시추안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95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37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1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풍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가 포함되는데 먼저 백주 누룩을 냉동 시킨 후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잘게 부쉰 후 추출 용제로 쾌속 추출법을 통해 잘게 부숴진 누룩을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으며 마지막으로 추출액을 차례로 초정밀 필터막과 나노 필터막으로 여과하여 원미 주향 풍미 물질 용액을 얻는다.이 방법은 백주 누룩의 풍미 물질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추출해 내고 누룩의 기존 주향 풍미 성분을 그대로 유지한다.

Description

일종의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풍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METHOD OF EXTRACTING THE FLAVORING SUBSTANCES FROM LIQUOR DISTILLER'S GRAINS}
본 발명은 향신료의 제조 기술 분야를 다루며 구체적으로는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풍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다.
누룩은 백주 업계의 고체 발효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 우리 나라 백주 생산 과정에서 매년 수 백만 톤의 고체 누룩 폐기물이 생긴다. 전통 백주 생산 중에서 발효 증류 공정의 한계로 인해 일부 저휘발성 향미 물질이 거의 증류되지 않았다. 수증기 증류를 한 후 버려지는 누룩 가운데 대량의 비등점이 높은 산성 물질이 남아 있다.알코올류, 알데히드류, 에스테르류 물질은 모두 3% 안 팎의 산성이며 아세트산, 젖산, 부티르산, 헥사노익산 등을 포함하여 이소아밀 알코올, 페네틸 알코올, 2-푸르알데히드, 에틸락테이트 등 풍부한 풍미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그 중에서도 유기산은 백주의 맛을 내는 중요한 성분으로서 백주의 식감과 뒷맛을 강하게 하여 쓴맛, 잡미, 매운 맛을 없애고 단맛을 더해 주며 백주의 중요한 미감제 및 신주 노숙의 촉매제이기도 하다. 함량이 높은 유기산으로는 젖산, 아세트산, 헥사노익산과 뷰티르산 그리고 소량의 다른 고비등점의 유기산이 있다.에스테르류 물질이 백주의 향을 내며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락테이트,에틸핵사논산, 그리고 에틸뷰타노에이트 등 네 종류의 에스테르가 전체 에스테르 중 약 90%를 차지한다.이소아밀알코올, 페네틸알코올 등 알코올류 및 알데히드류 등 맛을 내는 풍미 물질도 있다. 백주 누룩으로 풍미 물질을 제조하는 것에 대하여 식품 업계에 이미 관련 보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특허 2006 1002130.6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술 누룩, 움 저장 누룩, 폐기 누룩 중에서 술에 사용 되는 산류, 알코올류,에스테르류를 추출해 내고 질소 화합물 등 향미를 내는 물질의 생산 방법을 보도했다. 특허 200510736.7에서는 이산화탄소 초임계 기술로 술 누룩 찌꺼기에서 백주 풍미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공개하였고 특허2015 10038755.5에서는 물에 삶는 방법을 사용하여 누룩에서 유기산을 주체로 하는 풍미 물질을 추출했다는 것을 보도했다. 특허2015 10170669.X는 물에 씻어 내는 방법과 분자 증류법을 결합하여 백주 누룩에서 젖산이 위주인 유기산류 풍미 물질을 추출하는 것을 공개했다. 위여꾸이 교수님께서는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 방법과 60%의 알코올 열 추출 방법으로 에스테르류 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비교한 결과 초임계 추출 방법을 채택하여 누룩에서 풍미 물질을 추출해 내는데 능율이 더 높고 향기가 비교적 잘 유지되지만 필요한 설비가 비싸고 원가가 높으며 물 추출 (임클리닝)은 찌꺼기 속의 극성이 강한 산성 풍미 물질을 추출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했다. 그러나 극성이 작은 에스테르류 등 백주는 향미 성분을 추출하는 데 효율이 낮고 향미 물질의 종류가 적은 편이었다. 60%알콜로 열 추출 법을 통해 누룩에 들어 있는 에틸락테이트과 에틸엔발러레이트만 추출 할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결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풍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 하였는데 이 방법은 누룩에서 발효 중인 풍미 물질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추출해 내고 누룩의 원미 주향 풍미 성분을 그대로 유지한다.
상술한 기술적 효과를 내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 방안을 제공한다.
누룩에서 백주 원미 주향 풍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포함한다.
