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666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666A
KR20200090666A KR1020200087551A KR20200087551A KR20200090666A KR 20200090666 A KR20200090666 A KR 20200090666A KR 1020200087551 A KR1020200087551 A KR 1020200087551A KR 20200087551 A KR20200087551 A KR 20200087551A KR 20200090666 A KR20200090666 A KR 20200090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ib
heating
container
cooking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482B1 (ko
Inventor
이정현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90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0Cooking-vessels with water-bath arrangements for domes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8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water-bath, e.g. pasta-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1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sealings for doors or transparent pa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027/006Cooking-vessels e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pas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는,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하우징 내측에 삽입되며, 조리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컨테이너;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과 접하여 상기 컨테이너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면을 형성하는 가열부 바디; 상기 가열부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 상기 가열부 바디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아우터 리브; 및 상기 아우터 리브보다 더 내측으로 이격된 상기 가열부 바디의 하면에서 상기 가열부 바디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이너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리브는 상기 이너 리브보다 더 짧게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 리브의 하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비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근래에는, 밀폐형 조리기기의 상방에 개방형 조리기기가 배치되는 복합형 조리기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조리 방식 및 구조를 가지는 장치들이 조합되도록 개발되고 있다.
개방형 조리기기 또는 밀폐형 조리기기를 이용한 오븐요리, 구이요리, 찜요리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조리법 외에도 여러 새로운 조리법이 새롭게 개발되거나 일부에서만 사용되던 독특한 조리법들이 일반에 점차 전파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 중 하나가 수비드 조리법이다. 수비드(Sous Vide)는, 저온 진공 조리법을 통해 영양소, 질감, 맛 등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조리법이다.
수비드 조리는 조리를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리고(통상 4시간에서 최대 48시간 정도),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 조절이 까다로우므로, 효과적인 수비드 조리를 위해서는 수비드 조리를 위한 별도의 전용 조리기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열 성능이 향상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열 성능이 향상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합식 조리기기의 일측에 모듈 방식으로 장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듈화된 다수의 조리장치들의 공용 장착 구조를 가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의 물 또는 이물질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장치측으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열부의 가열 효율이 향상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열부의 전체가 고르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는,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하우징 내측에 삽입되며, 조리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컨테이너;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과 접하여 상기 컨테이너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면을 형성하는 가열부 바디; 상기 가열부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 상기 가열부 바디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아우터 리브; 및 상기 아우터 리브 보다 더 내측으로 이격된 상기 가열부 바디의 하면에서 상기 가열부 바디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이너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리브는 상기 이너 리브보다 더 짧게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 리브의 하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너 리브는 상기 아우터 리브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너 리브와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이너 리브가 수용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너 리브의 하단은 상기 함몰부의 내측면과 접하여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열부의 중앙에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온도 감지장치가 관통되는 센터 홀이 형성되며, 상기 이너 리브는 상기 센터 홀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히터는 상기 이너 리브보다 더 내측의 상기 가열부 바디의 바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열부 바디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히터가 상기 가열부 바디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성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열부 바디에는 상기 가열부 바디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히터가 수용되는 히터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히터 장착부에는 상기 히터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절개된 단락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열부의 중앙에서 상기 가열부의 외측단까지 연장되며,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열전달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 리브는 상기 히터 장착부를 지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열전달 리브는 상기 가열부의 중앙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리브 보다 더 내측의 상기 가열부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히터의 단자가 출입되는 접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접속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 및 상기 히터의 단자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속부에는 상기 히터의 과열을 방지하는 퓨즈가 장착되는 퓨즈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퓨즈 장착부 또한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는,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하우징 내측에 삽입되며, 조리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컨테이너;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장착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과 접촉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장치;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과 접하여 상기 컨테이너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면을 형성하는 가열부 바디; 상기 가열부 바디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가열부 바디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상기 리브보다 더 내측의 상기 가열부 바디에 구비되는 히터; 상기 가열부 바디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온도 감지장치가 수용되는 센터 홀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는 상기 리브의 하단보다 더 높은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온도 감지장치는 상기 돌출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장치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베이스 홀을 차폐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컨테이너와 접촉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온도 감지부가 상기 컨테이너에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온도 감지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터 홀의 둘레에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온도 감지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센터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 바닥면의 중앙에 형성되며, 온도 감지장치가 장착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보다 더 외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리브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 바닥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의 사이의 상기 하우징 바닥면에는 제 1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와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 바닥면을 따라서 상기 리브를 수용하는 제 2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는 상기 제 2 함몰부보다 더 하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 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 보스는 상기 리브를 기준으로 보다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가열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다수의 개구들보다 더 외측의 영역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열부에는 하우징의 바닥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리브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에서 넘치는 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을 통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기기가 배치되는 가구 또는 조리기기가 장착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상의 오염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리브는 아우터 리브와 이너 리브 이중으로 구성되어 이물질과 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리브의 경우 하우징의 함몰부에 수용되는 상태로 보다 효과적으로 물과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은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가 형성되어 물 또는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물 또는 이물질이 더 이상 침투되지 않고 저장되도록 하여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리브는 하우징의 바닥 또는 가열부 상의 전기 장치가 장착된 위치보다 외측에 위치되고, 하우징 바닥의 개구들 또한 상기 리브의 내측에 위치되어 전기장치의 누전을 방지하고 동시에 동시에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에 장착되는 온도 감지장치는 하우징 하면의 돌출된 부분에 장착되어 온도 감지장치가 장착된 부분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비드 조리와 같이 물을 이용한 조리시에도 하우징 외측으로의 물 또는 이물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모듈 형태로 일반 가구 또는 복합식 조리기기에 장착하여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가열부재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히터가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가열부로의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열부에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방사 리브가 히터 장착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며, 따라서 상기 가열부 전체에 고르게 열이 전달되도록 하여 가열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방사 리브는 간격이 좁은 가열부의 중앙에서는 높이가 낮고 간격이 넓은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하여 상기 가열부의 중앙이 국부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가열부 전체가 고르게 가열되어 상기 컨테이너를 보다 빠르고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장시간 가열 조리되는 수비드 조리에서 있어서 현저한 가열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히터는 가열부 내측에 인서트 사출되어 하우징 내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따라서 하우징 내부의 물 또는 이물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 중앙의 센터 홀에는 상기 온도 감지장치가 돌출되어 컨테이너와 접하며, 상기 센터홀의 둘레에는 센터 가이드가 상기 하우징 까지 연장되어 상기 온도 감지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온도 감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열 및 온도 감지 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도어의 하면에는 컨테이너와 접하여 기밀되는 가스켓이 구비되어 상기 컨테이너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기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열 성능의 향상은 물론 컨테이너 공간 내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리 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어 중 상기 가스켓의 내측 영역은 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며, 조리 상황을 도어를 열지 않고 확인 가능하게 되어 조리 성능의 향상 및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를 상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조리기기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조리기기의 하우징과 가열부의 결합구조를 상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하우징과 가열부의 결합구조를 하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조리기기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B부 확대도이다.
