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559A - 라돈 차단 도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라돈 차단 도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559A
KR20200092559A KR1020190009611A KR20190009611A KR20200092559A KR 20200092559 A KR20200092559 A KR 20200092559A KR 1020190009611 A KR1020190009611 A KR 1020190009611A KR 20190009611 A KR20190009611 A KR 20190009611A KR 20200092559 A KR20200092559 A KR 20200092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rod
brass
pole
poly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8799B1 (ko
Inventor
박영덕
Original Assignee
박영덕
주식회사 파워실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덕, 주식회사 파워실버 filed Critical 박영덕
Priority to KR102019000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79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D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2Radiation-absorb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분해조의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아연봉과, -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황동봉에 연결시키고, 상기 +극의 아연봉과, -극의 황동봉 간격을 10cm로 위치시키고, 전류를 5볼트, 15암페아로 고정시킨 다음, 폴리졸 1,000g, 초산비닐수용성바인더 1,000g, 산화방지제로 하이드로퀴논 1~3g 과 염산 5g을 혼합한 폴리졸초산비닐바인더조성물을 전기분해조의 전해조에 투입하고, 전기분해시키면, +극의 아연봉과 -극의 황동봉을 완전히 용해시켜 전기분해 하면, 아연봉과 황동봉은 나노입자로 되어 이온형태로 된 나노황동아연폴리졸초산비닐수지조성물을 제조하여 준비한 후에, 상기 나노황동아연폴리졸초산비닐수지조성물 1,000g에 400매쉬 백탄 200g, 400 매쉬 흑연 150g을 교반기에 넣고 60RPM 으로 1시간 교반하여 제조하는 라돈차단 도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돈 차단 도료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ering for Radon Blocking Material}
본 발명은 우리가 주거하고 있는 시멘트 건축물 벽면, 천정, 바닥 등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차단하는 라돈차단 도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라돈차단제를 콘크리트에 첨가하여 라돈의 방출속도를 억제시키거나 라돈자핵종의 제거효율이 높은 공기청정기를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80018291 (2008.02.28.)에는 라돈과 같은 방사능물질과 불쾌한 냄새,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유해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 VOC 등으로 인하여 두통, 구토, 아토피, 각종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는 새집증후군(Sick House)으로 부터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백토 및 은나노수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산화티탄, 전기석 등을 첨가하고, 바인더로는 포타슘 실리케이트 또는 리튬 실리케이트와 수용성 아크릴을 사용하는 천연 광물질인 백토를 이용한 도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281650000 (2018.02.05.) 상도·중도·하도로 구성되며, 일반적인 우레탄 및 에폭시 수지에 차폐성능이 뛰어난 이소시아네이트 실란, 불소 수지 성분을 배합한 합성수지를 기반으로 하고, 나노파우더 충진제를 함유한 고밀도의 도막을 형성하여 라돈 발생을 억제하거나 차단하는 라돈 차폐용 도막방수재가 공개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50052 (2012.05.18.)