(1) 신선한 백주용 누룩을 냉동 시킨 후 기계로 분쇄하여 잘게 부순다.
(2) 추출 용제를 이용하여 쾌속 추출법으로 분쇄한 유기물을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는다.
(3)위에서 서술한 추출액을 차례로 초정밀 필터막, 나노 필터막으로 여과하여 원미 주향 풍미 물질 용액을 얻는다. 상술한 원미 주향 풍미 물질에는 에스테르류 물질, 산류 물질, 알코올류 물질 및 카르보닐 화합물질이 포함된다.
그 중 에스테르류 물질에는 에틸핵사논산, 에틸락테이트, 에틸엔발러레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에틸팔미타이트, 에틸라우레이트 등이 포함되고 산류 물질에는 핵사노익산, 젖산, 부티르산, 아세트산 등이 포함되고 알코올류 물질에는 이소아밀알코올, 페네틸알코올, 2-펜탄올 등이 포함되고 카르보닐 화합물로는 2-푸르알데히,아세토인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 절차 (1)에서는 재료를 유리 전이점 온도나 취화 온도 이하로 저온 냉동한 다음 분쇄기로 분쇄하는 냉동 분쇄 기술을 사용했다. 이 방법은 재료가 저온 상태에서의 “저온 취성” 즉 재료가 온도가 낮아 지면서 그 경도와 취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이용했다. 또한 소성 및 근성이 낮아져 상온에서 쉽게 분쇄되지 않는 고습 물질을 쉽게 분쇄할 수 있으며 또한 재료의 색, 향, 맛 및 활성 물질의 성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데 누룩이 상온에서는 고습 재료이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직접 분쇄하기는 어려우며 또한 그 안에 다양한 향미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를 냉동하여 분쇄하면 그 안에 있는 향미 물질의 성질이 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직 구조를 효과적으로 부셔서 추출 용제와의 접촉 면적을 늘렸고 추출 속도를 높여 용제의 사용량을 줄였다.
신선한 누룩의 물 함유량이 60~70%에 달해 소성과 근성이 강하며 변형 능력이 크고 직접 분쇄하면 접착력이 있어 잘 분쇄되지 않는다. 분쇄 할 때 재료가 마찰에 의해 가열되어 일부 향미 성분이 손실될 수 있으나 신선한 누룩을 냉동 시킨후 재료가 고무 상태에서 유리 상태로 변하고 그 경도와 취성이 커져 변형 능력이 매우 작다. 냉동 후 재료 속의 물이 얼음으로 되어 누룩의 조직이 팽창되고 느슨해져 분쇄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분쇄된 알갱이의 조직 구조가 더욱 느슨해져 누룩 속의 향미 성분을 용출및 추출하기 쉽다. 또한 냉동 재료의 온도가 낮아 분쇄 과정에서 향미 성분의 손실을 피할 수 있으므로 잘게 부서진 누룩의 다양한 향미 성분이 잘 유지된다.
본 발명 절차(2)에서 채택된 쾌속 추출법은 최근 몇 년간에 나타난 새로운 추출 기술로써 식물이 연하거나 딱딱한 재료 일 경우 쾌속 추출을 진행한다. 기계의 고속 절단력과 초동력 분자 삼투 여과 기술로 실온 하에서 용매를 통해 몇초 내에 식물의 뿌리, 줄기, 잎, 꽃, 열매 등의 재료를 미세한 과립으로 분쇄 시킨다. 분쇄 물 중의 유효 성분이 신속히 조직 내외의 균형을 이루게 하고 여과를 통해 추출해 낸다. 한 번의 추출은 보통 몇 초에서 몇 분 이내에 수행되며 추출 속도는 전통추출법의 백배 이상에 달한다. 본 기술은 식물의 유효 성분을 최대한 보호하고 열에 의해 파괴되지 않으며 용제 사용량이 적고 추출 시간이 짧으며 효율성이 높다. 현재 본 기술은 약재 중의 유효 성분 추출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처음으로 쾌속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누룩 주향 풍미 물질 추출에 적용했다. 추출 시간이 짧고 용제의 사용량이 적으며 냉동 분쇄 사전 처리 기술도 함께 진행했다. 고습 물질이 잘 부서지지 않는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 누룩의 조직 구조를 더욱 느슨하게 하여 누룩 사전 처리 과정에서 누룩 향미 물질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누룩의 향미 물질의 종류 수량와 추출율을 높인다..