도 8은 상기 조리기기 하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조리기기 하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가열부의 바닥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조리기기의 도어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베이스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베이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힌지 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힌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힌지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조리기기의 종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C부 확대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D부 확대도이다.
도 23은 상기 조리기기기 상부의 횡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E부 확대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가 장착된 복합 식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상기 복합식 조리기기에 상기 조리기기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를 상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조리기기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조리기기의 하우징과 가열부의 결합구조를 상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하우징과 가열부의 결합구조를 하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200)는 전체적으로, 수용 공간(210a)을 형성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 장착되는 가열부(230) 그리고, 상기 수용 공간(210a)을 개폐하는 도어(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200)는 하우징(210)과 가열부(230) 그리고 도어(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210)이 장착될 수 있는 별도의 케이스가 더 포함되어 독립적인 거치 및 사용이 가능한 독립적인 조리기기가 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하우징(210)과 가열부(230) 그리고 도어(240)를 포함하는 구성이 복합식 조리기기 또는 쿡탑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빌트인 구조로 주방기기 또는 가구에 장착되어 복합식 조리기기 또는 쿡탑의 일부 구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210)은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22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211)와 상기 수용부(211)의 개구된 상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11)의 내측면 및 상기 플랜지(212)의 상면은 법랑 코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212)에는 상기 플랜지(212)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210)의 상면 둘레부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2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프레임(2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50)은 중앙에 프레임 개구(251)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개구(251)의 둘레에 상기 하우징(210)의 상면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50)은 상기 하우징(210)의 상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후단에는 상기 도어(240)가 장착되기 위한 프레임 함몰부(2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50)은 상기 프레임 함몰부(252)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250)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11)의 내부는 식품의 조리를 위한 컨테이너(2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11)의 바닥면에는 가열부(230)가 배치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의 바닥에는 베이스 홀(213)이 개구되고, 상기 베이스 홀(213)에 온도 감지장치(26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의 바닥에는 안전퓨즈(231b)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240)는 상기 프레임(250)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210)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40)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10) 내부의 수용공간(210a)을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조리기기의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의 B부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211)의 중앙에는 베이스 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홀(213)에는 온도 감지장치(26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 감지장치(260)는 상기 베이스 홀(213)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열부(230)와 접하여 상기 가열부(23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도 감지장치(260)는 상기 가열부(230)와 접촉되는 온도 감지부(261)와, 상기 베이스 홀(213)을 차폐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62), 그리고 상기 온도 감지부(26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2)는 상기 베이스 홀(213)을 차폐하며, 내부에 상기 온도 감지부(261)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2)에는 상기 온도 감지부(261)와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부(261)는 상기 가열부(230)의 센터 홀(238)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211)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부(261)는 서미스터, 서모스텟과 같은 온도의 감지 또는 측정이 가능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부(261)는 탄성부재(26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63)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2)와 상기 온도 감지부(261)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부(261)의 상단에 상기 탄성부재(263)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는 탄성부재 지지부(261a)가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 감지부(261)는 상기 탄성부재(263)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263)의 상단은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261a)와 접하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2)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부(261)는 상기 탄성부재(263)에 의해 상면이 상기 수용부(211)의 바닥면 및 상기 가열부(230)의 상면보다 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11) 내부에 컨테이너(220)가 장착되면, 상기 온도 측정부는 상기 컨테이너(22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컨테이너(220)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홀(213)은 상기 수용부(211) 내부의 상대적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214) 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214)의 높이는 상기 이너 리브(234)의 하단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베이스 홀(213)측으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돌출부(214)의 둘레에는 제 1 함몰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215)는 수분이 상기 제 1 돌출부(214)를 넘어 상기 베이스 홀(213)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함몰부(215)의 외측에는 제 2 돌출부(216)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돌출부(216)는 상기 제 1 함몰부(215)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돌출부(216)의 둘레에는 제 2 함몰부(2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수분이 상기 제 2 돌출부(216)를 넘어 상기 제 2 함몰부(217) 및 베이스 홀(213)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수용부(211)의 바닥면에는 상기 베이스 홀(213)을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요철 형상이 반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11)의 바닥면은 적어도 2단의 홈 또는 돌기로 구성되어 수분이 상기 베이스 홀(213)측으로 침부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베이스 홀(213)을 통해 상기 수용부(211)의 하방으로 누수되는 것을 2중으로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돌출부(216)의 일부는 가열부(230)를 구성하는 히터(231)의 단자(231a)와 안전 퓨즈(231b) 및 퓨즈 브라켓(231c)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구(21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218)는 상기 가열부(230)에서 돌출 형성되는 접속부(236)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218)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접속부(236)에 상기 히터(231)의 단자와 상기 안전 퓨즈(231b)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11)의 하면에는 상기 가열부(230)의 장착을 위한 체결부재(211c)가 체결되는 체결 홀(211a)이 더 형성될 수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11)의 바닥면 네 모서리에는 각각 상기 조리기기(200)가 외형을 형성하는 별도의 케이스, 복합식 조리기기 또는 쿡탑 등에 모듈 형태로 장착될 때 장착 브라켓과 고정되기 위한 장착홀(211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조리기기 하부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조리기기 하부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가열부의 바닥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용부(211)의 바닥면에는 가열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230)의 형상은 네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211)의 바닥면 대부분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230)는 상기 제 2 함몰부(217)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부(230)의 장착시 상기 제 2 함몰부(217)를 비롯한 상기 제 2 함몰부(217) 내측의 구성들이 모두 상기 가열부(23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가열부(230)는 상기 컨테이너(220)를 지지하는 바닥 대부분의 면적을 형성하는 가열부 바디(232)와 상기 가열부 바디(232)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가열부 바디(232)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 바디(232)는 열전달 성능이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 바디(232)의 성형시 상기 히터(231)가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231)의 동작에 의해 상기 가열부 바디(232)가 가열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부 바디(232)는 상기 수용부(211) 내측의 컨테이너(220)를 하방에서 지지하면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 바디(232)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가열부 바디(232)의 상면은 평면 형상으로 상기 컨테이너(22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 바디(232)의 하면은 상기 수용부(211)의 요철 형상과 대응하는 요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220) 내부의 물 또는 음식물이 넘치게 되어 상기 수용부(211) 바닥에 유입되더라도 상기 수용부(211) 및 상기 가열부 바디(232)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요철 형상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중앙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 바디(232)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아우터 리브(2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리브(233)는 상기 수용부(211)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가열부 바디(232)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수용부(211)의 바닥면과 다소 이격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리브(233)는 상기 수용부(211)의 내측 벽면과 서로 평행하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리브(233)보다 