호에는 몬트몬리오나이트, 광촉매, 겔라이트, 황토파우더, 음이온파우더나 원적외선파우더 등의 음이온을 방출하는 나노크기의 파우더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아크릭엑시드 공중합체, 아크릭아마이드-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중 어느 하나의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인 고분자 수지를, 톨루엔, 자이렌,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메틸에틸케톤나 메틸이소부탄케톤 등의 극성용매에 용해시켜서 고분자용액을 얻는 고분자용액생성단계와; 상기 고분자용액생성단계에서 얻어진 고분자용액을 분산시켜 서스펜젼을 형성한 다음 1000~3000RPM으로 교반되는 염기성용액에 적가하면서 검화 반응을 통해 음이온방출 고분자 나노복합체를 생성하는 음이온방출 고분자 나노복합체생성단계와; 상기 음이온방출 고분자 나노복합체생성단계에서 형성된 음이온방출 고분자 나노복합체를 여과, 세척 및 건조하여 음이온방출 고분자 나노복합체 분말을 얻는 음이온방출 고분자 나노복합체 분말생성단계와; 상기 음이온방출 고분자 나노복합체 분말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음이온방출 고분자 나노복합체 분말을 가교반응을 통해 내열성 및 분산성을 보강하여 음이온 방출 고분자 나노복합체를 완성하는 음이온 방출 고분자 나노복합체 완성단계와; 액상규산염과 이온교환수를 투입하고 균일한 액상이 될 때까지 교반한 후,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트리에톡시비닐실란, 디페닐디메톡시실란이나 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알킬알콕시실란을 첨가하여 완전히 가수분해될 때까지 500RPM 정도로 10분 이상 교반한 다음 교반 속도를 2000RPM으로 올려 알루미나(Al2O3,), 산화티탄(TiO2), 산화지르코늄(ZrO2), 실리카(SiO2) 등의 콜로이달 분산액으로 콜로이달 입자 크기가 40~180nm인 금속산화물 콜로이달수용액인 경화제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액상규산염 무기질바인더를 형성하는 액상규산염 무기질바인더형성단계와; 상기 액상규산염 무기질바인더형성단계에서 얻어진 액상규산염 무기질바인더 100중량%에 상기 음이온 방출 고분자 나노복합체 45~90중량%와 안료 5~10중량%를 투입하여 1000RPM에서 30분 이상 교반밀링한 다음, 입도계로 30 이하를 확인한 후, 300RPM으로 속도 조정 후 액상 분산제와 소포제를 투입하고 10분 이상 교반하여 도료화 하는 도료화단계와; 상기 도료화단계에서 도료화된 혼합물에 이온교환수를 첨가하여 점도를 조절하여 포장하는 제품화단계로; 음이온방출 고분자나노복합체 22.5~45중량%와 안료 2.5~5중량%, 분산제 0.1~1.2중량%, 소포제 0.1~1.3중량%, 액상규산염 24.5~37중량%, 이온교환수 12~17중량%, 알킬알콕시실란 0.5~2.5중량%, 금속산화물 콜로이달수용액 2.5~7.5중량%, 경화제 2.5~4.0중량%로 조성되는 음이온방출 고분자 나노복합체를 이용한 항균 규산염계 무기질 수성도료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고,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48557 (2005.05.24.)호에는 본 발명은 Tourmaline의 물질특성을 극대화 시켜 환경개선 소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신 환경 오염물질의 생성이 전혀 없는 친 환경적 페인트를 Tourmaline 물질특성의 운반제로 사용하고 기능증대를 위한 첨가제로 기능성 천연광물을 Tourmaline과 친화력을 갖게 활성화하여 사용하므로 환경 유해물질을 단순하게 차단, 차폐 시키는 것이 아닌 환경 오염물질의 생성을 근원적으로 억제하고 이들 환경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화학, 물리적으로 안정하게 산화, 분해 변환 시키는 목적을 달성하고 더불어 생체 및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므로 인류의 건강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추구하는 바 목적을 달성하고 져 토르마린을 함유한 페인트를 제조하여 시멘트, 목재, 섬유, 종이, 기타 혼합재료 등으로 구성된 표면에 도포, 분무하여 사용함으로 Tourmaline의 사용범위를 확대하고 각 구성면에 사용될 재료와 용도에 널리 적용하기 위하여 페인트 종류를 다양화하여
1, 토르마린 천연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2, 토르마린 바이오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3, 토르마린 기능성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4, 본 발명을 구성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788660000(2011.10.26.)호에는 분말형태를 이루는 방연석, 플라이애시, 실리카, 산화마그네슘을 혼합용기에 넣고 섞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하여 혼합용기에 담긴 분말형태의 방연석, 플라이애시, 실리카, 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원료혼합물에 첨가재를 혼합하고 40~50℃의 열을 가하며 섞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원료혼합물을 고체상태로 응고시키는 첨가재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방사능 차폐재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80018291호 2.