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737A - 자동차용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737A
KR20200090737A KR1020207007736A KR20207007736A KR20200090737A KR 20200090737 A KR20200090737 A KR 20200090737A KR 1020207007736 A KR1020207007736 A KR 1020207007736A KR 20207007736 A KR20207007736 A KR 20207007736A KR 20200090737 A KR20200090737 A KR 20200090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eans
cone pulley
slide rail
bel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7997B1 (ko
Inventor
니콜라스 쉐러
마르쿠스 바우만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00090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16H9/1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 F16H9/1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using two pulleys, both built-up out of adjustable conical parts
    • F16H9/18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using two pulleys, both built-up out of adjustable conical parts only one flange of each pulley being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2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chains or toothed belts, belts in the form of links; Chains or belts specially adapted to such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185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the guid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elt, rope or chain having particular shapes, structures o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제1 샤프트 축(3)을 가진 제1 샤프트(2) 상에 배치된 제1 콘 풀리 쌍(4) 및 제2 샤프트 축(6)을 가진 제2 샤프트(5) 상에 배치된 제2 콘 풀리 쌍(7)을 포함하는,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콘 풀리 쌍은, 상기 샤프트 축(3, 6)을 따라 변위 가능한 제1 콘 풀리(8)와 샤프트 축(3, 6)의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제2 콘 풀리(9), 그리고 콘 풀리 쌍들(4, 7) 사이에서의 토크 전달을 위해 제공된 벨트 수단(10)을 포함하며; 이 경우, 벨트 수단(10)의 인장된 스트랜드(16) 및 느슨한 스트랜드(17)가 제1 콘 풀리 쌍(4)과 제2 콘 풀리 쌍(7) 사이의 중간 공간(5)을 관통해서 연장되며, 이 경우 인장된 스트랜드(16)는 중간 공간(15)에 배치된 제1 슬라이드 레일(18)을 통해 가이드되고, 느슨한 스트랜드(17)는 중간 공간(15)에 배치된 제2 슬라이드 레일(19)을 통해 가이드되며, 이 경우 제1 슬라이드 레일(18)과 제2 슬라이드 레일(19)은 서로 상이하게 설계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
본 발명은, 자동차용의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는, 적어도 제1 샤프트 상에 배치된 제1 콘 풀리 쌍 및 제2 샤프트 상에 배치된 제2 콘 풀리 쌍, 그리고 콘 풀리 쌍들 사이에서의 토크 전달을 위해 제공된 벨트 수단을 포함한다.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자동차를 위한, CVT 변속기(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이다. 특히,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는 내연 기관 또는 다른 구동 유닛과 함께 자동차의 구동을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는 규칙적으로, 각각 샤프트 축을 따라 변위 가능한 제1 콘 풀리 및 샤프트 축의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제2 콘 풀리, 그리고 콘 풀리 쌍들 사이에서의 토크 전달을 위해 제공된 벨트 수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1 콘 풀리 쌍 및 제2 콘 풀리 쌍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는 오래전에 공지되었다.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의 작동 시, 콘 풀리 쌍들 상에서 벨트 수단이 반경 방향으로 내부 위치와 외부 위치 사이에서 변위된다.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는 점점 더 콤팩트하게 설계되고 있으며, 이 경우, 바로 샤프트들 사이의 설치 공간 및 이로써 콘 풀리 쌍들 사이의 설치 공간이 점차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콘 풀리 쌍들 사이에 슬라이드 레일을 위해 제공되는 설치 공간도 줄어든다. 슬라이드 레일은, 벨트 수단의 인장된 스트랜드(pulling strand)뿐만 아니라 느슨한 스트랜드(slack strand) 상에도 배치되어, 벨트 수단의 가이드를 위해 이용된다. 슬라이드 레일은 특히, 음향적으로 효율적인 체인 가이드(벨트 수단 가이드)를 고려해서 설계되어야 한다. 이 경우, 벨트 수단의 안내 길이 및 슬라이드 레일의 강성이 결정적인 영향 요인이다. 지금까지는 슬라이드 레일이, 인장된 스트랜드와 느슨한 스트랜드에 대해 구조적으로 동일하게 설계되었다.
설치 공간의 축소는, 적어도 슬라이드 레일의 안내 길이가 축소되어야 하는 상황을 유도한다.