내측의 상기 가열부 바디(232)의 하면에는 이너 리브(2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리브(234)는 상기 아우터 리브(233)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아우터 리브(233) 내측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리브(234)는 상기 제 2 함몰부(217)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함몰부(217)를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제 2 함몰부(217)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리브(234)는 상기 제 2 함몰부(217)의 바닥과 접하여 상기 가열부(23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리브(233)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220)에서 넘치게 되는 이물질 또는 물은 상기 제 2 함몰부(217)와 상기 이너 리브(234)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제 2 돌출부(216)를 지나는 물은 제 1 함몰부(215)와 제 1 돌출부(214)에 의해 중앙으로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테이너(220)에서 넘친 이물질 또는 물이 상기 제 2 함몰부(217)와 이너 리브(234)를 통과하게 되더라도 상기 제 1 함몰부(215)와 제 1 돌출부(214)에 의해 추가적인 침투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215)의 공간은 비교적 넓은 공간을 제공하며, 따라서 상기 제 1 함몰부(215)로 유입된 물은 상기 가열부(230)의 열에 의해 자연적으로 증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함몰부(215)는 보다 효과적인 집수를 위해서 상기 제 2 함몰부(217)의 깊이보다 더 깊게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리브(234)의 내측 영역에는 히터 장착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장착부(235)는 상기 이너 리브(234)보다는 낮은 높이를 가지며, 내부에 히터(231)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히터(231)는 상기 가열부 바디(232)의 성형시 상기 히터 장착부(235)와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231)는 전선이 연결되기 위한 단자(231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히터 장착부(235)에 수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장착부(235)는 상기 히터(231)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히터(231)의 단면적 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231)가 배치되는 경로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장착부(235)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락부(23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락부(235a)는 상기 히터 장착부(235) 일부가 절개된 상태로 상기 단락부(235a)를 통해서 상기 히터(23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히터(231)의 인서트 사출시 상기 히터(231)의 고정을 위한 지그 배치를 위한 것으로, 상기 히터(231)가 정확한 위치에서 인서트 사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락부(235a)를 통해서 상기 히터(231)가 상기 가열부(230)의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열부 바디(232)의 성형 완료 후에는 상기 히터(231)의 장착 상태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장착부(235)의 일측에는 상기 히터(231)의 양단의 단자(231a)가 노출되는 접속부(2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36)는 상기 히터 장착부(235)에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히터(231) 양단의 단자(231a)가 수직하게 연장되는 형태로 노출되어 상기 관통구(218)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36)는 관통구(218)와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218)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210)의 바닥면을 통해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부(236)에는 퓨즈 설치부(236a)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36) 및 퓨즈 설치부(236a)는 상기 가열부 바디(232)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퓨즈 설치부(236a)는 상기 관통구(218)를 통과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부(230)가 상기 수용부(211) 내측에 장착되면,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상기 접속부(236)가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부(236)를 구성하는 상기 히터(231)의 단자(231a)와 상기 퓨즈 설치부(236a)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에서 상기 히터(231)의 연결 작업과 상기 퓨즈 설치부(236a)에 안전 퓨즈(231b)를 설치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안전 퓨즈(231b)는 별도의 퓨즈 브라켓(231c)을 통해서 상기 퓨즈 설치부(236a)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장착부(235)의 내측에는 체결 보스(237)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보스(237)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에서 체결되는 체결부재(211c)가 체결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 장착부(235) 및 상기 이너 리브(234)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보스(237)에 의해 상기 가열부(230)는 상기 하우징(210)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고정 상태의 유지를 위해서 복수의 체결부재(211c)가 상기 가열부(23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열부(230)는 상기 하우징(210)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리브(234)가 상기 제 2 함몰부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함몰부(217)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홀(238)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열전달 리브(23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리브(239)는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터 홀(238)에서 히터 장착부(235)와 상기 이너 리브(234)를 지나 아우터 리브(233)까지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전달 리브(239)는 상기 히터 장착부(235)를 지나게 되면서 상기 히터(231)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231)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상기 열전달 리브(239)를 통해서 상기 가열부(230)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231)의 구동시 상기 열전달 리브(239)를 통한 열전달에 의해 상기 가열부 바디(232)의 상면 전체가 균일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220)의 바닥면을 균일하게 가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열전달 리브(239)는 상기 가열부 바디(232)의 성형시 상기 가열부 바디(232)의 상면이 균일한 표면을 가지도록 살빼기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가열부 바디(232)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보강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 리브(239)는 상기 센터 홀(238)을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터 홀(238)과 접하는 위치는 사실상 돌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다수의 열전달 리브(239)가 집중되는 상기 가열부(230)의 중앙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서로 간격이 멀어지는 상기 가열부(230)의 외곽부는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 바디(232)의 중앙에는 온도 감지장치(260)가 배치되는 센터 홀(2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터 홀(238)은 상기 온도 감지장치(260)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터 홀(238) 내측에는 상기 온도 감지부(261)와 탄성부재(26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 감지부(261)는 상기 센터 홀(238)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홀(238)의 둘레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센터 가이드(238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터 가이드(238a)는 상기 센터 홀의 둘레에서 상기 하우징(210)의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센터 가이드(238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상기 온도 감지장치(26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263)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온도 감지부(261)와 탄성부재(263)는 상기 센터 가이드(238a)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 감지부(261)가 상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기 센터 가이드(238a)에 의해 이동이 안내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과 간섭되거나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도 감지부(261)는 상기 컨테이너(220)가 상기 하우징(210) 내측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열부(230)의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220)가 상기 하우징(210)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컨테이너(220)에 의해 상기 온도 감지부(261)가 눌려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상기 센터 홀(238)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 감지부(261)는 상기 탄성부재(26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220)의 바닥면과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조리기기의 도어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10)의 상면에는 상기 프레임(250)을 지지할 수 있는 면을 제공하는 플랜지(212)가 형성 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212)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체결부재(212a)가 하방에서 체결되며, 상기 플랜지(212)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25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에 상기 프레임(250)이 결합된 상태를 하나의 구성으로 볼 수도 있으며 이를 본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프레임(250)은 상기 도어(240)가 장착 및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동시에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조리기기(200)의 둘레 일부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50)은 일반적인 버너에 사용되는 그레이팅과 같은 주철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물 성형되어 동일한 질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기기(200)가 일반적인 버너가 장착된 복합식 조리기기에 장착될 경우 상기 프레임(250)에 의해 둘레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외관이 조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50)은 외을 형성하는 케이스에 안착될 수 있는 지지면(253)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기기(200)는 복합식 조리기기 또는 쿡탑에 모듈 타입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면(235)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50)의 중앙부는 개구(251)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251)를 통해서 상기 수용부(211) 및 상기 컨테이너(220)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251)는 상기 컨테이너(220)보다 크고 상기 하우징(210)의 개구된 상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251)의 둘레에는 단차부(254)가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220)에서 넘치는 물 또는 도어(240)에서 흘러 내리는 물이 고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프레임(250)의 하면에 결합되며, 따라서 상기 개구(251)의 내측은 상기 프레임(250)의 두께만큼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251)의 내측과 상기 하우징(210)의 플랜지(21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단차지게 되어 상기 단차부(254)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254)를 형성하는 상기 개구(251)의 둘레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250) 상면의 