진일보 상세한 기술 방안으로 상기 절차 (1)의 냉동 온도는 -40 ~ -5°C이고 냉동 시간은 5 ~ 24 h이다.
진일보 상세한 기술 방안으로 상기 절차 (1)의 냉동 온도는 -25~ -10°C이고 냉동 시간은 8 ~ 20 h이다.
진일보 상세한 기술 방안으로 상기 절차 (1)의 냉동 온도는 -20 ~ -15°C이고 냉동 시간은 8 ~ 15 h이다.
진일보 상세한 기술 방안으로 상술한 기계 분쇄는 분쇄기로 분쇄를 진행하는 것이고 분쇄후의 알갱이 크기는 10~25μm이다.
진일보 상세한 기술 방안으로는 전술한 절차(2)에서 신선한 누룩 분쇄 및 추출 용제의 중량비는 1:1~6이다.
진일보 더 상세한 기술 방안으로는 전술한 절차(2)에서 신선한 누룩 분쇄 및 추출 용제의 중량비는 1:2~4이다.
진일보 상세한 기술 방안으로는 전술한 절차 (2)에서 사용한 추출 용제로는 에탄올 혹은 프로필렌 글리콜을 물과 임의의 비례로 혼합하여 만든 혼합물이다.
진일보 상세한 기술 방안으로는 전술한 추출 용제는 에탄올 질량 분수가 80~100%인 에탄올 수용액이다.
진일보 더 상세한 기술 방안으로는 전술한 추출 용제는 에탄올 질량 분수가 95%인 에탄올 수용액이다.
본 발명은 80~100%의 고농도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추출 용제를 사용하여 물 또는 60% 알코올을 추출 용제로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면 극성이 상대적으로 작다. 이런 고농도 알코올류 용제는 신선한 누룩 중에 에틸락테이트, 젖산, 핵사노익산, 부티르산 등 극성이 큰 풍미 성분에 일정한 추출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리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엔발러레이트, 에틸엔발러레이트, 에틸라우레이트, 페네틸알코올, 2-푸르알데히드, 이소아밀 알코올, 아세토인 등 극성이 아주 작은 풍미 성분에는 비교적 좋은 추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신선한 누룩은 냉동 분쇄 사전 처리와 80~100% 고농도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으로 쾌속 추출하여 추출된 물질은 풍미 성분 종류가 풍부하다. 그 중 에스테르 알코올류 및 카르보닐 화합물은 풍미 물질 총량비의 약 60%정도 차지하고 산류 물질은 풍미 물질의 30% 정도를 차지한다. 반면, 수용성 추출물로는 유기산, 에틸락테이트 등 극성이 큰 향미 물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향미 성분의 종류가 풍부하지 않다. 60%알코올 열추출 법으로는 높은 양의 에틸락테이트를 얻을 수 있지만 에틸류는 에틸락테이트과 에틸엔발러레이트 두 종류만 얻을 수 있으며 에스테르류 종류도 풍부하지 않다.
진일보 상세한 기술 방안으로 상기 절차 (2)에서 제기된 쾌속 추출은 상온 하에 쾌속 추출기에서 진행되며 상기 쾌속 추출기의 내측 칼날 회전 속도는 8000~25000r/min이다.
진일보 더 상세한 방안으로 전술한 쾌속 추출기의 내측 칼날 회전 속도를 10,000~20,000r/min로 한다.
진일보 더 상세한 방안으로 상기 절차 (2)에서 쾌속 추출 차수는 1~3차이고 추출 시간은 30s/차~300s/차이다.
진일보 더 상세한 방안으로 상기 절차 (2)에서 쾌속 추출 차수는 1~3차이고 추출 시간은 100s/차~200s/차 이다.
쾌속 추출1~3차후에는 또 원심 분리를 거쳐 찌꺼기를 제거하고 상청액을 통합해 최종 추출액을 얻는데 그중 원심 분리 회전 속도는 1000~5000rpm이고 원심 분리 시간은 10~30min이다.
진일보 상세한 기술 방안으로 상술 절차 (3)에서 초정밀 필터막 분자량은 3000~10000이다.
진일보 상세한 기술 방안으로 상술 절차 (3)에서 초정밀 필터막 분자량은 3000~5000이다.
진일보 상세한 기술 방안으로 상술 절차 (3)에서 나노필터막 분자량은 100~500이다.