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문제점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특히, 콤팩트한 구조에 적합한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를 제안해야 한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종속 청구항들에 개별적으로 기재된 특징들은 기술적으로 합리적인 방식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정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들 청구항에 명시된 특징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며, 이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적어도 제1 샤프트 축을 가진 제1 샤프트 상에 배치된 제1 콘 풀리 쌍 및 제2 샤프트 축을 가진 제2 샤프트 상에 배치된 제2 콘 풀리 쌍을 구비한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가 제안된다. 각각의 콘 풀리 쌍은, 개별 샤프트 축을 따라 변위 가능한 제1 콘 풀리 및 샤프트 축의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제2 콘 풀리를 구비한다. 또한, 콘 풀리 쌍들 사이에서의 토크 전달을 위해 제공된 벨트 수단(예컨대 체인)이 제공되며, 이 경우 벨트 수단은 각각의 콘 풀리 쌍에서 반경 방향으로 내부 위치와 외부 위치 사이에서 콘 풀리의 접촉면을 따라 변위 가능하다. 벨트 수단은, 인장된 스트랜드(여기에서는 벨트 수단의 회전 방향으로 특히 인장 응력이 벨트 수단에 작용함) 및 느슨한 스트랜드(여기에서는 벨트 수단의 회전 방향으로 특히 전단 응력이 벨트 수단에 작용함)로써, 제1 콘 풀리 쌍과 제2 콘 풀리 쌍 사이의 중간 공간을 관통해서 연장된다. 인장된 스트랜드는 중간 공간에 배치된 제1 슬라이드 레일을 통해 가이드되고, 느슨한 스트랜드는 중간 공간에 배치된 제2 슬라이드 레일을 통해 가이드되며, 이 경우 제1 슬라이드 레일과 제2 슬라이드 레일은 서로 상이하게 설계(즉, 예컨대 기하학적으로 또는 사용된 재료와 관련하여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본원에서는 특히, 각각의 슬라이드 레일을 기존의 설치 공간에 매칭되도록 구조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와 같은 제안에 의해, 각각의 슬라이드 레일에 대해 필요한 안내 길이 및 강성이 구조적으로 보장될 수 있거나, 가급적 길고 크게 설계될 수 있다.
특히, 벨트 수단은 샤프트 쪽을 향하는 내부측 및 그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 외부측을 가지며, 이 경우 제1 슬라이드 레일은 외부측에 배치된 제1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를 구비하고, 제2 슬라이드 레일은 외부측에 배치된 제2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를 구비하며, 제1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와 제2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는 서로 상이하게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들은 샤프트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특히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의 기하 중심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평면 내에 각각 샤프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외부 윤곽을 가지며, 이 경우 제1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의 제1 외부 윤곽과 제2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의 제2 외부 윤곽은 서로 상이하게 설계된다.
다름 아닌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들은, 자동차의 또 다른 부품들의 배열에 매칭되도록 설계된 외부 윤곽을 갖는다. 이로써는, 특히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의 필요 강성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레일의 필요 강성까지도 모두 저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제 특히, 필요 시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들 중 하나만을 그곳에 존재하는 부품에 매칭되도록 설계하는 방식이 제안된다.
특히, 벨트 수단은 샤프트 쪽을 향하는 내부측 및 그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 외부측을 가지며, 이 경우 제1 슬라이드 레일은 내부측에 배치된 제1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를 구비하고, 제2 슬라이드 레일은 내부측에 배치된 제2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를 구비하며, 제1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와 제2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는 서로 상이하게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들은, 샤프트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평면 내에 각각 샤프트 쪽을 향하는 내부 윤곽을 가지며, 이 경우 제1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의 제1 내부 윤곽과 제2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의 제2 내부 윤곽은 서로 상이하게 설계된다.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들도, 자동차의 또 다른 부품들의 배열에 매칭되도록 설계된 내부 윤곽을 갖는다. 이로써, 특히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의 필요 강성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레일의 필요 강성까지도 모두 저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제 특히, 필요 시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들 중 하나만을 그곳에 존재하는 부품에 매칭되도록 설계하는 방식이 제안된다.