물이 단차부(254)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50)의 양측단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사이드부(2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부(255)는 상기 도어(240)의 양단이 축결합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하며, 상기 도어(240)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240)의 양단을 감쌀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이드부(255)는 상기 프레임(250)의 양단에서 상기 도어(240)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만큼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250)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도어(240)의 측면 전체가 가려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40)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40)의 좌우 양측면은 노출되지 않고, 상기 도어(240) 전단의 손잡이가 보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부(255)의 후단에는 상기 양단에는 상기 도어(240)의 회전을 위한 힌지 장치(290)의 축(291)이 삽입되는 힌지 홀(255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40)는 상기 힌지 장치(290)에 의해 상기 힌지 홀(255a)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250)의 상면 전체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50)의 후단에는 프레임 함몰부(2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함몰부(252)는 상기 힌지 홀(255a)이 형성된 양측의 상기 사이드부(255)의 사이에서 함몰되며, 상기 도어(240)의 후단에 형성된 힌지 장착부(278)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 함몰부(252)는 상기 힌지 장착부(278)의 수용은 물론 더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40)의 개방시 상기 도어(240) 하면에 형성된 워터 가이드(284)를 넘어 물이 흘러내리게 될 때, 상기 조리기기(200)의 외부로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함몰부(252)는 상기 도어(2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힌지 장착부(278)가 수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장착부(278)의 외측면과 한층 더 이격되어 집수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24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리기기(20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250)의 개구(251) 및 상기 하우징(210)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40)는 전체적으로 아웃 케이스(241)와 도어 베이스(270), 이너 케이스(280) 그리고 힌지 장치(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241)는 상기 도어(24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240)의 상면 전체와 대응하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아웃 플레이트라 부를 수 있다. 따라서, 상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아웃 케이스(241)에 의해 상기 조리기기의 상면 외관의 대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241)는 강화 유리 또는 투명 아크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이 패턴 처리되거나 다양한 코팅, 필름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상기 도어(240)를 통해, 상기 하우징(210) 또는 상기 컨테이너(220)의 내부를 투시하여 내부의 조리 상황을 가시화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도어 베이스(270)는 상기 도어(240)의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케이스(241)와 이너 케이스(280) 및 힌지 장치(290)가 장착되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도어 베이스(27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 베이스 개구(27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개구(271)는 상기 하우징(210)의 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280)와 아웃 케이스(241)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 개구(271)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투시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베이스(270)의 상면에는 상기 아웃 케이스(241)가 장착되며, 상기 아웃 케이스(241)에 의해서 상기 도어 베이스(270)의 상면 전체가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베이스(270)의 전단에는 상기 도어(240)의 전단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240)의 손잡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프론트 데코(24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데코(242)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거나, 금속과 같은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관을 한층 더 고급스럽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베이스(270)의 전단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베이스(270)에는 자석(24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243)은 도어(24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력에 의해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 베이스(270)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자석(243)은 상기 프레임(250) 또는 하우징(210)의 일측에 작용될 수 있으며, 자력에 의해 상기 도어(240)는 상기 프레임(250) 또는 하우징(21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베이스(270)의 후단에는 한쌍의 힌지 장치(2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장치(290)는 각각 상기 프레임(250)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40)의 개폐시 회전 축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장치(290)는 상기 도어 베이스(270) 후단에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커버(244)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베이스(270)의 베이스 개구(271) 외측 둘레에는 로어 가스켓(2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어 가스켓(245)은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또는 컨테이너(220)의 내측을 기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2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10) 또는 상기 컨테이너(220)의 상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가스켓(245)은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어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220)의 상단에서 절곡된 컨테이너 플랜지(221)를 따라서 접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베이스(270)에는 이너 케이스(28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80)는 상기 베이스 개구(271)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베이스(27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240)의 하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베이스(270)는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베이스 개구(271)의 영역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또는 상기 컨테이너(220)의 내부가 보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80)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워터 가이드(28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 가이드(284)는 상기 도어(240)의 개방시 상기 도어(240)에 하면에 맺혀진 물방울이 상기 컨테이너(220) 내측을 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힌지 장치(290)가 배치되는 일측이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 가이드(284)는 상기 컨테이너(220)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컨테이너(22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220) 내부의 1차적인 기밀이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가스켓(245)과 함께 상기 컨테이너(220)의 내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기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도어(240)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들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는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베이스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베이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 베이스(270)는 상기 프레임(250)의 내측의 크기와 대응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케이스(241)와 이너 케이스(280), 로어 가스켓(245), 프론트 데코(242), 힌지 장치(290) 등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베이스(270)의 상면에는 플레이트 장착부(2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272)는 상기 아웃 케이스(241)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아웃 케이스(241)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272)는 상기 도어 베이스(270)의 상면 대부분의 영역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2)의 좌우 양측면과 전단 및 후단의 일부가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272)가 정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272)의 내측 영역에는 접착제 또는 실런트가 도포되는 플레이트 접착부(2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접착부(273)는 상기 아웃 케이스(241)의 둘레와 대응하는 영역과, 상기 베이스 개구(271)의 외측 영역에서 돌출되어 상기 아웃 케이스(241)가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272)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272)의 내측에는 상기 베이스 개구(27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개구(271)는 상기 이너 케이스(280)에 의해 차폐되는 부분으로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을 실질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272)의 전단 즉, 상기 도어 베이스(270)의 전단에는 상기 프론트 데코(24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데코(242)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도어 전단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272)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 베이스(270)의 후단과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272)의 양측방에 해당하는 도어 베이스(270)의 양단이 상기 아웃 케이스(24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개구(271)와 상기 도어(240)의 전반부 후반부는 함몰된 살빼기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살빼기 영역에는 격자형상의 보강 리브(27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살빼기 영역의 형상으로 인해 상기 도어(240)의 하면은 좌우 양측이 중앙에 비해 상방에 위치하도록 단차지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베이스(270)의 전단에는 상기 프론트 데코(242)가 장착되는 데코 장착부(2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 장착부(274)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론트 데코(242)가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데코 장착부(274)의 하방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데코 장착부(274)가 형성된 부분이 손잡이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4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데코 장착부(274) 하방의 공간에 손을 집어넣어 상기 도어(240)를 들어올려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데코(242)의 후방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75)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250) 또는 하우징(210)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275)의 