진일보 상세한 기술 방안으로 상술 절차 (3)에서 나노필터막 분자량은 200~400이다.
추출액을 3000~10000분자량의 초정밀 필터막으로 단계별 초정밀 여과를 진행하여 일부 불순물과 대분자 배위 화합물 등을 제거한다. 초정밀 여과를 한 후 여과액을 다시 나노 여과 처리를 하는데 100~500분자량의 나노 필터막을 선택하여 여과 처리를 진행하고 압력은 10~12kg/cm2 이다. 추출액에서 색소, 전분, 당류, 단백질 등 큰 분자 물질을 제거하고 추출액에서 유기산,고비등점 알코올류와 에스테르류 등 소분자의 풍미 성분이 순조롭게 분리되여 누룩의 원미 풍미 물질 용액을 얻는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백주 누룩 원미 주향 풍미 물질 중에 에스테르류로는 에틸카프로레이트,에틸락테이트, 에틸엔발러레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에틸팔미타이트, 에틸라우레이트 등이 포함되고 산류 물질로는 카프로산, 젖산, 부티르산, 아세트산이 포함되고 알코올류 물질로는 이소아밀알코올,페네틸알코올, 펜탄올 등이 포함되고 카르보닐 화합물로는 2-푸르알데히드, 아세토인 등이 포함된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 질량기계의 분석에 따르면 이런 방법으로 제조된 백주향과 맛을 내는 물질의 추출율이 3.7%~4.8% 이다.
기존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
1.쾌속 추출 기술로 저온 냉동 분쇄 사전 처리하여 백주 누룩의 조직 구조를 효과적으로 분쇄했다.이는 추출 속도가 빠르고 추출율이 높으며 용제를 적게 사용하고 기존 누룩의 풍미 성분을 최대한 보존하였다.
2.초정밀 여과 및 나노 여과 기술로 백주 누룩 추출물을 정밀 제조하여 추출액 중의 불순물 및 색소, 다당류 등 맛에 불리한 큰 분자 성분을 제거해 주향 풍미 성분의 순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
3.백주 누룩 폐기물 중 원미 주향 풍미 물질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정밀 제조하는 새로운 기술을 제공하였다.
실시 사례1
백주 누룩 500g을 -5°C 냉동실에서 24h 얼려 기계로 알갱이 크기 10~25μm까지 분쇄한 후 500g의 95% 에탄올을 쾌속 추출기 넣어 실온에서 내측 칼날 회전 속도 25,000r/min에서 300s동안 추출한다. 고체와 액체 혼합물을 5,000rpm 회전 속도로 원심 분리한 후 상청액을 10,000 분자량 초 정밀막과 200 분자량 나노 필터 막으로 차례로 여과하여 술 원미 향미 물질 용액 445 g을 얻는다.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로 검측 결과 산류,에스테르류 등 백주의 주요 향과 맛을 내는 풍미 물질의 추출율이 3.7%로 분석됐다.
실시 사례2
백주 누룩 500g을 -18°C 냉동실에서 10h 얼려 기계로 알갱이 크기 20~30μm까지 분쇄한 후 500g 95% 에탄올을 쾌속 추출기 넣어 실온에서 내측 칼날 회전 속도 20,000r/min에서 200s동안 추출한다. 고체와 액체 혼합물을 4,000rpm 회전 속도로 원심 분리한 후 남을 찌꺼기에 500g 95% 에탄올을 추가하여 상술한 쾌속 추출 과정을 한번 반복하여 얻은 두 차례의 상청액을 혼합한다. 혼합 상청액을 5,000 분자량 초 정밀막과 400 분자량 나노 필터 막으로 차례로 여과하여 술 원미 향미 물질 용액 947 g을 얻는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로 검측 결과 산류,에스테르류 등 백주의 주요 향과 맛을 내는 풍미 물질의 추출율이 4.3%로 분석됐다.