특히, 샤프트 축들을 가진 제2 평면 내의 중간 공간은,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의 작동 시 콘 풀리의 각각의 가능한 위치에 제1 슬라이드 레일을 배치하기 위해 제1 자유 횡단면을 포함하고,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의 작동 시 콘 풀리의 각각의 가능한 위치에 제2 슬라이드 레일을 배치하기 위해 제2 자유 횡단면을 포함한다. 적어도, 제1 슬라이드 레일이 제1 횡단면을 최소 70%까지, 특히 최소 80%까지, 바람직하게는 최소 90%까지 채울 수 있거나, 제2 슬라이드 레일이 제2 횡단면을 최소 70%까지, 특히 최소 80%까지, 바람직하게는 최소 90%까지 채울 수 있다.
특별히 또는 대안적으로, 제2 평면은 각각 벨트 수단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개별 슬라이드 레일을 관통해서 그리고 이 경우 샤프트 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2 평면은 특히, 콘 풀리들의 위치 및 그 결과로 도출되는 슬라이드 레일들의 위치에 따라 자신의 위치를 변경한다.
콘 풀리의 가능한 위치들은 특히, 한 쌍의 콘 풀리에서의 벨트 수단의 내부 위치에서 출발하여 상기 콘 풀리 쌍에서의 벨트 수단의 외부 위치까지, 그리고 이와 관련된 다른 콘 풀리 쌍에서의 벨트 수단의 위치들까지 이르는, 4개의 콘 풀리 상호 간의 배열을 포함한다.
제2 평면 및 중간 공간에서의 각각의 횡단면은, 콘 풀리 쌍들 및 샤프트들에 의해 사전 설정된 공간적 제한들에 의해 도출된다. (샤프트 축의 방향으로) 각 횡단면들의 폭은 특히, 고정되어 있는 제2 베벨 기어의 접촉면들의 최대 간격에 의해 사전 설정된다.
또한, 전술한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를 갖춘 자동차가 제안된다.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에 관한 설명은 자동차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그 역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예방 차원에서, 본원에 사용된 숫자("제1", "제2", ...)는 주로 동종의 복수의 대상, 크기 또는 프로세스를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되며, 즉, 특히 이와 같은 대상들, 크기들 또는 프로세스들 상호간의 종속성 및/또는 순서를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한다. 종속성 및/또는 순서가 필요하다면, 이는 본원에 명시되어 있거나, 구체적으로 기술된 실시예의 연구 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히 드러난다.
본 발명 및 기술적 환경이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이 도시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에 주의한다. 특히,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도면들에 설명된 특성의 부분 양태들을 추출하고 이들을 본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명시된 다른 구성 부품들 및 인식들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별히 주지할 점은, 도면들 및 특히 도시된 크기 비율은 개략적인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대상들을 지칭함에 따라, 필요 시 다른 도면과 관련한 설명이 보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제1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를 갖춘 자동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인장된 스트랜드와 느슨한 스트랜드를 위해 구조적으로 동일한 슬라이드 레일이 설치된다는 가정 하에 콘 풀리 쌍의 가능한 위치들이 도시된,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라 구현된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인장된 스트랜드와 느슨한 스트랜드를 위해 상이한 슬라이드 레일이 설치된다는 가정 하에 콘 풀리 쌍의 가능한 위치들이 도시된,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의 상면도이다.
도 5는 인장된 스트랜드와 느슨한 스트랜드를 위해 상이한 슬라이드 레일이 설치된다는 가정 하에 콘 풀리 쌍의 가능한 위치들이 도시된, 도 4에 따른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의 하면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따라 구현된 제1 및 제2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라 구현된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제3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라 구현된 제1 및 제2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슬라이드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제1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를 갖춘 자동차(35)를 측면도이다. 도 2는, 인장된 스트랜드(16)와 느슨한 스트랜드(17)에 대해 구조적으로 동일한 슬라이드 레일(18, 19)이 설치된다는 가정 하에, 콘 풀리 쌍(4, 7)의 가능한 위치(32)가 도시된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라 설계된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27)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에 대해 공통으로 기술한다.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는, 제1 샤프트 축(3)을 갖는 제1 샤프트(2) 상에 배치된 제1 콘 풀리 쌍(4), 및 제2 샤프트 축(6)을 갖는 제2 샤프트(5) 상에 배치된 제2 콘 풀리 쌍(7)을 구비한다. 각각의 콘 풀리 쌍(4, 7)은, 개별 샤프트 축(3, 6)을 따라 변위 가능한 제1 콘 풀리(8) 및 샤프트 축(3, 6)의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제2 콘 풀리(9)를 구비한다. 또한, 콘 풀리 쌍들(4, 7) 사이에서의 토크 전달을 위해 제공된 벨트 수단(10)(예컨대 체인)이 제공되며, 이 경우 벨트 수단(10)은 각각의 콘 풀리 쌍(4, 7)에서 반경 방향(11)으로 내부 위치(12)와 외부 위치(13) 사이에서 콘 풀리(8, 9)의 접촉면(14)을 따라 변위 가능하다. 벨트 수단(10)의 인장된 스트랜드(16) 및 느슨한 스트랜드(17)가 제1 콘 풀리 쌍(4)과 제2 콘 풀리 쌍(7) 사이의 중간 공간(15)을 관통해서 연장된다. 인장된 스트랜드(16)는 중간 공간(15)에 배치된 제1 슬라이드 레일(18)을 통해 가이드되고, 느슨한 스트랜드(17)는 중간 공간(15)에 배치된 제2 슬라이드 레일(19)을 통해 가이드되며, 이 경우 제1 슬라이드 레일(18)과 제2 슬라이드 레일(19)은 서로 상이하게 설계된다.