돌출 높이는 상기 도어(2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240)의 상면이 지면 또는 조리기기(200)의 상면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50) 또는 하우징(210)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75)는 상기 도어 베이스(270)의 하면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75)의 상면은 개구되어 내측으로 함몰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275)의 내부 일측에는 자석 장착부(275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자석(243)의 자력에 의해 상기 도어(240)가 상기 프레임(250)을 향하여 자력에 의해 가압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4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석 장착부(275a) 및 자석(243)은 상기 지지부(275)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75)의 하면 중앙에는 하방으로 더 돌출된 접촉부(27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75b)는 상기 프레임(250) 또는 상기 하우징(210)이 실질적으로 접하도록 형성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275b)는 상기 프레임(250) 또는 하우징(210)과 점접촉 또는 선접촉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40)가 닫히게 될 때, 상기 지지부(275) 하면 전체가 상기 프레임(250) 또는 상기 하우징(210)과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접촉부(275b)의 일부가 상기 프레임(250) 또는 하우징(210)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도어(240)가 닫히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자력에 의해 상기 도어(240)가 순간적으로 닫히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40) 개방시 자력을 이기고 적절한 힘으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접착부(273)의 내측에는 이너 케이스 안착부(276)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 안착부(276)의 내주는 상기 베이스 개구(271)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 안착부(276)는 상기 베이스 개구(271)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280)의 케이스 플랜지(281)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 플랜지(281)가 상기 이너 케이스(28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스 플랜지(281)의 상면이 상기 플레이트 접착부(273)의 상면과 동일 높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접착부(273)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상기 케이스 플랜지(281)에도 도포되어 상기 아웃 케이스(241)에 상기 플레이트 접착부(273)와 상기 케이스 플랜지(281)가 동시에 접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 안착부(276)에는 어퍼 가스켓(277)의 장착을 위한 어퍼 가스켓 홈(276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가스켓 홈(276a)은 상기 이너 케이스 안착부(276) 상에 함몰된 홈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이너 케이스 안착부(276)를 따라서 돌출되는 한쌍의 리브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어 베이스(270)의 하면에는 로어 가스켓 장착홈(277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가스켓 장착홈(277a)은 상기 베이스 개구(27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이너 케이스 안착부(276)보다는 더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 가스켓 장착홈(277a)의 배치 위치는 상기 플레이트 접착부(273)와 대응할 수 있다. 즉, 상기 로어 가스켓 장착홈(277a)의 반대면에 상기 플레이트 접착부(27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가스켓 장착홈(277a)의 함몰 깊이만큼 상기 플레이트 접착부(273)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로어 가스켓 장착홈(277a)에는 로어 가스켓(245)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가스켓(245)은 상기 도어(240)의 하면과 상기 하우징(210) 또는 컨테이너(220)의 상면과 접하여 기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로어 가스켓(245)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 또는 컨테이너(220)의 내부는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 베이스(270)의 하면, 후단에는 힌지 장착부(27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장착부(278)는 유압식 또는 스프링식의 댐핑 힌지로 구성된 힌지 장치(29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장치(290)에 의해 상기 도어(240)가 닫히게 될 때 가속되면서 충격이 발생되지 않고 서서히 닫힐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40)가 닫힐 때 발생되는 충격과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장착부(278)는 상기 도어 베이스(270)의 하면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 장치(290)가 삽입 장착되도록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장착부(278)의 좌우 양측단에는 각각 상기 힌지 장치(290)가 장착된 상태에서 힌지 축(291)이 관통되도록 개구되며, 상기 힌지 장치(290)가 상기 프레임(250)의 힌지 홀(255a)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2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16은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힌지 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힌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힌지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힌지 장착부(278)는 상기 도어 베이스(270)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 장착부(278)는 상기 프레임(250) 후단의 프레임 함몰부(252)에 수용 가능한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는 상기 힌지 장치(290)가 장착되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으며, 힌지 커버(24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힌지 장착부(278)는 상기 도어 베이스(270) 하면의 후단을 따라서 상기 힌지 장치(29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힌지 장치(29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장착부(278)의 양단에는 상기 힌지 장치(290)의 힌지 축(291)이 통과되는 사이드 홀(278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홀(278a)은 상기 도어(240)의 측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프레임(250)의 사이드부(255)에 형성된 힌지 홀(255a)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 장착부(278)에 장착된 힌지 장치(290)의 힌지 축(291)은 상기 사이드 홀(278a)을 통과하여 상기 힌지 홀(255a)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장치(290)는 상기 힌지 장착부(278)의 좌우 양측에 각각 수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장치(290)는 상기 도어(240)가 닫히게 될 때 댐핑 작용을 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가지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힌지 장착부(278)와 힌지 장치(290)는 방향성을 가지는 장착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세히, 상기 힌지 장치(290)의 일측단에는 힌지 축(291)이 돌출되고, 상기 힌지 축(291)은 상기 사이드 홀(278a)을 통과하여 상기 힌지 홀(255a)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 축(291)이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상기 힌지 장치(290)의 타측단에는 고정을 위한 스크류가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부(29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체결부(292)에는 상기 스크류 체결부(292)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 장착부(278)에 체결되는 스크류가 관통될 수 있는 스크류 홀(29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홀(292a)과 대응하는 상기 힌지 장착부(278)에는 체결 보스(278b)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 홀(292a)을 관통하는 스크류가 체결되어 상기 힌지 장치(290)가 상기 힌지 장착부(278)의 내측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힌지 장치(290)의 외측면에는 상기 힌지 장착부(278)에 형성된 삽입 리브(278d)가 삽입되는 고정 슬릿(29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슬릿(293)은 상기 힌지 장치(29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장착부(278)의 바닥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한쌍의 돌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슬릿(293)과 대응하는 상기 힌지 장착부(278)의 바닥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삽입 리브(278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장치(290)의 장착시 상기 삽입 리브(278d)는 상기 고정 슬릿(293)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힌지 장치(290)는 정위치에서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장치(290)의 외측면 다른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구속 돌기(29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 돌기(294)는 상기 고정 슬릿(293)과 수직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장치(290)의 일측방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 돌기(294)와 대응하는 상기 힌지 장착부(278)의 일측 벽면에는 상기 구속 돌기(294)를 지지하거나 결합될 수 있는 돌기 지지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속 돌기(294)는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힌지 장치(290)에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힌지 장치(290)가 오장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장치(290)의 장착시, 상기 고정 슬릿(293)과 상기 구속 돌기(294)의 구조에 의해 한쌍의 상기 힌지 장치(290)는 좌우 양측에 각각 정해진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방향성을 가지는 장착 구조에 의해 오장착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 장착부(278)에 상기 힌지 장치(29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커버(244)에 의해 상기 힌지 장착부(278)가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커버(244)는 상기 힌지 장치(290)의 장착 및 서비스를 위해서 상기 힌지 장착부(278)의 개구된 영역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커버(244)는 라운드부(244a)와 평면부(244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운드부(244a)는 실질적으로 상기 힌지 장치(290)를 가리고, 상기 힌지 장착부(278)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평면부(244b)는 상기 힌지 장착부(278) 상의 돌출된 돌출부(278c)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244b)에는 스크류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278c)에는 상기 체결될 수 있는 스크류 홀(278f)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는 상기 평면부(244b)를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278c)에 체결되어 상기 힌지 커버(244)가 상기 도어 베이스(27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78c)에는 상기 힌지 커버(244)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보강 리브(272a)가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 커버(244)의 전단과 후단에 다수의 후크(244c)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 장착부(278)에 형성된 후크 홀(278g)에 체결되어 상기 힌지 장착부(278)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후크(244c)는 상기 라운드부(244a)와 평면부(244b)를 따라서 각각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 홀(278g)은 상기 힌지 장착부(278)의 후단 즉, 상기 도어(240)의 후단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커버(244)의 후단의 후크(244c)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 홀(278g)은 상기 돌출부(278c)의 내측면에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커버(244)의 전단의 상기 후크(244c)가 삽입될 수 있다.