실시 사례3
백주 누룩 500g을 -30°C 냉동실에서 8h 얼려 기계로 알갱이 크기 10~30μm까지 분쇄한 후 100% 순수 에탄올 1000g을 쾌속 추출기 넣어 실온에서 내측 칼날 회전 속도 15,000r/min에서 100s동안 추출한다. 고체와 액체 혼합물을 4,000rpm 회전 속도로 원심 분리한 후 남을 찌꺼기에 100% 순수 에탄올 500g을 추가하여 상술한 쾌속 추출 과정을 두번 반복하여 얻은 상청액을 혼합한다. 혼합 상청액을 10,000 분자량 초 정밀막과 400 분자량 나노 필터 막으로 차례로 여과하여 술 원미 향미 물질 용액 1795 g을 얻는다.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로 검측 결과 산류,에스테르류 등 백주의 주요 향과 맛을 내는 풍미 물질의 추출율이 4.5%로 분석됐다.
실시 사례4
백주 누룩 500g을 -40°C 냉동실에서 5h 얼려 기계로 알갱이 크기 10~20μm까지 분쇄한 후 1000g 90% 에탄올을 쾌속 추출기 넣어 실온에서 내측 칼날 회전 속도 10,000r/min에서 80s동안 추출한다. 고체와 액체 혼합물을 4,000rpm 회전 속도로 원심 분리한 후 남을 찌꺼기에 500g 90% 에탄올을 추가하여 상술한 쾌속 추출 과정을 두번 반복하여 얻은 상청액을 혼합한다. 혼합 상청액을 10,000 분자량 초 정밀막과 400 분자량 나노 필터 막으로 차례로 여과하여 술 원미 향미 물질 용액 1795 g을 얻는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로 검측 결과 산류,에스테르류 등 백주의 주요 향과 맛을 내는 풍미 물질의 추출율이 4.5%로 분석됐다.
실시 사례5
백주 누룩 500g을 -10°C 냉동실에서 15h 얼려 기계로 알갱이 크기 10~30μm까지 분쇄한 후 1000g 80% 에탄올을 쾌속 추출기 넣어 실온에서 내측 칼날 회전 속도 10,000r/min에서 80s동안 추출한다. 고체와 액체 혼합물을 4,000rpm 회전 속도로 원심 분리한 후 남을 찌꺼기에 1000g 80% 에탄올을 추가하여 상술한 쾌속 추출 과정을 두번 반복하여 얻은 상청액을 혼합한다. 혼합 상청액을 10,000 분자량 초 정밀막과 200 분자량 나노 필터 막으로 차례로 여과하여 술 원미 향미 물질 용액 2760 g을 얻는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로 검측 결과 산류,에스테르류 등 백주의 주요 향과 맛을 내는 풍미 물질의 추출율이 3.9%로 분석됐다.
실시 사례6
백주 누룩 500g을 -20°C 냉동실에서 10h 얼려 기계로 알갱이 크기 20~30μm까지 분쇄한 후 1000g 95% 에탄올을 쾌속 추출기 넣어 실온에서 내측 칼날 회전 속도 10,000r/min에서 180s동안 추출한다. 고체와 액체 혼합물을 2000rpm 회전 속도로 원심 분리한 후 남을 찌꺼기에 1000g 95% 에탄올을 추가하여 상술한 쾌속 추출 과정을 한번 반복하여 얻은 두 차례의 상청액을 혼합한다. 혼합 상청액을 3,000 분자량 초 정밀막과 400 분자량 나노 필터 막으로 차례로 여과하여 술 원미 향미 물질 용액 2815 g을 얻는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로 검측 결과 산류,에스테르류 등 백주의 주요 향과 맛을 내는 풍미 물질의 추출율이 4.8%로 분석됐다.
본 발명의 해석적 실시 사례로 본 발명에 대해 기술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사례는 본 발명에 적합한 실시 사례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식은 상술한 실시 사례에 구애받지 않으며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서로 다른 수정과 실시 방식을 설계할 수 있다. 수정과 실시 방식은 본 설명서의 공개 원칙 범위 내에서 진행해야 하며 본 설명서의 내용을 기본으로 해야 한다.

Claims (10)

  1.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풍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가 포함되는데 먼저 백주 누룩을 냉동 시킨 후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잘게 부쉰 후 추출 용제로 쾌속 추출법을 통해 잘게 부숴진 누룩을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으며 마지막으로 추출액을 차례로 초정밀 필터막과 나노 필터막으로 여과하여 원미 주향 풍미 물질 용액을 얻게 되는데 원미 주향 풍미 물질로는 에스테르류 물질, 산류 물질, 알코올류 물질, 카르보닐 화합물이 포함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풍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에서 냉동 온도가 -40~5°C이고 냉동 시간이 5~24 h인 것이 특징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퓽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에서 상술한 기계 분쇄는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하는 것이 특징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퓽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에서 신선한 누룩 분쇄물과 추출 용제의 중량비가 1:1~6인 것이 특징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퓽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에서 추출 용제는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물과 임의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인 것이 특징이다.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퓽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에서 추출 용제는 질량비가 80~100%인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퓽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에서 쾌속 추출은 상온 하에 쾌속 추출기에서 이루어 지는데 상술한 쾌속 추출기의 내측 칼날 회전 속도가 8000~25000r/min인 것이 특징이다.