벨트 수단(10)은, 샤프트(2, 5) 쪽을 향하는 내부측(20) 및 그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 외부측(21)을 구비하며, 이 경우 제1 슬라이드 레일(18)은 외부측(21)에 배치된 제1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2)를 구비하고, 제2 슬라이드 레일(19)은 외부측(21)에 배치된 제2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3)를 구비한다.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들(22, 23)은, 샤프트 축(3, 6)에 대해 횡방향으로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2, 23)의 기하 중심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평면(24) 내에 각각 샤프트(2, 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외부 윤곽(25, 26)을 갖는다.
또한, 제1 슬라이드 레일(18)은 내부측(20)에 배치된 제1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27)구비하고, 제2 슬라이드 레일(19)은 내부측(20)에 배치된 제2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28)를 구비한다.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들(27, 28)은, 샤프트 축(3, 6)에 대해 횡방향으로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2, 23)의 기하 중심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평면(24) 내에 각각 샤프트(2, 5) 쪽을 향하는 내부 윤곽(29, 30)을 갖는다.
여기에는 구조적으로 동일한 슬라이드 레일들(18, 19)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 풀리(8, 9)의 모든 가능한 위치(32)가 고려되어야 한다. 중간 공간(15)에서 슬라이드 레일(18, 19)의 배치를 위해 가용한 설치 공간은, 본 실시예에서 제1 횡단면(33) 및 제2 횡단면(34)을 통해 시각화된다.
도 4는, 인장된 스트랜드(16)와 느슨한 스트랜드(17)을 위해 상이한 슬라이드 레일(18, 19)이 설치된다는 가정 하에, 콘 풀리 쌍(4, 7)의 가능한 위치(32)가 도시된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의 상면도이다. 도 5는, 인장된 스트랜드(16)와 느슨한 스트랜드(17)을 위해 상이한 슬라이드 레일(18, 19)이 설치된다는 가정 하에, 콘 풀리 쌍(4, 7)의 가능한 위치(32)가 도시된 도 4에 따른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의 하면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따라 구현된 제1 및 제2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27, 28)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공통으로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 1 내지 도 3과 달리, 여기에서는 서로 상이한 슬라이드 레일(18, 19)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중간 공간(15)에서 슬라이드 레일(18, 19)의 배치를 위해 가용한 설치 공간은 콘 풀리(8, 9)의 가능한 위치(32)를 참조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고정되어 있는 제2 베벨 기어(9)가 확정되고 정의된다.
중간 공간(15)은, 샤프트 축(3, 6)을 포함하는 제2 평면(31)에,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의 작동 시 콘 풀리(8, 9)의 각각의 가능한 위치(32)에 제1 슬라이드 레일(18)을 배치하기 위해 제1 자유 횡단면(33)을 포함하고,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의 작동 시 콘 풀리(8, 9)의 각각의 가능한 위치(32)에 제2 슬라이드 레일(19)을 배치하기 위해 제2 자유 횡단면(34)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레일들(18, 19)은, 이들 슬라이드 레일이 가용 횡단면(33, 34)의 대부분을 채우도록 구현된다. 슬라이드 레일들(18, 19)의 상이한 구조 크기는, 도 3 및 도 6에 따른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27, 28)를 토대로 알 수 있다.