도 19는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너 케이스(280)는 상기 베이스 개구(271)를 차폐하도록 형성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가 투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80)는 상기 베이스 개구(27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 안착부(276)에 장착되는 케이스 플랜지(281), 상기 케이스 플랜지(281)의 내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케이스 테두리(282) 그리고, 상기 케이스 테두리(282)를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부(28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플랜지(281)는 상기 이너 케이스(28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 안착부(276)에 안착되고, 동시에 상기 아웃 케이스(241)의 하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282)는 상기 이너 케이스(28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282)는 상기 케이스 플랜지(281)의 내측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테두리(282)의 내측 공간은 구획부(28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283)는 상기 이너 케이스(280) 내측의 평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 플랜지(281)와 상기 테두리(282)의 하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283)는 상기 케이스 플랜지(281)보다 더 낮은 높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280)가 상기 도어 베이스(27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베이스(270)의 개구보다 더 낮은 높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4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280)의 구획부(283)와 아웃 케이스(24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공간은 상기 이너 케이스(280)와 아웃 케이스(241)의 접촉에 의해 기밀 되므로 단열공간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40)는 아웃 케이스(241)와 이너 케이스(280)에 의한 진공 또는 밀폐 단열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가스켓(277)에 의해 이러한 밀폐 구조 및 단열 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283)의 하면에는 워터 가이드(28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 가이드(284)는 상기 구획부(28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따라서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이너 케이스(280)의 구조에서는 상기 테두리(282)가 더 연장되어 상기 워터 가이드(284)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워터 가이드(284)는 상기 구획부(283)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되 상기 컨테이너(220)의 개구 내측 영역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가이드(284)는 상기 도어(2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22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40)를 닫게 되면 상기 워터 가이드(284)는 상기 컨테이너(2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가이드(284)는 측면부(284c)와 전면부(284a) 및 후면부(284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284a)는 상기 손잡이 및 프론트 데코(242)와 가까운 상기 구획부(283)의 전단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284a)는 상기 워터 가이드(284) 전체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전면부(284a)는 생략되어 상기 구획부(283)의 전단에는 상기 워터 가이드(284)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후면부(284b)는 상기 힌지 장치(290)와 가까운 상기 구획부(283)의 후단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284b)는 상기 워터 가이드(284) 전체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284c)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284c)는 상기 구획부(283)의 중앙부 또는 중앙부 보다 다소 후방에서부터 후단까지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40)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280)의 하면에 맺힌 물방울들은 축결합된 상기 도어(240)의 후방을 향하여 흐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워터 가이드(284)를 따라 흐르는 물은 상기 워터 가이드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위치되거나 내측을 향하도록 형상되어 있으므로 상기 컨테이너(220) 외측으로 떨어지지 않고 대부분이 상기 컨테이너(220)의 내부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조리기기(200)의 동작 상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0은 상기 조리기기의 종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도 20의 C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22는 도 20의 D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상기 조리기기기 상부의 횡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도 23의 E부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조리기기(200)의 동작을 위해서 상기 컨테이너(220)의 내부에 음식물을 넣은 상태로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220)는 조리를 위한 식품 및/또는 물이 수용되는 용기로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220)는 상면이 개구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220)의 상단이 상기 하우징(210)의 상면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220)는 상기 워터 가이드(284)를 포함한 상기 테두리(282)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22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어(2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로어 가스켓(245)과 접촉되는 컨테이너 플렌지(221)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220)의 내부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조리 식품의 배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랙(2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200)를 통한 수비드 조리를 위해서 상기 컨테이너(220) 내부에 물이 적정 수위로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랙(223)에 조리를 위한 식품을 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220) 내부에 물을 채우고 식품을 넣은 후 사용자는 상기 도어(240)를 닫아 상기 컨테이너(220) 내부를 기밀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2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히터(231)의 동작에 의해 상기 가열부(230)가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230)의 발열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220) 및 상기 컨테이너(220) 내부의 물과 식품이 가열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 감지장치(260)는 상기 컨테이너(220)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온도 감지장치(260)에 의해 상기 히터(231)의 동작이 제어되어 상기 컨테이너(220)는 설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가열부(23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리기기(200)의 동작 동안에 상기 도어(24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로어 가스켓(245)에 의해서 상기 컨테이너(220)의 내부는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2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로어 가스켓(245)은 상기 컨테이너(220)의 상면과 접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도어(240)의 자중 또는 상기 자석(243)의 자력에 의해 보다 가압되어 상기 하우징(210) 또는 상기 컨테이너(220)측으로 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또는 상기 컨테이너(220)의 내부는 기밀상태가 될 수 있으며, 기밀된 상태에서 수비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외부와 보다 효과적으로 단열된 상태로 가열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220)의 내부가 가열되는 동안에 발생되는 수증기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로어 가스켓(245)에 의한 기밀 외에도 상기 이너 케이스(280)의 테두리(282)는 상기 컨테이너(220)의 개구를 통해서 삽입될 수도 있으며, 상기 테두리(282)는 도 21 및 도 22에서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220)의 내측 둘레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증기의 배출을 구조적으로 추가 차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가스켓(277)은 상기 케이스 플랜지(281)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280)와 상기 도어 베이스(270)의 사이를 완전히 기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어퍼 가스켓(277)은 상기 케이스 플랜지(281)와 상기 도어 베이스(270) 사이의 기밀은 물론, 서로 접촉되는 상기 이너 케이스(280)의 상면과 아웃 케이스(241)의 하면이 서로 가압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280)와 아웃 케이스(241)의 사이를 기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기기(200)의 동작시 발생되는 상기 하우징(210) 또는 컨테이너(220) 내부의 증기 또는 수분이 상기 이너 케이스(280)와 도어 베이스(270) 사이 또는 이너 케이스(280)와 아웃 케이스(241) 사이로 침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조리 상태를 투시 가능한 상기 도어(240)의 내부에 증기나 수분이 침투되는 경우, 상기 도어(240)를 통한 투시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사용자의 불만이 초래될 수 있으나, 상기 어퍼 가스켓(277)의 배치로 인하여 상기 도어(240)를 