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281650000호 3.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50052호 4.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48557호 5.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788660000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라돈을 차폐할 수 있는 라돈 차폐재의 복잡한 제조공정에 따른 제조비용과 인력소모의 문제점과, 제조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의 문제점과, 생활환경에서 인체에 가장 흔히 노출되는 라돈에 대한 미미한 차단효과의 문제점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분해조의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아연봉과, -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황동봉에 연결시키고, 상기 +극의 아연봉과, -극의 황동봉 간격을 10cm로 위치시키고, 전류를 5볼트, 15암페아로 고정시킨 다음, 폴리졸 1,000g, 초산비닐수용성바인더 1,000g, 산화방지제로 하이드로퀴논 1~3g 과 염산 5g을 혼합한 폴리졸초산비닐바인더조성물을 전기분해조의 전해조에 투입하고, 전기분해시키면, +극의 아연봉과 -극의 황동봉을 완전히 용해시켜 전기분해 하면, 아연봉과 황동봉은 나노입자로 되어 이온형태로 된 나노황동아연폴리졸초산비닐수지조성물을 제조하여 준비한 후에,
상기에서 제조된 나노황동아연폴리졸초산비닐수지조성물 1,000g에 400매쉬 백탄 200g, 400 매쉬 흑연 150g을 교반기에 넣고 60RPM 으로 1시간 교반하여 제조된 라돈 차단 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은 라돈의 차단효과가 있어 생활환경에서 인체에 가장 흔히 노출되는 라돈 등 방사능에 대한 우수한 차단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기계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여 강도높은 라돈차단 도료를 제공하여 내장재 등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분해조의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아연봉과, -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황동봉에 연결시키고, 상기 +극의 아연봉과, -극의 황동봉 간격을 10cm로 위치시키고, 전류를 5볼트, 15암페아로 고정시킨 다음, 폴리졸 1,000g, 초산비닐수용성바인더 1,000g, 산화방지제로 하이드로퀴논 1~3g 과 염산 5g을 혼합한 폴리졸초산비닐바인더조성물을 전기분해조의 전해조에 투입하고, 전기분해시키면, +극의 아연봉과 -극의 황동봉을 완전히 용해시켜 전기분해 하면, 아연봉과 황동봉은 나노입자로 되어 이온형태로 된 나노황동아연폴리졸초산비닐수지조성물을 제조하여 준비한 후에, 상기에서 제조된 나노황동아연폴리졸초산비닐수지조성물 1,000g에 400매쉬 백탄 200g, 400 매쉬 흑연 150g을 교반기에 넣고 60RPM 으로 1시간 교반하여 제조하는 라돈차단 도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먼저 전도성이 우수한 전도가 다른 일정 규격의 +극은 아연봉, -극은 황동봉으로 선택한 다음,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아연봉과,-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황동봉에 연결시킨 후에, 상기 +극의 아연봉과, -극의 황동봉 간격을 10cm로 위치시키고, 전류를 5볼트, 15암페아로 고정시켜 전기분해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분해조의 전해조에 투입되는 전해질로 폴리졸초산비닐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는데,
폴리졸 1,000g, 초산비닐수용성바인더 1,000g, 산화방지제로 하이드로퀴논 1~3g 과 염산 100g의 조성비로 사용하고, 상기 조성비가 가장 바람직한 상태이며, 각 조성성분의 물리적성질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졸 (PVAc Emulsion Adhesive)은 수성접착제의 하나로서, 일반인이 목공용 접착제라고 알고 있는 초산비닐 공중합 에멀젼 접착제입니다. 유성접착제와는 다르게 수성제품이기 때문에 유성보다는 접착되는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특히 접착력 및 침투성이 우수하며 흐름성, 내수성, 내약품성, 내후성이 탁월하여 요소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접착제 이다.