제2 평면(31) 및 중간 공간(15)에서의 개별 횡단면들(33, 34)은, 콘 풀리 쌍(4, 7) 및 샤프트(2, 5)에 의해 사전 설정된 공간적 제한들에 의해 도출된다. [샤프트 축(3, 6)의 방향으로] 개별 횡단면(33, 34)의 폭은, 고정되어 있는 제2 베벨 기어(9)의 접촉면들(14)의 최대 간격(36)에 의해 사전 설정된다.
도 7은, 제2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라 설계된 제1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2)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7 및 도 8을 공통으로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한 설명을 참조한다.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들(22, 23)은, 샤프트 축(3, 6)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평면(24) 내에 각각 샤프트(2, 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외부 윤곽(25, 26)을 가지며, 이 경우 제1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2)의 제1 외부 윤곽(25)과 제2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3)의 제2 외부 윤곽(26)은 여기에서 구조적으로 동일하게 설계된다.
제1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2)는, 자동차(35)의 또 다른 부품들의 배치에 매칭되도록 구현된 외부 윤곽(25)을 갖는다. 지금까지 항상 구조적으로 동일한 슬라이드 레일 또는 벨트 수단 가이드(22)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제2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3)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설치 공간 한정이 실현되었다.
도 9는, 제3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라 구현된 제1 및 제2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2, 23)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9 및 도 10에 대해 공통으로 기술한다. 도 7 및 도 8과 관련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 7 및 도 8과 달리, 여기에서는 서로 상이한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들(22, 23)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2)는 자동차(35)의 부품의 배치를 고려하는데, 이 경우 제2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3)의 제2 윤곽(26)이 상기 제1 윤곽(25)에 매칭되지 않는다.
도 11은 슬라이드 레일(18)의 사시도이다. 설치 장소에 좌우되는 슬라이드 레일(18)의 구현으로 인해, 슬라이드 레일은 이제 벨트 수단(10)을 위해 최대로 가능한 안내 길이 및 최대로 가능한 강성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1: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
2: 제1 샤프트
3: 제1 샤프트 축
4: 제1 콘 풀리 쌍
5: 제2 샤프트
6: 제2 샤프트 축
7: 제2 콘 풀리 쌍
8: 제1 콘 풀리
9: 제2 콘 풀리
10: 벨트 수단
11: 반경 방향
12: 내부 위치
13: 외부 위치
14: 접촉면
15: 중간 공간
16: 인장된 스트랜드
17: 느슨한 스트랜드
18: 제1 슬라이드 레일
19: 제2 슬라이드 레일
20: 내부측
21: 외부측
22: 제1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
23: 제2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
24: 제1 평면
25: 제1 외부 윤곽
26: 제2 외부 윤곽
27: 제1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
28: 제2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
29: 제1 내부 윤곽
30: 제2 내부 윤곽
31: 제2 평면
32: 위치
33: 제1 횡단면
34: 제2 횡단면
35: 자동차
36: 간격

Claims (7)

  1. 적어도 제1 샤프트 축(3)을 가진 제1 샤프트(2) 상에 배치된 제1 콘 풀리 쌍(4) 및 제2 샤프트 축(6)을 가진 제2 샤프트(5) 상에 배치된 제2 콘 풀리 쌍(7)을 구비한,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로서,
    각각의 콘 풀리 쌍은, 샤프트 축(3, 6)을 따라 변위 가능한 제1 콘 풀리(8)와, 샤프트 축(3, 6)의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제2 콘 풀리(9), 그리고 콘 풀리 쌍들(4, 7) 사이에서의 토크 전달을 위해 제공된 벨트 수단(10)을 포함하며; 상기 벨트 수단(10)은 각각의 콘 풀리 쌍(4, 7)에서 반경 방향(11)으로 내부 위치(12)와 외부 위치(13) 사이에서 콘 풀리(8, 9)의 접촉면(14)을 따라 변위 가능하며; 벨트 수단(10)의 인장된 스트랜드(16) 및 느슨한 스트랜드(17)가 제1 콘 풀리 쌍(4)과 제2 콘 풀리 쌍(7) 사이의 중간 공간(5)을 관통해서 연장되며, 이 경우 인장된 스트랜드(16)는 중간 공간(15)에 배치된 제1 슬라이드 레일(18)을 통해 가이드되고, 느슨한 스트랜드(17)는 중간 공간(15)에 배치된 제2 슬라이드 레일(19)을 통해 가이드되며, 제1 슬라이드 레일(18)과 제2 슬라이드 레일(19)은 서로 상이하게 설계되는,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
  2. 제1항에 있어서, 벨트 수단(10)은 샤프트(2, 5) 쪽을 향하는 내부측(20) 및 그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 외부측(21)을 가지며, 제1 슬라이드 레일(18)은 외부측(21)에 배치된 제1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2)를 구비하고, 제2 슬라이드 레일(19)은 외부측(21)에 배치된 제2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3)를 구비하며, 제1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2)와 제2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3)가 서로 상이하게 설계되는,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