  8. 제1항에 있어서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퓽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에서 쾌속 추출 횟수가 1~3회이고 추출 시간은 30s/회~300s/회 인 것이 특징이다.
  9. 제1항에 있어서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퓽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에서 초정밀 필터막의 분자량이 3000~10000인 것이 특징이다.
  10. 제1항에 있어서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퓽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에서 나노 필터막의 분자량이 100~500인 것이 특징이다.
KR1020200006544A 2019-01-30 2020-01-17 일종의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풍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KR202000953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093995.3 2019-01-30
CN201910093995.3A CN109852478A (zh) 2019-01-30 2019-01-30 一种从白酒丢糟中提取原味酒香风味物质的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374A true KR20200095374A (ko) 2020-08-10

Family

ID=6689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544A KR20200095374A (ko) 2019-01-30 2020-01-17 일종의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풍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95374A (ko)
CN (1) CN1098524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029A (ko) * 2020-12-16 2022-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유기산 처리에 의한 고체발효 증류주의 향기 개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4505A (zh) * 2019-09-12 2019-12-13 深圳市体香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酒糟二次发酵裂解提取的酵母香精及其制备方法
WO2021060334A1 (ja) * 2019-09-27 2021-04-01 東レ株式会社 アセトイン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7230C (zh) * 2006-07-12 2008-12-31 四川省宜宾五粮液集团有限公司 从固态白酒酿酒半成品、副产品中提取酒用呈味呈香物质的方法
CN1970722B (zh) * 2006-11-28 2010-09-29 李家民 固态白酒酿造物中白酒香味成分的超临界co2萃取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029A (ko) * 2020-12-16 2022-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유기산 처리에 의한 고체발효 증류주의 향기 개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52478A (zh)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5374A (ko) 일종의 백주 누룩에서 원미 주향 풍미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US9408408B2 (en) Enzymatic process
CN109651480A (zh) 一种分离罗汉果甜苷v的方法
KR20140086445A (ko) 고수율, 고순도 후코이단 제조방법
CN102839107A (zh) 一种块菌酒的生产方法
CN104982593A (zh) 果香型发酵茶类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得到的提取物
US20050074519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botanical extracts
CN107467571B (zh) 槟榔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槟榔制品及其制备方法
CN102687839A (zh) 一种制备金瓜香味浓缩物的方法及得到产品的应用
KR101541007B1 (ko) 단백질 분해용 발효액의 제조방법
CN109536393A (zh) 一种马里兰烟叶发酵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3881815A (zh) 一种黑布林提取物及其制备方法以及该提取物在卷烟中的应用
CN104232435A (zh) 一种玫瑰花酒的制备方法
KR101608683B1 (ko) 식품첨가용 다시마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973531A (zh) 喷雾冷冻干燥制备高营养白桑椹即食粉的方法
KR20130084441A (ko) 다시마 뿌리 추출물을 이용한 생리활성 후코이단 제조방법
Rahim et al. The effect of enzymatic pre-treatment in agarwood oil extraction
KR20130084649A (ko) 울금의 유효성분인 쿠르쿠민의 효율적 추출방법
JP6421305B2 (ja) 植物系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糖類の含有量を低減する方法
JP2019156746A (ja) トリテルペノイド高含有種子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トリテルペノイド高含有種子抽出物
JP2005519971A (ja) 麦芽飲料物に風味をつけるためにホップ植物部分から抽出されたグリコシドの使用
JP3841458B2 (ja) 高パナキサン含有薬用人参エキスの製造方法
WO2024071421A1 (ja) 2-o-トランス-カフェオイルヒドロキシクエン酸の製造方法
JP2008131924A (ja) 風味の改善された粕取り焼酎の製造方法
KR20230028828A (ko)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여 감으로부터 탄닌을 추출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