대표적인 폴리졸은 수성접착제인 D-510, D-502 이다.*?*
D-502(D-510)
1. 용 도
- 종이, 천, 지대, 벽지, 포장지 등의 접착 및 OVERLAY(일반 목공의 접착, 무늬목 접착)
- 완구, 공예품 및 일반 가정용품의 접착(건축용 후레시 판넬의 접착, 특수 접착)
성능
- 수용성으로 사용할 때 물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양호함(접착 강도가 강함)
- 다목적 용도의 접착 특성을 발휘함(내수성, 내후성, 내약품성이 양호함)
- 화기 위험 및 인체에 독성이 없음,건조 피막이 투명하여 목재 오염성이 없음(건조 피막이 투명하여 목재 오염성이 없음)
물성 내용(D-502) 내용(D-510)
주성분 PVAc 등 초산비닐 모노머
외관 유백색 에멀젼 점조액 유백색 에멀젼 점조액
고형분 31±1% (KS-M-3700) 41±1% (KS-M-3700)
점도 20,000±2,000cps (at 25℃, RION VT-04 #2) 28,000~33,000cps (at 25℃, RION VT-04 #2)
pH 4~5 (KS-M-3700) 4~5 (KS-M-3700)
회분 3% 이하
조막성 투명 (KS-M-3700) 투명 (KS-M-3700)
목재 오염성 양호 (KS-M-3700) 양호 (KS-M-3700)
요소수지혼화성 양호
상태 접착력 100 kg/cm2 이상
내수 접착력 40 kg/cm2 이상
비중 1.03±0.03 (at 20℃, KS-M-3705) 1.05±0.03 (at 20℃, KS-M-3705)
안정성 기계 안정성 양호, 저장 안정성 양호 기계 안정성 양호, 저장 안정성 양호
유효 기간 6개월(밀봉 상온 보관) 6개월(밀봉 상온 보관)
[출처] 네이버 사이트중 수성 접착제 폴리졸(PVAc Emulsion Adhesive) 발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초산비닐수용성바인더는 PVA라고도 한다. 폴리초산비닐을 메틸알코올 용액으로 수산화나트륨을 가해, 30~50℃로 가수분해하면, 백색의 고체가 되어 침전된다. 물에 가용성으로 유기용매에는 불용성의 백색 분말이다. 아연도금의 첨가제로써 사용된다. 용도는 폴리비닐 알코올 합성섬유의 원료, 접착제, 호료(糊料), 필름 등에 사용된다.
초산 비닐 수지를 탈초산하여 얻어지는 수용성 수지로, PVA라고도 한다. 수용액은 수성 페인트의 베이스, 목재의 접착제로서 사용되며 비닐론 등의 원료가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폴리비닐 알코올 (도금기술 용어사전, 2000. 6., 도서출판 노드미디어) 발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하이드로퀴논은 퀴놀(quinol)·벤젠-1,4-다이올(benzene-1,4-diol)·p-다이하이드록시벤젠(p-dihydroxybenzene)이라고도 하며 하이드로퀴논이라는 이름은 퀴논에 수소가 붙은 조성을 뜻한다. 벤젠고리의 파라 위치에 하이드록시기 두 개가 붙어 있는 구조이며 카테콜과 레조르시놀은 하이드록시기 위치만이 다른 이성질체이다. 화학식 C6H4(OH)2. 무색의 바늘 모양 결정으로 분자량 110.11, 녹는점 170.3℃, 끓는점 287℃(730mmHg), 비중 1.33이다. 뜨거운 물·에탄올·에테르 등에는 잘 녹지만, 찬물에는 100mℓ에 5.8g밖에 녹지 않는다.
환원성이 있고, 특히 알칼리성 수용액은 그 성질이 뚜렷하다. 아닐린을 산화시켜 퀴논을 만든 다음 아질산에 의하여 환원하여 제조한다. 물에 녹아 환원제 역할을 하는 것과 주로 관련된 다양한 용도를 가지고 있다. 사진현상제·산화방지제 등에 사용될 뿐 아니라, 염료 합성원료로도 중요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두산백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백탄은 목탄의 하나. 가마벽을 돌로, 천장을 흙으로 덮고 약 300℃에서 탄재를 탄화하여 가마 입구를 서서히 넓혀 약 900~1,000℃에서 충분히 건류한 후에 백열한 목탄을 조금씩 밖으로 끌어내어, 사전에 약간 습하게 만든 소분(消紛)으로 덮어 냉각시킨 목탄. 매우 견고한 것이 만들어진다. 이에 비해 흑탄은 약 700℃에서 탄화하여 통풍구, 굴뚝을 밀폐하고 2~3일 후에 가마에서 낸 것을 말한다. 백탄보다 약하여, 연탄이라고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백탄 [白炭, hard charcoal] (화학용어사전, 2011. 1. 15., 일진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흑연은 화학성분은 순수한 탄소 (C)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이아몬드와는 결정 구조만 다른 동질이상이다. 흑연의 영어 명칭은 '글을 쓰다'라는 의미를 가진 그리스어인 그라페인(Graphein)에서 유래하였다.