  3. 제2항에 있어서,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들(22, 23)은 샤프트 축(3, 6)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평면(24) 내에 각각 샤프트(2, 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외부 윤곽(25, 26)을 가지며, 제1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2)의 제1 외부 윤곽(25)과 제2 외부 벨트 수단 가이드(23)의 제2 외부 윤곽(26)이 서로 상이하게 설계되는,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벨트 수단(10)은 샤프트(2, 5) 쪽을 향하는 내부측(20) 및 그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 외부측(21)을 가지며, 제1 슬라이드 레일(18)은 내부측(20)에 배치된 제1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27)를 구비하고, 제2 슬라이드 레일(19)은 내부측(20)에 배치된 제2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28)를 구비하며, 제1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27)와 제2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28)가 서로 상이하게 설계되는,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
  5. 제4항에 있어서,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들(27, 28)은 샤프트 축(3, 6)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평면(24) 내에 각각 샤프트(2, 5) 쪽을 향하는 내부 윤곽(29, 30)을 가지며, 제1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27)의 제1 내부 윤곽(29)과 제2 내부 벨트 수단 가이드(28)의 제2 내부 윤곽(30)이 서로 상이하게 설계되는,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샤프트 축(3, 6)을 포함하는 제2 평면(31) 내의 중간 공간(15)은,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의 작동 시 콘 풀리(8, 9)의 각각의 가능한 위치(32)에 제1 슬라이드 레일(18)을 배치하기 위해 제1 자유 횡단면(33)을 포함하고,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의 작동 시 콘 풀리(8, 9)의 각각의 가능한 위치(32)에 제2 슬라이드 레일(19)을 배치하기 위해 제2 자유 횡단면(34)을 포함하며, 이때 적어도, 제1 슬라이드 레일(18)이 제1 횡단면(33)을 최소 70%까지 채우거나, 제2 슬라이드 레일(19)이 제2 횡단면(34)을 최소 70%까지 채우는,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1)를 구비한 자동차(35).
KR1020207007736A 2017-12-05 2018-11-19 자동차용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 KR102667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8862.7A DE102017128862A1 (de) 2017-12-05 2017-12-05 Kegelscheibenumschlingungs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7128862.7 2017-12-05
PCT/DE2018/100941 WO2019110043A1 (de) 2017-12-05 2018-11-19 Kegelscheibenumschlingungs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737A true KR20200090737A (ko) 2020-07-29
KR102667997B1 KR102667997B1 (ko) 2024-05-23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28862A1 (de) 2019-06-06
US20210033174A1 (en) 2021-02-04
CN111386411B (zh) 2023-06-13
CN111386411A (zh) 2020-07-07
US11466758B2 (en) 2022-10-11
WO2019110043A1 (de) 2019-06-13
DE112018005788A5 (de) 2020-08-20
JP2020535362A (ja) 2020-12-03
JP6938779B2 (ja) 202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3110267B4 (de) Kettenspannerhebel
JP2009103151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5211606B2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KR20200090737A (ko) 자동차용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
KR102667997B1 (ko) 자동차용 벨트 구동식 콘 풀리 변속기
EP2192325A1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DE102008058969B4 (de) Zugmittelspanneinrichtung
DE102004025936A1 (de) Umschlingungstrieb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2001343056A (ja) 変速装置
JP2008151317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US8181621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dynamic balancing system
JP5211609B2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5251346B2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2011069410A (ja) 動力伝達装置
JP2008215497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5211346B2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5035514B2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8169879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2011200874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の製造方法
DE102008045017A1 (de) Hybridkeilriemen
JP2014231882A (ja) Cvtベルト組み付け方法及び組み付け装置
JP2008111494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5214238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2009047295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DE102011109342A1 (de) Riementrieb eines Kraftfahrzeu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