통한 내부 투시 성능이 보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리기기(200)의 동작 완료 또는 동작 중 상기 도어(240)를 열어 상기 컨테이너(220)를 개방하게 될 때 상기 도어(240)의 하면 즉, 상기 이너 케이스(280)의 하면에 맺혀진 물방울들은 상기 힌지 장치(290)가 연결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워터 가이드(284)에 의해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컨테이너(220)의 내부측으로 자연스럽게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220)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가 장착된 복합 식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상기 복합식 조리기기에 상기 조리기기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200)는 다수의 조리기기들이 조합된 복합식 조리기기(100)의 일 구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조리기기(200)는 다른 조리도 가능하지만 수비드 조리에 가장 적합한 구조를 가지므로 수비드 조리기기(200)라 부를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복합식 조리기기(100)는 전체적인 오븐 캐비티(111,112)가 형성되는 메인 바디(100)와, 상기 메인 바디(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오븐 도어(121,122), 상기 복합식 조리기기(100)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30) 그리고 상기 복합식 조리기기(100) 상면에 제공되는 상기 수비드 조리기기(200)와, 버너 조리기기(300), 인덕션 조리기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 바디(100)는 상기 복합식 조리기기(100)의 전체적인 외관 형상을 형성하며, 내부에 전방으로 개구된 오븐 캐비티(111,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븐 캐비티(111,112)는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제 1 캐비티(111)와, 제 2 캐비티(1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제공되는 히터와 팬에 의해 조리 대상물을 가열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바디(100)에는 상기 오븐 캐비티(111,112)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캐비티(111)와 제 2 캐비티(112)를 각각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오븐 도어(121,122)는 상기 제 1 캐비티(111)를 개폐하는 제 1 도어(121)와 상기 제 2 캐비티(112)를 개폐하는 제 2 도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100)의 전면 상단에는 조작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0)는 상기 복합식 조리기기(100)의 동작 조작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다수의 노브(131)와 상기 복합식 조리기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0)는 상기 복합식 조리기기(100)를 구성하는 오븐과 수비드 조리기기(200), 버너 조리기기(300), 인덕션 조리기기(400)를 모두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작부(130)의 조작을 통해 상기 수비드 조리기기(200)의 독립적인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바디(100)의 상면은 개구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비드 조리기기(200)와 버너 조리기기(300), 그리고 인덕션 조리기기(400)가 장착되는 장착 공간(140)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장착 공간(140)의 내부에는 상기 수비드 조리기기(200)와 버너 조리기기(300), 그리고 인덕션 조리기기(400)가 모듈 방식으로 독립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장착 공간(140) 중 상기 수비드 조리기기(200)가 장착되는 위치에는 상기 수비드 조리기기(200)를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141)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비드 조리기기(200)는 상기 장착 브라켓(14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비드 조리기기(200)의 전단과 후단은 각각 상기 메인 바디(100)의 상단 즉, 상기 장착 공간의 전단과 후단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바디(100)의 단부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수비드 조리기기(200)는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장착 공간에 상기 수비드 조리기기(200)와 버너 조리기기(300), 그리고 인덕션 조리기기(400)가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비드 조리기기(200)와 버너 조리기기(300), 그리고 인덕션 조리기기(400)의 상면이 동일 평면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바디(100)의 상면에서 전체적으로 일체감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 공간(140)의 내부에는 상기 버너 조리기기(300) 및 인덕션 조리기기(400)가 동일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별도의 장착 브라켓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110)에는 상기 버너 조리기기(300)와 인덕션 조리기기(400) 외에도 다른 조리기기가 모듈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하우징 내측에 삽입되며, 조리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컨테이너;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과 접하여 상기 컨테이너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면을 형성하는 가열부 바디;
    상기 가열부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
    상기 가열부 바디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아우터 리브; 및
    상기 아우터 리브보다 더 내측으로 이격된 상기 가열부 바디의 하면에서 상기 가열부 바디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이너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리브는 상기 이너 리브보다 더 짧게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 리브의 하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리브는 상기 아우터 리브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너 리브와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이너 리브가 수용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리브의 하단은 상기 함몰부의 내측면과 접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중앙에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온도 감지장치가 관통되는 센터 홀이 형성되며,
    상기 이너 리브는 상기 센터 홀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이너 리브보다 더 내측의 상기 가열부 바디의 바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 바디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히터가 상기 가열부 바디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 바디에는 상기 가열부 바디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히터가 수용되는 히터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장착부에는 상기 히터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절개된 단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중앙에서 상기 가열부의 외측단까지 연장되며,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열전달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 리브는 상기 히터 장착부를 지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리브는 상기 가열부의 중앙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보다 더 내측의 상기 가열부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히터의 단자가 출입되는 접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접속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 및 상기 히터의 단자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는 상기 히터의 과열을 방지하는 퓨즈가 장착되는 퓨즈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퓨즈 장착부 또한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3.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하우징 내측에 삽입되며, 조리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컨테이너;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장착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과 접촉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장치;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과 접하여 상기 컨테이너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면을 형성하는 가열부 바디;
    상기 가열부 바디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가열부 바디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상기 리브보다 더 내측의 상기 가열부 바디에 구비되는 히터;