평균적인 굳기는 약 1.5로 매우 부드럽고 무른 편이며 조흔색은 검은색이다. 비중은 2.23이지만 구조 내의 공극이나 불순물에 의하여 더 줄어들기도 한다. 색은 주로 흑생에서 회색 사이의 금속 광택을 가지며 구조적 특성에 의해 전기 전도가 잘 되는 특징을 가진다. 흑연은 탄소 여섯 개가 고리를 이루며 이러한 고리가 판상으로 구조를 이루게 되어 방향에 따라 전기 저항이 다르게 나타난다.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물질로 공기 중에서의 발화점은 500°C이상이며 공기 중에서 가열하면 600°C이상에서 산소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CO₂)가 된다. 모양에 따라 인상흑연과 토상흑연으로 나눈다.
소량의 무기물과 유기물이 퇴적층 내에서 산화적 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고온의 마그마에 의한 접촉 변성 작용 혹은 광역 변성 작용을 받을 때 생성 될 수 있다. 주로 셰일, 사암, 석탄, 석회암 등의 암석들과 같이 산출될 수 있으며, 환원성 환경에서는 편마암, 편암, 석회암, 사문암 등의 암석과 함께 발견된다. 대표적인 산출국으로는 캐나다, 미국, 중국, 러시아, 스리랑카, 마다가스카르, 북한, 멕시코에 상당량이 매장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옥천, 문경, 상주, 보은, 개천, 강계, 초산, 창선 등에서 산출된다. 우리 나라는 연 5t을 생산하여 세계 총 생산량인 50-60t의 약 10%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양을 생산하고 있다.
흑연은 가장 대표적으로 연필과 샤프심의 재료로 사용되며, 전기 전도도를 이용하여 전기 양도체의 원료로도 쓰인다. 화학 공정에서의 내열성 장비 (도가니)의 재료로 쓰이기도 한다. 또 결정 구조가 층상을 이루고 있어 매끄럽기 때문에 감마제와 윤활제로도 활용되며, 물건을 제작할 때 주형으로 사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흑연 [Graphite] (두산백과) 발췌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제1공정
전기분해조의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아연봉과, -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황동봉에 연결시키고, 상기 +극의 아연봉과, -극의 황동봉 간격을 10cm로 위치시키고, 전류를 5볼트, 15암페아로 고정시킨 다음,
폴리졸 1,000g, 초산비닐수용성바인더 1,000g, 산화방지제로 하이드로퀴논 1g 과 염산 5g을 혼합한 폴리졸초산비닐바인더조성물을 전기분해조의 전해조에 투입하고, 전기분해시키면, +극의 아연봉과 -극의 황동봉을 완전히 용해시켜 전기분해 하면, 아연봉과 황동봉은 나노입자로 되어 이온형태로 된 나노황동아연폴리졸초산비닐수지조성물을 제조하여 준비한 후에,
제2공정
제1공정에서 제조된 나노황동아연폴리졸초산비닐수지조성물 1,000g에 400매쉬 백탄 200g, 400 매쉬 흑연 150g을 교반기에 넣고 60RPM 으로 1시간 교반하여 라돈차단도료를 제조하였다.
제3공정
상기 라돈차단도료를 시멘트 벽면이나 바닥 또는 천정에 0.3mm 두께로 도포하여 라돈을 차단하도록 라돈차단도료를 시공하였다.
필요에 따라 실시예의 라돈차단도료를 1차 도포 뿐만 아니라, 2번 반복하여 2차 나아가 3차 도포하여 라돈의 차단을 효과적으로 할 수도 있다.
실험예 ( 라돈 측정)
실험기기명: 라돈아이(RadonEye)
라돈아이:
측정방식;펄스형이온화 챔버 200cc
유효데이타 출력소요시간 : 〈60분
측정값표시: 10분간격 (60분 이동평균)
측정감도:0.5cpu/pCi/l at 10pCi/l(30cph/pEi/l)
작동허용환경: 10~40℃, RH 〈90%
측정범위: 0.1~99.99 pCi/l(환경기준치 4pCi/l)
(스마트 실내 라돈가스 감지기로, 펄스형 이온화 챔버와 정밀측정회로가 적용되어 기존 보급형 라돈측정기보다 20배 이상 감도가 높고 빠르고 정밀하다.)
시멘트벽돌(가로 20cm, 세로,9cm, 높이 5cm), 2개를 준비한 후
그중 한 개를 실시예 1의 제2공정에서 제조된 라돈 차단도료를
제3공정과 같이 0.3mm 두께로 도포한 후에, 일정시간 건조시켜 준비하고,
라돈 차단도료가 도포되지 않은 또다른 시멘트 벽돌 과 함께, 건조기에 넣고 60℃ 의 열풍으로 3시간 건조시켜, 준비한 다음,
가로 30cm, 세로 30cm, 높이 30cm의 정육면체의 밀폐된 두 개의 플라스틱통에 상기 두 개의 시멘트벽돌을 각각 내장시킨 후,
라돈아이(라돈측정장치의 명칭)방사능 감지기를 벽돌 중앙부에 안치시키고, 밀폐한 후, 라돈 방사량 측정을 시작하였다.
라돈아이 방사능감지기에서 10분마다 방사능 량을 측정하여 1시간 동안 방사능량의 평균치가 계산되어 라돈 방사율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다.
시멘트벽돌(라돈차단도료가 도포되지 않음) 실시예1의 라돈차단도료 가 도포된 벽돌 비고
라돈방사량
(pCi/㎡ h)
8.59 0.71 90% 이상
감소
실험 결과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통상 기존 시멘트벽돌보다 실시예1에서 제조된 라돈차단도료가 도포된 시멘트 벽돌이 라돈방사능이
90 %이상의 차단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Claims (1)

  1. 라돈차단 도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기분해조의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아연봉과, -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황동봉에 연결시키고, 상기 +극의 아연봉과, -극의 황동봉 간격을 10cm로 위치시키고, 전류를 5볼트, 15암페아로 고정시킨 다음,
    폴리졸 1,000g, 초산비닐수용성바인더 1,000g, 산화방지제로 하이드로퀴논 1~3g 과 염산 5g을 혼합한 폴리졸초산비닐바인더조성물을 전기분해조의 전해조에 투입하고, 전기분해시키면, +극의 아연봉과 -극의 황동봉을 완전히 용해시켜 전기분해 하면, 아연봉과 황동봉은 나노입자로 되어 이온형태로 된 나노황동아연폴리졸초산비닐수지조성물을 제조하여 준비한 후에,
    상기에서 제조된 나노황동아연폴리졸초산비닐수지조성물 1,000g에 400매쉬 백탄 200g, 400 매쉬 흑연 150g을 교반기에 넣고 60RPM 으로 1시간 교반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차단 도료의 제조방법.