    상기 가열부 바디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온도 감지장치가 수용되는 센터 홀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는 상기 리브의 하단보다 더 높은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온도 감지장치는 상기 돌출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장치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베이스 홀을 차폐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컨테이너와 접촉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온도 감지부가 상기 컨테이너에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온도 감지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홀의 둘레에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온도 감지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센터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 바닥면의 중앙에 형성되며, 온도 감지장치가 장착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보다 더 외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리브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 바닥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의 사이의 상기 하우징 바닥면에는 제 1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와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 바닥면을 따라서 상기 리브를 수용하는 제 2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함몰부는 상기 제 2 함몰부보다 더 하방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 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 보스는 상기 리브를 기준으로 보다 내측 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가열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다수의 개구들보다 더 외측의 영역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200087551A 2017-10-13 2020-07-15 조리기기 KR102417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71904P 2017-10-13 2017-10-13
US16/159,784 US11051647B2 (en) 2017-10-13 2018-10-15 Cooking apparatus
US16/159,784 2018-10-15
KR1020180162321A KR102137172B1 (ko) 2017-10-13 2018-12-14 조리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321A Division KR102137172B1 (ko) 2017-10-13 2018-12-14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666A true KR20200090666A (ko) 2020-07-29
KR102417482B1 KR102417482B1 (ko) 2022-07-06

Family

ID=660971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321A KR102137172B1 (ko) 2017-10-13 2018-12-14 조리기기
KR1020200087551A KR102417482B1 (ko) 2017-10-13 2020-07-15 조리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321A KR102137172B1 (ko) 2017-10-13 2018-12-14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051647B2 (ko)
EP (2) EP3881727B1 (ko)
KR (2) KR1021371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5889B2 (en) * 2016-11-10 2019-01-01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imited Food steamer and rack system
KR102297342B1 (ko) * 2017-08-16 202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US11051647B2 (en) * 2017-10-13 2021-07-06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aratus
CN110262292A (zh) * 2019-06-04 2019-09-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器具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烹饪器具
CN110507205B (zh) * 2019-09-30 2021-08-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器具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烹饪器具
WO2021127029A1 (en) * 2019-12-16 2021-06-24 June Life, Inc. Cooking appliance accessory and method of use
US20210353090A1 (en) * 2020-05-16 2021-11-18 John McDevitt System and method for a process to provide improved preparation of consumables
USD1007224S1 (en) 2021-06-11 2023-12-12 June Life, Inc. Cooking vessel
USD978600S1 (en) 2021-06-11 2023-02-21 June Life, Inc. Cooking vess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0046A (ja) * 1992-01-28 1993-08-10 Aloka Co Ltd 電気手術器
JPH0731541A (ja) * 1993-07-22 1995-02-03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貯湯容器
JPH1132911A (ja) * 1997-07-23 1999-02-09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炊飯器
KR20180088781A (ko) * 2016-12-27 2018-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온진공조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5527A (en) * 1947-03-05 1952-05-06 Edward L Kells Jacketed cooking vessel
US3508485A (en) * 1968-07-02 1970-04-28 Munsey Products Inc Thermostatically controlled cooking apparatus
US3875370A (en) * 1974-03-07 1975-04-01 Standex Int Corp Heat-retaining food service unit
US4052590A (en) * 1976-10-28 1977-10-04 National Presto Industries, Inc. Electric appliance with intermittently staked sheathed heating element
US4215267A (en) * 1978-07-19 1980-07-29 Mcgraw-Edison Company Food warmer with a heating element assembly mount
US5445062A (en) * 1993-05-21 1995-08-29 Polster; Louis S. Cooker/rethermalizer
DE29511075U1 (de) 1995-07-07 1995-09-28 Accutek Products Corp., Taisan, Taipeh Kochgerät
US5611265A (en) 1996-09-13 1997-03-18 Ronci; Fernando F. Combination charbroiler and fryer with spinning food basket
CN1244370A (zh) * 1998-08-10 2000-02-16 宁波唐人锅业有限公司 多功能电气压力锅
US6283625B2 (en) * 1999-07-13 2001-09-04 Stephen W. Frankel Apparatus to heat and froth milk utilizing counter rotating mesh tabs paddles
SE529587C2 (sv) 2005-10-21 2007-09-25 Hans-Goeran Aahlander En matlagningsanordning med sensorinrättning och ett matlagningskärl
US20070193575A1 (en) * 2006-02-21 2007-08-23 Horng-Yi Jan Container having a heat concentration assembly securely formed on a bottom of the container
US20100282457A1 (en) * 2009-05-05 2010-11-11 Yangde Li Energy-saving plan
US20140044849A1 (en) 2011-03-02 2014-02-13 Zeeshan Talat Khan Apparatus for cooking food
FR3014664B1 (fr) * 2013-12-13 2016-02-05 Seb Sa Appareil electrique de chauffage et/ou de cuisson d'aliments a la vapeur
FR3014665B1 (fr) * 2013-12-13 2016-02-05 Seb Sa Procede et appareil de chauffage et/ou de cuisson d'aliments a la vapeur
US10028609B2 (en) * 2015-12-30 2018-07-24 Whirlpool Corporation Vessel for sous vide cooking on an induction cooktop with magnetic stirring and wireless temperature control
KR102297342B1 (ko) * 2017-08-16 202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US11051647B2 (en) * 2017-10-13 2021-07-06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aratus
CN108324087A (zh) * 2018-02-08 2018-07-27 贺运香 一种高效加热的烹调锅
US11666170B2 (en) * 2019-02-08 2023-06-06 Lexmark International, Inc. Cooking device having a cooking vessel and a ceramic hea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0046A (ja) * 1992-01-28 1993-08-10 Aloka Co Ltd 電気手術器
JPH0731541A (ja) * 1993-07-22 1995-02-03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貯湯容器
JPH1132911A (ja) * 1997-07-23 1999-02-09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炊飯器
KR20180088781A (ko) * 2016-12-27 2018-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온진공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367A (ko) 2020-04-23
US20190110628A1 (en) 2019-04-18
EP3639705B1 (en) 2021-05-26
US20210289972A1 (en) 2021-09-23
KR102137172B1 (ko) 2020-07-24
KR102417482B1 (ko) 2022-07-06
EP3881727B1 (en) 2022-12-21
EP3881727A1 (en) 2021-09-22
US11800946B2 (en) 2023-10-31
EP3639705A1 (en) 2020-04-22
US11051647B2 (en)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172B1 (ko) 조리기기
KR102235317B1 (ko)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
KR102428720B1 (ko)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327281B1 (ko) 조리기기
CN210383667U (zh) 一种空气炸锅
CA3228492A1 (en) Cooking utensil
KR20090017299A (ko) 컨벡션 커버에 에어 가이드가 형성된 전기오븐
EP1891377A2 (en) A cooking device with terminal box
CN218552124U (zh) 一种锅盖式空气炸锅
CN216431825U (zh) 一种具有空气炸功能的微波炉
JP7273884B2 (ja) 加熱調理器
CN215982718U (zh) 烹调器和烹饪器具
CN211324512U (zh) 轻食机的壳体结构
CN211582738U (zh) 一种食物处理机
KR101686534B1 (ko) 탑 커버의 케이블 밀폐 구조체
CN219613674U (zh) 一种内胆及烤箱
CN211408715U (zh) 烹饪器具
CN116965694A (zh) 一种烹饪器具
KR20230103499A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101756990B1 (ko)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60013843A (ko) 전자렌지의 조리실 분리 구조
KR100674720B1 (ko) 전기오븐 도어의 내부유리 장착구조
KR100633174B1 (ko) 전기오븐의 컨벡션커버
KR100762271B1 (ko) 조리기기
EP1260771A1 (en) Cooking oven with anti-condensation ventilation aper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