KR1020190009611A 2019-01-25 2019-01-25 라돈 차단 도료의 제조방법 KR102148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611A KR102148799B1 (ko) 2019-01-25 2019-01-25 라돈 차단 도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611A KR102148799B1 (ko) 2019-01-25 2019-01-25 라돈 차단 도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559A true KR20200092559A (ko) 2020-08-04
KR102148799B1 KR102148799B1 (ko) 2020-08-27

Family

ID=72048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611A KR102148799B1 (ko) 2019-01-25 2019-01-25 라돈 차단 도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7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270B1 (ko) 2022-04-06 2024-01-29 주식회사 이에이치에스기술연구소 라돈 차폐를 위한 기능성 도료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3949A (ko) * 1985-10-31 1987-05-06 조석연 규석을 이용한 건축용 치장제의 제조방법
KR20050048557A (ko) 2005-04-08 2005-05-24 김영식 토르마린 천연 페인트
KR20080018291A (ko) 2006-08-24 2008-02-28 주식회사 숲속바이오 백토를 이용한 도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78866B1 (ko) 2008-09-24 2011-11-01 김만영 방사능 차폐재 제조방법
KR20120050052A (ko) 2010-11-10 2012-05-18 이상신 음이온방출 고분자 나노복합체를 이용한 항균 규산염계 무기질 수성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0342A (ko) * 2015-09-09 2017-03-17 최문규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기공성 단열 벽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공성 단열 벽돌
KR20170090039A (ko) * 2016-01-28 2017-08-07 신수연 시멘트에서 방출되는 라돈 차단 도포제의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1828165B1 (ko) 2016-08-09 2018-03-22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라돈 차폐용 도막방수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3949A (ko) * 1985-10-31 1987-05-06 조석연 규석을 이용한 건축용 치장제의 제조방법
KR20050048557A (ko) 2005-04-08 2005-05-24 김영식 토르마린 천연 페인트
KR20080018291A (ko) 2006-08-24 2008-02-28 주식회사 숲속바이오 백토를 이용한 도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78866B1 (ko) 2008-09-24 2011-11-01 김만영 방사능 차폐재 제조방법
KR20120050052A (ko) 2010-11-10 2012-05-18 이상신 음이온방출 고분자 나노복합체를 이용한 항균 규산염계 무기질 수성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0342A (ko) * 2015-09-09 2017-03-17 최문규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기공성 단열 벽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공성 단열 벽돌
KR20170090039A (ko) * 2016-01-28 2017-08-07 신수연 시멘트에서 방출되는 라돈 차단 도포제의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1828165B1 (ko) 2016-08-09 2018-03-22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라돈 차폐용 도막방수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799B1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42644B (zh) 一种纳米二氧化硅改性水性聚氨酯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
CN103626144B (zh) 高柔韧性耐高温不燃的羟基磷灰石纸及其制备方法
CN108250807A (zh) 一种水性矿物涂料及其制备方法
CN102732079A (zh) 一种外墙涂料及其制备方法
CN102634256A (zh) 一种水性膨胀型隧道防火防霉涂料
CN103820123A (zh) 一种微生物固沙抑尘剂及其制备方法
CN107325686A (zh) 三元聚合石墨烯纳米防腐涂料及制备技术
CN103172952B (zh) 一种适用于挤出成型的粉煤灰-树脂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13248981A (zh) 一种石墨烯改性的水性弹性涂料及其制备方法
CN105255225A (zh) 一种无机防水耐老化外墙涂料及其制备方法
CN105778642B (zh) 一种水溶液中荧光稳定的稀土超疏水涂层的制备方法
CN110563035A (zh) 一种稀土锆酸盐纳米粉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48799B1 (ko) 라돈 차단 도료의 제조방법
CN111073359A (zh) 一种无机涂料及其制备方法
CN103880338B (zh) 一种粉煤灰保温装饰一体板的制备方法
CN109868034B (zh) 一种强附着力的防腐抗菌树脂涂料粉剂及其制备方法
Zhou et al. A high-strength bonding, water-resistance, flame-retardant magnesium oxychloride cement based inorganic adhesive via the construction of supramolecular system
CN102976706B (zh) 一种复合砂浆
CN104559767A (zh) 一种有机硅建筑防水剂的制备方法
CN113402908A (zh) 一种无机内墙防火涂料及其制备方法
KR102196095B1 (ko) 유기나노점토 기반의 라돈 차폐용 나노코팅제 조성물
CN105505108A (zh) 一种水性防火涂料及其制备方法
KR101342568B1 (ko) 무기질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924106A (zh) 一种水泥基渗透结晶型防水性无机涂料
CN115260810A (zh) 一种环保阻燃抗污损涂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